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946B1 - 쇼트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쇼트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946B1
KR101852946B1 KR1020137012036A KR20137012036A KR101852946B1 KR 101852946 B1 KR101852946 B1 KR 101852946B1 KR 1020137012036 A KR1020137012036 A KR 1020137012036A KR 20137012036 A KR20137012036 A KR 20137012036A KR 101852946 B1 KR101852946 B1 KR 101852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on changing
changing roller
processed
rolle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2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989A (ko
Inventor
마사토시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399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9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1/00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 B24C1/08Methods for use of abrasive blasting for producing particular effects;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methods for polishing surfaces, e.g. smoothing a surface by making use of liquid-borne abrasives
    • B24C1/086Descaling; Removing coatin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CABRASIVE OR RELATED BLASTING WITH PARTICULATE MATERIAL
    • B24C3/00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 B24C3/32Abrasive blasting machines or devices; Plants designed for abrasive blasting of particular work, e.g. the internal surfaces of cylinder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투사 후의 반송 라인에서 피처리 대상물 위의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쇼트 처리 장치를 얻는다. 피처리 대상물(12)의 반송 라인에는 안내 롤러 그룹(40)이 설치되어 있으며, 피처리 대상물(12)은 안내 롤러 그룹(40)에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안내된다. 피처리 대상물(12)은, 투사기(20)에 의해 투사재가 투사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41)에서는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며, 제 1 영역(41)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의 제 2 영역(42)에서는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상승 방향으로 안내된다. 또한, 제 2 영역(42)의 상방측에는 에어 블로어 장치(56)의 기체 유출구(56A)가 배치되며, 에어 블로어 장치(56)는, 피처리 대상물(12)에 대한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한 기체의 분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쇼트 처리 장치{SHOT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반송되는 피처리 대상물에 대해 투사기가 투사재를 투사하는 쇼트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쇼트 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긴 형상의 금속 강판을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고속 반송하면서 금속 강판에 대해 투사재를 투사하는 장치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제2003-260665호
그렇지만, 이 장치에서는, 투사 후의 반송 라인에서 금속 강판 위에 부착한 스케일이나 투사재 등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우며, 금속 강판 위에 부착물이 존재함으로써 금속 강판의 권취가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투사 후의 반송 라인에서 피처리 대상물 위의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는 쇼트 처리 장치를 얻는 것이 목적이다.
제 1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는, 반송되는 긴 형상(長尺狀)의 피(被)처리 대상물에 대해 투사재를 투사하는 투사기와,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반송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투사기에 의해 투사재가 투사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서 상기 피처리 대상물을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의 제 2 영역에서 상기 피처리 대상물을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상승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롤러 그룹을 갖는다.
제 1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에 의하면, 반송되는 긴 형상의 피처리 대상물에 대해서는, 투사기에 의해 투사재가 투사된다. 또한, 피처리 대상물의 반송 라인에는 안내 롤러 그룹이 설치되어 있어, 피처리 대상물은 안내 롤러 그룹에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안내된다. 여기서, 피처리 대상물은, 투사기에 의해 투사재가 투사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서는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며, 제 1 영역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의 제 2 영역에서는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상승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피처리 대상물 위의 부착물은, 제 2 영역에서 상승 반송 시의 공기 저항 및 중력에 의해 하방(下方)측으로 떨어진다.
제 2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는, 제 1 관점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안내 롤러 그룹은, 상기 제 2 영역의 반송 방향 최상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감아 걸어지는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와, 상기 제 2 영역의 반송 방향 최하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감아 걸어지며, 상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보다 상방(上方)측에 배치된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와, 상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이며 또한 상기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감아 걸어지며, 상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보다 상방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와인딩(winding)부가 상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와 상기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하방측에 설정된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를 구비하고 있다.
제 2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에 의하면,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가 제 2 영역의 반송 방향 최상류부에 설치되어 피처리 대상물이 감아 걸어지는 동시에,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가 제 2 영역의 반송 방향 최하류부에 설치되어 피처리 대상물이 감아 걸어지며 또한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는,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이며 또한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어 피처리 대상물이 감아 걸어지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보다 상방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그 와인딩부가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와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하방측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처리 대상물은, 제 2 영역에서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와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 사이에서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상승 방향으로 안내 반송된 후,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와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 사이에서 더욱 상측을 향해 안내 반송된다. 이에 따라,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와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 사이에서는, 피처리 대상물 위의 부착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떨어지는 동시에, 제 2 영역의 반송 방향 최상류부에 설치되는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의 직경을 억제할 수 있다.
제 3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는, 제 2 관점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투사기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에 의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표면 가공을 행하는 투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넷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는 상기 캐비넷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 및 상기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는 상기 캐비넷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 3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에 의하면, 피처리 대상물의 표면 가공은, 캐비넷의 내부에 형성된 투사실에서 투사기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에 의해 이루어지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는 캐비넷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 및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는, 캐비넷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캐비넷의 내부에 먼지 등이 있어도,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와 피처리 대상물 사이 및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와 피처리 대상물 사이에는 이러한 먼지는 감겨 들어가지 않는다.
제 4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는, 제 1~3 관점에 따른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반송 라인의 상방측에 기체 유출구가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에 대한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한 기체의 분사가 가능한 분사 장치를 갖는다.
제 4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에 의하면, 제 2 영역에서의 피처리 대상물의 반송 라인의 상방측에는 분사 장치의 기체 유출구가 배치되며, 분사 장치는, 피처리 대상물에 대한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한 기체의 분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처리 대상물 위로부터 제 2 영역의 반송 방향 최상류부측으로 떨어지려고 하는 먼지 등이, 분사 장치의 기체 분사에 의해 가속되어 불어 떨어진다.
제 5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는, 제 4 관점에 따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반송 라인의 상방측이며 또한 상기 기체 유출구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흡인구가 배치되며 또한 집진기의 흡기측으로 통하는 흡인 덕트를 갖는다.
제 5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에 의하면, 제 2 영역에서의 피처리 대상물의 반송 라인의 상방측이며 또한 기체 유출구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는 흡인 덕트의 흡인구가 배치되며, 흡인 덕트는, 집진기의 흡기측에 통해 있다. 이 때문에, 분사 장치의 기체 분사에 의해 피처리 대상물 위로부터 불어 떨어진 먼지 등은, 흡인 덕트의 흡인구로부터 흡인된다.
제 6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는, 제 1~3 관점에 따른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안내 롤러 그룹은, 외주면(外周面)에 홈이 형성된 홈 부착 롤러를 상기 제 2 영역에 구비하고 있다.
제 6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에 의하면, 안내 롤러 그룹은, 외주면에 홈이 형성된 홈 부착 롤러를 제 2 영역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만일 제 2 영역에서 피처리 대상물 위로부터 떨어진 먼지 등이 피처리 대상물과 홈 부착 롤러 사이에 들어가도, 상기 먼지 등이 빠지기 쉽다. 이 때문에, 피처리 대상물에 먼지 등이 부착하기 어렵다.
제 7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는, 제 1~3 관점에 따른 발명 중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안내 롤러 그룹은, 상기 제 1 영역에, 고무 롤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 7 관점에 따른 본 발명의 쇼트 처리 장치에 의하면, 안내 롤러 그룹은, 제 1 영역에, 고무 롤러를 더 구비하고 있으므로, 만일 제 1 영역에서 피처리 대상물과 고무 롤러 사이에 투사재가 들어가도, 피처리 대상물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쇼트 처리 장치에 의하면, 투사 후의 반송 라인에서 피처리 대상물 위의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쇼트 처리 장치로서의 쇼트 블라스트 장치에 대해 도 1~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이러한 도면에서 적당히 도시된 화살표 "FR"은 장치를 정면에서 봤을 때 앞쪽을 나타내고 있고, 화살표 "UP"는 장치 상방측을 나타내고 있으며, 화살표 "LH"는 장치를 정면에서 봤을 때 좌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전체 구성이 정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전체 구성이 우측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일부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쇼트 블라스트 장치(10)는, 금속제이며 긴 판 형상의 제품(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열간 압연 후의 규소 강판)을 피처리 대상물(12)로 하고 있다. 또한, 도면 중에서 도시된 화살표 "X"는, 피처리 대상물(12)이 반송되는 반송 방향(이하, 적당히 「강판 반송 방향」이라고 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 대해 강판 반송 방향(강판 주행 방향)의 상류측(도면 중 우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강판 공급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강판 공급 장치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 대한 피처리 대상물(12)의 공급용이 되며,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서 블라스트 처리되기 전의 피처리 대상물(12)이 감겨진 권출(捲出)부와, 상기 권출부로부터 풀려 나오는 피처리 대상물(12)을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반입부로 안내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 대해 강판 반송 방향의 하류측(도면 중 좌측)에는, 도시하지 않은 권취(倦取)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권취 장치는, 구동 모터로 회전 구동되는 릴(reel)을 구비하고 있으며,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서 블라스트 처리되어 반출된 피처리 대상물(12)을 상기 릴에 의해 소정 속도 및 소정 장력(텐션)으로 권취하는 장치이다. 참고로, 본 실시형태에서의 피처리 대상물(12)의 반송은, 고속(일례로서, 반송 속도가 20~80m/min)으로 행해진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쇼트 블라스트 장치(10)는, 캐비넷(14)을 구비하고 있다. 캐비넷(14)의 내부에는, 강판 반송 방향의 상류측에 투사실(14A)(「가공실」, 「연소실」이라고도 함)이 형성되는 동시에, 투사실(14A)보다 강판 반송 방향의 하류측(도면 중 좌측)에 블로우 다운(blow down) 챔버(14B)가 형성되어 있다. 투사실(14A)은, 후술하는 투사기(20)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에 의해 피처리 대상물(12)의 표면 가공을 행하기 위한 챔버부이며, 블로우 다운 챔버(14B)는, 피처리 대상물(12) 위의 부착물을 불어 떨어뜨리기 위한 챔버부이다. 이러한 투사실(14A)과 블로우 다운 챔버(14B)는, 칸막이 벽(14C)에 의해 나누어져 있다. 또한, 캐비넷(14)에는, 강판 반송 방향의 상류측(도면 중 우측)에 피처리 대상물(12)이 반입되는 입구(16)가 형성되는 동시에, 강판 반송 방향의 하류측(도면 중 좌측)에 피처리 대상물(12)의 출구(1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캐비넷(14)에는, 투사실(14A)에서의 피처리 대상물(12)의 반송 라인(반송 통로)의 상하 좌우에 합계 4대의 투사기(20)가 부착되어 있다(도 2 참조). 도 1에 도시된 본 실시형태의 투사기(20)는, 날개차(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투사재(쇼트,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강구(鋼球))에 원심력을 부여하여 투사하는 원심식 쇼트 투사기(임펠러-유닛, 원심 투사 수단)로 되어 있으며, 투사재의 투사 방향을 변경시키기 위한 컨트롤 게이지를 구비하고 있다. 투사기(20)는, 투사실(14A)에서 강판 반송 방향으로 반송되는 피처리 대상물(12)에 대해, 투사재를 원심력으로 가속하여 투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투사기(20)가 4대 설치됨으로써, 피처리 대상물(12)을 향해 상하 좌우 방향으로부터 투사재가 투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투사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처리 대상물(12)의 표면에 부착하는 스케일·녹 등의 부착물을 제거하기 위해 행해진다.
투사기(20)는, 유량 조정 장치(22; 쇼트 공급 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 조정 장치(22)는, 투사기(20)에 투사재를 공급하는 장치로, 투사재의 공급부에 개폐 가능한 쇼트 게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쇼트 게이트의 개방도가 조정됨으로써 투사기(20)에 대한 투사재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유량 조정 장치(22)는, 원격 조작식 유량 조정 장치로 되어 있으며, 원격 조작에 의해 쇼트 게이트의 개방도가 조정된다.
참고로, 적정한 투사재의 공급량은, 피처리 대상물(12)의 반송 속도 및 피처리 대상물(12)의 폭에 따라 변경된다. 또한, 피처리 대상물(12)의 폭이 변화한 경우에 있어서의 투사를 최적으로 하기 위해, 투사기(20)의 컨트롤 게이지를 원격 조작으로 작동시키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투사기(20)에는, 유량 조정 장치(22)를 통해 순환 장치(24)가 연결되어 있다. 순환 장치(24)는, 투사기(20)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를 반송하여 투사기(20)로 순환시키기 위한 장치로, 피처리 대상물(12)의 반송 라인의 하방측에 투사재를 회수하기 위한 호퍼(26)를 구비하고 있다. 호퍼(26)의 하방측에는, 스크류 컨베이어(28)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컨베이어(28)는, 수평으로 배치되며 장치 전후 방향(도 2의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어, 호퍼(26)로부터 흘러 내린 투사재를 스크류 컨베이어(28)의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방향(도 2의 우측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28)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장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버킷 엘리베이터(30)의 하단부측이 배치되어 있다. 버킷 엘리베이터(30)는, 공지 구조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지만, 도 1에 도시하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상부 및 하부에 배치된 풀리(30A)에 무단 벨트(30B)가 감아 걸어지는 동시에, 무단 벨트(30B)에 다수의 버킷(도시 생략)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풀리(30A)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력 전달 수단을 통해 구동용 모터에 접속되어 회전 구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버킷 엘리베이터(30)는, 스크류 컨베이어(28)에서 회수한(일시 저장된) 투사재를 상기 버킷으로 퍼올리는 동시에, 풀리(30A)를 구동용 모터로 회전시킴으로써, 버킷 내의 투사재를 캐비넷(14)의 상방측을 향해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버킷 엘리베이터(30)의 상부는, 슈트(32; chute, 투사용 슈트)를 통해 스크류 컨베이어(34)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컨베이어(34)는, 수평으로 배치되며 장치 전후 방향(도 2의 좌우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고 있어, 버킷 엘리베이터(30)의 상부로부터 슈트(32)를 통해 흘러 내린 투사재를 스크류 컨베이어(34)의 길이 방향을 따른 소정 방향(도 2의 좌측)으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스크류 컨베이어(34)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풍선식(風選式) 세퍼레이터(36)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세퍼레이터(36)는, 투사재 이외의 이물(피처리 대상물(12)의 표면으로부터 탈락한 미세 스케일 등) 및 깨진 투사재를 분리 제거하도록 되어 있어, 재이용 가능(사용 가능)한 투사재를 떨어뜨려 넣는 하단부의 하방측에, 투사재 저장용 쇼트 탱크(38)가 배치되어 있다. 쇼트 탱크(38)는, 투사재의 저장용으로 되어 있으며, 바닥부측이 유량 조정 장치(22)에 연통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재이용 가능한 투사재가 세퍼레이터(36)로부터 쇼트 탱크(38)를 통해 유량 조정 장치(22)로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참고로, 세퍼레이터(36)는, 배출 파이프를 통해 분리 제거한 이물 등을 미세분말·입자 투입함으로 흐르도록 되어 있다.
한편, 피처리 대상물(12)의 반송 라인에는, 반입 롤러(44), 받침 롤러(46), 제 1 방향 변환 롤러(50), 제 2 방향 변환 롤러(52), 및 제 3 방향 변환 롤러(54)로 구성되는 안내 롤러 그룹(40)이 설치되어 있다. 안내 롤러 그룹(40)을 구성하는 상기 각 롤러의 축방향은, 모두 장치 전후 방향(도 1의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되어 있다. 안내 롤러 그룹(40)은, 투사기(20)에 의해 투사재가 투사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41)에서 피처리 대상물(12)을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제 1 영역(41)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의 제 2 영역(42)에서 피처리 대상물(12)을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상승 방향으로 안내한다.
제 1 영역(41)에는, 캐비넷(14)의 입구(16)의 외측에 한 쌍의 반입 롤러(44)가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반입 롤러(44)는, 고무 롤러로 되어 있으며, 캐비넷(14)에 설치된 베어링부(도시 생략)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피처리 대상물(12)을 끼움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영역(41)에서의 투사실(14A)의 강판 반송 방향의 중간부에는, 받침 롤러(46)가 배치되어 있다. 받침 롤러(46)는, 캐비넷(14)에 설치된 베어링부(도시 생략)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피처리 대상물(12)을 하방측으로부터 지지한다(받친다).
또한, 투사실(14A)의 강판 반송 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된 칸막이 벽(14C)에는, 베어링 부재(48)가 부착되어 있다. 베어링 부재(48)는, 블로우 다운 챔버(14B)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로서의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는, 캐비넷(14)의 내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홈(50B)이 형성된 홈 부착 롤러로 되어 있으며, 피처리 대상물(12)이 감아 걸어지는 와인딩부(50A)(도 1 참조)가 하면측에 설정되어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는, 그 축심보다 강판 반송 방향의 상류측의 부위가 제 1 영역(41)의 반송 방향 최하류부에 배치되며, 상기 축심보다 강판 반송 방향의 하류측의 부위가 제 2 영역(42)의 반송 방향 최상류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 2 영역(42)의 반송 방향 최하류부에는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로서의 제 3 방향 변환 롤러(54)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방향 변환 롤러(54)는,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보다 상방측이며 또한 캐비넷(14)의 외측(장치를 정면에서 봤을 때 좌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보다 직경이 큰 롤러로 되어 있다. 또한, 제 3 방향 변환 롤러(54)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설치된 베어링부(도시 생략)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피처리 대상물(12)이 감아 걸어지는 와인딩부(54A)(도 1 참조)가 상면측으로부터 장치를 정면에서 봤을 때 우측에 걸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이며 또한 제 3 방향 변환 롤러(54)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는,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로서의 제 2 방향 변환 롤러(52)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방향 변환 롤러(52)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설치된 베어링부(도시 생략)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방향 변환 롤러(52)는,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보다 상방측이며 또한 캐비넷(14)의 외측(장치를 정면에서 봤을 때 좌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그 와인딩부(52A)(피처리 대상물(12)이 감아 걸어지는 부분)가 제 1 방향 변환 롤러(50)의 와인딩부(50A)와 제 3 방향 변환 롤러(54)의 와인딩부(54A)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하방측에 설정되어 있다. 제 2 방향 변환 롤러(52)에 피처리 대상물(12)이 감아 걸어지는 와인딩부(52A)는, 제 2 방향 변환 롤러(52)에서의(장치를 정면에서 봤을 때) 좌측 하면측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2 영역(42)에서의 피처리 대상물(12)의 반송 라인의 상방측에는, 분사 장치로서의 에어 블로어 장치(56)의 기체 유출구(56A)가 배치되어 있다. 이 기체 유출구(56A)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방향 변환 롤러(50)(제 2 영역(42)의 반송 방향 최상류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이며 제 2 방향 변환 롤러(52)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에어 블로어 장치(56)는, 캐비넷(14)의 상방부에 설치된 블로어 팬(56B)을 구비하고 있다. 블로어 팬(56B)은, 외기(外氣) 도입용으로 되어 있고 구동 모터(56D)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덕트(56C)에 접속되어 있다. 덕트(56C)의 하부 선단(先端)측에는 기체 유출구(56A)를 구비한 노즐부(156)(도 3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도 3에서는, 배치되는 노즐부(156)의 일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블로어 장치(56)는, 구동 모터(56D)의 구동에 의해 기체 유출구(56A)로부터 피처리 대상물(12)의 상면에 대한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한 기체(에어)의 분사가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다.
에어 블로어 장치(56)의 기체의 분사 방향은, 도 3에 도시하는 노즐부(156)의 경사 각도에 의해 설정되어 있다. 에어 블로어 장치(56)에 의한 기체의 분사는, 분사된 기체의 유선 방향이 하방을 향해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경사지는 방향이 되도록, 또한 장치를 평면에서 봤을 때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해 대체로 피처리 대상물(12)의 폭방향 외측을 향하는 방향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영역(42)에서의 피처리 대상물(12)의 반송 라인의 상방측이며 또한 기체 유출구(56A)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는, 흡인 덕트(58)의 흡인구(58A)가 블로우 다운 챔버(14B)의 천장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 흡인구(58A)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 모든 부위가 제 1 방향 변환 롤러(50)의 축심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흡인 덕트(58)는, 집진기(60)(도면 중에서는 블록화하여 모식적으로 도시함)의 흡기측에 통하고 있으며, 집진기(60)는, 공기를 흡입하는 팬(흡입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참고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흡인 덕트(58)는 분기(分岐)되어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인 덕트(58)의 흡인구(58A)는 2개로 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은, 피처리 대상물(12)의 폭방향 양단부의 상방 부근에 설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실시형태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서는, 반송되는 긴 형상의 피처리 대상물(12)에 대해서는, 투사실(14A)에서 투사기(20)에 의해 투사재가 투사된다. 또한, 피처리 대상물(12)의 반송 라인에는 안내 롤러 그룹(40)이 설치되어 있어, 피처리 대상물(12)은 안내 롤러 그룹(40)에 반송 방향 하류측으로 안내된다. 여기서, 피처리 대상물(12)은, 투사기(20)에 의해 투사재가 투사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41)에서는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안내되며, 제 1 영역(41)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의 제 2 영역(42)에서는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상승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때문에, 피처리 대상물(12) 위의 부착물은, 제 2 영역(42)에서 상승 반송 시의 공기 저항 및 중력에 의해서 하방측으로 떨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방향 변환 롤러(50)가 제 2 영역(42)의 반송 방향 최상류부에 설치되는 동시에, 제 3 방향 변환 롤러(54)가 제 2 영역(42)의 반송 방향 최하류부에 설치되며,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보다 상방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대해, 제 2 방향 변환 롤러(52)는,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이며 또한 제 3 방향 변환 롤러(54)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며,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보다 상방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그 와인딩부(52A)가 제 1 방향 변환 롤러(50)의 와인딩부(50A)와 제 3 방향 변환 롤러(54)의 와인딩부(54A)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하방측에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처리 대상물(12)은, 제 2 영역(42)에서 제 1 방향 변환 롤러(50)의 와인딩부(50A)와 제 2 방향 변환 롤러(52)의 와인딩부(52A) 사이에서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상승 방향으로(완만하게 경사진 상태로) 안내 반송된 후, 제 2 방향 변환 롤러(52)의 와인딩부(52A)와 제 3 방향 변환 롤러(54)의 와인딩부(54A) 사이에서 더욱 상측을 향해(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안내 반송된다. 이에 따라, 제 2 방향 변환 롤러(52)의 와인딩부(52A)와 제 3 방향 변환 롤러(54)의 와인딩부(54A) 사이에서는, 피처리 대상물(12) 위의 부착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떨어지는 동시에, 제 2 영역(42)의 반송 방향 최상류부에 설치되는 제 1 방향 변환 롤러(50)의 직경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방향 변환 롤러(52) 및 제 3 방향 변환 롤러(54)는, 캐비넷(1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캐비넷(14)의 내부에 먼지 등이 있어도, 제 2 방향 변환 롤러(52)와 피처리 대상물(12) 사이 및 제 3 방향 변환 롤러(54)와 피처리 대상물(12) 사이에는 이러한 먼지는 감겨 들어가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서는, 제 2 영역(42)에서의 피처리 대상물(12)의 반송 라인의 상방측이며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에어 블로어 장치(56)의 기체 유출구(56A)가 배치되고, 에어 블로어 장치(56)는, 피처리 대상물(12)에 대한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한 기체의 분사가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피처리 대상물(12) 위로부터 제 2 영역(42)의 반송 방향 최상류부측으로 떨어지려고 하는 먼지 등이, 에어 블로어 장치(56)의 기체 분사에 의해 가속되어 불어 떨어진다.
그리고, 제 2 영역(42)에서의 피처리 대상물(12)의 반송 라인의 상방측이며 또한 기체 유출구(56A)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의 상방측에는, 흡인 덕트(58)의 흡인구(58A)가 배치되며, 흡인 덕트(58)는, 집진기(60)의 흡기측에 통하고 있다. 이 때문에,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블로어 장치(56)의 기체 분사에 의해 피처리 대상물(12) 위로부터 불어 떨어진 먼지 등은, 기본적으로는 제 1 방향 변환 롤러(50)에 이르기 전에 흡인 덕트(58)의 흡인구(58A)로부터 흡인된다. 참고로, 도 3에서는, 피처리 대상물(12) 위의 먼지 등이 불어 떨어지며 상기 먼지 등을 포함하는 공기가 흡인되는 기류의 방향을 일례로서 화살표 "A"로 나타내고 있다.
한편,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는, 외주면에 홈(50B)이 형성된 홈 부착 롤러로 되어 있으므로, 만일 제 2 영역(42)에서 피처리 대상물(12) 위로부터 떨어진 먼지 등이 피처리 대상물(12)과 제 1 방향 변환 롤러(50) 사이로 들어가더라도, 상기 먼지 등이 빠지기 쉽다. 이 때문에, 피처리 대상물(12)에 먼지 등이 부착하기 어렵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제 1 영역(41)에 설치된 한 쌍의 반입 롤러(44)가 고무 롤러로 되어 있으므로, 만일 제 1 영역(41)에서 피처리 대상물(12)과 반입 롤러(44) 사이에 투사재가 들어가더라도, 피처리 대상물(12)에 대한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 의하면, 투사 후의 반송 라인에서 피처리 대상물(12) 위의 부착물을 제거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 대해 강판 반송 방향의 하류측(도면 중 좌측)에 배치되는 권취 장치(도시 생략)에서는, 피처리 대상물(12)을 용이하게 권취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피처리 대상물(12)은 긴 판 형상의 강판으로 되어 있지만, 피처리 대상물은, 예를 들면, 긴 선 형상의 선재(線材) 등과 같은 다른 피처리 대상물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투사재를 원심력으로 가속하여 투사하는 원심식 투사기(20)가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의 투사기로서 이용되고 있지만, 투사기는, 예를 들면, 압축 공기와 함께 투사재를 압송(壓送)하여 노즐로부터 분사하는 에어 노즐식 투사기 등과 같은 다른 투사기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방향 변환 롤러(52)가 설치되어 있지만,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가 설치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방향 변환 롤러(52)가 한개 설치되어 있지만,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가 복수개 설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방향 변환 롤러(52) 및 제 3 방향 변환 롤러(54)는 캐비넷(14)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는 캐비넷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되며,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도 캐비넷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에 에어 블로어 장치(56)가 설치되어 있으며, 피처리 대상물(12) 위의 부착물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관점에서는 이러한 구성이 바람직하지만, 쇼트 처리 장치는, 분사 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블로어 장치(56)가 외기 도입용 블로어 팬(56B)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분사 장치는, 예를 들면,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 공기 공급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동시에, 압축 공기 공급 장치에 접속된 노즐의 선단에 기체 유출구로서의 분사구를 구비한 분사 장치 등과 같은 다른 분사 장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블로어 장치(56)의 노즐부(156)(도 3 참조)의 경사 각도에 따라 에어 블로어 장치(56)에 의한 기체의 분사 방향을 설정하고 있지만, 분사 장치에 의한 기체의 분사 방향의 설정은, 예를 들면, 분사 장치의 기체 유출구에 인접하여 편향판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 편향판의 자세에 따라 설정하는 등과 같이, 다른 구조로 설정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블로어 장치(56)가 피처리 대상물(12)에 대한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한 기체의 분사가 가능해지도록 되어 있으며, 피처리 대상물(12) 위의 부착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관점에서는 이러한 구성이 바람직하지만, 분사 장치가 피처리 대상물에 대해 하측을 향해 기체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에어 블로어 장치(56)가 제 1 방향 변환 롤러(50)(제 2 영역(42)의 반송 방향 최상류부)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이며 제 2 방향 변환 롤러(52)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지만, 분사 장치는, 예를 들면, 제 2 방향 변환 롤러(52)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이며 제 3 방향 변환 롤러(54)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 2 방향 변환 롤러(52)는 외주면에 홈이 형성된 홈 부착 롤러로 해도 되며, 흡인 덕트(58)의 흡인구(58A)는 제 2 방향 변환 롤러(52)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집진기(60)의 흡기측에 통하는 흡인 덕트(58)의 흡인구(58A)는, 제 2 영역(42)에서의 피처리 대상물(12)의 반송 라인의 상방측이며 또한 기체 유출구(56A)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블로우 다운 챔버(14B)의 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흡인하는 관점에서는 이러한 배치가 보다 바람직하지만, 흡인 덕트의 흡인구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흡인 덕트의 수도 상기 실시형태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방향 변환 롤러(50)는, 외주면에 홈(50B)(도 3 참조)이 형성된 홈 부착 롤러로 되어 있으며, 피처리 대상물(12)과 제 1 방향 변환 롤러(50) 사이에 들어간 먼지 등을 빠지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는 이러한 구성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는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롤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일례로서, 제 1 방향 변환 롤러(50)에 6개의 홈(50B)(도 3 참조)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에 홈이 형성되는 경우의 홈의 갯수는, 상기 실시형태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입 롤러(44)가 고무 롤러로 되어 있으며, 피처리 대상물(12)과 반입 롤러(44) 사이에 투사재가 들어간 경우의 피처리 대상물(12)에 대한 영향을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이러한 구성이 보다 바람직하지만, 안내 롤러 그룹은 제 1 영역에 고무 롤러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쇼트 처리 장치는, 쇼트 블라스트 장치(10)로 되어 있지만, 쇼트 처리 장치는, 예를 들면, 쇼트 피닝 장치에 적용되어도 된다.
참고로, 상기 실시형태 및 상술한 복수의 변형예는, 적당히 조합하여 실시 가능하다.
10 : 쇼트 블라스트 장치(쇼트 처리 장치)
12 : 피처리 대상물
14 : 캐비넷
14A : 투사실
20 : 투사기
40 : 안내 롤러 그룹
41 : 제 1 영역
42 : 제 2 영역
50 : 제 1 방향 변환 롤러(제 1의 방향 변환 롤러)
50A : 제 1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
50B : 홈
52 : 제 2 방향 변환 롤러(제 2의 방향 변환 롤러)
52A : 제 2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
54 : 제 3 방향 변환 롤러(제 3의 방향 변환 롤러)
54A : 제 3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
56 : 에어 블로어 장치(분사 장치)
56A : 기체 유출구
58 : 흡인 덕트
58A : 흡인구
60 : 집진기

Claims (7)

  1. 반송되는 긴 형상(長尺狀)의 피(被)처리 대상물에 대해 투사재를 투사하는 투사기와,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반송 라인에 설치되며, 상기 투사기에 의해 투사재가 투사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제 1 영역에서 상기 피처리 대상물을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영역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의 제 2 영역에서 상기 피처리 대상물을 반송 방향 하류측을 향해 상승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 롤러 그룹을 갖고,
    상기 안내 롤러 그룹은,
    상기 제 2 영역의 반송 방향 최상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감아 걸어지는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와,
    상기 제 2 영역의 반송 방향 최하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감아 걸어지며, 상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보다 상방(上方)측에 배치된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와,
    상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보다 반송 방향 하류측이며 또한 상기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이 감아 걸어지며, 상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보다 상방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와인딩(winding)부가 상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와 상기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의 와인딩부를 연결하는 직선보다 하방(下方)측에 설정된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를 구비하고 있는, 쇼트 처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기에 의해 투사된 투사재에 의해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표면 가공을 행하는 투사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캐비넷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 1의 방향 변환 롤러는 상기 캐비넷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의 방향 변환 롤러 및 상기 제 3의 방향 변환 롤러는 상기 캐비넷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는, 쇼트 처리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반송 라인의 상방측에 기체 유출구가 배치되어 상기 피처리 대상물에 대한 반송 방향 상류측을 향한 기체의 분사가 가능한 분사 장치를 갖는, 쇼트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에서의 상기 피처리 대상물의 반송 라인의 상방측이며 또한 상기 기체 유출구보다 반송 방향 상류측에 흡인구가 배치되며 또한 집진기의 흡기측으로 통하는 흡인 덕트를 갖는, 쇼트 처리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롤러 그룹은, 외주면(外周面)에 홈이 형성된 홈 부착 롤러를 상기 제 2 영역에 구비하고 있는, 쇼트 처리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롤러 그룹은, 상기 제 1 영역에, 고무 롤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쇼트 처리 장치.
KR1020137012036A 2010-12-28 2011-06-15 쇼트 처리 장치 KR101852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94090 2010-12-28
JP2010294090 2010-12-28
PCT/JP2011/063742 WO2012090531A1 (ja) 2010-12-28 2011-06-15 ショット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989A KR20130139989A (ko) 2013-12-23
KR101852946B1 true KR101852946B1 (ko) 2018-04-27

Family

ID=46382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2036A KR101852946B1 (ko) 2010-12-28 2011-06-15 쇼트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655864B2 (ko)
KR (1) KR101852946B1 (ko)
CN (1) CN103228406B (ko)
WO (1) WO20120905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07720B (zh) * 2020-10-09 2022-07-05 临沂兴晟钢结构工程有限公司 一种适于大型钢材加工的抛丸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8A (en) * 1845-05-01 Closing and opening the- entrances to beehives
US5016A (en) * 1847-03-13 Improvement in clevises for plows
JPS6243727Y2 (ko) * 1980-09-29 1987-11-14
JPS58143956A (ja) * 1982-02-22 1983-08-26 Tokyu Kk 連続研掃装置
JPS59115162A (ja) * 1982-12-21 1984-07-03 Tokyu Kk 連続ブラスト処理装置
JPS59160151U (ja) * 1983-04-08 1984-10-26 中部新東工業株式会社 コンベヤ型シヨツトブラスト装置
US5035089A (en) * 1990-01-29 1991-07-30 Pauli & Griffin Blast media recovery and cleaning system
CN2088921U (zh) * 1990-10-08 1991-11-20 诸城市抛丸设备配件厂 钢管内壁喷丸清理装置
JPH08281556A (ja) * 1995-04-14 1996-10-29 Fukuyama Kyodo Kiko Kk 薄板研掃装置
US5766061A (en) * 1996-10-04 1998-06-16 Eco-Snow Systems, Inc. Wafer cassette cleaning using carbon dioxide jet spray
JP2003260665A (ja) * 2002-03-04 2003-09-16 Jfe Steel Kk 鋼板の表面処理設備および鋼板の製造方法
CN101633157B (zh) * 2009-08-20 2011-12-14 刘传玲 钢材表面处理装置中的传送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28406A (zh) 2013-07-31
JP5655864B2 (ja) 2015-01-21
KR20130139989A (ko) 2013-12-23
WO2012090531A1 (ja) 2012-07-05
CN103228406B (zh) 2015-10-21
JPWO2012090531A1 (ja) 201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0971B1 (ko) 표면 처리 장치
JP5048891B2 (ja) 枚葉紙を加工する印刷機のための排紙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印刷機
WO2011030652A1 (ja) 鋼板のショットブラスト方法およびその設備
TW201041664A (en) Dispensing device of electronic parts
JP5471944B2 (ja) 表面処理装置
JP5545112B2 (ja) 表面処理装置
KR101134135B1 (ko) 쇼트 블라스트
KR101852946B1 (ko) 쇼트 처리 장치
KR20150111956A (ko) 쇼트 처리 장치
TWI674236B (zh) 片材供給裝置及在片材供給裝置的片材供給方法
JP5569536B2 (ja) 圧延鋼用研掃設備
CN220162187U (zh) 一种玻璃喷砂装置
JP5640533B2 (ja) ガスブロー装置
KR101808727B1 (ko) 표면 처리 장치
JP3131813U (ja) プリフォーム整列装置
KR100983890B1 (ko) 숏볼 블라스터의 숏볼 이송장치
UA25140U (en) Balliz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