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3962B1 - 시저타입 리프트 - Google Patents

시저타입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3962B1
KR101223962B1 KR1020120099491A KR20120099491A KR101223962B1 KR 101223962 B1 KR101223962 B1 KR 101223962B1 KR 1020120099491 A KR1020120099491 A KR 1020120099491A KR 20120099491 A KR20120099491 A KR 20120099491A KR 101223962 B1 KR101223962 B1 KR 1012239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axle
platform
circumferential surface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9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이엔씨
Priority to KR1020120099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39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39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39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08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 B66F3/1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screw operated with telescopic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66Multiple scissor linkages vertic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아암이 베이스 및 승강대 사이에서 X자로 교차된 시저타입 리프트에서 교차된 중심과 일치되게 상기 베이스 및 승강대에 힌지를 마련하여 링크로써 상기 아암들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두개의 아암이 교차된 중심에서 양쪽으로 균등하게 벌어지므로 종래 아암이 한쪽 고정인 상태에서 외팔보 형식으로 벌어질 때보다 교차 중심에서의 무게중심이 안정되고, 특히 교차된 중심에는 다단 스크류가 설치되어 리드스크류 방식으로 리프트를 승강시키므로 구조가 간단한 시저타입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의 상부에 중량물을 받쳐주는 승강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와 승강대의 사이에는 X자로 교차되는 한쌍의 아암이 구비되며, 상기 아암들은 X자로 교차된 중심에 아암힌지가 구비되어 가위처럼 벌어지며, 상기 아암들은 상,하단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승강대의 밑면 및 베이스의 윗면에 놓이고, 상기 승강대의 밑면 중심 및 상기 베이스의 윗면 중심에는 승강대힌지 및 베이스힌지로 연결된 한쌍의 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들의 자유단들은 상기 아암과 링크힌지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승강대힌지와 베이스힌지를 연결하는 수직선상에 상기 아암힌지가 놓이도록 한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시저타입 리프트{The scissor type lift}
본 발명은 시저타입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두개의 아암이 베이스 및 승강대 사이에서 X자로 교차된 시저타입 리프트에서 교차된 중심과 일치되게 상기 베이스 및 승강대에 힌지를 마련하여 링크로써 상기 아암들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두개의 아암이 교차된 중심에서 양쪽으로 균등하게 벌어지므로 종래 아암이 한쪽 고정인 상태에서 외팔보 형식으로 벌어질 때보다 무게중심이 안정되고, 특히 교차된 중심에는 다단 스크류가 설치되어 리드스크류 방식으로 리프트를 승강시키므로 구조가 간단한 시저타입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량물을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리프트(lift)는 두개의 아암이 바닥의 베이스와 물건을 올려놓는 승강대 사이에서 X자 형태로 교차된 방식이다. 각 아암의 한쪽은 베이스 및 승강대에 힌지로 연결되고 반대쪽 자유단은 이동바퀴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대를 유압식 또는 나사식 구동수단으로 들어올리면 X자 아암이 세워진다. 상기 승강대가 높이 올라갈수록 상기 X자의 폭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상기 힌지 쪽으로 모이는 외팔보의 형태가 된다. 이때 X자로 교차된 상기 아암의 교차된 중심은 상기 힌지 쪽으로 근접되기 때문에 상기 승강대의 무게중심에서 벗어나게 된다.
리프트는 상기 아암의 교차된 중심과 승강대의 무게중심이 일치되어야 중량물을 안정되게 들어올릴 수 있으나, 종래 리프트는 외팔보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승강대는 높이에 따라 아암의 교차된 중심이 달라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승강대에 중량물을 올려놓을 때 상기 아암의 교차된 중심 위치를 고려해야되는 등의 기술적인 단점이 있었다.
또한 리프트는 주로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유압실린더는 고하중의 출력을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유지 및 보수에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구비해야할 요소들이 많은데, 유압유를 토출시키는 유압 유니트와 실린더, 속도제어 및 압력을 조절하는 밸브 등과 유압호스 및 각종 연결구, 그리고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유압작동유가 있다. 또한 장기적인 사용시 유압실린더의 누유가 일어나는 등 많은 관리가 필요한 장비이다. 따라서 고청결이 요구되는 반도체 및 크린룸 공정에는 누유에 의한 유증기 분출이 심각한 불량 원인이 되기 때문에 적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유압실린더를 대체 할 수 있는 나사식 스크류 장치를 체택하고 있으나 시중에 생산되는 스크류는 스크류와 너트를 단순하게 연결하는 1단 구조이어서 자체높이가 높은 반면, 리프트의 상승 높이(이송거리)는 적어서 장비 제작에 한계점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특허 제464620호 및 등록실용 제199262호에는 다단 스크류 방식의 이송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방식은 나사축을 단순하게 2단으로 구성하여 출몰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2단 이상으로 나사축을 증가시킬 수 없으며, 특히 겹쳐져서 높이가 낮았던 나사축들이 위쪽으로 전개되어 높이가 증가되면 1차축과 2차축의 경계부는 겹치는 부분이 감소되므로 휨 하중에 취약해 지는 등의 기술적인 문제가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 제241595호 및 실용공개 제1989-16328호 역시 다단 스크류 방식의 이송장치 이나, 이 방식들 역시 1차축과 2차축의 경계부는 겹치는 부분이 감소되어 휨 하중에 취약하고, 또한 1차축에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부를 직접 형성해야 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는 등의 기술적인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개의 아암이 베이스 및 승강대 사이에서 X자로 교차된 시저타입 리프트에서 교차된 중심과 일치되게 상기 베이스 및 승강대에 힌지를 마련하여 링크로써 상기 아암들과 연결함으로써, 상기 두개의 아암이 교차된 중심에서 양쪽으로 균등하게 벌어지므로 종래 아암이 한쪽 고정인 상태에서 외팔보 형식으로 벌어질 때보다 교차 중심에서의 무게중심이 안정되고, 특히 교차된 중심에는 다단 스크류가 설치되어 리드스크류 방식으로 리프트를 승강시키므로 구조가 간단한 시저타입 리프트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력을 전달하는 1차축은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부를 형성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고, 모터로 회전되는 기어박스에는 중공축을 마련하여 상기 1차축이 키 결합 방식으로 단순히 끼워지면 모터의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기어박스에 결합된 1차축의 돌출량이 감소되어 리프트를 낮게 제작할수 있으며, 또한 다수의 축들이 쉽게 분해되므로 교체 및 수리가 편리하고, 상기 축들은 내부에 보강 슬리브가 내장되어서 리프트의 작동시 휨 변형이 보완되고 수직정밀도가 향상되도록 한 시저타입 리프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의 상부에 중량물을 받쳐주는 승강대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와 승강대의 사이에는 X자로 교차되는 한쌍의 아암이 구비되며, 상기 아암들은 X자로 교차된 중심에 아암힌지가 구비되어 가위처럼 벌어지며, 상기 아암들은 상,하단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승강대의 밑면 및 베이스의 윗면에 놓이고, 상기 승강대의 밑면 중심 및 상기 베이스의 윗면 중심에는 승강대힌지 및 베이스힌지로 연결된 한쌍의 링크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들의 자유단들은 상기 아암과 링크힌지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승강대힌지와 베이스힌지를 연결하는 수직선상에 상기 아암힌지가 놓이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X자로 교차된 두개의 아암이 바닥의 베이스와 한쌍의 링크로 연결되고, 중량물이 놓이는 승강대와 두개의 아암이 링크로 각각 연결된다. 상기 두개의 아암이 교차된 중심과 상기 링크들이 연결된 중심은 수직으로 일치되고 각 아암의 상,하단은 이동바퀴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대가 승,하강되면 두개의 아암은 교차된 중심으로부터 양쪽으로 벌어지거나 또는 좁혀지기 때문에 상기 승강대의 무게중심이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량물을 상기 승강대의 중심부에 놓으면 안정되게 들어 올리 수 있다. 종래에는 두개의 아암이 외팔보의 형태로 승강대와 연결되기 때문에 승강대가 높게 올라가면 두개의 아암이 한쪽으로 편중되어 승강대가 전복될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바닥의 베이스를 단단히 고정시킨 상태에서만 사용이 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의 리프트는 승강대의 무게중심이 높이에 관계없이 항상 중앙에 놓이므로 베이스를 고정시킬 필요가 없으며, 베이스 밑에 바퀴를 부착시키면 중량물을 들어 올린 뒤 베이스를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리프트의 중심에는 다단 스크류가 장착되는데, 상기 다단 스크류는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중공상의 1차축, 상기 1차축에 끼워지는 중공상의 2차축 및 상기 2차축에 끼워지는 중공상의 3차축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프트에는 하부의 베이스에 기어박스가 구비되는데, 상기 기어박스에는 상기 1차축이 끼워지고 이를 회전시키는 중공축이 마련된다. 따라서 1차축이 기어박스에 결합되면 결합 높이를 낮출 수 있으므로 리프트의 전체 높이를 낮출 수 있다.
종래 1차축으로만 구성된 스크류 방식의 리프트는 1차축의 높이가 증감되지 않기 때문에 리프트를 최대한 낮추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1차축의 높이 이상으로 리프트를 들어올릴 수도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축들이 전개되어 돌출되면 종래 1차축으로만 구성된 방식에 비하여 2배 이상으로 리프트를 들어올릴 수 있으며, 축들이 포개져 높이가 낮아지므로 리프트를 최대한 낮출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축들은 하단에 보강 슬리브가 끼워진다. 상기 보강 슬리브는 축들이 서로 포개져 높이가 낮아지면 함께 포개지므로 축들의 높이를 낮출 수 있으며, 축들이 최대한 전개되어 높이가 증가되면 해당 축들의 하단에서 빠지면서 축의 하단 길이가 늘어난다. 따라서 축과 축의 경계부가 보강 슬리브에 의해 겹쳐지는 부분이 늘어나므로 수직정밀도가 향상되고, 휨 하중에 대한 응력이 증가되어 리프트의 좌굴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각 보강 슬리브 내부에는 스프링이 마련되어 축의 하강시 이를 탄력적으로 받쳐준다. 축들이 포개져 높이가 낮아지는 동안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축을 받쳐주므로 중량물을 실은 리프트의 하강시 축들의 나사부 파손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리프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리프트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리프트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다단 스크류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다단 스크류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리프트의 작동상태도
도 1내지 도 3에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리프트는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50)의 상부에 중량물을 받쳐주는 승강대(51)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50)와 승강대(51)의 전방 및 후방에는 X자로 교차되는 한쌍의 아암(52)이 구비되는데, 상기 아암(52)들은 X자로 교차된 중심에 아암힌지(53)가 구비되어 가위처럼 벌어진다. 상기 아암(52)들은 상,하단에 이동바퀴(54)가 구비되어 승강대(51)의 밑면 및 베이스(50)의 윗면에 놓이고, 상기 승강대(51)의 밑면 중심 및 상기 베이스(50)의 윗면 중심에는 승강대힌지(62) 및 베이스힌지(61)로 연결된 한쌍의 링크(6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이들 링크(60)의 자유단들은 상기 아암(52)과 링크힌지(63)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승강대힌지(62)와 베이스힌지(61)를 연결하는 수직선상에 상기 아암힌지(53)가 놓인다. 결국 두개의 아암(52)은 아암힌지(53)의 위쪽이 링크(60) 및 승강대힌지(62)를 통하여 승강대(51)와 연결되고, 아래쪽은 다른 링크(60) 및 베이스힌지(61)를 통하여 베이스(50)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대(51)가 상승되면 두개의 아암(52)이 아암힌지(53)를 중심으로 교차되어 좁혀지는데, 이때 링크(60)에 의해 두개의 아암(52)이 양쪽에서 균등하게 좁혀지면서 승강대(51)가 상승되므로 아암(52)의 중심이 승강대(51)의 중심과 항상 일치되어 안정감이 있다.
상기 베이스(50)의 상부에는 양단이 상기 아암힌지(53)와 연결된 연결판(64)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64)에는 상기 승강대(51)를 승하강시키는 다단 스크류가 구비된다. 상기 다단 스크류는 모터(45)로 회전되는 중공축(41)을 갖는 기어박스(40)로 동력이 전달되는데, 상기 다단 스크류는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중공상의 1차축(10), 중공상의 2차축(20) 및 중공상의 3차축(30)으로 구성된다. 상기 3차축(30) 내부에 또 다른 4차 및 5차축이 차례로 끼워질 수 있다. 상기 1차축(10)은 내부에 2차축(20)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2차축(20)의 외주면에 형성된 2차축나사부(21)와 치합되는 1차축너트부(11)가 형성된다.
상기 1차축(10)은 상기 기어박스(40)의 중공축(41)과 키 및 키홈 방식으로 체결되어 중공축(41)의 회전력이 1차축(10)으로 전달되는 단순 끼움 방식이다. 따라서 1차축(10)을 기어박스(40)에 쉽게 장착하고 분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1차축(10)이 기어박스(40) 내부에 들어가므로 돌출량이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상기 기어박스(40) 내부에는 베어링(42)으로 회전지지되는 상기 중공축(41)의 외주면에 웜휠(43)이 형성되고, 상기 웜휠(43)과 치합되는 윔기어(44)가 구비되며, 상기 웜기어(44)는 모터(45)로 회전된다. 상기 모터(45)가 작동되면 상기 2차축(20) 및 3차축(30)이 순차적으로 돌출되고, 상기 3차축(30) 상단의 승강대(51)가 함께 상승된다.
상기 2차축(20)은 내부에 상기 3차축(30)이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3차축(30)의 외주면에 형성된 3차축나사부(31)와 치합되는 2차축너트부(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2차축(20) 및 3차축(30)의 하부에는 보강슬리브가 마련되어 휨하중에 대한 응력이 보강된다.
상기 2차축(20)은 하부 외주연에 중공상의 2차축슬리브(23)가 끼워지는데, 상기 2차축(20)의 하단 외주면에는 외향걸림턱(25)이 형성되고 상기 2차축슬리브(23)의 상단 내주면에는 내향걸림턱(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2차축슬리브(23)의 내부에는 상기 2차축(20)의 하단을 받치는 2차축스프링(24)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3차축(30)은 하부 외주연에 중공상의 3차축슬리브(33)가 끼워지는데, 상기 3차축(30)의 하단 외주면에는 외향걸림턱(35)이 형성되고 상기 3차축슬리브(33)의 상단 내주면에는 내향걸림턱(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3차축슬리브(33)의 내부에는 상기 3차축(30)의 하단을 받치는 3차축스프링(34)이 구비된다.
상기 3차축(30)의 상단 내주면에는 3차축너트부(32)가 형성되고, 상기 3차축너트부(32)에는 상기 승강대(51)가 고정볼트(55)로 체결되는데, 볼조인트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3차축(30)을 상기 승강대(51)에 직접 체결하지 않고, 상기 승강대힌지(62)와 별도의 연결판으로 연결할 수 도 있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한 실시예의 리프트는 도 2 및 도 4 에서와 같이 1차축(10), 2차축(20) 및 3차축(30)이 겹쳐지면 승강대(51)가 하강되어 높이가 낮아진다. 이 상태에서 모터(45)의 작동으로 중공축(41)이 회전되면 상기 1차축(10)은 제자리에서 회전만 하게 된다. 상기 3차축(30)은 승강대(51)와 고정볼트(55)로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2차축(20)은 상기 1차축(10)과 함께 제자리에서 회전되기 때문에 리드스크류의 원리대로 상기 2차축너트부(22)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3차축나사부(31)는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3차축(30)을 상승시킨다.
이때 기어박스(40)는 연결판(64)을 통하여 아암힌지(53)와 결합되어 상기 아암(52)을 아래쪽으로 눌러줌과 동시에 상기 3차축(30)은 상기 승강대(51)를 위쪽으로 들어올리기 때문에 결국 상기 아암(52)은 상기 베이스힌지(61) 및 승강대힌지(62) 쪽으로 당겨지면서 그 폭이 좁혀지고 상기 승강대(51)는 위쪽으로 상승된다. 상기 승강대(51)는 상승되는 동안 아암(52)의 양단에 마련된 이동바퀴(54)들이 승강대힌지(62) 및 베이스힌지(61) 쪽으로 이동되므로 승강대(51)의 무게중심에 변화가 없어 중량물을 안정되게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2차축너트부(22)는 상기 1차축너트부(11) 보다 직경이 작고, 상기 3차축나사부(31)와의 회전 마찰력이 상기 1차축너트부(11) 및 2차축나사부(21)와의 마찰력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1차축(10)이 회전되면 그 회전력이 상기 1차축너트부(11)와 치합된 2차축(20)으로 전달되고, 상기 2차축(20)은 1차축(10)과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2차축너트부(22)와 치합된 상기 3차축(30)을 상승시킨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3차축(30)이 최대한 상승되면 3차축(30)의 하단에 구비된 3차축슬리브(33)의 내향걸림턱(36)이 상기 2차축(20) 상단의 2차축너트부(22) 밑면에 닿으면서 더 이상 상승되지 않고, 상기 2차축(20)은 회전 정지된다. 이때부터 상기 2차축(20)과 3차축(30)은 하나의 기둥처럼 상기 승강대(51)에 회전 정지상태로 연결된다. 계속해서 상기 1차축(10)이 회전되면 리드스크류의 원리대로 상기 1차축너트부(11)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2차축나사부(21)는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2차축(20)및 이와 연결된 3차축(30)을 상승시켜 상기 승강대(51)을 계속 들어올린다. 그리고 상기 2차축슬리브(23)의 상단에 형성된 내향걸림턱(26)이 상기 1차축(10) 상단의 1차축너트부(11)에 닿으면 1차축(10)의 회전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대(51)가 최대한 펼쳐진다.
본 발명 한 실시예는 2차축(20)이 상승되면 이의 하부에 마련된 2차축슬리브(23)가 1차축(10)의 내부로 연장되므로 휨 하중에 대한 응력이 보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3차축(30) 역시 3차축슬리브(33)가 2차축(20)의 내부로 연장되어 휨 하중에 대한 응력이 보완되므로 2차축(20) 및 3차축(30)이 길게 돌출되더라도 내구성에 지장이 없다. 또한 1차축(10)이 승강대(51)를 상승시킬 때의 역방향으로 회전 되어 상기 2차축(20) 및 3차축(30)이 상승될 때의 역순으로 하강되면 각 슬리브(23)(33)에 마련된 2차축스프링(24) 및 3차축스프링(34)이 압축되면서 해당 2차축(20) 및 3차축(30)의 하강 거리가 제한하므로 과도한 하강으로 인하여 나사부의 마모 및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로써, 아암(52)을 2단으로 연결하여 상승높이를 두배로 늘린 것이다. 상,하측의 아암(52)은 아암힌지(53)로 연결되고, 각각의 아암(52)은 베이스(50) 및 승강대(51)와 링크(60)로써 연결되며, 상하단의 아암(52)이 교차되는 중심은 X자형 링크(60)로 연결된다. 그리고 아래쪽 아암(52)의 교차된 중심에 마련된 아암힌지(53)에는 연결판(64)이 구비되어 기어박스(40)가 놓이고, 상기 상하단의 아암을 연결하는 X자형 링크(60)의 교차된 중심에는 링크힌지축(63a)이 마련되어 상기 3차축(30)의 끝단과 볼조인트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기어박스(40)의 작동으로 상기 2,3차축(20)(30)이 차례로 상승되면 상기 두개의 아암(52)이 좁혀지는데, 아암이 1단일때 보다 상기 승강대(51)를 두배 높게 상승시킨다. 상기 2,3차축(20)(30)이 작동되면 상기 기어박스(40)는 아래쪽으로 힘을 받으면서 상기 연결판(64)과 아암힌지(53)로 연결된 아래쪽 아암(52)을 눌러주고, 상기 3차축(30)은 링크힌지축(63a)을 위쪽으로 밀어올려 위쪽의 아암(52)을 들어올리기 때문에 결국 승강대(51)는 위쪽으로 상승된다.
10 : 1차축 11 : 1차축너트부
20 : 2차축 21 : 2차축나사부
22 : 2차축너트부 23 : 2차축슬리브
24 : 2차축스프링 30 : 3차축
31 : 3차축나사부 32 : 3차축너트부
33 : 3차축슬리브 34 : 3차축스프링
40 : 기어박스 41 : 중공축
42 : 베어링 43 : 웜휠
44 : 웜기어 45 : 모터
50 : 베이스 51 : 승강대
52 : 아암 53 : 아암힌지
54 : 이동바퀴 60 : 링크
61 : 베이스힌지 62 : 승강대힌지
63 : 링크힌지 64 : 연결판

Claims (3)

  1. 삭제
  2. 삭제
  3. 바닥에 놓이는 베이스(50)의 상부에 중량물을 받쳐주는 승강대(51)가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50)와 승강대(51)의 사이에는 X자로 교차되는 한쌍의 아암(52)이 구비되며, 상기 아암(52)들은 X자로 교차된 중심에 아암힌지(53)가 구비되어 가위처럼 벌어지며, 상기 아암(52)들은 상,하단에 이동바퀴(54)가 구비되어 승강대(51)의 밑면 및 베이스(50)의 윗면에 놓이고, 상기 승강대(51)의 밑면 중심 및 상기 베이스(50)의 윗면 중심에는 승강대힌지(62) 및 베이스힌지(61)로 연결된 한쌍의 링크(60)가 구비되며, 상기 링크(60)들의 자유단들은 상기 아암(52)과 링크힌지(63)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기 승강대힌지(62)와 베이스힌지(61)를 연결하는 수직선상에 상기 아암힌지(53)가 놓이도록 하고, 상기 베이스(50)의 상부에는 상기 양쪽 아암힌지(53)와 양단이 연결된 연결판(64)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판(64)에는 모터(45)로 회전되는 중공축(41)을 갖는 기어박스(40)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축(41)에 다단 스크류가 끼워지는데, 상기 다단 스크류는 상기 중공축에 결합되는 중공상의 1차축(10); 상기 1차축(10)의 중공상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1차축(1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1차축너트부(11)와 치합되는 2차축나사부(21)가 외주면에 형성된 중공상의 2차축(20); 상기 2차축(20)의 중공상 내부로 끼워지고, 상기 2차축(20)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된 2차축너트부(22)와 치합되는 3차축나사부(31)가 외주면에 형성된 중공상의 3차축(30)으로 구성되고, 상기 3차축(30)의 상단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대(51)의 하부와 체결되는 3차축너트부(32)가 형성되어 상기 다단 스크류가 상승되는 동안 상기 승강대(51)가 상승되도록 한 시저타입 리프트에 있어서,
    상기 2차축(20)의 하단 외주면과 상기 1차축(10)의 상단 내주면 및 상기 3차축(30)의 하단 외주면과 상기 2차축(20)의 상단 내주면을 연결하는 2차축슬리브(23) 및 3차축슬리브(33)가 구비되어, 상기 2차축(20) 및 3차축(30)이 최대한 돌출되었을 때 휨 변형이 보완되도록 하되,
    상기 2차축슬리브(23)는 상단 내주면에 내향돌기(26)가 형성되어 상기 2차축(2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외향돌기(25)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2차축슬리브(23)가 상기 1차축(10) 내부에서 상기 2차축(20)을 지탱하며,
    상기 3차축슬리브(33)는 상단 내주면에 내향돌기(36)가 형성되어 상기 3차축(30)의 하단 외주면에 형성된 외향돌기(35)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3차축슬리브(33)가 상기 2차축(20) 내부에서 상기 3차축을 지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저타입 리프트.
KR1020120099491A 2012-09-07 2012-09-07 시저타입 리프트 KR1012239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491A KR101223962B1 (ko) 2012-09-07 2012-09-07 시저타입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9491A KR101223962B1 (ko) 2012-09-07 2012-09-07 시저타입 리프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3962B1 true KR101223962B1 (ko) 2013-01-21

Family

ID=47842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9491A KR101223962B1 (ko) 2012-09-07 2012-09-07 시저타입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39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639A (ko) 2017-01-19 2018-07-27 이재성 기둥 작업용 리프트
KR20180085911A (ko) 2017-01-20 2018-07-30 이재성 지게차용 아웃 트리거
CN110304572A (zh) * 2019-07-31 2019-10-08 嘉兴市金腾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剪式千斤顶
CN111747352A (zh) * 2019-03-29 2020-10-09 来临机器人有限公司 由两轮自动引导车辆支撑的升降装置
CN112723102A (zh) * 2020-12-03 2021-04-30 安徽中旭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施工升降机附着辅助固定支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0697A (en) * 1978-12-07 1980-06-18 Masao Akimoto Lifter with auxiliary link
KR200213365Y1 (ko) * 1998-12-18 2001-04-02 백영문 모터 구동식 테이블 리프터
JP2005206319A (ja) * 2004-01-22 2005-08-04 Kawasaki Kogyo Kk スクリュージャッ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0697A (en) * 1978-12-07 1980-06-18 Masao Akimoto Lifter with auxiliary link
KR200213365Y1 (ko) * 1998-12-18 2001-04-02 백영문 모터 구동식 테이블 리프터
JP2005206319A (ja) * 2004-01-22 2005-08-04 Kawasaki Kogyo Kk スクリュージャッキ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5639A (ko) 2017-01-19 2018-07-27 이재성 기둥 작업용 리프트
KR20180085911A (ko) 2017-01-20 2018-07-30 이재성 지게차용 아웃 트리거
CN111747352A (zh) * 2019-03-29 2020-10-09 来临机器人有限公司 由两轮自动引导车辆支撑的升降装置
CN110304572A (zh) * 2019-07-31 2019-10-08 嘉兴市金腾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剪式千斤顶
CN110304572B (zh) * 2019-07-31 2024-01-30 嘉兴市金腾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剪式千斤顶
CN112723102A (zh) * 2020-12-03 2021-04-30 安徽中旭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施工升降机附着辅助固定支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3959B1 (ko) 다단 스크류를 이용한 리프트장치
KR101223962B1 (ko) 시저타입 리프트
JP4395491B2 (ja) 重量物昇降装置及び重量物昇降システム
CN107601077B (zh) 自行式集装箱翻转车
JP2006193240A (ja) テーブル移動装置
CN103287805B (zh) 料斗提升机
CN101791657B (zh) 棒材剪切生产线的输送落料机构
KR20120038953A (ko) 다중 링크식 자동차 리프트
CN104120700B (zh) 一种液压插销升降装置
CN102910555B (zh) 微行程升降作业台
KR101223960B1 (ko) 다단 스크류 잭
CA2998248C (en)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ITPD980029A1 (it) Sollevatore da officina per veicoli
US6244390B1 (en) Inground lift
AU2017413555B2 (en) Telescoping jack for lifting large capacity trucks
CN106241629A (zh) 折臂随车起重机变幅机构及折臂随车起重机
CN206051377U (zh) 可延展式起重设备平衡重机构
CN101804804B (zh) 汽车举升机程序控制升降安全立柱
CN209367210U (zh) 一种托盘仓供给装置
CN208747476U (zh) 一种高强度的起重机横梁及支腿装置
WO2016112607A1 (zh) 一种轻便组合式举升设备及其使用方法
CN207566767U (zh) 一种水利插板平衡吊车
KR101223956B1 (ko) 다단 스크류 이송장치
CN206069303U (zh) 一种用于有限高度空间的升降机构
JP2008162715A (ja) Xリンク式昇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