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092B1 - 휠 임브레이스 기구 및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장착한 안전차량 - Google Patents

휠 임브레이스 기구 및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장착한 안전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092B1
KR101602092B1 KR1020147032996A KR20147032996A KR101602092B1 KR 101602092 B1 KR101602092 B1 KR 101602092B1 KR 1020147032996 A KR1020147032996 A KR 1020147032996A KR 20147032996 A KR20147032996 A KR 20147032996A KR 101602092 B1 KR101602092 B1 KR 101602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heel
push
push frame
back d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2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5477A (ko
Inventor
쉔리 첸
Original Assignee
쉔리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쉔리 첸 filed Critical 쉔리 첸
Publication of KR20150015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5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38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adjustably or movably mounted, e.g. horizontally displaceable for securing a space between park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00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 B60T1/02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 B60T1/04Arrangements of braking elements, i.e. of those parts where braking effect occurs specially for vehicles acting by retarding wheels acting directly on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initiated by contact of vehicle, e.g. bumper, with an external object, e.g. another vehicle, or by means of contactless obstacle detectors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a braking member or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the wheel rim, a drum,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49/00Brakes with a braking member co-operating with the periphery of a drum, wheel-rim, or the like
    • F16D49/18Brakes with three or more brake-blocks

Abstract

본 발명은 일종 휠 임브레이스 기구 및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장착한 안전차량을 제공한다. 휠 임브레이스 기구에는 휠 전단의 푸시 장치, 휠 후단의 백 드로우 장치, 휠 상부의 압력 하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는 업로딩 드리브 박스와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 위에는 앞면 저항 스프링과 뒷면 저항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 하강 장치는 힌지 조인트를 통해 각각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와 서로 힌지 조인트되어 충격력을 완충, 흡수함과 동시에 전단 또는 후단으로 전달되는 수평 충격력은 상응한 서로 마주한 압력으로 전환된 후 수직 압력의 힘이 동시에 휠을 감싸고, 휠 공기 타이어의 강력한 하중 항압성을 이용하여 충격력을 감소한 후 지면으로 전달함으로써 충격력으로 인한 차체 구조 변형이나 훼손을 받지 않게 하고, 최종적으로 차량 내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여 항충격, 차량보호, 생명보호의 삼중 안전 효과에 이를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왕의 각종 차종, 더우기는 현대 각종 캡오버차량은 차머리에 흡수 변형구역이 없어 충돌 안전성이 떨어지는 난제를 안고 있는 문제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휠 임브레이스 기구 및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장착한 안전차량{WHEEL-EMBRACING MECHANISM AND SAFETY VEHICLE HAVING THE WHEEL-EMBRACING MECHANISM}
본 발명은 자동차 설계와 제조 기술영역의 자동차부품 및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는 일종 휠 임브레이스 기구 및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장착한 안전차량과 관련한 것이다.
자동차 안전은 주동적 안전과 피동적 안전으로 나누고, 피동적 안전을 일명 충돌안전이라고도 부른다. 주동적 안전은 운전의 제어성과 관계되고, 피동적 안전은 더욱 자동차 안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동차 피동적 안전기술은 주로 두 가지 부류로 나눈다: 차체 구조: 완충과 충격력 흡수. 차량 내부 이용객 보호: 안전벨트, 안전에어백, 안전방향시스템, 안전의자 등. 차체 구조 기술은 완충과 충격력 흡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구미지역의 각종 자동차 충돌사고에 대한 통계에 따르면 전단 충돌이 제일 많고 후단 추돌이 그 다음이며 측면 충돌이 그 뒤를 이었다. 이로부터 보면 앞 후단 충돌이 사고에서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경우이다(>60%-70%). 제일 보편적인 살룬을 실예로 든다면 현대의 자동차 차체 구조의 안전 특징은: 중간 차체 , 즉 탑승 좌석실이 비교적 단단하고, 차체 케이스 강도가 제일 큰 반면 앞, 뒤 차체, 즉 엔진실, 트렁크실 강도가 제일 작으며 일정한 유연성이 있어 충돌시 앞, 뒤 차체의 압축 변형을 통해 최대한 충격 강도를 흡수하여 탑승실의 충격 파괴를 줄여 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이 오직 자동차의 앞, 뒤 차체의 압축 변형, 즉 차를 망가뜨리는 방식으로 충격력을 흡수하는 것은 제한적이다. 예를 들면: 세계적으로 제일 엄격한 테스트 기준을 적용하기로 유명한 유럽의 유로-엔캡(Euro-NCAP)은 신차 정멸 충돌(40% ODB) 테스트에서 최고로 5성 기준을 획득한 최대 테스트 시속은 64km/h를 넘지 않는다. 미국, 일본 등 선진국도 이와 비슷한바 따라서 그 안전효과는 저속 충돌에만 국한된다고 봐야 한다. 고속도로의 빠른 발전과 더불어 자동차 주행 속도도 크게 빨라지고 있고, 자동차 충돌 시속은 대폭 높아졌는바 현재의 차체 구조로 강한 충격이 발생할 경우 압축성 훼손이 발생하기가 극히 쉽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제한성이 날로 두드러지고 있고 근본적인 해결을 보기도 힘든 실정이다.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해마다 대량 발생하는 “차량과 인명 사고"를 유발하는 자동차 충돌사고 사례는 이 점을 충분히 설명해 주고 있다. 따라서 현재의 자동차 차체 구조 결함을 상대로 반드시 새로운 안전차체 구조를 연구하여 현행 차량 안전상황을 대체해야 함이 시급한 실정이다.
CN 102673498 A CN 102641579 U
본 발명의 목적은 일종의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제공하여 충돌 발생시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통해 충격력을 완충, 흡수, 감소시키고, 동시에 전후 종향 수평 충격력을 상호 압력과 수직 하향 압력으로 전환하여 휠의 앞, 뒤, 상부 3방향으로부터 동시에 휠을 감싸고, 휠의 공기 타이어의 강력한 하중 항압 성능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충격력을 지면에 전달함으로써 충격 압력으로 인해 차체 구조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종의 휠 임브레이스 기구가 장착된 안전차량으로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통해 강력한 충격력을 완충, 흡수, 감소시키고, 동시에 휠을 감싸 최종적으로 충격력을 줄인 후 지면에 전달함으로써 자동차 훼손을 방지하고 차량 내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아래 기술 방안을 통해 실현할 수 있다: 일종의 휠 임브레이스 기구로 여기에는 휠 전단의 푸시 장치, 휠 후단의 백 드로우 장치, 휠 상부의 압력 하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는 업로딩 드리브 박스와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 위에는 앞면 저항 스프링과 뒷면 저항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 하강 장치는 힌지 조인트를 통해 각각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와 서로 힌지 조인트되어 충격력을 완충, 흡수함과 동시에 전단 또는 후단으로 전달되는 수평 충격력은 상응한 서로 마주한 압력으로 전환된 후 수직 압력의 힘이 동시에 휠을 감싸고, 휠 공기 타이어의 강력한 하중 항압성을 이용하여 충격력을 감소한 후 지면으로 전달함으로써 충격력으로 인한 차체 구조 변형이나 훼손을 받지 않게 하고, 최종적으로 차량 내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여 항충격, 차량, 생명보호의 삼중 안전 효과에 이를 수 있다.
상술한 푸시 장치에는 푸시 프레임, 상기 푸시 프레임 중부와 연결된 베어링 프레임, 상기 베어링 프레임 전단 상부에 설치된 상부 돌기, 상기 베어링 프레임 전단 하부에 설치된 하부 돌기, 상기 상부 돌기와 상기 하부 돌기 양측에 각각 설치된 홈, 상기 베어링 프레임 중부에 설치된 수직직통 그루브, 상기 수직직통 그루브에 설치된 범퍼 단 공기타이어 호도와 적응되는 호형 그루브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 프레임 상부와 상부 푸시 프레임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푸시 프레임 밑에는 불럭이 설치되고, 상기 푸시 프레임 중부는 가로방향 푸시로드와 하부 푸시 프레임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한측에는 앞면 저항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푸시 프레임 하부에는 휠과 서로 적응되는 호형 푸시 플레이트가 있으며, 상기 상부 돌기와 상기 하부 돌기 사이에는 U형 연결봉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U형 연결봉은 아래서 위로 공기타이어 범퍼 로드 프레임 양단의 스파이 럴헤드 위 두 개 수직 롱 관통구멍을 관통하고, 상기 U형 연결봉의 상단은 고정못과 상기 상부 돌기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U형 연결봉의 하단은 고정못을 통해 상기 하부 돌기와 연결되어 이로써 푸시 장치의 상기 베어링 프레임과 상기 공기타이어 범퍼가 연결된 구조를 형성한다. 상기 상부 돌기와 상기 하부 돌기 양측의 홈은 각각 범퍼 상부 브라킷, 하부 브라킷의 더블 플러그와 서로 접속되고, 상기 베어링 프레임 중부의 수직직통 그루브에는 범퍼 단 공기타이어 호도와 적응되는 호형 그루브가 설치된다. 충돌이 발생하면 범퍼 로드 프레임 양단의 스파이럴 헤드 및 그 상부의 공기타이어는 밀려서 베어링 프레임의 수직직통 그루브로 들어가고, 바람직하게는 베어링 프레임과 연결된 푸시 프레임을 뒤로 밀어서 이동시킨다.
상술한 백 드로우 장치에는 백 드로우를 포함하고, 상기 백 드로우 상부에는 상부 백 드로우 랙이 연결되며, 상기 백 드로우 하부는 휠과 적응되는 호형 백 플레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백 드로우 중부는 가로방향 풀로드를 통해 하부 백 드로우 랙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백 드로우 랙 한측에는 뒤면 저항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백 드로우 랙은 업로딩 드리브 박스 중의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상부 기어를 통해 상부 푸시 프레임과 서로 맞물리고, 상기 하부 백 드로우 랙은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 중의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하부 기어를 통해 하부 푸시 프레임과 서로 맞물린다. 충격력이 푸시 장치를 밀어냄과 동시에 백 드로우 장치를 당겨 앞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호형 푸시 플레이트와 호형 백 플레이트는 휠 앞측과 뒤측에서 서로 휠에 압력을 주게 된다.
상술한 압력 하강 장치에는 푸시 프레임, 백 압력 프레임 및 호형 하부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프레임 상단은 제4 카디널 액슬은 푸시 장치 위에서 힌지 조인트 되고, 상기 백 압력 프레임의 상단은 제6 카디널 액슬을 통해 백 드로우 장치 위에서 힌지 조인트되며, 상기 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백 압력 프레임의 하단은 각각 휠 호도와 적응되는 호형 하부 플레이트와 서로 연결된다. 상기 호형 하부 플레이트 위에는 앞면 고정시트, 뒤면 고정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앞면 고정시트는 제5 카디널 액슬을 통해 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뒤면 고정시트는 제7 카디널 액슬을 통해 백 압력 프레임의 하단과 서로 연결된다. 충격력이 푸시 장치를 뒤로 밀어내면 백 드로우 장치를 당겨서 앞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압력 하강 장치를 제압하여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호형 하부 플레이트를 상부에서 수직으로 휠에 내리 압력을 가한다.
상술한 앞면 저항 스프링은 고정프레임 전단과 푸시 장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뒤면 저항 스프링은 고정프레임 후단에서 백 드로우 장치 사이에 설치되며, 고정프레임을 자동차 크로스빔 위에 고정한다. 충격력이 푸시 장치를 뒤로 밀어내면 백 드로우 장치를 당겨서 앞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앞면 저항 스프링, 뒤면 저항 스프링으로 하여금 강제로 동시에 상호 압력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충격력 완충, 흡수 능력을 수행하게 한다.
상술한 맞물린 상부 기어는 각각 상부 푸시 프레임과 상부 백 드로우 랙과 함께 상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커버와 연결된 업로딩 드리브 박스 내에 수평 설치되고, 상기 상부 기어의 각 기어는 상부 고정못을 통해 상기 업로딩 드리브 박스 위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고정못은 동시에 상기 상부 기어의 휠축으로 되며, 상기 업로딩 드리브 박스는 고정막대를 통해 엔진실 변두리 빔에 고정된다.
상술한 맞물린 하부 기어는 각각 하부 푸시 프레임과 하부 백 드로우 랙과 함께 하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 커버와 연결된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 내에 수평 설치되고, 상기 하부 기어의 각 기어는 하부 고정못을 통해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위에 고정되며, 상기 하부 고정못은 동시에 상기 하부 기어의 휠축으로 되며,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는 하부 고정못을 통해 자동차 크로스빔 위에 고정된다.
일종의 상기 휠 임브레이스 기구가 장착된 안전차량으로 휠 위에 휠 임브레이스 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휠 임브레이스 기구에는 휠 전단에 설치된 푸시 장치, 휠 후단에 설치된 백 드로우 장치, 휠 상부에 설치된 압력 하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는 업로딩 드리브 박스를 통해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에는 앞면 저항 스프링과 뒤면 저항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하강 장치는 힌지 조인트를 통해 각각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와 서로 힌지 조인트된다.
상술한 휠 임브레이스 기구는 각각 자동차의 각 휠에 설치되고, 하부 푸시 프레임을 통해 전단 휠과 후단 휠의 각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형성하여 멀티 휠 연합 보호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에는 3단을 포함하되 각각: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 하부 푸시 프레임 중단, 하부 푸시 프레임 후단이다.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 앞머리 좌우 양측은 고정장치를 통해 각각 전단 휠 푸시 장치 베어링 프레임 하단의 불럭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후단 꼬리쪽 좌우 양측은 각각 고정장치를 통해 후단 휠 백 드로우 장치 백 드로우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중단은 고리를 이용하여 자동차 섀시에 매단다.
상술한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 앞머리 고정장치는 한 개의 함몰형 카세트 덱으로 전단 휠 푸시 장치 베어링 프레임 하단의 불럭에 연결된 후 나사못을 통해 고정된다. 상술한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후단 꼬리쪽의 고정장치는 삼각형 푸시 프레임으로 U형 카드 및 나사못을 통해 후단 휠 백 드로우 장치의 백 드로우 하부에 연결되고, 전술한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의 기중기 역할을 하는 고리는 U형 고리이고, 상기 U형 고리는 각각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의 후단 양측,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중단의 전, 후단 양측,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후단의 전단 양측을 자동차 섀시에 매단다.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의 3단은 대응하는 상기 U형 고리에서 종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3단사이는 상대적 연결만 있을 뿐 실제로 연결하지는 않는다.
상술한 차체 앞측과 차체 뒤측의 공기타이어 범퍼는 두 개의 연결봉을 통해 서로 X형으로 힌지 조인트된 신축붐 양측의 볼스터로서 상기 공기타이어 범퍼와 차체 앞측, 뒤측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신축붐의 두 개 전단과 상기 공기타이어 범퍼 내측의 로드 프레임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신축붐의 두 개 후단은 각각 차체 앞측, 뒤측의 자동차 크로스빔과 서로 연결되어 신축타입 로드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신축붐 양측의 볼스터는 각각 차체 앞측, 뒤측의 자동차 크로스빔에 놓여 상기 공기타이어 범퍼가 차체 앞측, 뒤측에 놓이도록 지탱해준다.
상술한 신축붐은 X형의 두 개 연결봉으로 힌지 조인트되고, 두 개 연결봉의 전단은 각각 좌, 우 제1 카디널 액슬과 로드 프레임 위에서 좌, 우 제1 지대주와 고정되어 힌지 조인트되며, 두 개 연결봉의 후단은 좌, 우 제2 카디널 액슬을 통해 차체 앞측과 차체 뒤측의 자동차 크로스빔 위의 좌, 우 제2 지대주에 고정되어 힌지 조인트되고, 두 개 연결봉의 중부는 제3 카디널 액슬을 통해 상기 자동차 크로스빔 중부의 제3 지대주에 고정되어 힌지 조인트되며, 아울러 두 개 연결봉의 힌지 조인트 포이트와 상기 제3 지대주 위에 있는 중앙 스프링과 서로 연결되어 신축타입 로드 프레임을 형성한다.
상술한 신축붐 양측에 있는 볼스터의 한쪽은 로드 프레임 위의 상기 신축붐 양측의 밑받침 위에 고정되며, 상기 볼스터의 또 다른 한쪽은 상기 볼스터과 함께 각각 양측의 자동차 크로스빔에 놓여 상기 로드 프레임을 지탱하고, 신축붐의 작용하에 상기 로드 프레임은 자동차 크로스빔 전후를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로드 프레임의 신축을 실현한다.
상술한 공기타이어 범퍼에는 로드 프레임 및 상기 로드 프레임 위에 설치되고 내부에 캐비티가 있는 공기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 프레임은 하나의 호형 프레임이며, 상기 로드 프레임의 외부 입면에는 안쪽으로 함몰된 오목면이 설치되며, 상기 로드 프레임의 양단에는 각각 스파이럴 헤드가 있고, 상기 스파이럴 헤드 위에는 두 개의 수직된 롱 관통구멍이 있으며, 상기 스파이럴 헤드 내측에는 상기 공기타이어와 서로 연결된 고정 카세트 덱이 설치되고, 상기 로드 프레임의 위측, 아래측에는 각각 상기 로드 프레임 형상과 서로 적응되는 상부 브라킷, 하부 브라킷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 브라킷, 하부 브라킷의 양단에는 각각 더블 플러그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타이어 양단에는 각각 플러그가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와 로드 프레임 스파이럴 헤드 위에는 카세트 덱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플러그 밖의 스냅링 및 고정못을 통해 상기 플러그를 상기 스파이럴 헤드 위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공기타이어를 상기 로드 프레임 위에 고정한다. 차 머리 또는 차 뒤부분이 충돌이 발생하면 우선 차체 앞측 또는 뒤측의 공기타이어 범퍼에서 완충되어 충격력을 흡수하고, 다시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추진하여 휠을 감싸 줌으로써 차 머리 또는 차 뒤부분이 눌리워 변형되는 일이 없으며 이로써 차량 내 탑승자의 안전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이점과 효과가 있다:
현재 세계 통용 전통 차체 항충격 설계 이념에 따라 제조한 현대의 자동차 차체 항충격 기술과 비교하여: 즉 자동차 압, 뒤 차체에 의지하여 압축변형되는 자동차 훼손 방식으로 실시하는 제한적인 효과와 비교하면 본 발명은 상기 휠 임브레이스 기구 방안을 통해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강력한 충격력을 효과적으로 피할 수 있고, 멀티 저항 스프링 완충을 통해 충격력을 흡수, 감소한 후 전단 또는 후단으로 전달되는 수평 충격력은 상응한 서로 마주한 압력으로 전환된 후 수직 압력의 힘이 동시에 휠을 감싸고, 휠 공기 타이어의 강력한 하중 항압성을 이용하여 충격력을 감소한후 지면으로 전달함으로써 충격력으로 인한 차체 구조 변형이나 훼손을 받지 않게 하고, 최종적으로 차량 내 탑승자의 안전을 보호하여 항충격, 차량, 사람을 보호하는 삼중 안전 효과에 이를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각종 차종, 예컨대 승용차, MPV, SUV, 상용차 등에 적용되며, 나아가 현대 각종 캡오버 차량은 차머리에 흡수 변형구역이 없어 충돌 안전성이 떨어지는 난제를 안고 있는바 본 기술을 적용할 경우 캡오버 승용차, 상용차의 충돌 안전성을 크게 높일 수 있어 높은 신뢰성이 있는 차체 구조의 안전한 자동차로 변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 표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국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C방향 표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반투명 표시도, 도 3의 D-D표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E-E 표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F 방향 표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8 중의 하부 푸시 프레임 G 방향 표시도이다.
도 10은 도 1중 A방향 국부 투시도, 기본적으로 도 3과 같으며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 끝머리와 푸시 장치 불럭의 연결상태를 표시한다.
도 11은 공기타이어 범퍼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방향 표시도이다.
아래 첨부도면의 실시예와 결부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 구체적으로ㅓ 설명 한다. 단, 본 발명에서 보호하는 내용은 여기에 국한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휠 임브레이스 기구에는 휠 전단의 푸시 장치, 휠 후단의 백 드로우 장치, 휠 상부의 압력 하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는 업로딩 드리브 박스(44)와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 위에는 앞면 저항 스프링(51)과 뒷면 저항 스프링(37)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 하강 장치는 힌지 조인트를 통해 각각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와 서로 힌지 조인트되는데 구체 구조는 아래와 같다:
도 1 내지 도 7,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한 푸시 장치에는 푸시 프레임(52), 상기 푸시 프레임 중부와 연결된 베어링 프레임(29), 상기 베어링 프레임(29)의 전단 상부에 설치된 상부 돌기(53), 상기 베어링 프레임(29) 전단 하부에 설치된 하부 돌기(30), 상기 상부 돌기(53)와 상기 하부 돌기(30) 양측에 각각 설치된 홈(63), 상기 베어링 프레임(29) 중부에 설치된 수직직통 그루브(7), 상기 푸시 프레임(52) 상부와 상부 푸시 프레임(49)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푸시 프레임(52) 밑부분에는 블록(31)을 설치하고,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59) 한측에는 앞면 저항 스프링(51)이 설치되고, 상기 푸시 프레임(52) 하부에는 휠과 서로 적응되는 호형 푸시 플레이트(32)가 있으며, 상기 상부 돌기(53)와 상기 하부 돌기(30) 사이에는 U형 연결봉(54)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U형 연결봉(54)은 아래서 위로 공기타이어 범퍼 로드 프레임(5) 양단의 스파이럴 헤드(15) 위 두 개 수직 롱 관통구멍(14)을 관통하고, 상기 U형 연결봉(15)의 상단은 고정못과 상기 상부 돌기(53)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U형 연결봉(15)의 하단은 고정못을 통해 상기 하부 돌기(30)와 연결되어 이로써 푸시 장치의 상기 베어링 프레임(29)과 상기 공기타이어 범퍼가 연결된 구조를 형성한다. 동시에 상기 상부 돌기(53)와 상기 하부 돌기(30) 양측에 설치된 홈(63)은 각각 범퍼 상부 브라킷(1)의 더블 플러그(25)와 하부 브라킷(27)의 더블 플러그와 서로 접속되고, 상기 베어링 프레임(29) 중부의 수직직통 그루브(75)에는 범퍼 단 공기타이어 호도와 적응되는 호형 그루브가 설치된다. 상기 로드 프레임(5)의 스파이럴헤드(15) 및 상기 스파이럴헤드(15) 외측의 공기타이어는 상기 수직직통 그루부(75)에 설치되고, 충돌 발생시 상기 로드 프레임(5)의 스파이럴헤드(15) 및 상기 스파이럴헤드(15) 외측의 공기타이어는 밀려난 후 상기 베이링 프레임(29)의 수직직통 그루브(75)에 이동하여 들어간 후 더 나아가 상기 베어링 프레임(29)과 상기 베어링 프레임(29)과 서로 연결된 푸시 프레임(52)을 뒤로 이동시키고, 이로써 푸시 장치는 뒤로 밀려서 이동하게 된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11, 도 12 참고.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백 드로우 장치에는 백 드로우(39)를 포함하고, 상기 백 드로우(39)의 상부에는 상부 백 드로우 랙(42)이 연결되며, 상기 백 드로우(39)의 하부는 휠과 적응되는 호형 백 플레이트(38)가 연결되고, 상기 백 드로우(39)의 중부는 가로방향 풀로드(64)를 통해 하부 백 드로우 랙(56)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백 드로우 랙(56) 한측에는 뒷면 저항 스프링(37)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백 드로우 랙(42)은 업로딩 드리브 박스(44) 중의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상부 기어(65)를 통해 상부 푸시 프레임(49)과 서로 맞물린다. 본 실시예는 3개의 상부 기어(65)로, 상기 하부 백 드로우 랙(56)은 하부 푸시 프레임(59)과 서로 맞물리고, 본 실시예는 3개의 하부 기어(58)로, 충격력이 푸시 장치를 밀어냄과 동시에 백 드로우 장치를 당겨 앞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호형 푸시 플레이트(32)와 호형 백 플레이트(38)은 각각 휠 앞측과 뒤측에서 서로 휠에 압력을 주게 된다.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참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술한 압력 하강 장치에는 푸시 프레임(48), 백 압력 프레임(40) 및 호형 하부 플레이트(45)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프레임(48)의 상단은 제4 카디널 액슬(50)이 푸시 장치 위에서 힌지 조인트 되고, 상기 백 압력 프레임(40)의 상단은 제6 카디널 액슬(41)을 통해 백 드로우 장치 위에서 힌지 조인트되며, 상기 푸시 프레임(48)의 하단과 상기 백 압력 프레임(40)의 하단은 각각 휠 호도와 적응되는 호형 하부 플레이트(45)와 서로 연결된다. 상기 호형 하부 플레이트(45) 위에는 앞면 고정시트(46), 뒷면 고정시트(35)가 설치되고, 상기 앞면 고정시트(46)는 제5 카디널 액슬(47)을 통해 푸시 프레임(48)의 하단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뒷면 고정시트(35)는 제7 카디널 액슬(36)을 통해 백 압력 프레임(40)의 하단과 서로 연결된다. 충격력이 푸시 장치를 뒤로 밀어내면 백 드로우 장치를 당겨서 앞으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압력 하강 장치를 제압하여 아래로 이동시킴으로써 호형 하부 플레이트(45)를 상부에서 수직으로 휠에 내리 압력을 가한다. 도 1, 도 2 참고.
도 2,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앞면 저항 스프링(51)은 프레임(34) 전단과 푸시 장치의 가로방향 푸시로드(60) 사이에 고정되고, 상술한 뒷면 저항 스프링(37)은 프레임(34) 후단과 백 드로우 장치의 가로방향 풀로드(64)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34)은 자동차 크로스빔(24) 위에 고정된다. 충격력이 푸시 장치를 뒤로 밀어낸 후 백 드로우 장치를 앞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충격력은 상기 앞면 저항 스프링(51)과 상기 뒷면 저항 스프링(37)을 동시에 압축하여 상응한 상대 압력을 형성하고, 이로써 충력력 완충, 흡수와 감소를 형성하게 된다. 도 2, 도 4, 도 5 참고.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서로 맞물리는 3개의 상부 기어(65)는 각각 상부 푸시 프레임(49)과 상부 백 드로우 랙(42)와 함께 상부 케이스(61) 및 상부 케이스 커버(62)와 연결된 업로딩 드리브 박스(44) 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3개의 상부 기어(65)의 각 기어는 상부 고정못(66)을 통해 상기 업로딩 드리브 박스(44) 위에 고정된다. 상기 상부 고정못(66)은 동시에 상기 상부 기어(65)의 휠 축이고, 상기 업로딩 드리브 박스(44)는 고정막대(43)를 통해 엔진 캐비티 변두리 빔 위에 고정된다. 상술한 서로 맞물리는 3개의 하부 기어(58)은 각각 하부 푸시 프레임(59)과 하부 백 드로우 랙(56)과 함께 하부 케이스(55) 및 하부케이스 커버(57)로 연결된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 내에 동시에 수직 설정되고, 상기 3개의 하부 기어(58)의 각 기어는 하부 고정못(67)을 통해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 위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 고정못(67)은 동시에 상기 하부 기어(58)의 휠 축이고,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는 상기 하부 고정못(67)을 통해 자동차 크로스빔(24) 위에 고정된다.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참고.
본 발명이 제공하는 상기 휠 임브레이스 기구가 장착된 안전차량은 그 중에서 상술한 휠 임브레이스 기구에는 휠 전단의 푸시 장치, 휠 후단의 백 드로우 장치 및 휠 상부의 압력 하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푸시 장치는 상기 백 드로우 장치를 통해 업로딩 드리브 박스(44)와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 위에는 앞면 저항 스프링(51)과 뒷면 저항 스프링(37)이 설치된다. 상기 압력 하강 장치는 힌지 조인트를 통해 각각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와 서로 힌지 조인트된다. 상기 휠 임브레이스 기구는 자동차의 각 휠 위에 각각 설치된 후 하부 푸시 프레임을 통해 전단 휠과 후단 휠의 각 휠 임브레이스 기구에 연결되어 멀티 휠 연합 보호를 형성한다.
도 1, 도 2, 및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에는 3단을 포함하되 각각: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68), 하부 푸시 프레임 중단(69), 하부 푸시 프레임 후단(70)이다. 상술한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68) 앞머리 고정장치는 한 개의 함몰형 카세트 덱(72)으로 전단 휠 푸시 장치 베어링 프레임(29) 하단의 불럭(31)에 연결된 후 나사못을 통해 고정된다. 상술한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후단(70) 꼬리쪽의 고정장치는 삼각형 푸시 프레임(73)으로 U형 카드(74) 및 나사못을 통해 후단 휠 백 드로우 장치의 백 드로우(39) 하부에 연결되고, 상술한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의 기중기 역할을 하는 고리는 U형 고리(71)이고, 상기 U형 고리(71)은 각각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68)의 후단 양측,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중단(69)의 전, 후단 양측,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후단(70)의 전단 양측을 자동차 섀시에 매단다.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의 3단은 대응하는 상기 U형 고리(71)에서 종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3단 사이는 상대적 연결만 있을 뿐 실제로 연결하지는 않는다. 도 1, 도 2, 도 8, 도 9, 도 10 참고.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술한 차체 앞측과 차체 뒷측의 공기타이어 범퍼는 제1 연결봉(4)과 제2연결봉(19)를 통해 서로 X형으로 힌지 조인트된 신축붐 양측의 볼스터(16)로서 상기 공기타이어 범퍼와 차체 앞측, 뒤측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신축붐의 두 개 전단과 상기 공기타이어 범퍼 내측의 로드 프레임(5)가 서로 연결되고, 상기 신축붐의 두 개 후단은 각각 차체 앞측, 뒷측의 자동차 크로스빔(23)과 뒷측의 자동차 크로스빔 (23)이 서로 연결되어 신축타입 로드 프레임을 형성하며, 상기 신축붐 양측의 볼스터는 각각 차체 앞측, 뒷측의 자동차 크로스빔에 놓여 상기 공기타이어 범퍼가 차체 앞측, 뒷측에 놓이도록 지탱해준다. 상술한 공기타이어 범퍼에는 로드 프레임(5) 및 상기 로드 프레임(5) 위에 설치되고 내부에 캐비티(12)가 있는 공기타이어(13)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로드 프레임(5)은 하나의 호형 프레임이며, 상기 로드 프레임(5)의 외부 입면에는 안쪽으로 함몰된 오목면(26)이 설치되며, 상기 로드 프레임(5)의 양단에는 각각 스파이럴 헤드(15)가 있고, 상기 스파이럴 헤드(15) 위에는 두 개의 수직된 롱 관통구멍(14)이 있으며, 상기 스파이럴 헤드(15) 내측에는 나사못을 통해 상기 공기타이어(13)와 서로 연결된 고정 카세트 덱(11)이 설치되고, 상기 로드 프레임(5)의 위측에는 각각 상기 로드 프레임 형상과 서로 적응되는 상부 받침판(3)의 상부 브라킷(1)이 설치되고, 상기 로드 프레임(5)의 아래에는 상기 로드 프레임 형상과 서로 적응되는 하부 받침판(28)이 있는 하부 브라킷(27)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 브라킷(1)과 하부 브라킷(27)의 양단에는 각각 더블 플러그(25)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타이어(13) 양단에는 각각 플러그(10)가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10)와 로드 프레임(5) 스파이럴 헤드(15) 위에는 카세트 덱(11)이 서로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플러그(10) 밖의 스냅링(9) 및 고정못을 통해 상기 플러그(10)를 상기 스파이럴 헤드(15) 위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공기타이어(13)를 상기 로드 프레임(5) 외부 입면의 오목면(26)을 지탱함으로써 상기 공기타이어 (13)를 상기 로드 프레임(5) 위에 고정한다. 상기 U형 연결봉(54)은 아래서 위로 공기타이어 범퍼 로드 프레임(5) 양단의 스파이럴 헤드(15) 위 두 개 수직 롱 관통구멍(14)을 관통하고, 상기 U형 연결봉(15)의 상단은 고정못과 상기 상부 돌기(53)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U형 연결봉(15)의 하단은 고정못을 통해 상기 하부 돌기(30)와 연결되어 이로써 푸시 장치의 상기 베어링 프레임(29)과 상기 공기타이어 범퍼가 연결된 구조를 형성한다. 동시에 상기 상부 돌기(53)와 상기 하부 돌기(30) 양측의 홈(63)은 각각 범퍼 상부 브라킷(1)의 더블 플러그(25)와 하부 브라킷(27)의 더블 플러그(25)와 서로 연결된다. 상기 베어링 프레임(29) 중부의 수직직통 그루브(75)에는 범퍼단 공기타이어 호도와 상응한 호형 그루브가 설치된다. 상기 로드 프레임(5)의 스파이럴 헤드(15) 및 상기 스파이럴 헤드(15) 외측을 포함한 공기타이어는 상기 수직직통 그루브(17)에 설치되다. 충돌이 발생하면 상기 로드 프레임(5)의 상기 스파이럴 헤드(15) 및 상기 스파이럴헤드(15) 외측에 포함된 공기타이어는 밀린 후 상기 베어링 프레임(29)의 상기 베어링 프레임(29)과 서로 연결된 푸시 프레임(52)으로 이동하고 이로써 푸시 장치를 뒤로 이동하고, 백 드로우 장치를 동기화로 견인하여 앞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압력 하강 장치를 동기화로 아래로 이동시켜 최종적으로 전, 후, 상 3방향에 둘러싸인 휠을 형성한다. 상술한 신축붐은 X형의 두 개 연결봉으로 힌지 조인트된다: 제1 연결봉(4)과 제2 연결봉(19), 상기 두 개 연결봉의 전단은 각각 좌, 우 제1 카디널 액슬(6)을 통해 로드 프레임(5) 위의 좌, 우 제1 지대주(7)와 상호 고정되어 힌지 조인트되고, 상기 두개 연결봉의 후단은 좌, 우 제2 카디널 액슬(17)을 통해 자동차 크로스빔(23) 위의 좌, 우 제2 지대주(18)와 상호 고정되어 힌지 조인트되며, 상기 두 개 연결봉의 중부는 제3 카디널 액슬(22)를 통해 자동차 크로스빔(23) 중부 제3 지대주(20)와 상호 고정되어 힌지 조인트되고, 상기 두 개 연결봉의 힌지 조인트 포인트는 상기 제3 지대주(20) 위의 중앙 스프링(21)과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써 신축타입 로드 프레임을 형성한다. 상술한 신축붐 양측의 볼스터(16)에 있는 한쪽은 로드 프레임(5) 위에 있는 상기 신축붐 양측의 밑받침(8) 위에 고정되고, 상기 볼스터(16)의 또 다른 한쪽은 상기 볼스터의 한쪽과 함께 양측의 자동차 크로스빔(24)에 각각 고정되어 로드 프레임을 지탱하고, 신축붐의 작용하에 공기타이어 범퍼로 하여금 자동차 크로스빔 전후를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공기타이어 범퍼의 신축을 실현한다. 도 11, 도 12 참고.
이상에서 언급한 것은 단지 본 발명의 비교적 이상적인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대해 임의의 형식적 제한을 하지 아니한다. 비록 본 발명의 비교적 이상적인 실시예를 위와 같이 언급하였다 치더라도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임의의 상황에서 본 발명기술 범주를 초과하지 아니하는 전제하에 상기 공개 방법 및 기술 내용을 이용하여 일부 변경이나 변형 등 작업을 할 경우 본 발명의 기술 방안 내용을 이탈하지 아니한 상황에서 본 발명의 기술 실제에 근거하여 이상 실시예에 대해 임의의 간단한 변경 등 변화와 변형 과정은 모두 본 발명 기술 방안의 범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상부 브라킷 2: 공기주입 노즐
3: 상부 받침판 4: 제1연결봉
5: 로드 프레임 6: 제1카디널 액슬
7: 제1지대주 8: 밑받침
9: 스냅링 10: 플러그
11: 고정 카세트 덱 12: 캐비티
13: 공기타이어 14: 롱 관통구멍
15: 스파이럴헤드 16: 볼스터
17: 제2카디널 액슬 18: 제2지대주
19: 제2연결봉 20: 제3지대주
21: 중앙스프링 22: 제3카디널 액슬
23: 자동차크로스빔 24: 자동차 크로스빔
25: 더블 플러그 26: 오목면
27: 하부 브라킷 28: 하부 받침판
29: 베어링 프레임 30: 하부 돌기
31: 불럭 32: 호형 푸시플레이트
33: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 34: 고정프레임
35: 뒤면 고정시트 36: 제7카디널 액슬
37: 뒤면 저항 스프링 38: 호형 백 플레이트
39: 백 드로우 40: 백 압력 프레임
41: 제6카디널 액슬 42: 상부 백 드로우 랙
43: 고정막대 44: 업로딩 드리브 박스
45: 호형 하부 플레이트 46: 앞면 고정시트
47: 제5카디널 액슬 48: 푸시 프레임
49: 상부 푸시 프레임 50: 제4카디널 액슬
51: 앞면 저항 스프링 52: 푸시 프레임
53: 상부 돌기 54: U형 연결봉
55: 하부케이스 56: 하부 백 드로우 랙
57: 하부케이스 커버 58: 하부 기어
59: 하부 푸시 프레임 60: 가로 푸시로드
61: 상부케이스 62: 상부케이스 커버
63: 홈 64: 가로 풀로드
65: 상부 기어 66: 상부 고정못
67: 하부 고정못 68: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
69: 하부 푸시 프레임 중단 70: 하부 푸시 프레임 후단
71: U형 고리 72: 함몰형 카세트 덱
73: 삼각형 푸시 프레임 74: U형 카드
75: 수직직통 그루브

Claims (9)

  1. 휠 임브레이스 기구로서,
    휠 전단의 푸시 장치, 휠 후단의 백 드로우 장치, 휠 상부의 압력 하강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는 업로딩 드리브 박스(44)와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 위에는 앞면 저항 스프링(51)과 뒤면 저항 스프링(37)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 하강 장치는 힌지 조인트를 통해 각각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와 서로 힌지 조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임브레이스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장치에는 푸시 프레임(52), 상기 푸시 프레임(52) 중부와 연결된 베어링 프레임(29), 상기 베어링 프레임(29)의 전단 상부에 설치된 상부 돌기(53), 상기 베어링 프레임(29) 전단 하부에 설치된 하부 돌기(30), 상기 상부 돌기(53)과 상기 하부 돌기(30) 양측에 각각 설치된 홈(63), 상기 베어링 프레임(29) 중부에 설치된 수직직통 그루브(75), 상기 푸시 프레임(52) 하단에 설치된 불럭(31)을 포함하며, 상기 푸시프레임(52) 상부에는 상부 푸시 프레임(49)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푸시 프레임(52) 밑부분에는 휠의 호도와 적응되는 푸시 플레이트(32)가 연결되고, 상기 푸시 프레임(52)의 중부는 가로방향 푸시로드(60)와 하부 푸시 프레임(59)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59)의 한측에는 앞면 저항 스프링(51)이 설치되며,
    상기 백 드로우 장치에는 백 드로우(39)를 포함하며, 상기 백 드로우(39)의 상부에는 상부 백 드로우 랙(42)이 연결되며, 상기 백 드로우(39)의 하부는 휠과 적응되는 호형 백 플레이트(38)이 연결되고, 상기 백 드로우(39)의 중부는 가로방향 풀로드(64)를 통해 하부 백 드로우 랙(56)과 서로 연결되며, 상기 백 드로우 랙(56) 한측에는 뒷면 저항 스프링(37)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백 드로우 랙(42)는 업로딩 드리브 박스(44) 중의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상부 기어(65)를 통해 상부 푸시 프레임(49)과 서로 맞물리고, 하부 백 드로우 랙(56)은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중의 한 개 또는 한 개 이상의 하부 기어(58)을 통해 하부 푸시 프레임(59)과 서로 맞물리며,
    상기 압력 하강 장치에는 푸시 프레임(48), 백 압력 프레임(40) 및 호형 하부 플레이트(45)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프레임(48)의 상단은 제4 카디널 액슬(50)은 푸시 장치 위에서 힌지 조인트 되고, 상기 백 압력 프레임(40)의 상단은 제6 카디널 액슬(41)을 통해 백 드로우 장치 위에서 힌지 조인트되며, 상기 푸시 프레임(48)의 하단과 상기 백 압력 프레임(40)의 하단은 각각 휠 호도와 적응되는 호형 하부 플레이트(45)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호형 하부 플레이트(45) 위에는 앞면 고정시트(46), 뒤면 고정시트(35)가 설치되고, 상기 앞면 고정시트(46)는 제5 카디널 액슬(47)을 통해 푸시 프레임(48)의 하단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뒷면 고정시트(35)는 제7 카디널 액슬(36)을 통해 백 압력 프레임(40)의 하단과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임브레이스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장치의 베어링 프레임(29) 중부의 수직직통 그루브(75)에는 범퍼 단 공기타이어 호도와 적응되는 호형 그루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임브레이스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돌기(53)과 상기 하부 돌기(30) 사이에는 U형 연결봉(54)이 고정 연결되고, 상기 U형 연결봉(54)은 아래서 위로 공기타이어 범퍼 로드 프레임(5) 양단의 스파이럴헤드(15) 위 두 개 수직 롱 관통구멍(14)를 관통하고, 상기 U형 연결봉(15)의 상단은 고정못과 상기 상부 돌기(53)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U형 연결봉(15)의 하단은 고정못을 통해 상기 하부 돌기(30)과 연결됨으로써 푸시 장치의 상기 베어링 프레임(29)과 상기 공기타이어 범퍼가 연결된 구조를 형성하며, 동시에 상기 상부 돌기(53)과 상기 하부 돌기(30) 양측에 설치된 홈(63)은 각각 범퍼 상부 브라킷(1)의 더블 플러그(25)와 하부 브라킷(27)의 더블 플러그와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임브레이스 기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앞면 저항 스프링(51)을 고정프레임(34) 전단과 푸시 장치의 가로 푸시로드(60) 사이에 놓고, 상기 뒷면 저항 스프링(37)을 프레임(34) 후단과 백 드로우 장치의 가로방향 푸시로드(64) 사이에 고정하며, 상기 고정프레임(34)을 자동차 크로스빔(24) 위에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임브레이스 기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로 맞물리는 상부 기어(65)는 각각 상부 푸시 프레임(49)과 상부 백 드로우 랙(42)과 함께 상부케이스(61) 및 상부케이스 커버(62)로 연결된 업로딩 드리브 박스(44) 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 기어(65)의 각 기어는 상부 고정못(66)을 통해 상기 업로딩 드리브 박스(44)에 고정되며, 상기 상부 고정못(66)은 동시에 상기 상부 기어(65)의 휠 축으로 상기 업로딩 드리브 박스(44)는 고정막대(43)를 통해 엔진 캐비티 변두리 빔 위에 설치되며,
    상기 서로 맞물리는 하부 기어(58)는 각각 하부 푸시 프레임(59)과 하부 백 드로우 랙(56)과 함께 하부케이스(55) 및 하부케이스 커버(57)로 연결된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 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 기어(58)의 각 기어는 하부 고정못(67)을 통해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 위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고정못(67)은 동시에 상기 하부 기어(58)의 휠 축으로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는 상기 하부 고정못(67)을 통해 자동차 크로스빔 (24)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임브레이스 기구.
  7. 휠 임브레이스 기구가 장착된 안전차량으로서,
    휠 위에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설치하되,
    상기 휠 임브레이스 기구에는 휠 전단의 푸시 장치, 휠 후단의 백 드로우 장치 및 휠 상부의 압력 하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는 업로딩 드리브 박스(44)를 통해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다운로딩 드리브 박스(33) 위에는 앞면 저항 스프링(51)과 뒤면 저항 스프링(37)이 설치되고, 상기 압력 하강 장치는 힌지 조인트를 통해 각각 상기 푸시 장치와 상기 백 드로우 장치와 서로 힌지 조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임브레이스 기구가 장착된 안전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휠 임브레이스 기구는 각각 자동차의 각 휠 위에 설치된 후 하부 푸시 프레임을 통해 전단 휠과 후단 휠의 각 휠 임브레이스 기구에 연결됨으로써 멀티 휠 연합 보호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은 3단을 포함하여 각각: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68), 하부 푸시 프레임 중단(69), 하부 푸시 프레임 후단(70)으로 설정하며,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68) 앞머리 좌우 양측은 고정장치를 통해 각각 전단 휠 푸시 장치 베어링 프레임(29) 하단의 불럭(31)과 서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후단(70) 꼬리의 좌우 양측은 고정장치를 통해 각각 후단 휠 백 드로우 장치의 백 드로우(39) 하부와 서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중단(69)은 고리를 통해 자동차 섀시에 매달아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임브레이스 기구가 장착된 안전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68) 앞머리 고정장치는 한 개의 함몰형 카세트 덱(72)으로 전단 휠 푸시 장치 베어링 프레임(29) 하단의 불럭(31)에 연결된 후 나사못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후단(70) 꼬리쪽의 고정장치는 삼각형 푸시 프레임(73)으로 U형 카드(74) 및 나사못을 통해 후단 휠 백 드로우 장치의 백 드로우(39) 하부에 연결되고, 상기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의 기중기 역할을 하는 고리는 U형 고리(71)이고, 상기 U형 고리(71)는 각각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전단(68)의 후단 양측,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중단(69)의 전, 후단 양측, 상기 하부 푸시 프레임 후단(70)의 전단 양측을 자동차 섀시에 매달아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 임브레이스 기구가 장착된 안전차량.

KR1020147032996A 2012-04-25 2013-04-02 휠 임브레이스 기구 및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장착한 안전차량 KR1016020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210123737.3A CN102673498B (zh) 2012-04-25 2012-04-25 抱轮机构及带该抱轮机构的安全车
CN201210123737.3 2012-04-25
PCT/CN2013/000382 WO2013159561A1 (zh) 2012-04-25 2013-04-02 抱轮机构及带该抱轮机构的安全车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5477A KR20150015477A (ko) 2015-02-10
KR101602092B1 true KR101602092B1 (ko) 2016-03-09

Family

ID=46806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2996A KR101602092B1 (ko) 2012-04-25 2013-04-02 휠 임브레이스 기구 및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장착한 안전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150173B2 (ko)
EP (1) EP2842815B1 (ko)
JP (1) JP6220859B2 (ko)
KR (1) KR101602092B1 (ko)
CN (1) CN102673498B (ko)
WO (1) WO20131595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3498B (zh) 2012-04-25 2014-12-17 陈甚利 抱轮机构及带该抱轮机构的安全车
CN102616195B (zh) * 2012-04-25 2014-06-11 陈甚利 充气胎保险杠及带该充气胎保险杠的安全车
CN107339338B (zh) * 2017-07-06 2018-12-07 杭州腾飞链条管业有限公司 用于转轴自动减速的装置
US11072375B2 (en) 2019-01-14 2021-07-27 Fca Us Llc Control arm with tunable fracture features
CN110329188B (zh) * 2019-07-23 2024-03-26 南京工业职业技术学院 一种易拆装式汽车防撞杆
CN112009407B (zh) * 2020-08-26 2022-01-28 浙江树人学院(浙江树人大学) 一种基于动态信号的协同装置及其控制系统
CN113679518B (zh) * 2021-08-06 2022-06-14 华南理工大学 一种抱刹式肘关节防抖机构及肘关节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3381A (en) * 1923-02-07 1924-04-03 Hugh Strain Young Improvements in emergency brakes for vehicles
FR2135395B1 (ko) * 1971-05-03 1973-05-11 Peugeot & Renault
JPS61143961U (ko) * 1985-02-27 1986-09-05
JPH0616154A (ja) * 1992-01-29 1994-01-25 Honda Motor Co Ltd 車両の衝撃吸収構造
KR0131314B1 (ko) * 1992-06-24 1998-04-21 전성원 자동차의 전륜 현가장치
KR100419509B1 (ko) * 2001-03-24 2004-02-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승객 보호장치
CN2563030Y (zh) * 2002-08-06 2003-07-30 长安汽车(集团)有限责任公司 吸收转移式汽车碰撞保护装置
KR100552741B1 (ko) * 2003-10-20 2006-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US7819218B2 (en) * 2004-05-17 2010-10-26 Magna Steyr Fahrzeugtechnik Ag & Co. Kg Deflecting device for an offset frontal collision for motor vehicles
CN1740008A (zh) * 2005-07-27 2006-03-01 曹永德 十字架式汽车防碰撞装置
KR100650360B1 (ko) * 2006-02-06 2006-11-30 송광헌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CN101934770B (zh) * 2009-06-23 2013-05-29 姜仁滨 减少汽车碰撞死伤危险的安全防护装置
JP2011068313A (ja) * 2009-09-28 2011-04-07 Toyoda Gosei Co Ltd 制動装置
CN102641579B (zh) 2012-04-20 2015-04-08 陇东学院 手倒立行走器
CN202641579U (zh) * 2012-04-25 2013-01-02 陈甚利 抱轮机构及带该抱轮机构的安全车
CN102616194B (zh) * 2012-04-25 2014-07-30 陈甚利 抗撞多轮联抱安全车
CN102673498B (zh) 2012-04-25 2014-12-17 陈甚利 抱轮机构及带该抱轮机构的安全车
US9376144B2 (en) * 2013-11-13 2016-06-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orb energy management cross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32620A (ja) 2015-11-12
KR20150015477A (ko) 2015-02-10
CN102673498B (zh) 2014-12-17
CN102673498A (zh) 2012-09-19
EP2842815A1 (en) 2015-03-04
US9150173B2 (en) 2015-10-06
EP2842815B1 (en) 2017-09-13
JP6220859B2 (ja) 2017-10-25
US20150041236A1 (en) 2015-02-12
EP2842815A4 (en) 2015-12-09
WO2013159561A1 (zh)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2092B1 (ko) 휠 임브레이스 기구 및 휠 임브레이스 기구를 장착한 안전차량
CN104781133B (zh) 针对轻微重叠的碰撞设计的机动车车身
JP5871983B2 (ja) 車体の後部に搭載されるバッテリモジュールの保護構造
CN102438881A (zh) 用于侧部碰撞保护的可变形横向车梁
CN102616194B (zh) 抗撞多轮联抱安全车
JP2012517373A (ja) 車両本体、特に陸上車両本体
US76950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hared crumple zone
CN110282017B (zh) 一种车身前舱结构
JP4599017B2 (ja) 重なり合いを防止する衝撃吸収構造を有する自動車
CN112078620B (zh) 一种轨道车辆前端结构
CN111332372B (zh) 一种防惯性压舱事故的货车架
JPH0345421A (ja)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構造
CN202641583U (zh) 抗撞多轮联抱安全车
CN202641579U (zh) 抱轮机构及带该抱轮机构的安全车
CN103552527A (zh) 防撞汽车
JP5824983B2 (ja) エネルギー吸収型フロントアンダランププロテクタ、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
WO2017041389A1 (zh) 一种用于机动车辆的防撞龙骨结构
CN203047122U (zh) 一种平头汽车碰撞防护装置
CN202608884U (zh) 缓冲车辆前端冲击的客车底盘框架结构
CN202641584U (zh) 充气胎保险杠及带该充气胎保险杠的安全车
CN104723916A (zh) 汽车座椅撞击缓冲装置
CN102616195B (zh) 充气胎保险杠及带该充气胎保险杠的安全车
CN213354615U (zh) 车身骨架结构
CN211001218U (zh) 一种新型防撞前保险杠
CN117445846A (zh) 一种具有可翻转防撞装置的防撞缓冲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