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2741B1 -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2741B1
KR100552741B1 KR1020030073021A KR20030073021A KR100552741B1 KR 100552741 B1 KR100552741 B1 KR 100552741B1 KR 1020030073021 A KR1020030073021 A KR 1020030073021A KR 20030073021 A KR20030073021 A KR 20030073021A KR 100552741 B1 KR100552741 B1 KR 10055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vehicle
slide member
vertical direction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7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7755A (ko
Inventor
이병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7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2741B1/ko
Publication of KR200500377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77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4Frontal colli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범퍼프레임(100)에 인접 설치되어 차량충돌에 따라 이동되는 범퍼를 매개로 동작되는 충격감지수단과, 이 충격감지수단과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충격이 감지되면 수직방향으로 하향이동되면서 일정간격만큼의 단차를 보상하게 되는 단차보상수단 및, 이 단차보상수단을 매개로 쇽압소버를 구성하는 스프링(112)을 압축시켜 프론트휠(108)을 상승시키게 되는 휠상승수단이 구비되어, 차량정면충돌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대응하여 휠이 순간상승되도록 하므로써 지상고가 낮아지는 것을 최대한 보상하여 승객룸이 밀려드는 것을 최소화하여 승객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충격흡수장치{A Impact Damping System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격흡수장치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차량충격흡수장치를 구성하는 각 동작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의 조절판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충격흡수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52 - 브라켓트 3 - 레버
5 - 로드 7 - 제1 슬라이드부재
9 - 차체부 11 - 지지케이스
13 - 파이프커버 15 - 제 2슬라이드부재
19,27,70 - 몸체 21,74 - 개구부
23 - 안착홈 25 - 지지블럭
29 - 플랜지 31 - 스프링눌림부
33 - 스프링장착부 37,61 - 스프링
45,65 - 가이드 50 - 지지플레이트
54 - 4각튜브 57 - 수직이동바아
76 - 제 1스토퍼 78 - 제 2스토퍼
본 발명은 승용차량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형차량과 정면충돌시 프론트휠이 순간상승되면서 차체에 가해지는 차량충격이 흡수되도록 하므로써 승객탑승부의 공간이 최대한 유지되어 충돌사고로부터 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차량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전면부에는 외부충격을 흡수하는 범퍼프레임(100)와, 이 범퍼프레임(100)을 감싸주는 범퍼커버(102), 엔진룸위로 덮여지는 후드(104), 차체 소정위치에 고정부착되는 패널(106) 및, 이 패널(106)에 설치되어 프론트휠(108)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도록 스프링커버(110)와 스프링(112)을 갖춘 쇽압소버(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차량 정면충돌사고가 발생되면 차체 관성력에 의해 스프링(112)에 좌굴하중이 가해지고 이 하중에 의해 차체 전면부 쪽으로 스프링상부에 일시적인 탄발력이 가해지며 차체에 가해지는 대부분의 충격은 범퍼프레임(100)에서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동일한 지상고를 갖는 차량들간의 충돌사고시에는 각 차량의 범퍼에서 대부분의 충격이 흡수되기 때문에 그다지 심각한 상황이 발생되지 않으나, 예컨 대 대형버스나 화물차와 같이 승용차량보다 지상고가 높은 차량과 정면충돌을 하게 되면 승용차량의 전면부가 대형차량의 하부로 밀려들어가면서 승객룸의 공간이 협착되어 대형사고로 이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는 기본적으로 승용차량이 대형차량보다 상대적으로 지상고가 낮기 때문이고, 대개 운전자가 급브레이크를 잡은 상태로 충돌을 하기 때문에 차량 관성력에 의해 차량전면부의 높이가 훨씬 더 낮아진 상태에서 충돌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차량정면충돌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대응하여 휠이 순간상승되도록 하므로써 지상고가 낮아지는 것을 최대한 보상하여 승객룸이 밀려드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된 승용차량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는, 차량 범퍼프레임(100)에 인접 설치되어 차량충돌에 따라 이동되는 범퍼를 매개로 동작되는 충격감지수단과, 이 충격감지수단과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충격이 감지되면 수직방향으로 하향이동되면서 일정간격만큼의 단차를 보상하게 되는 단차보상수단 및, 이 단차보상수단을 매개로 쇽압소버를 구성하는 스프링을 압축시켜 프론트휠을 상승시키게 되는 휠상승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전면부의 개략도로써, 종래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 범퍼프레임(100)에 인접 설치되어 차량충돌에 따라 이동되는 범퍼를 매개로 동작되는 충격감지수단과, 이 충격감지수단과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충격이 감지되면 수직방향으로 하향이동되면서 일정간격만큼의 단차를 보상하게 되는 단차보상수단 및, 이 단차보상수단을 매개로 쇽업소버를 구성하는 스프링(112)을 압축시켜 프론트휠(108)을 상승시키게 되는 휠상승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충격감지수단은, 범퍼프레임(100) 내측면에 브라켓트(1)를 매개로 축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버(3)와, 이 레버(3)를 매개로 핀결합으로 연결되는 로드(5)를 구비하고 있다.
단차보상수단은, 상기 로드(5)와 핀결합으로 연결되는 제1슬라이드부재(7), 차체부(9)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케이스(11), 이 지지케이스(11)와 동일선상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파이프커버(13), 이 파이프커버(13) 아래쪽에 설치되는 제 2슬라이드부재(15)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슬라이드부재(7)는 대략 4각형상을 하고서 몸체(19) 일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되고, 이와 대향되는 몸체(19) 상부에는 일측에 안착홈(23)이 형성된 지지블럭(25)이 고정설치되어, 상기 안착홈(23)을 매개로 제 2슬라이드부재(15) 하단부가 보유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케이스(11)에는 몸체(27)양측에 각각 절곡형성된 플랜지(29)와, 몸 체(27) 중앙부에 4각바아형태로 돌출형성된 스프링눌림부(31)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커버(13) 중앙부에는 파이프형태의 스프링장착부(33)가 구비되어, 이 스프링장착부(33)를 매개로 스프링(37)이 끼워진 상태에서 스프링눌림부(31)를 매개로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슬라이드부재(15)는 역피라미드형태를 이루고 있고,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로드(41)가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37)이 안정된 상태에서 탄발운동되도록 유도하도록 되어 있고, 하부에는 4각형태를 하고서 상기 안착홈(23)을 매개로 유격발생이 규제되는 가이드(45)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한편, 휠상승수단은, 차체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 1슬라이드부재(7)가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50)와, 일측에 브라켓트(52)를 갖추고서 지지플레이트(50)하부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는 4각튜브(54), 상기 제 2슬라이드부재(15) 일측에 고정되는 수직이동바아(57), 이 수직이동바아(57)에 연결설치되는 작동플레이트(59) 및, 상기 수직이동바아(57) 일측에 설치되는 조절판(60) 및 브라켓트(52) 끝부분을 매개로 설치되는 스프링(6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4각튜브(54)에는 일측에는 가이드(65)가 형성되어 이 가이드(65)를 매개로 수직이동바아(57)의 최대스토로크가 규제되게 되고, 상기 조절판(60)에는 복수의 관통구멍(67)이 형성되어 이 관통구멍(67)을 매개로 수직이동바아(57)의 이동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플레이트(50)에는 4각형태의 몸체(70) 모서리부에 각각 제 1슬라이드부재(7)의 수직이동이 안내되도록 블록(72)이 고정설치되고, 중앙부에는 개구부(74)가 형성되며, 몸체(70)의 양측에는 제 1스토퍼(76)와 제 2스토퍼(78)가 각각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1슬라이부재(7)의 수평방향이동과 수직이동바아(57)의 수직이동을 한정적으로 구속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충격흡수장치의 동작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차량충돌에 의해 범퍼프레임(100)이 밀려나면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버(3)가 브라켓트(1)를 매개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축선회하면서 로드(5)를 차체전면방향으로 끌어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슬라이드부재(7)가 제 1스토퍼(76)에 걸려질 때까지 이동됨과 동시에 제 2슬라이드부재(15)가 자체하중 및 스프링(37)의 탄발력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하강되어 개구부(21)에 걸려지게 된다.
또한, 이 같이 제 2슬라이드부재(15)가 수직방향으로 하강되면 이에 연결된 수직이동바아(57)가 자유상태가 되면서 스프링(61)의 압축력에 의해 작동플레이트(59)가 하향이동되어 쇽압소버를 구성하는 스프링(112)을 압축시킴에 따라 프론트휠(108)을 상승시켜 가이드(65) 높이에 상응하는 높이만큼 차체의 지상고를 상승시키게 된다.
즉, 본 충격흡수장치가 동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프링(37,61)에는 각각 척력(斥力)과 인력(引力)이 작용되기 때문에 충격으로 인해 상기 제 1슬라이드부재(7)가 이동되면 순간적으로 힘의 균형이 무너지면서 수평이동바아(57)가 제 2스토퍼(78)에 걸려질때까지 수직하강하게 되고, 작동플레이트(59)가 연동되면서 단차가 발생하도록 하여 스프링(112)을 압축시키게 되므로써 휠(108)이 상승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조절판(60)에 형성된 관통구멍(67)은 정비시의 공차를 위한 것으로 차량상태에 따라 설치위치를 조절하면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차량충돌시 차체 지상고가 상승하게 되면 브레이크조작에 의해 전면부 지상고가 낮아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보상되므로 차량충돌시 승객룸이 밀려드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정면충돌시 차체에 가해지는 충격력에 대응하여 휠이 순간상승되도록 하므로써 지상고가 낮아지는 것을 최대한 보상하여 승객룸이 밀려드는 것을 최소화하여 승객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4)

  1. 범퍼프레임(100) 내측면에 브라켓트(1)를 매개로 축선회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레버(3)와, 이 레버(3)에 핀결합으로 연결되는 로드(5)를 구비하여, 차량충돌시 상기 범퍼프레임(100)에 의해 작동되는 충격감지수단과;
    대략 4각형상을 하고서 몸체(19) 일측에 개구부(21)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9) 상부 타측에는 안착홈(23)이 형성된 지지블럭(25)이 고정설치되며, 상기 안착홈(23)을 매개로 제 2슬라이드부재(15)의 하단부가 보유지지되어 로드(5)와 핀결합되는 제1슬라이드부재(7), 몸체(27) 양측에 각각 절곡형성된 플랜지(29)와 몸체(27) 중앙부에 4각바아 형태로 돌출형성된 스프링눌림부(31)가 구비되고 차체부(9)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케이스(11), 중앙부에는 파이프형태의 스프링장착부(33)가 구비되어, 이 스프링장착부(33)를 매개로 스프링(37)이 끼워지고, 상기 지지케이스(11)와 동일선상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파이프커버(13), 역피라미드형태를 이루고 있고,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로드(41)가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37)이 안정된 상태에서 탄발운동되도록 유도하도록 되어 있고, 하부에는 4각형태를 하고서 상기 안착홈(23)을 매개로 유격발생이 규제되는 가이드(4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파이프커버(13) 아래쪽에 설치되는 제 2슬라이드부재(15)로 이루어져 상기 충격감지수단에서 충격이 감지되면 수직방향으로 하향이동되면서 일정 간격만큼의 단차를 보상하게 되는 단차보상수단 및;
    차체소정위치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제 1슬라이드부재(7)가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슬라이드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지지플레이트(50)와, 일측에 브라켓트(52)를 갖추고서 지지플레이트(50)하부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고정설치되는 4각튜브(54), 상기 제 2슬라이드부재(15) 일측에 고정되는 수직이동바아(57), 이 수직이동바아(57)에 연결설치되는 작동플레이트(59) 및, 상기 수직이동바아(57) 일측에 설치되는 조절판(60) 및, 4각튜브(54) 끝부분을 매개로 설치되는 스프링(61)으로 이루어져 상기 단차보상수단을 매개로 쇽업소버를 구성하는 스프링(112)을 압축시켜 프론트휠(108)을 상승시키게 되는 휠상승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30073021A 2003-10-20 2003-10-20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100552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021A KR100552741B1 (ko) 2003-10-20 2003-10-20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73021A KR100552741B1 (ko) 2003-10-20 2003-10-20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755A KR20050037755A (ko) 2005-04-25
KR100552741B1 true KR100552741B1 (ko) 2006-02-20

Family

ID=3724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73021A KR100552741B1 (ko) 2003-10-20 2003-10-20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2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3498B (zh) * 2012-04-25 2014-12-17 陈甚利 抱轮机构及带该抱轮机构的安全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7755A (ko) 2005-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982B1 (ko) 후부안전판 구조 시스템
CN101195350B (zh) 儿童座椅的吸能式座椅固定约束系统
JP2002225704A (ja) 車両のフレーム上方における衝突に対処するようにしたエネルギー吸収構造物が設けられた運転室を有する鉄道車両
US6247564B1 (en) Automotive suspension locking device
US7780208B2 (en) Lock assembly for a vehicle hood
KR100552741B1 (ko)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CN1056462A (zh) 汽车碰撞吸能减振保险杠
US5615916A (en) Shock absorbing apparatus for steering column
KR101959816B1 (ko) 후부안전판 구조 시스템
JP4539320B2 (ja) 車両用牽引フックの取付構造
US3433520A (en) Spring biased shock absorbing bumper
CN112677910A (zh) 一种具有防撞功能的汽车车身
US20220127806A1 (en) Safety fence for vehicle protection
US11613188B2 (en) Vehicle seat comprising a restraint system for the adjustment and suspension device
KR101389990B1 (ko) 충격흡수기능을 갖는 가이드레일
KR100794014B1 (ko) 차량용 판스프링 서스펜션
KR100423291B1 (ko) 차량의 차고 상승장치
KR20050025422A (ko) 차량의 차고 상승장치
KR100440276B1 (ko) 차량의 차고 상승장치
KR19990024566U (ko) 자동차의 사이드실 보강구조
KR102670488B1 (ko) 승하강 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범퍼 시스템
KR100379960B1 (ko) 자동차용 범퍼의 충격 완충 장치
US20240123915A1 (en) Hold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sensor system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a holding device
KR101251828B1 (ko) 차량용 범퍼
KR100423298B1 (ko) 차량의 차고 상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