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0360B1 -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0360B1
KR100650360B1 KR1020060011158A KR20060011158A KR100650360B1 KR 100650360 B1 KR100650360 B1 KR 100650360B1 KR 1020060011158 A KR1020060011158 A KR 1020060011158A KR 20060011158 A KR20060011158 A KR 20060011158A KR 100650360 B1 KR100650360 B1 KR 100650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mper
support
shock
support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1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0863A (ko
Inventor
송광헌
Original Assignee
송광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광헌 filed Critical 송광헌
Priority to KR1020060011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0360B1/ko
Publication of KR200600308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08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88Taste or flavour enhancing ag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방 범퍼의 안쪽방향으로 외부의 충격시 흡수할 수 있으면서, 시동이 바로 꺼지게 하므로써, 사고에 의한 차량의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 범퍼의 안쪽 양측으로 앞바퀴쪽으로 향하는 보조브레이크부재와; 범퍼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브레이크부재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설치되면서 충격을 받으면 범퍼에 이어서 2차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겹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최대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더욱이 충돌시, 순간적으로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차량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량, 충격, 흡수, 범퍼, 시동, 자동, 꺼짐, 안전

Description

차량의 충격흡수장치{Impact Absortion Apparatus of Vehicl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차량 충돌시 본 발명의 충격흡수장치가 밀리면서 시동이 꺼지도록 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0 : 범퍼
20 : 앞바퀴
30 : 보조브레이크
31 : 지지봉
32 : 브레이크패드
33 : 탄성부재
40 : 지지부재
41 : 지지판
42 : 지지봉
43 : 연결대
50 : 겹판스프링
60 : 구조물
70 : 와이어
80 : 배터리
82 : 케이블
90 : 스타터
본 발명은 차량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방 범퍼의 안쪽방향으로 외부의 충격시 흡수할 수 있으면서, 시동이 바로 꺼지게 하므로써, 사고에 의한 차량의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트럭등과 같은 차량의 전,후면에는 반드시 차량 주행중 돌발적이거나 부주의로 인한 추돌 및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범퍼가 설치되어 있다. 이 범퍼는 범퍼 자체의 재질적 강도 및 탄성을 가지도록 한 것으로서, 경미한 충격을 받는 경우에는 어느정도 충격완화효과가 있으나, 고속주행중 발생하는 각종 추돌 및 충돌시에는 거의 무용지물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운전자 및 탑승자의 안전을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었다.
더욱이, 차량사고시 시동은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어 엔진이 작동중에 충격에 의해 화재가 발생하기 쉬워 운전자 및 탑승자는 충격 및 화재발생에 의해 목숨을 잃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이 충격을 받으면, 2중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이와 동시에 앞바퀴에 보조 브레이크의 이동에 의한 밀착으로 제동이 이루어지게하면서, 시동이 바로 꺼질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범퍼의 안쪽 양측으로 앞바퀴쪽으로 향하는 보조브레이크부재와; 범퍼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브레이크부재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설치되면서 충격을 받으면 범퍼에 이어서 2차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겹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브레이크부재는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지지봉과, 이 지지봉의 단부에 구비되어 앞바퀴에 직접 접촉하여 제동력을 발휘하는 브레이크패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범퍼의 안쪽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범퍼의 끝단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지지봉이 관통결합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으로의 양측으로부터 앞바퀴쪽으로 연장,구비되는 지지봉과, 이 지지봉의 단부끼리 연결시키는 연결대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연결대는 차량의 저면에 구비된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봉은 상기 범퍼의 안쪽면으로부터 지지판까지의 사이에 각각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탄지되도록 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지봉에는, 차량의 시동장치의 배터리와 스타터간에 연결된 케이블과 연결되어 차량 충돌에 의한 지지봉의 이동시, 케이블이 배터리로부터 분리되어 시동이 자동적으로 꺼지도록 하는 와이어가 연결,고정되어 있다.
상기 겹판스프링은 복수의 판스프링을 겹쳐서 지지판의 안쪽면에 보울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시키고, 범퍼쪽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원호형으로 휘어진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흡수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범퍼(10)의 안쪽 양측으로 앞바퀴(20)쪽으로 향하는 보조브레이크부재(30)와; 상기 범퍼(10)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브레이크부재(30)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재(40)와; 이 지지부재(40)에 설치되면서 외부의 충격을 받으면, 범퍼(10)에 이어서 2차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겹판스프링(50)으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보조브레이크부재(30)는 지지부재(4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지지봉(31)과, 이 지지봉(31)의 단부에 구비되어 앞바퀴(20)에 직접 접촉하여 제동력을 발휘 하는 브레이크패드(3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40)는, 범퍼(10)의 안쪽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범퍼(10)의 끝단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지지봉(31)이 관통결합되는 지지판(41)과, 이 지지판(41)의 양측으로부터 앞바퀴(20)쪽으로 연장,구비되는 지지봉(42)과, 이 지지봉(42)의 단부끼리 연결시키는 연결대(4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연결대(43)는 차량의 저면에 구비된 구조물(60)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봉(31)은 상기 범퍼(10)의 안쪽면으로부터 지지판(41)까지의 사이에 각각 탄성부재(33)를 구비하여 탄지되도록 된 구조이다.
또한, 상기 지지봉(3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장치의 배터리(80)와 스타터(90)간에 연결된 케이블(82)과 연결되어 차량 충돌에 의한 지지봉(31)의 이동시, 케이블(82)이 배터리(80)로부터 분리되어 시동이 자동적으로 꺼지도록 하는 와이어(70)가 연결,고정되어 있다.
상기 겹판스프링(50)은 복수의 판스프링을 겹쳐서 지지판(41)의 안쪽면에 보울트(51)와 같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시키고, 범퍼(10)쪽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원호형으로 휘어진 구조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차량운전중 예기치 않은 충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우선 차량의 최전방에 위치하고 있는 범퍼(10)가 먼저 충격을 받게되어 차량의 안쪽 방향으로 변형되어 찌그러지면서 1차로 충격을 흡수하고, 이어서 범퍼(10)의 안쪽에 구비된 겹판스프링(50)에 의해 2차로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겹판스프링(50)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범퍼(10)쪽으로 소정의 곡 률을 가지면서 휘어져 있어 충격을 받으면 휘어진 겹판스프링(50)이 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는 것이다.
이렇게 1,2차로 충격을 흡수한 상태에서, 계속해서 충격력이 전달되는 경우에는 겹판스프링(50)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재(40)의 지지판(41) 자체도 범퍼(10) 와 함께 충격을 받으면서 운전자쪽으로 이동하게된다. 그러면, 지지판(41)을 관통하여 결합된 한쌍의 지지봉(31)도 함께 이동하게되고, 그에따라 지지봉(31)의 단부에 구비된 브레이크패드(32)가 양쪽 앞바퀴(20)에 접하면서 보조 브레이크 기능을 한다.
다시말해서, 브레이크장치는 차량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으므로, 운전자가 사고발생시, 순간적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밟게되면서 기본적인 브레이크가 되는 것이지만, 상기와 같이 보조브레이크부재(30)에 의해 추가적으로 브레이크 기능을 발휘하여 충격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의 충돌시에는 대부분,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차량 충돌시,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충돌이 일어나므로, 시동이 완전히 꺼지지 않은 상태에서, 과도한 충격력에 의해 작동중인 엔진 및 기타 통전중인 전기배선계통등이 파손되면서 쉽게 화재가 발생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의 생명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는데, 본 발명은 충돌시, 차량이 찌그러지면서 이동하는 보조브레이크부재(30)의 지지봉(31)에 와이어(70)가 연결되면서 배터리와 접속된 케이블과 연결되어 있어, 지지봉(31)의 이동에따라 와이어(70)가 잡아당겨지면서 자동적으로 케이블(82)이 배터리(80)로부터 분리되어 전원공급을 순간적으로 차단하므로, 시동이 자동적으로 꺼지게되고, 그에따라 모든 기관이 정지하므로, 화재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최대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더욱이 충돌시, 순간적으로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화재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차량 운전자 또는 탑승자의 안전을 최대한 확보하여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편의상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다.

Claims (7)

  1. 차량 범퍼의 안쪽 양측에 구비되면서 앞바퀴쪽으로 향하는 보조브레이크부재와;
    상기 범퍼의 내부에서 상기 보조브레이크부재를 지지하도록 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에 설치되면서 충격을 받으면 범퍼에 이어서 2차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겹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 보조브레이크부재는 지지부재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지지봉과, 이 지지봉의 단부에 구비되어 앞바퀴에 직접 접촉하여 제동력을 발휘하는 브레이크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는, 범퍼의 안쪽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범퍼의 끝단부에 고정되면서 상기 지지봉이 관통결합되는 지지판과, 이 지지판으로의 양측으로부터 앞바퀴쪽으로 연장,구비되는 지지봉과, 이 지지봉의 단부끼리 연결시키는 연결대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지지봉은 상기 범퍼의 안쪽면으로부터 지지판까지의 사이에 각각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탄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는 차량의 저면에 구비된 구조물에 고정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에는, 차량의 시동장치의 배터리와 스타터간에 연결된 케이블과 연결되어 차량 충돌에 의한 지지봉의 이동시, 케이블이 배터리로부터 분리되어 시동이 자동적으로 꺼지도록 하는 와이어가 연결,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겹판스프링은 복수의 판스프링을 겹쳐서 지지판의 안쪽면에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시키고, 범퍼쪽으로 곡률을 가지도록 원호형으로 휘어져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1020060011158A 2006-02-06 2006-02-06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100650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158A KR100650360B1 (ko) 2006-02-06 2006-02-06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1158A KR100650360B1 (ko) 2006-02-06 2006-02-06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863A KR20060030863A (ko) 2006-04-11
KR100650360B1 true KR100650360B1 (ko) 2006-11-30

Family

ID=37140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1158A KR100650360B1 (ko) 2006-02-06 2006-02-06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03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274B1 (ko) * 2016-12-02 2018-06-20 정대성 충격 완화 장치
KR101875916B1 (ko) * 2017-01-23 2018-07-06 정대성 충격 완화 장치
WO2023003243A1 (ko) * 2021-07-19 2023-01-26 김기원 피충격체의 외부충격 완충과 흡수 및 충격속도 저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10826B (zh) * 2010-06-30 2013-12-04 叶彤 汽车碰撞保险杠
CN102673498B (zh) * 2012-04-25 2014-12-17 陈甚利 抱轮机构及带该抱轮机构的安全车
CN105773020A (zh) * 2016-05-31 2016-07-20 孙卫香 一种多功能焊接小车
CN108545043A (zh) * 2018-06-25 2018-09-18 安徽知之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汽车用保险杠
CN109094492A (zh) * 2018-08-08 2018-12-28 安徽天裕汽车零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汽车后防撞梁
CN109383429A (zh) * 2018-12-07 2019-02-26 蔡晓平 一种汽车保险杠
KR102360395B1 (ko) * 2020-06-16 2022-02-08 현대제철 주식회사 화물운반 차량의 안전장치
CN112172765B (zh) * 2020-10-14 2021-10-22 商丘工学院 一种汽车液压制动系统的助力器装置
CN115295940A (zh) * 2022-07-22 2022-11-04 东风时代(武汉)电池系统有限公司 一种新型电池碰撞吸能结构及电池箱
KR102626774B1 (ko) * 2023-09-07 2024-01-19 (주)탑이엔텍 다목적 계측용 리프팅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274B1 (ko) * 2016-12-02 2018-06-20 정대성 충격 완화 장치
KR101875916B1 (ko) * 2017-01-23 2018-07-06 정대성 충격 완화 장치
WO2023003243A1 (ko) * 2021-07-19 2023-01-26 김기원 피충격체의 외부충격 완충과 흡수 및 충격속도 저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0863A (ko) 2006-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360B1 (ko) 차량의 충격흡수장치
KR20140055232A (ko) 철도차량용 배장기
US3879073A (en) Collision force absorbing arrangement in vehicles
CN102826012A (zh) 六角弹簧管汽车碰撞保护装置
JP4599017B2 (ja) 重なり合いを防止する衝撃吸収構造を有する自動車
KR101055071B1 (ko) 저속 충돌시 수리비 절감을 위한 범퍼 레일
JP2004161109A (ja) 車両のエネルギー吸収構造体
KR20090059520A (ko) 철도차량 전두부의 충격흡수 구조
EP1827912A1 (en) Arrangement for underrun protection in vehicles
KR960005994B1 (ko) 자동차의 안전장치
KR100440855B1 (ko) 자동차의 범퍼
KR100535552B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구조
KR100717448B1 (ko) 충격흡수 기능이 있는 범퍼 스테이
KR100211576B1 (ko) 이중구조의 도어 임펙트 빔
KR100186241B1 (ko) 자동차의 버퍼 임펙트 충격완충구조
KR910009168Y1 (ko) 자동차의 전방 차체 구조
KR0118987Y1 (ko) 자동차 범퍼의 충격흡수장치
KR0125720Y1 (ko) 자동차용 범퍼의 취부구조
KR200161593Y1 (ko) 충격 흡수용 겹판 스프링이 내장된 자동차 범퍼
KR200153098Y1 (ko) 충격 흡수구조의 도어 임펙트 빔
KR900007255Y1 (ko) 차량 이중 밤바장치
KR100482965B1 (ko) 차량용 범퍼
KR200166593Y1 (ko) 안전 범퍼
KR19980068372U (ko) 자동차의 범퍼 취부구조
KR20050097311A (ko) 화물자동차용 리어가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