KR20140004985A - 수저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저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985A
KR20140004985A KR1020120072605A KR20120072605A KR20140004985A KR 20140004985 A KR20140004985 A KR 20140004985A KR 1020120072605 A KR1020120072605 A KR 1020120072605A KR 20120072605 A KR20120072605 A KR 20120072605A KR 20140004985 A KR20140004985 A KR 201400049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guide
alignment
unit
spo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6183B1 (ko
Inventor
표정신
장계원
Original Assignee
유콜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콜 (주) filed Critical 유콜 (주)
Priority to KR2012007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183B1/ko
Publication of KR201400049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9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16Sorting according to weight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척 대상 수저를 분리하여 세척 및 수납을 용이하게 하는 수저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저분리장치는, 수저가 투입되는 투입부(100);와, 중심부에 정렬가이드(220)가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수저가 걸쳐진 후 손잡이부 또는 머리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낙하되도록 회전시켜 배출시키는 정렬부(200);와, 상기 정렬부(200)에서 정렬되어 배출되는 수저를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분리한 후 분리된 숟가락과 젓가락이 일정 방향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치로 분리 배출하는 분리배출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100)는, 숟가락의 머리부가 걸쳐져 투입되는 수저를 진행에 따라 숟가락의 머리부를 투입부(100)의 투입부측벽(111) 측으로 이동시켜 숟가락의 무게중심이 일 측으로 치우치도록 하는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저분리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SPOONS AND CHOPSTICS}
본 발명은 세척 대상 수저를 분리하여 세척 및 수납을 용이하게 하는 수저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식사하는 식당에서는 많은 수의 수저가 사용된다. 이렇게 사용되는 많은 수의 수저를 분리 저장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특허 10-0585295에는 투입된 수저의 무게중심을 이용하여 수저를 정렬하는 정렬수단과 상기 정렬된 수저를 분리하는 분리수단과 분리된 수저를 저장하는 보관수단으로 구성된 수저분리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수저분리장치의 정렬수단은 경사진 투입구; 수평상태의 무게중심을 유지하는 가이드; 상기 가이드와 연장 선상에 구성된 "∧"형 분리대; 상기 분리대의 우측면 하부에 형성되어 떨어진 수저의 위치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볼록가이드; 감속가이드; 및 상기 분리대의 좌측상부에서 하부로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된 레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저분리장치의 분리수단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분리할 수 있도록 1개 이상의 칸막이를 수저의 진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하여 칸막이의 상부에는 숟가락이 하부에는 젓가락이 각각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저분리장치의 보관수단은 숟가락 함과 젓가락 함으로 분리되고, 배출되는 출구부에 장착되어 착탈 분리되며, 상기 젓가락이 배출되는 부분에 연결된 통로와 상기 통로와 연결되어 낙하하는 젓가락을 수집하는 젓가락 보관함과 상기 숟가락이 배출되는 부분에 연결된 통로와 연통된 연결레일과 숟가락 보관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젓가락 보관함과 숟가락 보관함을 착탈하도록 삽입구가 형성된 숟가락과 젓가락의 분리 보관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기술의 수저분리장치는 무게 중심을 유지하는 가이드(무게중심가이드판(20))이 투입되는 수저를 지지할 뿐 무게 중심이 손잡이부 또는 머리부 중 한 쪽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지 않으므로, 무게중심판별대에서 투입된 숟가락이나 젓가락의 손잡이 또는 머리 부분 중 어느 한 쪽 방향을 가지도록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젓가락의 손잡이부 또는 숟가락의 손잡이부(이하, '손잡이부'라 함)가 젓가락의 음식물을 집는 부분이나 숟가락의 음식물을 뜨는 부분(이하, '머리부'라 함) 무게 중심이 수저의 종류에 따라 중심에 위치하지 않고 그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된다. 숟가락의 경우에는 머리부가 더욱 무거우므로, 무게중심이 머리부 측으로 더욱 치우쳐짐은 물론, 머리부로 떨어지도록 되는 무게 중심부의 영역이 협소하게 되어 손잡이부가 먼저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분리된 숟가락과 젓가락을 수저통에 각각 수납하는 경우 숟가락과 젓가락의 손잡이부와 머리부의 방향이 일정하게 정렬되지 않고 서로 뒤엉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수저가이드레일판(60)과 하부볼록가이드(40) 및 속도감속볼록가이드대(50)를 구비하여 수저를 이동시키게 되므로 그 내부 구조가 복잡해져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세척을 위해 수저를 분리하는 경우에는 숟가락과 젓가락의 머리부가 일정한 방향을 갖지 않게 되어 세척 중에 수저가 세척장치 내에 걸리는 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세척장치에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손잡이부와 머리부의 형상이 다른 수저를 분리하면서도 손잡이 부분과 머리 부분이 항상 일정한 방향이 되도록 수저를 분리하는 수저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저분리장치는, 수저가 투입되는 투입부(100);와, 중심부에 정렬가이드(220)가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수저가 걸쳐진 후 손잡이부 또는 머리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낙하되도록 회전시켜 배출시키는 정렬부(200);와, 상기 정렬부(200)에서 정렬되어 배출되는 수저를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분리한 후 분리된 숟가락과 젓가락이 일정 방향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위치로 분리 배출하는 분리배출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100)는, 숟가락의 머리부가 걸쳐져 투입되는 수저를 진행에 따라 숟가락의 머리부를 투입부(100)의 투입부측벽(111) 측으로 이동시켜 숟가락의 무게중심이 일 측으로 치우치도록 하는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입부(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투입부측벽(111)의 거리는 투입되는 젓가락(20)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는, 상기 수저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직선가이드(113);와, 상기 직선가이드(113) 상에서 상기 투입부(100)의 투입부측벽(111) 측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되는 경사가이드(1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가이드(115)는 곡면경사가이드(115a) 또는 평면경사가이드(115b)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경사가이드(115)의 상기 정렬부(200) 측의 단부와 상기 투입부(100)의 투입부측벽(111) 사이의 거리는 투입되는 숫가락의 머리부의 장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직선가이드(113)와 상기 경사가이드(115)는 서로 분리 구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직선가이드(113)와 상기 경사가이드(115)의 연결부위는 상기 경사가이드(115)의 상부가 상기 직선가이드(113)의 상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완만하게 상향기울기를 가지는 상향경사턱(114)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는, 상기 투입부(100)의 상부면에서 수저의 이동방향을 따라 직선가이드(113)와 경사가이드(115)의 그룹이 하나 이상의 쌍으로 배치되고, 서로 대응되는 직선가이드(113)와 경사가이드(115)의 쌍은 상기 투입부(100)의 수저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중심선을 중심으로 선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부(200)는, 정렬부받침판(201);과, 상기 정렬부받침판(201)의 양측에 설치되는 정렬부측벽(211);과, 상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첨단부(221)를 형성하고 하부는 사이 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정렬가이드경사벽(223)을 구비하여 상기 서로 연결된 상단부가 상기 정렬부받침판(201)의 투입부(100) 측의 상부면에 위치되도록 장착되는 정렬가이드(220);와, 상기 한 쌍의 정렬부(200)의 상부를 덮는 정렬부상판(2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렬부(200)는 또한, 상기 숟가락의 머리부를 분리배출부(300) 측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정렬부측벽(211)의 하부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평탄면 형 또는 곡면 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정렬부경사벽(2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배출부(300)는, 상기 정렬부(200)에서 배출된 수저를 배출하는 분리부받침판(301) 상에 상기 젓가락의 최대폭의 간격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되어 젓가락을 배출하는 배출그리드(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배출부(300)는, 상기 정렬부(200)에서 배출된 수저를 배출하는 분리부받침판(301) 상에 상기 젓가락의 최대폭보다 큰 간격을 가지도 상기 수저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 이상의 분리가이드(311a);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의 수저분리장치는, 또한, 컨베이어벨트(42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421)의 면에서 상기 수저의 가로 방향 최대 폭 이상의 폭을 가지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421)의 가로로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정렬브라켓(430);을 구비한 컨베이어(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로정렬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의해 상기 투입부(100)의 입구 측에서 투입되는 수저를 수저의 이동 방향을 따르는 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이상의 가로 방향 각도를 가지도록 정렬하여 상기 투입부(100)로 배출하는 것에 의해 수저의 일 방향 정렬을 위한 수저의 무게 중심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상술한 구성의 본원 발명의 수저분리장치는 포크, 나이프 등의 손잡이부와 머리부의 형상이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식기도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원 발명의 수저분리장치는 각각의 식기도구가 정렬부에서 머리부 또는 손잡이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낙하하도록 정렬가이드의 첨단부에 위치되도록 무게중심이동가이드의 구조 또는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다른 형태의 식기도구를 분리 배출하거나 일 방향으로 정렬하여 배출하는 식기도구 분리배출기로도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수정분리장치는 수저의 일 방향 정렬 분리의 신뢰도를 현저히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수저분리장치는 수저를 일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분리하는 경우 수저의 분리 과정에서 수저를 일정한 방향으로 정렬하게 되어 수저의 엉킴을 최소화하고 이로 인해 수저의 분리 작업의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저분리장치(1)의 배면측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저분리장치(1)의 좌측면도,
도 3은 도 1의 수저분리장치(1)의 정면측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수저분리장치(1)에서 정렬부상판(202)과 분리배출부(300)의 분리부측벽(311)(좌측판)을 제거한 상태의 수저분리장치(1)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수저분리장치(1)의 수저분리과정을 나타내는 수저분리장치(1)의 부분단면도,
도 6은 보조정렬브라켓(440)을 나타내는 컨베이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7은 보조정렬브라켓(440)에 의해 숟가락(또는, 젓가락)들이 가로정렬브라켓(430)의 사이로 삽입되어 정렬된 상태를 나타내는 컨베이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8은 도 1의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의 변형 실시예인 곡면경사가이드(115a)를 구비한 곡면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b)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1의 정렬가이드(220)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인 평면경사가이드(115b)를 구비한 평면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b)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도 1의 분리배출부(300)의 변형 실시예의 분리가이드(311a)가 형성된 제2분리배출부(300)를 구비한 제2수저분리장치(2)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정렬부상판(202)을 제거한 제2수저분리장치(2)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저분리장치(1)의 배면측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저분리장치(1)의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저분리장치(1)의 정면측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수저분리장치(1)에서 정렬부상판(202)과 분리배출부(300)의 분리부측벽(311)을 제거한 상태의 수저분리장치(1)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수저분리장치(1)의 수저분리과정을 나타내는 수저분리장치(1)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의 변형 실시예인 곡면경사가이드(115a)를 구비한 곡면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a)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도 1의 정렬가이드(220)의 또 다른 변형 실시예인 평면경사가이드(115b)를 구비한 평면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상기 각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수저분리장치(1)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어 투입된 수저가 미끄럼 이동되도록 수저가 투입되는 투입부(100);와, 중심부에 정렬가이드(220)가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수저가 걸쳐진 후 손잡이부 또는 머리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낙하하도록 수저를 회전시켜 배출시키는 정렬부(200);와, 상기 정렬부(200)에서 정렬되어 배출되는 수저를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분리한 후 서로 다른 위치로 분리 배출하는 분리배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투입부(100)는 상부면에 투입부받침판(101)과, 투입부받침판(101)의 양측벽에서 각각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투입부측벽(111)과, 투입부받침판(101)의 상부에 위치되어 서로 대응되는 쌍을 이루는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투입부측벽(111)의 폭은 투입되는 숟가락 또는 젓가락이 가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숟가락 또는 젓가락 중 더 긴 길이를 가지는 식사도구의 길이보다 넓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는 투입부받침판(101)의 수저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선을 중심으로 선대칭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투입된 숟가락(10)의 머리부(음식을 뜨는 부분)를 투입부측벽(111) 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숟가락의 무게중심을 측벽으로 치우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이해 상기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는 수저가 상부면을 타고 이동되도록 하는 한 쌍의 직선가이드(113);와, 상기 한 쌍의 직선가이드(113) 각각의 수저 이동 방향의 단부측에 연결되어 점차적으로 벌어지는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경사가이드(115)로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의 경우 상기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는 직선가이드(113)와 경사가이드(115)가 서로 분리 구성되고, 직선형 평면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는 도 8 또는 도 9와 같이, 직선가이드(1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사가이드(115)는 곡면경사가이드(115a, 도 8 참조), 평면경사가이드(115b, 도 9 참조)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곡면경사가이드(115a)는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나선형 곡면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또한,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를 형성하는 상기 직선가이드(113)와 경사가이드(115)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들은 한 쌍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저의 이동 방향으로 따르는 선을 중심으로 선대칭을 이루도록 다수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투입부측벽(111) 측으로 갈수록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의 높이를 낮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 숟가락 머리부의 투입부측벽(111) 측으로의 이동이 방해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투입부(100)는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투입된 수저가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 상부면에서 미끄럼 이동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렬부(200)는 정렬부받침판(201)과, 상기 정렬부받침판(201)의 양측에 설치되는 정렬부측벽(211)과, 투입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숟가락은 머리부분이 하 방향으로 가도록 낙하시키고, 젓가락은 손잡이 부분이 하 방향으로 가도록 낙하시키는 정렬가이드(220);와, 정렬부(200)의 상부를 덮는 정렬부상판(20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렬부받침판(201)은 투입부(100)의 투입부받침판(101)의 하단부와 상단부가 연결되며 투입부받침판(101) 보다 더 급한 하 방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정렬부측벽(211)은 상기 정렬부받침판(201)의 양측에서 정렬부받침판(201)의 면에 대하여 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정렬부받침판(201)의 또한 이동되는 숟가락의 머리부를 분리배출부(300) 측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하부의 일정 영역이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역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측에는 하부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평탄면 형 또는 곡면 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정렬부경사벽(2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의 정렬부받침판(201), 정렬부측벽(211)은 수저를 일정한 방향으로 유도하여 이동시키는 통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정렬가이드(220)는, 상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첨단부(221)를 형성하고, 첨단부(221)의 하부는 측면부를 이루며 하부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벌어지는 한 쌍의 정렬가이드경사벽(223)으로 구성되어, 상기 서로 연결된 상단부의 첨단부(221)가 상기 정렬부받침판(201)의 투입부(100) 측의 상부면 중심에 위치되도록 장착된다.
상기 정렬가이드경사벽(223) 또한 평면 또는 곡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배출부(300)는, 상기 정렬부(200)에서 배출된 수저를 배출하도록 상기 젓가락의 최대폭의 간격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되어 젓가락을 배출하는 배출그리드(310)가 형성된 분리부받침판(301)과, 상기 분리부받침판(301)의 양측을 차폐하여 숟가락의 이동 통로를 형성하는 한 쌍의 분리부측벽(3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출그리드(310)를 형성하는 그리드들은 단면 형상이 상부에 꼭지점이 위치하는 삼각형(△), 또는 원형(○), 또는 상부면이 볼록한 반원형(
Figure pat00001
) 등으로 젓가락이 용이하게 삽입된 후 배출될 수 있도록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구성 중 상기 분리배출부(300)는 정렬부(200)와 동일한 방향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수직선을 중심으로 정렬부(200) 측이 음의 기울기의 경사를 가지는 경우 분리배출부(300)는 양의 기울기의 경사를 가지도록, 또는 그와는 반대로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부받침판(301)은 정렬부(200)가 수직선(도면 기준)을 중심으로 일 측이 음의 기울기의 경사를 가지는 경우 타 측은 양의 기울기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분리부받침판(301)은 정렬부경사벽(213)의 저면까지 연장 형성된 후 수직선(도면 기준) 선상에서 정렬부(200)의 경사방향과 역방향의 경사를 가지도록 장착되는 것에 의해, 분리된 후 일 방향으로 정렬된 숟가락과 젓가락의 이동 방향이 변경됨은 물론 낙하 속도를 저감시키게 되어 분리배출부에서의 숟가락(10)과 젓가락(20)의 분리를 용이하게 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수저분리장치(1)의 수저분리과정을 나타내는 수저분리장치(1)의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보조정렬브라켓(440)을 나타내는 컨베이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보조정렬브라켓(440)에 의해 숟가락(또는, 젓가락)들이 가로정렬브라켓(430)의 사이로 삽입되어 정렬된 상태를 나타내는 컨베이어의 개략적인 측단면도로서,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수저분리장치(1)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가 필요한 수저는 투입부(100)에서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선에 대하여 일정 각도 이상의 각도를 가지는 가로 방향으로 투입된다.
이를 위해, 상기 수저분리장치(1)는 수저를 저장하여 배출하는 호퍼와, 호퍼로부터 배출된 수저를 일정 기울기 이상을 가지는 가로 방향으로 정렬하여 투입부(100)로 투입하는 가로정렬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정렬부(400)는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정렬부측벽(411)의 사이에 배치되는 컨베이어벨트(42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421)의 면에서 상기 수저의 가로 방향 최대 폭 이상의 폭을 가지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421)의 가로로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정렬브라켓(430);을 구비한 컨베이어(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로정렬부(400)는 또한 도 6 및 도 7과 같이 가로정렬브라켓(430)의 상부에 걸쳐진 숟가락(10)(또는 젓가락)을 가로정렬브라켓(430)의 사이로 강제로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 수저의 가로 정렬을 강제하도록 컨베이어(420)의 상부에 보조정렬브라켓(440)이 장착된다. 상기 보조정렬브라켓(440)은 고무판, 브러시, 천, 플라스틱 등의 탄성 변형이 가능한 다양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상기 가로정렬부(400)는 가로정렬브라켓(430)이 투입되는 숟가락 또는 젓가락을 일정 기울기 이상을 가지는 가로 방향으로 정렬한 후 순차적으로 하나 씩 투입부(100)로 투입하게 된다. 이때 보조정렬브라켓(440)은 수저가 가로정렬브라켓(430)의 상부에 걸쳐져 가로로 정렬되지 않은 경우, 가로정렬브라켓(430)의 상부에 걸쳐진 수저의 이동을 방해하여 수저가 가로정렬브라켓(430)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수저의 가로 정렬을 보장한다.
가로정렬부(400)에 의해 투입된 숟가락(10)과 젓가락(20)은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의 상부면에 걸쳐진 후 투입부(100)의 경사에 의해 하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된다.
이때, 상기 숟가락(10)의 머리부는 직선가이드(113)와 경사가이드(115)의 걸쳐짐으로써 우측 또는 좌측의 투입부측벽(111) 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숟가락(10)과 젓가락(20)의 무게중심이 이동 방향의 중심선 상에서 일 측으로 치우쳐진 상태로 정렬부(200) 측으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젓가락(20)은 투입부측벽(111)에 의해 일정 가로 영역 범위 내에서 가로방향으로 투입됨으로써 항상 손잡이부 측으로 무게 중심이 치우쳐진 상태로 정렬부(200)로 배출된다.
도 5에서 투입부받침판(101)의 상부면에 격자상으로 형성된 돌기(102)는 원호 형상으로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 상에서 이동되는 수저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높이를 가지고 형성되어, 수저가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 상부면에 위치되지 않은 경우 수저를 들뜨게 하여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 상부로 올리거나, 가로로 배열되지 않은 수저를 가로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수저의 가로 방향 정렬 및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의 상부면에 안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돌기(102)들은 실시자에 의해 돌기(102)들을 형성하지 않거나 형성할 수 있는 선택적 구성이다.
투입부(100)에서 정렬부(200)로 배출된 숟가락은 정렬가이드(220)의 첨단부(221)에 걸리어지는데 이때, 무게 중심이 머리부(11)로 치우쳐진 상태가 되므로 머리부(11) 측이 하 방향이 되도록 회전된 후 머리 부분이 아래로 향하게 정렬되어 배출된다.
상기 투입부(100)에서 정렬부(200)로 배출된 젓가락(20)은 중심 부분이 첨단부(221)에 걸쳐지게 되며, 이 경우 손잡이부(21)가 항상 무겁게 되므로, 손잡이부(21)가 하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어 정렬가이드(220)를 타고 하 방향으로 낙하된다.
정렬가이드(220)에 의해 일 방향으로 정렬된 숟가락(10)과 젓가락(20)은 정렬부측벽(211)과 정렬부경사벽(213)에 의해 분리배출부(300)로 배출된다.
분리배출부(300)로 배출된 숟가락(10)은 배출그리드(310)의 면상을 미끄러짐으로써 분리배출부(300)로 타고 내려와 숟가락통(600)에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수납된다. 젓가락(20)의 경우에는 배출그리드(310)의 사이로 빠져서 젓가락통(700)에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수납된다.
도 10은 도 1의 분리배출부(300)의 변형 실시예의 분리가이드(311a)가 형성된 제2분리배출부(300)를 구비한 제2수저분리장치(2)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정렬부상판(202)을 제거한 제2수저분리장치(2)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2수저분리장치(2)는 배출그리드가 아닌 다수의 분리가이드(311a)로 구성되는 분리가이드부(310a)가 분리배출부(300)의 하단부에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10 내지 도 11의 경우 가로정렬부(400)를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2수저분리장치(2)에도 수저를 가로 방향으로 정렬하여 투입하는 가로정렬부(400)가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분리가이드(311a)는 젓가락(20)의 최대폭보다 큰 간격을 가지도 상기 수저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 이상으로 형성되어 젓가락(20)은 분리가이드(311a) 사이의 홈으로 배출된 후 젓가락통에 일 방향으로 정렬되어 수납되고, 숟가락(10)은 분리가이드(311a)의 상부면을 타고 젓가락(20)과 분리된 후 숟가락 통에 저장된다.
1: 수저분리장치 2: 제2수저분리장치
10: 숟가락 20: 젓가락
100: 투입부 101: 투입부받침판
110: 무게중심이동가이드 110a: 곡면무게중심가이드
110b: 평면무게중심가이드 111: 투입부측벽
113: 직선가이드 114: 상향경사턱
115: 경사가이드 115a: 곡면경사가이드
115b: 평면경사가이드
200: 정렬부 201: 정렬부받침판
211: 정렬부측벽 213: 정렬부경사벽
220: 정렬가이드 223: 정렬가이드경사벽
300: 분리배출부 301: 분리받침판
310: 배출그리드 311: 분리배출부측벽
400: 가로정렬부 411: 가로정렬부측벽
420: 컨베이어 421: 컨베이어벨트
430: 가로정렬브라켓 440: 보조정렬브라켓
600: 숟가락통 700: 젓가락통

Claims (14)

  1. 수저가 투입되는 투입부(100);와,
    중심부에 정렬가이드(220)가 설치되어 상기 투입부(100)로부터 배출되는 수저가 걸쳐진 후 한쪽 방향으로 낙하되도록 회전시켜 배출시키는 정렬부(200);와,
    상기 정렬부(200)에서 정렬되어 배출되는 수저를 숟가락과 젓가락으로 분리하여 배출하는 분리배출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투입부(100)는,
    숟가락의 머리부가 걸쳐져, 투입되는 수저를 수저의 진행에 따라 숟가락의 머리부를 투입부(100)의 투입부측벽(111) 측으로 이동시켜 숟가락의 무게중심이 일 측으로 치우치도록 하는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00)의 양측에 형성되는 투입부측벽(111)의 거리는 투입되는 젓가락(20)의 길이보다 큰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는,
    상기 수저의 이동 방향으로 배치되는 직선가이드(113);와,
    상기 직선가이드(113) 상에서 상기 투입부(100)의 투입부측벽(111) 측으로 굽어지도록 형성되는 경사가이드(1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115)는,
    곡면경사가이드(115a) 또는 평면경사가이드(115b)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경사가이드(115)의 상기 정렬부(200) 측의 단부와 상기 투입부(100)의 투입부측벽(111) 사이의 거리는 투입되는 숫가락의 머리부의 장폭보다 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직선가이드(113)와 상기 경사가이드(115)의 연결부위는 상기 경사가이드(115)의 상부가 상기 직선가이드(113)의 상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되도록 완만하게 상향기울기를 가지는 상향경사턱(114)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무게중심이동가이드(110)는,
    상기 투입부(100)의 상부면에서 수저의 이동방향을 따라 직선가이드(113)와 경사가이드(115)가 상기 투입부(100)의 수저의 이동방향을 따르는 중심선을 중심으로 선대칭을 이루는 하나 이상의 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0)는,
    정렬부받침판(201);과,
    상기 정렬부받침판(201)의 양측에 설치되는 정렬부측벽(211);과,
    상단부는 서로 연결되어 첨단부(221)를 형성하고 하부는 사이 간격이 벌어지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정렬가이드경사벽(223)을 구비하여 상기 정렬부받침판(201)에 장착되는 정렬가이드(220);와,
    상기 한 쌍의 정렬부(200)의 상부를 덮는 정렬부상판(20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200)는,
    상기 숟가락의 머리부를 분리배출부(300) 측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 한 쌍의 정렬부측벽(211)의 하부로 갈수록 사이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평탄면 형 또는 곡면 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지는 한 쌍의 정렬부경사벽(21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배출부(300)는,
    상기 정렬부(200)에서 배출된 수저를 배출하는 분리부받침판(301) 상에 상기 젓가락의 최대폭의 간격을 가지도록 관통 형성되어 젓가락을 배출하는 배출그리드(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리배출부(300)는,
    상기 정렬부(200)에서 배출된 수저를 배출하는 분리부받침판(301) 상에 상기 젓가락의 최대폭보다 큰 간격을 가지도 상기 수저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한 쌍 이상의 분리가이드(311a);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컨베이어벨트(421);와,
    상기 컨베이어벨트(421)의 면에서 상기 수저의 가로 방향 최대 폭 이상의 폭을 가지도록 상기 컨베이어벨트(421)의 가로로 배치되는 다수의 가로정렬브라켓(430)을 구비한 컨베이어(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로정렬부(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가로정렬부(400)는,
    상기 가로정렬브라켓(430)의 상부면에 걸쳐진 수저를 상기 가로정렬브라켓(430)의 사이로 강제 이송시키도록 상기 컨베이어(420)의 상부 장착되는 보조정렬브라켓(4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100)를 형성하는 투입부받침판(101)의 상부면에는 다수의 돌기(102)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저분리장치.
KR20120072605A 2012-07-04 2012-07-04 수저분리장치 KR101506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2605A KR101506183B1 (ko) 2012-07-04 2012-07-04 수저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72605A KR101506183B1 (ko) 2012-07-04 2012-07-04 수저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985A true KR20140004985A (ko) 2014-01-14
KR101506183B1 KR101506183B1 (ko) 2015-04-07

Family

ID=50140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72605A KR101506183B1 (ko) 2012-07-04 2012-07-04 수저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1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60B1 (ko) * 2019-06-14 2019-08-27 강용현 수저 세척장치
KR102328623B1 (ko) * 2021-05-26 2021-11-19 김갑선 젓가락 선별기
CN114192422A (zh) * 2021-12-03 2022-03-18 邵阳先进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竹筷分选机下料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7000B1 (ko) * 2016-11-14 2018-07-10 임형용 치패 계수장치
KR102564816B1 (ko) * 2021-12-31 2023-08-08 주식회사 뽀득 수저 및 포크 선별 및 정렬시스템 및 이를 사용한 수저 및 포크 선별 및 정렬공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9422A (ja) * 1994-05-06 1995-11-14 Shinko Electric Co Ltd 長手状物品の選別供給装置
US6237779B1 (en) 2000-01-19 2001-05-29 Jay M. Boyer Utensil sorting apparatus
KR100585295B1 (ko) * 2004-12-30 2006-05-30 정사교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KR100904221B1 (ko) * 2007-08-17 2009-06-25 김진탁 수저분류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60B1 (ko) * 2019-06-14 2019-08-27 강용현 수저 세척장치
KR102328623B1 (ko) * 2021-05-26 2021-11-19 김갑선 젓가락 선별기
CN114192422A (zh) * 2021-12-03 2022-03-18 邵阳先进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竹筷分选机下料斗
CN114192422B (zh) * 2021-12-03 2023-02-03 邵阳先进制造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竹筷分选机下料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183B1 (ko)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4985A (ko) 수저분리장치
US7861883B2 (en) Article baskets for a dishwasher
KR100904221B1 (ko) 수저분류장치
CN105457896A (zh) 一种硬币分级机
JP2012528479A (ja) 複数の平坦基板の積み重ね、または輸送装置および方法
CN105984603B (zh) 多支棒状物料理料机
KR100585295B1 (ko) 자동 식사도구 분리장치
CN203828512U (zh) 一种一次性餐具自动分发盒
CN213963270U (zh) 自动清洗机
KR101226464B1 (ko) 식사도구 자동세척분리장치
KR102393959B1 (ko) 농산물 자동 포장 기계
CN210793762U (zh) 薯片前送自动分列装置
JP4727605B2 (ja) 食器の洗浄方法
KR20070116780A (ko) 식기세척기내에 날붙이류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US3675770A (en) Silverware sorting means
CN211282920U (zh) 自动分杯器
KR101606446B1 (ko) 숟가락 및 젓가락 분류기
JP6923424B2 (ja) 食器整理装置および食器の整理方法
CN220002930U (zh) 一种麻将机承牌机构
CN217185450U (zh) 一种餐具取用器的料仓
CN111392109A (zh) 片状物料自动分离入托机构
TWM513661U (zh) 蛋液分離器
CN213377926U (zh) 一种顺头机
CN109692755B (zh) 一种金属空心筷子分拣装置
JP2007308268A (ja) コップ回収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