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875B1 -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875B1
KR101604875B1 KR1020100128641A KR20100128641A KR101604875B1 KR 101604875 B1 KR101604875 B1 KR 101604875B1 KR 1020100128641 A KR1020100128641 A KR 1020100128641A KR 20100128641 A KR20100128641 A KR 20100128641A KR 101604875 B1 KR101604875 B1 KR 101604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late holder
socket member
cam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8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7182A (ko
Inventor
박태곤
황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00128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875B1/ko
Publication of KR20120067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섹터투스(20)와 인터널기어(70)가 치합을 이룬 록킹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널기어(70)의 강한 치합력에 의해 더욱 큰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록킹해제상태에서 록킹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항상 섹터투스(20)와 인터널기어(70)의 완전 치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트 착석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시트백의 무단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시트백의 미세한 각도조절을 통해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Reclin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향상된 안전성을 갖춤과 더불어 무단으로 시트백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seat back),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쿠션과 시트백은 각각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에 의해 골격이 이루어지는 구성이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의 연접부위에는 승객의 체형에 맞도록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리클라이닝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리클라이닝장치는 두 개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시트의 좌,우측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두 개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샤프트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은 특허등록번호 10-0923944호에 기재된 종래 라운드형 리클라이닝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리클라이닝장치는 기어의 치합력으로 시트백의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다.
즉, 종래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회전중심돌기(1a)가 형성된 플레이트홀더(1),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내주면에 기어치(2a)가 형성된 섹터투스(2), 상기 플레이트홀더(1)와 상기 섹터투스(2)를 결합시키는 커버브라켓(3), 상기 플레이트홀더(1)와 상기 섹터투스(2)의 중앙부를 일체로 관통하는 샤프트(4), 상기 플레이트홀더(1)와 상기 섹터투스(2)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4)가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4)와 일체로 회전하는 캠레버(5), 상기 플레이트홀더(1)와 상기 캠레버(5)에 양단에 결합되어서 상기 캠레버(5)를 탄력적으로 회전 복귀시키는 캠스프링(6), 상기 캠레버(5)와 접촉하도록 상기 회전중심돌기(1a)에 끼워져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섹터투스(2)의 기어치(2a)와 치합을 이루는 기어치(7a)가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폴투스(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리클라이닝장치는 도 2와 같이 섹터투스(2)의 기어치(2a)에 폴투스(7)의 기어치(7a)가 서로 치합된 상태가 록킹상태로서, 상기 록킹상태에서는 상기 섹터투스(2)가 회전을 하지 못함에 따라 시트백은 전후방향 각도조절을 할 수 없는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록킹상태에서 샤프트(4)가 도 3과 같이 반 시계방향 회전을 하면 캠레버(5)가 동일방향 회전을 하면서 폴투스(7)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폴투스(7)가 회전중심돌기(1a)를 중심으로 회전을 함에 따라 섹터투스(2)의 기어치(2a)와 폴투스(7)의 기어치(7a)는 서로의 치합상태가 해제되는 바, 이때부터 록킹해제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록킹해제상태에서는 섹터투스(2)가 플레이트홀더(1)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시트백은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시트백의 각도조절 후 샤프트(4)에 가해주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캠스프링(6)의 복원력으로 캠레버(5)가 복귀하고, 계속해서 폴투스(7)가 복귀하여 섹터투스(2)의 기어치(2a)와 폴투스(7)의 기어치(7a)가 다시 치합된 록킹상태가 됨에 따라 시트백은 각도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클라이닝장치는 도 3과 같은 록킹해제상태에서 도 2와 같은 록킹상태가 될 때 섹터투스(2)의 기어치(2a)와 폴투스(7)의 기어치(7a)가 완전 치합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데, 즉 도 4와 같이 기어치(2a,7a)의 산끼리 서로 접촉하는 상태가 종종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 4의 상태는 불완전 치합상태로서 상기 불완전 치합상태에서는 섹터투스(2)의 회전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시트백은 움직임이 고정되지 못하여 전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외부 충격시 시트백의 갑작스러운 회전과 함께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는 등 안전상 문제가 있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상기 기어치(2a,7a)의 피치(pitch)에 의해 결정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시트백의 각도조절이 무단으로 이루어지는 리클라이닝장치에 비해 미세한 각도조절이 불가능하여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을 그만큼 감소시키는 단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트백의 각도조절이 기어 치합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라운드형 리클라이닝장치에서 불완전 치합상태를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향상된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무단으로 시트백의 각도조절이 가능해짐에 따라 미세한 각도조절을 통해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플레이트홀더와; 상기 플레이트홀더의 전면에 포개어지는 형태로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홀더를 향하는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어홈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섹터투스와; 상기 플레이트홀더와 상기 섹터투스 사이에 위치하면서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홀더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소켓부재와; 상기 플레이트홀더와 상기 섹터투스의 중심부 및 상기 소켓부재를 관통하면서 상기 소켓부재와 일체로 결합되는 샤프트와; 상기 플레이트홀더와 상기 섹터투스 사이에서 상기 플레이트홀더에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소켓부재의 회전 시 상기 소켓부재와의 접촉으로 상기 소켓부재를 향해 오므라드는 방향과 상기 소켓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캠레버 및 제2캠레버와;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홀더에 회전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캠레버 및 제2캠레버에 각각 회전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제1,2캠레버가 상기 소켓부재를 향해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섹터투스의 자유로운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2캠레버가 상기 소켓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섹터투스의 기어홈과 치합을 이루어 상기 섹터투스의 회전을 구속하는 다수개의 인터널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상기 플레이트홀더와 상기 섹터투스의 바깥 테두리를 일체로 감싸서 상기 플레이트홀더와 상기 섹터투스를 결합시키는 커버브라켓과; 상기 플레이트홀더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소켓부재에 타단이 결합되어서 상기 소켓부재의 회전에 대해 탄력적인 복귀력을 제공하는 소켓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는, 섹터투스와 인터널기어가 치합을 이룬 록킹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널기어의 강한 치합력에 의해 더욱 큰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록킹해제상태에서 록킹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항상 섹터투스와 인터널기어의 완전 치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트 착석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시트백의 무단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시트백의 미세한 각도조절을 통해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종래 리클라이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의 록킹상태로서 도 6의 배면도,
도 8과 도 9는 본 발명 리클라이닝장치의 록킹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 리클라이닝장치의 소켓부재와 제1,2캠레버 및 인터널기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 리클라이닝장치의 록킹해제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리클라이닝장치 중 시트백의 각도조절이 기어 치합구조에 의해 이루어지는 라운드형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도 5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전면에 포개어지는 형태로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홀더(10)를 향하는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어홈(21)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섹터투스(2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 사이에 위치하면서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소켓부재(3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의 중심부 및 상기 소켓부재(30)를 관통하면서 상기 소켓부재(30)와 일체로 결합되는 샤프트(4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 사이에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소켓부재(30)의 회전 시 상기 소켓부재(30)와의 접촉으로 상기 소켓부재(30)를 향해 오므라드는 방향과 상기 소켓부재(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캠레버(50) 및 제2캠레버(60)와,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회전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캠레버(50) 및 제2캠레버(60)에 각각 회전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제1,2캠레버(50,60)가 상기 소켓부재(30)를 향해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섹터투스(20)의 자유로운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2캠레버(50,60)가 상기 소켓부재(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섹터투스(20)의 기어홈(21)과 치합을 이루어 상기 섹터투스(20)의 회전을 구속하는 다수개의 인터널기어(7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의 바깥 테두리를 일체로 감싸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를 결합시키는 커버브라켓(80)과,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소켓부재(30)에 타단이 결합되어서 상기 소켓부재(30)의 회전에 대해 탄력적인 복귀력을 제공하는 소켓스프링(9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면서 중심부에는 상기 소켓부재(3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소켓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구멍(11)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의 위치에는 2개의 가이드돌기(12,13)가 상기 소켓구멍(1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가이드돌기(12,13)를 기준으로 양분된 위치에는 각각 2개씩의 기어이동구멍(14,15)이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기어이동구멍(14,15)은 모두 상기 소켓구멍(11)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의 위치하면서 상기 소켓구멍(11)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섹터투스(20)도 라운드형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상기 샤프트(40)가 관통하는 샤프트구멍(22)이 형성되는 바, 상기 섹터투스(20)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전면에 포개어지면 상기 기어홈(21)은 상기 기어이동구멍(14,15)의 외측에 위치하는 형태가 된다.
상기 플레이트홀더(10)는 시트쿠션마운팅브라켓(110)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시트쿠션마운팅브라켓(110)이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이며, 상기 섹터투스(20)는 섹터투스마운팅브라켓(120)과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섹터투스마운팅브라켓(120)이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인 바, 이에 따라 시트백이 각도조절을 위해 전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섹터투스(20)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대해 회전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형성된 2개의 가이드돌기(12,13)는 모두 타원형 돌기로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돌기(12,13)의 양단은 상기 2개의 가이드돌기(12,13)가 상기 소켓구멍(11)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소켓부재(30)는 상기 소켓구멍(11)으로 끼워져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이프부(31)와, 상기 섹터투스(20)를 향하는 상기 파이프부(3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파이프부(31)의 축 회전시 바깥 둘레면이 상기 제1,2캠레버(50,60)와 접촉하는 캠부(32)와, 상기 파이프부(31)와 상기 캠부(32)를 동시에 관통하여 형성되면서 상기 샤프트(40)와 결합을 이루는 스플라인구멍(33)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캠부(32)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소켓부재(30)가 시계 및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제1,2캠레버(50,60)와 접촉하여 상기 제1,2캠레버(50,60)가 상기 소켓부재(30)가 있는 방향으로 오므라들게 직선 이동시키는 제1해제돌기(32a) 및 제2해제돌기(32b)가 상기 캠부(32)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해제돌기(32a,32b) 사이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소켓부재(30)가 반대방향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제1,2캠레버(50,60)와 접촉하여 상기 제1,2캠레버(50,60)를 상기 소켓부재(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1치합돌기(32c) 및 제2치합돌기(32d)가 상기 캠부(32)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 위치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캠레버(50,60)에는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가이드돌기(12,13)에 끼워지는 가이드구멍(51,61)이 각각 1개씩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구멍(51,61)은 양단의 길이가 상기 가이드돌기(12,13)보다 긴 타원형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51,61)이 상기 가이드돌기(12,13)에 끼워진 상태일 때 상기 기어이동구멍(14,15)과 연결되는 기어설치구멍(52,62)이 각각 2개씩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구멍(51,61)이 상기 가이드돌기(12,13)에 끼워진 상태일 때 상기 소켓부재(30)의 캠부(32)와 대면하는 내주면은 각각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원호를 이루는 캠부(32)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2해제돌기(32a,32b) 및 제1,2치합돌기(32c,32d)와 접촉하는 제1작동돌기(53,63)와 제2작동돌기(54,64)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2캠레버(50,60)에 형성된 상기 기어설치구멍(52,62)과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형성된 상기 기어이동구멍(14,15)은 모두 타원형 구멍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기어설치구멍(52,62)은 양단이 상기 가이드구멍(51,61)에 직각인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어이동구멍(14,15)은 상기 소켓구멍(31)을 중심으로 한 반경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인터널기어(70)는 상기 제1,2캠레버(50,60)의 직선이동에 따라 서로 치합을 이루는 제1,2인터널기어(71,72) 및 제3,4인터널기어(73,74)로 구성되면서 각각에는 양쪽 측면으로 돌출된 기어돌기(71a,72a,73a,74a)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상기 제1,2인터널기어(71,72)의 기어돌기(71a,72a)는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형성된 2개의 기어이동구멍(14) 및 상기 제1캠레버(50)에 형성된 기어설치구멍(52)에 각각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제3,4인터널기어(73,74)의 기어돌기(73a,74a)는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형성된 나머지 2개의 기어이동구멍(15) 및 상기 제2캠레버(60)에 형성된 기어설치구멍(62)에 각각 끼워져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스프링(90)은 상기 소켓부재(30)의 파이프부(31)에 태엽 모양으로 감겨진 형태의 스프링으로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바깥면에 지지되는 형태로 고정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파이프부(31)에 결합되어서 고정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 리클라이닝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의 상태는 섹터투스(20)의 기어홈(21)에 4개의 인터널기어(70)가 모두 치합을 이루고 동시에 제1,2인터널기어(71,72)끼리 서로 치합을 이룸과 더불어 제3,4인터널기어(73,74)끼리 서로 치합을 이룬 록킹상태로서, 상기와 같은 록킹상태에서는 시트백과 결합된 섹터투스(20)가 개별적으로 회전하지 못하도록 일체화를 이룬 상기 인터널기어(70)와의 치합에 의해 플레이트홀더(10)에 대해 회전을 하지 못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시트백은 전후방향으로 각도조절을 할 수 없는 상태이다.
또한, 상기 록킹상태에서는 인터널기어(70)가 모두 섹터투스(20)의 기어홈(21)과 치합을 이룬 상태일 뿐만 아니라, 제1,2인터널기어(71,72)가 서로 치합된 상태이면서 제3,4인터널기어(73,74)가 서로 치합된 상태가 됨에 따라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장치는 록킹상태에서 더욱 큰 제동력을 발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큰 제동력은 충돌 및 추돌 사고 시에 강한 외력이 시트백에 작용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변경 방지 및 상기 시트백의 고정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이러한 역할에 의해 시트 착석자의 부상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록킹상태에서 시트백의 각도조절을 위해 시트 착석자가 조작레버를 조작하고, 이로 인해 샤프트(40)가 도 8의 도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축 회전하면, 소켓부재(30)도 동일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제1,2해제돌기(32a,32b)는 제1,2캠레버(50,60)의 제1작동돌기(51,61)와 접촉하게 된다.
제1,2해제돌기(32a,32b)가 제1작동돌기(51,61)와 접촉한 상태로 상기 소켓부재(30)가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제1,2캠레버(50,60)는 가이드돌기(12,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켓부재(30)를 향하여 오므라드는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이 결과 상기 제1,2캠레버(50,60)는 도 13과 같은 상태가 된다.
도 8과 같은 록킹상태에서 도 13 내지 도 15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제1,2캠레버(50,60)가 소켓부재(30)를 향하여 오므라드는 직선이동을 할 때에, 제1,2인터널기어(71,72)와 제3,4인터널기어(73,74)는 각각 타원으로 형성된 가이드이동구멍(14,15) 및 가이드설치구멍(52,62)을 따라 이동을 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제1,2,3,4인터널기어(71,72,73,74)는 도 15와 같이 각각 섹터투스(20)의 기어홈(21)과 치합을 이룬 상태이지만 제1,2인터널기어(71,72)끼리는 치합이 해제된 상태가 되고 동시에 제3,4인터널기어(73,74)끼리도 치합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제1,2인터널기어(71,72)끼리 치합이 해제되고 동시에 제3,4인터널기어(73,74)끼리도 치합이 해제된 상태가 되면, 상기 제1,2,3,4인터널기어(71,72,73,74)가 각각 섹터투스(20)의 기어홈(21)과 치합을 이룬 상태일지라도 섹터투스(20)의 회전시 기어돌기(71a,72a,73a,74a)를 중심으로 각각 회전할 수 있는 록킹해제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록킹해제상태에서는 섹터투스(20)가 플레이트홀더(10)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한 상태인 바, 이로 인해 시트백은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시트백의 각도조절 후 샤프트(40)에 가해주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소켓스프링(9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40)와 소켓부재(30)는 도 13의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 과정 중 제1,2치합돌기(32c,32d)는 제1,2캠레버(50,60)의 제2작동돌기(54,64)와 접촉을 하게 된다.
제1,2치합돌기(32c,32d)가 제2작동돌기(54,64)와 접촉한 상태로 상기 소켓부재(30)가 동일 방향으로 계속 회전하면, 제1,2캠레버(50,60)는 가이드돌기(12,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켓부재(30)로부터 각각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1,2캠레버(50,60)는 도 8과 같은 상태가 되며, 이 결과 제1,2,3,4인터널기어(71,72,73,74)가 섹터투스(20)의 기어홈(21)과 치합을 이룬 상태에서 제1,2인터널기어(71,72)끼리 다시 치합되고 동시에 제3,4인터널기어(73,74)끼리도 다시 치합되어 재차 록킹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시트백은 각도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5와 같은 록킹해제상태에서 도 9와 같은 록킹상태가 되면 모든 인터널기어(70)가 섹터투스(20)의 기어홈(21)과 치합을 이루게 될 뿐만 아니라, 제1,2인터널기어(71,72)끼리 서로 치합되고 동시에 제3,4인터널기어(73,74)끼리도 서로 치합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록킹상태에서 더욱 큰 제동력을 발휘하게 된다.
한편, 도 15와 같은 록킹해제상태에서 도 9와 같은 록킹상태로 전환될 때 섹터투스(20)의 기어치(21)와 인터널기어(70)의 기어치가 완전한 치합을 이루지 못하고 기어치의 산끼리 서로 접촉하는 불완전 치합상태가 발생할 수도 있다.(도 4와 같은 상태)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전술한 록킹해제상태일 때 모든 인터널기어(70)는 각각의 기어돌기(71a,72a,73a,74a)를 중심으로 자유로이 회전을 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상기와 같이 섹터투스(20)의 기어치(21)와 인터널기어(70)의 기어치가 완전한 치합을 이루지 못하고 기어치의 산끼리 서로 접촉하는 불완전 치합상태가 발생하더라도 모든 인터널기어(70)의 자유로운 회전에 의해 항상 완전 치합을 이룰 수 있게 되는 바, 이 결과 도 4의 종래와 같은 불완전 치합상태의 발생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불완전 치합상태의 발생을 없앨 수 있게 되면 충돌 및 추돌 사고시 발생하는 외부 충격에 의한 시트백의 갑작스러운 회전을 예방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뒤로 젖혀지는 등 안전상 해가 되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어서 시트 착석자에 대한 보다 향상된 안전성을 갖출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섹터투스(20)의 기어치(21)와 인터널기어(70)의 피치(pitch)에 의해 결정되는 기어식 구조이기는 하지만, 록킹해제상태에서 록킹상태로 전환될 때 섹터투스(20)의 기어치(21)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널기어(70)의 자유로운 회전에 의해 항상 완전 치합을 이룰 수 있는 구조인 바,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백의 각도조절이 무단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며, 이 결과 시트백의 미세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섹터투스(20)와 인터널기어(70)가 치합을 이룬 록킹상태에서는 상기 인터널기어(70)의 강한 치합력에 의해 더욱 큰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시트 착석자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록킹해제상태에서 록킹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항상 섹터투스(20)와 인터널기어(70)의 완전 치합을 유도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시트 착석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시트백의 무단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므로 시트백의 미세한 각도조절을 통해 시트 착석자의 승차감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10 - 플레이트홀더 20 - 섹터투스
30 - 소켓부재 40 - 샤프트
50 - 제1캠레버 60 - 제2캠레버
70 - 인터널기어 80 - 커버브라켓
90 - 소켓스프링

Claims (10)

  1.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된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전면에 포개어지는 형태로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홀더(10)를 향하는 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기어홈(21)이 연속적으로 형성된 섹터투스(2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 사이에 위치하면서 일단이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설치되는 소켓부재(3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의 중심부 및 상기 소켓부재(30)를 관통하면서 상기 소켓부재(30)와 일체로 결합되는 샤프트(4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 사이에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결합되어 설치되면서 상기 소켓부재(30)의 회전 시 상기 소켓부재(30)와의 접촉으로 상기 소켓부재(30)를 향해 오므라드는 방향과 상기 소켓부재(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제1캠레버(50) 및 제2캠레버(60)와;
    일단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회전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캠레버(50) 및 제2캠레버(60)에 각각 회전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제1,2캠레버(50,60)가 상기 소켓부재(30)를 향해 오므라드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섹터투스(20)의 자유로운 회전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1,2캠레버(50,60)가 상기 소켓부재(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상기 섹터투스(20)의 기어홈(21)과 치합을 이루어 상기 섹터투스(20)의 회전을 구속하는 다수개의 인터널기어(70)
    를 포함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면서 중심부에는 상기 소켓부재(3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소켓구멍(11)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구멍(11)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의 위치에는 2개의 가이드돌기(12,13)가 상기 소켓구멍(1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며;
    상기 2개의 가이드돌기(12,13)를 기준으로 양분된 위치에는 각각 2개씩의 기어이동구멍(14,15)이 서로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기어이동구멍(14,15)은 모두 상기 소켓구멍(11)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의 위치하면서 상기 소켓구멍(11)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12,13)는 타원형 돌기로 형성되는데 상기 가이드돌기(12,13)의 양단은 상기 2개의 가이드돌기(12,13)가 상기 소켓구멍(11)을 중심으로 대칭되는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재(30)는
    상기 소켓구멍(11)으로 끼워져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파이프부(31)와;
    상기 섹터투스(20)를 향하는 상기 파이프부(31)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상기 파이프부(31)의 축 회전시 바깥 둘레면이 상기 제1,2캠레버(50,60)와 접촉하는 캠부(32)와;
    상기 파이프부(31)와 상기 캠부(32)를 동시에 관통하여 형성되면서 상기 샤프트(40)와 결합을 이루는 스플라인구멍(33)
    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캠부(32)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소켓부재(30)가 시계 및 반 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제1,2캠레버(50,60)와 접촉하여 상기 제1,2캠레버(50,60)가 상기 소켓부재(30)가 있는 방향으로 오므라들게 직선 이동시키는 제1해제돌기(32a) 및 제2해제돌기(32b)가 상기 캠부(32)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 위치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2해제돌기(32a,32b) 사이의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소켓부재(30)가 반대방향 회전을 할 때에 상기 제1,2캠레버(50,60)와 접촉하여 상기 제1,2캠레버(50,60)를 상기 소켓부재(3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시키는 제1치합돌기(32c) 및 제2치합돌기(32d)가 상기 캠부(32)의 중심에 대해 대칭적 위치에 각각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2캠레버(50,60)에는 상기 가이드돌기(12,13)에 끼워지는 가이드구멍(51,61)이 각각 1개씩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구멍(51,61)은 양단의 길이가 상기 가이드돌기(12,13)보다 긴 타원형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구멍(51,61)이 상기 가이드돌기(12,13)에 끼워진 상태일 때 상기 기어이동구멍(14,15)과 연결되는 기어설치구멍(52,62)이 각각 2개씩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구멍(51,61)이 상기 가이드돌기(12,13)에 끼워진 상태일 때 상기 캠부(32)와 대면하는 내주면은 각각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되고;
    원호를 이루는 상기 캠부(32)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2해제돌기(32a,32b) 및 제1,2치합돌기(32c,32d)와 접촉하는 제1작동돌기(53,63)와 제2작동돌기(54,64)가 각각 돌출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2캠레버(50,60)에 형성된 상기 기어설치구멍(52,62)과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형성된 상기 기어이동구멍(14,15)은 모두 타원형 구멍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기어설치구멍(52,62)은 양단이 상기 가이드구멍(51,61)에 직각인 수평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어이동구멍(14,15)은 상기 소켓구멍(11)을 중심으로 한 반경방향을 따라 경사진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인터널기어(70)는 상기 제1,2캠레버(50,60)의 직선이동에 따라 서로 치합을 이루는 제1,2인터널기어(71,72) 및 제3,4인터널기어(73,74)로 구성되면서 각각에는 양쪽 측면으로 돌출된 기어돌기(71a,72a,73a,74a)가 일체로 구비되는데;
    상기 제1,2인터널기어(71,72)의 기어돌기(71a,72a)는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형성된 2개의 기어이동구멍(14) 및 상기 제1캠레버(50)에 형성된 기어설치구멍(52)에 각각 끼워져서 설치되고;
    상기 제3,4인터널기어(73,74)의 기어돌기(73a,74a)는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형성된 나머지 2개의 기어이동구멍(15) 및 상기 제2캠레버(60)에 형성된 기어설치구멍(62)에 각각 끼워져서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의 바깥 테두리를 일체로 감싸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를 결합시키는 커버브라켓(8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소켓부재(30)에 타단이 결합되어서 상기 소켓부재(30)의 회전에 대해 탄력적인 복귀력을 제공하는 소켓스프링(9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20100128641A 2010-12-15 2010-12-15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1604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641A KR101604875B1 (ko) 2010-12-15 2010-12-15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28641A KR101604875B1 (ko) 2010-12-15 2010-12-15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182A KR20120067182A (ko) 2012-06-25
KR101604875B1 true KR101604875B1 (ko) 2016-03-21

Family

ID=4668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8641A KR101604875B1 (ko) 2010-12-15 2010-12-15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87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073A (ja) 1999-09-08 2001-03-21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リクライナ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0073A (ja) 1999-09-08 2001-03-21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リクライナ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182A (ko)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607B2 (en) Reclining device for seats in vehicles
KR101327956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US8985690B2 (en) Seat reclining device and seat device
KR100923944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0589834B1 (ko)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JP4308859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850832B1 (ko) 카시트의 회전장치
WO2014049723A1 (ja) ヘッドレスト
JP2004290243A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7225929B2 (ja) 乗物用シート
WO2014049726A1 (ja) ヘッドレスト
JP6750471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604875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JP6809161B2 (ja) 乗物用シート
JP2001157615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11105239A (ja) 車両用シート
JP2016097746A (ja) ヘッドレスト用傾倒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KR20110012897A (ko) 다중 고정 타입 리클라이너 레버 장치
JP7053107B1 (ja) 車両用シート
JP2007330480A (ja) 車両用シート等のロック付き操作装置
KR101626625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1095299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US10173569B2 (en) Head restraint assembly
KR101073457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JP2001000265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