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625B1 -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625B1
KR101626625B1 KR1020100098379A KR20100098379A KR101626625B1 KR 101626625 B1 KR101626625 B1 KR 101626625B1 KR 1020100098379 A KR1020100098379 A KR 1020100098379A KR 20100098379 A KR20100098379 A KR 20100098379A KR 101626625 B1 KR101626625 B1 KR 101626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tooth
pole tooth
center
plat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8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36612A (ko
Inventor
정기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000983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625B1/ko
Publication of KR201200366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66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625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구성 부품간 작동면의 마찰접촉을 통해 무단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구성으로 리클라이닝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부품의 치형 가공을 위해 필요한 금형 비용을 없앨 수 있게 되므로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제작 시간의 단축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Reclin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크절의 끼임구조를 이용한 마찰접촉 고정방식 구조를 채택함에 따라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무단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된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트는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seat back),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쿠션과 시트백은 각각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에 의해 골격이 이루어지는 구성이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의 연접부위에는 승객의 체형에 맞도록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리클라이닝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리클라이닝장치는 두 개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시트의 좌,우측부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두 개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샤프트를 통해 일체로 연결되어 동시에 동작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는 특허등록번호 10-0923944호에 기재된 라운드형 리클라이닝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회전중심돌기(1a)가 형성된 플레이트홀더(1),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내주면에 기어치(2a)가 형성된 섹터투스(2)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와 상기 섹터투스(2)를 결합시키는 커버브라켓(3), 상기 플레이트홀더(1)와 상기 섹터투스(2)의 중앙부를 일체로 관통하는 샤프트(4), 상기 플레이트홀더(1)와 상기 섹터투스(2)사이의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4)가 관통하여 결합되며 상기 샤프트(4)와 일체로 회전하는 캠레버(5), 상기 플레이트홀더(1)와 상기 캠레버(5)에 양단에 결합되어서 상기 캠레버(5)를 탄력적으로 회전 복귀시키는 캠스프링(6), 상기 캠레버(5)와 접촉하도록 상기 회전중심돌기(1a)에 끼워져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섹터투스(2)의 기어치(2a)와 치합을 이루는 기어치(7a)가 바깥 둘레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폴투스(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성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리클라이닝장치는 도 2와 같이 섹터투스(2)의 기어치(2a)에 폴투스(7)의 기어치(7a)가 서로 치합된 상태가 록킹상태로서, 상기 록킹상태에서는 상기 섹터투스(2)가 회전을 하지 못함에 따라 시트백은 전후방향 각도조절을 할 수 없는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록킹상태에서 샤프트(4)가 도 3과 같이 반 시계방향 회전을 하면 캠레버(5)가 동일방향 회전을 하면서 폴투스(7)를 가압하게 되고, 상기 폴투스(7)가 회전중심돌기(1a)를 중심으로 회전을 함에 따라 섹터투스(2)의 기어치(2a)와 폴투스(7)의 기어치(7a)는 서로의 치합상태가 해제되는 바, 이때부터 록킹해제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은 록킹해제상태에서는 섹터투스(2)가 플레이트홀더(1)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시트백은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시트백의 각도조절 후 샤프트(4)에 가해주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캠스프링(6)의 복원력으로 캠레버(5)가 복귀하고, 계속해서 폴투스(7)가 복귀하여 섹터투스(2)의 기어치(2a)와 폴투스(7)의 기어치(7a)가 다시 치합된 록킹상태가 됨에 따라 시트백은 각도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섹터투스(2)의 기어치(2a) 및 폴투스(7)의 기어치(7a)와 같이 서로 상대되는 두 부품간 기어 치합구조를 통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구조로, 부품에 치형 가공을 위한 금형비 상승 및 가공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어 치합구조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치형간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어치의 크기를 축소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바, 이에 따라 리클라이닝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기어 치합구조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초과 하중 입력시 기어치의 파손 및 마모 발생이 빈번하고, 이럴 경우 결합력이 저하됨에 따라 승객의 부상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단점은 기어치 사이에 이물질이 끼이는 현상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기어 치합구조 대신에 링크절의 끼임구조를 이용한 마찰접촉 고정방식 구조의 새로운 리클라이닝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무단으로 변경할 수 있고, 금형비 및 가공비의 감축을 통해 제조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리클라이닝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회전중심홈이 형성된 플레이트홀더와;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는 원형홈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홈을 형성하는 테두리의 내주면이 제동면 기능을 수행하는 섹터투스와; 상기 회전중심홈과 상기 원형홈이 마주 대하도록 중첩된 상기 플레이트홀더와 상기 섹터투스의 바깥 테두리를 일체로 감싸서 상기 플레이트홀더와 상기 섹터투스를 결합시키는 커버브라켓과; 상기 회전중심홈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일단의 회전 방향에 따라 타단쪽 면이 상기 제동면과 접촉하거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제동유니트와; 상기 제동유니트와 연결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제동유니트가 상기 회전중심홈에 끼워진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동유니트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제동유니트 작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동유니트는 상기 다수개의 회전중심홈 중 인접한 2개의 회전중심홈에 서로 대칭구조가 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동일형상의 제1폴투스 및 제2폴투스와; 상기 제1폴투스와 상기 제2폴투스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설치된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또한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동유니트 작동기구는 상기 섹터투스와 상기 제동유니트 사이에서 상기 제동유니트의 측면에 덧대여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스플라인 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투스돌기가 끼워지는 제1가이드구멍과 제2가이드구멍이 원주방향을 따라 슬릿모양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레버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홀더와 상기 레버플레이트 및 상기 섹터투스의 중심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상기 레버플레이트의 스플라인 구멍과 스플라인 결합을 이루어 상기 레버플레이트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샤프트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는, 링크절의 끼임구조를 이용한 마찰접촉 고정방식 구조이면서 무단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한 새로운 방식의 구성으로 리클라이닝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부품의 치형 가공을 위해 필요한 금형 비용을 없앨 수 있게 되므로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제작 시간의 단축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 리클라이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Ⅰ-Ⅰ선 단면도,
도 7은 제1,2폴투스의 제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것으로 도 6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8과 도 9는 제1,2폴투스의 제동해제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의 연접부위에 설치되어서 승객의 체형에 맞도록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라운드형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기술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회전중심홈(12)이 형성된 플레이트홀더(10)와,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는 원형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홈(21)을 형성하는 테두리의 내주면이 제동면(22) 기능을 수행하는 섹터투스(20)와, 상기 회전중심홈(12)과 상기 원형홈(21)이 마주 대하도록 중첩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의 바깥 테두리를 일체로 감싸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를 결합시키는 커버브라켓(30)과, 상기 회전중심홈(1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일단의 회전 방향에 따라 타단쪽 면이 상기 제동면(22)과 접촉하거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제동유니트(40)와, 상기 제동유니트(40)와 연결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제동유니트(40)가 상기 회전중심홈(12)에 끼워진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동유니트(40)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제동유니트 작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일면 중심부에는 상기 섹터투스(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면(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면(11)의 바깥 테두리에 상기 회전중심홈(12)이 다수개가 형성된 구조로서, 상기 다수개의 회전중심홈(12)은 상기 가이드돌기면(11)의 바깥 테두리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C1)을 향하는 방향이 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동유니트(40)는 상기 다수개의 회전중심홈(12) 중 인접한 2개의 회전중심홈(12)에 서로 대칭구조가 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동일형상의 제1폴투스(41) 및 제2폴투스(42)와, 상기 제1폴투스(41)와 상기 제2폴투스(42)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설치된 코일스프링(4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동유니트(40)는 견고한 제동력 확보를 위해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바, 3개 이상으로 구성된 상기 제동유니트(40)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설치될 때 상기 제1폴투스(41)와 상기 제2폴투스(42)가 교대로 배치되게 상기 회전중심홈(12)에 끼워져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기 제동유니트(40)를 구성하는 상기 제1폴투스(41)와 상기 제2폴투스(42)는 상기 회전중심홈(1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형성된 일단의 원형부(41a,42a)와, 상기 회전중심홈(12)에 상기 원형부(41a,42a)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동면(22)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C1)과 상기 원형부(41a,42a)의 중심(C2)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기준선(L1)에 대해 상기 코일스프링(43)이 있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형성된 몸체부(41b,42b)와, 상기 몸체부(41b,42b)의 일면에서 상기 섹터투스(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투스돌기(41c,42c)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41b,42b)의 끝단 면은 상기 제동면(22)과 접촉하는 면으로 상기 제동면(22)과 동일한 곡률의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투스돌기(41c,42c)는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C1)과 상기 원형부(41a,42a)의 중심(C2)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기준선(L1)에 대해 상기 코일스프링(43)이 있는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부(41b,42b)의 끝단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제동유니트 작동기구는 상기 섹터투스(20)와 상기 제동유니트(40) 사이에서 상기 제동유니트(40)의 측면에 덧대여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스플라인 구멍(51)이 형성되며 상기 투스돌기(41c,42c)가 각각 끼워지는 제1가이드구멍(52)과 제2가이드구멍(53)이 원주방향을 따라 슬릿모양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레버플레이트(5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레버플레이트(50) 및 상기 섹터투스(20)의 중심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상기 레버플레이트(50)의 스플라인 구멍(51)과 스플라인 결합을 이루어 상기 레버플레이트(5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샤프트(6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60)의 일단에는 샤프트(60)를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조작레버(미도시)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조작레버에는 복귀스프링(미도시)이 결합되어 있는 바, 상기 복귀스프링은 일 방향으로(시계방향)으로 회전한 상기 조작레버를 타 방향으로(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최초 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레버플레이트(50)에 형성된 상기 제1가이드구멍(52)은 상기 제1폴투스(41)의 투스돌기(41c)가 끼워지는 구멍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C1)에 점차 가까워지는 경사진 원호모양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제1폴투스(41)의 끝단쪽 면이 상기 제동면(22)과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투스돌기(41c)는 상기 제1가이드구멍(52)에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C1)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의 일단쪽 끝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이드구멍(53)은 상기 제2폴투스(42)의 투스돌기(42c)가 끼워지는 구멍으로 상기 제동면(22)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원호모양의 아이들구간(53a)과, 상기 아이들구간(53a)과 연결되면서 상기 아이들구간(53a)과 멀어질수록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C1)에 점차 가까워지는 경사진 원호모양의 작동구간(53b)으로 이루어진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제2폴투스(42)의 끝단쪽 면이 상기 제동면(22)과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투스돌기(42c)는 상기 제2가이드구멍(53)의 양단 중 상기 아이들구간(53a)의 끝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동면(22)과 접촉하고 있던 상기 제1폴투스(41)의 끝단 면이 상기 레버플레이트(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폴투스(41)가 원형부(41a)를 중심으로 13도(°) 내지 15도(°)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제동면(22)과 상기 제1폴투스(41)의 끝단 면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제2폴투스(42)의 투스돌기(42c)는 상기 아이들구간(53a)을 벗어나서 상기 작동구간(53b)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2가이드구멍(53)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 리클라이닝장치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6과 도 7의 상태는 제1,2폴투스(41,42)의 끝단 면이 섹터투스(20)의 제동면(22)과 마찰에 의한 면접촉을 이루고 있는 록킹상태로서, 상기와 같은 록킹상태에서는 시트백과 결합된 섹터투스(20)가 플레이트홀더(10)에 대해 회전을 하지 못함에 따라 상기 시트백은 전후방향으로 각도조절을 할 수 없는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록킹상태에서 시트백에 강한 외력이 작용하고, 이로 인해 섹터투스(20)가 도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더라도 제2폴투스(42)의 끝단 면이 섹터투스(20)의 제동면(22)에 강하게 끼여서 더욱 큰 제동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상기 섹터투스(2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시트백도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시트백에 가해지는 강한 외력에 의해 섹터투스(20)가 도시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을 때에는 제1폴투스(41)의 끝단 면이 섹터투스(20)의 제동면(22)에 강하게 끼여서 더욱 큰 제동력을 발휘하게 되므로, 상기 섹터투스(20)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시트백도 회전을 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은 충돌 및 추돌 사고시 시트 착석자의 상체가 관성력에 의해 움직였다가 시트백과 접촉하면서 시트백에 강한 충격을 가할 때, 상기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변경을 방지하고 동시에 상기 시트백의 고정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이러한 역할에 의해 시트 착석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어 치합구조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백에 가해지는 강한 외력에 의해 기어의 마모, 내구성 약화 및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충돌 및 추돌 사고시 시트백의 고정상태가 외력에 의해 해제되면서 전후방향 각도가 스스로 변경됨에 따라 시트 착석자의 부상을 가중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리클라이닝장치의 단점을 완전히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록킹상태에서 시트백의 각도조절을 위해 시트 착석자가 조작레버를 조작하고, 이로 인해 샤프트(60)가 도 6 및 도 7의 도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축 회전함에 따라 레버플레이트(50)가 함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가이드구멍(52)의 형상에 의해 제1폴투스(41)의 투스돌기(41c)에는 법선(L2)에 수직한 분력(F1)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1폴투스(41)는 원형부(41a)의 중심(C2)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중심홈(12)에 끼워진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제1폴투스(41)의 투스돌기(41c)는 도시 상태에서 제1가이드구멍(52)의 우측 끝을 향해 점차 이동하는 상태가 되며, 동시에 제2폴투스(42)의 투스돌기(42c)는 제2가이드구멍(53)에서 아이들구간(53a)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폴투스(41)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이때부터 제1폴투스(41)의 끝단 면과 제동면(22)과의 접촉면적은 점차 줄어들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계속 진행되어서 샤프트(60) 및 레버플레이트(50)가 13도(°) 내지 15도(°) 가량 회전이 되면, 제1폴투스(41)의 시계방향 회전이 더욱 진행되어서 결국 상기 제1폴투스(41)의 끝단 면은 도 8과 같이 제동면(22)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져서 접촉이 해제되고, 이때부터 제2폴투스(42)의 투스돌기(42c)는 제2가이드구멍(53)에서 작동구간(53b)과 접촉한 상태가 되며, 동시에 제2가이드구멍(53)의 작동구간(53b)에 의해 상기 제2폴투스(42)의 투스돌기(42c)에는 법선(L3)에 수직한 분력(F2)이 작용하게 된다.
도 8의 상태에서 샤프트(60) 및 레버플레이트(50)가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을 하면 제2폴투스(42)는 원형부(42a)의 중심(C2)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중심홈(12)에 끼워진 상태에서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제1폴투스(41)의 투스돌기(41c)는 제1가이드구멍(52)의 우측 끝을 향해 더 많이 이동한 상태가 되며, 동시에 제2폴투스(42)의 투스돌기(42c)는 제2가이드구멍(53)에서 작동구간(53b)을 우측 끝을 향해 더 많이 이동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2폴투스(42)가 반 시계방향 회전을 하면, 이때부터 제2폴투스(42)의 끝단 면과 제동면(22)과의 접촉면적은 점차 줄어들게 되고, 상기와 같은 동작이 계속 진행되어서 샤프트(60) 및 레버플레이트(50)가 더 많이 회전을 하면, 제2폴투스(42)의 반 시계방향 회전이 더욱 진행되어서 결국 상기 제2폴투스(42)의 끝단 면은 도 9와 같이 제동면(22)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져서 접촉이 해제된 상태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폴투스(41)의 끝단 면이 먼저 제동면(22)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져서 접촉이 해제되고, 계속해서 제2폴투스(42)의 끝단 면이 제동면(22)으로부터 완전히 떨어져서 접촉이 해제되면, 이때부터 시트백과 결합된 섹터투스(20)는 플레이트홀더(10)에 대해 자유로운 회전을 할 수 있는 록킹해제상태가 되며, 상기와 같은 록킹해제상태에서 시트 착석자는 시트백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시트백의 각도조절 후 조작레버에 가해주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면, 상기 조작레버가 복귀스프링에 의해 반대로 회전하여 복귀하고, 동시에 상기 조작레버와 연결된 샤프트(60) 및 레버플레이트(50)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복귀하게 된다.
또한, 제동유니트(40)를 구성하는 코일스프링(43)의 복원력에 의해 제1,2폴투스(41,42)도 반대로 회전을 하여 복귀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2폴투스(41,42)의 끝단 면은 다시 섹터투스(20)의 제동면(22)과 마찰에 의한 면접촉을 이루게 되고, 이로 인해 리클라이닝장치는 다시 록킹상태로 전환되어 시트백은 각도조절이 완료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2가이드구멍(52,53)의 형상에 의해 제1폴투스(41)의 제동해제가 먼저 진행되고 그 후에 제2폴투스(42)의 제동해제가 진행되는 구성으로, 이와 같이 제1,2폴투스(41,42)의 제동해제에 시간차를 두는 이유는 조작력을 최대한 경감시키기 위함이다.
만일, 제2가이드구멍(53)을 제1가이드구멍(52)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형성하면 제1,2폴투스(41,42)의 제동해제는 동시에 진행되지만, 이럴 경우 제동해제에 필요한 조작력은 배가되기 때문에 작동시 조작감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피로감이 가중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자의 조작감성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조작력을 최대한 경감시킴으로써 보다 원활한 작동 및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2가이드구멍(52,53)의 형상에 차이를 두었고, 이를 통해 제1,2폴투스(41,42)의 제동해제에 시간차가 발생하도록 구성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종래와 같이 기어 치합구조에 의해 작동하는 구성이 아니라 면과 면끼리의 마찰접촉에 의해 무단으로 작동하는 새로운 방식의 구성으로, 리클라이닝장치의 콤팩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리클라이닝장치는 부품의 치형 가공을 위해 필요한 금형 비용을 없앨 수 있으므로 원가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제작 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10 - 플레이트홀더 20 - 섹터투스
30 - 커버브라켓 40 - 제동유니트
50 - 레버플레이트 60 - 샤프트

Claims (10)

  1.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 다수개의 회전중심홈(12)이 형성된 플레이트홀더(10)와;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고 일면에는 원형홈(21)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홈(21)을 형성하는 테두리의 내주면이 제동면(22) 기능을 수행하는 섹터투스(20)와;
    상기 회전중심홈(12)과 상기 원형홈(21)이 마주 대하도록 중첩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의 바깥 테두리를 일체로 감싸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섹터투스(20)를 결합시키는 커버브라켓(30)과;
    상기 회전중심홈(1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상기 일단의 회전 방향에 따라 타단쪽 면이 상기 제동면(22)과 접촉하거나 접촉이 해제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개의 제동유니트(40)와;
    상기 제동유니트(40)와 연결되게 설치되어서 상기 제동유니트(40)가 상기 회전중심홈(12)에 끼워진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제동유니트(40)에 회전력을 부가하는 제동유니트 작동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유니트(40)는, 상기 다수개의 회전중심홈(12) 중 인접한 2개의 회전중심홈(12)에 서로 대칭구조가 되도록 각각 설치되는 동일형상의 제1폴투스(41) 및 제2폴투스(42)와, 상기 제1폴투스(41)와 상기 제2폴투스(42)에 양단이 결합되도록 설치된 코일스프링(43)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폴투스(41)와 상기 제2폴투스(42)는, 상기 회전중심홈(1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형성된 일단의 원형부(41a,42a)와, 상기 회전중심홈(12)에 상기 원형부(41a,42a)가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동면(22)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되,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C1)과 상기 원형부(41a,42a)의 중심(C2)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기준선(L1)에 대해 상기 코일스프링(43)이 있는 방향으로 편심되어 형성된 몸체부(41b,42b)와. 상기 몸체부(41b,42b)의 일면에서 상기 섹터투스(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투스돌기(41c,42c)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41b,42b)의 끝단 면이 상기 제동면(22)과 접촉하는 면으로 상기 제동면(22)과 동일한 곡률의 원호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동유니트 작동기구는, 상기 섹터투스(20)와 상기 제동유니트(40) 사이에서 상기 제동유니트(40)의 측면에 덧대여지는 구조로 설치되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부에는 스플라인 구멍(51)이 형성되며 상기 투스돌기(41c,42c)가 각각 끼워지는 제1가이드구멍(52) 및 제2가이드구멍(53)이 원주방향을 따라 슬릿모양으로 다수개가 형성된 레버플레이트(50)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와 상기 레버플레이트(50) 및 상기 섹터투스(20)의 중심을 동시에 관통하면서 상기 레버플레이트(50)의 스플라인 구멍(51)과 스플라인 결합을 이루어 상기 레버플레이트(50)와 일체로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된 샤프트(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일면 중심부에는 상기 섹터투스(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면(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면(11)의 바깥 테두리에 상기 회전중심홈(12)이 다수개가 형성되되;
    상기 다수개의 회전중심홈(12)은 상기 가이드돌기면(11)의 바깥 테두리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게 형성되면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C1)을 향하는 방향이 되도록 방사상으로 배치되게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동유니트(40)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성되고;
    3개 이상으로 구성된 상기 제동유니트(40)가 상기 플레이트홀더(10)에 설치될 때 상기 제1폴투스(41)와 상기 제2폴투스(42)가 교대로 배치되게 상기 회전중심홈(12)에 끼워져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스돌기(41c,42c)는
    상기 기준선(L1)에 대해 상기 코일스프링(43)이 있는 방향으로 편심된 위치에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부(41b,42b)의 끝단과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구멍(52)은 상기 제1폴투스(41)의 투스돌기(41c)가 끼워지는 구멍으로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C1)에 점차 가까워지는 경사진 원호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폴투스(41)의 끝단쪽 면이 상기 제동면(22)과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투스돌기(41c)는 상기 제1가이드구멍(52)에서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C1)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의 일단쪽 끝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구멍(53)은
    상기 제2폴투스(42)의 투스돌기(42c)가 끼워지는 구멍으로 상기 제동면(22)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는 원호모양의 아이들구간(53a)과;
    상기 아이들구간(53a)과 연결되면서 상기 아이들구간(53a)과 멀어질수록 상기 플레이트홀더(10)의 중심(C1)에 점차 가까워지는 경사진 원호모양의 작동구간(53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폴투스(42)의 끝단쪽 면이 상기 제동면(22)과 접촉하고 있을 때 상기 투스돌기(42c)는 상기 제2가이드구멍(53)의 양단 중 상기 아이들구간(53a)의 끝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동면(22)과 접촉하고 있던 상기 제1폴투스(41)의 끝단 면이 상기 레버플레이트(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폴투스(41)가 원형부(41a)를 중심으로 13도(°) 내지 15도(°) 회전하고 동시에 상기 제동면(22)과 상기 제1폴투스(41)의 끝단 면의 접촉이 해제되면, 상기 제2폴투스(42)의 투스돌기(42c)는 상기 아이들구간(53a)을 벗어나서 상기 작동구간(53b)과 접촉하도록 상기 제2가이드구멍(53)이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20100098379A 2010-10-08 2010-10-08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1626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379A KR101626625B1 (ko) 2010-10-08 2010-10-08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8379A KR101626625B1 (ko) 2010-10-08 2010-10-08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612A KR20120036612A (ko) 2012-04-18
KR101626625B1 true KR101626625B1 (ko) 2016-06-01

Family

ID=46138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8379A KR101626625B1 (ko) 2010-10-08 2010-10-08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834B1 (ko) * 2021-07-05 2022-02-18 주식회사비아이엠에스 태양광패널의 기울기 조정을 수행하는 기어 암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패널 구조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137A (ja) 2001-06-04 2002-12-10 Tachi S Co Ltd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5092A (ko) * 2001-08-04 2001-09-07 김태만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KR20070105552A (ko) * 2006-04-26 2007-10-31 주식회사 오스템 고강성의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KR20070120933A (ko) * 2007-12-14 2007-12-26 주식회사 오스템 고강성의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5137A (ja) 2001-06-04 2002-12-10 Tachi S Co Ltd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4834B1 (ko) * 2021-07-05 2022-02-18 주식회사비아이엠에스 태양광패널의 기울기 조정을 수행하는 기어 암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패널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6612A (ko)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3607B2 (en) Reclining device for seats in vehicles
JP4894192B2 (ja) 車両用シート
KR101052910B1 (ko) 힌지 기구 및 그 힌지 기구를 구비하는 차량 좌석
KR100549199B1 (ko) 컨티뉴즐리타입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JP3931404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0589834B1 (ko)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US7562935B2 (en) Seat reclining apparatus
JP2000245561A (ja) 乗り物シート用ピボット機構、および該機構を備えたシート
KR20140044331A (ko) 내부 판 스프링을 구비한 디스크 리클라이너
JP5547074B2 (ja) 車両用ヘッドレスト
KR20140001651A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JP2009201783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281857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626625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JP2010253101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787337B2 (ja) 自動車座席の背当て部のための自由揺動装置を有する傾斜調節金具
JP2013216203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11087933A (ja) 車両用座席調節機構および車両用座席
JP3628553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792942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791823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104058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6513739B2 (ja) 車両用シート
KR102332908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JP7244752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