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313B1 - 스크류잭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류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313B1
KR101605313B1 KR1020150140586A KR20150140586A KR101605313B1 KR 101605313 B1 KR101605313 B1 KR 101605313B1 KR 1020150140586 A KR1020150140586 A KR 1020150140586A KR 20150140586 A KR20150140586 A KR 20150140586A KR 101605313 B1 KR101605313 B1 KR 101605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s
platform
screw
screw jack
heavy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에스티
Priority to KR102015014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1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 B66F7/1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 B66F7/14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directly by jacks by mechanical jacks screw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의 승강 동작시 각 모서리부위에 배치된 복수의 스크류축이 동시에 회전 동작되면서 중량물이 안착된 승강대를 안정적으로 승강 동작시켜 중량물의 무게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정전 시에도 작업자의 수동 회전력으로 중량물의 승강동작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승강 동작 중에 중량물의 유동을 억제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크류잭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잭장치는, 외부 전원 또는 수동 회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100)와; 상기 구동모터(100)의 구동력을 좌,우 양측으로 전달하는 감속기(150)와; 상기 감속기(150)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어 감속기(150)와 연동 회전되는 제1,2구동축(210,220)과; 상기 제1,2구동축(210,22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전,후 양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차동부재(300)와, 상기 차동부재(300)의 전,후 양방향으로 구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제1,2,3,4연동축(410,420,430,440)과; 상기 제1,2,3,4연동축(410,420,430,440)에 각각 치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과; 상기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에 관통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의 회전시 승강동작되는 승강대(600); 및 상기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700);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대(600)는 내측에 종방향 프레임(620)과 횡방향 프레임(630)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고 상,하부가 개구된 사각 프레임(610)과, 상기 사각 프레임(610)의 각 모서리 부위 내측과 외측에 결합되는 내,외측 보강패널(810,820) 및 상기 사각 프레임(610)의 모서리 부위 상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모서리부위의 양변을 연결하는 상,하측 보강판(830,8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류잭장치{SCREW JACK APPARATUS}
본 발명은 스크류잭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량물의 승강 동작시 각 모서리부위에 배치된 복수의 스크류축이 동시에 회전 동작되면서 중량물이 안착된 승강대를 안정적으로 승강 동작시켜 중량물의 무게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정전 시에도 작업자의 수동 회전력으로 중량물의 승강동작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승강 동작 중에 중량물의 유동을 억제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크류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류잭은 구동모터의 회전운동을 스크류축을 이용하여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장치로써 나사산에 의해 큰 토크를 얻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기존 공압 실린더 또는 윈치 방식의 소형 리프트는 고비용 또는 흔들림 현상이 발생될 수 있어서 중량물(100kg이상)일 경우에는 이러한 단점이 확연히 드러난다. 공기압력 제어방식(에어 바란스)으로서는 점진적인 무게변화가 아닌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급격한 무게변화에는 대응에 한계가 있어서 출렁거리는 현상이 생겨 작업물과 주변장치와의 충돌 위험과 위치 제어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작업물 중량과 비례하여 공압 실린더 용량 또는 윈치 모터 용량을 크게 해 주어야 하므로 비용 증대 요인이 된다.
종래 스크류잭에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8013호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스크류잭"(등록일자 : 2005.10.04)에 개시된 바와 같이, 외측면에 다수개의 보강살이 형성된 상부결합관과, 상기 상부결합관의 외측면에 긴밀하게 결합되며 판체로 이루어진 상부받침부로 구성되는 상부잭과: 상기 상부결합관의 하부와 일체로 결합되는 하부결합관과: 상기 하부결합관의 하부가 결합됨과 동시에 측면에 결합공이 형성된 슈트판과; 상기 슈트판의 외측면에 긴밀하게 결합되며, 판체로 이루어진 하부받침부로 구성되는 하부잭과; 상기 하부결합관의 결합공과 상기 슈트판의 결합공간을 관통 삽입하여 체결시키는 강봉으로 구성되는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스크류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관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포크가 형성되고, 상기 포크의 측면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포크의 외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슈트판에는 하부결합관의 포크가 삽입됨과 동시에 좌우에서 고정 지지하도록 적어도 3개 이상이 형성된 지지부로 구성된 것이다.
기존 스크류잭과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74482호 "스크류잭 방식의 4-방향 모션 베이스 장치"(등록일자 : 2013.06.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이스 및 하부 베이스와; 상기 상부 베이스와 하부 베이스 사이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베이스의 양단부에 서로 대각방향으로 위치되며, 상기 하부 베이스에 장착되고 평행링크의 하단이 장착 고정되는 하부 브라켓과, 모터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 운동을 전개하는 스크류와, 4개의 링크가 제1 내지 제4 연결바에 의해 링크되어 평행사변형 꼴을 이루며 제1 내지 제4 연결바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크류와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전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하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하 왕복 운동을 전개하는 평행링크와, 상기 평행링크의 상단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베이스와 연결되는 상부 브라켓을 포함하는 제1 및 제2 구동체와; 상기 제1 및 제2 구동체 사이의 중심에서 상기 하부 베이스에 장착되어 위치되며, 제1 내지 제2 구동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상하운동에 연동되고 상기 상부 베이스의 하부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상부 베이스의 무게중심에 따라 좌우 및 전후로 운동되는 유니버셜조인트를 갖는 구동보조체;를 포함한 것이다.
종래 스크류잭은 통상적으로 스크류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중량물을 승강시키고 있으나, 중량물을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중량 부하가 작용되는 면적이 좁아서 중량물의 중량 제한이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물의 승강 중에 유동이 발생할 경우 중량물이 승강대로부터 낙하되어 중량물을 파손시키거나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는 승강대 상에 안착된 중량물을 승강대측으로 인출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정전시에는 구동모터가 정지됨에 따라 승강동작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8013호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물용 스크류잭"(등록일자 : 2005.10.04)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74482호 "스크류잭 방식의 4-방향 모션 베이스 장치"(등록일자 : 2013.06.07)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중량물의 승강 동작시 각 모서리부위에 배치된 복수의 스크류축이 동시에 회전 동작되면서 중량물이 안착된 승강대를 안정적으로 승강 동작시켜 중량물의 무게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승강 동작 중에 중량물의 유동을 억제시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크류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전 시에도 수동 회전력을 이용하여 중량물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스크류잭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전원 또는 수동 회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좌,우 양측으로 전달하는 감속기와, 상기 감속기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어 감속기와 연동 회전되는 제1,2구동축과, 상기 제1,2구동축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전,후 양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차동부재와, 상기 차동부재의 전,후 양방향으로 구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제1,2,3,4연동축과, 상기 제1,2,3,4연동축에 각각 치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제1,2,3,4스크류축과, 상기 제1,2,3,4스크류축에 관통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제1,2,3,4스크류축의 회전시 승강동작되는 승강대와, 상기 제1,2,3,4스크류축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대는 내측에 종방향 프레임과 횡방향 프레임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고 상,하부가 개구된 사각 프레임과, 상기 사각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위 내측과 외측에 결합되는 내,외측 보강패널과, 상기 사각 프레임의 모서리 부위 상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모서리부위의 양변을 연결하는 상,하측 보강판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1,2,3,4연동축들 중 하나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수를 계측하여 상기 제1,2,3,4스크류축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를 더 구비한다.
상기 승강대는 상측면에 X축과 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측면에 안착되는 중량물의 외측 부위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중량물 유동방지수단을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중량물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승강대의 상측면에 X축과 Y축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레일홈부와, 하부에 상기 레일홈부 내에서 구름 운동되는 바퀴가 설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중량물의 하부 외측 부위에 밀착 가능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동작시 단부가 승강대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지지구를 갖는 복수의 유동방지판으로 구성된다.
상기 중량물 유동방지수단은 상기 복수의 유동방지판들 중 하나의 타측면에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중량물을 상기 승강대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출실린더를 더 구비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당김 및 당김 해제동작시 모터축의 외주면을 감싸는 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클러치부와 연결되고 모터 하우징의 상측으로 마련된 조절레버와, 상기 모터축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수동핸들을 더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동 회전력 또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승강대의 4각 모서리 부위에서 제1,2,3,4스크류축의 회전 동작에 따라 승강대가 상,하 승강동작되고, 승강대의 승강동작에 따라 승강대에 안착된 중량물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안정적인 중량물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대의 승강동작 중에 중량물 유동방지수단의 유동방지판을 이용하여 승강대 상에 안착된 중량물의 외측 부위를 지지함으로써, 중량물의 승강동작중에 중량물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강대 및 지지대의 사각 모서리 부위에 내,외측 보강패널과 상,하 보강판을 결합시켜 제1,2,3,4스크류축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잭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스크류잭장치의 구동력 전달 경로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승강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 승강대의 보강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구동모터의 수동 구동방식을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잭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변형 예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잭장치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외부 전원 또는 수동 회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100)와, 상기 구동모터(100)의 구동력을 좌,우 양측으로 전달하는 감속기(150)와, 상기 감속기(150)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어 감속기(150)와 연동 회전되는 제1,2구동축(210,220)과, 상기 제1,2구동축(210,22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전,후 양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차동부재(300)와, 상기 차동부재(300)의 전,후 양방향으로 구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제1,2,3,4연동축(410,420,430,440)과, 상기 제1,2,3,4연동축(410,420,430,440)에 각각 치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과, 상기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에 관통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의 회전시 승강동작되는 승강대(600)와, 상기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700)로 구성된 것이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2구동축(210,220)은 중간에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된 커플러(50)를 매개로 연동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2,3,4연동축(410,420,430,440)도 각각의 중간에 바닥면으로 일정 높이 지지된 커플러(50)가 마련되어 길이가 긴 경우 축의 처짐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승강대(600)와 지지대(700)는 사각형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고 각각의 모서리부위에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이 관통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중 승강대(600)는 내측에 종방향 프레임(620)과 횡방향 프레임(630)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고 상,하부가 개구된 사각 프레임(610)과, 상기 사각 프레임(610)의 각 모서리 부위 내측과 외측에 결합되는 내,외측 보강패널(810,820)과, 상기 사각 프레임(610)의 모서리 부위 상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모서리부위의 양변을 연결하는 상,하측 보강판(830,840)으로 구성된다.
내,외측 보강패널(810,820)은 사각 프레임(610)의 모서리 부위와 대응되도록 "ㄱ" 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하측 보강판(830,840)은 모서리 부위의 양변을 연결하도록 모서리의 양변에 대해 중간 부위가 사선 형태로 형성되고 양단부가 양변부위의 상,하측에 대응되도록 꺾여지는 구조로 된 것이다.
즉, 승강대(600)는 사각 프레임(610)의 내측면에 복수의 종방향 프레임(620)이 일체로 결합되고, 종방향 프레임(620)들 사이 및 종방향 프레임(620)과 사각 프레임(610)의 내측면에 횡방향 프레임(630)이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로 인해 승강대(600)의 종방향 프레임(620)과 횡방향 프레임(630)이 교차하는 중앙 부위 상측에 중량물(P)이 안착되어 승강대(600)의 승강동작시 중량물(P)을 리프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승강대(600)는 사각 프레임(610)의 모서리 부위가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에 관통 및 나사 체결방식으로 체결되어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의 일방향 회전시 상승동작되고 타방향 회전시 하강동작되는 구조를 갖는다.
미 설명부호 "550"은 리미트 캠기어박스를 나타낸 것으로, 리미트가 구비된 캠기어박스로서, 승강대(600)의 조립 영점 조정 및 승강대(600)의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것이다.
지지대(700)는 중앙이 상,하부가 개구되도록 천공된 사각형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며, 모서리 부위에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이 관통되고 베어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 구조를 갖는다.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은 하단부가 제1,2,3,4연동축(410,420, 430,440)의 단부와 각각 직교하는 방향으로 치차 결합되어 연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3,4연동축(410,420,430,440)들 중 하나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수를 계측하여 상기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450)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제2연동축(420)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엔코더(450)는 동일 속도로 회전되는 제1,2,3,4연동축(410,420,430,44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도면에 미도시된 컨트롤러에 전달함으로써, 컨트롤러에서 구동모터(1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승강대(600)의 승강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구동모터(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정전시에도 수동 회전력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당김 및 당김 해제동작시 모터축(105)의 외주면을 감싸는 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클러치부(180)와 연결되고 모터 하우징(120)의 상측으로 마련된 조절레버(130)와, 상기 모터축(105)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수동핸들(17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조절레버(130)는 당김동작시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모터축(105)이 회전 가능하게 되고, 이와 반대로 당김동작을 해제할 경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동작되어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모터축(105)의 회전을 억제하게 된다.
수동핸들(170)은 모터 하우징(120)의 외측으로 돌출된 모터축(105)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조절레버(130)을 당기면서 회전시킬 수 있으며, 회전시 회전력이 모터축(105)에 전달되는 연결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구동모터(100)는 작업자의 수동 회전력 또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어 그 구동력을 웜 감속기(150)를 거쳐 제1,2구동축(210,220)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제1,2구동축(210,220)은 감속기(150)로부터 출력되는 구동력에 의해 같이 회전 구동되어 차동부재(300)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차동부재(300)에서 제1,2구동축(210,220)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전,후방향의 제1,2,3,4연동축(410,420,430,440)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어서, 제1,2,3,4연동축(410,420,430,440)은 차동부재(300)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전달됨에 따라 연동 회전되어 각각의 단부가 치합된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은 상기 제1,2,3,4연동축(410,420,430,4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승강대(600)를 승강동작시키게 된다.
이때 승강대(600)의 승강동작시 승강대(600)의 종방향 프레임(620)과 횡방향 프레임(630) 상에 안착된 중량물(P)이 같이 승강동작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 스크류잭장치는 지지대(700)의 하측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이 지중에 매립된 경우, 지중에서 승강대(600)가 상승동작되어 지상으로 중량물(P)을 이동시킨 후에, 별도의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를 이용하여 승강대(600)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전 등의 상황에서는 조절레버(130)를 당겨서 클러치부(180)와 연결된 브레이크의 연결상태를 해제시킨 후에 수동핸들(170)을 회전시켜 모터축(105)을 회전시키면, 모터축(105)의 회전력이 감속기(150)에 전달되면서 앞서 설명한 회전 구동력 이동 경로를 따라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을 수동 회전력으로 회전시켜 승강대(600)를 승강운동시킬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의 구성요소외에 상기 승강대(600)에 상측면에 X축과 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측면에 안착되는 중량물(P)의 외측 부위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중량물 유동방지수단(900)을 더 구비된 것이다.
상기 중량물 유동방지수단(900)은 상기 승강대(600)의 상측면에 X축과 Y축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레일홈부(910)와, 하부에 상기 레일홈부(910) 내에서 구름 운동되는 바퀴(922)가 설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중량물(P)의 하부 외측 부위에 밀착 가능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동작시 단부가 승강대(600)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지지구(925)를 갖는 복수의 유동방지판(920)으로 구성된다.
복수의 유동방지판(920)은 레일홈부(910)의 X,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부에 레일홈부(910) 내에서 구름 운동 가능한 바퀴(922)가 설치되고 외측면에 해당하는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단부가 레일홈부(910)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지지구(925)가 마련된다.
지지구(925)는 일단부가 유동방지판(920)의 외측(타측)면에 힌지로 핀 연결되는 핀 몸체와, 타단부에 일단부의 핀 몸체보다 직경이 큰 마찰면을 갖는 마찰부재가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구(925)는 레일홈부(910)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경우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핀 몸체를 들어 올림으로써, 마찰부재와 승강대(600)의 상면과의 접촉상태를 해제한 후에 유동방지판(92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 중량 유동방지수단(900)은 유동방지판(920)들의 일측면이 중량물(P)의 각 외측 부위에 밀착된 상태로 각각 유동방지판(920)의 지지구(925)를 하측으로 내려서 지지구(925)의 마찰부재가 승강대(600)의 상측면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지지구(925)가 유동방지판(920)과 승강대(600)의 상측면에 대해 경사진 각도로 배치되어 유동방지판(920)의 외측 유동을 억제하여 중량물(P)을 외측에서 지지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중량물 유동방지수단(900)은 상기 복수의 유동방지판(920)들 중 하나의 타측면에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중량물(P)을 상기 승강대(600)의 외측으로 밀어서 승강대(6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출실린더(950)를 더 구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인출실린더(950)는 X축 방향 및 Y축 방향 이동을 위한 유동방지판(920)에 각각 하나씩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출실린더(950)의 로드의 전진동작시 유동방지판(920)이 X축 또는 Y축 방향으로 전진 동작되면서 중량물(P)을 밀어서 승강대(600)의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인출실린더(950)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채용할 수 있다.
이때, 인출실린더(950)가 부착되지 않은 유동방지판(920)은 지지구(925)를 들어 올린 후에 레일홈부(910)의 외측으로 인출시켜 중량물(P)의 이동시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변형 예는 승강대(600)에 안착된 중량물(P)의 승강 동작중에 적당한 높이에서 인출실린더(950) 중 하나를 동작시켜, 동작된 인출실린더(950)의 로드에 연결된 유동방지판(920)을 외측으로 밀어서 중량물(P)을 반대편인 승강대(600)의 외측으로 인출시킴으로써, 별도의 크레인 등의 인양장비의 도움없이 중량물(P)을 승강대(600)의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동 회전력 또는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100)의 회전력이 승강대(600)의 4각 모서리 부위에서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의 회전 동작에 따라 승강대(600)가 상,하 승강동작되고, 승강대(600)의 승강동작에 따라 승강대(600)에 안착된 중량물(P)을 승강시킬 수 있게 되므로, 안정적인 중량물(P)의 승하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대(600)의 승강동작 중에 중량물 유동방지수단(900)의 유동방지판(920)을 이용하여 승강대(600) 상에 안착된 중량물(P)의 외측 부위를 지지함으로써, 중량물(P)의 승강동작중에 중량물(P)의 유동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강대(600) 및 지지대(700)의 사각 모서리 부위에 내,외측 보강패널(810,820)과 상,하 보강판을 결합시켜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대해 충분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50 : 커플러 100 : 구동모터
105 : 모터축 120 : 모터 하우징
130 : 조절레버 150 : 감속기
170 : 수동핸들 180 : 클러치부
210,220 : 제1,2구동축 300 : 차동부재
410,420,430,440 : 제1,2,3,4연동축
450 : 엔코더 510,520,530,540 : 제1,2,3,4스크류축
550 : 리미트 캠기어박스 600 : 승강대
610 : 사각 프레임 620 : 종방향 프레임
630 : 횡방향 프레임 700 : 지지대
810,820 : 내,외측 보강패널 830,840 : 상,하측 보강판
900 : 중량물 유동방지수단 910 : 레일홈부
920 : 유동방지판 922 : 바퀴
925 : 지지구 950 : 인출실린더
P : 중량물

Claims (7)

  1. 외부 전원 또는 수동 회전력이 인가됨에 따라 구동되는 구동모터(100)와;
    상기 구동모터(100)의 구동력을 좌,우 양측으로 전달하는 감속기(150)와;
    상기 감속기(150)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어 감속기(150)와 연동 회전되는 제1,2구동축(210,220)과;
    상기 제1,2구동축(210,22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전,후 양측으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차동부재(300)와,
    상기 차동부재(300)의 전,후 양방향으로 구동력을 각각 전달하는 제1,2,3,4연동축(410,420,430,440)과;
    상기 제1,2,3,4연동축(410,420,430,440)에 각각 치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과;
    상기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에 관통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의 회전시 승강동작되는 승강대(600); 및
    상기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대(700);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대(600)는 내측에 종방향 프레임(620)과 횡방향 프레임(630)이 서로 교차하도록 결합되고 상,하부가 개구된 사각 프레임(610)과, 상기 사각 프레임(610)의 각 모서리 부위 내측과 외측에 결합되는 내,외측 보강패널(810,820) 및 상기 사각 프레임(610)의 모서리 부위 상측과 하측에 결합되어 모서리부위의 양변을 연결하는 상,하측 보강판(830,8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구동축(210,220) 및 제1,2,3,4연동축(410,420,430,440)의 각각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커플러(5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2,3,4연동축(410,420,430,440)들 중 하나의 단부에 연결되어 회전수를 계측하여 상기 제1,2,3,4스크류축(510,520,530,540)의 회전속도를 검출하는 엔코더(4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600)는 상측면에 X축과 Y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측면에 안착되는 중량물(P)의 외측 부위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중량물 유동방지수단(90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유동방지수단(900)은 상기 승강대(600)의 상측면에 X축과 Y축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형성되는 레일홈부(910)와,
    하부에 상기 레일홈부(910) 내에서 구름 운동되는 바퀴(922)가 설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중량물(P)의 하부 외측 부위에 밀착 가능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며 타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회전동작시 단부가 승강대(600)의 상측면에 접촉되는 지지구(925)를 갖는 복수의 유동방지판(9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량물 유동방지수단(900)은 상기 복수의 유동방지판(920)들 중 하나의 타측면에 로드와 연결되어 상기 중량물(P)을 상기 승강대(600)의 외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인출실린더(9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100)는 당김 및 당김 해제동작시 모터축(105)의 외주면을 감싸는 브레이크를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클러치부(180)와 연결되고 모터 하우징(120)의 상측으로 마련된 조절레버(130)와,
    상기 모터축(105)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 하우징(120)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수동핸들(17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류잭장치.
KR1020150140586A 2015-10-06 2015-10-06 스크류잭장치 KR101605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86A KR101605313B1 (ko) 2015-10-06 2015-10-06 스크류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0586A KR101605313B1 (ko) 2015-10-06 2015-10-06 스크류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313B1 true KR101605313B1 (ko) 2016-03-22

Family

ID=55644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0586A KR101605313B1 (ko) 2015-10-06 2015-10-06 스크류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3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49A (ko) * 2019-06-28 2021-01-06 (주)서연오토비전 금형 이송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49A (ko) * 2019-06-28 2021-01-06 (주)서연오토비전 금형 이송 장치
KR102331520B1 (ko) * 2019-06-28 2021-11-29 (주)서연오토비전 금형 이송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1805B2 (en) Attachable frame for lifting and moving a container
US11214469B2 (en) Lifting devices
US9296596B2 (en) Hybrid wedge jack/scissor lift lift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1506634B1 (ko) 정밀설비물류용 리프트크레인
US3771666A (en) Load grab mechanism having separable rotatable grab arms
KR20140086385A (ko) 선박용 모터의 커플링 조립장치
KR200482680Y1 (ko) 배관용 리프터
KR101605313B1 (ko) 스크류잭장치
CN206999277U (zh) 一种墙板翻转装置
CN109623348B (zh) 一种变速器装配生产线
CN205011310U (zh) 一种链斗式卸船机链斗更换辅助设备
KR101223962B1 (ko) 시저타입 리프트
CN105084224B (zh) 一种臂式起吊机
EP2636631A1 (en) Lifting device and method for lifting products
WO2023184882A1 (zh) 物料提升装置
CN215439471U (zh) 一种高压电缆接头的安装施工装置
CN108100966B (zh) 预制舱底座翻转工装
GB2274440A (en) A moveable,load supporting apparatus
JP2010254197A (ja) リフト機能付きキャスター装置
CN113697691B (zh) 一种可调节自行走液压吊车
CN112477734B (zh) 一种施工管道移动装置
CN205367008U (zh) 一种升降式往复自动翻板机
CN107777602A (zh) 一种起重运输机械及其作业方法
CN220596849U (zh) 核电厂小重量移动式吊装机器人
CN219098480U (zh) 吊具及起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