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1475A -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1475A
KR20170081475A KR1020160000562A KR20160000562A KR20170081475A KR 20170081475 A KR20170081475 A KR 20170081475A KR 1020160000562 A KR1020160000562 A KR 1020160000562A KR 20160000562 A KR20160000562 A KR 20160000562A KR 20170081475 A KR20170081475 A KR 20170081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ethanol
fraction
composition
o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4268B1 (ko
Inventor
허준혁
임영호
김나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60000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42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81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1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4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4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068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1Pharmaceuticals, e.g. medicaments, artificial body parts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이 충치 및 치주 질환을 각각 유발하는 S. mutansF. nucleatum에 대해서 항균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충치 또는 치주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또는 식품에 유효성분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Composition with Antibacterial Effect on Oral Bacteria Containing Purified Extract of Red Ginseng Ethanol Extract}
본 발명은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치주질환 및 충치는 잇몸 부위에 집단으로 성장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발생한다. 치주질환이나 충치가 발생하게 되면 치아의 손상뿐만 아니라, 심한 통증, 구취 등을 유발하고, 통증으로 인해 음식 섭취가 힘든 경우 적당한 영양 공급을 받을 수 없어 면역력이 저하될 수 있다.
치주 질환은 치아와 잇몸 조직이 만나는 부위에서 성장하는 치태 박테리아가 "치은염"이라고 하는 잇몸의 염증을 유발하여 발생된다. 치은염은 쉽게 붉어지고 피가 나는 부은 잇몸이 특징이며 치아 손실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치주 질환을 유발하는 균으로서 푸조박테리움 뉴클레아텀(Fusobacterium nucleatum)이 알려져 있다.
충치는 치아우식증이라고도 하며 치태 내 세균, 음식물, 타액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유발되는 구강 내 질병으로 구분되고, 구강 내에 상주하는 세균의 발효 작용에 의하여 치아에 부착된 음식찌꺼기의 당분이나 전분 등의 탄수화물이 분해되어 생기는 젖산이 치아의 경조직의 석회를 탈각시키며 일어난다. 구강 내의 미생물 중에서도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는 충치 발생의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사 과정에서 글루칸을 합성하며 합성된 글루칸이 치면에서 증식하는 세균 간의 결합을 증가시켜 충치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치주질환 또는 충치를 예방하기 위하여 항균 효능을 갖는 불화나트륨, 염화벤제토늄,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중합체, 염화세틸파이리디늄, 사카린나트륨, 안식향산나트륨, 트리클로산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성분들을 삼키게 될 경우 구토, 신경쇠약, 혼수상태, 설사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며 과량을 삼킬 경우 치명적인 손상이 야기되고, 장기간 사용시에는 구강에 손상을 준다고 보고되어 있다. 특히, 트리클로산의 경우 항생제에 대한 세균의 내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트리클로산의 남용에 대한 우려가 많은 실정이다.
한편, 인삼의 생리활성은 사포닌, 다당체 및 펩타이드류에 의한 것으로 진세노사이드를 중심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중추신경계 조절, 기억력, 학습효능개선 및 항스트레스 작용을 하며 면역기능 조절작용, 암세포 증식 및 전이 억제 작용, 항산화 작용, 항당뇨 작용, 간기능 개선, 방사선 방어 작용, 혈전 형성 억제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이 과학적으로 입증됨에 따라 동양 한방뿐 아니라 현대의학에서도 의약품 및 기능성 보조식품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인삼을 이용하여 구강 세균을 억제하는 것과 관련하여, 특허문헌 1에 홍삼 추출물 및 천연 식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내 항염, 항균 및 소취를 위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구강 세균에 대하여 종래 사용된 항균제와 유사하게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세균에 대해 내성을 유발하지 않는 원료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홍삼 추출물의 정제 분획물이 구강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358507호
본 발명의 목적은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은 치주염 유발균인 F. nucleatum 충치 유발균 S. mutans에 대해서 항균 효과가 우수하므로 치주질환 또는 충치 예방 또는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원료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원료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원료로부터 추출하여 수득할 때, 추출 방법으로는 용매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및 환류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통상적인 추출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이나 환류 추출법을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에탄올 수용액은 50 내지 100%(v/v)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5%(v/v)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v/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가 50%(v/v) 미만인 경우에는 에탄올을 적정 함량으로 추출할 때 비해서 상대적으로 충치 유발균 또는 치주염 유발균에 대하여 사멸 효과가 낮아진다.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사용되는 컬럼에는 실리카 겔, 활성 알루미나, 합성 고분자, 규산마그네슘, 활성탄, 셀룰로오스, 이온 교환 수지 등의 충진제가 이용될 수 있고, 방향족계 합성수지가 충진제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즉 상기 컬럼은 방향족 타입의 합성 흡착제 컬럼일 수 있고, Diaion HP-20 합성 흡착제가 충진제로 이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컬럼을 이용한 분리는 원하는 순도의 분획물이 정제될 때까지 1회 내지 수회에 걸쳐 수행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농축, 재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는 물, 유기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알코올, 헥산(n-헥산), 에테르,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용매는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C1 내지 C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가 에탄올일 경우, 상기 탈착 용매는 7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75 내지 99%(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7%(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v/v)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탈착 용매로 사용되는 에탄올 수용액의 농도가 하한값 미만일 경우에는 얻어지는 분획물의 구강 세균 항균 효과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인 에탄올 수용액 첨가시에는 에탄올 수용액을 컬럼에 흘려주는 것, 예를 들면 가압하여 흘려주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있어서, 70%(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홍삼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추출물을 HP-20 컬럼에 넣어 흡착시킨 후 컬럼에 흡착된 성분을 다양한 농도의 에탄올 용매(30, 50, 70, 85, 95%(v/v))를 이용하여 탈착시켜 분획물을 수득하였을 때, 95%(v/v) 에탄올 수용액을 탈착 용매로 이용하여 얻어낸 분획물이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50%(v/v) 이하의 에탄올 수용액을 탈착 용매로 이용하여 얻어낸 분획물 및 프로폴리스보다 S. mutans F. nucleatum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표 1 내지 표 3 참조).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있어서, 70%(v/v)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홍삼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추출물을 HP-20 컬럼에 넣어 흡착시킨 후 컬럼에 흡착된 성분을 다양한 농도의 메탄올 용매(30, 50, 70, 85, 95%(v/v))를 이용하여 탈착시켜 분획물을 수득하였을 때, 95%(v/v) 메탄올 수용액을 탈착 용매로 이용하여 얻어낸 분획물이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50%(v/v) 이하의 메탄올 수용액을 탈착 용매로 이용하여 얻어낸 분획물 및 프로폴리스보다 S. mutans F. nucleatum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낸다(표 4 내지 표 6 참조).
상기 구강 세균은 치주질환 또는 충치를 유발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구강 세균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상퀴니스(S. sanguinis),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S. sobrinus), 스트렙토코커스 라티(S. ratti), 스트렙토코커스 크리세티(S. criceti), 스트렙토코커스 안지노수스(S. anginosus), 스트렙토코커스 고도니(S. gordonii) 및 푸조박테리움 뉴클레아텀(F. nucleat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강 세균은 S. mutansF. nucleatum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S. mutans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정제 분획물은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에 0.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구강 세균 사멸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입 농도 대비 구강 세균 사멸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의 제형은 치약, 구강세정제, 에어로졸 스프레이, 추잉검(chewing gum), 로젠지 및 국소용 제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양한 방식, 예를 들어 액체, 건조된 덩어리, 치약, 구강세정제, 액체 현탁액, 국소용 제제, 분말화된 식품 보충제, 페이스트, 젤, 에멀션, 에어로졸 스프레이, 캡슐, 고형 식품, 패키징된 식품, 웨이퍼, 로젠지, 추잉검 등으로 구강 투여에 적합하게 제형화될 수 있다. 기타의 제형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방법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영양소 보충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비타민, 미네랄, 필수 및 비필수 아미노산, 탄수화물, 지질, 식품, 식이성 보충제 등을 포함하는 널리 공지된 임의의 다양한 영양제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은 온도감응형 졸-겔 상전이 구강제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온도감응형 졸-겔 상전이 제형이란 낮은 온도에서는 고분자가 물에 용해되어 졸 상태이고 특정 임계온도 이상이 되면 상기 고분자의 용해도가 급격히 감소하여 겔 상태로 변하여 고형화되며 다시 온도가 낮아지면 상기 고분자가 물에 용해되는 가역적인 성질을 갖는 제형을 말한다. 따라서 온도감응형 졸-겔 상전이 구강제형은 구강에 적용하기 전(상온)에는 액상의 졸 상태이고 구강에 도포된 후(체온)에는 겔 상태로 전이되어, 구강 내에서 타액에 대한 저항력이 높고, 치아, 혀, 잇몸 표면에 대한 부착력이 높아짐으로써, 유효 성분이 구강 내에서 오랜 시간 동안 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찬물로 헹구면 다시 액상의 졸 상태로 전이되어 쉽게 구강 내에서 씻어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은 치약과 같은 구강 위생물에서 통상 첨가되는 성분과 조합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마모제, 습윤제, 결합제, 계면활성제, 향미제 및 농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마모제의 예로는 실리카 크세로겔, 실리카 침전물, 인산이칼슘, 인산이칼슘 이수화물, 알루미나 삼수화물, 피로인산 칼슘, 탄산칼슘 및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이 있다. 상기 습윤제의 예로는 소르비톨, 글리세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이 있다. 상기 농화제의 예로는 실리카 에어로겔, 발열성 실리카, 실리카 침전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크산탄검 및 카라기난이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및 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가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박하향 또는 통상 사용되는 계피와 같이 다른 청량 향미를 제공하는 것이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이 액체 형태, 즉 구강세정제일 경우, 이들 구강세정제는 일반적으로 수성의 주입가능한 에멀젼 형태일 수 있다. 구강세정제는 향미제, 적당한 분산제 내에 향미를 유지시키는 계면활성제, 습윤제, 농화제 및 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품을 내기 위해서 계면활성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홍삼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정제 분획물 제조
[1-1]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
홍삼 1kg에 70%(v/v) 에탄올을 5.5배수 가하여 50℃에서 10시간 동안 1회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브릭스 이상이 되도록 농축하였으며 잔류 에탄올이 1% 이하로 남도록 하였다.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50g 이상을 얻었다.
[1-2]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정제 분획 제조(에탄올을 탈착 용매로 사용)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에서 소수성 분획을 정제하기 위해서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에 정제수를 3배수 가하여 희석시킨 후, 희석액 150g을 HP-20 이온교환 수지(Mitsubishi Chemical Industry) 100g을 충진시킨 컬럼에 통과시켰다. 통과시킨 희석액의 5배수에 해당하는 정제수로 컬럼을 세척한 다음, 컬럼에 다양한 농도의 에탄올 수용액(30, 50, 70, 85, 95%(v/v))을 통과시켜 이온교환수지 컬럼에 부착된 효능 성분 분획물을 회수하였다. 얻어진 분획물의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킨 후에 분획물에 정제수를 넣고 -70℃에서 동결시킨 후, 동결건조기에 넣고 건조시켜 사용된 각 탈착 용매에 따라 고형분을 얻었다.
[1-3]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정제 분획 제조(메탄올을 탈착 용매로 사용)
탈착 용매로서 메탄올 수용액(30, 50, 70, 85, 95%(v/v))을 사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2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메탄올 정제 분획물의 고형분을 얻었다.
[1-4]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조된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50g을 정제수 100g에 희석시킨 후 24시간 동안 상온에 보관하였다. 희석된 농축액을 부탄올과 3:2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희석된 농축액과 용매의 혼합물을 분획 깔대기에 넣고,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분리시켰다. 분리된 층의 상층부를 회수하여 용매를 완전히 증발시킨 후에 정제수를 넣고 -70℃에서 동결시킨 후 72시간 동안 동결건조기에 넣고 건조시켜 부탄올 분획물 고형분을 얻었다.
정제 분획물 제조시 에탄올을 탈착 용매로 사용하였을 때의 구강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비교
[2-1]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 Streptococcus mutans )에 대하여 양성대조군으로서 트리클로산과 항균 효과 비교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홍삼 에탄올 추출물,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HP-20 컬럼 분획물(실시예 [1-2]의 에탄올을 탈착 용매로 사용하여 수득한 분획물), 및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의 구강 세균 사멸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에서 얻어진 각 추출물 또는 분획물의 고형분을 50~6.25mg/㎖로 정제수에 녹인 후 페이퍼 디스크법을 통해 충치 유발균인 S. mutans에 대한 항균력을 확인하였다. S. mutans(KCTC 3065, 미생물자원센터, 대전)는 Brain Heart Infusion Agar에 증균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배양 배지와 동일한 배지로 만든 평판 배지 위에 준비된 S. mutans 균액을 멸균된 면봉으로 고르게 접종하였다. 구강 세균이 자라지 못하는 범위인 클리어 존을 측정하여 각 시료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항균제로 사용되는 트리클로산(3mg/㎖)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시료 농도
50mg/㎖ 25mg/㎖ 12.5mg/㎖ 6.25mg/㎖
시료명 클리어존 (mm)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0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부탄올 분획 0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30% 에탄올 분획
0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50% 에탄올 분획
0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70% 에탄올 분획
2 1.5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85% 에탄올 분획
4.5 3 2 2
홍삼에탄올추출 후
95% 에탄올 분획
4.5 3 3 2
트리클로산(3mg/㎖) 6 6 6 6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 중에서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부탄올 분획 및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정제 분획물 중 30%(v/v) 및 50%(v/v) 에탄올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의 경우 S. mutans에 대하여 항균 효과가 전혀 없었다. 반면,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정제 분획물 중 70%(v/v) 이상 농도의 에탄올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의 경우 S. mutans에 대하여 항균효과가 나타났으며,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을 95%(v/v) 에탄올로 회수한 분획에서는 양성 대조군인 트리클로산 대비 50% 수준의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2-2] S. mutans 에 대하여 양성대조군으로서 프로폴리스와 항균 효과 비교
상기 실시예 2-1에서 S. mutans에 대하여 양성대조군인 트리클로산과 유사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던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95%(v/v) 에탄올 분획의 항균 효과를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항균 성분인 프로폴리스와 비교하였다. 프로폴리스는 수용성 성분 및 지용성 성분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모두 서울프로폴리스(대전)로부터 구입하였다. 각 시료에 따른 클리어존을 표 2에 나타낸다.

시료 농도
50mg/㎖ 25mg/㎖ 12.5mg/㎖
시료명 클리어존(mm)
프로폴리스
수용성 성분
0 0 0
프로폴리스
지용성 성분
1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95% 에탄올 분획
4.5 3 3
트리클로산(3mg/㎖) 6 6 6
그 결과, 시료 농도 12.5mg/㎖ 내지 50mg/㎖ 구간에서 본 발명의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95%(v/v) 에탄올 분획은 프로폴리스에 비해서 월등히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95%(v/v) 에탄올 분획을 구강 세균에 대한 항균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2-3] 푸조박테리움 뉴클레아텀( Fusobacterium nucleatum )에 대하여 양성대조군으로서 트리클로산과 항균 효과 비교
본 발명의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85%(v/v), 95%(v/v) 에탄올 분획이 시료 농도 6.25mg/㎖ 내지 50mg/㎖ 구간에서 F. nucleatum(치주염 유발균)에 대하여 항균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용된 균주가 다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항균 효과를 평가하였다. F. nucleatum(KCTC 3314, 미생물자원센터, 대전)을 증균 배양시에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을 사용하였다. F. nucleatum에 대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료 농도
50mg/㎖ 25mg/㎖ 12.5mg/㎖ 6.25mg/㎖
시료명 클리어존(mm)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4 3 2.5 1.5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부탄올 분획 0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30% 에탄올 분획
0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50% 에탄올 분획
0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70% 에탄올 분획
1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85% 에탄올 분획
5 5 4.5 3
홍삼에탄올추출 후
95% 에탄올 분획
6 6 5 5
트리클로산(3mg/㎖) 15 15 15 15
항균 효과 평가 결과, F. nucleatum에 대해서 홍삼 에탄올 추출 후 70%(v/v), 85%(v/v), 95%(v/v) 에탄올로 분획한 분획물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 에탄올 추출 후 70%(v/v) 에탄올 분획물에서 항균 효과가 나타나며, 85%(v/v) 에탄올 분획물에서 항균 효과가 향상되었고, 95%(v/v) 에탄올 분획물에서 항균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F. nucleatum의 경우에도 홍삼 에탄올 추출물을 85%(v/v) 또는 95%(v/v) 에탄올로 분획한 분획물 처리시 양성대조군인 트리클로산의 항균 효과 대비 각각 40% 이상의 효과를 나타냈다.
한편, 실시예 [2-1]의 결과와 비교하면,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을 동일한 농도로 충치 유발균인 S. mutans, 치주염 유발균인 F. nucleatum에 처리하였을 때, S. mutans에 대해서는 항균 효과가 나타나지 않지만, F. nucleatum에 처리하였을 때는 항균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동일한 시료를 충치 유발균인 S. mutans, 치주염 유발균인 F. nucleatum에 처리하여도 균주의 종류에 따라 항균 효과가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정제 분획물 제조시 메탄올을 탈착 용매로 사용하였을 때의 구강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 비교
[3-1] S. mutans 에 대하여 양성대조군으로서 트리클로산과 항균 효과 비교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어진 홍삼 에탄올 추출물,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HP-20 컬럼 분획물(실시예 [1-3]의 메탄올을 탈착 용매로 사용하여 수득한 분획물), 및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의 구강 세균 사멸 효과를 확인하였다. 효과 확인시 사용된 시료를 다르게 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하였다. 실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시료 농도
50mg/㎖ 25mg/㎖ 12.5mg/㎖ 6.25mg/㎖
시료명 클리어존 (mm)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0 0 0 0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부탄올 분획 0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30% 메탄올 분획
0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50% 메탄올 분획
0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70% 메탄올 분획
2 1.5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85% 메탄올 분획
4.5 3 2 2
홍삼에탄올추출 후
95% 메탄올 분획
4.5 3 3 2
트리클로산(3mg/㎖) 6 6 6 6
그 결과,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추출물 중에서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부탄올 분획 및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정제 분획물 중 30%(v/v) 및 50%(v/v) 메탄올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의 경우 S. mutans에 대하여 항균 효과가 전혀 없었다. 반면,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정제 분획물 중 70%(v/v) 이상 농도의 메탄올로 분획하여 얻은 분획물의 경우 S. mutans에 대하여 항균효과가 나타났으며,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을 95%(v/v) 메탄올로 회수한 분획에서는 양성 대조군인 트리클로산 대비 50% 수준의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3-2] S. mutans 에 대하여 양성대조군으로서 프로폴리스와 항균 효과 비교
상기 실시예 3-1에서 S. mutans에 대하여 양성대조군인 트리클로산과 유사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던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95%(v/v) 메탄올 분획의 항균 효과를 시중에서 사용되고 있는 항균 성분인 프로폴리스와 비교하였다. 프로폴리스는 수용성 성분 및 지용성 성분을 각각 사용하였으며, 모두 서울프로폴리스(대전)로부터 구입하였다. 각 시료에 따른 클리어존을 표 5에 나타낸다.

시료 농도
50mg/㎖ 25mg/㎖ 12.5mg/㎖
시료명 클리어존(mm)
프로폴리스
수용성 성분
0 0 0
프로폴리스
지용성 성분
1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95% 메탄올 분획
4.5 3 3
트리클로산(3mg/㎖) 6 6 6
그 결과, 시료 농도 12.5mg/㎖ 내지 50mg/㎖ 구간에서 본 발명의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95%(v/v) 메탄올 분획은 프로폴리스에 비해서 월등히 우수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95%(v/v) 메탄올 분획을 구강 세균에 대한 항균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3-3] F. nucleatum 에 대하여 양성대조군으로서 트리클로산과 항균 효과 비교
본 발명의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85%(v/v), 95%(v/v) 메탄올 분획이 시료 농도 6.25mg/㎖ 내지 50mg/㎖ 구간에서 F. nucleatum(치주염 유발균)에 대하여 항균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사용된 균주, 시료를 다르게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1]의 방법과 동일하게 항균 효과를 평가하였다. F. nucleatum(KCTC 3314, 미생물자원센터, 대전)을 증균 배양시에 Reinforced Clostridial Medium을 사용하였다. F. nucleatum에 대한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시료 농도
50mg/㎖ 25mg/㎖ 12.5mg/㎖ 6.25mg/㎖
시료명 클리어존(mm)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
4 3 2.5 1.5
홍삼 에탄올 추출 농축액의 부탄올 분획 0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30% 메탄올 분획
0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50% 메탄올 분획
0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70% 메탄올 분획
1 0 0 0
홍삼에탄올추출 후
85% 메탄올 분획
5 5 4.5 3
홍삼에탄올추출 후
95% 메탄올 분획
6 6 5 5
트리클로산(3mg/㎖) 15 15 15 15
항균 효과 평가 결과, F. nucleatum에 대해서 홍삼 에탄올 추출 후 70%(v/v), 85%(v/v), 95%(v/v) 메탄올로 분획한 분획물이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홍삼 에탄올 추출 후 70%(v/v) 메탄올 분획물에서 항균 효과가 나타나며, 85%(v/v) 메탄올 분획물에서 항균 효과가 향상되었고, 95%(v/v) 메탄올 분획물에서 항균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F. nucleatum의 경우에도 홍삼 에탄올 추출물을 85%(v/v) 또는 95%(v/v) 메탄올로 분획한 분획물 처리시 양성대조군인 트리클로산의 항균 효과 대비 각각 40%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Claims (11)

  1.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5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인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컬럼은 방향족 타입의 합성 흡착제를 포함하는 컬럼인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제 분획물 제조시 탈착 용매는 물, 유기 용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메탄올 또는 에탄올 중 적어도 하나인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70 내지 100%(v/v) 에탄올 수용액인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은 80 내지 97%(v/v) 에탄올 수용액인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균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 스트렙토코커스 상퀴니스(Streptococcus sanguinis), 스트렙토코커스 소브리누스(Streptococcus sobrinus), 스트렙토코커스 라티(Streptococcus ratti), 스트렙토코커스 크리세티(Streptococcus criceti), 스트렙토코커스 안지노수스(Streptococcus anginosus), 스트렙토코커스 고도니(Streptococcus gordonii) 및 푸조박테리움 뉴클레아텀(Fusobacterium nucleatum)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균은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Streptococcus mutans)인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균은 푸조박테리움 뉴클레아텀(Fusobacterium nucleatum)인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의 제형은 치약, 구강세정제, 에어로졸 스프레이, 추잉검(chewing gum), 로젠지 및 국소용 제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KR1020160000562A 2016-01-04 2016-01-04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KR101814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62A KR101814268B1 (ko) 2016-01-04 2016-01-04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562A KR101814268B1 (ko) 2016-01-04 2016-01-04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1475A true KR20170081475A (ko) 2017-07-12
KR101814268B1 KR101814268B1 (ko) 2018-01-02

Family

ID=59353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562A KR101814268B1 (ko) 2016-01-04 2016-01-04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426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983B1 (ko) * 2017-12-04 2019-04-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파낙시놀 또는 파낙시돌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N113749969A (zh) * 2020-06-01 2021-12-07 美慕(北京)科技有限公司 具有维持口腔微生态平衡消减牙菌斑功效的口腔护理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102438800B1 (ko) 2022-02-11 2022-08-31 (주)엔에스티바이오 유산균 발효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2255B1 (ko) 2022-02-11 2022-10-07 (주)엔에스티바이오 디아세틸 아스페룰로시딕산 및/또는 아스페룰로시딕산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66541A (ko) * 2021-06-10 2022-12-1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면역 강화용 조성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5983B1 (ko) * 2017-12-04 2019-04-04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파낙시놀 또는 파낙시돌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CN113749969A (zh) * 2020-06-01 2021-12-07 美慕(北京)科技有限公司 具有维持口腔微生态平衡消减牙菌斑功效的口腔护理组合物、制剂及其制备方法
KR20220166541A (ko) * 2021-06-10 2022-12-19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인삼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피부면역 강화용 조성물
KR102438800B1 (ko) 2022-02-11 2022-08-31 (주)엔에스티바이오 유산균 발효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2255B1 (ko) 2022-02-11 2022-10-07 (주)엔에스티바이오 디아세틸 아스페룰로시딕산 및/또는 아스페룰로시딕산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4268B1 (ko) 201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4268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컬럼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구강 세균 억제용 조성물
JP4948044B2 (ja) プラーク形成抑制剤、または抗う蝕菌剤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3241955B2 (ja) 口腔用組成物
KR101641213B1 (ko) 상백피추출물과 화살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치주염 예방 및 치료용 구강조성물
KR102408893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09110A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KR101641215B1 (ko) 상백피추출물과 화살나무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충치 예방 및 치료용 구강조성물
KR101965983B1 (ko) 파낙시놀 또는 파낙시돌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JP3008525B2 (ja) 口腔用組成物
KR101881636B1 (ko) 갈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138518A (ko) 꿩의다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631223B2 (ja) 口腔用抗菌剤及び口腔用組成物
KR101797286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정제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11343247A (ja) グルコ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
KR102415612B1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4515732B2 (ja) グルコシルトランスフェラーゼ阻害剤、プラーク形成抑制剤、抗菌剤、口腔用剤およびう触予防用飲食物
KR102300090B1 (ko) 자화지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17082B1 (ko) 청상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31B1 (ko) 조협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80941B1 (ko) 쿼세틴 3-글루코시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30B1 (ko) 지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62829B1 (ko) 고량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02209A (ko) 층층이꽃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