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0971B1 - 표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표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0971B1
KR101600971B1 KR1020137004513A KR20137004513A KR101600971B1 KR 101600971 B1 KR101600971 B1 KR 101600971B1 KR 1020137004513 A KR1020137004513 A KR 1020137004513A KR 20137004513 A KR20137004513 A KR 20137004513A KR 101600971 B1 KR101600971 B1 KR 101600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cabinet
projection material
seal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8724A (ko
Inventor
교이치 이와타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8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8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polishing surfaces, e.g. smoothing a surface by making use of liquid-borne abrasives
    • B24C1/086Descaling; Removing coatin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08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 B24C3/1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essentially adapted for abrasive blasting of travelling stock or travelling workpieces for treating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7/00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 B24C7/0046Equipment for feeding abrasive material; Controlling the flowability, constitution, or other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brasive blasts the abrasive material being fed in a gaseous carr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불필요한 투사를 억제할 수 있는 표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쇼트(shot) 공급 장치(28)로부터 투사 장치(26)로 투사재가 공급되며, 투사 장치(26)는 선재(線材; 12)에 대해 투사재를 투사한다. 투사 장치(26)에 대해 선재 반송방향 하류측에는 선재 검지 장치(44)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선재 검지 장치(44)에 의해 선재(12)의 유무가 검지된다. 또한, ECU(46)는, 선재 검지 장치(44)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쇼트 공급 장치(28)에 의한 투사 장치(26)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조절한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투사가 억제된다.

Description

표면 처리 장치{SURFACE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선재(線材) 등의 피처리 대상물의 표면에 투사재(投射材)를 투사하여 표면처리를 하는 표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면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예컨대, 캐비넷 내로 선재 등을 반입하는 동시에, 반입된 선재 등의 표면에 투사재를 투사하여 블라스트 처리하는 것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334759호 참조).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불필요한 투사를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실을 고려하여, 불필요한 투사를 억제할 수 있는 표면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는, 소정의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피처리 대상물에 대해 투사재를 투사하는 투사 장치와, 상기 투사 장치에 대해 상기 반송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투사 장치로의 투사재 공급용으로서, 상기 투사 장치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변경가능한 투사재 공급 장치와, 상기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투사재 공급 장치에 의한 상기 투사 장치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에 의하면, 투사재 공급 장치로부터 투사 장치로 투사재가 공급되며, 투사 장치는, 소정의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피처리 대상물에 대해 투사재를 투사한다. 투사 장치에 대해 반송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검지 수단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검지 수단에 의해 피처리 대상물의 유무가 검지된다. 여기서, 제어수단은,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투사재 공급 장치에 의한 투사 장치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조절한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투사가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는, 제 1 양태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반송되는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속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투사재 공급 장치에 의한 상기 투사 장치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에 의하면, 피처리 대상물이 반송되는 속도가 속도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여기서, 제어수단은, 속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투사재 공급 장치에 의한 투사 장치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조절한다. 이 때문에, 불필요한 투사가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는, 제 1 또는 제 2 양태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투사 장치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에 의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표면가공을 하는 투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피처리 대상물 반입용의 반입구 및 반출용의 반출구가 형성된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반입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내측을 통과가능한 제 1 통형상부와, 상기 제 1 통형상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통과시에 상기 피처리 대상물과 상기 제 1 통형상부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투사재의 누출 저지용으로 된 제 1 시일체를 구비한 제 1 시일부와, 상기 캐비넷의 반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내측을 통과가능한 제 2 통형상부와, 상기 제 2 통형상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통과시에 상기 피처리 대상물과 상기 제 2 통형상부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투사재의 누출 저지용으로 된 제 2 시일체를 구비한 제 2 시일부와, 상기 제 2 시일부보다 상기 반송방향의 하류측에 기체 유출구가 배치되어, 상기 캐비넷의 내측을 향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발생 장치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에 의하면, 캐비넷의 반입구로부터 반입된 피처리 대상물은, 캐비넷의 투사실에 이르면 투사 장치에 의해 투사재가 투사된다. 투사된 피처리 대상물은, 캐비넷의 반출구로부터 반출된다. 또한, 캐비넷의 반입구측에는 제 1 시일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시일부에는, 피처리 대상물이 통과가능한 제 1 통형상부의 내측에 제 1 시일체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시일체는, 피처리 대상물의 통과시에 피처리 대상물과 제 1 통형상부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투사재의 누출 저지용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투사된 투사재의 반입구측으로부터의 누출이 제 1 시일체에 의해 저지된다.
한편, 캐비넷의 반출구측에는 제 2 시일부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시일부에는, 피처리 대상물이 통과가능한 제 2 통형상부의 내측에 제 2 시일체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시일체는, 피처리 대상물의 통과시에 피처리 대상물과 제 2 통형상부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투사재의 누출 저지용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투사된 투사재의 반출구측으로부터의 누출이 제 2 시일체에 의해 저지된다. 단, 반출구측으로부터는 피처리 대상물의 반출에 따라 피처리 대상물 상에 잔류한 투사재가 반출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원 발명에서는, 제 2 시일부보다 반송방향의 하류측에 기류 발생 장치의 기체 유출구가 배치되고, 기류 발생 장치가 캐비넷의 내측을 향한 기류를 발생시키므로, 피처리 대상물 상에 투사재가 잔류해 있더라도, 이러한 투사재는, 캐비넷의 내측으로 되돌아온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는, 제 1∼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투사 장치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를 상기 캐비넷의 상방측으로 반송하는 버킷 승강기(bucket elevato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투사재를 상기 투사 장치로 순환시키는 순환 장치와, 상기 순환 장치의 순환 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투사재 이외의 이물질 및 투사된 상기 투사재 중 깨진 투사재를 분리제거하는 분리기(separator)와, 상기 분리기에 접속되어, 분진(粉塵)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집진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에 의하면, 투사 장치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가 버킷 승강기에 의해 캐비넷의 상방측으로 반송되고, 버킷 승강기를 포함하는 순환 장치에 의해 투사 장치로 순환된다. 순환 장치의 순환 경로에는 분리기가 설치되어, 투사재 이외의 이물질 및 투사된 투사재 중 깨진 투사재가 분리기에 의해 분리제거된다. 또한, 분리기에 접속된 집진기에 의해 분진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인된다. 이러한 집진기의 흡인에 의해 분리기 등을 통해 캐비넷의 내부가 음압(負壓)이 되므로, 기류 발생 장치에 의해 발생한 캐비넷의 내측을 향한 기류가 캐비넷의 내부로 용이하게 들어가고, 제 2 시일부를 통과해버린 투사재가 캐비넷의 내측으로 효율적으로 되돌아온다. 즉, 투사재가 순환이용되면서, 투사재나 이물질의 장치 밖으로의 누출이 효과적으로 방지 또는 억제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에 의하면, 불필요한 투사를 억제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출원은, 2010년 8월 1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0-179873호에 근거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본 출원의 내용으로서, 그 일부를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완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세한 설명 및 특정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이며,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만 기재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변경이나 개량이,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기 때문이다.
출원인은, 기재된 실시형태 중 어느 것도 공중에게 헌상할 의도가 없으며, 개시(開示)된 개량이나 대체안 중,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문언상 포함되지 않을 지도 모르는 것도, 균등론 하에서의 발명의 일부로 한다.
본 명세서 혹은 청구범위의 기재에 있어서, 명사 및 동일한 지시어의 사용은, 특별히 지시되지 않는 한, 또는 문맥에 의해 명료하게 부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의 양방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 본 명세서 중에서 제공된 어떠한 예시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컨대, 「등」)의 사용도,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쉽도록 하는 의도에 지나지 않으며, 특히, 청구범위에 기재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반입구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반출구측을 확대하여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3의 브러시를 나타낸 단면도로, 도 5의 (A)는, 도 3의 5A-5A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3의 5B-5B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화살표(6) 방향에서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4의 기류 발생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반단면(半斷面)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쇼트 공급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 등을 나타낸 모식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우측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로서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 대해, 도 1∼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가 좌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10)는, 금속제의 선재(12)를 피처리 대상물로 하고 있다. 도면 중에 적절히 표시되는 화살표(X)는, 선재(12)가 반송되는 반송방향(이하, 「선재 반송방향」이라 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 대해 선재 반송방향(선재 주행방향)의 상류측 (도면 중 좌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선재 공급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선재 공급 장치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로의 선재(12) 공급용이며,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서 블라스트 처리되기 전의 선재(12)가 감겨 있는 권출부(捲出部)와, 상기 권출부로부터 풀려나온 선재(12)를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반입측 가이드 롤러(14)로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 대해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도면 중 우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권취(捲取)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권취장치는, 구동 모터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릴(reel)을 구비하고 있으며,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서 블라스트 처리되어 반출측 가이드 롤러(16)로부터 반출된 선재(12)를 상기 릴에 의해 소정의 속도 및 소정의 장력으로 권취하는 장치이다. 참고로, 선재(12)의 반송에는, 상기 권취장치 외에, 추신기(抽伸機; drawing machine)(다이스(dies)에 의해 선재(12)를 규정된 굵기로 인발(引拔)하는 장치로서, 왕복운동하면서 선재(12)를 끼우고 잡아당기는 동작을 반복하는 선재 주행 구동 수단을 구비한 장치) 등이 적용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쇼트 블라스트 장치(10)는, 캐비넷(18)을 구비하고 있다. 캐비넷(18)의 내부에는, 선재(12)에 대한 투사재의 투사에 의해 선재(12)의 표면가공을 행하는 투사실(18A)(「가공실」, 「연마세정실」이라고도 함)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캐비넷(18)에는, 선재 반송방향의 상류측(도면 중 좌측)에 선재(12)의 반입용으로서의 반입구(20)가 형성되는 동시에,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도면 중 우측)에 선재(12)의 반출용으로서의 반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캐비넷(18)의 내부에는, 복수의 가이드 통 부재(안내 부재)(24)가 선재(12)의 반송통로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통 부재(24)는, 캐비넷(18)에 고정되어 있으며,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통 부재(24)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은,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좁아져 있으며, 가이드 구멍의 축심(軸心)은 선재(12)의 반송통로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가이드 통 부재(24) 중, 반입구(20) 및 반출구(22)에 설치된 가이드 통 부재(24)에는, 각각의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 부위에 짧은 통형상의 2개의 가이드 통(25)이 직렬적으로 부착되어 있다. 가이드 통(25)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은,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을 향해 서서히 직경이 좁아져 있으며, 상기 가이드 구멍의 축심은 가이드 통 부재(24)의 가이드 구멍의 축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캐비넷(18)에는, 선재(12)의 반송통로를 사이에 둔 상하좌우에 총 4대의 투사 장치(2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4대의 투사 장치(26)는, 선재 반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투사 장치(26)는, 선재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선재(12)에 대해 투사재(쇼트,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강철볼(鋼球)을 원심력에 의해 가속하여 투사하는 원심식 쇼트 투사 장치(임펠러 유닛, 원심 투사 수단)으로 되어 있다. 즉, 투사 장치(26)는, 전술한 바와 같이 4대가 설치됨으로써, 선재(12)를 향해 상하좌우방향으로부터 투사재를 투사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투사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재(12)의 표면에 부착되는 스케일(scale)이나 녹(rust) 등의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사 장치(26)는, 제어수단으로서의 ECU(46)(Electronic Control Unit)에 접속되어 있다.
투사 장치(26)의 상방측에는, 투사재 공급 장치로서의 쇼트 공급 장치(28)(유량 조정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쇼트 공급 장치(28)는, 투사 장치(26)에 투사재(S)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쇼트 공급 장치(28)는, 투사재 저장용 쇼트 탱크(38)의 호퍼(hopper; 38A)의 하방측에 배치되고 케이스체(28C)를 구비하고 있으며, 케이스체(28C)는, 외측통부(28C1)의 내측에 내측통부(28C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쇼트 공급 장치(28)는, 케이스체(28C)의 내측통부(28C2)의 하부 개구부(28C3)를 개폐가능한 쇼트 게이트(28A)를 구비하고 있다.
쇼트 게이트(28A)는, 원호판면(圓弧板面) 형상의 개폐부(28A1)가 내측통부(28C2)의 하부 개구부(28C3)를 개폐하는 동시에, 개폐부(28A1)의 일단으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지며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대략 삼각형상의 지지부(28A2)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부(28A2)는, 내측통부(28C2)와 외측통부(28C1)와의 사이에 배치되며, 지지부(28A2)의 상단부로부터는 축부(28J)가 돌출되어 케이스체(28C)의 외측통부(28C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28A2)에 있어서, 축부(28J)와 개폐부(28A1)측 단부와의 사이로부터는 핀(28P)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핀(28P)은, 쇼트 게이트(28A)(개폐부(28A1))가 하부 개구부(28C3)를 완전폐쇄하는 위치방향으로 도시되지 않은 바이어스 수단에 의해 바이어스되는 동시에, 아암(28B1)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아암(28B1)의 타단은, 로드(28B2)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로드(28B2)의 기저단은 피스톤(28B3)에 고정되어 있고, 피스톤(28B3)은, 실린더(28B4)(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에어 실린더) 내에서 유체압(流體壓)에 의해 왕복 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쇼트 공급 장치(28)는, 피스톤(28B3)이 왕복운동하여 로드(28B2)가 신축(伸縮)함으로써 쇼트 게이트(28A)가 요동하여 쇼트 게이트(28A)의 개방도(開度)를 변경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쇼트 게이트(28A)는, 완전개방 및 반(半)개방의 2단계로 개방에 관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완전개방, 반개방 및 완전폐쇄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쇼트 게이트(28A)의 개방도(하부 개구부(28C3)의 개구면적에 대한 개방 비율)을 변경함으로써 투사 장치(26)에 대한 투사재의 공급량을 다단계로 변경가능(조정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쇼트 공급 장치(28)는, 실린더(28B4)가 에어방향 제어 기기(전자밸브 등)(29A)를 통해 에어 공급원(29B)과 접속되어 있으며, 에어방향 제어 기기(29A)는, ECU(46)에 접속되어 있다. ECU(46)는, 에어방향 제어 기기(29A)를 제어함으로써, 피스톤(28B3)의 변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사 장치(26)에는, 쇼트 공급 장치(28)를 통해 순환 장치(30)가 연결되어 있다. 순환 장치(30)는, 투사 장치(26)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를 반송하여 투사 장치(26)로 순환시키는 장치이며, 캐비넷(18) 내부의 바닥부(底部)측에 배치된 스크류 컨베이어(32) 및 장치의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킷 승강기(34)(도 2 참조)를 구비하고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32)는, 수평으로 배치되고 선재 반송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축부의 양단측이 캐비넷(18)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32)는, 구동 모터(36)에 접속되어 구동 모터(36)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캐비넷(18)의 하부에 모인 투사재를 도면 중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중앙측으로 반송가능한 좌우대칭인 나사부를 구비하고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32)의 축선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측에 대해서는, 버킷 승강기(34)의 수집구(34D)가 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환언하자면, 스크류 컨베이어(32)는, 버킷 승강기(34)의 하단부측의 수집구(34D)로 투사재를 반송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버킷 승강기(34)는, 공지된 구조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겠으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풀리(34A)(도면에서는 상측만 도시됨)에 무단 벨트(endless belt; 34B)가 감아걸려있는 동시에, 무단 벨트(34B)에 다수의 버킷(34C)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풀리(34A)는 모터에 접속되어 회전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버킷 승강기(34)는, 스크류 컨베이어(32)(도 1 참조)에 의해 회수한(일시적으로 저류된) 투사재를 버킷(34C)으로 퍼올리는 동시에, 풀리(34A)를 모터에 의해 회전시킴으로써, 버킷(34C) 내의 투사재를 캐비넷(18)의 상방측을 향해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버킷 승강기(34)의 상부측 근방에는, 분리기(40)가 배치되어 있다. 분리기(40)는, 순환 장치(30)의 순환 경로에 설치되어, 투사재 이외의 이물질(선재 표면으로부터 탈락한 미세 스케일 등), 및 버킷 승강기(34)에 의해 반송된 투사재(즉, 투사 장치(26)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 중 깨진 투사재를 분리제거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단부의 하방측에, 재이용가능한 투사재를 낙하시켜 넣는 투사재 저장용의 쇼트 탱크(38)가 배치되어 있다. 분리기(40)로서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사이클론(cyclone)이 적용되어 있다. 상기 사이클론은, 대략 원통형상인 케이스를 구비하는 동시에, 케이스에 흡입된 투사재를 포함하는 공기를 안내하여 상기 공기에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안내부를 구비하고 있다. 참고로, 사이클론을 대신하여 중력 집진 장치(settling chamber)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분리기(40)에는, 덕트(41)를 통해 집진기(42)가 접속되어 있다. 도 1에서는, 집진기(42)를 블록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집진기(42)는, 분진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여 수집하도록 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분진은, 캐비넷(18) 및 분리기(40)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다.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 있어서의 선재 반송방향의 최하류측(반출측 가이드 롤러(16)보다 하류측)에는, 선재(12)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으로서의 선재 검지 장치(44)가 반송통로의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재 검지 장치(44)는, 장치의 정면측으로부터 장치의 배면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축방향으로 하는 지지축(44A)이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도시되지 않은 부착 브래킷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44A)에는 아암(44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아암(44B)은, 지지축(44A)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축(44A) 둘레로 회전이동가능(요동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자유상태에서는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는 자세가 된다(이점쇄선 참조). 아암(44B)에는, 자유상태에서 하단이 되는 부위에 지지축(44A)과 축선이 평행한 롤러(44C)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자유상태에서 상단이 되는 부위에 금속 등의 자성체(44D)가 부착되어 있다.
선재 검지 장치(44)에 있어서 아암(44B)에 대해 선재 반송방향의 상류측(도면 중 좌측)에는, 근접 스위치(44E)가 배치되어 있다. 근접 스위치(44E)는, 자성체(44D)가 소정 범위 내까지 접근했을 때 근접 스위치(44E)를 포함하는 전기회로(제어회로부)를 통전상태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선재(12)가 선재 검지 장치(44)의 하방측을 통과했을 때 롤러(44C)가 밀려서 아암(44B)이 회전이동한 상태에서는, 자성체(44D)가 근접 스위치(44E)에 근접하게 됨에 따라, 근접 스위치(44E)가 자성체(44D)의 근접을 검출, 환언하자면, 선재(12)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근접 스위치(44E)는, ECU(46)에 접속되어 있다. ECU(46)는, 선재 검지 장치(44)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쇼트 공급 장치(28)에 의한 투사 장치(26)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입측 가이드 롤러(14)의 축부(14A) 근방에는, 속도 검출 수단으로서의 속도 검출 센서(45)가 배치되어 있다. 속도 검출 센서(45)는, 반입측 가이드 롤러(14)가 회전했을 경우에 반입측 가이드 롤러(14)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축부(14A)의 회전속도에 근거하여, 선재(12)가 반송되는 속도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도 검출 센서(45)는, ECU(46)에 접속되어 있다. ECU(46)는, 속도 검출 센서(45)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쇼트 공급 장치(28)에 의한 투사 장치(26)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ECU(46)는, 속도 검출 센서(45)의 검출 속도가 소정속도 미만인 경우에 선재 검지 장치(44)가 선재(12)(도 1 참조)를 검지한 상태에서는, 쇼트 공급 장치(28)에 있어서의 쇼트 게이트(28A)의 개방도가 반개방 상태가 되도록 피스톤(28B3)을 변위시키고, 속도 검출 센서(45)의 검출 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인 경우에 선재 검지 장치(44)가 선재(12)를 검지한 상태에서는, 쇼트 공급 장치(28)에 있어서의 쇼트 게이트(28A)의 개방도가 완전개방 상태가 되도록 피스톤(28B3)을 변위시킨다. 또한, ECU(46)는, 속도 검출 센서(45)가 선재(12)(도 1 참조)의 반송 속도를 검출하고 있지 않으며(선재(12)의 반송상태를 검출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선재 검지 장치(44)가 선재(12)를 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쇼트 게이트(28A)의 개방도를 유지하도록, 즉, 피스톤(28B3)의 위치를 바꾸지 않도록 제어하고, 속도 검출 센서(45)가 선재(12)의 반송 속도를 검출하고 있지 않으며 또한 선재 검지 장치(44)가 선재(12)를 검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쇼트 게이트(28A)의 개방도가 완전폐쇄 상태가 되도록 피스톤(28B3)을 변위시킨다.
참고로, 쇼트 게이트(28A)의 개방도는, 보다 세밀하게(이른바, 무단계로) 설정가능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으며, ECU(46)는, 속도 검출 센서(45)의 검출 속도에 따라 쇼트 게이트(28A)의 개방도(환언하자면, 투사재의 공급량)를, 예컨대 비례적으로 변경하도록, 피스톤(28B3)의 변위량을 제어해도 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넷(18)의 반입구(20)측에는, 반입구(20)보다 선재 반송방향의 상류측에 제 1 시일 구조부(50)(제 1 시일 통)가 설치되고, 제 1 시일 구조부(50)의 케이스체(51)가 캐비넷(18)에 대해 부착되어 있다. 즉, 제 1 시일 구조부(50)는, 반입측 가이드 롤러(14)와 캐비넷(18)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체(51)의 바닥판부(51C)는,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을 향해 장치의 하방측으로 경사져 있어, 투사재가 케이스체(51) 내로 들어가버렸을 경우에 해당 투사재를 캐비넷(18)측을 향해 낙하시켜 넣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참고로, 케이스체(51)의 내부공간의 하부와 캐비넷(18)의 내부공간은, 도시되지 않은 소정부위에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51)의 상단 개구부에는, 덮개체(51D)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 1 시일 구조부(50)의 케이스체(51)에는, 반입구(20)의 대향부(對向部)에 관통구멍(51A), 인접부에 관통구멍(5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류측의 관통구멍(51A)에 가이드 통 부재(안내 부재)(52)가 배치되어 있다. 가이드 통 부재(52)는, 캐비넷(18)의 반입구(20)에 배치된 가이드 통 부재(24)와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이드 통 부재(24)와 축심이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통 부재(52)는, 가이드 구멍(52A)의 출구측이 좁혀짐으로써 반송시에 있어서의 선재(12)의 흔들림을 억제하는 기능도 하고 있다.
가이드 통 부재(52)와 가이드 통 부재(24) 사이에는, 제 1 시일부(54)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시일부(54)는, 선재(12)가 내측을 통과가능한 제 1 통형상부(56)와, 제 1 통형상부(56)의 내측에 배치된 제 1 시일체(58)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시일체(58)는, 선재(12) 통과시에 선재(12)와 제 1 통형상부(56)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투사재의 누출 저지용으로서 기능한다. 참고로, 제 1 통형상부(56)에 있어서의 선재 반송방향의 최상류 부위 및 최하류부 부위에는, 반송통로용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평판부(56C)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넷(18)의 반출구(22)측에는, 반출구(22)보다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에 제 2 시일 구조부(60)(제 2 시일 통)가 설치되고, 제 2 시일 구조부(60)의 케이스체(61)가 캐비넷(18)에 대해 부착되어 있다. 즉, 제 2 시일 구조부(60)는, 캐비넷(18)과 반출측 가이드 롤러(16)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체(61)의 바닥판부(61C)는, 선재 반송방향의 상류측을 향해 장치 하방측으로 경사져 있어, 투사재가 케이스체(61) 내로 들어가버렸을 경우에 해당 투사재를 캐비넷(18)측을 향해 낙하시켜 넣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참고로, 케이스체(61)의 내부공간의 하부와 캐비넷(18)의 내부공간은, 도시되지 않은 소정 부위에서 연통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체(61)의 상단 개구부에는, 덮개체(61D)가 분리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 2 시일 구조부(60)의 케이스체(61) 내에는, 제 2 시일부(64)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시일부(64)가 선재 반송방향을 따라 직렬적으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배치되어 있다. 제 2 시일부(64)는, 선재(12)가 내측을 통과가능한 제 2 통형상부(66)와, 제 2 통형상부(66)의 내측에 배치된 제 2 시일체(68)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시일체(68)는, 선재(12)의 통과시에 선재(12)와 제 2 통형상부(66)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투사재의 누출 저지용으로서 기능한다. 참고로, 제 2 통형상부(66)에 있어서의 선재 반송방향의 최상류 부위 및 최하류부 부위에는, 반송통로용 관통구멍이 형성된 평판부(66C)가 설치되어 있다.
도 5에는, 제 1 시일부(54)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의 (A)는 도 3의 5A-5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의 (B)는 도 3의 5B-5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참고로, 제 2 시일부(64)(도 4 참조)는, 제 1 시일부(54)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그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통형상부(56)는, 단면이 V자 형상인 홈통 케이스(56A)와, 홈통 케이스(56A)에 대응하여 배치된 단면이 역 V자 형상인 덮개체(56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홈통 케이스(56A)의 내면 및 덮개체(56B)의 내면에 고무 등의 탄성체가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홈통 케이스(56A)에는, 투사재 추출 구멍(156)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통형상부(56) 및 제 2 통형상부(66)의 형상은, 상기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등, 임의의 형상이어도 좋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시일체(58) 및 제 2 시일체(68)는, 복수의 길고 가느다란 재료인 브러시 모(毛)(158, 16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시일체(58) 및 제 2 시일체(68)에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 모(158, 168)가 단일방향을 향한, 정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각형상(도 5 참조)인 브러시 부재(58A, 68A)가 복수 이용되는 동시에, 복수의 브러시 부재(58A, 68A)가 선재 반송방향을 따라 직렬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시일체(58)는, 각 브러시 부재(58A)의 브러시 모(158)의 방향이 배열방향으로 보아 교차하도록(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시가 생략되어 있으나, 도 4에 나타낸 제 2 시일체(68)도, 각 브러시 부재(68A)의 브러시 모(168)의 방향이 배열방향으로 보아 교차하도록(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3에 도시된 제 1 시일체(58) 및 도 4에 도시된 제 2 시일체(68)는, 브러시 모(158, 168)가 복수 방향으로부터 연장되어 교차함으로써 래버린스(labyrinth)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참고로, 브러시 모(158, 168)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수지섬유로 형성된 것이 적용되어 있으나, 수지제 이외의 고무제나 금속제여도 좋다. 참고로, 래버린스 구조란, 시일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교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투사재 또는 분진이 시일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통과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말한다. 또한, 제 1 시일체(58) 및 제 2 시일체(68)가 브러시 모(158, 168)로 구성되므로, 판재(板材) 등으로 구성된 경우에 비해 유연한 브러시 모에 의해, 표면에 부착된 투사재를 과도하게 강한 힘으로 제거할 필요 없이, 복수 회 긁어냄으로써 제거가 가능하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시 부재(58A)는, 브러시 모(158)를 유지시키는 브러시 베이스부(258)가 제 1 통형상부(56)에 부착되는 동시에, 브러시 모(158) 부분이 선재 반송방향에서 보았을 때 대략 U자 형상이 되도록 슬릿(58B)이 형성되어 있다. 슬릿(58B)에 의해 짧아진 브러시 모(158)의 선단은, 선재(12)에 접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슬릿(58B)의 폭은, 선재(12)의 직경과 대략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도 4에 도시된 브러시 부재(68A)도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시일부(64)보다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에는, 기류 발생 장치(70)의 기체 유출구로서의 분출구(72)가 배치되어 있다. 기류 발생 장치(70)는, 캐비넷(18) 내측을 향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구성부로서, 제 2 시일 구조부(60)의 케이스체(61)의 상방측에 설치된 송풍기(blower fan; 74)를 구비하고 있다. 송풍기(74)는, 외기 도입용으로서,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배기측이 덕트(76)에 접속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덕트(76)의 하단부는, 대략 직사각형 박스형상의 케이스부(78)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케이스부(78)의 대략 높이방향 중앙부에는, 통형상체로서의 가이드 통체(80)가 선재 반송방향으로 관통하도록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덕트(76) 및 가이드 통체(80)는 기류 발생 장치(7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가이드 통체(80)는, 제 2 시일부(64)보다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며 대략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축심부를 선재(12)가 통과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통체(80)에 있어서는, 반송통로를 따라 관통된 가이드 구멍(80A)이, 선재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부터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을 향해 일단 서서히 직경이 좁아지고 나서 분출구(72)를 경계로 하여 서서히 직경이 커지도록 되어 있다. 가이드 구멍(80A)의 축심은 선재(12)의 반송통로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분출구(72)를 가장 직경이 좁은 부분에 형성함으로써, 분출구(72)로부터 분출된 기류가 고속으로 선재(12)의 표면을 흘러, 부착된 투사재 등을 제거하기 쉬워지는 동시에, 해당 부분에서의 선재(12)의 하류측으로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상류측에서 서서히 직경이 커짐으로써, 기류에 대한 저항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통체(80)에는, 케이스부(78)의 내부공간(78A)과 가이드 구멍(80A)을 연통시키는 통풍구멍으로서의 통풍 슬릿(80B)이 형성되어 있다. 통풍 슬릿(80B)은, 캐비넷(18)(도 4 참조)의 내측을 향한 기류의 풍향을 지향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서, 가이드 통체(80)의 외주측으로부터 축심부측을 향해 선재 반송방향의 상류측으로 경사져 있으며, 가이드 통체(80)의 축심부 둘레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분출구(72)는, 통풍 슬릿(80B)의 가이드 구멍(80A)측의 개구부에 형성되어 있다.
(작용·효과)
다음으로는,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재 공급 장치(도시생략)로부터 공급된 선재(12)는, 반입측 가이드 롤러(14)에 의해 높이 위치가 결정된 상태에서, 제 1 시일부(54)를 거쳐 캐비넷(18)의 반입구(20)측으로부터 반입된다. 선재(12)가 반입측 가이드 롤러(14) 상을 통과할 때에는, 선재(12)가 반송되는 속도가 속도 검출 센서(45)(도 3 참조)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선재(12)는, 캐비넷(18)의 투사실(18A)에서 투사 장치(26)에 의해 투사재가 투사되어, 선재(12)의 표면에 부착되는 스케일이나 녹 등의 부착물이 제거된다. 이후, 선재(12)는, 캐비넷(18)의 반출구(22)측으로부터 반출되어, 제 2 시일부(64)를 거쳐, 반출측 가이드 롤러(16) 상을 통과한다. 반출측 가이드 롤러(16)보다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에서는, 선재 검지 장치(44)에 의해 선재(12)의 유무가 검지된다. 이후, 선재(12)는 도시되지 않은 권취장치에 의해 권취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ECU(46)는, 속도 검출 센서(45)의 검출 결과 및 선재 검지 장치(44)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쇼트 공급 장치(28)에 의한 투사 장치(26)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ECU(46)는, 속도 검출 센서(45)의 검출 속도가 소정속도 미만인 경우에 선재 검지 장치(44)가 선재(12)(도 1 참조)를 검지한 경우에는, 쇼트 공급 장치(28)에 있어서의 쇼트 게이트(28A)의 개방도가 반개방 상태가 되도록 피스톤(28B3)을 변위시키고, 속도 검출 센서(45)의 검출 속도가 소정속도 이상인 경우에 선재 검지 장치(44)가 선재(12)를 검지한 경우에는, 쇼트 공급 장치(28)에 있어서의 쇼트 게이트(28A)의 개방도가 완전개방 상태가 되도록 피스톤(28B3)을 변위시킨다. 또한, ECU(46)는, 속도 검출 센서(45)가 선재(12)(도 1 참조)의 반송 속도를 검출하고 있지 않고(선재(12)의 반송 상태를 검출하고 있지 않고) 또한 선재 검지 장치(44)가 선재(12)를 검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쇼트 게이트(28A)의 개방도를 유지하도록, 즉, 피스톤(28B3)의 위치를 바꾸지 않도록 제어하고, 속도 검출 센서(45)가 선재(12)의 반송 속도를 검출하고 있지 않고 또한 선재 검지 장치(44)가 선재(12)를 검지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쇼트 게이트(28A)의 개방도가 완전폐쇄 상태가 되도록 피스톤(28B3)을 변위시킨다. 이에 따라, 쇼트 공급 장치(28)에 의한 투사 장치(26)로의 투사재 공급량이 조절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서는, 캐비넷(18)의 반입구(20)측에는 제 1 시일부(54)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시일부(54)에는, 선재(12)가 통과가능한 제 1 통형상부(56)의 내측에 제 1 시일체(58)가 배치되어 있다. 제 1 시일체(58)는, 선재(12)의 통과시에 선재(12)와 제 1 통형상부(56)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투사재 누출 저지용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투사된 투사재의 반입구(20)측으로부터의 누출이 제 1 시일체(58)에 의해 저지된다. 한편, 캐비넷(18)의 반출구(22)측에는 제 2 시일부(64)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시일부(64)에는, 선재(12)가 통과가능한 제 2 통형상부(66)의 내측에 제 2 시일체(68)가 배치되어 있다. 제 2 시일체(68)는, 선재(12)의 통과시에 선재(12)와 제 2 통형상부(66)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투사재 누출 저지용으로서 기능한다. 이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투사된 투사재의 반출구(22)측으로부터의 누출이 제 2 시일체(68)에 의해 저지된다. 단, 반출구(22)측으로부터는 선재(12)의 반출에 따라 선재(12)상에 잔류한 투사재나 분진이 반출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서는, 제 2 시일부(64)보다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에는 기류 발생 장치(70)의 분출구(72)가 배치되어, 기류 발생 장치(70)가 캐비넷(18)의 내측을 향한 기류를 발생시키므로, 선재(12) 상에 투사재나 분진이 잔류하고 있더라도, 이러한 투사재나 분진은, 기류와 함께 캐비넷(18)의 내측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제 2 시일체(68)에서 선재(12)로부터 제거된 투사재나 분진은, 기류와 함께 캐비넷(18)의 내측으로 되돌려지기 쉬워진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캐비넷(18)의 내부에서는, 투사 장치(26)에 의해 투사되어 낙하한 투사재가, 캐비넷(18) 내부의 바닥부측에서 스크류 컨베이어(32)에 의해 선재 반송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의 양측(도면 중 좌우 양측)으로부터 중앙부측으로 반송되어 모인다. 스크류 컨베이어(32)에 의한 투사재의 반송처에는 버킷 승강기(34)의 하단부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모인 투사재가 버킷 승강기(34)에 의해 캐비넷(18)의 상방측으로 반송되어, 버킷 승강기(34)를 포함하는 순환 장치(30)에 의해 투사 장치(26)로 순환된다. 순환 장치(30)의 순환 경로에는 분리기(40)가 설치되어 있어, 투사재 이외의 이물질 및 투사된 투사재 중 깨진 투사재가 분리기(40)에 의해 분리제거된다. 또한, 분리기(40)에 접속된 집진기(42)에 의해 분진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인된다. 상기 집진기(42)의 흡인에 의해 분리기(40) 등을 통해 캐비넷(18)의 내부가 음압이 되므로, 기류 발생 장치(70)에 의해 발생한 캐비넷(18)의 내측을 향한 기류가 캐비넷(18)의 내부로 용이하게 들어가, 투사재가 캐비넷(18) 내측으로 효율적으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 따르면, 투사재 등이 장치 내부로부터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동시에, 불필요한 투사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표면 처리 장치로서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 대해, 도 9∼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90)가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90)가 좌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90)가 우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쇼트 블라스트 장치(90)는, 스크류 컨베이어(32)(도 1 참조)를 대신하여, 캐비넷(18)의 바닥부에 경사부(92)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10)(도 1 참조)와는 상이하다. 나머지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부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넷(18)의 바닥부에는, 선재 반송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의 중앙부를 향해 하방측으로 경사진 한 쌍의 경사부(92)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92)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A)는, 25°≤A≤45°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A=28°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캐비넷(18)의 선재 반송방향을 따른 길이(L1)와, 한 쌍의 경사부(92)의 선재 반송방향을 따른 길이의 합(L2)(도면 중의 L21과 L22의 합)은, L2≥(3/4)×L1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경사부(92)의 하단부 사이에 버킷 승강기(34)의 하단부(수집구(34D)측)가 배치되어 있다.
(작용·효과)
이상 설명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90)에 의해서도, 전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에 의해, 투사재 등이 장치 내부로부터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 또는 억제하는 동시에, 불필요한 투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쇼트 블라스트 장치(90)에 따르면, 투사되어 낙하한 투사재가 한 쌍의 경사부(92)를 따라 흘러내림으로써, 투사재가 선재 반송방향을 따른 길이방향의 중앙부측으로 모인다. 모인 투사재는, 버킷 승강기(34)에 의해 캐비넷(18)의 상방측으로 반송되어, 버킷 승강기(34)를 포함하는 순환 장치(30)에 의해 투사 장치(26)로 순환된다.
또한, 캐비넷(18)의 바닥부에 설치된 경사부(92)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A)가 25°≤A로 설정됨으로써, 경사부(92) 상으로 낙하한 투사재가 경사부(92)를 따라 용이하게 흐른다. 한편, 쇼트 블라스트 장치(90)의 높이가 높아지면, 작업자의 조작 위치를 높이기 위한 높이 인상 수단이 필요해지거나, 피트(pit)를 파서 피트 내에 쇼트 블라스트 장치(90)의 하부를 배치함으로써 쇼트 블라스트 장치(90)를 낮은 위치에 설치하거나 할 필요가 생기게 되는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A≤45°로 설정됨으로써, 쇼트 블라스트 장치(90)의 높이 사이즈가 억제된다.
또한, 캐비넷(18)의 선재 반송방향을 따른 길이(L1)와, 한 쌍의 경사부(92)의 선재 반송방향을 따른 길이의 합(L2)을, L2≥(3/4)×L1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설정하고 있으므로, 경사부(92) 상으로 낙하한 투사재는, 경사부(92)에 의해 좁은 한정된 범위로 모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1대의 버킷 승강기(34)로 처리가능한 범위에 투사재가 모여 있으며, 투사재는, 1대의 버킷 승강기(34)에 의해 효율적으로 캐비넷(18)의 상방측으로 반송된다.
[실시형태의 보충 설명]
참고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등에 도시된 쇼트 블라스트 장치(10, 90)에는, 투사재를 원심력으로 가속하여 투사하는 원심식 쇼트 투사 장치가 투사 장치(26)로서 적용되어 있지만, 표면 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투사 장치는, 예컨대, 압축공기와 함께 투사재를 압송(壓送)하여 노즐로부터 분사하는 에어 노즐식의 투사 장치 등과 같은 다른 투사 장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검지 수단이 근접 스위치(44E)를 구비한 선재 검지 장치(44)로 되어 있으나, 검지 수단은, 예컨대, 투광기 및 수광기를 구비하여 피처리 대상물의 유무에 의한 수광량의 변화에 따라 해당 피처리 대상물의 유무를 검지하는 포토센서 등과 같은 다른 검지 수단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검지 수단으로서의 선재 검지 장치(44)가 투사 장치(26)에 대해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피처리 대상물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은, 투사 장치에 대해 선재 반송방향(피처리 대상물의 반송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도 좋으며, 또한, 투사 장치에 대해 상기 선재 반송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양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속도 검출 수단으로서의 속도 검출 센서(45)가 투사 장치(26)에 대해 선재 반송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으나, 피처리 대상물이 반송되는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은, 투사 장치에 대해 선재 반송방향(피처리 대상물의 반송방향)의 하류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속도 검출 센서(45)를 피처리 대상물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쇼트 공급 장치(28)는, 쇼트 게이트(28A)가 요동함으로써 내측통부(28C2)의 하부 개구부(28C3)를 개폐하여 투사 장치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변경가능하도록 되어 있지만, 투사재 공급 장치는, 예컨대, 쇼트 게이트가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내측통부(28C2)의 하부 개구부(28C3)를 개폐하여 투사 장치(26)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변경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ECU(46)는, 선재 검지 장치(44)의 검지 결과 및 속도 검출 센서(45)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쇼트 공급 장치(28)에 의한 투사 장치(26)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조절하고 있으나, 제어수단은,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만 근거하여, 투사재 공급 장치에 의한 투사 장치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조절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수단은, 예컨대, 검지 수단이 피처리 대상물을 검지했을 경우에는 쇼트 게이트를 완전개방 상태로 하고, 검지 수단이 피처리 대상물을 검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쇼트 게이트를 완전폐쇄로 하는 설정이 적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1 등에 도시된 기류 발생 장치(70)가 외기 도입용 송풍기(7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나, 기류 발생 장치는, 예컨대,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시에, 압축공기 공급 장치에 접속된 노즐의 선단에 기체 유출구로서의 분사구를 구비한 기류 발생 장치 등과 같은 다른 기류 발생 장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기류 발생 장치(70)는, 통풍 슬릿(80B)이 형성된 가이드 통체(80)를 구비하고 있으나, 기류 발생 장치는, 이러한 통형상체를 구비하지 않고 노즐이 반송통로측을 향해 캐비넷의 반출구측으로 경사지게 향해 있는 구조를 구비한 기류 발생 장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통체(80)의 축심부 둘레의 전체에 걸쳐 통풍 슬릿(80B)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통풍 구멍은, 예컨대, 통형상체의 축심부 둘레에 간격을 두고 복수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시일체(58) 및 제 2 시일체(68)가 래버린스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투사재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구조가 보다 바람직하지만, 제 1 시일체나 제 2 시일체는, 예컨대, 단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온 브러시 모만으로 구성된 것 등과 같은, 래버린스 구조를 형성하지 않는 제 1 시일체나 제 2 시일체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시일체(58) 및 제 2 시일체(68)가 브러시 모(158, 168)에 의해 래버린스 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나, 제 1 시일체나 제 2 시일체는, 예컨대, 탄성변형이 가능한 복수의 고무제 선형상체 또는 가느다란 띠형상체가 복수 방향으로부터 연장되어 교차하도록 형성되어 래버린스 구조를 형성하는 것 등과 같은, 기타의 제 1 시일체나 제 2 시일체여도 좋다. 또한, 제 1 시일체 및 제 2 시일체에는, 상기 복수의 고무제 선형상체 또는 가느다란 띠형상체의 연장방향이 단일방향을 향한 부재가 복수 이용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부재가 상기 반송방향을 따라 직렬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각 부재의 연장방향이 배열방향으로 보아 교차하도록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시일체(58) 및 제 2 시일체(68)에는, 브러시 모(158, 168)가 단일방향을 향한 브러시 부재(58A, 68A)가 복수 이용되는 동시에, 복수의 브러시 부재(58A, 68A)가 반송방향을 따라 직렬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각 브러시 부재(58A, 68A)의 브러시 모(158, 168)의 방향이 배열방향으로 보아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나, 제 1 시일체나 제 2 시일체에는, 예컨대, 단일의 브러시 부재가 적용되는 동시에 그 브러시 모가 복수 방향으로부터 연장되어 교차함으로써 래버린스 구조가 형성된 것을 적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브러시 모(158)를 유지시키는 브러시 베이스부(258)가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브러시 모를 유지시키는 브러시 베이스부는, 원형상이나 나선형상 등과 같은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시일부(64)가 반송방향을 따라 직렬적으로 복수(2개) 배치되어 있으며, 투사재의 누설을 방지하는 관점에서는 이러한 구성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제 2 시일부가 1개 배치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제 2 시일부(64)가 반송방향을 따라 직렬적으로 3개 이상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시일부(54)를 포함하는 제 1 시일 구조부(50)가, 캐비넷(18)의 반입구(20)에 대해 선재 반송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제 1 시일부를 포함하는 구조부는, 캐비넷의 반입구에 대해 선재 반송방향(피처리 대상물의 반송방향)의 하류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시일부(64)를 포함하는 제 2 시일 구조부(60)가, 캐비넷(18)의 반출구(22)에 대해 선재 반송방향의 하류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으나, 제 2 시일부를 포함하는 구조부는, 캐비넷의 반출구에 대해 선재 반송방향(피처리 대상물의 반송방향)의 상류측에 인접하게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순환 장치(30)가 설치되어 있으며, 투사재를 순환시켜 재이용하는 관점에서는 순환 장치(30)가 설치되는 구성이 바람직하지만, 순환 장치가 없는 표면 처리 장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경사부(92)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A)가 25°≤A≤45°로 설정되어 있으며, 장치의 높이 사이즈를 억제하면서 투사재를 용이하게 흘려서 떨어뜨리는 관점에서는, 이러한 구성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경사부의 수평면에 대한 경사각도(A)가 A<25°나 A>45°로 설정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캐비넷(18)의 선재 반송방향을 따른 길이(L1)와, 경사부(92)의 선재 반송방향을 따른 길이의 합(L2)(도 9의 L21과 L22의 합)이, L2≥(3/4)×L1의 관계가 성립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경사부(92) 상으로 낙하한 투사재를 좁은 한정된 범위로 모으는 관점에서는, 이러한 설정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L2<(3/4)×L1이 되도록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표면 처리 장치가, 쇼트 블라스트 장치(10, 90)로 되어 있으나, 표면 처리 장치는, 예컨대, 쇼트 피닝(shot peening) 장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피처리 대상물을 선재(12)로 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10, 90)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표면 처리 장치는, 예컨대, 피처리 대상물이 표면 처리 장치의 상류측으로부터 풀려나와 하류측에서 권취되는 띠강(band steel)이나, 막대형상 부재, 판형상 부재 등과 같은 기타의 피처리 대상물을 처리하기 위한 표면 처리 장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 90)가, 제 1 시일부(54), 제 2 시일부(64) 및 기류 발생 장치(70)를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표면 처리 장치는, 이것들 중 어느 것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나 이들 모두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좋다.
참고로, 상기 실시형태 및 상술한 복수의 변형예는,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소정의 반송방향으로 반송되는 피처리 대상물에 대해 투사재를 투사하는 투사 장치와,
    상기 투사 장치에 대해 상기 반송방향의 상류측 및 하류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유무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과,
    상기 투사 장치로의 투사재 공급용으로 되며, 상기 투사 장치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변경가능한 투사재 공급 장치와,
    상기 검지 수단의 검지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투사재 공급 장치에 의한 상기 투사 장치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조절하는 제어수단을 가지고,
    상기 검지 수단은,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반송되는 반송통로의 상방측에 배치된 장치로서,
    상기 반송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지지축 둘레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되며, 자유상태에서는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이 되는 자세로 배치되는 아암과,
    상기 아암에 있어서의 그 자유상태에서 상기 지지축보다 하방측의 하단이 되는 부위에 부착되는 동시에, 반송중인 상기 피처리 대상물에 의해 밀리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축과 평행한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한 롤러와,
    상기 아암에 있어서의 그 자유상태에서 상기 지지축보다 상방측의 상단이 되는 부위에 부착된 자성체와,
    반송중인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상기 롤러를 밀어 상기 아암을 회전 이동시킨 경우에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반송방향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자성체의 근접을 검출하는 근접 스위치를 구비하는, 표면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반송되는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수단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속도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투사재 공급 장치에 의한 상기 투사 장치로의 투사재 공급량을 조절하는, 표면 처리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장치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에 의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표면가공을 하는 투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피처리 대상물 반입용의 반입구 및 반출용의 반출구가 형성된 캐비넷과,
    상기 캐비넷의 반입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내측을 통과가능한 제 1 통형상부와, 상기 제 1 통형상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통과시에 상기 피처리 대상물과 상기 제 1 통형상부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투사재의 누출 저지용으로 된 제 1 시일체를 구비한 제 1 시일부와,
    상기 캐비넷의 반출구측에 배치되며,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내측을 통과가능한 제 2 통형상부와, 상기 제 2 통형상부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통과시에 상기 피처리 대상물과 상기 제 2 통형상부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투사재의 누출 저지용으로 된 제 2 시일체를 구비한 제 2 시일부와,
    상기 제 2 시일부보다 상기 반송방향의 하류측에 기체 유출구가 배치되어, 상기 캐비넷의 내측을 향한 기류를 발생시키는 기류 발생 장치를 가지는, 표면 처리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장치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를 상기 캐비넷의 상방측으로 반송하는 버킷 승강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투사재를 상기 투사 장치로 순환시키는 순환 장치와,
    상기 순환 장치의 순환 경로에 설치되며, 상기 투사재 이외의 이물질 및 투사된 상기 투사재 중 깨진 투사재를 분리제거하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에 접속되어, 분진을 포함하는 공기를 흡인하는 집진기를 가지는, 표면 처리 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37004513A 2010-08-10 2010-11-16 표면 처리 장치 KR1016009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179873A JP5545113B2 (ja) 2010-08-10 2010-08-10 表面処理装置
JPJP-P-2010-179873 2010-08-10
PCT/JP2010/070329 WO2012020515A1 (ja) 2010-08-10 2010-11-16 表面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8724A KR20130138724A (ko) 2013-12-19
KR101600971B1 true KR101600971B1 (ko) 2016-03-08

Family

ID=45567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4513A KR101600971B1 (ko) 2010-08-10 2010-11-16 표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45113B2 (ko)
KR (1) KR101600971B1 (ko)
CN (1) CN102371543B (ko)
TW (1) TWI488714B (ko)
WO (1) WO201202051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21165B (zh) * 2013-01-30 2017-09-29 新东工业株式会社 喷丸处理装置
CN104648955B (zh) * 2013-11-20 2017-04-26 上海船舶工艺研究所 一种用于检测特种金属磨料流量的显示报警装置及其使用方法
CN105624590A (zh) * 2014-11-28 2016-06-01 财团法人金属工业研究发展中心 金属线材细晶化加工装置
CN104924221A (zh) * 2015-06-24 2015-09-23 常州好迪机械有限公司 一种抛丸设备
WO2018051529A1 (ja) * 2016-09-15 2018-03-22 新東工業株式会社 ショット処理装置
JP6593545B2 (ja) * 2016-09-15 2019-10-23 新東工業株式会社 ショット処理装置
US11161220B2 (en) 2017-06-30 2021-11-02 Sintokogio, Ltd. Shot treatment device
CN107414685B (zh) * 2017-08-23 2023-07-28 华纬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功能线材抛丸后表面残留物清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8107A (ja) 2003-09-16 2005-04-07 Kyodo Shaft Co Ltd 線材の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200511Y (zh) * 1994-09-05 1995-06-14 山东工业大学 螺旋进丸高效抛丸器
JPH0890417A (ja) * 1994-09-20 1996-04-09 Amada Co Ltd バリ取り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238706Y (zh) * 1996-01-05 1996-10-30 锡山市昌华煤气机械厂 钢瓶、钢管抛丸清理装置
CN2264635Y (zh) * 1996-09-03 1997-10-15 青岛铸造机械厂 一种线材抛丸清理机
JP3924312B2 (ja) * 1998-06-25 2007-06-06 澁谷工業株式会社 ブラスト加工装置
JP4172141B2 (ja) * 2000-10-05 2008-10-29 新東工業株式会社 線材用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のシ−ル機構
CN2637503Y (zh) * 2003-08-01 2004-09-01 沈阳黎明航空发动机(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抛丸强化机
JP4385803B2 (ja) * 2004-03-17 2009-12-1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表面テクスチャー付金属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88107A (ja) 2003-09-16 2005-04-07 Kyodo Shaft Co Ltd 線材のショットブラス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06637A (en) 2012-02-16
KR20130138724A (ko) 2013-12-19
JP2012035390A (ja) 2012-02-23
CN102371543B (zh) 2016-04-06
WO2012020515A1 (ja) 2012-02-16
TWI488714B (zh) 2015-06-21
JP5545113B2 (ja) 2014-07-09
CN102371543A (zh)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971B1 (ko) 표면 처리 장치
US7865997B2 (en) Dry type cleaning apparatus and dry type cleaning method
KR101600984B1 (ko) 표면 처리 장치
US7617562B2 (en) Apparatus for contactless cleaning of a conveying element and arrangement for transporting and/or storing of rod-shaped articles with an apparatus for contactless cleaning of a conveying element
JP2010264448A (ja) 乾式洗浄装置
KR20140112472A (ko) 쇼트 처리 장치
KR101525219B1 (ko)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JP5720444B2 (ja) ショット処理装置
US20230356359A1 (en) Blast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Blast Machine
KR20040012342A (ko) 쇼트 블라스트의 이물질 분리장치
KR101852946B1 (ko) 쇼트 처리 장치
KR101808727B1 (ko) 표면 처리 장치
JP6669349B2 (ja) 粉体供給装置および粉体供給機構
KR101453734B1 (ko) 제거 도막 수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노후관 갱생방법
KR101460592B1 (ko) 노후관 갱생을 위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
JPH11170172A (ja) 粉粒体噴射式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