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563B1 -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 - Google Patents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563B1
KR101602563B1 KR1020140077698A KR20140077698A KR101602563B1 KR 101602563 B1 KR101602563 B1 KR 101602563B1 KR 1020140077698 A KR1020140077698 A KR 1020140077698A KR 20140077698 A KR20140077698 A KR 20140077698A KR 101602563 B1 KR101602563 B1 KR 101602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main body
rotating shaft
clos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373A (ko
Inventor
이상록
김상욱
박용환
김철종
허성범
손선
Original Assignee
이상록
김상욱
박용환
김철종
허성범
손선
(사)대한민국재향소방동우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록, 김상욱, 박용환, 김철종, 허성범, 손선, (사)대한민국재향소방동우회 filed Critical 이상록
Priority to KR10201400776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563B1/ko
Publication of KR20160000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20Resetting after use; Too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은 수동조작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갖는 중공의 본체; 상기 중공 내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디스크; 상기 유입구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중심선을 갖고 일단은 상기 개폐디스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하는 개폐핸들; 및 상기 회전축의 외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외부로의 누수방지와 동시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및 이동에 윤활성을 제공하는 회전축밀폐씰;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디스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핸들의 수동조작으로 개방되면, 오프(off)된 스위치가 온(on)이 되는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와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건물안전관계자 및 거주자에게 화재발생 위치를 즉각적으로 인지케 함으로써 거주자의 신속대피 및 소방대의 신속한 통보와 출동을 도울 수 있고, 소화펌프의 즉각적인 기동을 가능케 하며, 앵글밸브의 작동 시 급수의 신속성 달성에 기여하는 효과와 옥내소화전설비 공사비용의 절감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있고, 동파 방지와 동파 예방을 위한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Opening-detectable angle valve and the fire indoor hydrant system including the opening-detectable angle valve}
본 발명은 수동조작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는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의 화재시 인간이 소화호스를 수동조작하여 화원을 향해 주수함으로써 초기 상태의 불을 소화하고자 설치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에서 상기 소화호스와 급수배관의 사이에 고정설치 된 개폐핸들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개방하는 과정에서 수동회전력에 의하거나, 개방과정에서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소화용수의 수압 또는 통전성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기적 스위치가 구비된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앵글밸브(angle valve)는 개폐밸브의 일종으로서 출입하는 유체의 방향이 90°가 되는 밸브를 일컫는다.
이와 같은 앵글밸브는 도 1 종래 앵글밸브의 개념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의 입구인 유입구(12)와 유체의 출구인 유출구(13)의 방향이 직각으로 되어 있어 배관의 중심선은 밸브가 설치된 곳에서 L자형이 된다.
종래 앵글밸브를 좀더 설명하면, 앵글밸브는 밸브 본체(10)의 중공(11) 측 유입구(12)와 상기 유입구(12) 방향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유출구(13)를 갖고, 상기 유입구(12)를 개폐하는 개폐디스크(14)와 상기 개폐디스크(14)를 밀거나 당겨 상기 유입구(12)가 폐쇄 또는 개방되도록 직선운동을 하는 회전축(15)과 상기 회전축(15)이 직선운동을 하도록 회전시키는 개폐핸들(16)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개폐핸들(16)을 수동으로 회전조작함으로써 상기 회전축(15)이 상기 개폐핸들(16)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개폐디스크(14)가 상기 중공(11) 측의 유입구(12)를 개방하게 되고, 상기 개폐핸들(16)을 상기한 경우와 반대방향으로 회전조작 하는 경우 상기 회전축(15)이 상기 유입구(12)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개폐디스크(14)가 상기 중공(11) 측 유입구(12)를 폐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앵글밸브는 통상 개폐핸들(16)을 수동조작하여 유입구(12)를 개폐하는 것으로 옥내소화전시스템을 비롯한 다양한 유체 공급 시스템에 사용되고 있다.
현재 건축물에 설치되는 옥내소화전시스템의 경우, 구조적으로 다양한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상기 옥내소화전시스템은 구체적으로 도 2 종래 옥내소화전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앵글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앵글밸브의 유출구(13)에 상시 접결되어 있는 소화호스가 내장된 옥내소화전함(1)이 층마다 한 개씩 설치되어 있는 건축물의 경우, 화재 시에 그 화재장소 또는 그 장소의 인근에 있던 사람이 화재를 발견하여 당해 장소를 담당하는 위치의 소화호스를 사용하고자 당해 앵글밸브를 개방하였을 때, 어느 층의 옥내소화전함(1)에서 앵글밸브가 개방되었는지를 건물의 안전관계자가 신속히 알 수 없으며, 단지 옥내소화전설비의 수신제어반(주로 지상 1 층 또는 지하 1 층에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임)에서 소화펌프의 작동이 표시된 것을 보고 전 층의 모든 옥내소화전함들 중 하나의 소화호스가 사용되고 있다는 막연한 사실만 인지할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층마다 옥내소화전이 두 개 이상 설치된 건물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당해 소화펌프의 작동은 옥내소화전함(1)의 앵글밸브 개방과 동시에 즉각 이루어지지 못하고 앵글밸브의 개방 후 약 30초 ~ 2분 정도, 때로는 그 이상의 시간이 경과한 후 작동하는 경우들이 적지 않기 때문에 건물안전관계자의 신속한 화재인지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내의 모든 종래 옥내소화전시스템은 전 배관이 평상시에 물이 채워져 있는 습식방식으로 화재장소를 담당하는 옥내소화전을 사용함에 따른 소화펌프의 자동작동을 위해 배관 내의 수압을 상시 자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하고 옥내소화전함(1)에 내장된 종래의 앵글밸브를 개방함에 따라 일어나는 배관내의 수압강하 즉 수압변화를 압력챔버(3)에 설치된 압력스위치(4)가 검지하여 소화펌프(2)를 작동케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옥내소화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평상시의 배관누수로 인한 압력강하에 대비하는 충압펌프(5)도 함께 설치하지 않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의 모든 옥내소화전시스템은 전 배관이 습식이기 때문에 해결해야 하는 중요한 과제 중 하나가 동한기의 배관 내 물의 동결에 대한 방지조치이다.
이를 위해 모든 배관에 보온재를 피복하거나, 보온재의 피복과 더불어 열코일에 의한 열공급 조치를 하거나, 아예 적절한 최저수준의 난방시설을 갖추는 동결방지 조치를 하고 있다.
따라서, 동결에 대한 방지조치에 상당히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기술로 출원번호 10-2012-0104595호 '히팅형 앵글밸브'란 발명의 명칭으로 출원된 선행기술문헌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몸체부의 제1 연결통로와 제2 연결통로가 연통되는 중공부위의 외벽에 가열부를 설치하여 중공부위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제1 연결통로와 제2 연결통로 사이의 연통시 중공부위에 발생되어 부착되는 파티클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지만, 앵글밸브가 개방된 경우 개방된 상태를 인지하는 기술에 관한 기재가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밸브가 개방된 경우 개방된 상태를 검지하는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앵글밸브의 개방검지를 통해 화재 위치를 건물안전관계자, 거주자 및 소방대 등에게 신속하게 경보할 수 있는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앵글밸브의 개방검지를 통해 소화용수의 급수를 위한 소화펌프의 즉각적인 기동으로 신속하게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옥내소화전설비의 동파 방지와 공사비용을 절감시키는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갖는 중공의 본체; 상기 중공 내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디스크; 상기 유입구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중심선을 갖고 일단은 상기 개폐디스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하는 개폐핸들; 및 상기 회전축의 외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외부로의 누수방지와 동시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및 이동에 윤활성을 제공하는 회전축밀폐씰;로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디스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핸들의 수동조작으로 개방되면, 오프(off)된 스위치가 온(on)이 되는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가 상기 개폐디스크의 측면에 회전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둘레면; 상기 경사둘레면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는 기동봉; 상기 기동봉의 외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으로부터 상기 본체 외부로의 누수방지와 동시 상기 기동봉의 이동에 윤활성을 제공하는 기동봉밀폐씰; 상기 기동봉의 하단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쪽으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기동봉에 의해 전기적 도통이 일어나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가 상기 유입구의 개방에 따라 상기 중공으로 유입된 물에 의해 압력이 발생하면 직선운동을 하는 기동봉; 상기 기동봉의 외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으로부터 상기 본체 외부로의 누수방지와 동시 상기 기동봉의 이동에 윤활성을 제공하는 기동봉밀폐씰; 상기 기동봉의 하단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쪽으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기동봉에 의해 전기적 도통이 일어나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가 두 개의 도전성 금속판으로 상단은 상기 본체의 외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상기 중공에 위치하며, 상기 두 개의 금속판 사이 및 상기 두 개의 금속판과 상기 본체 사이는 절연되고, 상기 유입구의 개방에 따라 상기 중공으로 유입된 물이 통전매체가 되어 상기 두 개의 도전성 금속판 간에 전기적 도통이 되는 전극스위치;인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 걸림턱;을 형서하고, 상기 개폐디스크에 상기 걸림턱을 수용하는 걸림턱 수용홈;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옥내소화전시스템은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 앵글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건물의 초기화재시 옥내소화전설비에서 소화호스가 유출구에 결합되어 있는 개폐검지용 앵글밸브의 개폐핸들을 수동조작하여 상기 소화호스를 통해 방수되는 물을 화점을 향해 주수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개폐검지용 앵글밸브의 개방검지기능을 활용하여 건물안전관계자 및 거주자에게 화재발생 위치를 즉각적으로 인지케 함으로써 거주자의 신속대피 및 소방대의 신속한 통보와 출동을 도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는 화재발생 영역을 주소적으로 인지하게 함과 동시 상기 영역에 대한 소화활동의 개시 사실을 건물의 화재안전관리자 등이 신속 인지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평소 수립되어 있는 비상대응계획에 따른 건물관계자들의 체계적, 조직적, 구체적 신속대응활동을 가능케 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는 화재 시에 소화용수를 급수하는 소화펌프의 즉각적인 기동을 가능케 함으로써 앵글밸브의 작동 시 가장 중요시 되는 급수의 신속성 달성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는 개방과 동시 소화펌프의 즉각적 기동을 가능케 함으로써 수압변화를 검지하여 소화펌프를 기동하는 종래의 기동방식에서 설치하는 충압폄프 및 기동용수압개폐장치를 배제함으로써 옥내소화전설비 공사비용의 절감에 따른 상당한 경제적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는 옥내소화전설비에 이용될 시에 건식 배관으로 설계가 가능하여 동파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종래 습식 배관에서 동파 방지를 위해 부가되는 다양한 수단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당한 경제적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앵글밸브의 개념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옥내소화전시스템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의 개념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의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의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의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종래 옥내소화전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충압펌프 및 압력챔버를 배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일제개방밸브를 설치한 옥내소화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통상의 앵글밸브에 있어서, 앵글밸브의 작동(개방) 여부를 인지하여 개방 상태를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를 상세히 설명하면, 도 3 본 발명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의 개념 및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 개폐디스크(14), 회전축(15), 회전축밀폐씰(17) 및 개폐핸들(16)을 포함하는 앵글밸브에 있어서,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18)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일반적인 앵글밸브의 본체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일반적인 앵글밸브의 제작시 사용되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며,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12)와 상기 유입구(12)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13)를 갖는 중공(11)을 갖는다.
상기 개폐디스크(14)는 상기 중공(11) 내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12)를 개폐하는 수단으로 상기 유입구(12)을 밀폐시키거나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개폐디스크(14)는 일반적인 앵글밸브에서 사용되는 개폐디스크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고무소재와 금속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축(15)은 상기 유입구(12)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중심선을 갖고 일단은 상기 개폐디스크(14)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상기 개폐핸들(16)과 결합한다.
이러한 회전축(15)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구간이 나사산이 형성되어 본체(10)와 나사결합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개폐핸들(16)을 이용하여 회전축(15)을 회전 시 유입구(12)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중심선 상에서 직선운동을 하도록 결합한다.
따라서, 회전축(15)은 일단에 연결된 개폐디스크(14)를 직선 상에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개폐핸들(16)을 이용하여 회전축(15)을 역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 자체(15)가 회전축밀폐씰(17) 방향으로 수평이동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 자체(15)가 유입구(12) 방향으로 수평이동하도록 하면, 회전축(15)의 일단에 연결된 개폐디스크(14)는 회전하는 회전축(15)을 따라 동반 이동하면서 중공(11) 내에서 유입구(12)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상기 개폐핸들(16)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15)의 타단과 결합하여 수동으로 회전축(15)을 회전시킬 시 용이하게 돌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개폐핸들(16)은 일반적인 앵글밸브의 개폐핸들에 해당한다.
상기 회전축밀폐씰(17)은 상기 회전축의 외면(15)과 상기 본체(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 외부로의 누수방지와 동시 상기 회전축(15)의 회전 및 이동에 윤활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회전축밀폐씰(17)은 누수방지와 윤활성 제공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이 될 수 있고, 어느 특정된 구조 내지 형태의 밀폐씰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18)는 상기 개폐디스크(14)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핸들(16)의 수동조작으로 개방되면, 오프(off)된 스위치가 온(on)이 된다.
이와 같은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18)는 기계식 전기스위치, 전자식 센서 스위치 등 개폐디스크(14)의 이동 또는 중공(11) 내의 물의 유입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이 가능하고 어느 특정된 구조 내지 형태의 전기스위치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개폐디스크(14)와 회전축(15)의 연결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5)의 일단에 걸림턱(15-1)을 형성하고, 상기 개폐디스크(14)에 상기 걸림턱(15-1)을 수용하는 걸림턱 수용홈(14-1)을 형성하여 상기 걸림턱(15-1)이 상기 걸림턱 수용홈(14-1)에 수용되면서 연결이 된다.
이는 회전축(15)의 회전 시 개폐디스크(14)가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 도 3에 도시한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18)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의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의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18)는 개폐디스크(14)에 형성되는 경사둘레면(110), 기동봉(120), 기동봉밀폐씰(130), 스프링(140) 및 리미트스위치(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경사둘레면(110)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디스크(14)의 측면을 회전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여 개폐디스크(14)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사둘레면(110)의 경사각도와 경사길이는 앵글밸브의 설계에 따라 회전축의 이동 거리와 상기 리미트스위치(150)의 스위칭 간격 등을 고려하여 개폐디스크(14)의 이동시에 상기 기동봉(120)을 통해 상기 리미트스위치(150)를 도통시킬 수 있도록 형성한다.
상기 기동봉(120)은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의 중공(11)에서 본체(10)의 외부로 이어지는 봉형태의 수단으로 상기 개폐디스크(14)의 측면에 형성된 경사둘레면(110)의 수평이동에 따라 경사둘레면(110)을 따라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고, 이러한 직선운동 과정에서 상기 리미트스위치(150)를 작동시킨다.
상기 기동봉밀폐씰(130)은 상기 기동봉(120)의 외면과 상기 본체(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11)으로부터 상기 본체(10) 외부로의 누수방지와 동시 상기 기동봉의 이동에 윤활성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기동봉밀폐씰(130)은 상기 회전축밀폐씰(17)과 마찬가지로 누수방지와 윤활성 제공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현이 될 수 있고, 어느 특정된 구조 내지 형태의 밀폐씰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스프링(140)은 상기 기동봉(120)의 하단과 상기 본체(1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쪽으로의 기동봉(120)이 이동하는 이동거리를 제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기동봉(1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150)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기동봉(130)에 의해 전기적 도통이 일어나는 스위치로 경사둘레면(110)에 의해 상하로 직선운동을 하는 기동봉(120)의 상단에 의해 온/오프가 된다.
이와 같은 리미트스위치(150)는 어느 특정된 구조 내지 형태의 리미트스위치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구조 내지 형태의 리미트스위치가 될 수 있고 어느 특정된 리미트스위치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를 갖는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는 물채움식(습식) 내지 공배관식(건식)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의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18)의 기동봉(120)은 경사둘레면(110)에 의해 이동하는 것인데 반해,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18)는 개폐디스크(14)가 개방되어 중공(11) 내로 유입된 물의 수압에 의해 기동봉(210)을 이동시킨다.
즉,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18)는 유입구(12)의 개방에 따라 상기 중공(11)으로 유입된 물에 의해 압력이 발생하면 수압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는 기동봉(210)을 갖는다.
나머지 구성 기동봉밀폐씰(230), 스프링(240) 및 리미트스위치(250)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기동봉밀폐씰(130), 스프링(140) 및 리미트스위치(150)와 동일한 구성으로 동일한 기능을 갖고 동일한 역할을 한다.
상기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를 갖는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는 물채움식(습식) 내지 공배관식(건식) 모두 적용이 가능하나 물채움식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의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18)는 이격된 두 개의 금속판(312)을 포함하는 전극스위치(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18)는 두 개의 도전성 금속판(312)으로 상단은 상기 본체(10)의 외부에 위치하고 하단은 상기 중공(11)에 위치하며, 상기 두 개의 금속판(312) 사이 및 상기 두 개의 금속판(312)과 상기 본체(10) 사이는 절연되고, 상기 유입구(12)의 개방에 따라 상기 중공(11)으로 유입된 물이 통전매체가 되어 상기 두 개의 도전성 금속판(312) 간에 전기적 도통이 되는 전극스위치(310)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극스위치(310)는 물에 의해 도통이 되는 다양한 형태 내지 구조의 전극스위치가 될 수 있고 어느 특정된 형태 내지 구조의 전극스위치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를 갖는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는 물채움식(습식) 내지 공배관식(건식) 모두 적용이 가능하나 물채움식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의 설계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종래 옥내소화전시스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를 설치함으로써 충압펌프 및 압력챔버를 배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V)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400)은 종래 옥내소화전함(1)에 설치되는 일반적인 앵글밸브에서 개방검지 기능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V)로 교체함으로써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 옥내소화전시스템의 옥내소화전함(1)에 내장된 종래의 앵글밸브를 개방함에 따라 일어나는 배관내의 수압강하 즉 수압변화를 검지하기 위한 압력스위치(4)와 압력챔버(3) 및 평상시의 배관누수로 인한 압력강하에 대비하는 충압펌프(5)를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개방검지형 앵글밸브(V)가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당해 옥내소화전함(1)마다 내장된 건물의 경우에는 화재 층은 물론 화재 층에서도 그 연소영역을 담당하는 옥내소화전에 대한 건물안전관계자의 신속하고 정확한 주소적 감시(Addressable monitoring)를 가능케 함으로써 상기 안전관계자가 화재초기 단계에서 건물 내의 거주자에게 비상방송 등을 이용하여 화재발생 장소를 알리는 일을 포함하여 안전하고 혼란 없는 대피를 유도해주거나 관할 소방대에 신속통보 함으로써 소방대의 빠른 대응도 가능케 하는 등 현장대응조치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국내의 모든 종래의 옥내소화전시스템은 전 배관이 습식인데다가 화재장소를 담당하는 옥내소화전을 사용함에 따른 소화펌프의 자동작동을 위해 배관 내의 수압을 상시 자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해두다가 옥내소화전함에 내장된 종래의 앵글밸브를 개방함에 따라 일어나는 배관내의 수압강하 즉 수압변화를 압력챔버에 설치된 압력스위치가 검지하여 소화펌프를 작동케 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평상시의 배관누수로 인한 압력강하에 대비하는 충압펌프도 함께 설치하지 않을 수 없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V)를 옥내소화전함(1)에 내장하는 경우 당해 앵글밸브가 담당하는 영역의 화재에 대한 주소적 감시를 가능케 하는 유용성 뿐 아니라, 당해 앵글밸브의 개방검지기능을 소화펌프의 즉각적 작동을 위한 기동기능으로 병용할 수 있어 화재초기의 신속진화를 위한 필수적 전제조건이 되는 소화용수의 신속급수를 가능케 하는 큰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옥내소화전시스템 본연의 목적이 초기화재의 신속진화라는 사실에서 볼 때 이는 의문의 여지가 없는 일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일제개방밸브를 설치한 옥내소화전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도 8에 도시한 옥내소화전시스템의 예는 건식밸브를 설치하는 상기 미국 등의 방식과는 달리 상기 건식밸브 대신하여 일제개방형밸브(6)를 설치하고 상기 개방검지형 앵글밸브(V)의 개방검지기능을 상기 일제개방형밸브(6)의 개방을 위한 기동기능으로도 병용함으로써 상기 일제개방밸브(6)와 상기 개방검지형 앵글밸브(V)까지의 배관을 건식배관으로 구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종래의 습식배관에서 요구되는 보온재의 피복 및 열코일의 설치에 소요되는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건식밸브를 사용하는 방식에 비해서도 배관 등의 시설비 및 유지관리의 비용이 월등히 절감되는 실효성을 거둘 수 있다. 상기 건식밸브는 국내외적으로 상기 일제개방형밸브보다 고가인데다가 상기 건식밸브를 포함한 건식배관시스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압축공기의 공급 및 설정공기압력의 유지를 제어하기 위한 복잡한 부대시설의 설치가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그로 인한 많은 비용도 소요되지만, 상기 일제개방밸브(6)를 설치하는 건식배관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고가의 복잡한 부대시설이 필요 없으므로 적은 비용의 시설비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국내의 모든 옥내소화전시스템에서는 하나의 앵글밸브 및 상기 앵글밸브의 유출구와 상시 접결되는 소화호스를 반드시 하나의 함 속에 내장함과 동시 상기한 함의 상부 측 격실 부분에는 화재발신기, 화재경보용의 음향장치인 경종 및 위치표시등이 장착되고 이에 따라 DC 24V의 소방전용 전기를 상시 공급하는 전선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를 내장하는 경우 개방검지에 필요한 상기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의 전기적 스위치에 대한 전선의 연결이 매우 용이하고 간단하여 비용도 상당히 적게 소요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옥내소화전함
2 : 소화펌프
3 : 압력챔버
4 : 압력스위치
5 : 충압펌프
6 : 일제개방밸브
10 : 본체
11 : 중공
12 : 유입구
13 : 유출구
14 : 개폐디스크
15 : 회전축
16 : 개폐핸들
17 : 회전축밀폐씰
18 :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
110 : 경사둘레면
120 : 기동봉
130 : 기동봉밀폐씰
140 : 스프링
150 : 리미트스위치
210 : 기동봉
230 : 기동봉밀폐씰
240 : 스프링
250 : 리미트스위치

Claims (6)

  1. 삭제
  2.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갖는 중공의 본체; 상기 중공 내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디스크; 상기 유입구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중심선을 갖고 일단은 상기 개폐디스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하는 개폐핸들; 상기 회전축의 외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외부로의 누수방지와 동시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및 이동에 윤활성을 제공하는 회전축밀폐씰; 및 상기 개폐디스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핸들의 수동조작으로 개방되면, 오프(off)된 스위치가 온(on)이 되는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에 있어서,
    상기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는
    상기 개폐디스크의 측면에 회전축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둘레면;
    상기 경사둘레면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는 기동봉;
    상기 기동봉의 외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으로부터 상기 본체 외부로의 누수방지와 동시 상기 기동봉의 이동에 윤활성을 제공하는 기동봉밀폐씰;
    상기 기동봉의 하단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쪽으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기동봉에 의해 전기적 도통이 일어나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3.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와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를 갖는 중공의 본체; 상기 중공 내에 위치하여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디스크; 상기 유입구의 중심선과 일치하는 중심선을 갖고 일단은 상기 개폐디스크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하는 개폐핸들; 상기 회전축의 외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 외부로의 누수방지와 동시 상기 회전축의 회전 및 이동에 윤활성을 제공하는 회전축밀폐씰; 및 상기 개폐디스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핸들의 수동조작으로 개방되면, 오프(off)된 스위치가 온(on)이 되는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를 포함하는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에 있어서,
    상기 개방검지 전기스위치부는
    상기 유입구의 개방에 따라 상기 중공으로 유입된 물에 의해 압력이 발생하면 직선운동을 하는 기동봉;
    상기 기동봉의 외면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중공으로부터 상기 본체 외부로의 누수방지와 동시 상기 기동봉의 이동에 윤활성을 제공하는 기동봉밀폐씰;
    상기 기동봉의 하단과 상기 본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쪽으로의 이동거리를 제한하고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및
    상기 기동봉에 의해 전기적 도통이 일어나는 리미트스위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4. 삭제
  5. 삭제
  6. 제2항 및 제3항 중에서 어느 한 항에 따른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
KR1020140077698A 2014-06-24 2014-06-24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 KR101602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98A KR101602563B1 (ko) 2014-06-24 2014-06-24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98A KR101602563B1 (ko) 2014-06-24 2014-06-24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73A KR20160000373A (ko) 2016-01-04
KR101602563B1 true KR101602563B1 (ko) 2016-03-10

Family

ID=5516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698A KR101602563B1 (ko) 2014-06-24 2014-06-24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5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974A (ko) 2018-09-28 2020-04-08 양성환 소화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90344A (zh) * 2016-08-24 2017-02-15 常州博电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塞盖、监控系统及监控方法
KR20220165954A (ko) 2021-06-09 2022-12-16 주식회사 미성 옥내 소화전 밸브 개폐구
KR102466702B1 (ko) 2022-03-28 2022-11-16 주식회사 미성 옥내 소화전 밸브 개폐구
KR102554430B1 (ko) 2023-01-19 2023-07-12 주식회사 미성 소화전 앵글밸브의 개폐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390B2 (ja) * 1991-11-28 2001-07-23 株式会社リコー 自動給紙装置の駆動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0390A (ja) * 1989-12-19 1991-08-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動画像信号の符号化装置
KR0152504B1 (ko) * 1992-12-21 1998-10-01 이범창 차량 흡입파이프상에 장착되는 워터트랩의 드레인구멍 자동개폐장치
KR20120110726A (ko) * 2011-03-30 2012-10-10 강재원 수도관 연결용 관붙이 앵글밸브
KR20140001397U (ko) * 2012-08-29 2014-03-10 이병무 앵글밸브용 디스크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0390B2 (ja) * 1991-11-28 2001-07-23 株式会社リコー 自動給紙装置の駆動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974A (ko) 2018-09-28 2020-04-08 양성환 소화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373A (ko) 2016-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563B1 (ko)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
CN111503338B (zh) 一种消防工程用灭火系统及其施工方法
JP2015517890A (ja) 防火スプリンクラーシステムのための電気作動ガスベント及び関連する方法
JP6219649B2 (ja) 消火設備及び緊急遮断装置
JP2014012032A (ja) 予作動式流水検知装置
KR20110131948A (ko) 소방 펌프를 포함하는 소방 설비
JPH04266773A (ja) 消火設備の給水圧力制御システム
JP2014012033A (ja) 予作動式流水検知装置
US20100326676A1 (en) Automatic drum drip
JP3199790U (ja) 予作動式流水検知装置
JP6181490B2 (ja) 消火設備
JP3889643B2 (ja) 消火設備
KR102014537B1 (ko)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
JP2004275647A (ja) 緊急遮断機能付き湿式流水検知装置
KR20160126326A (ko) 소화전 밸브
JP6198911B2 (ja) 小規模建築物用消火装置
JP2004290430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KR102037454B1 (ko)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터널용 소방 시스템
CN214158366U (zh) 一种消防设施保护装置
KR101782383B1 (ko)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수계소화시스템
JP2694059B2 (ja) 共同住宅用スプリンクラー消火装置
KR101899753B1 (ko) 스마트 화재 통합 감시 시스템
JP7262749B2 (ja) ポンプ装置、制御盤及び制御基板
KR100253763B1 (ko) 소화용 셀렉션 밸브
KR100281466B1 (ko) 스프링 쿨러설비용 드라이 파이프 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