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092A -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092A
KR20010085092A KR1020010047170A KR20010047170A KR20010085092A KR 20010085092 A KR20010085092 A KR 20010085092A KR 1020010047170 A KR1020010047170 A KR 1020010047170A KR 20010047170 A KR20010047170 A KR 20010047170A KR 20010085092 A KR20010085092 A KR 200100850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um
arc
fixe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만
Original Assignee
김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만 filed Critical 김태만
Priority to KR102001004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5092A/ko
Publication of KR200100850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092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with a transversal pin displaced by a slot or a cam along a predetermined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등받이 각도를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고, 내구성도 우수한 무단록크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좌판(2)에 고정되는 플레이트(5)에 회전축(6)을 축설치하고, 회전축(6)에는 등받이(3)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0)와 일체 형성되는 드럼(11)을 축결합하며, 드럼(11) 내측으로 패드를 위치시켜 작동레버(8)에 의해 조작되도록 한 등받이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4)에 있어서, 플레이트(5)에는 회전축(6) 외측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호형가이드홈(7)을 형성하여 회전축(6)상에 고정되는 작동레버(8)와 결합되도록 양측으로 결합돌기(9a)가 절곡 형성되는 회동판(9)을 회전축(6)상에 결합하고, 드럼(11) 내측의 회전축(6) 상에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수개의 작동돌기(12a)가 구비되는 제어캠(12)을 결합하며, 제어캠(12) 상하측에는 작동돌기(12a)와 면접되는 돌출부(13a)가 형성되는 4개의 호형패드(13)를 서로 마주보게 플레이트(5)에 축핀(14)고정하여 작동돌기(12a)가 회동될 때 지렛대 원리에 의해 호형패드(13)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적은 힘으로도 간편하게 조작이 이루어 질 수 있게 하고, 각 호형패드(13)의 드럼(11)측에는 탄지스프링(15)을 장진하여 호형패드(13)를 드럼내면(11a)에 밀착되도록 하며, 드럼내면(11a)에는 산형의 미세돌기를 형성하고, 각 호형패드(13)에는 드럼내면(11a)과 면접되는 우레탄수지재 논슬립부재(16)를 결합하거나, 각 호형패드(13)의 외주연에는 결합공(13b)을 형성하고, 결합공(13b)에는 산형의 미세돌기가 형성된 철재 구성의 논슬립부재(17)를 결합하여 드럼내면(11a)의 산형 미세돌기와 상호 기어물림되도록 하여 슬립현상 없이 안정성 있게 등받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A locking device having no presetted means for adjusting hight of the automobile seat's back}
본 발명은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등받이 각도를 무단으로 조절할 수 있고, 내구성도 우수한 무단록크장치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의자에는 운전자 등의 편의를 도모코자 의자등받이의 각도가 임의로 조절될 수 있도록 각도조절장치가 부설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각도조절장치는 좌판과 등판의 경계에 횡설되는 축 상에 코일스프링을 장진하고 축 단부에는 기어를 장치하며, 기어에는 조작레버의 단부가 치결합되도록 하여 각도조절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는바, 이러한 구성으로 되는 종래의 각도조절장치는 사용자가 소망하는 정확한 각도의 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특허 제153851호 및 실용신안 제 224030호를 출원 등록한바 있으나, 이들의 경우 사용자가 임의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있기는 하나,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시 한쪽 방향으로 힘이 편중되므로 장기간 사용시 패드를 고정하는 축핀에 휨 현상이 생겨 작동이 원활치 못한 등 내구성 면에서 취약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선출원 등록한 무단록크장치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코자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드럼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4개의 호형패드를 위치시키고 각 호형패드가 균등한 힘에 의해 고정 및 해지가 이루어 질 수 있게 함과 아울러 호형패드와 드럼내면에 논슬립부재를 형성함으로서 내구성은 물론이고 작동의 안정성도 보장할 수 있는 신규한 구성의 무단록크장치를 염가에 제공코자 함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드럼이 고정된 상태 정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드럼이 고정 해지된 상태 정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측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발췌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의자 2 : 좌판
3 : 등받이 4 :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5 ,10 : 플레이트 6 : 회전축
7 : 호형가이드홈 8 : 작동레버
9 : 회동판 9a : 결합돌기
11 : 드럼 11a : 드럼내면
12 : 제어캠 12a : 작동돌기
13 : 호형패드 13a : 돌출부
13b : 요입홈 13c : 결합공
14 : 축핀 15 : 탄지스프링
16,17 : 논슬립부재
도 1a,1b는 본 발명의 정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측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의자(1)의 좌판(2)과 등받이(3)에 부착되어 등받이의 각도를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4)를 구성함에 있어서,
좌판(2) 또는 좌판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는 플레이트(5) 상에는 회전축(6)을 축설치하고 회전축(6) 외측으로는 마주보는 한 쌍의 호형가이드홈(7)을 형성하여 회전축(6)상에 고정되는 작동레버(8)와 결합되도록 양측으로 결합돌기(9a)가 절곡형성되는 회동판(9)을 회전축(6)상에 결합하고, 회전축(6) 상단으로는 등받이(3)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0)에 일체 형성되는 드럼(11)을 축결합 한다.
상기 드럼(11) 내측의 회전축(6) 상에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수개의 작동돌기(12a)가 구비되는 제어캠(12)을 결합하고, 제어캠(12) 상하측에는 작동돌기(12a)의 회동시 작동돌기(12a)와 면접되는 돌출부(13a)가 형성되는 4개의 호형패드(13)를 서로 마주보게 플레이트(5)에 축핀(14)고정하며, 각 호형패드(13)의 드럼(11)측에는 서로 마주보는 요입홈(13b)을 형성하고 이에는 탄지스프링(15)을 장진하여 호형패드(13)를 드럼내면(11a)에 밀착되도록 한다.
상기 드럼내면(11a)에는 산형의 미세돌기를 형성하고, 각 호형패드(13)에는 드럼내면(11a)과 면접되는 우레탄수지재 논슬립부재(16)를 결합하여 호형패드(13)가 안정성 있게 밀착 고정되게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이기 위한 요부 확대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무단록크장치(4)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 호형패드(13)의 외주연에는 결합공(13c)을 형성하고, 결합공(13c)에는 산형의 미세돌기가 형성된 드럼내면(11a)과 상호 대응하는 미세돌기가 형성되는 철재 구성의 논슬립부재(17)를 결합하여 기어물림 되도록 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차량용 의자(1)의 좌판(2)과 등받이(3)의 경계에 설치되어 등받이(3)의 각도를 임의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무단록크장치(4)는 각 구성부재를 조립한 상태에서 좌판(2) 또는 좌판프레임과 등받이(3)에 각각 플레이트(5)(10)를 고정하기만 하면 되는 것으로, 등받이(3)의 각도를 조절코자 할 시에는 회동판(9)의 결합돌기(9a)에 결합된 작동레버(8)를 상향으로 들면 호형가이드홈(7)을 따라서 작동레버(8)가 회동하면서 제어캠(12)이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6)을 회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제어캠(12)상에 구비되는 작동돌기(12a)가 드럼(11) 내측에 위치하는 4개의 호형패드(13)의 돌출부(13a)를 동시에 회동시키게 되는바, 드럼내면(11a)에 밀착되어 있는 각 호형패드(13)가 축핀(14)을 중심으로 지렛대 원리에 의해 내향 회동함으로 논슬립부재(16)가 드럼내면(11a)에서 이완되어 드럼(11)의 회동이 자유롭게 되며, 이때 소망하는 각도로 등받이(3)의 각도를 조절한 다음 작동레버(8)에서 손을 놓으면 양측 호형패드(13)를 탄지하고 있는 탄지스프링(15)이 복원되면서 4개의 호형패드(13)에 결합된 논슬립부재(16)가 산형 미세돌기로 구성되는 드럼내면(11a)에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슬립 없이 등받이(3)가 고정되며, 작동레버(8)는 원위치로 복원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도 4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철재 구성의 논슬립부재(17)에 형성된 미세돌기가 드럼내면(11a)에 형성되는 산형 미세돌기와 기어물림과 같이 밀착되므로 더욱 안정성 있게 등받이(3)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무단로크장치(4)는 드럼(11) 내측으로 서로 마주보는 4개의 호형패드(13)를 축핀(14)으로 고정시키고 각 호형패드(13)가 회전축(6) 상에 축결합되는 제어캠(12)의 작동돌기(12a)에 의해 균등한 힘이 가해지면서 지렛대 원리에 의해 고정, 해지 되도록 하여 적은 힘으로도 조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드럼내면(11a)에는 산형 미세돌기를 형성함으로서 우레탄수지재의 논슬림부재(16) 및 산형 미세돌기가 형성된 철재 구성의 논슬립부재(17)가 긴밀하게 밀착되므로 슬립현상을 없앨 수 있어 등받이의 고정 안전성이 보장되며, 각 호형패드(13)를 고정하는 축핀(14)에 압력이 고르게 분산되어 축핀(14)의 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등 내구성 면에서도 양호한 매우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2)

  1. 좌판(2)에 고정되는 플레이트(5)에 회전축(6)을 축설치하고, 회전축(6)에는 등받이(3)에 고정되는 플레이트(10)와 일체 형성되는 드럼(11)을 축결합하며, 드럼(11) 내측으로 패드를 위치시켜 작동레버(8)에 의해 조작되도록 한 등받이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4)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5)에는 회전축(6) 외측으로 마주보는 한 쌍의 호형가이드홈(7)을 형성하여 회전축(6)상에 고정되는 작동레버(8)와 결합되도록 양측으로 결합돌기(9a)가 절곡 형성되는 회동판(9)을 회전축(6)상에 결합하고,
    상기 드럼(11) 내측의 회전축(6) 상에는 일측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수개의 작동돌기(12a)가 구비된 제어캠(12)을 결합하며,
    상기 제어캠(12) 상하측에는 작동돌기(12a)와 면접되는 돌출부(13a)가 형성되는 4개의 호형패드(13)를 서로 마주보게 플레이트(5)에 축핀(14)고정하여 작동돌기(12a)가 회동될 때 지렛대 원리에 의해 호형패드(13)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각 호형패드(13)의 드럼(11)측에는 탄지스프링(15)을 장진하여 호형패드(13)를 드럼내면(11a)에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드럼내면(11a)에는 산형의 미세돌기를 형성하고, 각 호형패드(13)에는 드럼내면(11a)과 면접되는 우레탄수지재 논슬립부재(16)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호형패드(13)의 외주연에는 결합공(13c)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공(13c)에는 산형의 미세돌기가 형성된 철재 구성의 논슬립부재(17)를 결합하여 드럼내면(11a)의 산형 미세돌기와 상호 기어물림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KR1020010047170A 2001-08-04 2001-08-04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KR2001008509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170A KR20010085092A (ko) 2001-08-04 2001-08-04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170A KR20010085092A (ko) 2001-08-04 2001-08-04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092A true KR20010085092A (ko) 2001-09-07

Family

ID=1971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170A KR20010085092A (ko) 2001-08-04 2001-08-04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509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3367A1 (en) * 2006-04-26 2007-11-01 Austem Co., Ltd. Seat recliner for vehicle with high strength
WO2009117249A2 (en) * 2008-03-20 2009-09-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Recliner adjustment utilizing active materials
KR20120036612A (ko) * 2010-10-08 2012-04-18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809A (ko) * 1995-06-28 1997-01-21 김태만 의자등받이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JP2000050992A (ja) * 1998-07-27 2000-02-22 Bertrand Faure Equipements Sa 関節機構及び座席
JP2001157615A (ja) * 1999-12-03 2001-06-12 Imasen Electric Ind Co Ltd リクライニ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809A (ko) * 1995-06-28 1997-01-21 김태만 의자등받이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JP2000050992A (ja) * 1998-07-27 2000-02-22 Bertrand Faure Equipements Sa 関節機構及び座席
JP2001157615A (ja) * 1999-12-03 2001-06-12 Imasen Electric Ind Co Ltd リクライニング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23367A1 (en) * 2006-04-26 2007-11-01 Austem Co., Ltd. Seat recliner for vehicle with high strength
WO2009117249A2 (en) * 2008-03-20 2009-09-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Recliner adjustment utilizing active materials
WO2009117249A3 (en) * 2008-03-20 2009-11-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Recliner adjustment utilizing active materials
US7931337B2 (en) 2008-03-20 2011-04-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Recliner release actuation through active materials
CN101977793B (zh) * 2008-03-20 2013-01-02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公司 使用活性材料的躺椅调节
KR20120036612A (ko) * 2010-10-08 2012-04-18 주식회사다스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313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 펌핑디바이스
JPH11155670A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661282B2 (ja) 座席調節装置
KR101361520B1 (ko) 시트 높이 조절용 펌핑 디바이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JP2004225914A (ja) ディスクブレーキパッドのバックプレート組立体
CN102145663B (zh) 座椅调角器及其自锁机构及具有该调角器的座椅
KR101056863B1 (ko) 브레이크 슈우 조립체
KR100830416B1 (ko) 백 드라이브를 방지하는 전기 모터용 양방향 마찰 클러치조립체
JP3838003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10085092A (ko)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JP2007177995A (ja) パーキング用操作機構を備えたディスクブレーキ作動装置
KR101888827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US11274719B2 (en) Pumping device for seat of vehicle
TWM558731U (zh) 座椅高低調整裝置的改良型剎車機構(一)
JPH1182570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TW202019737A (zh) 用於車輛座椅的傾斜裝置
JPH0989018A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パッド戻しバネ
KR200224030Y1 (ko) 차량용 의자등받이의 각도조절용 무단록크장치
JP2002177083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822376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TWI642590B (zh) 座椅高低調整裝置的改良型剎車機構(二)
JP3989283B2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
KR102498526B1 (ko) 시트 리클라이너
JPH1193988A (ja) ドラムブレーキ装置
CN220151093U (zh) 一种具有童锁功能的门锁及具有其的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