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312B1 -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312B1
KR101601312B1 KR1020100106723A KR20100106723A KR101601312B1 KR 101601312 B1 KR101601312 B1 KR 101601312B1 KR 1020100106723 A KR1020100106723 A KR 1020100106723A KR 20100106723 A KR20100106723 A KR 20100106723A KR 101601312 B1 KR101601312 B1 KR 101601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
pressure pump
driving
pressure
electronic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5279A (ko
Inventor
김덕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3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4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5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2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vapour l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4Feeding by means of driven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1/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electrically
    • F02M51/04Pumps peculiar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연료 압력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여 증기 발생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시동성을 향상 시키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되면, 전자 제어기가 냉각수, 오일 온도 및 차량 주변 온도를 통해 저압 펌프 구동 횟수를 결정하는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와, 배터리가 방전을 고려하여 전자제어기를 오프상태로 제1일정시간 유지한 후에, 1차 구동된 전자 제어기를 통해 저압 펌프를 1차 구동시키는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DRIVING CONTROL METHOD OF LOW PRESSURE PUMP AFTER KEY OFF}
본 발명은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연료 압력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여 증기 발생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시동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솔린 직접분사(GDI; Gasoline Direct Injection)엔진은 시동시 연료 압력이 목표 압력에 도달되지 않으면 연료 분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엔진 시동 후에 연료 압력이 빨리 상승해야 차량의 시동성이 좋아진다.
그러나 GDI 엔진은 시동이 오프된 후, 소킹시에 연료 온도에 비해서 연료 압력이 상대적으로 빨리 떨어지기 때문에, 연료 증기압 특성으로 인해서 연료 라인에 연료 증기(Vapor)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다음 시동시에 연료 압력 상승이 지연되어, 시동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연료 압력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여 증기 발생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시동성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되면, 전자 제어기가 냉각수, 오일 온도 및 차량 주변 온도를 통해 저압 펌프 구동 횟수를 결정하는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와, 배터리가 방전을 고려하여 상기 전자제어기를 오프상태로 제1일정시간 유지한 후에, 1차 구동된 상기 전자 제어기를 통해 저압 펌프를 1차 구동시키는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에서는 상기 냉각수 온도와 상기 오일온도가 제1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주변 온도가 제2기준값 이상이면 저압 펌프 구동 횟수를 2회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저압 펌프 구동 횟수가 2회이면, 상기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 이후에 상기 전자제어기를 오프상태로 제2일정시간 유지한 후에 2차 구동된 상기 전자 제어기를 통해 저압 펌프를 2차 구동시키는 제2저압 펌프 구동 단계를 더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2전압 펌프 구동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전자 제어기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는 전자제어기 오프 단계를 더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에서는 상기 냉각수 온도와 상기 오일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제1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차량의 주변 온도가 제2기준값 미만이면 저압 펌프 구동 횟수를 1회로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은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를 구동시킴으로써, 연료 압력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여 증기 발생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시동성을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은 시동 오프 확인 단계(S1),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S2),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S3), 저압 펌프 구동 횟수 확인 단계(S4), 제2저압 펌프 구동 단계(S5) 및 전자 제어기 오프 단계(S6)를 포함한다.
이러한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은 가솔린 직접분사(GDI; Gasoline Direct Injection)엔진의 시동이 오프된 후에 엔진 소킹(Soaking)시 연료 분사 라인 내에 연료 증기(Vapor)가 발생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서, 우선 엔진의 오프 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시동 오프 확인 단계(S1)를 실행한다.
그리고 시동 오프 확인 단계(S1)에서 엔진의 시동이 오프된 것으로 판단되면, 전자 제어기(ECU)는 엔진 소킹시 연료 온도에 비해서 연료 압력이 상대적으로 빨리 떨어져서 발생되는 연료 증기를 방지하기 위해서 냉각수, 오일 온도 및 차량 주변 온도를 통해 저압 펌프를 몇 회 구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하는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S2)를 실행 한다.
이러한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S2)에서는 냉각수 온도와 오일온도가 제1기준값 이상이고 차량의 주변 온도가 제2기준값 이상이면 저압 펌프 구동 횟수를 2회로 결정한다.
즉,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S2)에서는 엔진 시동 오프 후에 냉각수 온도와 오일 온도가 제1기준값 이상이고, 주변 온도가 제2기준값 이상이면, 연료 압력이 떨어 질 때 높은 냉각수, 오일 온도 및 주변 온도로 인해서 연료 온도가 떨어지지 않아서, 연료 분사 라인 내에 증기가 발생률이 더 높아 질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저압 펌프 구동 횟수를 2회로 결정한다.
그리고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S2)에서는 엔진 시동 오프 후에, 냉각수 온도와 오일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제1기준값 미만이거나, 차량의 주변 온도가 제2기준값 미만이면 저압 펌프 구동 횟수를 1회로 결정한다.
즉,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S2)에서는 엔진 시동 오프 후에, 냉각수 온도와 오일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제1기준값 미만이거나, 차량의 주변 온도가 제2기준값 미만이면, 연료 압력이 떨어 질 때 낮은 냉각수, 오일 온도 또는 주변 온도로 인해서 연료 온도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연료 분사 라인 내에 증기가 발생률이 낮으므로 저압 펌프 구동 횟수를 1회로 결정한다.
그리고 여기서 저압 펌프 구동 횟수를 결정하기 위한 제1기준값과 제2기준값은 엔진 구동시 오일온도, 냉각수 온도, 및 구동 압력 등을 통해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S2)에서 저압 펌프 구동 횟수가 결정되면, 엔진 소킹시 연료 온도에 비해 연료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연료 증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압 펌프를 구동시키는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S3)를 실행한다.
이러한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S3)는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S2)에서 저압 펌프 구동 횟수가 결정된 후에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압 펌프를 구동시키기 전까지인 제1일정시간 동안 전자 제어기(ECU)를 오프 시킨(S31)다. 여기서 제1일정 시간은 엔진 시동 오프 후에 연료 압력이 저하되는 특성에 따라 30 내지 60분 중에 하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S3)에서 제1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제어기를 구동 시키(S32)고, 전자 제어기를 통해 구동 시간 동안 저압 펌프를 1차 구동시킨(S33)다. 여기서 저압 펌프의 1차 구동 시간은 엔진 시동 오프 후에 연료 압력이 저하되는 특성에 따라 0.5 내지 1초중에 하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S3)를 실행한 후에는 저압 펌프 구동 횟수가 2회인지 여부를 확인(S4)하여, 저압 펌프 구동 횟수가 1회일 경우에는 배터리 전원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자 제어기의 전원을 오프 시킨(S6)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를 종료한다.
그리고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S3)를 실행한 후에, 저압 펌프 구동 횟수가 2회인지 여부를 확인(S4)하여, 저압 펌프 구동 횟수가 2회일 경우에는 엔진 소킹시 연료 온도에 비해 연료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연료 증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압 펌프를 2차 구동시키는 제2저압 펌프 구동 단계(S5)를 실행한다.
이러한 제2저압 펌프 구동 단계(S5)는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S3)에서 저압 펌프를 구동 시킨 후에 배터리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압 펌프를 구동시키기 전까지인 제2일정시간 동안 전자 제어기(ECU)를 오프 시킨(S51)다. 여기서 제2일정 시간은 엔진 시동 오프 후에 연료 압력이 저하되는 특성에 따라 1 내지 40분 중에 하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저압 펌프 구동 단계(S5)에서 제2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전자 제어기를 구동 시키(S52)고, 전자 제어기를 통해 구동 시간 동안 저압 펌프를 2차 구동시킨(S53)다. 여기서 저압 펌프의 2차 구동 시간은 엔진 시동 오프 후에 연료 압력이 저하되는 특성에 따라 0.5 내지 1초중에 하나의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저압 펌프 구동 단계(S5)를 실행한 후에는 배터리 전원이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전자 제어기의 전원을 오프 시킴으로써(S6) 저압 펌프 구동 제어를 종료한다.
이러한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은 시동 오프 후에 엔진 소킹시 연료 온도에 비해서 연료 압력이 급격히 저하되어 증기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저압 펌프를 시동 오프 후에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구동시킴으로써, 연료 압력을 일정 압력으로 유지하여 증기 발생을 억제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시동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은 저압 펌프를 구동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전자 제어기의 전원을 오프 시킴으로써, 배터리 전력이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은 소킹 방지를 위해 저압 펌프를 자주 구동할 경우 차량에 발생되는 펌프 구동 소리로 인해 운전자 및 차량 주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엔진 연료 압력 상태에 따라 1회 또는 2회 구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S1; 시동 오프 확인 단계 S2;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
S3;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 S4; 저압 펌프 구동 횟수 확인 단계
S5; 제2저압 펌프 구동 단계 S6; 전자 제어기 오프 단계

Claims (5)

  1. 차량의 시동이 오프 되면,
    전자 제어기가 냉각수, 오일 온도 및 차량 주변 온도를 통해 저압 펌프 구동 횟수를 결정하는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
    배터리가 방전을 고려하여 상기 전자제어기를 오프상태로 제1일정시간 유지한 후에, 1차 구동된 상기 전자 제어기를 통해 저압 펌프를 1차 구동시키는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에서는, 상기 냉각수 온도와 상기 오일온도가 제1기준값 이상이고 상기 차량의 주변 온도가 제2기준값 이상이면 저압 펌프 구동 횟수를 2회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에서 결정된 저압 펌프 구동 횟수가 2회이면,
    상기 제1저압 펌프 구동 단계 이후에 상기 전자제어기를 오프상태로 제2일정시간 유지한 후에 2차 구동된 상기 전자 제어기를 통해 저압 펌프를 2차 구동시키는 제2저압 펌프 구동 단계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저압 펌프 구동 단계 이후에는
    상기 전자 제어기를 오프 상태로 유지시키는 전자제어기 오프 단계를 더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압 펌프 구동 횟수 결정 단계에서는 상기 냉각수 온도와 상기 오일온도 중 적어도 하나의 값이 제1기준값 미만이거나, 상기 차량의 주변 온도가 제2기준값 미만이면 저압 펌프 구동 횟수를 1회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
KR1020100106723A 2010-10-29 2010-10-29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 KR101601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723A KR101601312B1 (ko) 2010-10-29 2010-10-29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723A KR101601312B1 (ko) 2010-10-29 2010-10-29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279A KR20120045279A (ko) 2012-05-09
KR101601312B1 true KR101601312B1 (ko) 2016-03-21

Family

ID=46264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723A KR101601312B1 (ko) 2010-10-29 2010-10-29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3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366B1 (ko) * 2012-10-05 2014-07-08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가솔린 직분사 엔진의 연료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1905553B1 (ko) * 2012-10-31 2018-11-21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가솔린 직분사 엔진의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886529B1 (ko) * 2016-12-12 2018-09-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하드웨어 웨이크 업 주기제어방식 엔진 시동성 개선 방법 및 차량
KR101975828B1 (ko) * 2017-11-28 2019-05-08 (주)모토닉 직접분사식 엘피아이 시스템 및 그의 연료공급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2920A (ja) * 1999-11-30 2001-06-05 Unisia Jecs Corp エンジンの燃料圧力制御装置
JP2002061529A (ja) 2000-08-18 2002-02-28 Hitachi Ltd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2920A (ja) * 1999-11-30 2001-06-05 Unisia Jecs Corp エンジンの燃料圧力制御装置
JP2002061529A (ja) 2000-08-18 2002-02-28 Hitachi Ltd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5279A (ko) 201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4964B2 (ja) グロープラグ通電制御装置
KR101601312B1 (ko) 시동 오프 후에 저압 펌프 구동 제어 방법
JP4926032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9890757B2 (en) Electronic control of a spark plug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886529B1 (ko) 하드웨어 웨이크 업 주기제어방식 엔진 시동성 개선 방법 및 차량
KR20130061248A (ko) Gdi엔진의 저압연료펌프 제어방법
JP2016089697A (ja) 液化ガス燃料供給装置
JP2005002986A (ja) エンジン始動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JP2005248942A (ja) Lpi車両の燃料ポンプノイズ低減装置及び方法
KR101975828B1 (ko) 직접분사식 엘피아이 시스템 및 그의 연료공급 제어방법
JP2010116835A (ja) 筒内噴射式内燃機関の高圧ポンプ制御装置
JP5462846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792192B2 (ja) グロープラグ駆動制御方法及びグロープラグ駆動制御装置
JP2004162709A (ja) Lpiエンジンの始動警告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TW200743239A (en) Shut-down procedure for fuel cell
JP6252667B2 (ja) 車両の駆動装置
JP5370567B2 (ja) 車両の制御装置
JP2010180866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WO2017181803A1 (zh) 引擎快速重启方法及装置
JP2007064203A (ja) Lpi車両の始動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076568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JP2007023987A (ja) 燃料噴射制御装置
JP2007046510A (ja) ピストン冷却装置
JP2005098260A (ja) 燃料供給装置
JP2006348818A (ja) 燃料供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