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0500B1 -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60500B1
KR101760500B1 KR1020150078764A KR20150078764A KR101760500B1 KR 101760500 B1 KR101760500 B1 KR 101760500B1 KR 1020150078764 A KR1020150078764 A KR 1020150078764A KR 20150078764 A KR20150078764 A KR 20150078764A KR 101760500 B1 KR101760500 B1 KR 101760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candidiasis
preventing
composi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693A (ko
Inventor
정명근
이민석
이진호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설록농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오설록농장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78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6050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60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60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dental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Abstract

본 발명은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차나무 꽃잎 추출물은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유발하는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생육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산 생성능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부작용 및 독성이 거의 없어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용 연고, 구강 세정제, 구강 양치액 등의 구강용 제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차나무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자원화 및 고부가가치 제품화를 모색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Or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ral candidiasis comprising petal extract of Camellia sinensis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천연물 소재로부터 분리한 구강 캔디다증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항진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나무 꽃잎으로부터 유래하여 부작용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생육을 억제시켜 구강질환 중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캔디다증은 다양한 종의 캔디다 속(Candida sp.), 특히, 효모-유사 진균인,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의해 유발된 진균 감염을 말한다. 캔디다 종은 통상 건강한 개체의 구강, 질 및 창자에 소정량을 유지한다. 캔디다성 진균에 의한 감염은 통상적으로 저하된 면역 상태에서 발병하며 신체의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예컨대, 파종성 혹은 전신 캔디다증), 생명을 위협하게 될 수도 있다. 가장 일반적인 캔디다증의 병태는 국소 캔디다증이다. 일례로 유아에서 흔히 볼수 있는 형태의 "기저귀 발진"이다. 국소 캔디다증은 피부, 질, 구강(예컨대, 구강 캔디다증) 및 식도에 그리고 면역 손상된 개체(예컨대, HIV 환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강 캔디다증(때로는 "아구창"으로도 지칭됨)은 캔디다 속의 진균(효모)이 구강의 점막에 축적되는 감염이다. 이것은 가장 빈번하게는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의해 초래되거나, 또는 덜 흔하게는 캔디다 글라브라타(Candida glabrata) 또는 캔디다 트로피칼리스(Candida tropicalis)에 의해 초래된다. 아기의 구강에서 생기면, 캔디다증은 통상 구강 아구창으로 불리는 반면, 성인의 구강 혹은 목에서 생기면, 캔디다증 혹은 모닐리아증이라 불릴 수도 있다.
캔디다 종에 의한 구강 감염은 갑자기 발병할 수 있고 장기간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캔디다증의 감염은 보통 혀, 안쪽 턱, 잇몸, 편도 및 입천장 등과 같은 점막 상에 두꺼운 백색 혹은 크림색 침착물로서 나타난다. 감염된 점막은 염증을 일으켜, 발적(redness) 및 부풀게 될 수도 있고, 때로는 코티지 치즈-형상의 외관을 지닐 수 있다. 병변은 고통스러울 수 있고, 문지르거나 긁어낼 경우 종종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구강의 코너부에서 갈라져서, 구강 안쪽의 솜털-형상 감각 및 심지어 미각의 일시적인 소실이 일어날 수도 있다. 더욱 심한 경우에는, 감염은 식도 아래쪽으로 퍼져, 연하곤란(dysphagia; 삼킴장애)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는 때로는 식도 캔디다증이라 불린다. 아구창은 통상 감염이 식도를 벗어나 폐 등과 같은 기타 신체 부위로 퍼지지(즉, 전신 캔디다증) 않는 한 열을 일으키지 않는다.
한편, 차나무(Camellia sinensis)는 차나무과(the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상록식물로서 열대, 아열대, 온대지방에 분포되고 차나무의 주요성분으로는 카테킨, 카페인, 아미노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이 있으며, 이들 화학성분들은 여러 가지 생리활성과 약리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오늘날 건강에 기여하는 생리활성물질로서 활발한 연구가 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카테킨류는 충치예방효과, 항산화효과, 항균효과와 항암효과 등의 다양한 기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거의 잎에 관한 연구이며 꽃잎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차나무의 꽃잎은 아미노산과 차 폴리페놀, 비타민 A,B,C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C로 인해 항산화 작용에 효과를 가진다고 보고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3-0035323호에는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1181119호에는 구강과 상 기도 질병의 치료 조성물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언급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나무 꽃잎 추출물은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유발하는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생육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산 생성능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구강용 제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차나무 꽃잎 추출물은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유발하는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생육을 저해할 뿐만 아니라, 산 생성능 억제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부작용 및 독성이 거의 없어 안전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강용 연고, 구강 세정제, 구강 양치액 등의 구강용 제품 등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차나무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들의 자원화 및 고부가가치 제품화를 모색할 수 있다.
도 1은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한 차나무 꽃잎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을 나타낸 결과로, 1은 차나무 꽃잎 추출물; 2는 동백나무 꽃잎 추출물; 3은 백작약 추출물; 4는 도라지 조추출물; 5는 오가피 조추출물; 6은 녹차잎 조추출물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산 생성능에 대한 차나무 꽃잎 추출물의 억제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차나무 꽃잎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차나무 꽃잎을 수세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분말의 중량 대비 15 내지 25배의 부피비로 80%(v/v) 에탄올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진탕 추출 및 여과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를 3회 반복하여 획득한 추출여액을 재여과하고,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농축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농축하여 획득한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태로 가공하는 단계를 거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차나무 꽃잎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구강 캔디다증은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감염에 의한 구강질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차나무 꽃잎 추출물은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방법에서, 상기 차나무 꽃잎 추출물은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산 생성능을 억제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차나무 꽃잎 추출물의 유효성분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을 추가하여 약제학적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되어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고 인간에게 투여될 때, 통상적으로 위장장애, 현기증과 같은 알레르기 반응 또는 이와 유사한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조성물을 말한다. 여기에서, 담체, 부형제,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투여 형태는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효성분을 제제화할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 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제학적 투여 형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은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연령, 성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구강용 제품을 제공한다.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구강 건강을 위해 제조, 시판되는 제품들에 모두 함유될 수 있는 구강 조성물로서, 적용되는 구강용 제품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상기 구강용 제품으로는 치약, 구강 스프레이, 구강 세정제, 구강용 연고, 구강 청정제, 가글링 제품, 껌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강용 제품은 액상, 고상, 현탁액, 겔상, 에어로졸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강용 제품에 적용하기 위해서 적절한 첨가제, 담체 등을 상기 항균 조성물에 추가로 포함시킬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 및 담체 등을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적절히 선택 및 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구강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음료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에 향미제로써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 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천연 과일 주스 및 과일 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재료 및 방법
1. 차나무 꽃잎 추출물의 제조
아모레퍼시픽 그룹의 (주)장원 설록차 연구소 차나무 재배포에서 생육중인 차나무의 꽃잎을 수확하여 사용하였다. 수확된 꽃잎을 수세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하였다. 제조한 분말의 중량 대비 20배의 부피비로 80%(v/v) 에탄올을 첨가하여 상온조건에서 12시간 동안 진탕 추출하고, 와트만 No. 2번의 여과지를 사용하여 여과하였다. 상기 여과 후 잔류물에 다시 80%(v/v) 에탄올을 처음과 동량 첨가하여 상온조건에서 12시간 동안 진탕 추출 및 여과를 3회 반복 수행하였다. 상기 과정에서 얻어진 추출여액을 와트만 No. 2번의 여과지를 사용하여 재여과하고, 50℃의 온도에서 농축시켰다. 상기 농축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태로 가공하여 하기 실시예의 검증 시료로 사용하였다.
2. 사용 균주
본 발명의 차나무 꽃잎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 및 산 생성능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면역체계가 약해졌을 때, 구강에 감염되는 효모용 균주인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KCTC 3624(Potato Dextrose Agar; PDA, 27℃)를 농업유전자원정보센터(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와 한국생물자원센터(Korean Collection for Type Cultures, KCTC)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3. 캔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에 대한 항진균활성 측정
차나무 꽃잎 추출물의 캔디다 알비칸스(C. albicans)에 대한 항균활성은 페이퍼 디스크(paper disc, mg/disc)법으로 측정하였다. 캔디다 알비칸스의 배양 조건인 27℃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여 클리어존(clear zone, mm)의 직경으로부터 항진균활성을 측정하였다.
4. 캔디다 알비칸스( Candida albicans )의 생성능 억제효과 측정
캔디다 알비칸스(C. albicans)의 산 생성능에 대하여 차나무 꽃잎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시험관에 균 현탁액(OD=1.2) 2㎖와 농도별(각 2 및 4mg/㎖)로 제조한 차나무 꽃잎 추출물 0.5㎖ 및 대조군으로 2% 포도당 용액 1㎖를 각각 첨가하여 혼합한 뒤 최적 배양온도에서 배양하면서 30분 간격으로 4시간 동안 pH 변화를 측정하여 캔디다 알비칸스(C. albicans)의 산 생성능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차나무 꽃잎 추출물의 항진균활성
본 발명의 차나무 꽃잎 추출물의 항진균활성을 측정한 결과, 표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차나무 꽃잎 추출물(250mg/㎖)은 캔디다 알비칸스(C. albicans)의 생육에 대하여 24mm 정도의 클리어존(clear zone)을 형성함으로써, 항진균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항진균활성 측정결과
진균 이름 클리어존(mm)
캔디다 알비칸스 24
실시예 2. 차나무 꽃잎 추출물의 산 생성능 억제효과
차나무 꽃잎 추출물이 캔디다 알비칸스(C. albicans)의 산 생성능을 억제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상기 진균을 배양하는 동안 pH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0시간일 경우, 캔디다 알비칸스 현탁액에 글루코스를 첨가한 대조군, 차나무 꽃잎 추출물 2mg/㎖ 및 4mg/㎖을 첨가한 실험군의 pH는 각각 4.95 및 4.94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4시간이 지난 후 글루코스를 첨가한 대조군의 pH는 4.65로 떨어진 반면,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첨가한 실험군(2mg/㎖ 및 4mg/㎖)의 pH는 각각 4.83 및 4.81로, pH 변화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차나무 꽃잎 추출물이 캔디다 알비칸스의 산 생성능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1)

  1. 차나무 꽃잎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산 생성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나무 꽃잎 에탄올 추출물은
    1) 차나무 꽃잎을 수세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로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단계 1)에서 제조한 분말의 중량 대비 15 내지 25배의 부피비로 80%(v/v) 에탄올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진탕 추출 및 여과하는 단계;
    3) 상기 단계 2)를 3회 반복하여 획득한 추출여액을 재여과하고,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농축하는 단계; 및
    4) 상기 단계 3)에서 농축하여 획득한 차나무 꽃잎 에탄올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분말 상태로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 캔디다증은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감염에 의한 구강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나무 꽃잎 에탄올 추출물은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에 대하여 항진균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하여 약제학적 단위 투여형으로 제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8. 차나무 꽃잎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산 생성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구강용 제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강용 제품은 치약, 가글링 제품, 껌, 구강 스프레이, 구강용 연고, 구강 세정제, 구강 청정제 및 구강 양치액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구강용 제품.
  10. 차나무 꽃잎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의 산 생성능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이외에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캔디다증(Oral candidiasis)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한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50078764A 2015-06-03 2015-06-03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KR101760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64A KR101760500B1 (ko) 2015-06-03 2015-06-03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64A KR101760500B1 (ko) 2015-06-03 2015-06-03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693A KR20160142693A (ko) 2016-12-13
KR101760500B1 true KR101760500B1 (ko) 2017-07-31

Family

ID=57574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764A KR101760500B1 (ko) 2015-06-03 2015-06-03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605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073A (ko) 2020-04-23 2021-11-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띠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9250A (ja) 2005-12-26 2007-07-05 Erika Tsunoda 抗微生物組成物
JP2011518844A (ja) 2008-04-25 2011-06-30 ナノバイオ コーポレーション 真菌、酵母および糸状菌感染症を治療するためのナノエマルショ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9250A (ja) 2005-12-26 2007-07-05 Erika Tsunoda 抗微生物組成物
JP2011518844A (ja) 2008-04-25 2011-06-30 ナノバイオ コーポレーション 真菌、酵母および糸状菌感染症を治療するためのナノエマルション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rch.Pharm.Res., 1998, Vol. 21, No. 3, pp. 348-352
김영곤. 조직배양에 의한 차나무의 증식 및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전북대학교 대학원 임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2년 8월*
비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2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7권, 제1호, 2005년, pp.108-1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1073A (ko) 2020-04-23 2021-11-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띠 추출물을 포함하는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693A (ko) 2016-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7316B1 (ko) 발효 포공영 추출물-함유 복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세정용 조성물
KR101396458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KR20180108331A (ko) 모링가잎 추출물 및 두충추출 복합물의 항균, 항산화, 항염, 치주골 소실 억제 및 재생에 의한 치은염 및 치주염 개선 방법
KR101617590B1 (ko) 아로니아, 아사이베리 및 스테비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비만 식품 조성물
KR101663978B1 (ko) 잇몸에 좋은 한방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EP3747453A1 (en) <smallcaps/> aucuba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ry eye syndrome, containing <ns1:i>japonica</ns1:i> extract
KR101934794B1 (ko) 고욤잎 및 포도송이 가지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80007834A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포 재생용 조성물
KR102371417B1 (ko) 인삼 꽃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1760500B1 (ko) 차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KR101715342B1 (ko)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그령속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및 식품 조성물
KR102488821B1 (ko) 티트리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2343245B1 (ko) 감국 지용성 분획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093730B1 (ko) 발계(Smilax china)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760503B1 (ko) 동백나무 꽃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 캔디다증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구강용 조성물
KR100530578B1 (ko) 항균활성을 갖는 키토산, 키토산올리고당 및 자몽종자추출물을 함유한 약학조성물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528557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KR20220099175A (ko) 생약 복합물을 함유하는 구강용 조성물
KR100417243B1 (ko) 항염증 활성을 지닌 분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119647B1 (ko) 사상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70003153A (ko) 천문동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826823B1 (ko) 새송이버섯 및 포도가지의 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74678B1 (ko) 가시상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