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733B1 -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733B1
KR101603733B1 KR1020130139950A KR20130139950A KR101603733B1 KR 101603733 B1 KR101603733 B1 KR 101603733B1 KR 1020130139950 A KR1020130139950 A KR 1020130139950A KR 20130139950 A KR20130139950 A KR 20130139950A KR 101603733 B1 KR101603733 B1 KR 101603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
fraction
extract
luteolin
ex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9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7084A (ko
Inventor
김선림
정건호
김미정
이유영
김기종
손범영
이진석
김정태
백성범
권영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139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733B1/ko
Priority to PCT/KR2014/010205 priority patent/WO2015072678A1/ko
Publication of KR20150057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70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30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 A23L11/32Removing undesirable substances, e.g. bitter substances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Abstract

본 발명은 옥수수수염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옥수수수염에 존재하는 생체내 항산화 작용을 증가시키고 항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가지는 메이신의 추출을 극대화 하는 동시에 항산화 작용을 향상시키는 다른 유효물질들을 부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유효물질들의 추출과정에서 종래의 열수추출방법에 의해 추출된 경우에 비해 추출되는 유효물질의 파괴,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Method for extracting maysin and bioactive compounds with high yield from corn silk}
본 발명은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내 항산화 작용을 증가시키고 항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신경세포 사멸 억제 효과를 가지는 옥수수수염에 존재하는 메이신(maysin)을 고수율, 고농도로 추출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부가적으로 항산화 작용을 향상시키는 다른 유효물질들을 추출할 수 있는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maysin)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옥수수의 원산지는 열대 미주지역이며, 현재는 북미를 비롯한 전세계에서 재배되는 포이풀과의 1년생초본으로 1~3m 크기로 자라며 병ㆍ충해에 매우 강해서 농약을 사용하지도 않고도 재배할 수 있다. 옥수수는 한약재로는 거의 쓰이지 않지만, 옥수수의 열매 부분을 싸고 있는 실같은 부분인 옥수수수염은 말려서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옥수수수염은 생약명으로 옥미수라고 하며 옥수수(Zea mays Linne)의 꽃술이다.
옥수수수염은 '옥촉수(玉蜀鬚)' 또는 '옥촉서예'라고 부르기도 하며, 맛은 달고 담담하며 약리효과가 뛰어나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는데, 식품 또는 식품첨가물, 향료로도 널리 활용되고 있다. 옥수수수염을 약용으로 사용할 경우, 이뇨작용을 촉진해 소변의 염화물 배출을 활성화 하고, 담즙 분비를 촉진시키며, 혈압과 혈당을 내리고, 지혈작용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신우 신장에 있는 결석을 녹이는 작용, 소변길(요도)에 있는 진득진득한 물질을 씻어내는 작용이 있다. 최근 임상 보고에 따르면, 만성 신우신염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6개월간 복용시킨 결과, 신장 기능이 개선되었고, 부종을 치료했으며, 단백뇨의 소실 및 경감 효과를 부작용 없이 개선시켰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옥수수수염을 물을 넣고 달여서 복용할 경우, 부종을 가라앉히는 효과가 있고, 비만, 월경전증후군, 전립선 관련 질병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으며, 야뇨증을 막을 수 있고 손목 터널증후군 및 늑막염, 복수증상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고, 담석증, 방광결석, 황달성 간염, 강견변에도 치료에도 효능이 있으며, 방광, 소장, 산후의 신장염 등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옥수수수염의 성분은 지방유, 정유, 다량의 포타슘 나이트레이트 크립토산씬(potassium nitrate cryptoxanthin) 및 비타민 K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고, 또한, 옥수수수염은 식품안전청의 원료 분류에 따르면, 옥수수수염은 부원료로 분류되어 식품 원료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기타 부원료 없이 사용할 경우에는 주원료처럼 사용할 수 있다.
현재, 옥수수수염을 이용한 차는 시판되고 있는 실정이나, 단순히 물을 첨가하여 열수추출하거나 통상의 추출방법을 통해 추출할 경우 옥수수수염에 존재하는 유효물질들, 특히 항암작용 및 항산화작용에 탁월한 효능이 있는 메이신의 추출이 매우 어렵고, 추출량을 극대화할 수 없어 고수율의 메이신을 수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메이신은 모든 품종 및 옥수수수염의 채취시기 등 조건을 불문하고 동일한 농도로 함유하고 있는 것이 아닌 바, 옥수수수염을 추출한다고 하여 고농도의 메이신을 추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옥수수이삭에서 옥수수수염이 출사 후 화분의 수정여부에 따라서도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함량에 많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종래의 추출법은 옥수수수염 추출물에 함유된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함량이 매우 낮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열수추출을 통해서는 상기 메이신 이외에 옥수수수염에 존재하는 기타 항산화작용을 향상시키는 유효물질들을 부가적으로 동시에 추출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고열의 열수추출에 의해 추출물에 함유된 메이신의 변형, 파괴 등으로 항산화, 항암 효과 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등록특허 제0821855호는 옥수수수염을 정제수를 가하여 98~110℃에서 60~120분간 추출하는 멸균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열수추출의 방법으로는 옥수수수염에 존재하는 유효물질인 메이신의 추출을 극대화할 수 없고, 메이신을 비롯한 항산화 작용을 향상시키는 각종 유효물질들의 추출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더 나아가, 물 이외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옥수수수염에 존재하는 메이신을 추출하더라도 추출대상인 옥수수수염의 생장일수, 보관상태, 추출온도 등에 의해 목적하는 메이신의 추출함량은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는바, 유효물질의 추출량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동시에 고려하여 목적하는 메이신의 추출함량을 극대화하는 추출방법의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첫 번째로 해결하려는 과제는 옥수수수염에 존재하는 항산화, 항암작용에 탁월한 메이신의 추출을 극대화하는 동시에 항산화 작용에 높은 효능을 보이는 다른 유효물질들을 부가적으로 추출하는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해결하려는 과제는 항산화, 항암작용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는 메이신 및 항산화작용에 높은 효능을 보이는 다른 유효물질들이 포함된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세 번째로 해결하려는 과제는 옥수수수염에 존재하는 메이신이 함유된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을 식품의 용도로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옥수수수염에서 추출용매를 통해 유효물질을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물에서 제1 분액용매를 통해 색소성분 및 지질을 제거하는 단계; (3) 상기 색소성분 및 지질을 제거한 추출물에서 제2 분액용매를 통해 당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당질을 제거한 추출물에서 유효성분을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의 옥수수수염은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계에서,
상기 옥수수수염은 옥수수이삭에서 출사한 후 1 ~ 6일된 수정된 옥수수수염 또는 출사한 후 1 ~ 12일된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계에서의 추출용매는 C1 ~ C5의 저가 알코올이며, 상기(2)단계의 제1 분액용매는 헥산(hexane),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벤젠(benze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에테르(ether) 및 클로로포름(chloroform)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3) 단계의 제2 분액용매는 C1 ~ C5의 저가 알코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단계에서 추출은 20 내지 30 ℃에서 5 내지 13 일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4)단계에서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C18 컬럼에 의하며, C18 컬럼에 충진제가 105 ~ 125 g 충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4)단계에서 상기 유효물질은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 메이신(2''-O-α-L-rhamnosyl-6-C-(6-deoxy-xylo-hexose-4-ulosyl)luteolin) 및 클로로겐산((1S,3R,4R,5R)-3-[(E)-3-(3,4-dihydroxyphenyl)prop-2-enoyl]oxy-1,4,5-trihydroxycyclohexane-1-carboxylic acid, Chloroge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4) 단계의 유효물질 중 메이신이 상기 (1) 단계 추출 전 옥수수수염 생체 100 중량부에 대해 0.120 중량부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C18 컬럼을 통해 분획한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에는 메이신이 추출 전 옥수수수염 100 생체 중량부에 대하여 0.120 중량부 이상 포함하는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분획물은 분획물 Ⅰ, 분획물Ⅱ, 분획물 Ⅲ을 더 포함하며, 추출 전 옥수수수염 100 생체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분획물 Ⅰ은 클로로겐산이 0.030 중량부 이상, 분획물 Ⅱ는 클로로젠산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를 함유한 혼합물이 0.040 중량부 이상, 분획물 Ⅲ은 클로로젠산,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를 함유한 혼합물이 0.040 중량부 이상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세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을 유효물질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상기 분획물의 함량이 2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사용한 용어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인 “출사”는 옥수수이삭에서 수염이 나와 자라는 것을 의미하며, “출사 전”이라고 함은 옥수수이삭에서 수염이 나오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인 “수분”은 옥수수의 화분(꽃가루)이 암술대에 달라붙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수분과 수정은 동일한 의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수분된 옥수수수염” 또는 “수정된 옥수수수염”은 옥수수이삭에서 수염이 출사 후 화분이 수분 또는 수정 후에 옥수수이삭에서 출사된 옥수수수염을 의미한다.
나아가, “미수정된 옥수수수염” 또는 “미수분된 옥수수수염”은 수정 또는 수분되지 않은 옥수수이삭에서 수염이 출사 후 옥수수수염을 채취하기 전까지 화분이 수분 또는 수정되지 않은 옥수수수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은 종래의 열수추출방법 또는 통상적인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으로 추출된 옥수수수염 추출물 보다 항산화, 항암 효과를 가지는 메이신의 추출을 극대화하여 고농도의 메이신을 고수율로 수득할 수 있는 동시에 항산화 효과를 향상시키는 다른 유효물질들을 부가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열수추출에 의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고열로 인한 메이신 등 유효물질의 파괴를 방지하여 추출되는 메이신을 비롯한 유효물질들의 파괴,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수염 추출물에는 항산화, 항암작용에 탁원한 효능이 있는 메이신을 비롯한 각종 항산화 유효물질을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체내 활성산소 감소효과, 현저한 항산화 효소의 발현 증가 및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신경세포(SK-N-MC)의 사멸효과를 가짐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수염 유래 추출물을 식품 등에 널리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옥수수수염의 출사 후 일수 경과에 따른 옥수수수염에 포함된 유효물질인 메이신의 함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채취된 옥수수수염의 후처리에 따른 유효물질인 메이신의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유기용매별 옥수수수염 추출물에서의 메이신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옥수수수염 추출온도 및 추출기간별 수득된 메이신의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분리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Ⅰ의 자외선/가시광선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Ⅱ의 자외선/가시광선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Ⅲ의 자외선/가시광선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Ⅳ의 자외선/가시광선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Ⅰ내지 Ⅳ의 자외선/가시광선 흡광도 스펙트럼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Ⅰ의 질량분석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Ⅱ의 질량분석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Ⅲ의 질량분석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Ⅳ의 질량분석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에 의해 추출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은 고열의 열수추출에 의한 메이신 변형, 파괴 등으로 항산화, 항암 등의 효과가 현저히 감소되고, 옥수수수염에 포함된 메이신의 추출을 극대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옥수수수염에 포함된 항산화 작용에 효과가 있는 각종 다른 유효물질들을 동시에 추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유기용매로 통해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제조하더라도 추출물에 항산화, 항암효과가 있는 메이신의 추출이 어렵고, 메이신을 비롯한 유효물질을 고농도, 고수율로 수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옥수수수염이 채취시기, 수정여부 등에 따라 유효물질 중 메이신의 함량이 천차만별인 바 종래의 옥수수수염 추출에 의해서는 고농도로 메이신을 수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1) 옥수수수염에서 추출용매를 통해 유효물질을 추출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물에서 제1 분액용매를 통해 색소성분 및 지질을 제거하는 단계;
(3) 상기 색소성분 및 지질을 제거한 추출물에서 제2 분액용매를 통해 당질을 제거하는 단계; 및 (4) 상기 당질을 제거한 추출물에서 유효성분을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을 제공함으로서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종래의 방법으로 추출된 옥수수수 추출물 보다 고농도의 메이신을 고수율로 수득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각종 유효물질을 동시에 추출할 수 있고, 추출과정에서의 메이신 등 유효물질들의 변형, 파괴를 최소화하여 항산화, 함암 효과 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먼저, (1)단계로써 옥수수수염에서 추출용매를 통해 유효물질을 추출하며, 이하 추출대상인 옥수수수염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모든 옥수수수염에서 목적하는 메이신의 함량이 동일하지 않으며, 옥수수 품종, 옥수수수염의 출사 후 기간, 옥수수수염의 수정여부, 채취된 옥수수수염의 후처리 여부 등에 따라 목적하는 유효물질인 메이신의 함량이 매우 상이함을 밝혀냈다.
먼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옥수수수염은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일 수 있다. 상기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이란 수정 또는 수분되지 않은 옥수수이삭에서 수염이 출사 후 옥수수수염을 채취하기 전까지 화분이 수분 또는 수정되지 않은 옥수수수염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옥수수수염의 출사 후 일수 경과에 따른 옥수수수염에 포함된 대표적인 유효물질인 메이신의 함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로써,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은 수정된 옥수수수염에 비해 메이신 함량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1) 단계 이전에 옥수수이삭에서 옥수수수염이 출사 전 옥수수수염이 화분에 수정되지 않도록 수분방지 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분방지 처리를 통해 옥수수수염이 출사 시 화분을 수분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정된 옥수수수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더 많은 양의 메이신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수분방지 처리는 옥수수수염 출사 전 옥수수이삭에 실크백 처리, 옥수수의 수이삭을 옥수수수염이 출사하기 전에 제거처리 등에 의할 수 있으나 상기 수이삭의 제거처리의 경우 옥수수 이삭에 종실이 맺히지 못하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게는 옥수수 이삭에 실크백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처리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옥수수 식물체에서 옥수수수염이 수분되지 못하도록 사전에 처리하는 방법인 경우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옥수수수염의 수정을 방지하기 위해 실크백처리를 한 경우 옥수수수염의 출사 후 2 ~5일이 경과하면 옥수수수염이 20cm이상 자라게 되며, 채취 시에 실크백을 제거하고 길게 자란 옥수수수염을 채취할 수 있다.
다만, 옥수수수염의 출사 후 채취시기(출사 후 옥수수수염 성장일수)에 따라서도 수득되는 메이신의 함량이 달라지는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옥수수수염은 옥수수이삭에서 출사 후 1 내지 12일된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출사 후 1 내지 6일된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통해 상기 일수 범위를 만족하는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의 경우 메이신의 수득률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만일 옥수수수염이 미수정 되었을지라도 출사한지 12일을 초과하는 경우 메이신함량이 현저히 줄어들어 목적하는 유효물질을 추출하기 위해 투입되는 옥수수수염의 양이 늘어나 생산성이 매우 좋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만일 출사한지 1일 미만의 옥수수수염에서 추출한 경우 옥수수수염의 채취량이 매우 적어 목적하는 유효물질의 수득률이 현저하게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다만, 하기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옥수수수염이 이삭에서 출사 후 수정되었을 지라도 출사 후 1 내지 6일된 옥수수수염의 경우 옥수수수염 생체 100g당 유효물질인 메인신의 함량이 100mg이상으로써 추출물에서의 목적하는 유효물질인 메이신의 함량을 높일 수 있고, 출사 후 6일을 초과하는 수정된 옥수수수염에서 추출하는 경우 비교적 다량의 옥수수수염을 투입해야 목적하는 메이신을 수득할 수 있는 단점이 있어 생산성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정된 옥수수수염은 옥수수이삭에서 출사한 후 1 ~ 6일에 채취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옥수수수염의 채취 후 후처리에 따라서도 메이신의 추출효율이 달라지는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옥수수수염은 저온저장 또는 동결건조되지 않은 것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채취 후 1시간 이내의 생체상태 그대로의 옥수수수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채취된 옥수수수염의 후처리에 따른 유효물질인 메이신의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써, 저온저장 또는 동결건조된 옥수수수염을 추출에 사용한 경우 옥수수수염 100g당 수득되는 메이신이 채취 후 바로 추출한 경우에 비해 4.1 ~ 6.6mg 덜 수득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동결건조 등의 후처리되지 않고 채취 후 생체 그대로의 상태로 추출하는 경우 유효물질 중의 하나인 메이신의 수득률을 높일 수 있다.
나아가, 하기에 설명한 추출용매를 옥수수수염에 가하기 전에 옥수수수염을 채취한 상태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옥수수수염 내 존재하는 메이신의 추출효율을 높이기 위해 옥수수수염을 세절하거나, 분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옥수수수염은 종에 상관없이 통상적으로 재배 판매되는 옥수수에서 채취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광평옥, 강다옥, 장다옥 및 양안옥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옥수수에서 채취된 것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옥수수수염은 상기 기재된 옥수수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술한 옥수수수염에 추출용매를 가하는 추출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추출용매는 C1 ~ C5의 저가 알코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1 ~ C2의 저가알코올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용성을 고려하여 프레타놀 A(prethanol A, 덕산산업, C2H5OH)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유기용매별 옥수수수염 추출물에서의 메이신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써, 메탄올을 유기용매로 사용한 경우 메이신의 수득률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다. 다만, 메탄올로 추출한 경우 추출물의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용매로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용 에탄올인 프레타놀 A일 수 있다. 또한 추출에 사용되는 상기 저가 알코올 내 증류수의 함량의 경우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추출목적에 따라 증류수의 함량을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옥수수수염 100중량부에 대해 100 ~ 300 중량부 투입될 수 있다. 만일 추출용매가 100 중량부 미만으로 투입되는 경우 목적하는 유효물질의 추출이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추출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3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투입되는 경우 추출효율 자체에서는 큰 효과차이를 보이지 않음에 따라 추출용매의 과다투입에 따른 제조단가의 상승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를 이용한 옥수수수염의 추출은 추출효율의 향상 및/또는 추출된 유효물질의 변형,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저온 또는 상온에서 실시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유효물질의 수득률 향상을 위해 20 ~ 30℃에서 실시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온도범위에서 5 ~ 13일 동안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추출하는 경우 추출시간을 짧게 가져갈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 온도범위를 벗어나 만일 온도가 20℃미만에서 추출하는 경우 저장성이 좋아지는 대신에 유효물질의 추출효율이 낮아지고 추출기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30℃를 초과하는 경우 추출물이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는 옥수수수염 추출온도 및 추출기간별 수득된 메이신의 함량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써, 25℃(상온)에서 추출을 수행한 경우 4℃ 또는 15℃에서 추출한 경우에 비해 수득되는 메이신의 함량이 현저히 높으며, 그 중에서도 25℃에서 추출일수가 5 내지 13일 되는 경우 추출되는 메이신의 함량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옥수수수염에 추출용매를 가한 후에 직사광선을 피하여 추출과정을 진행시킴이 바람직하다. 추출과정에서 직사광선에 노출될 경우 추출물이 변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2) 단계로써 상기 (1)단계의 추출물에서 제1 분액용매를 통해 색소성분 및 지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색소성분은 엽록소를 비롯한 통상적으로 옥수수수염에 들어 있는 각종 색소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분액용매를 가하기 전에 (1) 단계의 추출물을 여과하여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압농축 과정에 사용되는 감압농축기의 가열 온도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35 ~ 50 ℃로 가열할 수 있다. 만일 35 ℃ 미만으로 가열할 경우 농축소요시간이 장기화되고, 50 ℃를 초과하여 가열할 경우 옥수수수염 추출액이 끓어 넘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감압농축기에 부착된 액상추출장치는 통상적으로 옥수수수염의 추출에 사용되는 장치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액상추출장치로 환류냉각관의 온도는 추출용매를 35 ~ 50 ℃로 가열시 기화되는 추출용매을 냉각시켜 포집할 수 있는 온도의 범위라면 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0 ~ 20℃의 온도 범위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여과 및 감압농축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에서 지질 및 색소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제1 분액용매를 추출물과 혼합하며 바람직하게는 분액깔대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분액깔대기를 이용한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액용매란 분액깔대기를 이용 물질의 분리에 사용되는 용매로써, 상기 제1 분액용매는 헥산(hexane),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 벤젠(benzen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에테르(ether) 및 클로로포름(chloroform)으로 이루어진 군 중 선택된 어느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분액용매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으로 식물체에서 지질이나 엽록소 등의 색소성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물질이라면 제1 분액용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옥수수수염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제1 분액용매를 100 ~ 300 중량부 투입하여 색소성분 및 지질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만일 제1 분액용매를 100 중량부 미만으로 투입시킬 경우 옥수수수염 추출물에서 색소성분이나 지질의 제거가 원활하지 못하여 하기에 설명한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획과정에서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분액용매를 300 중량부 초과하여 투입시킬 경우 분액효율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 반면에 과다투입에 따른 제조단가 상승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분액용매를 투입한 후에는 바람직하게는 2 ~ 3회에 걸쳐 분액깔대기 사용하여 분액할 수 있다.
다음으로 (3) 단계로써, 상기 색소성분 및 지질을 제거한 추출물에서 제2 분액용매를 통해 당질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출물에서 당질을 제거하는 이유는 추출물에 다량 함유된 당질은 C18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옥수수수염에 포함된 메이신을 비롯한 유효물질들을 분리시킬 때, 분리능을 저하시키고, 컬럼에 높은 압력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하기의 (4)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당질을 추출물에서 제거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상기 (2) 단계를 수행한 추출물에 제2 분액용매를 투입하기 전에, 먼저 (2) 단계를 수행한 추출물에 대해 감압농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색소성분 및 지질을 제거하기 위해 투입된 분액용매의 잔량을 추출물에서 완전히 제거하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2)단계를 수행한 추출물에 대한 감압농축은 추출물이 현탁액(slurry)이 될 때까지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현탁액 상태로 감압농축된 색소성분 및 지질이 제거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에 당질을 제거하기 위해 투입하는 제2 분액용매는 C1 ~ C5의 저가 알코올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중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순도가 99.9%인 무수알코올일 수 있다. 다만, 추출물에서 당질을 제거시키고 옥수수수염에 존재하는 유효물질을 용출시킬 수 있다면 구체적인 알코올의 순도는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 분액용매는 당질을 제거하기 위해 감압농축된 옥수수수염 추출물 현탁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분액용매 100 ~ 300 중량부를 투입할 수 있다.
만일 제2 분액용매를 100 중량부 미만으로 투입시킬 경우 옥수수수염 추출물에서 당질의 제거가 원활하지 못하여 하기에 설명한 추출물의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분획과정에서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제2 분액용매를 300 중량부 초과하여 투입시킬 경우 분액효율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 반면에 과다투입에 따른 제조단가 상승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이신 등 유효물질을 용출시키고 당질을 최대한 제거하기 위해 2 ~ 3회에 걸쳐 유효물질을 용출시키고, 용출된 메이신 등 유효물질들이 포함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건조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농축물 100 중량부에 대해 다시 상기의 제2 분액용매를 100 ~ 300 중량부로 투입시켜 최대한 당질을 제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분액용매를 가해 당질을 제거하는 과정은 당질을 최대한 제거하면서 목적하는 유효물질의 수득량을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 내라면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4)단계로써, 상기 당질을 제거한 추출물에서 유효물질을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4) 단계의 분리과정을 거치기 전에 상기 (3)단계에서 수득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용해시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할 수 있으며, 추출물을 용해시키는 용매로 증류수 또는 초순수를 사용하거나 순도 30% 이내의 알코올 용액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증류수 또는 초순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옥수수수염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상기 용매를 100 ~ 500 중량부를 투입하여 추출물을 용해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용해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은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물질이 분리된다. 상기 크로마토그래피는 통상적으로 천연물 추출에 사용되는 컬럼이라면 그 제한은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C18 컬럼을 사용할 수 있다.
만일 통상적인 컬럼, 예를 들어 실리카겔 컬럼이나 이온수지 컬럼을 사용하는 경우 C18 컬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분리능이 떨어지고, 본 발명에서 추구하는 메이신을 비롯한 유효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컬럼의 크기는 통상적인 천연물 추출에 사용되는 컬럼의 크기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직경× 높이가 30 ~ 50 ㎜ × 100 ~ 200 ㎜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컬럼에 충전되는 충진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05 ~ 125g일 수 있으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05 ~ 115g일 수 있다. 만일 충진제의 양이 100g 미만인 경우 목적하는 유효물질이 포함된 분획물의 분리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으며, 특히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 및 메이신((2''-O-α-L-rhamnosyl-6-C-(6-deoxy-xylo-hexose-4-ulosyl)luteolin)의 분리능이 현격히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진제의 양이 125g을 초과할 경우 펌프의 압력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분리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구체적으로는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 및 메이신( 2''-O-α-L-rhamnosyl-6-C-(6-deoxy-xylo-hexose-4-ulosyl)luteolin)의 분리능이 저하되고, 물질의 분리소요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에서 충진제의 양이 각각 100g 및 130g인 실시예 43 및 45의 경우 실시예 1 및 실시예 44에 비해 분획물의 분리능이 매우 나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4)단계에서 분리되는 유효물질은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 메이신(2''-O-α-L-rhamnosyl-6-C-(6-deoxy-xylo-hexose-4-ulosyl)luteolin) 및 클로로겐산((1S,3R,4R,5R)-3-[(E)-3-(3,4-dihydroxyphenyl)prop-2-enoyl]oxy-1,4,5-trihydroxycyclohexane-1-carboxylic acid, chlorogen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유효물질들 중에서 항산화작용과 항암효과가 매우 우수한 메이신( 2''-O-α-L-rhamnosyl-6-C-(6-deoxy-xylo-hexose-4-ulosyl)luteolin)의 추출을 극대화하여 고농도의 메이신을 고수율로 수득하면서 부가적으로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 및 클로로겐산을 수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수염 추출물에 포함되는 유효물질 중 상기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은 항산화작용 및 항균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메이신(maysin)의 경우 각종 항암효과를 비롯한 산화스트레스에 의해 유발된 신경세포(SK-N-MC)의 사멸 억제 효과를 가지며, 항산화 효소들의 발현을 증가시켜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클로로겐산((1S,3R,4R,5R)-3-[(E)-3-(3,4-dihydroxyphenyl)prop-2-enoyl]oxy-1,4,5-trihydroxycyclohexane-1-carboxylic acid, Chlorogenic acid)은 생체 내에서 과산화지질의 생성 억제효과, 콜레스테롤 생합성 억제효과 및 항산화 작용, 항암작용이 있다. 또한 식사 후 혈액으로 글루코스 방출을 느리게 하고 심장질환을 예방하며, 글리코겐 및 글루코스-6-인산의 간 내부 농축을 증가시키고 혈당수치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무기질의 분배를 개선시키고, 혈장 및 간의 지방을 감소시키며, 글루코스 내성을 개선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하 상기 유효물질을 옥수수추출물에서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구체적인 방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 하기의 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목적에 따라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먼저, 상기 (3) 단계를 통해 당질이 제거된 현탁액 상태의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분취용 크로마토그래피(flash chromatography, Buchi, Newcastle, DE)로 분리하는데, 이때 사용된 컬럼 카트리지(column cartridge)는 상술한 크기와 같으며, 컬럼의 충진제로 105 ~ 125g의 C18(preparative C18reverse phase bulk packing material, 125, 55-105㎛, Waters, Milford, MA) 분말을 감압펌프와 질소(N2)로 충진할 수 있다. 이동상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초순수와 95~100% 에탄올(ethanol)을 사용할 수 있으며, C18로 충진된 컬럼카트리지에 10~30 mL의 당질이 제거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주입하고 초순수 100 중량%의 초기조성에서 에탄올 100 중량%만으로 된 기울기법의 이동상 용매를 분당 10~30 mL의 유속으로 60 ~ 80분간 흘려 옥수수수염 추출물로부터 유효물질들을 분리한다. 이때 검출기(UV photometer C-635)의 파장은 200~400nm일 수 있으며, 각 유효물질들이 포함된 분획물은 분획기의 시험관 당 10 ~ 30mL가 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분리 크로마토그램으로써 보존시간(retention time)이 450 ~ 690초에서 분획물 Ⅰ이 분리되며, 보존시간이 1,690 내지 1,880초에 분획물 Ⅱ, 1,881 내지 2,120초에 분획물 Ⅲ, 2,600 내지 3,000초에 분획물 Ⅳ가 분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의 질량분석 그래프로써, 상기 그래프를 통해 분획물 Ⅰ에는 클로로겐산이 주성분이며, 분획물Ⅱ는 클로로겐산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이 주성분이고, 분획물 Ⅲ은 클로로겐산,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가 주성분이며, 분획물 Ⅳ는 메이신(2''-O-α-L-rhamnosyl-6-C-(6-deoxy-xylo-hexose-4-ulosyl)luteolin )이 주성분임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추출 전 옥수수수염 100 생체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분획물 Ⅰ에는 클로로겐산이 0.030 중량부 (30 mg/100g, 생체) 이상, 분획물 Ⅱ는 클로로젠산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를 함유한 혼합물이 0.040 중량부 (40 mg/100g, 생체) 이상, 분획물 Ⅲ은 클로로젠산,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을 함유한 혼합물이 0.040 중량부 (40 mg/100g, 생체) 이상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분획물 Ⅳ는 메이신(2''-O-α-L-rhamnosyl-6-C-(6-deoxy-xylo-hexose-4-ulosyl)luteolin)이 주성분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4) 단계의 유효물질 중 메이신이 상기 (1) 단계 추출 전 옥수수수염 100 생체 중량부에 대하여 0.120중량부(120mg/100g, 생체) 이상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항산화 및 항암작용이 현저하게 우수한 메이신을 옥수수수염에서 매우 높은 비율로 수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을 통해 수득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C18 컬럼을 통해 분획한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에는 메이신이 추출 전 옥수수수염 100 생체 중량부에 대하여 0.120 중량부(120mg/100g, 생체)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옥수수수염에서 메이신을 옥수수수염 생체 100 중량부에 대해 극미량 밖에 수득하지 못하여 고농도의 메이신을 수득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양의 옥수수수염을 투입하여 추출과정을 거쳐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는 추출 전 옥수수수염 100 생체 중량부에 대하여 메이신(분획물 Ⅳ)이 0.120 중량부 이상 포함하는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을 제공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상기 분획물에는 고농도의 메이신 이외에도 분획물 Ⅰ, 분획물Ⅱ 및 분획물 Ⅲ 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분획물 Ⅰ 내지 Ⅲ의 주요 유효물질은 상술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획물 Ⅰ내지 Ⅲ은 추출 전 옥수수수염 100 생체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분획물 Ⅰ은 클로로겐산이 0.030 중량부 (30 mg/100g, 생체) 이상, 분획물 Ⅱ는 클로로젠산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를 함유한 혼합물이 0.040 중량부 (40 mg/100g, 생체) 이상, 분획물 Ⅲ은 클로로젠산,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를 함유한 혼합물이 0.040 중량부 (40 mg/100g, 생체) 이상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을 유효물질으로 함유하는 식품조성물을 포함한다.
상기 식품조성물로 포함되는 유효물질은 분획물 Ⅰ, 분획물Ⅱ, 분획물 Ⅲ 및 분획물 Ⅳ(메이신)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품 조성물에는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함량이 2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만일 2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항산화, 항암 등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만일 10 중량%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제품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식품은 액상 또는 분말일 수 있으며, 천연조미료, 빵, 스넥류, 과자류,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식품용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을 수 있으며, 통상의 건강보조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에 기재된 식품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인 식품이라면 범위의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은 우수한 항산화 효과 및 항암효과 등을 가지는바, 당해 효과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기재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준비예>
1.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의 채취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재배 생산된 '광평옥'의 옥수수수염을 원료로 사용하였고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을 사용하기 위해 옥수수이삭에 수염이 출사하기 전에 실크백처리를 하였다. 이후 옥수수수염이 출사한 후 일수가 각각 2일, 3일, 5일, 7일, 10일, 15일, 30일된 옥수수수염을 채취하였다.
2. 수정된 옥수수수염의 채취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에서 재배 생산된 '광평옥'의 옥수수수염을 원료로 사용하였고 옥수수수염의 출사 전 방임수분(수정)시켜 이후 옥수수수염이 출사한 후 일수가 각각 2일, 3일, 5일, 7일, 10일, 15일, 30일된 옥수수수염을 채취하였다.
<실시예 1>
상기 준비예에서 채취한 옥수수수염은 출사한 후 3일된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으로 채취 즉시 약 5~10cm의 크기로 세절하였고, 세절된 옥수수수염 1kg 에 95% 프레타놀 A(덕성산업) 2000ml를 투입하여 직사광선이 비추지 않는 곳에서 25℃의 온도로 9일간 추출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탈지면으로 1차 여과 후 No. 3여과지로 2차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였으며, 감압농축 시 가열 온도는 40℃로 하고, 환류냉각관의 온도는 10℃로 하여 감압농축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에서 지질 및 색소성분 제거를 위해 염화메틸렌(methylene chloride)를 상기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150 중량부 투입하여 2회에 걸쳐 분액깔대기로 분액하였다. 상기 분액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감압농축하였으며, 감압농축 시 가열 온도는 40℃로 하고, 환류냉각관의 온도는 10℃로 하여 현탁액(slurry)상태의 감압농축된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물에서 당질을 제거하기 위해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99.9% 무수 에탄올을 100 중량부 투입하여 분액깔대기를 통해 당질을 제거하고 유효물질들을 3회에 걸쳐 용출시켰다. 이후 용출시킨 유효물질들을 혼합 후 감압농축기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건조된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99.9% 무수 에탄올을 100 중량부 다시 투입하여 남아있는 당질을 반복적으로 제거하고 유효물질들을 용출 시켰다. 이후 용출된 유효물질들을 다시 수조의 온도를 40℃로 조절한 감압농축기로 완전히 건조시킨 후, 건조된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해 초순수 200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물을 용해시켰으며, 이후 상기 용액 20ml를 C18 컬럼에 적재하였다. 이때 사용된 컬럼 카트리지(column cartridge)는 40mm × 150mm의 크기로서 110g의 C18(preparative C18reverse phase bulk packing material, 125, 55-105㎛, Waters, Milford, MA) 분말을 감압펌프와 질소(N2)로 충진하였다. 이동상 용매는 초순수와 100% 에탄올(ethanol)을 사용하였으며 초순수 100 중량%의 초기조성에서 에탄올 100 중량%만으로 된 기울기법의 이동상 용매를 분당 20mL의 유속으로 70분간 흘려주어 옥수수수염 추출물로부터 분획물 Ⅰ, Ⅱ, Ⅲ 및 Ⅳ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2 내지 7>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옥수수이삭에서 출사한 후 각각 2일, 5일, 7일, 10일, 15일 및 30일된 준비예의 옥수수수염을 사용한 옥수수수염 추출물로부터 분획물 Ⅰ, Ⅱ, Ⅲ 및 Ⅳ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8 내지 14>
실시예 1 내지 7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미수정된 옥수수이삭에서 출사한 옥수수수염 대신에 준비예의 출사 후 일수별 수분(수정)된 옥수수수염을 사용한 옥수수수염 추출물로부터 분획물 Ⅰ, Ⅱ, Ⅲ 및 Ⅳ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15 내지 16>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채취한 즉시 분쇄한 옥수수수염 대신에 채취된 옥수수수염을 각각 30일 냉동저장, 30일 냉동 저장 후 동결건조한 옥수수수염을 분쇄하여 추출한 옥수수수염 추출물로부터 분획물 Ⅰ, Ⅱ, Ⅲ 및 Ⅳ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17 내지 18>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추출용매를 프레타놀 A 대신에 각각 95% 에탄올, 95% 메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 옥수수수염 추출물로부터 분획물 Ⅰ, Ⅱ, Ⅲ 및 Ⅳ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19 내지 2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추출기간을 9일로 하는 대신에 각각 3일, 6일, 12일, 15일, 30일, 50일, 90일로 하여 추출한 옥수수수염 추출물로부터 분획물 Ⅰ, Ⅱ, Ⅲ 및 Ⅳ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26 내지 33>
실시예 1 및 실시예 17 내지 2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추출온도를 25℃ 대신에 15℃로 하여 추출한 옥수수수염 추출물로부터 분획물 Ⅰ, Ⅱ, Ⅲ 및 Ⅳ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34 내지 42>
실시예 1 및 실시예 17 내지 2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추출온도를 25℃ 대신에 4℃로 하여 추출한 옥수수수염 추출물로부터 분획물 Ⅰ, Ⅱ, Ⅲ 및 Ⅳ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43 내지 45>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C18 컬럼의 충진제의 양을 110 g으로 하는 대신에 각각 100g, 120g, 130g으로 하여 옥수수수염 알코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의 분획물의 조성을 확인하기 위해 분획물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자외선 검출기(UV-detector)로 그 조성을 분석하였고, 이때 검출기(UV photometer C-635)의 파장은 352nm로 하였다.
상기 분석 결과 분획물 Ⅰ은 클로로겐산이 주요물질이고, 분획물 Ⅱ는 클로로겐산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 분획물 Ⅲ은 클로로젠산,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이 주요물질이었으며, 분획물 Ⅳ는 메이신(2''-O-α-L-rhamnosyl-6-C-(6-deoxy-xylo-hexose-4-ulosyl)luteolin)이 주성분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1 내지 42에서 수득된 메이신을 비롯한 유효물질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Waters HPLC(Agilent, U.S.A)로 분석을 하였는데, 이때 사용된 분석 컬럼은 Ultrasphere C18 (4.6 × 250㎜, 5㎛) 컬럼이었고, 0.1% 인산(phosphoric acid)를 함유한 초순수(A)와 0.1% 인산을 함유한 100% 메탄올 용액(B)을 이동상으로 하여 20% 메탄올에서 90% 메탄올이 될 때까지 35분간 분당 1.0㎖의 유속으로 이동상을 흘려주었고, Waters 996 검출기로 분리된 물질을 관찰 하였다. 얻어진 분석결과 중 메이신의 함량을 추출에 사용된 옥수수수염 100g 대비 함량으로 환산하여 각각 도 1 내지 4에 나타내었다. 이때 실시예 16의 경우 동결건조된 시료인 바 생체시료(수분함량 92%)의 중량비로 환산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도 1에서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을 사용한 경우 수정된 옥수수수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수득되는 메이신 함량이 현저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미수정된 옥수수수염의 경우 출사 후 각각 2일 내지 10일된 실시예 1 내지 5가 출사 후 15일(실시예 6), 30일(실시예 7)된 경우에 비해 메이신 함량이 현저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수정된 옥수수수염의 경우 출사 후 각각 2일 내지 5일된 실시예 8 내지 10이 출사 후 7일(실시예 11), 10일(실시예 12), 15일(실시예 13), 30일(실시예 14)된 경우에 비해 메이신 함량이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옥수수수염을 채취즉시 사용하여 추출한 실시예 1이 냉동저장한 실시예 15 또는 냉동저장 후 동결건조한 실시예 16에 비해 메이신 함량이 현저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 3에서 추출용매를 메탄올로 사용한 실시예 18이 실시예 1보다 추출된 메이신의 함량이 높음을 알 수 있으나, 메탄올 또는 에탄올의 경우 식용으로 사용하기에 인체에 유해할 수 있는 바, 실시예 1의 프레타놀 A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체적으로 도 4에서 추출온도가 25℃인 실시예 1 및 실시예 19 내지 25의 경우가 추출온도를 15℃로 한 실시예 26 내지 33 및 추출온도를 4℃로 한 실시예 35 내지 42에 비해 추출된 메이신의 함량이 현저히 높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추출온도가 25℃인 실시예 1 및 실시예 19 내지 25에서도 추출기간이 각각 6일, 9일 12일인 실시예 1, 실시예 20, 실시예 21에서 추출된 메이신의 함량이 현저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C18 컬럼에 충전되는 충진제의 양에 따른 분획물 Ⅰ, Ⅱ, Ⅲ 내지 Ⅳ의 분리능을 비교하기 위해 실시예 1 및 실시예 43 내지 45를 통해 수득되는 분획물 Ⅰ, Ⅱ, Ⅲ 내지 Ⅳ에 대해 4수준의 평가등급으로 평가하여 분리능이 좋은 경우 ◎, 보통인 경우 ○, 나쁜 경우 △, 매우 나쁜 경우 ▲로 표시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 분 C18 충진제량(g)에 따른 분리능
실시예43
(100g)
실시예1
(110g)
실시예44(120g) 실시예45(130g)
분획물 Ⅰ
분획물 Ⅱ
분획물 Ⅲ
분획물 Ⅳ
구체적으로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충진제의 양이 각각 100g 및 130g인 실시예 43 및 45의 경우 실시예 1 및 실시예 44에 비해 분획물 Ⅱ 내지 Ⅳ의 분리능이 매우 나쁘거나 나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실시예 1의 분획물 Ⅰ, Ⅱ, Ⅲ 및 Ⅳ에 대해 흡광도 확인을 위해 사용된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분석기(UV/Vis Spectrophotometer)는 Hitachi U-2900 Spectrophotometer(Hitachi, Japan)를 사용하였고 그 결과를 도 6 내지 10에 나타내었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흡광도 분석결과 분획물 Ⅰ은 327nm 및 239nm 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나타내었고 이를 통해 클로로겐산이 주요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7에서는 흡광도 분석결과 분획물 Ⅱ는 339nm 및 274nm 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나타내었고, 도 8에서는 흡광도 분석결과 분획물 Ⅲ는 345nm 및 277nm 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나타내었다.
도 9에서는 흡광도 분석결과 분획물 Ⅳ는 352nm, 270nm 257nm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나타냄으로써 메이신이 주요물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실시예 1의 분획물 Ⅰ, Ⅱ, Ⅲ 및 Ⅳ에 포함된 각 유효물질에 대해 질량(m/z)을 확인하기 위해 분획물 Ⅰ, Ⅱ, Ⅲ 및 Ⅳ에 대해 마이크로 큐토프(micrOTOF-QⅡ)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사용된 micrOTOF-QⅡ(BRUKER, Germany)의 분석조건은 하기와 같다.
1. Source: ESI
2. Capillary: 4500V,
3. Neubulizer gas: 0.4 bar(N2)
4. Dry gas: 4L/min(N2)
5. Dry Temp: 200℃
또한, 이 때 사용된 HPLC 장비는 Dionex ultimate 3000 (Dionex, German)이었으며, 분석에 사용된 컬럼은 C18 컬럼(Waters XTerra MS C18, 5㎛, 150mm × 2.1 mm)이었고, 0.1% 개미산(formic acid)을 포함한 10% 메탄올 용액 80 중량%와 메탄올 20 중량%의 초기조성에서 메탄올 80%로 된 기울기법의 이동상용매를 47분 동안 흘려서 분석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11 내지 14에 나타내었다.
구 분 질량 [M+H]+ 유효물질
분획물 Ⅰ 355 chlorogenic acid (클로로젠산)
분획물 Ⅱ 355, 653 chlorogenic acid (클로로젠산) 및
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
분획물 Ⅲ 355, 595, 653 chlorogenic acid (클로로젠산),
luteolin 7-O-neohesperidoside 및
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
분획물 Ⅳ 577 2''-O-α-L-rhamnosyl-6-C-(6-deoxy-xylo-hexose-4-ulosyl)luteolin (메이신)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micrOTOF-QⅡ 분석을 통하여 분리된 분획물들의 각 조성성분을 분석한 결과, 분획물 Ⅰ은 클로로젠산이 주성분이고, 분획물 Ⅱ는 클로로젠산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이 주성분이고, 분획물 Ⅲ은 클로로젠산,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이 주성분이며, 분획물 Ⅳ는 메이신[2''-O-α-L-rhamnosyl-6-C-(6-deoxy-xylo-hexose-4-ulosyl)luteolin]이 주성분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Ⅰ의 HPLC 크로마토그램 및 질량(m/z)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HPLC 분석 및 질량분석 결과 분획물 Ⅰ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물질이 클로로젠산(m/z 355 [M+H]+) 임을 확인하였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Ⅱ의 HPLC 크로마토그램 및 질량(m/z)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HPLC 분석 및 질량분석 결과 분획물 Ⅱ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물질이 클로로젠산(m/z 355 [M+H]+)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 (m/z 653 [M+H]+)로 구성된 혼합물임을 확인하였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Ⅲ의 HPLC 크로마토그램 및 질량(m/z)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HPLC 분석 및 질량분석 결과 분획물 Ⅲ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물질이 클로로젠산(m/z 355 [M+H]+), luteolin 7-O-neohesperidoside(m/z 595 [M+H]+)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 (m/z 653 [M+H]+)로 구성된 혼합물임을 확인하였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획물 Ⅳ의 HPLC 크로마토그램 및 질량(m/z)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HPLC 분석 및 질량분석 결과 분획물 Ⅳ의 주요물질의 질량이 m/z 577 [M+H]+에 해당하는 메이신[2''-O-α-L-rhamnosyl-6-C-(6-deoxy-xylo-hexose-4-ulosyl)luteolin)] 임을 확인하였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C18 컬럼을 통해 분획한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은 분획물 Ⅰ, 분획물Ⅱ, 분획물 Ⅲ 및 분획물 Ⅳ를 포함하며,
    상기 분획물 Ⅰ은 추출 전 옥수수수염 100 생체 중량부에 대하여 클로로겐산이 0.030 중량부 이상 포함되고,
    상기 분획물 Ⅱ는 추출 전 옥수수수염 100 생체 중량부에 대하여 클로로겐산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를 함유한 혼합물이 0.040 중량부 이상 포함되며,
    상기 분획물 Ⅲ은 추출 전 옥수수수염 100 생체 중량부에 대하여 클로로겐산, 루테올린-7-O-네오헤스페리도시드(luteolin 7-O-neohesperidoside) 및 루테올린 3-메틸에테르 7-글루코로노실-(1->2)-글루코로나이드(Luteolin 3'-methyl ether 7-glucuronosyl-(1->2)-glucuronide)를 함유한 혼합물이 0.040 중량부 이상 포함되고,
    상기 분획물 Ⅳ는 추출 전 옥수수수염 100 생체 중량부에 대하여 메이신이 0.120 중량부 이상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
  10. 삭제
  11. 제9항에 따른 옥수수수염 유래 크로마토그래피 분획물을 유효물질으로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분획물의 함량이 2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조성물.
KR1020130139950A 2013-11-18 2013-11-18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 KR101603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950A KR101603733B1 (ko) 2013-11-18 2013-11-18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
PCT/KR2014/010205 WO2015072678A1 (ko) 2013-11-18 2014-10-28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9950A KR101603733B1 (ko) 2013-11-18 2013-11-18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7084A KR20150057084A (ko) 2015-05-28
KR101603733B1 true KR101603733B1 (ko) 2016-03-16

Family

ID=53057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9950A KR101603733B1 (ko) 2013-11-18 2013-11-18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03733B1 (ko)
WO (1) WO20150726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7512B1 (ko) 2015-09-17 2018-01-11 대한민국 옥수수수염 추출물 또는 메이신을 포함하는 피부 세포 보호용 조성물
KR101764639B1 (ko) * 2017-04-27 2017-08-03 주식회사 네이처센스 농업회사법인 월경전 증후군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957933B1 (ko) * 2017-10-12 2019-03-14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고 메이신 함유 옥수수수염 추출물을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5744B1 (ko) * 2019-09-30 2019-11-18 이재희 찰옥수수 찐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43084B1 (ko) * 2019-10-08 2020-08-11 주식회사 뉴트라코어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지방간을 포함하는 대사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068127A (ko) 2021-11-10 2023-05-17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장균을 이용한 메이신의 대량 생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628B1 (ko) 2011-05-18 2012-11-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메이신 함량이 높은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3156A (ko) * 2011-06-30 2013-01-09 박건화 웅수제거를 이용한 수정 전 옥수수 수염 채취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628B1 (ko) 2011-05-18 2012-11-14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메이신 함량이 높은 옥수수수염 추출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72678A1 (ko) 2015-05-21
KR20150057084A (ko) 2015-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3733B1 (ko) 옥수수수염 유래 메이신을 포함하는 유효물질의 고수율 추출방법
RU2392954C2 (ru) Обогащенная полифенолами композиция, экстрагированная из шелухи какао-бобов
KR101174497B1 (ko) 새싹보리 유래 폴리페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7491414B2 (en) Anti-inflammatory substances extracted from Echinacea
EP1430073B1 (en) Solvent extraction process
AU2002342778A1 (en) Solvent extraction process
CN104039329B (zh) 含去鼠李糖洋丁香酚苷的橄榄提取物
KR20160081814A (ko) 옥수수 추출물의 추출 방법 및 상기 옥수수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조성물
KR102209028B1 (ko) 증포 인삼열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37556B1 (ko) 법제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용 조성물
KR100817876B1 (ko) 소나무 수피로부터 프로안토시아니딘의 분리방법
KR100526434B1 (ko) 갈조류를 이용한 푸코잔틴의 추출방법
EP4321518A1 (en) Novel polyphenol compound
JP2012197247A (ja) アクテオシド含量の高い胡麻若葉乾燥末およびそれより得られるエキス粉末
KR20230036758A (ko) 수면유도 및 불면증 치료용 효소처리 초고압 혼합추출물
KR102088476B1 (ko)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증대된 오디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403964B1 (ko)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이 증가된 땅콩나물의 추출방법
US6589573B2 (en) Xanthine oxidase inhibito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772058B1 (ko) 항비만 효과를 갖는 결명자 추출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5441433B2 (ja) カムカムフルーツ果汁含有肝機能改善剤
KR20050097698A (ko) 감 껍질을 이용한 올레아놀산 및 우르솔산의 제조방법
KR100912290B1 (ko) 신규6,8-디(γ,γ-디메틸알릴)-3,5,7,2&#39;,4&#39;,6&#39;-헥사히드록시플라바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1206296B1 (ko) 녹차 아세톤 추출물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암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0615854B1 (ko) 배과피에서 페놀성물질과 펙틴의 연속추출 및 정제
EP4005372A2 (en) Method for preparation of soybean leaf having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in dark condition and soybean leaf having high content of isoflavone derivative prepared thereb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