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184B1 - 다축 코어 인서트를 구비한 사출 몰드 - Google Patents

다축 코어 인서트를 구비한 사출 몰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184B1
KR101604184B1 KR1020140031293A KR20140031293A KR101604184B1 KR 101604184 B1 KR101604184 B1 KR 101604184B1 KR 1020140031293 A KR1020140031293 A KR 1020140031293A KR 20140031293 A KR20140031293 A KR 20140031293A KR 101604184 B1 KR101604184 B1 KR 101604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e
primary
mold assembly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1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3606A (ko
Inventor
부르스 이. 베르그
세자르 로자노 빌라레알
치우-시앙 고
도미니크 이. 돌치
리차드 제이. 랑로이스
알렉산더 콴
시아란 킨
Original Assignee
애플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플 인크. filed Critical 애플 인크.
Publication of KR20140113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21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expansible or collapsible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7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 B29C45/376Mould cavity walls, i.e. the inner surface forming the mould cavity, e.g. linings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01R31/065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with built-in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 H05K5/0278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having standardized interfaces of USB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628Moulds with mould parts forming holes in or through the moulded article, e.g. for bearing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3Moulds having transversely, e.g. radially, movable moul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원에는 일체형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압형 시스템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는 복수의 주입 공동 슬라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슬라이드는 하우징의 내부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주입 공동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단일의 공동 인서트를 형성하면, 하우징의 공동보다 작은 하우징의 오프닝으로부터 슬라이드를 제거할 수 있다. 하우징으로부터 슬라이드를 제거하면, 일체형 구조를 가진 하우징을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축 코어 인서트를 구비한 사출 몰드{INJECTION MOLD WITH MULTI-AXIAL CORE INSERTS}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3년 3월 15일자에 "다축 코어 인서트를 구비한 사출 몰드(Injection Mold with Multi-Axial Core Inserts)"라는 명칭으로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번호 제61/799,065호를 35 U.S.C.§119(e) 하에서 우선권 주장하며, 이 가특허 출원은 그 전체가 인용에 의해 본원에 통합되어 있다.
기술 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일체형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사출 몰드(injection mold)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내면 특징부를 가진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의 사출 성형에 적합한, 사출 몰드의 조립 및 분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 내부에 전자 부품을 수용하여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하우징이 사용된다. 하우징은 경량화될 수 있다. 하우징의 재료 중량을 줄이면, 종종 강도와 내구성이 감소하여, 딱딱한 표면에 떨어질 경우, 장치가 고장날 가능성이 증가하게 된다. 대안적으로, 동등한 강도의 더 가벼운 재료를 선택하는 것은 전자 장치 제조 업체가 부담할 수 없는 비용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의 하우징은 흔히 다수의 부품들로 구성된다. 조립시, 다수의 개별 부품들이 기계적으로 함께 커플링되어 단일의 하우징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공정은 시간과 제조 비용을 모두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기계적 커플링은 흔히 완전히 조립된 장치의 구조적 약점 및/또는 미적 결함이 된다.
일 예에서, 하우징은 클램 쉘(clam shell)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공정에서는, 하우징의 2개의 하프들이 개별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프들이 형성된 후, 하우징의 2개의 하프들은 2개의 하프들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 접착제 또는 유사한 기계적 공정을 사용하여 조립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추가적인 단계가 될 수 있으며, 이 공정은 2개의 하우징 하프들 사이에 보기 싫은 접합선(unattractive seam)을 남긴다.
본원에는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는 내부 공동을 정의하는 주요 내면을 포함한 전자 부품용 하우징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포함한 주요 외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공동으로부터 상기 주요 내면과 상기 주요 외면을 통해 연장하는 주요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요 개구는 제2 표면과 제1 표면의 일부분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주요 개구는 상기 적어도 제1 표면과 제2 표면의 전체가 아닌 그 일부분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두께의 강성 물질로 형성된 단일의 일체형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하나의 사출 성형 단계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부품용 강성 하우징은 전자 부품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하우징 부재의 적어도 하나의 내면 특징부를 또한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의 주요 개구는 실질적으로 L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주요 개구는 주요 개구의 주변에 수용 립(receiving lip)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유지 캡의 표면이 상기 하우징 부재의 외부의 상기 적어도 제1 및 제2 표면과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상기 수용 립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유지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 캡은 상기 주요 개구의 노출된 에지와 동일한 높이가 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나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표면 특징부를 내면 상에 포함할 수 있다. 이 표면 특징부는 나사산 인서트 부재(a threaded insert member)에 의해 성형될 수 있거나, 다른 실시예에서, 셀프 태핑 나사(a self-tapping screw)를 수용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일체형 구조의 강성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은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동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위치에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슬라이드는 추출 돌출부를 가진다. 상기 방법은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하우징의 주요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위치에 복수의 이동가능한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에 공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동은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수지를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수지는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의 공동에 주입될 수 있다. 이러한 주입은 주요 내면과 주요 외면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표면들의 형성은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 각각의 추출 돌출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에 주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는 상기 내부 공동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내면과 외면을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주요 개구는 상기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각각의 추출 돌출부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개구는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가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 각각의 추출 돌출부와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위치는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공동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통해 제1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하우징 내에서 상기 개구를 향하여 제2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가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는 상기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제1 이동가능한 외부 몰드 부품은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은 압형(tooling)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일체형 구조의 강성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를 포함한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는 각각 추출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복수의 이동가능한 부품을 가진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에 하우징 공동이 형성되도록,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공동은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수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가 조립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는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내의 내부 공동의 적어도 일부분을 점유한다.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 각각의 추출 돌출부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는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내에서 이동가능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공동 밖으로 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는, 상기 내부 공동 밖으로 연장되어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의 내부와 결합되는 추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는 제1 슬라이드, 제2 슬라이드 및 제3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슬라이드와 상기 제2 슬라이드가 결합(engage)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와 상기 제3 슬라이드가 결합되며, 이러한 양자의 결합들(engagements)은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 사이로 수지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충분히 긴밀하다. 상기 결합은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드는 상기 제1 슬라이드와 상기 제3 슬라이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슬라이드는 상기 제1 슬라이드와 상기 제3 슬라이드 사이에서 밖으로 나오도록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슬라이드는, 상기 제3 슬라이드가 여전히 상기 내부 공동 내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상기 제2 슬라이드의 이동 전에 상기 제2 슬라이드에 의해 점유된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상기 내부 공동 밖으로 나오도록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크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슬라이드는 상기 제1 슬라이드와 상기 제2 슬라이드가 제거된 후에 상기 내부 공동 밖으로 나오도록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크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하우징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내부 공동을 정의하는 사출 성형된 본체 및 상기 사출 성형된 본체를 통과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동의 최대 단면은 상기 개구의 최대 단면보다 크고; 상기 사출 성형된 본체는 일체형이다.
도 1a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b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배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c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d는 하우징의 개구를 통해 삽입된 전기 부품을 나타낸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e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f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g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평행 투시도이다.
도 3은 하우징의 주요 개구를 통해 내면 특징부를 볼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평행 투시도이다.
도 4는 하우징의 주요 개구를 통해 내면 특징부를 볼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평행 투시도이다.
도 5a는 예시적 압형 인서트(tooling insert)가 연장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도 5a의 예시적 하우징의 저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c는 예시적 압형 인서트가 연장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d는 예시적 압형 인서트가 연장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e는 예시적 압형 인서트가 연장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f는 예시적 압형 인서트가 연장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g는 예시적 압형 인서트가 연장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h는 예시적 압형 인서트가 연장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5i는 예시적 압형 인서트가 연장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a는 예시적 압형 인서트가 연장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6b는 예시적 압형 인서트가 연장되어 있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a는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b는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사출 성형 툴의 예시적 상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c는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사출 성형 툴의 예시적 하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d는 도 7a의 B-B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e는 도 7a의 B-B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f는 도 7a의 B-B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g는 도 7a의 B-B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h는 도 7a의 B-B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7i는 도 7a의 B-B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a는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일부분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b는 도 8c 내지 도 8j의 단면에 따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일부분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c는 도 8b의 C-C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d는 도 8b의 C-C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다른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e는 도 8b의 C-C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다른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f는 도 8b의 C-C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다른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g는 도 8b의 C-C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다른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h는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부분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i는 도 8g의 D-D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다른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j는 도 8g의 D-D 단면에서 본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다른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k는 인서트의 제거를 강조하고 있는,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일부분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l은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일부분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m은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사출 성형 툴의 일부분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a는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위한 내부 몰드의 이동가능한 부품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b는 제2 부품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이후의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위한 내부 몰드의 이동가능한 부품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c는 제1 및 제2 부품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이후의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위한 내부 몰드의 이동가능한 부품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d는 제1 및 제2 부품이 제2 위치로 이동하고, 제1 및 제3 보조 부품이 압축되도록 제3 주요 부품의 제2 보조 부품이 제2 위치로 이동한 이후의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위한 내부 몰드의 이동가능한 부품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e는 반투명하게 성형된 하우징 오버레이를 구비한 개구 몰드 조립체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f는 반투명하게 성형된 하우징 오버레이를 구비한 개구 몰드 조립체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g는 제1 위치에서 개구 몰드 조립체를 통해 조립되어 있을 때의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위한 내부 몰드의 이동가능한 부품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h는 이동가능한 외부 몰드 부품이 내부 몰드 주변에 조립될 준비가 되어 있으며, 제1 위치에서 개구 몰드 조립체를 통해 조립되어 있을 때의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위한 내부 몰드의 이동가능한 부품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i는 이동가능한 외부 몰드 부품이 내부 몰드 주변에 조립되어 있으며, 제1 위치에서 개구 몰드 조립체를 통해 조립되어 있을 때의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위한 내부 몰드의 이동가능한 부품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j는 이동가능한 외부 몰드 부품이 내부 몰드 주변에 조립되어 있으며, 사출 성형 공정을 위한 러너(runner)와 게이트가 모두 드러나도록 외부 몰드의 일부분이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는, 제1 위치에서 개구 몰드 조립체를 통해 조립되어 있을 때의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위한 내부 몰드의 이동가능한 부품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k는 도 12a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l은 형성된 몰드의 외면으로부터 이동가능한 외부 몰드 부품이 분리되어 있는, 제1 위치에서 개구 몰드 조립체를 통해 조립되어 있을 때의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위한 내부 몰드의 이동가능한 부품 주변에 형성되어 완성된 몰드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m은 형성된 몰드의 외면으로부터 이동가능한 외부 몰드 부품이 분리되어 있으며 형성된 몰드에 고정구(fixture)가 커플링되어 있는, 제1 위치에서 개구 몰드 조립체를 통해 조립되어 있을 때의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위한 내부 몰드의 이동가능한 부품 주변에 형성되어 완성된 몰드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n은 제1 및 제2 내부 몰드 부품이 제거되어 있고, 몰드의 제3 주요 내부 부품 위에서 소정 각도로 제거되고 있는 형성된 몰드에 커플링된 고정구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o는 사출 성형 게이트 잔류물을 볼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p는 사출 성형 게이트 잔류물을 볼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q는 게이트 잔류물이 제거되고 보조 개구가 하우징에 천공된 이후의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r은 게이트 잔류물이 제거되고 보조 개구가 하우징에 천공된 이후의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의 일례의 평행 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공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예시적 공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는 일체형 구조의 몰드를 분해하기 위한 예시적 공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서문
다수의 소비자 및 비소비자 장치들은 전자 부품을 수용하기 위해 하우징을 사용한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다양한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거나 유사한 목적을 제공할 수 있는 일체형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압형 시스템(tooling system)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사출 성형 시스템은 복수의 내부 슬라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공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동은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협력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압형 부분들(이하,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라 통칭함)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복수의 내부 슬라이드는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완성된 일체형 하우징 구조 내에 공동을 정의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이 공동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위해 일체형 하우징 구조를 통과하는 개구를 정의하기 위해서 협력한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은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위치에서 만나는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일체형 하우징 구조(또는 "하우징")를 형성하기 위해 수지가 공동으로 주입될 수 있다. 성형된 하우징의 효율적인 제거를 촉진하기 위해,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는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고 분해가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성형된 부분이 다른 제조 공정을 위해 제거되기 전에, 내부 몰드 조립체의 일부분이 내부 공동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사출 성형 공정 중에 일체형 하우징의 내부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일체형 하우징에 외부 개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성형 공정 후,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일체형 하우징의 외부 개구를 통해 제거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하우징의 외부 개구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일체형 하우징
또한, 본원에 개시된 예와 실시예는 보다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의 기하학적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후속 제품 조립 공정에서 내부에 삽입될 전자 부품에 대한 커플링과 고정을 위해 의도적으로 배치된 내면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후속 조립 공정은 바람직하지 않은 번쩍임을 연마하여 제거하는 공정, 사출 성형 공정 이후에 남은 과다한 게이트 또는 러너 물질을 2차 공정(예컨대, CNC 가공)으로 제거하는 공정, 및 유사하거나 동일한 2차 공정으로 하우징을 통해 보조 개구를 생성하는 공정을 흔히 포함한다.
하우징의 보조 개구는 빛, 예컨대, 수용된 전자 부품으로부터 방출된 빛이 하우징을 통과하여 하우징의 외부에서 보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보조 개구는 수용된 전자 부품에 의해 생성된 음향이 하우징을 통과하여 하우징의 외부에서 잘 들리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보조 개구는 수용된 전자 부품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도록, 예컨대, 리셋 또는 전원 버튼에 대한 액세스가 하우징의 외부에서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우징의 보조 개구는, 하우징이 후속 공정에서 추가적인 부분에 커플링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작업들, 특히, 추가적인 보조 개구의 가공은 각각의 하우징 제조에 대하여 비용 또는 지연을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보조 개구가 후속하여 천공되는 동일한 공정에서 게이트들이 제거될 수 있도록, 사출 성형 공정으로부터의 게이트들과 함께 하우징의 내면 특징부를 공동-배치(co-locating)함으로써, 다양한 이점을 얻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일부 내면 특징부들은 개구가 후속하여 천공될 위치 주변에 추가적인 구조적 완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사출 성형 공정으로부터의 게이트들과 공동-배치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일체형 구조"는 외면들이 연속적인(예컨대, 표면 또는 부품을 형성하기 위해 분리되지 않고 서로에 대해 기계적으로 부착된) 하우징을 의미한다. 일체형 구조는 단일의 제조 공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은, 특정 실시예에서, 단일의 사출 성형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에서, 외면의 형성은 성형된 하우징의 전체 외면의 형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전체 외면은 다양한 개구를 충진하기 위해 사용되는 캡 또는 다른 특징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캡 또는 다른 특징부가 추가적인 표면을 구성할 수 있으며, 동일한 표면에 기계적 연장부 또는 접합선을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외면의 형성은 하우징의 전체 외면들의 적어도 일부분의 형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박스는 6개의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박스는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을 통과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개구는 박스가 밀폐되지 않도록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을 불완전하게 만들 수 있다. 6개의 측면은 사출 성형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6개의 측면은 접합선이 없을 수 있다. 6개의 측면은 6개의 측면을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 부착이 사용되지 않고 연속적일 수 있다. 6개의 측면은 연속적인 방식으로 동일한 툴에서 동시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4는 일체형 구조의 예시적 하우징을 도시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그리고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상면(115a), 전면(115b), 하면(115c), 배면(115d), 좌측면(115e) 또는 우측면(115f)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주요 외면(110)과, 성형시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가 삽입되고 제거될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하는 주요 개구(1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용적은 개구(130)를 통해 볼 수 있다. 내부 용적은 주요 외면(110)과 주요 내면(120)에 의해 정의되는 벽부들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사출 성형에 적합한 임의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하우징은 현저히 변형되지 않는 강성 물질로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좌측면(115e)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표면을 보조 개구(160)가 관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개구가 2이상의 표면을 관통할 수 있다. 개구 표면(117)을 형성하는 측면(115a, 115b, 115f, 115d)을 주요 개구(130)가 관통할 수 있다. 다수의 표면에 개구를 갖지만 이 표면들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을 남김으로써, 하우징은 일체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접합선을 갖지 않고, 하우징의 여러 부분들은 표면들(115a 내지 115g)을 갖는 완성된 하우징을 생성하도록 조립된다. 하우징은 벽부(115a 내지 115g)들 중 임의의 벽부의 부분들을 연결하기 위해 접착제 또는 기계적 부착이 사용되지 않는 연속적인 구조일 수 있다.
주요 개구(130)는 주요 내면(120)으로부터 하우징(100)을 통해 외면(110)까지 외면의 적어도 2개의 측면(115a, 115b)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외면의 적어도 2이상의 측면을 통해 연장함으로써, 주요 개구의 주변부는 제1 측면(115a)에 대해 평행한 영역과 제2 측면(115b)에 대해 평행한 영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주요 개구(130)의 단면 오프닝은 내부 공동의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큰 슬라이드의 단면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단면 오프닝은 내부 공동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추가적 슬라이드의 가장 좁은 부분의 단면적과 조합된 가장 큰 슬라이드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도 1d 내지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전자 부품(180)을 수용하여 수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부품(180)은 주요 개구(130)를 통해 하우징(100)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주요 개구(130)는 전자 부품(180)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단면 입구를 가질 수 있다. 전자 부품(180)은 하우징(100)의 하나 이상의 부분에 삽입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자 부품이 삽입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제2 전자 부품이 삽입되어 제1 전자 부품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a, 도 1e 및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유지 캡(170)을 포함할 수 있다. 유지 캡(170)은 주요 개구(130)의 주변에 형성된 수용 립(119)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유지 캡(170)은 개구 표면(117)과 동일한 높이에 장착될 수 있다. 일단 장착되면, 유지 캡(170)은 주요 개구(130)를 폐쇄할 수 있으며, 하우징(100) 내부에 전자 부품(180)을 수납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캡(170)은 전자 장치 유지 캡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이 임의의 실시예에서 반드시 투명한 것은 아니지만, 간명함을 위해 도 1d, 도 1f 및 도 1g에서 하우징은 투명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은 내면(120)을 가질 수 있다. 내면(120)은 대향하는 벽면(115a 내지 115f)에 대응하는 내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내면(120)은 (배면(115d)에 대응하는) 내부 배면(125d)과 (하면(115c)에 대응하는) 내부 하면(125c)을 포함할 수 있다. 내면(120)은 내면 특징부(1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내면 특징부(140)는 도 3에서 하우징의 주요 개구(130)를 통해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면(125c)을 통해 또는 하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은 추가적인 내면 특징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추가적인 내면 특징부는 하우징(100)의 주요 개구(130)를 통해 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형 장치는, 내부 몰드 조립체가 삽입되는 개구보다 큰 내부 공동을 툴이 형성할 수 있도록, 성형된 부분의 내부에서 조립 및 분리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 내부 몰드 조립체는 비교적 적은 개수의 가동부(moving part), 예컨대, 3개의 가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시스템은 하우징(100)의 기하학적 특징부와 함께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위치에서 함께 조립되는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슬라이드를 구비한 몰드 조립체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하우징(100)의 내부 공동의 형성을 위한 복수의 압형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압형 슬라이드는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및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 및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를 포함할 수 있다.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하우징(100)을 형성한 후, 주요 개구(130)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 및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서로 다른 시간에 개구로 진입 또는 진출할 수 있으나, 개구를 통해 동시에 연장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제1 결합 특징부(327)를 통해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제2 결합 특징부(329)를 통해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은 2개의 이동가능한 압형 슬라이드들을 결합시키기 위한 임의의 공정 또는 특징부일 수 있다. 예컨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특징부는 결합 홈과 결합 돌출부를 구비한 도브테일 연결부(dovetail connections)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 및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가 각각 수용 특징부, 돌출 특징부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브테일 연결부에 한정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하우징(100)이 성형된 후, 하우징(100)의 내부로부터 제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내부 슬라이드를 한 번에 하나씩 제거함으로써(또는 이들을 한 번에 하나씩 실질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 및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에 대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c는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에 대한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의 이동 경로와 순서를 나타낼 수 있는 화살표(1)를 도시하고 있다. 도 5c의 화살표(1)는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의 제2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화살표(2)는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에 대한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의 이동 경로와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c의 화살표(2)는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의 제3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화살표(3)는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와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에 대한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의 이동 경로와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c의 화살표(3)는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의 제4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이 성형된 후,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가 하우징(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의 부분들은 주요 개구(130)를 통해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는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의 부분들은, 성형이 완료된 후, 하우징(100)으로부터 복수의 압형 슬라이드 각각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제1 추출 돌출부(3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추출 돌출부(315)는 성형된 하우징(100)의 외부이면서 사출 압형 시스템(injection tooling system)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추출 돌출부(315)는 성형된 하우징(100)의 내부로부터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를 추출하기 위해 기계적인 힘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제2 추출 돌출부(3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추출 돌출부(325)는 성형된 하우징(100)의 외부이면서 사출 압형 시스템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추출 돌출부(325)는 성형된 하우징(100)의 내부로부터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를 추출하기 위해 기계적인 힘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제3 주요 추출 돌출부(3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추출 돌출부(335)는 성형된 하우징(100)의 외부이면서 사출 압형 시스템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추출 돌출부(335)는 성형된 하우징(100)의 내부로부터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를 추출하기 위해 기계적인 힘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 사이에서 하우징(100) 내의 공간이 개방되도록,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하우징(100)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전면과 배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면(321)은 하우징(100)의 전면 내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의 전면(321)의 반대측에 있는) 배면은 하우징(100)의 배면 내벽(125d)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면(134)은 하우징(100)의 내벽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표면(138)은 하우징(100)의 제2 내벽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전이점(136)은 하우징(100) 내에 전이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1 표면(134)과 제2 표면(138) 사이에 전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와 결합하여 그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결합 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이 결합 특징부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결합 돌출부일 수도 있다). 예컨대,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결합 돌출부(139)를 포함할 수 있다(이 결합 특징부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결합 홈일 수도 있다).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하우징(100) 내에 추가적 공간이 개방되도록,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하우징(100)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면(311)은 하우징(100)의 전면 내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의 전면(311)의 반대측에 있는) 배면은 하우징(100)의 배면 내벽(125d)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면(312)은 하우징(100)의 내벽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표면(316)은 하우징(100)의 제2 내벽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전이점(314)은 하우징(100) 내에 대응하는 전이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1 표면(312)과 제2 표면(316) 사이에 전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와 결합하여 그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결합 돌출부(318)를 포함할 수 있다(이 결합 특징부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결합 홈일 수도 있다).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하우징(100)의 주요 개구(130) 밖으로 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도 5g에 화살표(W)로 나타낸 주요 개구(130)의 단면 전체를 점유할 수 있다.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의 이러한 기하학적 구조는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 또는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 중 어느 하나보다 클 수 있다.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Y)로 나타낸 최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폭은 사출 성형 공정 중에서와 같이 제3 내부 슬라이드(330)가 공동 내에 안착되어 있을 때(즉, 전술한 제1 위치에 있을 때) 주요 개구(130)를 점유하고 있는 제3 내부 슬라이드(330)의 부분의 폭을 뺀 폭(W)보다 작을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Z)로 나타낸 최대 폭을 가질 수 있다. 이 폭은 사출 성형 공정 중에서와 같이 제3 내부 슬라이드(330)와 제1 내부 슬라이드(310)가 공동 내에 안착되어 있을 때(즉, 전술한 제1 위치에 있을 때) 주요 개구(130)를 점유하고 있는 제3 내부 슬라이드(330)와 제1 내부 슬라이드(310)의 부분들의 폭을 뺀 폭(W)과 거의 유사할 수 있다. 즉,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가 여전히 내부 공동 내에 배치되어 있는 동안, 내부 공동 밖으로 나오도록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크기로 배치되고,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가 제거된 후에 내부 공동 밖으로 나오도록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제3 슬라이드를 제거하는 절차는 상호 교환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가 제거된 후,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 또는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 중 어느 하나가 다음에 제거될 수 있도록, (사출 성형 공정에서 형성될 수 있는 공동의 최종 크기를 줄이는)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의 크기를 최대화하지 않는 대신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를 동일한 크기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 및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함께 하우징(100)의 내부 공동을 형성한다.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외면들(115a/115e; 115c/115f)이 만나는 하우징의 코너들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와 (X로 표시된)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의 폭은 거리(W)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상면(115a)과 좌측면(115e)이 교차하여 형성된 코너와 (도 5g에 선(X)으로 표시된) 하면(115c)과 우측면(115f)이 교차하여 형성된 코너들까지 개구로부터의 거리가 주요 개구 오프닝보다 작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형성된 코너들 중 하나(예컨대, 115a 및 115e 또는 115c 및 115f 중 어느 하나)는 주요 개구(130)의 단면 거리와 거의 동일할 수 있다(즉, 폭이 도 5g에 도시되어 있음).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하우징(100)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전면(331)은 하우징(100)의 전면 내벽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의 전면(331)의 반대측에 있는) 배면은 하우징(100)의 배면 내벽(125d)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표면(332)은 하우징(100)의 내벽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표면(336)은 하우징(100)의 제2 내벽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전이점(334)은 하우징(100) 내에 대응하는 전이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1 표면(312)과 제2 표면(316) 사이에 전이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와 결합하여 그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결합 홈(338)을 포함할 수 있다(이 결합 특징부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결합 돌출부일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요 내부 슬라이드들(310, 320, 330)은 도 5h 및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307)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링(302)은 하우징에 개구 표면(117)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링 표면(308)은 개구 표면(117)의 일부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링 표면(309)은 개구 표면(117)의 다른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링(307)은 도 5i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요 내부 슬라이드들(310, 320, 330)을 함께 압축하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링(307)은 사출 성형 공정 중에 주요 내부 슬라이드들(310, 320, 330) 사이에 어떠한 하우징 물질도 스며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주요 내부 슬라이드들(310, 320, 330) 사이에 긴밀한 공차를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링(307)의 오프닝은 주요 개구(130)에 대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주요 개구(130)로부터 다양한 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다. 예컨대, 도 5a 내지 도 5i는 임의의 하우징 벽부에 대해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추출된 다양한 슬라이드들(예컨대,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 및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을 도시하고 있다. 다른 예에서,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슬라이드들(예컨대,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610),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620) 및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630)) 중 하나 이상은 하우징(100)의 벽부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평행하게 제거될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620)는 화살표(1)에 따라 하우징(100)의 벽부에 대해 소정 각도로 제거될 수 있다.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610)는 화살표(2)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벽부와 평행하게 하우징(1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630)는 화살표(2)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벽부와 평행하게 하우징(10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슬라이드들(예컨대,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610),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620) 및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630))은 하우징(100)의 내부 용적을 충진하기 위한 크기를 가지며 충진하기 위해 임의의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610)는 다른 내부 슬라이드들 중 어느 하나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620)는 다른 내부 슬라이드들 중 어느 하나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630)는 다른 내부 슬라이드들 중 어느 하나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요구되는 하우징(100)의 크기와 형상을 얻기 위해 크기와 형상의 임의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다양한 슬라이드들이 하우징(100)의 내부 공동을 형성하면서 개구(130)를 통해 추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개구(130)와 다양한 슬라이드들의 형상과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다양한 슬라이드들(예컨대,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610) 및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630))은 하우징(100)의 다른 양태를 형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610)는 유지 립(119)에 대응하는 립 특징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610)는 유지 립(119)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630)는 역시 유지 립(119)에 대응하는 립 특징부(6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와 같이,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630)는 유지 립(119)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간단한 내부 슬라이드를 구비한 사출 성형 툴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사출 성형 툴의 일부분일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툴은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710)와 상부 외부 몰드 조립체(7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출 성형 툴은 외부 기계식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사출 성형 툴은 유압 액추에이터(790)와 유압 실린더(79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출 성형 툴은 하우징(100)이 형성되는 내부 공동으로 주입 펌프에 의해 전달될 수 있는 수지를 주입 게이트(721)로부터 수용할 수 있다. 주입 게이트(721)는 하우징 공동을 수지로 충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외부 몰드 조립체(720)는 성형면(723)과 성형면(725)을 포함할 수 있다. 성형면(723, 725)은 하우징(100)의 외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성형면(723)은 하면(115c)을 형성할 수 있다. 성형면(725)은 좌측면(115e)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상부 외부 몰드 조립체(720)는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710)와 결합하기 위해 복수의 랜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부 외부 몰드 조립체(720)는 제1 랜스(726), 제2 랜스(728), 제3 랜스(722) 또는 제4 랜스(724)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랜스들은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710)의 외부 슬라이드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랜스(726), 제2 랜스(728), 제3 랜스(722) 또는 제4 랜스(724)가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와 결합되면, 랜스들이 외부 슬라이드들을 함께 압축함으로써, 하우징(100)을 형성하는 공동의 형성을 돕는다.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710)는 하부 코어 플레이트(753), 내부 코어 플레이트(717), 제1 보조 슬라이드(708), 제2 보조 슬라이드(713), 또는 상부 외부 몰드 조립체(720)와 결합되는 복수의 랜스 리셉터클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710)는 제1 랜스 리셉터클(732), 제2 랜스 리셉터클(742), 제3 랜스 리셉터클(752) 또는 제4 랜스 리셉터클(762)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랜스 리셉터클(732)은 제1 외부 슬라이드(730) 내의 개구일 수 있다. 제1 외부 슬라이드(730)는 하우징(100)의 외면을 형성하는 성형면(717)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성형면(717)은 하우징(100)의 전면(115b)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랜스 리셉터클(742)은 제2 외부 슬라이드(740) 내의 개구일 수 있다. 제2 외부 슬라이드(740)는 하우징(100)의 외면을 형성하는 성형면(716)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성형면(716)은 하우징(100)의 배면(115d)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랜스 리셉터클(752)은 제3 외부 슬라이드(750) 내의 개구일 수 있다. 제3 외부 슬라이드(750)는 하우징(100)의 외면을 형성하는 성형면(711)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성형면(711)은 하우징(100)의 상면(115a)을 형성할 수 있다. 제4 랜스 리셉터클(762)은 제4 외부 슬라이드(760) 내의 개구일 수 있다. 제4 외부 슬라이드(760)는 하우징(100)의 외면을 형성하는 성형면(712)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성형면(712)은 하우징(100)의 좌측면(115e)을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랜스는 툴의 중심을 향해 각각의 슬라이드를 강제 압축하면서 각자의 리셉터클과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00)을 위한 공동은 다양한 방식으로 사출 성형 툴 내에 내포(nest)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외부 몰드 조립체(720), 외면 슬라이드(750) 및 외면 슬라이드(760)는 외면(115e, 115c, 115f)(예컨대, 도 1a 내지 도 1c 참조)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7d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외부 몰드 조립체(720)는 하우징(100)의 복수의 측면들(예컨대, 좌측면(115e)과 우측면(115c), 도 1a 내지 도 1c 참조)을 형성하며, 외면 슬라이드(750)와 외면 슬라이드(760)는 하우징(100)의 단일 측면을 각각 형성한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710)는 제1 보조 슬라이드(708) 또는 제2 보조 슬라이드(7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슬라이드(708)는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조 슬라이드(708)는, 사출 성형 공정 중에 상부 사출 조립체(720)와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710)가 함께 결합될 때, 제3 외부 슬라이드(75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제1 보조 슬라이드(708)는 제1 보조 슬라이드(708)의 본체의 상부 내에 있는 개구인 보조 슬라이드 리셉터클(715)에 제3 랜스(722)를 수용할 수도 있다. 제2 보조 슬라이드(713)는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와 결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보조 슬라이드(713)는, 사출 성형 공정 중에 상부 사출 조립체(720)와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710)가 함께 결합될 때, 제4 외부 슬라이드(760)를 지지할 수도 있다. 제2 보조 슬라이드(718)는 제2 보조 슬라이드(713)의 본체의 상부 내에 있는 개구인 보조 슬라이드 리셉터클(714)에 제4 랜스(724)를 수용할 수도 있다.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바와 같이,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710)는 하부 코어 플레이트(7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710)는 내부 코어 플레이트(717)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코어 플레이트(717)는 하부 코어 플레이트(753)와 제2 보조 슬라이드(71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내부 코어 플레이트(717)는 제2 보조 슬라이드(713) 또는 유압 실린더(792)에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하부 코어 플레이트(753)는 내부 코어 플레이트(717)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코어 플레이트(753)는 코어 블록(743)에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하부 코어 플레이트(753)는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와 통신할 수 있다. 코어 플레이트(753)는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어 플레이트(753)는 중간 슬라이드를 통해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에 부착될 수 있다. 코어 플레이트(753)는, 이젝터 블록(733)이 하부 코어 플레이트(753)를 통해 연장하여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에 접촉할 수 있도록, 코어 플레이트(753)를 통해 연장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코어 플레이트(753)는 사출 성형 툴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제거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코어 플레이트가 제거되면, 사출 성형 공동의 내부와 하우징(100)의 내부로부터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가 추가적으로 인출(with draw)될 수 있다. 하부 코어 플레이트(753)는 하부 코어 플레이트(753)가 제거되는 동안 정지되어 있는 이젝터 블록(733)을 하방으로 슬라이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실린더(792)는 도 7e에 도시된 화살표(1)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유압 실린더(792)의 결합으로 인해,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를 향하여 슬라이드할 수 있다.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에 접촉가능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하방으로 당겨져 하우징(100)으로부터 추출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도 7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외부 슬라이드(750)와 제4 외부 슬라이드(760)는 각각 화살표(1, 2)를 따라 하우징(100)으로부터 멀리 측방향으로 병진할 수 있다. 제3 외부 슬라이드(750)와 제4 외부 슬라이드(760)의 이러한 운동은 상면(115a)과 우측면(115f)으로부터 몰드를 제거하여 이들을 사출 성형 툴의 외부 환경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부 사출 조립체(720)는 하우징(100)으로부터 멀리 상방으로 병진할 수 있다. 상부 사출 조립체(720)의 이러한 운동은 좌측면(115e)과 하면(115c)으로부터 몰드를 제거하여 이들을 외부 환경에 노출시킬 수 있다.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 블록(733)은 하우징(100)을 향하여 몰드 조립체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젝터 블록(733)은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1)의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젝터 블록(733)이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와 접촉할 수 있기 때문에,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를 통해 상방으로 강제될 수 있다.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가 여전히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하우징(100)은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2)를 따라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 밖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하우징이 하부 외부 몰드 조립체 밖으로 들어올려지면, 하우징(100)은 도 7i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1)의 방향으로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사출 성형 툴은 하우징(100)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툴의 부분들을 잠재적으로 제한하면서 상이한 사출 성형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하우징(100)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다양한 부품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툴은 상부 플레이트(803), 하부 플레이트(805), 제1 외부 플레이트(810) 및 제2 외부 플레이트(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플레이트(803)와 하부 플레이트(805)는 전면(115b)과 배면(115d)(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면과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사출 성형 툴은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 및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h 및 도 5i와 관련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툴은 하우징(100)의 개구를 형성하거나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 320, 330)를 유지할 수 있는 링(30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포함은 본원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과 다양하게 조합되거나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도 8b 내지 도 8j는 링을 특별히 거론하지 않는 대신, 링(100)의 추가적인 지지 없이 하우징(100)의 개구를 형성하여 서로 결합된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 320, 330)를 거론하고 있다. 그러나, 도 8k 내지 도 8m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100)은 여전히 포함될 수 있다.
도 8b는 상부 플레이트(803)와 하부 플레이트(805)가 없는 상태에서 제1 외부 플레이트(810)와 제2 외부 플레이트(820)를 도시하고 있다. 제1 외부 플레이트(810)와 제2 외부 플레이트(820)는 각각 하우징(100)의 복수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예에서, 제1 외부 플레이트(810)와 제2 외부 플레이트(820)는 각각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2 외부 플레이트(820)는 하면(115c)과 우측면(115f)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외부 플레이트(810)는 좌측면(115e)과 상면(115a)을 형성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툴은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를 형성하는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 및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와 같은 복수의 내면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와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와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두 결합은 각각의 슬라이드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각각의 슬라이드들 사이로 수지가 흐르지 않도록 하기에 충분히 긴밀할 수 있다. 사출 성형 툴은 사출 성형 툴 내에서 슬라이드를 움직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슬라이드 영역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드 영역(838)은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의 하나 이상의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영역(838)은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가 사출 성형 툴 내에서 제3 주요 외부 슬라이드(83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운동은 하우징이 형성된 후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가 하우징(100)을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한다.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부 플레이트(810)와 제2 외부 플레이트(820)는 성형이 완료된 후 하우징(100)을 노출시키며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1, 2)의 방향을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제2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는 도 8e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하우징(100)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도 8f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하우징(100) 밖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에서,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의 이러한 병진을 위해 따로 마련된 슬라이드 영역(838)을 점유할 수 있다. 제3 주요 외부 슬라이드(830)는 도 8g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3 주요 외부 슬라이드(830)의 이동은 도 8g에 도시된 화살표의 방향으로 하우징(100)으로부터 제1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를 인출할 수 있다.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이미 분리되어 있는 다른 사출 성형 툴 부분들로부터 멀리 하우징(100)을 밀어낼 수 있다(또는 끌어당길 수 있다). 하우징(100)의 운동은 도 8h에 도시된 화살표를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운동에서, 하우징(100)은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에 접촉하거나 및/또는 매달릴 수 있다. 하우징(100)은, 도 8i의 화살표 방향으로 하우징(100)을 병진시킨 다음 도 8j의 화살표 방향으로 병진시킴으로써, 제3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8k 내지 도 8m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툴은 링(307)을 포함할 수 있다. 링(307)을 사용함으로써, 주요 내부 슬라이드들(310, 320, 330)이 더 엄격한 공차로 함께 유지될 수 있다. 하우징(100)을 사출 성형한 후, 링은 하우징과 툴의 다른 부분들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주요 내부 슬라이드들(310, 320, 330)이 링(307)의 내부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때까지, 링(307)은 사출 성형 툴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가 (도 8k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A)를 따라) 하우징(100)의 내부로부터 그리고 링(307) 밖으로 제거되면, 링(307)이 사출 성형 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사출 성형 툴로부터 링(307)을 분리할 때, 주요 내부 슬라이드(320, 330)가 링(307)의 내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다양한 예에서, 링(307)은 1㎜만큼 화살표(D)를 따라 하우징(100)의 개구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주요 내부 슬라이드(330)는 화살표(B)(일 예에서, 화살표(B)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는 선에 대해 57°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를 따라 이동하여, 링(307)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는 화살표(C)(일 예에서, 화살표(C)는 화살표(A)의 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는 선에 대해 37°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를 따라 이동하여, 링(307)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주요 내부 슬라이드(310, 320, 330)가 제거된 후, 제1 외부 플레이트(810)와 제2 외부 플레이트(820)가 도 8l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부 플레이트(810)는 화살표(A)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제2 외부 플레이트(820)는 화살표(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8m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805), 링(307), 제1 외부 플레이트(810) 및 제2 외부 플레이트(820)로부터 하우징(100)이 화살표(A)를 따라 분리될 수 있다.
복잡한 내부 슬라이드를 구비한 사출 성형 툴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a 내지 도 9r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복잡한 내부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자체적으로 압축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의 추가적인 압축 작용은 더 작은 개구를 사용하여 더 큰 내부 특징부가 하우징 내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를 사용하는 압형은 전술한 압형과 유사한 특징부를 갖거나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사한 특징부 중 일부와 추가적인 특징부를 압축가능한 내부 몰드 조립체에 관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설명할 것이다.
도 9a는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제1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주요 내면 몰드 조립체(200)는 복수의 이동가능한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동가능한 부품은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내면 조립체(200)는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3개의 주요 슬라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제1 주요 내면 슬라이드(210)는 제1 하우징 부재의 적어도 제1 내면의 내부 표면의 윤곽을 형성하지만, 제1 내면에 인접한 내면들의 일부분의 윤곽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주요 슬라이드(210)는 제1 주요 슬라이드(210)가 윤곽을 형성하는 측면의 내부 기하학적 구조에 전자 장치를 커플링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내면 특징부(24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제2 주요 내면 슬라이드(220)는 제1 주요 슬라이드(210)와 결합할 수 있는 도브테일(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제1 주요 슬라이드(210)의 측면을 따라 제2 슬라이드(220)가 자유롭게 슬라이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 주요 슬라이드(220)는 제1 측면에 인접한 내면의 추가적인 영역의 윤곽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의 주요 슬라이드들(210, 220, 230)은, 이동가능한 하위 부품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슬라이드로 간주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이동가능한 하위 부품을 포함하면, 주요 슬라이드들(210, 220, 230)이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에 더 큰 내부 용적을 형성할 수 있으면서도 일체형 구조로 완성된 하우징의 더 작은 개구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제1 보조 슬라이드(234), 제2 보조 슬라이드(232) 및 제3 보조 슬라이드(236)는 함께 커플링되어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제3 주요 내면 슬라이드(230)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보조 슬라이드(234)는 제2 보조 슬라이드(232) 또는 제3 보조 슬라이드(236)에 도브테일 커플링(26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보조 슬라이드(234)가 도브테일 커플링(260)을 따라 슬라이드할 때, 제2 보조 슬라이드(232)와 제3 보조 슬라이드(236)가 함께 압축될 수 있도록, 제1 슬라이드(234)의 폭은 도브테일 커플링(260)에 대해 평행하게 테이퍼(taper)질 수 있다. 3개의 보조 슬라이드들(232, 234, 236)이 제1 위치에 있을 때(예컨대, 도 9a), 제3 주요 슬라이드(230)는 (도 9a에 도시되지 않은) 제1 하우징 부재(100)의 적어도 제2 내면을 형성하며, 제1 내면에 인접한 내면들의 일부분의 윤곽을 형성할 수도 있다. 제3 주요 슬라이드(230)는 제3 주요 슬라이드(230)가 윤곽을 형성하는 측면의 내부 기하학적 구조에 전자 장치를 커플링하기에 적합한 적어도 하나의 내면 특징부(240)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9b는 도 9a의 실시예와 짝을 이루는 제2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서, 제1 주요 내면 슬라이드(210)는 제2 주요 내면 슬라이드(220)와의 계면에서 경사져 있다.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한 제2 주요 슬라이드(220)는 제1 주요 내면 슬라이드(210)와 제2 주요 내면 슬라이드(220) 사이의 경사진 측면을 따라 도브테일 커플링(250)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다.
도 9c는 제3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은 제1 주요 슬라이드(210)의 외향하는 주요 측면에 대해 평행한 각도로, 또는 성형된 내면 특징부(140)(예컨대, 도 3 참조)에 응력을 가하지 않고 내면 특징부(240)의 몰드를 제거할 수 있는 각도로, 제1 주요 내면 슬라이드(210)와 제2 주요 내면 슬라이드(220)가 동시에 슬라이드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9d는 제4 위치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제1 주요 슬라이드(210)의 외향하는 주요 측면에 대해 평행한 각도로, 또는 성형된 내면 특징부(140)(예컨대, 도 3 참조)에 응력을 가하지 않고 내면 특징부(240)의 몰드를 제거할 수 있는 각도로, 제1 주요 내면 슬라이드(210)와 제2 주요 내면 슬라이드(220)가 동시에 슬라이드할 수 있다. 또한, 제1 보조 슬라이드(234)는 제1 주요 슬라이드(210)와 제2 주요 슬라이드(220)가 제거됨으로써 생성된 빈 자리를 향하여 테이퍼진(tapered) 도브테일 커플링(260)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다. 테이퍼진 커플링(260)으로 인해, 제1 보조 슬라이드(232)와 제3 보조 슬라이드(236)는 서로를 향하여 압축된다. 보조 슬라이드(232, 236)들의 압축과 보조 슬라이드(234)의 운동은 제3 주요 슬라이드(230)가 그 폭을 따라 압축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 주요 슬라이드(230)의 운동 및 압축은 성형된 내면 특징부(140)(예컨대, 도 4 참조)에 응력을 가하지 않고 임의의 표면 특징부 몰드(예컨대, 표면 특징부 몰드(240))가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도 9a 내지 도 9d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 성형된 하우징(100)으로부터 제거되고 있는 내부 몰드의 위치의 추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공되었음을 이해할 것이다. 완성된 몰드 공동을 위해 추가적인 몰드 부품이 사용될 수 있으나, 내부 몰드 부품의 운동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도 9a 내지 도 9d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에 개시된 압형을 사용하고 요지를 적용하는 방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e 내지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요 개구 몰드 조립체(300)는 하우징(100)의 주요 개구(130)의 기하학적 구조의 윤곽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개구 몰드는 회전된 L자형 프로파일을 갖고 있지만, 당업자라면, 개구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주요 개구 조립체(30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위치에 있을 때, 주요 내부 몰드 슬라이드(210, 220, 230)가 내면(120)의 역(inverse)을 형성하기 위해 주요 개구 조립체(300)에 걸쳐서 그 내부에 들어맞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주요 개구를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9f에서 하우징은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몰드 슬라이드(210, 220, 230)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위치에서 개구 몰드 조립체(300)를 통해 조립될 수 있다. 개구 몰드 조립체는 부품들 사이에 가능한 한 긴밀한 결합(tight a fit)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몰드 조립체(200)의 폭과 정확하게 일치할 수 있다. 도 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공동의 내부 및 외부 기하학적 구조를 완성하기 위해, 다수의 이동가능한 외부 몰드 부품(410)이 다른 몰드 부품(200, 30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외부 몰드 부품들(410)이 함께 결합하여 외부 몰드(400)로서 몰드 공동의 외면의 윤곽을 형성한다. 도 9h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러너(420)와 게이트(430)가 보이도록, 최전방 외부 몰드 부품(410)은 약간 투명하게 제조되었다. 러너(420)와 게이트(430)는 모두 몰드 물질이 주입될 수 있는 중공(hollow)의 경로이다. 성형 공정 중에, 소정량의 몰드 물질이 러너(420)와 게이트(430)를 통해 완성된 몰드 조립체에 의해 생성된 공동 속으로 주입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출 성형 툴은 도 9h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외부 몰드 부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부품들 중 4개는 단일의 외면의 윤곽을 형성하고, 최전방 부품은 2개의 외면의 윤곽을 형성한다. 당업자라면, 5개 미만의 외부 몰드 부품이 사용될 수 있거나, 6개 이상의 외부 몰드 부품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몰드 부품들 중 일부는 2이상의 측면 또는 에지의 윤곽을 형성하기 위해 단일 부품으로 통합될 수 있다. 도 9h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측면 및 코너의 윤곽을 형성하는 외부 몰드 부품(410)을 도시하고 있으나, 당업자라면, 임의의 형상의 외면 또는 코너가 성형될 수도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부 몰드 부품들(410)은 각각의 부품이 윤곽을 형성하는 측면에 대해 수직한 경로를 따라 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몰드 부품들(410)은 각각의 부품이 윤곽을 형성하는 측면에 대해 평행한 위치로 기울어지거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몰드 부품들(410)은 회전하여 배치될 수도 있다. 당업자라면, 외부 몰드 부품(410)이 설치되는 동안 취하는 경로가 임의적이며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당업자라면, 독립적인 외부 몰드 부품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도 9i는 주입할 준비가 된 폐쇄된 몰드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몰드가 폐쇄되면, 3개의 몰드 부품(내부 몰드(200), 개구 몰드(300), 외부 몰드(400))에 의해 생성된 공동은 볼 수 없다. 최전방 외부 몰드 부품(410)이 투명하게 도시된 것을 제외하고, 도 9j는 도 9i와 짝을 이루는 도면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몰드 공동(600)을 볼 수 있다. 도 9k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공동(600)의 벽 두께는 외부 몰드 부품들(410)의 위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 공동(600)의 벽 두께는 반드시 균일하지 않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벽 두께는 균일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몰드 공동의 벽 두께가 몰드의 기하학적 구조 전체에 걸쳐 임의적으로 상이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몰드 물질이 러너(420)와 게이트(430)를 통해 몰드 공동(600)에 주입되면,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100)이 다른 가공을 위해 제거될 준비가 된 상태로 형성된다. 도 9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몰드 부품들(410)은 설치된 순서로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 몰드 부품들(410)은 상이한 순서로 제거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외부 몰드 부품들의 설치와 마찬가지로, 외부 몰드 부품들의 제거 경로 및 순서가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9l에 더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간 러너 사출 성형 공정(cold runner injection molding process)이 사용되면, 게이트 잔류물(150)이 존재할 수 있다. 게이트 잔류물은 심미적으로 또는 기능적으로 우수한 외형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후속 공정에서 제거될 수 있다. 도 9l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몰드 조립체(200)는 성형된 하우징(100) 내에 여전히 조립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100)이 성형되어 다른 공정을 위해 제거될 준비가 된 후에, 외부 및 내부 몰드 부품들은 모두 새로 성형된 하우징이 손상되지 않고 분리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9l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몰드 부품들이 제거된 후, 고정구(500)가 하우징(100)에 커플링된다(도 9m). 고정구(500)는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순서로 내부 몰드 슬라이드(210, 220)가 제거되고 부품(230)이 압축될 때 하우징(100)에 안정성을 제공한다. 어떤 다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에 대한 안정성은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내부 몰드 부품들의 제거 및 압축 시퀀스 동안 외부 몰드 조립체(400)에 의해 제공된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고정구(500)는 모든 외부 몰드 부품들(410)이 제거되기 전에 하우징(100)에 커플링될 수 있다.
도 9n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 성형 툴은 도 9a 내지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독립적 이동 후에 슬라이드들(210, 220, 230)(232, 234, 236)에 대한 최종 위치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100)이 내부 몰드(2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성형된 개구(130)(예컨대, 도 2 내지 도 4 참조)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고정구(500)에 의해 하우징(100)이 분리될 때, 내부 몰드 부품(230)은 개구 조립체(300)로부터 제거되지 않는다. 도 9o 내지 도 9p는 성형된 이후의 상태이기는 하지만, 냉간 러너 사출 성형의 효과로서 게이트 잔류물(150)이 남아 있는 경우 최종 가공되기 이전의 상태인, 성형된 하우징(10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게이트는 내면 특징부(140)의 정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p에서 하우징(100)은 내면 특징부(140)와 같은 세부를 나타내기 위해 투명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9q 및 도 9r은 후속 가공 후 성형된 하우징(10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내면 특징부(140)의 정반대측에 보조 개구가 천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내면 특징부는 후속 가공 단계에서 추가되는 하우징 특징부에 구조적 또는 기계적 지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은 사출 성형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계(1000)에서,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성형하기 위한 공정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1005)에서,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를 획득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하우징의 내부 공동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위치에 각각 추출 돌출부를 가진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단계(1010)에서,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를 획득하거나 제공할 수 있다.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는 하우징의 주요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위치에 복수의 이동가능한 부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에 공동을 형성할 수 있다. 공동은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수지를 주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는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 각각의 추출 돌출부와 결합될 수 있다. 단계(1015)에서, 수지를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의 공동에 주입할 수 있다. 이러한 주입은 주요 내면과 주요 외면을 각각 형성할 수 있다. 표면들의 형성은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한다. 단계(1020)에서,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에 주요 개구를 형성할 수 있다. 개구는 내부 공동으로부터 하우징의 내면과 외면을 통과할 수 있다. 주요 개구는 이동가능한 슬라이드 각각의 추출 돌출부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개구는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가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 각각의 추출 돌출부와 결합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 위치는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에 형성된 공동에 인접할 수 있다. 단계(1030)에서,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제1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를 제거할 수 있다. 단계(1040)에서,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하우징 내에서 개구를 향하여 제2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단계(1050)에서, 제2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를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제거할 수 있다. 단계(1060)에서, 제1 이동가능한 외부 몰드 부품을 제거할 수 있다. 단계(1070)에서,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압형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10에는 하나의 특정 순서로 제시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다양한 절차들이 임의의 다양한 순서로 완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1800)에서 시작된 사출 성형 공정이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단계(1805)에서, 내면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내면 조립체는 내부 몰드 조립체(200)와 유사할 수 있다. 단계(1810)에서, 개구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개구 조립체는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의 주요 개구의 윤곽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개구 조립체는 개구 몰드 조립체(300)와 유사할 수 있다. 단계(1815)에서, 외면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1820a 내지 1820c)에서, 내면, 내면 특징부, 외면 또는 개구 표면을 성형할 수 있다. 일례에서, 성형 공정이 사출 성형이면, 몰드 물질이 이용가능한 몰드 공동의 공간을 충진하기 때문에, 단계(1820a 내지 1820c)가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내면, 외면 또는 개구 표면이 개별적인 단계들에서 성형될 수 있다. 예컨대, 다수의 게이트들이 몰드 공동의 상이한 부분 용적들(different sectional volumes)에 몰드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단계(1825)에서, 성형 후에, 예컨대, 전술한 다양한 예에서 설명한 동작으로, 성형된 개구를 통해 제1 내부 몰드 부품을 제거할 수 있다(도 9a 및 도 9b 또는 도 5e 참조).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1 내부 몰드 부품은 90°로 제거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1 내부 몰드 부품은 소정 각도로(at an angle)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일련의 내부 몰드 부품들이 단계(1825)를 반복하여 제거될 수 있다. 단계(1830)에서, 예컨대, 전술한 다양한 예에서 설명한 동작으로, 성형된 하우징 내에 남아 있는 제2 내부 몰드 부품을 개구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도 9c 및 도 9d 또는 도 5f 참조).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내부 몰드 부품의 이동은 다른 몰드 부품의 이동을 유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일련의 내부 몰드 부품들이 단계(1830)를 반복하여 제거될 수 있다. 단계(1835)에서, 외부 몰드 조립체를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부 몰드 조립체의 개별 부품들을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품들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단계(1840)에서, 형성된 몰드에 고정구를 커플링할 수 있다(예컨대, 도 9m 및 도 9n에 도시된 커플링 참조). 일부 실시예에서, 커플링은 마찰 결합(friction fit)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구 자체가 흡인 또는 일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 부품에 능동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단계(1845)에서,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 용적 내에 남아 있는 내부 몰드 부품 위로 고정구와 형성된 몰드를 함께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고정구와 형성된 몰드는 소정 각도로 제거된다. 도 11에는 순차적으로 제시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다양한 절차들이 다양한 순서로 완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는 분해될 수 있다. 단계(1900)에서, 분해 공정을 시작할 수 있다. 단계(1905)에서, 분해는 형성된 몰드의 내부 용적 밖으로 제1 내면 조립체 부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드는 소정 각도로 제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슬라이드는 90°로 제거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일련의 내부 몰드 부품들이 단계(1905)를 반복하여 제거될 수 있다. 단계(1910)에서, 형성된 몰드 내에 여전히 있는 제2 내면 조립체 부품을 압축할 수 있다. 이 압축은, 예컨대, 다른 부품의 운동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단계(1915)에서, 제2 내면 조립체를 형성된 몰드의 개구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2 내면 조립체는 다수의 개별 슬라이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슬라이드는 형성된 몰드의 개구를 향하여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일련의 내부 몰드 부품들이 선행 공정들을 반복하여 제거될 수 있다. 단계(1920)에서, 외부 몰드 조립체의 부품을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외부 몰드 조립체의 개별 부품들을 순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부품들을 동시에 제거할 수 있다. 단계(1925)에서, 형성된 몰드에 고정구를 커플링할 수 있다(예컨대, 도 9m 및 도 9n에 도시된 커플링 참조). 다양한 실시예에서, 커플링은 마찰 결합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고정구 자체가 흡인 또는 일부 유사한 방식으로 형성된 부품에 능동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단계(1930)에서, 형성된 하우징의 내부 용적 내에 남아 있는 내부 몰드 부품 위로 고정구와 형성된 몰드를 함께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고정구와 형성된 몰드는 소정 각도로 제거된다.
본 명세서 전반에 사용된 바와 같이, 그 안에 포함된 요지에 대한 실시예들, 양태들, 예들, 목록들 및 다양한 설명들 각각에서, 단어 "또는"은, 목록 내의 오직 하나의 항목(예컨대, A, B 또는 C 중 오직 하나)을 나타내기 위해 명시적으로 변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으면, 배타적인 형태(예컨대, 그 중 오직 하나)가 아니라 포괄적인 형태(예컨대, 및/또는)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컨대, "A, B 또는 C"라는 어구는 요소들의 임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이 어구는 오직 A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어구는 오직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어구는 오직 C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어구는 A와 B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어구는 A와 C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어구는 B와 C를 의미할 수 있다. 이 어구는 A와 B와 C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개념은 본원에 사용된 목록의 임의의 길이(예컨대, 1, 2, 3...n)로 연장된다.
이상의 설명은 특정 실시예를 제시하였으나,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고 있을 뿐이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형태와 세부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본원의 교시에 비추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예컨대, 공정의 단계들은 다른 순서로 또는 다른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당업자들은, 본원에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았더라도,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 속하는 다수의 시스템, 배열 및 방법을 안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당업자라면, 도시되고 예시된 특정 실시예들이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특정 실시예들의 세부에 대한 참조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고자 의도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5)

  1. 전자 부품들을 위한 하우징으로서,
    내부 공동을 정의하는 주요 내면(major interior surface) - 상기 주요 내면은 상기 주요 내면의 평면부(planar portion)로부터 연장하는 내면 특징부(interior surface feature)를 포함함 - ;
    제1 표면과 제2 표면을 적어도 포함하는 주요 외면(major exterior surface); 및
    상기 내부 공동으로부터 상기 주요 내면 및 상기 주요 외면을 통해 연장되는 주요 개구(major aperture)
    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 개구는 상기 제1 표면과 상기 제2 표면의 일부분을 교차하고,
    상기 주요 개구는 상기 제1 표면 및 상기 제2 표면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을 통해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주요 내면과 상기 주요 외면 사이의 균일한 두께의 강성 물질로 형성된 단일의 일체형 구조(unitary construction)로 되어 있는 하우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면 특징부는 전자 부품들에 커플링되도록 더 구성되는 하우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개구는 제3 표면과 제4 표면의 일부분을 추가적으로 통과하는 하우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개구는 L자 형상의 단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은 상기 제2 표면, 상기 제3 표면 및 상기 제4 표면에 대해 직교하고, 상기 제2 표면은 상기 제3 표면 및 상기 제4 표면에 대해 직교하며, 상기 제3 표면과 상기 제4 표면은 서로에 대해 평행한 하우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표면, 상기 제2 표면, 상기 제3 표면 및 상기 제4 표면은 모두 연속적이며, 상기 제1 표면, 상기 제2 표면, 상기 제3 표면 및 상기 제4 표면 중 임의의 표면을 형성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부착된 별도의 표면들을 갖지 않는 하우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개구의 주변의 둘레에 수용 립(receiving lip)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
  8. 제7항에 있어서,
    유지 캡(retention cap)의 표면이 개구 표면과 동일한 높이이도록 상기 수용 립에 커플링된 상기 유지 캡을 더 포함하는 하우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개구는, 상기 내부 공동의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최대 슬라이드의 단면 인출(cross sectional pull)보다 큰 단면 오프닝을 포함하며, 상기 단면 오프닝은, 상기 최대 슬라이드의 단면 인출과, 상기 내부 공동의 적어도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하나의 추가적인 슬라이드의 단면 인출이 결합된 것보다 작은 하우징.
  10.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하는 방법으로서 - 상기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은 상기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의 내부 용적의 단면보다 작은 단면을 가지는 개구를 가짐 -,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동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위치에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의 주요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제1 위치에 복수의 이동가능한 부품을 갖는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서 수지를 주입하기 위하여 공동이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는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 각각의 추출 돌출부(extraction protrusion)와 결합됨(mate with) -;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의 상기 공동에 수지를 주입하여, 상기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에 주요 내면, 주요 외면, 및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개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 공동으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주요 내면 및 상기 주요 외면을 통과함 -;
    상기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통해 적어도 제1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를 제거하는 단계;
    상기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하우징 내에상기 개구를 통해 적어도 제2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에 형성된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제2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를 제거하는 단계;
    적어도 제1 이동가능한 외부 몰드 부품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하우징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압축되도록 구성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단일의 사출 성형으로 상기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하우징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성형된 하우징에 고정구(fixture)를 커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의 표면에 대해 수직이 아닌 각도로 상기 고정구와 상기 하우징을 함께 들어올림으로써, 상기 일체형 구조의 하우징과 상기 고정구를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하나의 외면에 대해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의 공동의 내부로부터 제거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는, 상기 하우징의 임의의 평탄한 외면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의 공동의 내부로부터 제거되는 방법.
  16. 사출 성형 툴(injection molding tool)로서,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를 포함하는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는,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에 하우징 공동이 형성되도록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내부에 배치되고, 사출 몰드에 응답하여, 수지가 없는,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의 공동을 형성하도록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가 배치되고,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의 공동은 상기 하우징을 형성하기 위해 수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는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내에서 이동가능하며, 상기 하우징 공동 밖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수지로 상기 주요 내부 몰드 조립체와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 사이의 공동을 충진하기 위한 게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는 제1 슬라이드, 제2 슬라이드 및 제3 슬라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슬라이드와 상기 제2 슬라이드가 결합되고(engaged), 상기 제3 슬라이드와 제4 슬라이드가 결합되며, 양자의 결합들(engagements)은 수지가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 사이에 흐르는 것을 방지하지만,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가 서로에 대해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사출 성형 툴.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동가능한 내부 슬라이드는, 상기 하우징 공동 밖으로 연장되며 상기 주요 외부 몰드 조립체의 내부와 결합되는 추출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사출 성형 툴.
  18. 삭제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드는 상기 제1 슬라이드와 상기 제3 슬라이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슬라이드는, 상기 제1 슬라이드와 상기 제3 슬라이드 사이에서 밖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크기로 배치되는(sized and positioned) 사출 성형 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는, 상기 제3 슬라이드가 여전히 상기 하우징 공동에 배치되는 동안, 상기 제2 슬라이드의 이동 이전에 상기 제2 슬라이드에 의해 점유된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하우징 공동 밖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크기로 배치되며, 상기 제3 슬라이드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및 상기 제2 슬라이드가 제거된 이후에 상기 하우징 공동 밖으로 이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게 하는 크기로 되어 있는 사출 성형 툴.
  21. 하우징으로서,
    수지로부터 형성되고 내부 공동을 정의하는 사출 성형된 본체; 및
    상기 사출 성형된 본체를 통과하는 개구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공동의 최대 단면은 상기 개구의 최대 단면보다 크고,
    상기 사출 성형된 본체는 일체형이고,
    상기 개구의 최대 단면은, 상기 내부 공동의 일부분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최대 슬라이드의, 방출축(axis of ejection)에 대해 수직인 최대 단면보다 크며,
    상기 개구의 최대 단면은, 상기 내부 공동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든 슬라이드들의, 임의의 축을 따르는 모든 단면들보다 작은, 하우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된 본체는 접합선(seam)이 없는 하우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 성형된 본체는 서로 인접한 적어도 한 쌍의 측면을 정의하며,
    상기 개구는 상기 적어도 한 쌍의 측면을 통과하는 하우징.
  24. 삭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유지 특징부(retention feature)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유지 특징부에 적어도 하나의 전기 부품이 고정되는 하우징.
KR1020140031293A 2013-03-15 2014-03-17 다축 코어 인서트를 구비한 사출 몰드 KR1016041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99065P 2013-03-15 2013-03-15
US61/799,065 2013-03-15
US14/038,176 2013-09-26
US14/038,176 US9694526B2 (en) 2013-03-15 2013-09-26 Injection mold with multi-axial core inser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606A KR20140113606A (ko) 2014-09-24
KR101604184B1 true KR101604184B1 (ko) 2016-03-16

Family

ID=5152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1293A KR101604184B1 (ko) 2013-03-15 2014-03-17 다축 코어 인서트를 구비한 사출 몰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94526B2 (ko)
KR (1) KR101604184B1 (ko)
CN (1) CN104309063B (ko)
TW (1) TWI5788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477B1 (ko) * 2017-04-04 2021-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 성형방법
USD902869S1 (en) * 2018-03-28 2020-11-24 Beijing Xiaomi Mobile Software Co., Ltd. Portable adapter
US10779640B2 (en) 2018-11-26 2020-09-22 Steelcase Inc. Cantilevered desk and components and method for the use thereof
USD934799S1 (en) * 2019-10-11 2021-11-02 Innovative Electrical Design, Inc. Portable 400 hertz power distribution unit
CN114919137B (zh) * 2022-06-15 2023-10-31 宁波峰亚电器有限公司 一种空气炸锅外壳注塑模具
CN115519745A (zh) * 2022-10-21 2022-12-27 阿维塔科技(重庆)有限公司 一种注塑模具的抽芯机构及注塑模具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6485A (ja) * 2002-03-15 2003-09-24 Kyodo Printing Co Ltd 射出成形金型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2416A (ja) 1990-03-01 1991-11-11 Yokohama Rubber Co Ltd:The エポキシ樹脂モールド材料
JPH05200914A (ja) 1992-01-24 1993-08-10 Alps Electric Co Ltd 球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5346659A (en) * 1992-11-23 1994-09-13 S. C. Johnson & Son, Inc. Method for producing a weld-line free injection molded plastic container body portion
US5620242A (en) * 1993-04-19 1997-04-15 Motorola, Inc. Portable radio battery latch
US5520976A (en) 1993-06-30 1996-05-28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Composite enclosure for electronic hardware
JPH08281709A (ja) * 1995-04-12 1996-10-29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金型
US6143227A (en) * 1997-07-30 2000-11-0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injection molding an article having film covered flanges
US6291369B1 (en) 1998-04-08 2001-09-18 Dai Nippon Printing Co., Ltd. Resin molding
US6086395A (en) * 1998-08-02 2000-07-11 Motorola, Inc. Power transformer
US6293636B1 (en) * 1999-12-30 2001-09-25 Gateway, Inc. Device retention assembly
JP2002184532A (ja) * 2000-12-14 2002-06-2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
KR100387563B1 (ko) 2001-03-14 2003-06-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배출부 일체형 용기의 제조방법
USD478310S1 (en) * 2001-07-31 2003-08-12 Apple Computer, Inc. Power adapter
US7573159B1 (en) * 2001-10-22 2009-08-11 Apple Inc. Power adapters for powering and/or charging peripheral devices
CN1438567A (zh) 2002-02-11 2003-08-27 许晋铭 触控笔的制造工艺及其成型模组
GB2390047B (en) 2002-06-28 2005-05-11 Textron Fastening Syst Ltd Split die groove maker
CN1567169A (zh) 2003-06-17 2005-01-19 创宇科技工业股份有限公司 触控笔的制造方法
CN1562620A (zh) 2004-04-14 2005-01-12 杨林江 一种汽车壳体用复合材料的制备方法
JP2008021568A (ja) 2006-07-14 2008-01-31 Sunarrow Ltd キートップ及びその製造方法
US7655278B2 (en) 2007-01-30 2010-02-02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Composite-forming method, composites formed thereby, and printed circuit boards incorporating them
KR20090013944A (ko) 2007-08-03 2009-02-06 이정화 차량 외장 패널의 이음부 패킹 부재
KR100955058B1 (ko) 2008-06-19 2010-04-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금형조립체
CN101634911A (zh) 2009-02-12 2010-01-27 华尔达(厦门)塑胶有限公司 阻尼伸缩笔及其制造方法
DE102009032522B4 (de) * 2009-07-10 2018-12-27 Ctc Analytics Ag Gehäuse für ein elektrisches Gerät
CN102147668B (zh) 2010-02-08 2014-12-10 南通奥普机械工程有限公司 触控笔
CN101974198B (zh) 2010-10-14 2012-07-11 常熟东南塑料有限公司 耐高温酚醛模塑料
US20130126073A1 (en) 2011-11-18 2013-05-23 Apple Inc. Internal mold release
TWI459274B (zh) 2011-11-28 2014-11-01 Shih Hua Technology Ltd 觸控模組及其製備方法
USD663688S1 (en) * 2011-12-07 2012-07-17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harger adaptor
US20150367545A1 (en) 2014-06-22 2015-12-24 Apple Inc. Zero draft mol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6485A (ja) * 2002-03-15 2003-09-24 Kyodo Printing Co Ltd 射出成形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606A (ko) 2014-09-24
US20140265763A1 (en) 2014-09-18
CN104309063A (zh) 2015-01-28
TW201448704A (zh) 2014-12-16
US9694526B2 (en) 2017-07-04
CN104309063B (zh) 2017-10-24
TWI578874B (zh)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184B1 (ko) 다축 코어 인서트를 구비한 사출 몰드
RU2586132C2 (ru)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предназначенный для получения детали из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CN104690910A (zh) 射出成型模具
US10717215B2 (en) Method and mold for molding a collapsible, foam plastic container
US8425221B2 (en) Mold assembly having ejection mechanism
RU2499667C2 (ru) Формовоч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образования отделений в контейнере на основе картона
KR101280013B1 (ko) 엘보우 사출금형의 언더컷 해소를 위한 코어조립체
KR20170116422A (ko) 조립식 수납함
CN215203121U (zh) 双芯注塑成型流转式埋入模具结构
US5575056A (en) Method of and mold for molding product having insert
CN210880571U (zh) 医用钉仓成型模组及加工模具
CN206765250U (zh) 果汁桶体用精密成型模具
JP2000094479A (ja) 射出成形金型及び射出成形方法
CN216683141U (zh) 一种前后多处斜孔的框架形产品的模具结构
US10786929B2 (en) Mold insert assembly
CN107706616A (zh) 线缆连接器组件
KR20180064245A (ko) 가구 블록
JP3147750B2 (ja) コネクタの製造方法、コネクタの製造用金型、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金型
US20170334096A1 (en) Multi-piece removable tooling insert
JPH09106875A (ja) コネクタの製造方法、コネクタの製造用金型、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金型
JP6077154B1 (ja) 樹脂成型品、成形装置、成形方法及び金型
CN219820516U (zh) 油烟机进风罩成型模具
KR102191786B1 (ko) 접이식 상자용 금형 및 사출물 조립방법
CN219255539U (zh) 抽屉组件及可变空间的工具箱
CN110613158B (zh) 可以变形的食品模具及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