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7454B1 -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터널용 소방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터널용 소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7454B1
KR102037454B1 KR1020180109908A KR20180109908A KR102037454B1 KR 102037454 B1 KR102037454 B1 KR 102037454B1 KR 1020180109908 A KR1020180109908 A KR 1020180109908A KR 20180109908 A KR20180109908 A KR 20180109908A KR 102037454 B1 KR102037454 B1 KR 102037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fire
clos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승호
권한얼
권승헌
김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티지화이어
추승호
권한얼
김호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티지화이어, 추승호, 권한얼, 김호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티지화이어
Priority to KR1020180109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A62C3/0221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for tunnel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Landscapes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은 일측 단부의 유입구 내측에 1차측 유입구(1)를 개폐시키는 수동 개방형의 제1 버터플라이 밸브(100)가, 타측 단부의 배출구 내측에 2차측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수동 개방형의 제2 버터플라이 밸브(102)가, 제1 버터플라이 밸브(100)와 제2 버터플라이 밸브(102) 사이에 1차측과 2차측을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주 밸브인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가 설치되고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를 개폐시키는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가 외부로 방수 실링으로 관통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밸브 몸체(10)와, 밀폐된 실린더(120), 실린더(120)의 일측 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1차측 수압을 제공하는 세팅라인(121)과 연통되며 일측에는 배출공(122)이 형성된 수압실(123), 수압실(123)의 1차측 가압수의 수압 존재 여부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직선 운동부(125)와 직선 운동부(125)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운동부(126), 및 회전 운동부(126)의 회전 운동을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로 전달하는 회전링크축(127)으로 이루어져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를 포함하는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를 구비하여, 저비용 및 근거리 간격으로 사용자가 쉽게 발견하여 조작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화재 상황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복귀되고, 밸브 본체에 복수 개의 버터플라이형 밸브를 적용하여 살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소방의 목적에 잘 부합하며, 준비작동식 밸브를 겸하는 일제 개방 밸브로 동작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콤프레셔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재 발생시 개폐형 전동 밸브 또는 수동 개방 밸브에 의하여 밸브 본체에 구비되는 수압실에 걸리는 1차측 수압이 드레인되었는지를 기계적으로 즉시 감지하여 2차측으로 소방수가 확실하게 방수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터널용 소방 시스템{Firefighting system for tunnel which is easy to hadle by user and which can reduce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터널용 소방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준비작동식 밸브의 기능을 겸하는 일제 개방 밸브를 구비하여 다수 개가 구비되는 사용자 조작 밸브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소방수의 방출이 가능하면서도 일제 개방 밸브를 적용하여 복구가 용이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터널은 산을 관통하여 도로 또는 철로 등을 건설하기 위해 터널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터널의 내부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123132호의 종래 기술 부분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천정의 벽면에는 다수의 조명등(L)이 설치되고, 터널의 측면 벽면에는 터널 내부에서 발생하는 차량의 화재 사고에 대비하여 다수개의 소정의 거리에 따라 소화 방수구(C)가 설치된다. 최근에는 터널의 길이가 점차 길어지고 있고, 예컨대 국내에서는 한일 해저 터널, 부산과 거제도를 잇는 해저 터널 등이 계획중이며, 건설 중인 춘천과 양양간 고속도로 중 인제 터널 등은 터널 길이만으로도 수 km를 넘어서고 있다.
이러한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화 장치(C)는 터널 내부의 측면에 소정의 거리 마다 설치되는 소화전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소화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분말 소화기(F1)와 소방 호스(F2)가 구비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소화 장치의 경우 대부분 분말 소화기(P1)나 소방 호스(P2)에 의존하고 있어, 화재 발생시 운전자나 사용자가 직접 소화전에서 소화기와 소방 호스를 꺼내어 터널 내부의 차량 화재를 진압하여 위급 상황에 대처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분무를 이용한 소방 설비는 현행 규정상 터널의 길이가 3km 이상인 경우에만 설치하도록 되어 있으며, 특히 1km 미만의 터널에서는 소화기만을 구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경우 터널 내부에서 차량 사고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한 화재가 발생시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러한 이유로 터널 내부에서의 경미한 사고도 터널의 구조상 엄청난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
한편, 종래의 터널용 소방 시스템은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에 준비작동식 밸브를 사용하고 있으나 화재 감지 구조상 실제 터널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를 감지하여 소방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것인지가 보장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나 소화전 사이의 거리가 50미터에 달하기 때문에 소화전을 찾아 작동시키기에 상당한 무리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준비작동식 밸브의 특성상 화재가 복구되거나 오동작이 발생한 후에 자동으로 복귀되지 않기 때문에 밸브를 분해하여 세팅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2018년02월09일자로 공고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27746호에는 터널화재 진압용 살수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개시된 터널화재 진압용 살수시스템은 터널 내부에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터널 내부에 설치되는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화재감지센서에 의해 화재가 감지된 경우 분사노즐을 통해 소화제를 분사하는 소화제분사장치와, 소화제분사노즐로 소화제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펌프, 밸브 및 소화제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소화제 공급장치; 상기 화재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소화제분사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터널 내부의 상황을 영상을 통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카메라(CCTV)와, 터널 내부의 화재지점 내지 인체의 움직임을 열을 통해 파악할 수 있게 하는 열영상 카메라(CCTV)와, 상기 제어부를 원격에서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있는 중앙감시반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대한민국 국내의 실정상 터널내의 화재 대응을 위한 소방 시스템은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와 준비 작동식 밸브를 적용하고 있고 옥내 소화전 방수구를 설치하고 그 소화전 방수구를 중심으로 좌우로 25 미터의 범위를 커버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터널 화재 대비용 소방 시스템은 범용의 준비 작동식 밸브를 적용하고 있는데 준비 작동식 밸브의 특성상 깊이 방향으로 차지하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국내의 좁은 국토 여건을 고려할 때 터널의 크기에도 상당한 제약을 받기 때문에 단위 거리당 설치 개수에도 제한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고, 실제 터널내 화재 발생시 화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소방수가 방수되도록 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부근의 사용자가 수동으로 밸브를 조작할 것이 요구되는데, 종래 방식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밸브의 거리가 멀고 구조상 그러한 밸브를 근거리 간격으로 설치할 수 없어 실질적으로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화재 대응이 불가능하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준비 작동식 밸브의 특성상 소방 작업이 종료된 후에 복구를 하기 위해서는 밸브를 분해하여 초기 상태로 복원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제개방밸브는 건물의 소화대상구역 내에 폐쇄형 또는 개방형의 스프링클러 헤드가 설치되고 각 구역 내의 모든 헤드에 대한 급수를 담당하는 배관의 설정지점에 설치되며, 상설정지점 이전까지의 배관에는 상시 물이 채워진 배관 상태로 유지함과 동시에 설정지점으로부터 헤드까지의 모든 배관은 물이 채워지지 않은 배관(이하 '공배관'이라 함)으로 유지한다.
이와 같이 설정지점으로부터 헤드까지 공배관 상태에서 구역 내에 설치된 화재감지기의 작동으로 인하거나 원격 또는 직근에 설치된 전용의 전기적 수동스위치의 조작으로 인하여 상기 일제개방밸브의 기능과 관련되는 주위배관(Trimmings)에 장착된 솔레노이드밸브와 같은 자동배수밸브의 개방으로 연동 개방되거나, 주위배관에 장착된 개폐밸브의 수동개방으로 인한 상기 자동배수밸브의 개방에 따른 물의 외부배출로 개방되어 공배관 내에 소화용수가 일제히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역의 헤드가 폐쇄형인 경우 준비작동식, 개방형인 경우에는 일제살수식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다.
일제개방밸브는 폐쇄형 또는 개방형 헤드가 설치되는 공배관 방식의 스프링클러시스템에 설치되고 있으나, 폐쇄형 헤드를 설치하는 공배관의 구성방식 중에는 공배관이 시작되는 설정 지점에 건식밸브를 설치하고 공배관에는 압축공기를 충전하였다가 폐쇄형 헤드의 개방에 따른 공배관 속의 공기압력 감소로 건식밸브가 개방됨으로써 개방된 헤드 쪽으로 물이 흐르게 되는 건식배관시스템도 있는데, 건식밸브를 설치하는 건식배관시스템을 해외에서는 스프링클러시스템 외에 옥내소화전시스템에도 적용하여 건식밸브로부터 옥내소화전 또는 호스릴의 방수구(앵글밸브)까지는 건식배관(압축공기 충전배관)으로 유지함으로써 배관동결요인을 원천적으로 배제하고 있으나 국내에는 이와 같이 할 수 있는 법률적 기술기준이 없어 현재까지 적용사례가 없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일제개방밸브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95430호에는 일제개방밸브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 특허에 따르면 건식밸브 대신 일제개방형밸브와 개방검지형 앵글밸브를 설치하여, 일제개방밸브와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사이의 배관을 압축공기가 충전되지 아니한 대기압 상태의 공배관으로 유지해두고 개방검지형 앵글밸브의 개방과 함께 기능하는 개방검지 스위치의 발신에 따라 일제개방밸브가 개방되면서 압력수가 상기 공배관 속을 흐르도록 구성하였다.
종래의 일제개방밸브는 스윙체크밸브, 리프트형 체크밸브 또는 글로브밸브의 구조를 응용한 것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모두 1차 측에서 분기한 바이패스관을 통해 1차 측의 압력수를 본체의 일부분으로 구성된 챔버형 공간 속에 끌어들여 그 압력수의 압력으로 평상시 클래퍼(스윙체크밸브의 경우) 또는 디스크(리프트형 체크밸브 또는 글로브밸브의 경우)가 닫혀 있도록 해두었다가 필요시 상기 챔버형 공간 속의 압력수가 외부로 방출되어 챔버 속의 수압이 급감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닫혀있는 클래퍼 디스크가 1차 측의 수압에 의해 개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들 일제개방밸브와 상기 등록특허는 공통적으로 클래퍼 또는 디스크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힘의 배경이 1차 측 물의 압력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일제 개방 밸브는 감지기 신호감지, 전동 밸브 개방(등록공보의 컬럼 [0050] ~ [0051]의『[0050]....(중략)....상기 자동배출밸브는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고 화재감지기의 작동 또는 전기적 스위치의 원격조작으로 연동 개방되어 상기 배출관 속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자동밸브에 해당하는 구성이며,....(중략)....』, 『....(중략)....[0051] 상기 자동배출밸브는 통상 전자밸브라 일컫는 솔레노이드밸브나 이와 상응하는 다양한 자동밸브가 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수동배출밸브 볼밸브와 같이 배관에서 제수를 위해 설치되는 다양한 개폐밸브가 될 수 있다.』라는 기재와, 등록공보에서 도면 1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150번으로 참조되는 부분은 배출관으로 1차측 수압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이어서 사실상 준비작동식 밸브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등록공보에서 160번으로 참조되는 자동배출밸브는 실무적으로 콤프레셔를 이용하여 공압으로 작동되어야 하는 구조인바 별도의 콤프레셔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설치 공간 및 비용상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비용을 고려할 때 대용량의 콤프레셔를 설치하지 않게 되므로 지속되는 소음 문제도 피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공보에 개시된 일제 개방밸브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과 상통하는 유입구 및 유출구가 각각 구비된 본체와, 상단 또는 측벽상부에 설정크기의 개구부인 배출공이 형성되고 나머지 부분은 폐쇄되며, 하단은 하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유입구 측 본체와 결속되며, 하단측벽에 상기 유입구 측의 압력수가 상기 유출구 측과 상통하는 중공으로 유출될 수 있는 설정크기의 개구부인 통수구가 형성된 상하 균일내경의 거꾸로 놓은 컵(Cup) 형상의 실린더를 구비하고,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은 폐쇄되며, 측벽외면이 상기 실린더의 측벽내면을 따라 상하이동하여 상기 통수구를 개폐하고, 하단의 일부분에 상기 배출공보다 작은 설정크기의 개구부인 입수공이 형성되며, 상기 통수구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실린더의 상단과 설정거리로 이격되도록 구비된 상하 균일내경의 바로 놓은 컵(Cup) 형상의 피스톤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1차측으로부터 유입되는 소방수가 실린더의 측벽 상부에 형성된 통수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당한 마찰로 인해 물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하여 소방수의 압력 손실이 막대하므로 사실상 소기의 목적을 이룰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등록공보의 컬럼 [0059] ~[0060]에는 『.....(중략).....1차 측의 주개폐밸브를 폐쇄하기 직전까지는 여전히 공급되던 1차 측 압력수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은 최고높이로 상부이동 한 상태에 있게 되어 상기 통수구의 개방 상태도 유지되지만 상기 주개폐밸브를 폐쇄한 시점부터 상기 피스톤과 주개폐밸브 사이의 물의 압력은 개방상태의 상기 통수구와 상통하는 중공(2차 측)에 잔존하는 물의 자연압과 같아지게 되고, 이 경우 상기 자연압(자연압은 제한된 길이로 상향 주행하는 2차 측 배관의 수직높이에 의해 좌우되며, 이후 수평으로 주행하는 배관 속의 잔존물은 상기 자연압의 크기에 사실상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에 의해 상기 피스톤에 작용하는 상향력과 상기 피스톤의 하향이동을 방해하는 상기 슬라이딩씰의 저항력을 합한 힘이 상기 피스톤의 상부이동에 따라 압축된 스프링이 제공하는 하향팽창력에 상기 피스톤의 중량이 더해진 하향력보다 작을 때에는 상기 피스톤이 하향이동 함으로써 자동으로 원상복구....(중략)....』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피스톤과 주개폐밸브 사이의 물의 압력이 개방상태의 상기 통수구와 상통하는 중공(2차 측)에 잔존하는 물의 자연압과 같아지지 않게 하는 다양한 저항이 존재하는 등으로 인하여 사실상 자동 원상 복구가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준비 작동식 밸브를 겸하는 일제 개방 밸브를 적용하여 깊이 방향으로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실제 터널내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소방수가 방수되도록 하는 밸브를 근거리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소방 작업이 종료된 후에 복구를 하기 위해서는 밸브를 분해하여 초기 상태로 복원하지 않고 자동으로 복구될 수 있는 터널용 소방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이 흐르도록 열리려는 경향이 강한 버터플라이 밸브를 적용하여 소방의 기본 목적에 충실하고 준비작동식 밸브를 겸하면서도 화재 상황 종결후 플랜지식 결합구조의 점검구를 개방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폐쇄 상태로의 원상 복구 동작이 보장되고,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콤프레셔의 설치가 없이도 1차측 유입수의 수압만으로도 세팅상태가 유지되어 소음 및 설치 공간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1차측 유입수가 2차측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저항을 최소화하여 소방수의 수압이 개선된 준비작동식 겸용 일제 개방 밸브를 적용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준비작동식을 겸하는 일제 개방 밸브는,
일측 단부의 유입구 내측에 1차측 유입구(1)를 개폐시키는 수동 개방형의 제1 버터플라이 밸브(100)가, 타측 단부의 배출구 내측에 2차측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수동 개방형의 제2 버터플라이 밸브(102)가, 제1 버터플라이 밸브(100)와 제2 버터플라이 밸브(102) 사이에 1차측과 2차측을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주 밸브인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가 설치되고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를 개폐시키는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가 외부로 방수 실링으로 관통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밸브 몸체(10)와;
밀폐된 실린더(120), 실린더(120)의 일측 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1차측 수압을 제공하는 세팅라인(121)과 연통되며 일측에는 배출공(122)이 형성된 수압실(123), 수압실(123)의 1차측 가압수의 수압 존재 여부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직선 운동부(125)와 직선 운동부(125)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운동부(126), 및 회전 운동부(126)의 회전 운동을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로 전달하는 회전링크축(127)으로 이루어져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와;
상기 배출공(122)과 연결되어 주 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관(13)과;
상기 배출관(13)에 설치되고 화재 감지기의 작동 또는 전기적 스위치의 원격 조작으로 연동 개방되어 상기 수압실(123)의 물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전동밸브(14); 및
사용자의 수동 개방에 의하여 수압실(123)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수동개방밸브(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 링크(274)의 타단에 회전링크축(127)과 핀(262) 연결되는 부분에는 회동 링크(27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장공(272)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은 저비용 및 근거리 간격으로 사용자가 쉽게 발견하여 조작할 수 있는 밸브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화재 상황이 종료되면 자동으로 복귀되고, 밸브 본체에 복수 개의 버터플라이형 밸브를 적용하여 살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소방의 목적에 잘 부합하며, 준비작동식 밸브를 겸하는 일제 개방 밸브로 동작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콤프레셔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재 발생시 개폐형 전동 밸브 또는 수동 개방 밸브에 의하여 밸브 본체에 구비되는 수압실에 걸리는 1차측 수압이 드레인되었는지를 기계적으로 즉시 감지하여 2차측으로 소방수가 확실하게 방수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방 시스템은 물이 흐르도록 열리려는 경향이 강한 버터플라이 밸브를 적용한 준비작동식 겸용 일제 개방 밸브를 적용하여 소방의 기본 목적에 충실하고 준비작동식 밸브를 겸하면서도 화재 상황 종결후 플랜지식 결합구조의 점검구를 개방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폐쇄 상태로의 원상 복구 동작이 보장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압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콤프레셔의 설치가 없이도 1차측 유입수의 수압만으로도 세팅상태가 유지되어 소음 및 설치 공간 문제가 없을 뿐만 아니라 1차측 유입수가 2차측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저항을 최소화하여 소방수의 수압이 개선된 준비작동식 겸용 일제 개방 밸브를 적용하여 소방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널용 소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의 소화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터널용 소방 시스템에 구비되는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에 구비되는 밸브 본체(10)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에 구비되는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의 구조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도 4에 도시한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에 구비되는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의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 및
도 8은 도 4에 도시한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에 구비되는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 구조의 일 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방 시스템에 구비되는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은 터널(T) 내 화재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으로서,
화재를 감지하면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H)에 소방수를 살수하도록 제어하는 복수 개의 화재 감지 및 밸브 작동부(17)가 상기 터널(T)을 따라 배치되는 원수관(P1)에 평행하게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상기 화재 감지 및 밸브 작동부(17)를 구비한다.
상기 화재 감지 및 밸브 작동부(17)는,
일측 단부의 유입구 내측에 1차측 유입구(1)를 개폐시키는 수동 개방형의 제1 버터플라이 밸브(100)가, 타측 단부의 배출구 내측에 2차측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수동 개방형의 제2 버터플라이 밸브(102)가, 제1 버터플라이 밸브(100)와 제2 버터플라이 밸브(102) 사이에 1차측과 2차측을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주 밸브인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가 설치되고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를 개폐시키는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가 외부로 방수 실링으로 관통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밸브 몸체(10)와,
밀폐된 실린더(120), 실린더(120)의 일측 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1차측 수압을 제공하는 세팅라인(121)과 연통되며 일측에는 배출공(122)이 형성된 수압실(123), 수압실(123)의 1차측 가압수의 수압 존재 여부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직선 운동부(125)와 직선 운동부(125)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운동부(126), 및 회전 운동부(126)의 회전 운동을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로 전달하는 회전링크축(127)으로 이루어져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와,
상기 배출공(122)과 연결되어 주 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관(13)과,
상기 배출관(13)에 설치되고 화재 감지기의 작동 또는 전기적 스위치의 원격 조작으로 연동 개방되어 상기 수압실(123)의 물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전동밸브(14)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방 시스템은 사용자의 수동 개방에 의하여 수압실(123)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배출관(13)으로부터 분기되어 일정 간격으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동개방밸브(15)를 구비하며 이와 같은 복수 개의 수동개방밸브(15)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한 소화를 가능하게 하고 화재 처리가 완료된 후에는 수동개방밸브(15)를 잠그는 것에 의하여 별도의 분해 및 수동 복구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밸브 몸체(10)는 수동 개방형의 제1 버터플라이 밸브(100)에 의하여 1차측 유입구(1)를 개폐시키고, 수동 개방형의 제2 버터플라이 밸브(102)는 2차측 배출구를 개폐시키며,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는 제1 버터플라이 밸브(100)와 제2 버터플라이 밸브(102) 사이에서 1차측과 2차측을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주 밸브로서 기능한다.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는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에 의하여 개폐된다.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는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를 개폐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본원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 요소이다.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에는 밀폐된 실린더(120)의 일측 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1차측 수압을 제공하는 세팅라인(121)과 연통되며 일측에는 배출공(122)이 형성된 수압실(123)이 구비되며 상기 수압실(123)에는 세팅 과정에서 1차측 수압에 해당하는 일정한 수압이 제공된다.
또한,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에는 수압실(123)의 1차측 가압수의 수압 존재 여부에 따라 직선 운동하는 왕복 바디(125)와 왕복 바디(125)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운동부(126), 및 회전 운동부(126)의 회전 운동을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로 전달하는 회전링크축(276)을 구비하여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를 개폐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배출공(122)과 연결되어 주 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관(13)은 수압실(123) 내의 1차측 수압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이는 감지기 신호에 의한 배출 또는 수동 밸브 조작에 의한 배출이 가능하다.
개폐형 전동밸브(14)는 배출관(13)에 설치되며 화재 감지기의 작동 또는 전기적 스위치의 원격 조작으로 연동 개방되어 상기 수압실(123)의 물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개폐형 전동밸브(14)가 동작하면 수압실(123)의 물이 드레인됨으로써 수압실(123)의 수압이 떨어져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내의 직선 운동부(125)가 직선 운동하고 회전 운동부(126)가 연동되어 회전하며,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에 의하여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가 열리게 된다. 사용자의 수동 개방에 의하여 수압실(123)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수동개방밸브(15)를 구비하여 필요에 따라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동작시키도록 한다.
도 4에는 도 3의 터널용 소방 시스템에 구비되는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의 구조를 사시도로써 나타내었으며, 도 5에는 도 4에 도시한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에 구비되는 밸브 본체(10)의 구조를 단면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널용 소방 시스템에 구비되는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는 준비작동식을 겸하는 일제 개방 밸브로서,
일측 단부의 유입구 내측에 1차측 유입구(1)를 개폐시키는 수동 개방형의 제1 버터플라이 밸브(100)가, 타측 단부의 배출구 내측에 2차측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수동 개방형의 제2 버터플라이 밸브(102)가, 제1 버터플라이 밸브(100)와 제2 버터플라이 밸브(102) 사이에 1차측과 2차측을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주 밸브인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가 설치되고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를 개폐시키는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가 외부로 방수 실링으로 관통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밸브 몸체(10)와,
밀폐된 실린더(120), 실린더(120)의 일측 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1차측 수압을 제공하는 세팅라인(121)과 연통되며 일측에는 배출공(122)이 형성된 수압실(123), 수압실(123)의 1차측 가압수의 압력에 의해 밀려 직선운동하는 왕복 바디(125)와 왕복 바디(125)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운동부(126), 및 회전 운동부(126)의 회전 운동을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로 전달하는 회전링크축(127)으로 이루어져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를 개폐 제어하는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와,
상기 배출공(122)과 연결되어 주 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관(13)과,
상기 배출관(13)에 설치되고 화재 감지기의 작동 또는 전기적 스위치의 원격 조작으로 연동 개방되어 상기 수압실(123)의 물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전동밸브(14), 및
사용자의 수동 개방에 의하여 수압실(123)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수동개방밸브(15)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도 6 및 도 7에는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에 구비되는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의 구조를 각각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로 나타내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는 밀폐된 실린더(120), 실린더(120)의 일측 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1차측 수압을 제공하는 세팅라인(121)과 연통되며 일측에는 배출공(122)이 형성된 수압실(123), 수압실(123)의 1차측 가압수의 압력에 의해 밀려 직선운동하는 왕복 바디(125)와 왕복 바디(125)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운동부(126), 및 회전 운동부(126)의 회전 운동을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로 전달하는 회전링크축(127)으로 이루어져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를 개폐 제어하는 것으로, 왕복 바디(125)에 구비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회전링크축(127)과, 왕복 바디(125)의 직선 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일부가 실린더(120) 외부에서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와 연결되는 회전링크축(276), 및 일단이 회전링크축(276)에 고정되고 타단이 회전링크축(127)에 핀(262) 연결되어 왕복 바디(125)의 직선 운동시 회동운동하여 회전링크축(276)을 축회전시키는 회동 링크(274)로 이루어져 실린더(120) 외부로 회전 토오크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왕복 바디(125)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 피스톤(200)은 수압실(123)의 1차측 가압수의 수압에 의하여 전진하거나 수압실(123)의 수압이 제2 피스톤(202)에 걸리는 반발력보다 적게 저하되면 후진함으로써 왕복 바디(125)가 후진하게 된다. 왕복 바디(125)는 결합바(260)와 회전링크축(127)로 이루어지는데, 결합바(260)는 제1 피스톤(200)과 제2 피스톤(202)을 결합하여 제2 피스톤(202)에 걸리는 반발력과 제1 피스톤(200)에 걸리는 1차측 수압의 차이에 따라 직선운동하며, 회전링크축(127)는 제1 피스톤(200)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바(260)의 직선운동에 해당하게 직선운동한다.
회전링크축(127)의 단부에는 링크핀(262)이 구비되고 링크핀(262)에는 회동 링크(274)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장공(272)이 결합되고 그 일측단부는 제1 피스톤(200)과 제2 피스톤(202) 사이에 위치하여 회동 링크(274)이 제2 직선부(262)의 직선운동에 종동되어 굴절 운동하게 된다. 회동 링크(274)의 타측 단부의 회전링크축(276)에는 밸브 몸체(10)의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와 축결합됨으로써 직선 운동에 의하여 직선운동부(125)가 직선운동하면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가 회전하여 주밸브를 개폐하게 된다.
도 8에는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에 구비되는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 구조의 일 예를 부분 사시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밸브 본체(10)의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의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는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의 회전링크축(127)과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로써,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의 회전링크축(127)이 회전하면 밸브 본체(10)의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가 개폐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감지에 따른 자동 소방 작동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도 소방 밸브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수동개방밸브(15)를 열면 수압실(123)의 제1 피스톤(200)에 걸리는 1차측 수압이 제2 피스톤(202)에 걸리는 반발력보다 낮아지면 직선운동부(125)가 직선운동하고 회전운동부(126)에 결합된 회전링크축(127)이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링크축(127)에 결합된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가 회전하고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가 열려 소방수가 방출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나타내었다. 도 9를 참조하면,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에 세팅 밸브와 세팅 라인에 의하여 1차측 수압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밸브 본체(10)의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버터플라이밸브(100)를 수동 개방하고, 제2 버터플라이밸브(102)를 수동 개방한다.
화재가 발생하여 감지기 신호가 개폐 전동 모터(M : 60)에 수신되면 밸브(61)가 열려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내에서 1차측 수압이 드레인됨으로써,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가 열리게 되어 1차측 유입수가 2차측을 통해 스프링클러(68)로 전달되어 방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준비작동식 밸브겸용 일제 개방 밸브는 준비작동식 밸브를 겸하면서도 상황이 종료되면 밸브(61)가 닫히고 1차측 수압이 제공되면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가 닫힘에 따라 자동으로 복귀된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는 밸브 본체에 복수 개의 버터플라이형 밸브를 적용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버터플라이형 밸브는 다른 형식의 밸브에 비하여 열리려는 성질이 강하기 때문에 살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소방의 목적에 잘 부합한다는 점, 및 버터플라이형 밸브를 통과한 물은 유입단의 물에 비하여 정류되는 성질이 있어 일정한 수압으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 있고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면서도 준비작동식 밸브를 겸하는 일제 개방 밸브로 동작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콤프레셔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재 발생시 개폐형 전동 밸브 또는 수동 개방 밸브에 의하여 밸브 본체에 구비되는 수압실에 걸리는 1차측 수압이 드레인되었는지를 기계적으로 즉시 감지하여 2차측으로 소방수가 확실하게 방수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도 4에 도시한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에 구비되는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의 구조를 각각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로 나타내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직선운동부(125)는 수압실(123)의 1차측 가압수의 수압에 의하여 전진하거나 수압실(123)의 수압이 저하되면 후진하는 제1 피스톤(200), 실린더(120)의 타측 단부에 제1 피스톤(200)과 대향하게 삽입 설치되며 수압실(123)의 1차측 가압수 수압보다 작은 반발력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제2 피스톤(202), 및 제1 피스톤(121)과 제2 피스톤(122)을 결합하여 제2 피스톤(202)에 걸리는 반발력과 제1 피스톤(200)에 걸리는 1차측 수압의 차이에 따라 직선운동하는 결합바(260)와 제1 피스톤(200) 또는 제2 피스톤(20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바(260)의 직선운동에 해당하게 직선운동하며 단부에는 링크핀(262)이 구비되는 회전링크축(127)로 이루어지고, 회전운동부(126)는 제1 피스톤(200)과 제2 피스톤(202) 사이에 위치하는 일측 단부에는 회전링크축(127)의 링크핀(262)과 결합되는 장공(272)을 구비하여 제2 직선부(262)의 직선운동에 종동되어 굴절 운동하는 링크 스템(274), 및 링크 스템(274)의 타측 단부에 구비되고 밸브 몸체(10)의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와 축결합되는 회전링크축(27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직선운동부(125)와 회전운동부(126)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 피스톤(200)은 수압실(123)의 1차측 가압수의 수압에 의하여 전진하거나 수압실(123)의 수압이 제2 피스톤(202)에 걸리는 반발력보다 적게 저하되면 후진함으로써 직선운동부(125)가 후진하게 된다. 직선운동부(125)는 결합바(260)와 회전링크축(127)로 이루어지는데, 결합바(260)는 실린더(120)의 타측 단부에 제1 피스톤(200)과 대향하게 삽입 설치되며 수압실(123)의 1차측 가압수 수압보다 작은 반발력으로 지지되게 설치되는 제2 피스톤(202), 및 제1 피스톤(121)과 제2 피스톤(122)을 결합하여 제2 피스톤(202)에 걸리는 반발력과 제1 피스톤(200)에 걸리는 1차측 수압의 차이에 따라 직선운동하며, 회전링크축(127)는 제1 피스톤(200) 또는 제2 피스톤(20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결합바(260)의 직선운동에 해당하게 직선운동한다.
회전링크축(127)의 단부에는 링크핀(262)이 구비되고 링크핀(262)에는 링크 스템(274)의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장공(272)이 결합되고 그 일측단부는 제1 피스톤(200)과 제2 피스톤(202) 사이에 위치하여 링크 스템(274)이 제2 직선부(262)의 직선운동에 종동되어 굴절 운동하게 된다. 링크 스템(274)의 타측 단부의 회전링크축(276)에는 밸브 몸체(10)의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와 축결합됨으로써 직선 운동에 의하여 직선운동부(125)가 직선운동하면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가 회전하여 주밸브를 개폐하게 된다.
도 8에는 도 4에 도시한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에 구비되는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 구조의 일 예를 부분 사시도로써 나타내었다. 도 8을 참조하면, 밸브 본체(10)의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의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는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의 회전링크축(127)과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로써,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의 회전링크축(127)이 회전하면 밸브 본체(10)의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가 개폐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재 감지에 따른 자동 소방 작동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서도 소방 밸브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즉, 사용자가 수동개방밸브(15)를 열면 수압실(123)의 제1 피스톤(200)에 걸리는 1차측 수압이 제2 피스톤(202)에 걸리는 반발력보다 낮아지면 직선운동부(125)가 직선운동하고 회전운동부(126)에 결합된 회전링크축(127)이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링크축(127)에 결합된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가 회전하고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가 열려 소방수가 방출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를 나타내었다. 도 9를 참조하면,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에 세팅 밸브와 세팅 라인에 의하여 1차측 수압이 공급된 상태에서는 밸브 본체(10)의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버터플라이밸브(100)를 수동 개방하고, 제2 버터플라이밸브(102)를 수동 개방한다.
화재가 발생하여 감지기 신호가 개폐 전동 모터(M : 60)에 수신되면 밸브(61)가 열려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내에서 1차측 수압이 드레인됨으로써,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가 열리게 되어 1차측 유입수가 2차측을 통해 스프링클러(68)로 전달되어 방사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준비작동식 밸브겸용 일제 개방 밸브는 준비작동식 밸브를 겸하면서도 상황이 종료되면 밸브(61)가 닫히고 1차측 수압이 제공되면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가 닫힘에 따라 자동으로 복귀된다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는 밸브 본체에 복수 개의 버터플라이형 밸브를 적용하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버터플라이형 밸브는 다른 형식의 밸브에 비하여 열리려는 성질이 강하기 때문에 살수 개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소방의 목적에 잘 부합한다는 점, 및 버터플라이형 밸브를 통과한 물은 유입단의 물에 비하여 정류되는 성질이 있어 일정한 수압으로 소화수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는 점이 있고 이러한 장점을 이용하면서도 준비작동식 밸브를 겸하는 일제 개방 밸브로 동작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콤프레셔를 사용하지 않고도 화재 발생시 개폐형 전동 밸브 또는 수동 개방 밸브에 의하여 밸브 본체에 구비되는 수압실에 걸리는 1차측 수압이 드레인되었는지를 기계적으로 즉시 감지하여 2차측으로 소방수가 확실하게 방수될 수 있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1 : 1차측 유입구
10 : 밸브 몸체
100 : 제1 버터플라이 밸브 102 : 제2 버터플라이 밸브
104 : 제3 버터플라이 밸브 105 : 주밸브 개폐 샤프트
12 :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
120 : 밀폐된 실린더 122: 배출공
123 : 수압실 125 : 직선 운동부
126 : 회전 운동부 127 : 회전링크축
13 : 배출관 14 : 개폐형 전동밸브
15 : 수동개방밸브
125 : 직선운동부
200 : 제1 피스톤 202 : 제2 피스톤
260 : 제1 직선운동부 264 : 제2 직선운동부
126 : 회전운동부
262 : 핀 272 : 장공
274 : 회동 링크 276 : 회전링크축

Claims (2)

  1. 터널(T) 내 화재 발생에 대응하기 위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에 있어서,
    화재를 감지하면 개방형 스프링클러 헤드(H)에 소방수를 살수하도록 제어하는 복수 개의 화재 감지 및 밸브 작동부(17)가 상기 터널(T)을 따라 배치되는 원수관(P1)에 평행하게 제1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화재 감지 및 밸브 작동부(17)는,
    일측 단부의 유입구 내측에 1차측 유입구(1)를 개폐시키는 수동 개방형의 제1 버터플라이 밸브(100)가, 타측 단부의 배출구 내측에 2차측 배출구를 개폐시키는 수동 개방형의 제2 버터플라이 밸브(102)가, 제1 버터플라이 밸브(100)와 제2 버터플라이 밸브(102) 사이에 1차측과 2차측을 연통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주 밸브인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가 설치되고 제3 버터플라이 밸브(104)를 개폐시키는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가 외부로 방수 실링으로 관통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밸브 몸체(10);
    밀폐된 실린더(120), 실린더(120)의 일측 단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 1차측 수압을 수압실(123)로 직접 제공하도록 세팅라인(121)과 연통되며 일측에는 배출공(122)이 형성된 수압실(123), 수압실(123)의 1차측 가압수의 압력에 의해 밀려 직선운동하는 왕복 바디(125), 왕복 바디(125)의 직선 운동을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는 회전 운동부(126), 및 회전 운동부(126)의 회전 운동을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로 전달하는 회전링크축(276)으로 이루어져 제3 버터플라이밸브(104)를 개폐 제어하는 것으로, 왕복 바디(125)에 구비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아암(264)과, 왕복 바디(125)의 직선 운동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일부가 실린더(120) 외부에서 주밸브 개폐 샤프트(105)와 연결되는 회전링크축(276), 및 일단이 회전링크축(276)에 고정되고 타단이 아암(264)에 핀(262) 연결되어 왕복바디(125)의 직선 운동시 회동운동하여 회전링크축(276)을 축회전시키는 회동 링크(274)로 이루어져 실린더(120) 외부로 회전 토오크를 출력하는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
    상기 배출공(122)과 연결되어 주 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 배출관(13);
    상기 배출관(13)에 설치되고 화재 감지기의 작동 또는 전기적 스위치의 원격 조작으로 연동 개방되어 상기 수압실(123)의 물을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개폐형 전동밸브(14); 및
    사용자의 수동 개방에 의하여 주밸브 개폐 액츄에이터(12)내 수압실(123)의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도록 제1 일정간격보다 작은 제2 일정간격으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 개의 수동개방밸브(15);를 구비한 준비작동식 겸용 일제 개방 밸브를 포함하여, 실제 터널내 화재 발생시 사용자가 수동으로 소방수가 방수되도록 하는 수동개방밸브(15)를 밸브몸체(10) 간격보다 작은 근거리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화재 진압후 그 수동개방밸브(15)를 닫는것에 의하여 복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링크(274)의 타단에 회전링크축(127)과 핀(262) 연결되는 부분에는 회동 링크(274)의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형성되는 장공(27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
KR1020180109908A 2018-09-14 2018-09-14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터널용 소방 시스템 KR102037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08A KR102037454B1 (ko) 2018-09-14 2018-09-14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터널용 소방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08A KR102037454B1 (ko) 2018-09-14 2018-09-14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터널용 소방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454B1 true KR102037454B1 (ko) 2019-11-26

Family

ID=6873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908A KR102037454B1 (ko) 2018-09-14 2018-09-14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터널용 소방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4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0064A (ja) * 2010-08-16 2012-03-01 Hochiki Corp 自動弁装置
JP2013042852A (ja) * 2011-08-23 2013-03-04 Kurimoto Ltd スプリンクラー設備用バルブ
JP2014066304A (ja) * 2012-09-26 2014-04-17 Senju Sprinkler Kk 一斉開放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0064A (ja) * 2010-08-16 2012-03-01 Hochiki Corp 自動弁装置
JP2013042852A (ja) * 2011-08-23 2013-03-04 Kurimoto Ltd スプリンクラー設備用バルブ
JP2014066304A (ja) * 2012-09-26 2014-04-17 Senju Sprinkler Kk 一斉開放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3403B1 (ko) 인공지능(ai)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관리 시스템
KR102273404B1 (ko) 공동주택의 소방설비 통제 시스템
KR101602563B1 (ko) 개방검지형 앵글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옥내소화전시스템
KR102037454B1 (ko) 사용자 조작이 용이하고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터널용 소방 시스템
JP3780500B2 (ja) 放出点検装置を備えた消火栓装置
KR102014537B1 (ko) 사용자 조작이 용이한 터널용 소방 시스템
JP5139174B2 (ja) 水噴霧自動弁装置
KR101931691B1 (ko)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
KR20180000859U (ko) 선박 엔진룸의 소화 수 배관 제어시스템의 공압 리모트 자동 개폐밸브의 수동제어 장치
KR102014534B1 (ko)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
KR20100006171U (ko) 헤드에 배수장치가 구비된 스프링클러
CN115607892B (zh) 一种消防监控系统中的受控消防设备
JPH07265454A (ja) 消火設備用流水検知装置
KR102452095B1 (ko) 건축물 소방수 급배수장치
JPH03121082A (ja) 消火装置
KR102298642B1 (ko) 공동주택의 전기시설을 이용한 소방감지용 템퍼스위치를 구비한 소방장치
CN203677818U (zh) 预作用消火栓系统
KR102055834B1 (ko) 벽걸이 소화장치
KR102273400B1 (ko)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KR102275409B1 (ko)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대피 시스템
KR20200045086A (ko) 볼밸브를 기반으로 하는 준비작동식 밸브 겸용 일제 개방 밸브
KR100972144B1 (ko) 회전식 소화전
KR10228509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감시 시스템
KR102274094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위치 자동검출 시스템
KR102273307B1 (ko) 공동주택용 소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