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027B1 -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027B1
KR101601027B1 KR1020140178376A KR20140178376A KR101601027B1 KR 101601027 B1 KR101601027 B1 KR 101601027B1 KR 1020140178376 A KR1020140178376 A KR 1020140178376A KR 20140178376 A KR20140178376 A KR 20140178376A KR 101601027 B1 KR101601027 B1 KR 101601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composition
oral bacteria
polysaccharide
tea polysacchar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5494A (ko
Inventor
이동성
권순상
곽일영
김승훈
박필준
백주현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40178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0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5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5Polysaccharides, i.e. hav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linkages; Derivatives thereof, e.g. ethers, 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68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45Proteins of vegetable orig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7Extraction at elevated pressure or temperature, e.g. pressurized solvent extraction [PS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or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또는 치주질환균인 플레보텔라 인터메디아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한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은 천연물에서 추출한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항균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식품, 의약 및 화장품 산업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Composition with antibacterial effect on oral bacteria containing Green Tea Polysaccharides}
본 발명은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또는 치주질환균인 플레보텔라 인터메디아에 대한 항균 활성이 우수한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은 천연물에서 추출한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여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항균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식품, 의약 및 화장품 산업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치아는 인산칼슘(Calcium phosphate)으로 이루어진 무기질로서 그 질환은 크게 충치와 치주질환이다. 이중 충치는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치과질병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대한치과의사협회의 보고에 따르면, 아동의 90% 이상이 치아 우식(Dental caries)을 경험하며, 성인의 80% 이상이 잇몸질환을 갖고 있다고 한다. 이런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은 구강내의 미생물에 의한 감염으로 세균, 음식물, 타액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발된다. 즉, 구강내 세균의 발육에 필요한 영양분과 수분이 음식물과 타액, 치온구액 등에 의하여 계속 공급되고 구강내의 환경이 미생물이 발육하기에 적합한 온도(37℃), pH(중성부근)를 갖는다.
치주질환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미생물로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Streptococcus mutans)와 플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가 있다. 이런 미생물들은 음식물 내에 존재하는 자당(Sucrose)을 포도당(Glucose)과 과당(Fructose)으로 생성하는 미생물 대사과장을 일으켜 포도당의 중합체인 불용성 글루칸(Glucan)을 치면에 형성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글루칸에 의해 구강내 다른 미생물들과 치면에 부착하여 치면세균막, 즉 프라그(Dental plaque)가 형성된다. 형성된 플라그의 내부에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를 포함한 젖산균에 의해 축적된 젖산이 치아표면의 에나멜이 용해되어 충치가 발생된다. 또한 그러한 각종균의 증식에 따른 산물들에 의해 치욕이 용해되므로 치주질환이 발생되게 된다.
상기 충치 및 치주질환을 억제하기 위해서 항균물질인 소듐 바이카보네이트(NaHCO3), 트리클로산(Triclosan, C12H7Cl3O2), 폴리포스페이트(polyphosphate) 및 불화소다(NaF), 반코마이신(Vancomyci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및 스피라마이신(Spiramycin) 등의 항생물질, 또는 유기/무기 불소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충치 예방에는 효과가 있으나, 구토, 설사, 항생물질 내성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특히 종래 충치, 치주염과 같은 세균 감염질환에 대해서는 항생제의 사용이 일반적이었으나 항생제는 인체의 유익한 세균까지 모두 해칠 뿐만 아니라, 과용할 경우 내성균의 출현, 환자의 면역능력 저하, 이에 따른 감염질환의 만성화, 균교대증 등과 같은 부작용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부작용이 없으며 유해 구강미생물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항균활성이 높은 천연물질 개발이 필요하며, 최근 치·의학계에서는 천연식물 등을 이용한 민간전통의학의 효용성을 찾고 극대화하기 위한 수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유해 구강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으면서 부작용이 없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을 찾고자 연구한 결과,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이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및 플레보텔라 인터메디아를 비롯한 유해 구강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천연물을 사용하여 부작용이 없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유해 구강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이 높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는 천연물에서 추출되어 부작용을 최소화했을 뿐만 아니라, 유해 구강 미생물에 대한 우수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뛰어난 구강 세균억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은 식품, 의약 및 화장품 산업상에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녹차 다당체의 세포 독성 실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녹차 다당체(Green Tea Polysaccharides)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Green Tea Polysaccharides)는 녹차(camellia sinensis)에서 유래되는 식물분류학상 산차목(theales), 산차속(camellia)에 속하는 목본성 상록수로 면역기능, 항방사성, 항혈액응고, 항암, 항HIV 및 혈당강하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높은 항균력으로 인하여 항균 작용 및 항 충치 기능이 뛰어나고 입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가 탁월하다.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는 a) 용매를 이용하여 녹차 분말에서 엽록소 및 저분자량의 폴리페놀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녹차 잔사로부터 수용성 활성성분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열수 추출물로부터 한외여과 및 에탄올 침전 반응으로 녹차 다당체를 분리하는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하기에서 녹차 다당체의 제조방법을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용매를 이용하여 녹차 분말에서 엽록소 및 저분자량의 폴리페놀을 제거하는 단계;
녹차 분말에서 엽록소 및 폴리페놀을 제거하기 위해서 헥산, 에탄올 또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을 진행한다. 본 발명이 식품용 소재를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미량 잔존량으로 인한 독성 등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녹차 분말에 상기 용매를 넣고 상온에서 충분히 교반하고 원심 분리하여 엽록소 및 폴리페놀이 용해되어 있는 용매를 제거하고 건조한다.
b) 상기 a)단계의 녹차 잔사로부터 수용성 활성성분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엽록소 및 폴리페놀이 제거된 녹차 잔사로부터 수용성 활성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열수 추출시킨다. 열수 추출은 열변성을 예방하기 위해서 30~40℃의 온도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여과한 후 감압 농축한다.
c) 상기 b)단계의 열수 추출물로부터 한외여과 및 에탄올 침전 반응으로 녹차 다당체를 분리하는 단계;
열수 추출물에서 다당체를 분리하기 위해 한외여과 및 에탄올 침전 반응을 진행한다. 다당체는 다당류(polysaccharide) 부분이 약 60~65% 존재하며, 단백질(protein) 부분이 약 8~9% 존재한다. 이 두 부분이 아미노산-당(amino acid-sugar) 결합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나머지 구성 성분들은 유리 단백질로서 존재한다. 따라서, 다당체는 유리 단백질보다 분자량이 훨씬 큰 약 10만~30만 달톤(dalton) 크기를 갖고 있다. 이러한 분자량의 차이를 이용하여 한외여과를 수행함으로써 녹차 다당체만을 분리할 수 있다. 한외여과는 연속식 공정으로서 저분자량의 분리와 농축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정이 상온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열변성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한외 여과 농축액에 에탄올을 서서히 가해 에탄올 침전 반응을 진행한다. 이때, 에탄올의 첨가속도는100~200ml/min이 바람직하고, 200ml/min를 초과하면 최종 생성 입자의 크기가 너무 커지거나 뭉칠 수 있다. 에탄올 침전 반응이 완료되면 에탄올을 제거하고, 얻어진 녹차 다당체를 40~50℃에서 진공 건조하면 파우더 형태의 녹차 다당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이면 구강 세균 억제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고, 10중량%를 초과하면 입안의 이물감이 증가하여 섭취상의 좋지 않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의 구강 세균은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또는 치주질환균인 플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이다.
본 발명의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은 무기 또는 유기 담체를 첨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 형태의 경구투여제 또는 비경구 투여제로 제재화될 수 있다. 또한, 온도 감응형 졸-겔 상전이 구강 제형으로 제재화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액제, 스프레이제 또는 치약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온도 감응형 졸-겔 상전이 제형은 낮은 온도에서는 고분자가 물에 용해되어 졸 상태이고 특정 임계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고분자의 용해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겔 상태로 고형화되며 다시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고분자가 물에 용해되는 가역적인 성질을 갖는 제형이다. 따라서, 온도 감응형 졸-겔 상전이 구강 제형은 구강에 적용하기 전(상온)에는 액상의 졸 상태이고 구강에 도포된 후 체온으로 인하여 겔 상태로 전이되어, 치아, 혀, 잇몸 표면에 대한 부착력이 높아짐으로써 유효 성분이 구강 내에서 오랜 시간 동안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찬물로 헹구면 다시 액상의 졸 상태로 전이되어 쉽게 구강 내에서 씻어낼 수 있다.
상기 온도 감응성 고분자로서는 임계온도가 33.2℃인 폴리(N-이소프로필 아크릴아미드)계가 가장 널리 연구되고 있고, 그 외에도 폴리(에틸렌 글리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시드 공중합체, 폴리에틸렌옥시드-폴리프로필렌옥시드-폴리에틸렌옥시드(PEO-PPO-PEO) 삼블록 공중합체, 히드록시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아미드-비닐)계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폴리포스파젠계 고분자가 보고되었다. 온도감응성 및 생체적합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온도감응성 고분자로 알려진 중합체를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다당류에 그라프트(graft)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당류는 키토산 또는 셀룰로오스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키토산일 수 있다. 셀룰로오스 또는 키토산과 같은 다당류는 생체 내에서 분해되는 천연 고분자 물질이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49177호).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를 함유하는 온도감응형 졸-겔 상전이 구강 제형은 솔, 면봉 또는 팁과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치아 표면에 직접 도포하거나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구강 내에 분사하여 사용될 수 있다. 구강 제형은 치약, 구강용 세정제 및 구강 청정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경구 투여제로는 차(茶) 분말 제형, 액제, 정제(錠劑), 환제(丸劑), 과립제(顆粒劑), 드링크제, 연질 캡슐제, 경질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乳濁濟), 시럽제 및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제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제, 현탁제, 유제 및 좌제(坐劑)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유효 성분을 제재화하기 위해 당업계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및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으며, 일반적으로 투여량은 0.001mg/kg/일 내지 2000mg/kg/일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5mg/kg/일 내지 2.5mg/kg/일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폼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보조제는 화장품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녹차 다당체의 제조
건조 녹차엽을 분쇄하고 체질 및 분급 처리하여 제조된 녹차 분말(d50=100~1000㎛) 10kg을 95%(v/v) 에탄올 150ℓ에 분산하고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제조된 혼합액을 원심분리하여 엽록소 및 저분자량의 폴리페놀이 제거된 녹차 잔사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잔사는 상기 용매 추출 공정을 1회 반복한 후에 건조하였다.
상기 용매 추출 공정으로 엽록소 및 저분자량 폴리페놀을 제거한 녹차 분말에 물 125ℓ를 첨가하고 35℃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여 열수 추출을 진행하였다. 얻어진 녹차 다당체 추출액은 필터프레스기기를 이용하여 여과 및 회수한 후, 초기 부피의 1/10이 되도록 62℃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이어서, 상기 녹차 다당체 농축액을 한외여과(분자량 CUT OFF: 30,000달톤)하여 저 분자량의 유리 단백질을 제거하고, 최종 한외 여과 농축액의 5배 부피의 에탄올을 100ml/min의 속도로 서서히 가해 에탄올 침전반응을 진행하였다. 침전된 녹차 다당체를 45℃에서 진공 건조하여 파우더 형태의 녹차 다당체 250g을 얻었다.
[시험예 1] 세포 독성 실험
인간 각질형성세포주인 HaCaT 세포를 96웰 플레이트(well plate)의 각 웰에 1*104 개씩 심어서(seeding)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에 인산염 완충 식염수(Phosphate Buffered Saline;PBS) 100㎕을 넣어 1회 세척하고 1, 10, 50 및 100ppm의 녹차 다당체가 함유된 배지로 갈아주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웰 당 WST-1 용액(Roche Diagnostic GmbH. Germany)을 배지에 1/10의 농도로 희석하여 처리한 후, 37℃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고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CTL)은 시료를 용해시키기 위한 용매로서 디메틸 술폭시드(dimethyl sulfoxide)를 사용하였다. 각 데이터 값은 대조군으로 보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녹차 다당체는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의 세포 생존률을 보이므로 사용된 농도 범위에서 세포 독성이 없었다.
[시험예 2] 항균력 시험
실시예 1의 시료를 이용하여 브로스 희석(broth dilution)법에 준하여 미생물 시험을 수행하였고, 구강억제미생물 대표균으로는 충치균인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 NCTC 10449 (배지: BHI broth)), 치주질환균인 플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 , KCTC6392 (배지: BHI+캐프(Calf) 세럼 10% broth))를 사용하였다.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균액은 BHI 배지에 접종하여 37℃에서 1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BHI 브로스로 1/100 희석한 희석액, 플레보텔라 인터메디아 균액은 BHI+캐프 세럼 10% 배지에 접종하여 35℃에서 혐기 배양한 후 배양액을 BHI+세럼 10% 브로스로 1/100 희석한 희석액을 준비하여 시험균액으로 사용하였다. 각각의 브로스 15ml에 상기 각각의 균액을 0.15ml 첨가하여 잘 혼합한 것을 희석용액으로 사용하였고, 시료는 실시예 1 및 일반 녹차를 각각 배지(BHI 브로스, BHI+캐프 세럼 10% 브로스) 1.8ml에 0.2g씩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사용된 일반 녹차는 ㈜아모레퍼시픽에서 제조한 녹차로 녹차엽을 증열-조유-유념-중유-정유-건조한 녹차이다.
우선 96 웰 플레이트 1번 행에 각 시료를 180㎕씩 넣고 상기 시험균액을 1/10로 희석한 희석액을 20㎕씩 넣었다. 그리고 웰 플레이트의 나머지 웰에는 상기 희석용액을 100㎕씩 넣었다. 1번 행의 혼합액을 잘 섞어준 다음 100㎕를 취하여 2번 행에 넣고 잘 섞어준 다음, 2번 행의 혼합액 100㎕를 취하여 다시 3번 행에 넣는 방식으로 이중희석(double dilution)을 행하였다.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의 경우에는 37℃에서 24시간 정치 배양한 후 현탁된 정도로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여 균의 증식이 없는 최소 농도를 최소 저해 농도(MIC; Minimum Inhibitor Concentration)로 결정하였다. 혼합액이 불투명하여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플레보텔라 인터메디아의 경우 모든 조작을 혐기성 챔버에서 행하고 배양도 혐기성 상태로 35℃에서 2일간 배양한 후 MIC값을 결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시료명 최소 저해 농도(MIC)
S. mutans P. intermedia
일반 녹차 2.50% 1.25%
실시예 1 0.01% 0.1%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녹차 다당체(실시예 1)는 일반녹차와 비교해 우수한 유해 구강미생물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기존에 상용화되어 있는 트리클로산(Triclosan)의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에 대한 최소저해농도가 0.02%인 것을 고려하면 녹차 다당체(실시예 1)의 항균력이 매우 뛰어나고 유효성의 경제성 면에서도 우수하였다.
이하, 상기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지만, 이는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니라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 1] 주사제
실시예 1의 녹차 다당체 5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적량 및 pH 조절제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제형예 2] 액제
실시예 1의 녹차 다당체 10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및 정제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3] 연질 캅셀제
실시예 1의 녹차 다당체 50mg, L-카르니틴 80~140mg, 대두유 180mg, 팜유 2mg, 식물성 경화유 8mg, 황납 4mg 및 레시틴 6mg을 혼합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1캡슐당 400mg씩 충진하여 연질 캅셀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4] 정제
실시예 1의 녹차 다당체 50mg, 갈락토올리고당 200mg, 유당 60mg 및 맥아당 14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건조기를 이용하여 과립화한 후, 당 에스테르(sugar ester) 6mg을 첨가하여 타정기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5] 과립제
실시예 1의 녹차 다당체 50mg, 무수결정 포도당 250mg 및 전분 550mg을 혼합하고 유동층 과립기를 사용하여 과립으로 성형한 후 포에 충진하였다.
[제형예 6] 드링크제
실시예 1의 녹차 다당체 50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을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각 병에 200ml씩 충진하였다. 이어서 130℃으로 4~5초간 살균하여 드링크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7] 온도 감응형 졸-겔(Sol-Gel) 상전이 다당류 구강 제형
실시예 1의 녹차 다당체 30 mg, 키토산-g-폴리(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온도 감응형 졸-겔 상전이 다당류) 적량을 혼합하고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 또는 기타향을 적량 가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8] 구강 스프레이제
실시예 1의 녹차 다당체 10mg을 통상의 구강 스프레이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첨가하고 맛 차단제 및/또는 향미제를 총 조성물의 0.75 내지 7.5 중량%로 첨가한 후, 전체를 300ml로 조절하여 구강 스프레이제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9] 치약
실시예 1의 녹차 다당체를 총 조성물 중량의 1 내지 3중량%로 포함시키고, 향료, 감미제, 점증제, 연마제 및 치석 제거제를 적량으로 첨가한 후 정제수로 전체량을 조절하여 치약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10] 차(茶) 분말 제형
실시예 1의 녹차 다당체 100mg, 일반녹차(분말) 2g 및 무수결정 포도당 1g을 혼합하여 사면지 포장기의 호퍼 상판의 탱크에 넣고 포에 충진하였다.

Claims (6)

  1. 녹차 열수 추출물에서 유래된 것으로 분자량이 10만~30만 달톤(dalton)의 범위이고, 엽록소 및 폴리페놀을 불포함하며 항균 활성을 가지는, 다당류(polysaccharide) 및 단백질(protein)로 구성되는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로서,
    상기 녹차 다당체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다당체는
    a) 용매를 이용하여 녹차 분말에서 엽록소 및 저분자량의 폴리페놀을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녹차 잔사로부터 수용성 활성성분을 열수 추출하는 단계; 및
    c) 상기 b)단계의 열수 추출물로부터 한외여과 및 에탄올 침전 반응으로 녹차 다당체를 분리하는 단계;
    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균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또는 플레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이 온도 감응형 졸-겔 상전이 구강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6. 삭제
KR1020140178376A 2014-12-11 2014-12-11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KR101601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376A KR101601027B1 (ko) 2014-12-11 2014-12-11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376A KR101601027B1 (ko) 2014-12-11 2014-12-11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07823A Division KR101490712B1 (ko) 2008-10-31 2008-10-31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94A KR20150005494A (ko) 2015-01-14
KR101601027B1 true KR101601027B1 (ko) 2016-03-08

Family

ID=52477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376A KR101601027B1 (ko) 2014-12-11 2014-12-11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027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600B1 (ko) * 2003-04-18 2005-08-17 오계헌 녹차폴리페놀을 포함하는 구강 항균 조성물 및 구강 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94A (ko) 2015-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7467B2 (ja) マンゴスチン抽出物またはアルファ、ガンママンゴス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歯周疾患の予防または改善用組成物
KR102144318B1 (ko) 인삼열매 다당체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KR101814268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KR101394832B1 (ko) 인삼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억제용 조성물
KR101450098B1 (ko) 푸코이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세정용 조성물
KR20180007834A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 재생용 조성물
KR20130027751A (ko) 정향유 또는 유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CN107073061B (zh) 含有作为活性成分的桑白皮提取物与卫矛提取物的龋齿预防及治疗用口腔组合物
KR101490712B1 (ko)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KR101202302B1 (ko) 봉독을 함유하는 치주질환, 충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01027B1 (ko) 녹차 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KR100999597B1 (ko) 현호색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되는디하이드로코리달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의 예방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133135A (ko) 화마인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치아우식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06285A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489432B1 (ko) 해조류로부터 분리된 황산 다당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95242B1 (ko) 구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항균 조성물
KR20210116980A (ko) 녹차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예방 또는 완화용 조성물
KR101760500B1 (ko)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KR20200088936A (ko) 녹두 씨앗 추출물 등을 이용한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 개선용 조성물
KR101564668B1 (ko) 본초 발효 키토산의 제조방법 및 그 이용
JP7393823B2 (ja) 歯周病菌用口腔組成物
JP2001321123A (ja) 抗う蝕性食品素材、およびその組成物
KR20130078526A (ko) 씀바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균 억제용 조성물
KR102251717B1 (ko) 음용 가능한 구강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433125B2 (ja) 口腔用抗菌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