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016B1 -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016B1
KR101605016B1 KR1020140124144A KR20140124144A KR101605016B1 KR 101605016 B1 KR101605016 B1 KR 101605016B1 KR 1020140124144 A KR1020140124144 A KR 1020140124144A KR 20140124144 A KR20140124144 A KR 20140124144A KR 101605016 B1 KR101605016 B1 KR 10160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ar
conveying
conveyor
alig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4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흥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흥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흥테크
Priority to KR1020140124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0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0Devices for picking-up and depositing articles o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7/00Stacking of articles
    • B65G57/02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 B65G57/03Stacking of articles by adding to the top of the stack from above

Abstract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기에 의해 생산되는 압출바를 팔레트에 자동으로 적재되도록 하는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는, 알루미늄 압출기에서 압출바가 배출되는 배출부(A) 일측에 이송부(B), 정렬부(C), 승강부(D)를 더 포함하여 적재부(E)를 구성하되, 상기 배출부(A)는 압출바(a)를 배출 및 배출된 압출바(a)를 이송부(B)로 전달할 수 있고, 이송부(B)는 배출부(A)에서 전달된 압출바(a)를 정렬부(C)로 이송할 수 있으며, 정렬부(C)는 이송부(B)의 압출바(a)를 적재부(E)에 적재할 개수로 수집 및 정렬한 다음 승강부(D)로 이송할 수 있고, 승강부(D)는 정렬부(C)에 의해 정렬된 압출바(a)를 적재부(E)에 적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Automatic loading of aluminum extruder device}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 알루미늄 압출기에서 생산되는 압출바를 팔레트에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알루미늄이란, 주기율표 13족에 3주기에 속하는 금속 원소로서, 원소기호는 Al, 원자량은 26.981g/mol, 녹는점은 660.32℃, 끓는점 2519℃, 밀도는 2.7g/cm3이다. 은백색의 가볍고 무른 금속으로 지구의 지각을 이루는 주 구성 원소 중 하나이다. 알루미늄은 경량성, 내식성, 가공성, 전도성, 미관성이 우수하고 사용한 제품의 리사이클에 의한 자원절약효과가 크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서 자동차, 건축 및 건설, 전기, 전자, 반도체, 항공, 등 각종 산업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압출이란, 소재를 열간 또는 냉간하여 강한 압력으로 다이에 연속적으로 밀어내어 다이의 모양에 따라 긴 단면재 또는 관재(이하 '압출바'라고 함)를 연속해서 생산해내는 공법을 말한다.
이러한 공법을 이용한 종래의 알루미늄 압출기는, 도1과 같이, 빌렛투입부, 가열부, 압출부, 냉각부, 교정부, 절단부, 인발부, 이송부, 수집부, 제단부, 배출부, 적재부가 순차적으로 구성되는 게 일반적이다.
종래의 압출기를 이용한 압출방법은, 빌렛투입부로부터 빌렛을 투입하면, 가열부에서 빌렛을 일정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키고, 용융된 용융물은 압출부와 인발부에 의해 압출바가 연속적으로 압출되며, 압출된 압출바는 냉각부에 의해 굳어지면서 교정부에 의해 교정되고, 압출바의 길이가 인발부의 끝에 도달하면 간이절단부에서 압출바의 선단을 절단하며, 절단된 압출바는 이송부를 통해 횡 이송하면서 수집부에 모여지고, 수집부에 모여진 다수의 압출바는 제단부에서 일정길이만큼 선단과 끝단을 제단 한 다음 배출부로 이송되며, 배출부로 이송된 압출바는 적재부의 팔레트에 적재시켜 반출한다. 이때 반출 후에는 코팅 또는 열처리 등의 후처리공정을 거친 다음 완성된다.
종래는 전체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나, 배출부에서 적재부로 압출바를 옮길 때에는 적어도 2인 이상을 1개 조로 편성하여 수작업으로 옮기고 있었다.
이러한 수작업은 생산속도를 느리게 할 뿐 아니라, 인력의 소모가 심함은 물론 압출바의 무게와 반복적인 이송작업으로 작업자가 힘이 많이 들고, 연질이라는 알루미늄재질의 특성과 압출바의 길이가 대략 15~35m 정도가 되기 때문에 흠집과 자중에 의한 휨의 발생으로 불량이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적재부로 이송시 인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재질의 특성과 압출바의 길이에 의해 섬세한 이송이 담보되어야 하기 때문인데 이를 자동화로 할 경우 수작업에 비해 섬세한 이송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이었다.
출원번호: 10-2012-0021840, 10-1987-0003130, 10-2008-7011439.
본 발명은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흠집 및 휨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자동적재가 이루어지는 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연적으로 도출 가능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기의 배출부 일측에 이송부, 정렬부, 승강부를 더 포함하여 적재부를 구성하되, 상기 배출부는 압출바를 배출 및 배출된 압출바를 이송부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이송부는 배출부에서 전달된 압출바를 정렬부로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정렬부는 이송부의 압출바를 적재부의 팔레트에 적재할 개수로 수집 및 정렬한 다음 승강부로 이송시킬 수 있고, 상기 승강부는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압출바를 적재부의 팔레트에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승강부에는 압출바의 길이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받침대를 배열할 수 있는 받침대공급부가 구성되고, 받침대공급부에서 공급되는 받침대는 완충재가 피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된 본 발명은, 다수의 받침대를 배열공급하여 리프트 등으로 압출바를 승강시킬 수 있음으로 적재시 휨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받침대는 완충재가 피복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흠집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알루미늄 압출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알루미늄 압출기에 적용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를 평면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출부 및 이송부에 대한 상세도 및 작동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부 및 이송부를 측면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렬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정렬부를 평면에서 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정렬부에 대한 작동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승강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 승강부의 받침대공급부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 승강부의 파지대에 대한 상세도 및 작동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 승강부에 대한 작동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상, 하, 좌, 우, 위, 아래에 대한 표현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될 수 있다. 그리고 선등록된 공지기술 및 통상적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어 생략 또는 간단한 부호 등으로 대체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알루미늄 압출공정에 적용한 블록도로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압출기의 배출부(A) 일측에 횡방향으로 이송부(B), 정렬부(C), 승강부(D)를 더 포함하여 적재부(E)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을 평면에서 본 예시도로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배출부(A)는 압출바(a)를 배출 및 배출된 압출바(a)를 이송부(B)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본 발명에 포함되는 이송부(B)는 배출부(A)에서 전달된 압출바(a)를 정렬부(C)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정렬부(C)는 이송부(B)의 압출바(a)를 적재부(E)에 적재할 개수로 수집 및 정렬한 다음 승강부(D)로 이송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본 발명에 포함되는 승강부(D)는 정렬부(C)에 의해 정렬된 압출바(a)를 적재부(E)에 적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출부 및 이송부에 대한 상세도 및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부 및 이송부를 측면에서 본 예시도로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배출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배출부(A)는 롤러선반(1), 롤러레일(2)로 이루어지고, 롤러선반(1)에는 경사형 단차(10)와 고정판(11), 수직장공(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롤러레일(2)에는 바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롤러선반(1)은 적어도 전동회전되는 두 개의 롤러가 한 조로 되어 롤러의 표면에 압출바(a)가 얹혀지는 선반형태로 되며, 롤러선반(1)은 압출바(a)의 길이방향으로 등 간격 배열설치되고, 롤러선반(1)의 하단에는 압출바(a)의 길이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경사형 단차(10)가 형성되며, 롤러선반(1)은 압출바(a)의 길이방향에 대한 횡방향 일측에 고정판(11)을 설치하여 롤러선반(1)의 롤러축에 수직장공(12)을 형성하여 롤러축을 수직장공(12)에 삽입설치하여서 롤러선반(1)이 승/하강만 가능토록 설치된다.
상기 롤러레일(2)은 다수의 바퀴(20)를 구비하는 레일형 대차형태로 되어 압출바(a)의 길이방향으로 전체의 롤러선반(1)의 하단을 받치도록 형성되고, 각 롤러선반(1)의 단차(10) 아래 바퀴(20)가 위치되며, 롤러레일(2)은 전후 이송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롤러선반(1)과 롤러레일(2)은 롤러레일(2)의 전후 이송시 바퀴(20)가 단차(10) 아래에서 전후 직선하게 되고, 롤러선반(1) 단차(10)의 높이에 의해 승/하강하게 된다.
즉, 도면상 롤러레일(2)이 좌측으로 이송하면 롤러선반(1)은 하강하고, 우측으로 이송하면 롤러선반(1)은 승강하게 된다.
상기 배출부(A)의 작동은 롤러선반(1)의 롤러가 전동회전하면 압출바(a)가 길이방향으로 배출되고, 압출바(a)의 선단이 끝단에 도달하면 롤러선반(1)이 승강 된 상태로 있다가, 롤러레일(2)의 이송에 의해 롤러선반(1)이 하강하게 되고, 하강시 롤러선반(1)에 위에 적재된 압출바(a)를 이송부(B)의 이송컨베어(3) 위에 안착되면서 전달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배출부 및 이송부에 대한 상세도 및 작동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배출부 및 이송부를 측면에서 본 예시도로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이송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이송부(B)는 이송컨베어(3)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컨베어(3)는 평판형 벨트로 이루어지는 컨베어형태로 되어 전동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며, 이송컨베어(3)는 평면상 배출부(A)의 롤러선반(1)과 롤러선반(1) 사이의 공간에 압출바(a)의 길이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고, 이송컨베어(3)의 선단은 측면상 배출부(A)의 고정판(1)에 근접되며, 이송컨베어(3)의 높이는 배출부(A)의 롤러선반(1) 상면 아래 위치된다. 즉, 롤러선반(1)의 상하 이송범위 내 중간에 위치된다.
상기 이송부(B)의 작동은 배출부(A)의 롤러선반(1)이 하강하면 압출바(a)가 이송컨베어(3) 위에 안착되며, 압출바(a)가 이송컨베어(3) 위에 안착되면 이송컨베어(3)가 구동하면서 압출바(a)의 길이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이송되어 정렬부(C)로 압출바(a)를 전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렬부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정렬부를 평면에서 본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정렬부에 대한 작동도로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정렬부(C)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정렬부(C)는 정렬컨베어(4), 센서장착대(40), 다수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렬컨베어(4)는 이송컨베어(3)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송부(B)의 이송컨베어(3)와 이어지도록 압출바(a)의 이송방향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센서장착대(40)는 센서를 장착하기 용이하고 그 센서로 압출바(a)를 감지하기 용이한 적정의 높이를 갖는 프레임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압출바(a) 이송방향에 길쭉하게 설치된다.
상기 센서는 압출바(a)를 감지하기 용이한 리미트스위치 또는 광센서, 등으로 이루어지며, 센서장착대(40)의 상면에 장착된다.
상기 센서의 배치는 압출바(a)의 수집 기준점을 정할 수 있도록 정렬컨베어(4)의 압출바(a) 이송방향 선단에 제1센서(41)가 설치되고, 제1센서(41)로부터 후방으로 일정거리를 두고 압출바(a)의 수집 개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센서(42)가 설치되며, 이송부(B)의 이송컨베어(3)에서 이송되어 오는 압출바(a)를 정렬컨베어(4)의 압출바(a)와 합류할 수 있도록 정렬컨베어(4)의 인입부 선단에 제3센서(43)가 설치되며, 이송컨베어(3)에서 이송되어 오는 압출바(a)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송컨베어(3)의 인출부 후미에 제4센서(44)가 설치된다.
상기 정렬부(C)의 작동은 이송부(B)에 의해 정렬컨베어(4)에서 압출바(a)의 최초 수집시 정회전하여 압출바(a)의 선단이 감지되는 제1센서(41)에 정위치 시킨 다음, 다시 역회전하여 압출바(a)의 후미가 감지되는 제3센서(43)의 위치에서 대기하고, 이송컨베어(3)의 작동으로 제4센서(44)의 감지시 정렬컨베어(4)가 정회전하여 이송컨베어(3)의 압출바(a)를 정렬컨베어(4)의 압출바(a)와 합류시켜 다시 제1센서(41)에 정위치 한다. 이때 제2센서(42)가 감지를 하면 원하는 개수가 채워진 것임으로 압출바(a)를 승강부(D)로 전달하고, 그렇지 않으면 제2센서(42)가 감지할 때까지 압출바(a)를 수집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승강부에 대한 상세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 승강부의 받침대공급부에 대한 상세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 승강부의 파지대에 대한 상세도 및 작동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 승강부에 대한 작동도로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승강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승강부(D)는 승강컨베어(5), 받침대공급부(6), 리프트(7)로 이루어지고, 받침대공급부(6)는 받침대(60), 체인컨베어(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리프트(7)는 파지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파지대(70)는 완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컨베어(5)는 이송컨베어(3)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정렬부(C)의 정렬컨베어(4)와 이어지도록 압출바(a)의 이송방향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받침대공급부(6)는 승강컨베어(5) 상에 놓인 다수의 압출바(a)를 한꺼번에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승강컨베어(5)의 저부 압출바(a)의 길이방향으로 체인컨베어(61)가 설치되고, 체인컨베어(61)의 체인(61a)에는 받침대(60)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돌기(61b)가 배열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공급부(6)의 받침대(60)는 압출바(a)를 승강 및 적재시 흠집이 발생하지 않도록 외면에 완충재(60a)가 피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받침대(60)는 평면상 승강컨베어(5)를 회피하도록 배열형성된다.
상기 리프트(7)는 사각형태의 골조프레임(71)에 이송대(72) 및 승강대(73)가 구성되고, 승강대(73)의 하단에 다수의 파지대(70)를 장치할 수 있는 헤드프레임(74)이 구성되며, 승강대(73) 및 이송대(72)에 전동대차(75)가 구성되어 헤드프레임(74)을 수직 승강 및 수평 이송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리프트(7)의 파지대(70)는 헤드프레임(74)의 양측 저부 받침대(60)의 배열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 고정봉(70a)이 설치되며, 고정봉(70a)의 하단에 받침대(60)의 상단이 접촉되는 고정구(70b)가 장치되고, 고정구(70b)에 중간이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그 힌지부(70c)를 중심으로 하단이 회동하면서 받침대(60)의 하단을 가압할 수 있는 작동구(70d)가 장치되며, 작동구(70d)의 작동은 힌지부(70c)의 상단에 실린더(70e)가 연결되고, 실린더(70e)는 고정봉(70a)의 상부 일측에 고정되어 실린더(70e)에 의해 작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파지대(70)의 완충수단은 고정구(70b)의 하단이 받침대(60)에 접촉될 때 완충력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파지대(70) 고정봉(70a)과 헤드프레임(74) 사이에 완충관(70f)이 구성되며, 완충관(70f)은 고정봉(70a)의 상단을 완충관(70f)의 하단에 걸림 결합하여서 고정봉(70a)이 상하 슬라이딩 가능케 되고, 완충관(70f) 하단과 고정봉(70a)의 외면 일측 사이에 스프링(70g)이 탄설되어 완충력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부(D)의 작동은 받침대공급부(6)에 의해 받침대(60)가 배열된 상태로 대기하고, 정렬부(C)에 의해 압출바(a)가 이송되어오면 승강컨베어(5)에서 압출바(a)를 중간에 위치시키며, 압출바(a)가 중간에 위치되면 리프트(7)의 헤드프레임(74)이 하강하여 파지대(70)로 받침대(60)를 파지하고, 받침대(60)를 파지하면 리프트(7)의 헤드프레임(74)을 다시 승강시키며, 승강 시 받침대(60) 위에 압출바(a)가 얹혀진 상태로 승강되고, 승강 후 적재부(E)로 수평 이송한 다음, 다시 하강하여 적재부(E)의 팔레트(8)에 받침대(60)와 함께 압출바(a)를 적재한다. 팔레트(8)에 모두 적재된 압출바(a)는 지게차로 반출한다.
상기의 각 부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있어 구동부에 대한 설명 및 도면은 생략하였다. 구동부는 각 부서의 작동원리를 감안하여 모터를 포함한 기어, 벨트, 체인의 조합 또는 실린더, 등의 이용한 기계적 수단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은 롤러선반(1)과 롤러레일(2)에 의해 배출부(A)에서 압출바(a)를 배출 및 배출된 압출바(a)를 이송부(B)로 전달하고, 이렇게 전달된 압출바(a)는 이송부(B)의 이송컨베어(3)를 통해 정렬부(C)로 이송하며, 정렬부(C)에서는 정렬컨베어(4)와 다수의 센서에 의해 적재부(E)에서 적재할 개수로 수집 및 정렬한 다음 승강부(D)로 이송하고, 승강부(D)로 이송된 압출바(a)는 승강컨베어(5), 받침대공급부(6), 리프트(7)에 의해 적재부(E)의 팔레트(8)로 자동적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체적인 효과는 종래와 같이 수작업에 의존하지 않고 알루미늄 압출기에서 배출되는 압출바(a)를 적재부(E)에 자동으로 적재할 수 있는 데 있다.
또한 승강부(D)에서 압출바(a)의 길이방향에 대한 횡방향으로 받침대(60)를 배열하여 수집된 압출바(a)를 승강시킴으로써 적재시 휨이 발생하지 않으며, 받침대(60)는 완충재(60a)가 피복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흠집이 발생하지 않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자연적으로 도출 가능할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알루미늄이나 압출기에만 한정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만은 아니다. 생산되는 물품을 필요한 수만큼 확보하여 자동적재하기 위한 곳이라면 산업분야 어디든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자동차부품생산이나 전자제품생산라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때 생산되는 물품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부서 중 일부 또는 구성요소 중 일부를 변경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서 제시한 도면은 예시도로 써 특징을 부각시키고자 도법에는 맞지 않을 수 있고 요지를 흐릴 수 있는 부분은 편의상 일부 삭제하였다. 이에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을 충분히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응용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못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할 것이다.
a: 압출바 A: 배출부
B: 이송부 C: 정렬부
D: 승강부 E: 적재부
1: 롤러선반 10: 단차
11: 고정판 12: 수직장공
2: 롤러레일 20: 바퀴
3: 이송컨베어 4: 정렬컨베어
40: 센서장착대 41: 제1센서
42: 제2센서 43: 제3센서
44: 제4센서 5: 승강컨베어
6: 받침대공급부 60: 받침대
60a: 완충재 61: 체인컨베어
61a: 체인 61b: 안착돌기
7: 리프트 70: 파지대
72: 이송대 73: 승강대
74: 헤드프레임 75: 전동대차
70a: 고정봉 70b:고정구
70c: 힌지부 70d: 작동구
70e:실린더 70f: 완충관
70g: 스프링 8: 팔레트

Claims (10)

  1. 알루미늄 압출기에서 압출바가 배출되는 배출부(A) 일측에 이송부(B), 정렬부(C), 승강부(D)를 더 포함하여 적재부(E)를 구성하되, 상기 배출부(A)는 압출바(a)를 배출 및 배출된 압출바(a)를 이송부(B)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이송부(B)는 배출부(A)에서 전달된 압출바(a)를 정렬부(C)로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정렬부(C)는 이송부(B)의 압출바(a)를 적재부(E)에 적재할 개수로 수집 및 정렬한 다음 승강부(D)로 이송할 수 있고, 상기 승강부(D)는 정렬부(C)에 의해 정렬된 압출바(a)를 적재부(E)에 적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부(A)는 한 쌍의 롤러선반(1)이 배열형성되고, 이송부(B)는 평면상 롤러선반(1)과 롤러선반(1) 사이의 이격공간에 횡방향으로 이송컨베어(3)가 형성되며, 배출부(A)로부터 이송부(B)로 압출바(a)의 전달은 롤러선반(1)의 하단에 경사형 단차(10)를 형성하고, 롤러선반(1)은 일측의 고정판(11)에 수직장공(12)을 형성하여 승/하강만 가능토록 설치하며, 롤러선반(1)의 단차(10) 아래 전후 이송가능한 롤러레일(2)을 설치하고, 롤러레일(2)의 바퀴(20)는 전후 이송시 단차(10)에 의해 롤러선반(1)을 승/하강 되도록 하며, 롤러선반(1)의 하강시 롤러선반(1)에 적재된 압출바(a)가 이송부(B)의 이송컨베어(3)에 안착되면서 전달되어서, 배출부(A)의 압출바(a)를 배출 및 배출된 압출바(a)를 이송부(B)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2. 알루미늄 압출기에서 압출바가 배출되는 배출부(A) 일측에 이송부(B), 정렬부(C), 승강부(D)를 더 포함하여 적재부(E)를 구성하되, 상기 배출부(A)는 압출바(a)를 배출 및 배출된 압출바(a)를 이송부(B)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이송부(B)는 배출부(A)에서 전달된 압출바(a)를 정렬부(C)로 이송할 수 있으며, 상기 정렬부(C)는 이송부(B)의 압출바(a)를 적재부(E)에 적재할 개수로 수집 및 정렬한 다음 승강부(D)로 이송할 수 있고, 상기 승강부(D)는 정렬부(C)에 의해 정렬된 압출바(a)를 적재부(E)에 적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정렬부(C)는 이송부(B)와 이어지도록 이송부(B)의 이송방향 일측에 정렬컨베어(4)가 설치되고, 정렬컨베어(4)의 저부에 이송방향의 길이방향으로 센서장착대(40)가 구비되고, 그 센서장착대(40)의 상면에 다수의 센서가 설치되며, 센서는 압출바(a)의 수집 기준점을 정할 수 있도록 정렬컨베어(4)의 선단에 제1센서(41)가 설치되고, 제1센서(41)로부터 후미로 일정 거리를 두고 압출바(a)의 수집 개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2센서(42)가 설치되며, 이송컨베어(3)에서 이송되어 오는 압출바(a)를 정렬컨베어(4)의 압출바(a)와 합류시킬 수 있도록 정렬컨베어(4)의 인입부 선단에 제3센서(43)가 설치되며, 이송컨베어(3)에서 이송되어 오는 압출바(a)를 감지할 수 있도록 이송컨베어(3)의 인출부 후미에 제4센서(44)가 설치되어 서, 이송부(B)의 압출바(a)를 적재부(E)에 적재할 개수로 수집 및 정렬한 다음 승강부(D)로 이송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D)는 정렬부(C)와 이어지도록 정렬부(C)의 이송방향 일측에 승강컨베어(5)가 설치되고, 승강컨베어(5) 상에 놓인 다수의 압출바(a)를 한꺼번에 승강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60)를 배열공급하는 받침대공급부(6)와, 다수의 받침대(60)를 각각의 파지대(70)에서 파지하여 압출바(a)를 승강시킨 다음 적재부(E)의 팔레트(8)에 안착시킬 수 있는 리프트(7)로 구성되어서, 정렬부(C)에 의해 정렬된 압출바(a)를 적재부(E)에 적재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D)의 받침대공급부(6)는 승강컨베어(5) 저부에 압출바(a)의 길이방향으로 체인컨베어(61)가 설치되고, 체인컨베어(61)의 체인(61a)에는 받침대(60)를 안착시킬 수 있는 안착돌기(61b)가 배열형성되어서, 승강컨베어(5) 상에 놓인 다수의 압출바(a)를 한꺼번에 승강시킬 수 있도록 받침대(60)를 배열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공급부(6)의 받침대(60)는 외면에 완충재(60a)가 피복되어서, 승강 및 적재시 압출바(a)에 흠집이 발생하지 않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D)의 리프트(7)는 사각형태의 골조프레임(71)에 이송대(72) 및 승강대(73)가 구성되고, 승강대(73)의 하단에 다수의 파지대(70)를 장치할 수 있는 헤드프레임(74)이 구성되며, 승강대(73) 및 이송대(72)에 전동대차(75)가 구성되어 헤드프레임(74)을 수직 승강 및 수평 이송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서, 다수의 받침대(60)를 각각의 파지대(70)에서 파지하여 압출바(a)를 승강시킨 다음 적재부(E)의 팔레트(8)에 안착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7)의 파지대(70)는 헤드프레임(74)의 양측 저부 받침대(60)의 배열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 고정봉(70a)이 설치되며, 고정봉(70a)의 하단에 받침대(60)의 상단이 접촉되는 고정구(70b)가 장치되고, 고정구(70b)에 중간이 일측이 힌지결합되어 그 힌지부(70c)를 중심으로 하단이 회동하면서 받침대(60)의 하단을 가압할 수 있는 작동구(70d)가 장치되며, 작동구(70d)의 작동은 힌지부(70c)의 상단에 실린더(70e)가 연결되고, 실린더(70e)는 고정봉(70a)의 상부 일측에 고정시켜 실린더(70e)에 의해 작동되는 구성으로 되어서, 다수의 받침대(60)를 각각의 파지대(70)에서 파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파지대(70)는 하강시 고정구(70b)의 하단이 받침대(60)에 접촉될 때 완충력이 형성되도록 하는 완충수단이 더 구성되고, 상기 완충수단은 고정봉(70a)과 헤드프레임(74) 사이에 완충관(70f)이 구성되며, 완충관(70f)은 고정봉(70a)의 상단을 완충관(70f)의 하단에 걸림 결합하여서 고정봉(70a)이 상하 슬라이딩 가능케 되고, 완충관(70f) 하단과 고정봉(70a)의 외면 일측 사이에 스프링(70g)이 탄설되어서, 완충력을 가지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140124144A 2014-09-18 2014-09-18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KR10160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144A KR101605016B1 (ko) 2014-09-18 2014-09-18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4144A KR101605016B1 (ko) 2014-09-18 2014-09-18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016B1 true KR101605016B1 (ko) 2016-03-21

Family

ID=5565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4144A KR101605016B1 (ko) 2014-09-18 2014-09-18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01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5183A (zh) * 2017-09-30 2018-01-09 无锡市光彩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集成型钢码垛的齐头装置
KR102133832B1 (ko) * 2019-09-26 2020-07-14 이세영 적재기를 이용한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KR102598489B1 (ko) 2023-06-21 2023-11-06 주식회사 알루본 알루미늄 제품 압출용 팔렛트 장치
CN117089670A (zh) * 2023-10-10 2023-11-21 江苏群达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碳钢热处理装置
KR102623426B1 (ko) 2023-06-21 2024-01-10 주식회사 알루본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의 적재이송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55183A (zh) * 2017-09-30 2018-01-09 无锡市光彩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集成型钢码垛的齐头装置
KR102133832B1 (ko) * 2019-09-26 2020-07-14 이세영 적재기를 이용한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
KR102598489B1 (ko) 2023-06-21 2023-11-06 주식회사 알루본 알루미늄 제품 압출용 팔렛트 장치
KR102623426B1 (ko) 2023-06-21 2024-01-10 주식회사 알루본 알루미늄 압출 시스템의 적재이송 장치
CN117089670A (zh) * 2023-10-10 2023-11-21 江苏群达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高碳钢热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016B1 (ko) 알루미늄 압출기의 자동적재장치
CN204823151U (zh) 一种自动翻转上下料机构
JP5453555B2 (ja) 板材搬出入棚装置
JP6482046B2 (ja) ローラコンベア装置、及びそのローラコンベア装置を備えた板材搬出入・仕分装置
CN106516686A (zh) 一种托盘提升输送机构
CN105692215A (zh) 一种托盘料仓码垛装置
CN209866700U (zh) 一种二维码检测装置
CN105692218A (zh) 一种托盘料仓用物料输送装置
CN205555527U (zh) 一种托盘料仓用物料输送装置
CN102615969A (zh) 上料卸料机
CN210619384U (zh) 一种自动输送条码扫描及体积测量装置
CN210479292U (zh) 一种自动称重贴标机
CN105692222A (zh) 一种托盘料仓堆垛装置
CN205555523U (zh) 一种托盘料仓码垛装置
CN217878382U (zh) 一种瓷砖坯釉料抽检装置
CN212449697U (zh) 一种铝基板分层出料装置
CN205555529U (zh) 一种托盘料仓用托盘码垛装置
JPS5919017A (ja) 鋼片移載装置
KR101609350B1 (ko) 팔레트 운반 시스템
CN202540956U (zh) 上料卸料机
CN215100184U (zh) 一种送料设备
CN211686797U (zh) 一种用于瓷砖砖坯储仓的运输系统
CN209792291U (zh) 一种多层存放冷床
CN219483470U (zh) 一种岩棉板成品分拣装置
CN115649765B (zh) 大吨位带式输送机多点卸料器专用升降平台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