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913B1 -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지독 방향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지독 방향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913B1
KR101597913B1 KR1020140179430A KR20140179430A KR101597913B1 KR 101597913 B1 KR101597913 B1 KR 101597913B1 KR 1020140179430 A KR1020140179430 A KR 1020140179430A KR 20140179430 A KR20140179430 A KR 20140179430A KR 101597913 B1 KR101597913 B1 KR 101597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pin
pins
touch input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윤
성기광
이진호
주재성
쳉 타이터스
Original Assignee
김주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윤 filed Critical 김주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지독 방향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는 수직 방향으로 관통 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점자 형식 중 '돌기있음'에 대응되는 온 위치와 상기 관통 홀 내로 수납되어 상기 점자 형식 중 '돌기없음'에 대응되는 오프 위치 사이에서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 홀들에 각각 삽입되는 핀들; 상기 핀들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지독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지독 방향을 고려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핀들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지독 방향 설정 방법{BRAIL DISPLAY,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TERMINING DIRECTION OF HAND READING}
본 발명은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지독 방향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지독 방향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스마트 와치, 스마트 안경 등의 스마트 기기의 발전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 일상 생활에서 대중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는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에 기반하고 있어 시작 장애자의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나 터치 위치의 파악이 어려워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시각 장애자들이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소리나 촉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러한 요구에 발맞추어 브레일 디스플레이, 즉 점자 표시기에 대한 연구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종래의 브레일 디스플레이는 점자를 표시하는 방향이 정해져 있어 시각 장애인이 이를 읽기 위해서는 먼저 브레일 디스플레이가 놓여진 방향을 파악한 뒤에야 비로소 점자를 올바로 지독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사용자가 별도로 점자의 표시 방향을 파악하지 않고도 이를 지독할 수 있도록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지독 방향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점자 형식 중 '돌기있음'에 대응되는 온 위치와 상기 관통 홀 내로 수납되어 상기 점자 형식 중 '돌기없음'에 대응되는 오프 위치 사이에서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 홀들에 각각 삽입되는 핀들; 상기 핀들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지독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지독 방향을 고려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핀들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브레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점자 형식 중 '돌기있음'에 대응되는 온 위치와 상기 관통 홀 내로 수납되어 상기 점자 형식 중 '돌기없음'에 대응되는 오프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여 점자를 표시하기 위한 핀들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독 방향을 고려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핀들을 승강시켜 점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독 방향 설정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브레일 디스플레이가 사용자의 핀에 대한 터치 방향을 인식하여 이에 따른 지독 방향에 따라 점자를 표시하므로 사용자가 브레일 디스플레이의 배치 방향을 파악할 필요없이 편리하게 점자를 지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덮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 위치의 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 위치의 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위치의 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높이 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배열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배열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의 배열의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독 방향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독 방향 입력 형태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독 방향 입력 형태의 다른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독 방향 입력 형태의 또 다른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향을 입력받는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향을 입력받는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향을 입력받는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 타입 전자 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의 지독 과정에 관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수정예 또는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의도,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이와 달리 특정한 용어를 임의의 의미로 정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용어의 의미에 관하여 별도로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된 형상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과장되어 표시된 것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이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의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이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필요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수직 방향으로 관통 홀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점자 형식 중 '돌기있음'에 대응되는 온 위치와 상기 관통 홀 내로 수납되어 상기 점자 형식 중 '돌기없음'에 대응되는 오프 위치 사이에서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 홀들에 각각 삽입되는 핀들; 상기 핀들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지독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지독 방향을 고려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핀들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모듈은, 복수의 기준 방향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과 가장 유사한 방향으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모듈은, 제1 터치 입력과 상기 제1 터치 입력 이후에 수행된 제2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모률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받은 제1 핀으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받은 핀이 향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치 위치 및 터치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을 받은 핀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모률은, 상기 터치 입력의 입력 시간을 이용하여 터치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지독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핀들에 점자를 구성하는 점자 요소를 할당하고,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등되도록 상기 점자 요소가 할당된 핀들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지독 방향이 설정되기 전 또는 상기 지독 방향의 갱신 요청을 받은 경우에 상기 핀들을 모두 상승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지독 방향이 설정되기 전 또는 상기 지독 방향의 갱신 요청을 받은 경우에 상기 핀들 중 미리 정해진 핀들만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 상기 미리 정해진 핀들은, 상기 핀들 중 최외곽 테두리의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준 방향 중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핀들은, 상기 복수의 기준 방향을 반영하는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는, 상기 핀의 수직 위치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센서는, 상기 '돌기있음'에 대응되도록 상기 온 위치로 상승한 핀의 수직 위치가 상기 온 위치보다 낮은 터치 위치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제1 항 내지 제15 항 중 어느 한 항의 브레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 모듈은,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텍스트 정보를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로 변환할 수 있다.
또 상기 전자 기기는, 외부로부터 상기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및 상기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텍스트 정보는, 시간 정보, 문자 메시지, 날씨 정보, 지리 정보 및 문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에 따르면, 점자 형식 중 '돌기있음'에 대응되는 온 위치와 상기 관통 홀 내로 수납되어 상기 점자 형식 중 '돌기없음'에 대응되는 오프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여 점자를 표시하기 위한 핀들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독 방향을 고려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핀들을 승강시켜 점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독 방향 설정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기준 방향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과 가장 유사한 방향으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터치 입력을 받은 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터치 입력을 받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점자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상기 지독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핀들에 점자를 구성하는 점자 요소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등되도록 상기 점자 요소가 할당된 핀들을 승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지독 방향의 설정 전 또는 상기 지독 방향의 갱신 요청 시 지독 방향 입력 형태로 상기 핀들을 승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지독 방향 입력 형태는, 모든 핀들이 '돌기있음'을 표시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기준 방향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과 가장 유사한 방향으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지독 방향 입력 형태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방향들을 반영하도록 상기 핀들이 승강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란 핀(1200)의 승강을 이용하여 점자를 표시하는 장치이다. 점자란 시각 장애자용 문자로서, 일정한 방식으로 배열된 지점에 돌기의 유무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점자는 가로 2열과 세로 3열의 6개의 점자 요소로 구성되며, 각 점자 요소가 점자 형식 중 ‘돌기있음’ 또는 ‘돌기없음’를 표현함으로써 점자를 표현한다. 여기서,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핀(1200)을 상승시켜 ‘돌기있음’을 표현하고, 핀(1200)을 하강시켜 ‘돌기없음’을 표시하며, 이러한 핀(1200)의 승강을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점자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베이스(1100), 핀(1200), 코일(1280), 상부 커버(1300), 기판(1400), 스프링(1440), 센서(1460) 및 하부 커버(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00)는 판상 현태로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1100)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주면(柱面)인 상면과 하면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측면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상면, 하면과 네 측면을 가지는 사각 판상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1100)는 영구 자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1100)가 되는 자석은 판의 두께 방향(이하 ‘수직 방향’이라고 함)에 따라 분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100)는 상부(1102)가 N극이고 하부(1104)가 S극이거나 반대로 상부(1102)가 S극이고 하부(1104)가 N극일 수 있다. 이때 분극의 기준선은 수직 방향에 따라 베이스(1100)의 중심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00)에는 복수의 관통 홀(1120)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 홀(1120)은 베이스(1100)를 수직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즉, 관통 홀(1120)은 베이스(1100)의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천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홀(1120)은 수직한 방향을 중심선으로 하는 원통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관통 홀(112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다각 기둥이나 타원 기둥의 형태로 적절히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관통 홀(1120)에는 후술할 핀(1200)들이 각각 수납될 수 있다.
관통 홀(1120)은 베이스(1100)에 미리 정해진 배열에 따라 적절한 배치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홀(1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 16열, 세로 12열로 배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점자 한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서는 가로 2열과 세로 3열의 6개의 점자 요소가 하나의 그룹으로 필요하며, 이때 각 점자 요소들은 지독하기에 적당한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또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가 동시에 여러 문자를 표현하기 위하여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다수의 그룹이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그룹 간의 간격은 사용자가 점자를 지독할 때 점자 각각을 구분하기 용이하도록 하나의 그룹에 속하는 관통 홀(1120)들의 간격보다는 크게 정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모든 관통 홀(1120)의 간격이 동일한 경우에는 하나의 관통 홀(1120)을 건너 띄고 점자를 표시하거나 또는 다른 그룹에 속하는 관통 홀(1120)의 간격을 동일 그룹 내에 속하는 관통 홀(1120)의 간격과 다르게 마련할 수 있다.
물론, 관통 홀(1120)의 배열이 상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가 지도나 화살표 등의 기호를 점자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에 따라 적절히 관통 홀(1120)을 배열할 수도 있다.
핀(1200)은 베이스(1100)의 관통 홀(11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핀(1200)은 관통 홀(1120)에서 상하로 승강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핀(1200)이 상승하여 그 상단이 관통 홀(1120) 밖으로 돌출되면, 즉 베이스(1100)의 상면으로 드러나면 점자 형식 중 ‘돌기있음’을 표현할 수 있다. 또 핀(1200)이 하강하여 핀(1200)이 관통 홀(1120) 내로 수납되면, 즉 베이스(1100)의 상면으로 드러나지 않으면 점자 형식 중 ‘돌기없음’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이러한 핀(1200)의 승강을 조절함으로써 점자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핀(1200)은 몸체(1220)와 돌출부(12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220)에는 후술할 코일(1280)이 감겨 코일(1280)에 전류가 인가되면 전자석으로 작동하여 베이스(1100)의 자극과 상호작용하여 핀(1200)을 승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몸체(1220)는 금속성 소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돌출부(1240)는 핀(1200)의 승강에 따라 베이스(11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점자 형식 중 ‘돌기있음’을 표현할 수 있다.
몸체(1220)는 수직 방향의 기둥 형태로 마련되며, 돌출부(1240)는 몸체(122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몸체(1220)는 그 직경이 관통 홀(112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조금 작고, 또 후술할 상부 커버(1300)보다는 큰 기둥 형상(예를 들어, 원 기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 돌출부(1240)는 몸체(1220)보다 더 작고, 또 후술할 상부 커버(1300)의 개구(1320)보다도 작은 직경의 기둥 형태(마찬가지로 원 기둥)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핀(1200)이 상승하게 되면 몸체(1220)는 상부 커버(1300)의 개구(1320)를 통과하지 못하는 반면, 핀(1200)의 돌출부(1240)는 개구(1320)를 통과하게 되어 핀(1200)의 상단이 안정적으로 베이스(1100)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또 몸체(1220)에는 코일(1280) 홈(1260)이 마련될 수 있다. 코일(1280) 홈(1260)은 몸체(1220)로부터 함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1280) 홈(1260)에는 코일(1280)이 감겨 코일(1280)이 몸체(1220)에 설치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코일(1280) 홈(1260)이 몸체(1220)로부터 함몰된 형태를 취하므로 코일(1280) 홈(1260)의 상단과 하단에 턱이 형성되어 코일(1280) 홈(1260)에 감긴 코일(1280)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겠지만 코일(1280) 홈(1260)의 수직 방향 길이는 핀(1200)의 승강을 위하여 베이스(1100)의 두께보다 작은 길이일 수 있다.
한편, 돌출부(1240)는 그 상단이 곡면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핀(1200)이 상승하여 베이스(1100) 외부로 돌출된 경우 사용자는 돌출부(1240)의 상단을 지독하게 되는데, 돌출부(1240)의 상단이 곡면 형태로 마련됨에 따라 사용자의 촉감을 부드럽게 될 수 있다.
코일(1280)은 몸체(1220)의 코일(1280) 홈(1260)에 감길 수 있다. 코일(1280)은 후술할 기판(1400)의 도선(1420)에 연결되어 전류를 인가받을 수 있다. 코일(1280)에 전류가 인가되면 몸체(1220)가 전자석으로 동작하게 되며, 이에 따라 베이스(1100)의 자성과 전자석인 몸체(1220)가 상호 작용하여 핀(1200)이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일(1280)에 순방향 전류가 인가된 경우에는 몸체(1220)의 상부가 N극, 하부가 S극이 되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된 경우에는 몸체(1220)의 상부가 S극, 하부가 N극이 될 수 있다. 물론 반대 예로, 코일(1280)에 순방향 전류가 인가된 경우에는 몸체(1220)의 상부가 S극, 하부가 N극이 되며, 역방향 전류가 인가된 경우에는 몸체(1220)의 상부가 N극, 하부가 S극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코일(1280)이 핀(1200)을 승강시키기 위해서 코일(1280)은 그 수직 방향의 길이가 베이스(1100)의 두께와는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부 커버(1300)는 베이스(1100)의 상면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커버(1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가 개방된 박스 형태로 제공되어, 상부 커버(1300)의 상면(1302)이 베이스(1100)의 상면을 덮고, 상부 커버(1300)의 측벽(1304)이 베이스(1100)의 측면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상부 커버(1300)의 측벽(1304)의 하단부에는 체결 홀(1306)이 형성되어 후술할 하부 커버(1500)에 나사 등의 체결 부재(1520) 등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부 커버(1300)와 하부 커버(1500)는 그 내부에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다른 구성요소들을 수용하는 케이싱 또는 하우징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것과 달리 상부 커버(1300)가 단순히 베이스(1100)의 상면만을 덮는 시트 형태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상부 커버(1300)에는 관통 홀(1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1320)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320)는 관통 홀(1120)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 개구(1320)는 핀(1200)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한 것과 같이 핀(1200)의 몸체(1220)보다는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며, 핀(1200)의 돌출부(1240)보다는 큰 직경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1200)의 상승 시 개구(1320)는 핀(1200) 전체가 베이스(1100)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돌출부(1240)만 통과시켜 핀(1200)의 상단만이 베이스(1100)의 상부로 돌출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또 상부 커버(1300)의 개구(1320)에는 핀 덮개(1340)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덮개(1340)는 개구(1320)의 주변을 덮도록 상부 커버(13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 덮개(1340)는 개구(1320)를 덮어 베이스(1100)의 내부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 덮개(1340)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덮개는 핀(1200)의 상승 시 돌출부(1240)가 베이스(1100)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해해서는 안되므로 충분한 탄성을 가지는 탄성 소재로 마련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핀 덮개(1340)에는 핀(1200)의 상승에 따라 유연하게 변형될 수 있도록 특정한 형태의 홈이나 도 4의 (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름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 덮개(1340)의 하면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홈이 형성되어 있어 핀(1200)의 상승에 따라 핀 덮개(1340)의 중앙부가 위로 늘어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핀 덮개(1340)가 각 개구(1320) 별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핀 덮개(1340)는 한 장의 유연한 재질의 시트류로 제공되어 상부 커버(1300) 전체를 덮도록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기판(1400)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FPCB 형태의 기판(1400)은 베이스(1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400)에는 도선(1420), 스위칭 회로(1430) 및 스프링(1440)이 설치될 수 있다.
도선(1420)은 코일(128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코일(1280)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코일(1280)에 전류가 인가되면 해당 코일(1280)이 감긴 핀(1200)이 승강될 수 있다. 도선(1420)은 배터리(미도시) 또는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전원을 받아 이를 코일(1280)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코일(1280)에 전류가 인가되어 핀(1200)이 승강하는 경우에 도선(1420)이 핀(120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도선(1420)은 충분한 여유분을 가지는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스위칭 회로(1430)는 도선(1420)의 연결과 단락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스위칭 회로(1430)는 도선(1420)을 단속하여 코일(1280)에 전류 인가를 조정할 수 있다. 스위칭 회로(1430)의 제어에 따라 도선(1420)이 단속되면 코일(1280)의 전류 인가 여부가 결정되어 핀(1200)의 승강에 따라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스프링(1440)은 기판(1400)에 설치되어 핀(1200)의 몸체(1220)의 하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1440)은 핀(1200)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핀(1200)이 베이스(110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코일(1280)에 전류가 인가되면 핀(1200)은 스프링(1440)은 탄성력을 이기고 상승하여 그 상단이 베이스(1100)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될 수 있다. 또 핀(1200)의 상단이 돌출된 상태에서 코일(1280)에 전류 공급이 종료되면 핀(1200)은 스프링(144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베이스(1100)의 내부로 수납될 수 있다.
센서(1460)는 베이스(1100)의 상부로 돌출된 핀(1200), 즉 ‘돌기있음’을 표시하도록 상승한 핀(12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1460)는 핀(1200)의 수직 위치에 기초하여 핀(1200)의 터치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146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400)의 상면에 설치되어 핀(1200)의 하면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 센서일 수 있다. 이러한 센서(1460)의 대표적인 예로는 적외선 센서가 있을 수 있으며, 센서(1460)는 이외에도 다양한 기계식, 전자식 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460)는 핀(1200)이 수직 방향 상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핀(1200)은 스프링(1440)에 의해 베이스(1100)의 내부로 수납되어 ‘돌기없음’을 표시하는 위치(이하 ‘오프 위치’라고 함)와 코일(1280)에 전류가 인가되어 핀(1200)의 상단이 베이스(1100)의 상부로 돌출되어 ‘돌기있음’을 표시하는 위치(이하 ‘온 위치’라고 함) 사이를 이동할 수 있다. 온 위치의 핀(1200)이 사용자에 의해 지독되면, 핀(120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누르는 압력에 의해 여전히 핀(1200)의 상단이 베이스(110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온 위치보다는 하강한 위치(이하 ‘터치 위치’라고 함)에 위치할 수 있다. 센서(1460)는 이러한 핀(1200)의 위치를 감지하여 핀(1200)이 온 위치, 오프 위치, 터치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1460)가 온 위치의 핀(1200)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 즉 지독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하부 커버(1500)는 베이스(1100)의 하면를 덮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100)에 기판(1400)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기판(1400)의 하부에 하부 커버(1500)가 마련될 수 잇다. 하부 커버(1500)에는 체결 홀(1306)이 형성될 수 잇다. 이러한 체결 홀(1306)은 상부 커버(1300)의 측벽 하단부에 형성된 체결 홈(1506)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나사 체결로 상부 커버(1300)와 하부 커버(1500)가 체결될 수 있다.
한편,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에는 제어 모듈(1600), 통신 모듈(1700) 및 메모리(18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이들 제어 모듈(1600), 통신 모듈(1700) 및 메모리(1800)는 후술할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100)에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제어 모듈(1600)은 각종 정보의 처리 및 연산, 저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또는 전자 칩 등의 하드웨어 형태, 이에 따라 구동되는 각종 프로그램이나 어플리케이션 등의 소프트웨어 형태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모듈(1600)은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따라 스위칭 회로(1430)를 제어하여 핀(1200)을 승강시켜 점자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600)은 텍스트 정보를 점자로 변환하고, 변환된 점자를 표현하기 위하여 각 ‘돌기있음’과 ‘돌기없음’의 점자 형식을 결정하고, 이에 따라 스위칭 회로(1430)에 제어 신호를 송출하여 스위칭 회로(1430)가 도선(1420)을 단속하여 각 해당 점자 형식에 대응되는 핀(1200)에 설치된 코일(1280)에 전류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의 전류를 인가하거나 또는 비인가함으로써 핀(1200)의 승강을 조정하도록 하여 점자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정보는 시각 정보, 문자 메시지, 지리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텍스트 정보는 이외에도 점자를 통해 표시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즉, 텍스트 정보는 숫자나 알파벳이나 히라가나, 한글 등의 문자는 물론, 그 외의 다양한 기호나 그림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텍스트 정보는 제어 모듈(1600)에서 자체적으로 산출되거나 또는 메모리(1800)나 통신 모듈(1700)로부터 제어 모듈(1600)에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메시지는 통신 모듈(1700)을 통해 제어 모듈(1600)로 전달될 수 있고, 시각 정보는 제어 모듈(1600) 내의 카운터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또 제어 모듈(1600)은 표시한 점자를 지독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지독되면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를 갱신하여 다음 점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600)은 센서(1460)에서 감지된 핀(1200)에 대한 터치 여부에 기초하여 점자의 지독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600)은 점자를 표시하기 위하여 온 위치로 승강된 핀(12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센서(1460)가 감지하면 이에 따라 점자의 지독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통신 모듈(1700)은 외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통신 모듈(1700)은 외부 기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또는 외부 기기로 정보를 송출할 수 있다. 여기서, 수신되는 정보는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통신 모듈(1700)은 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제어 모듈(1600)에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통신 모듈(1700)은 셀 망을 통해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여 이를 텍스트 정보로써 제어 모듈(16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1700)은 3G나 4G의 기지국 통신,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직비(Zigbee)와 같은 근거리 통신,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통신, 가시광 통신 등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통신 모듈(1700)은 유선 LAN이나 썬더버드나 USB를 통해 유선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메모리(180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메모리(1800)에는 텍스트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텍스트 정보는 이북이나 이메일, 각종 문서 파일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제어 모듈(1600)은 메모리(1800)에 기억된 텍스트 정보를 로딩하여 점자 표시를 할 수 있다. 메모리(1800)는 램이나 롬, 플래쉬 메모리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에서 핀(1200)의 승강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핀(1200)의 승강을 이용하여 점자를 표시하는데, 여기서, 핀(1200)은 그 상단이 베이스(1100)의 상부로 돌출되어 점자 형식 중 ‘돌기있음’으로 지독되는 온 위치와 그 전체가 관통 홀(1120)에 수납되도록 하강되어 점자 형식 중 ‘돌기없음’으로 지독되는 오프 위치 간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에서 핀(1200)은 코일(1280)이 베이전류를 인가받아 전자석으로 동작할 때 베이스(1100)의 영구 자석과 상호작용하여 승강될 수 있는데 이때 이러한 상호 작용을 강화하기 위하여 베이스(110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면 플레이트(1920)와 하면 플레이트(1940)이 추가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상면 플레이트(1920)와 하면 플레이트(1940)는 베이스(1100)의 상하면에 각각 부착되어 자석의 위아래에 배치됨에 따라 코일에서 발생하는 자기력선을 집중시켜줌으로써 핀(1200)이 보다 원활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해준다.
물론, 상면 플레이트(1920)와 하면 플레이트(1940)에는 각각 관통 홀(1120)에 대응되는 홀이 천공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프 위치의 핀(1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핀(1200)은 오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1200)은 ‘돌기없음’을 표시할 수 있다.
코일(128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에는 핀(1200)이 베이스(1100)의 자석으로부터 외력을 받지 않는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핀(1200)에는 스프링(1440)의 탄성력만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스프링(1440)이 탄성 변형이 없는 상태에서 핀(1200)의 전부가 관통 홀(1120)에 수납되도록 설계하여 코일(1280)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경우에는 핀(1200)이 베이스(1100)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오프 위치에 배치되게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에서 스프링(1440)을 생략하고, 코일(128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핀(1200)의 자중에 의해 핀(1200)이 관통 홀(1120) 내부로 수납되어 오프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스프링(1440)을 생략하더라도 연성 재질로 제공되는 기판(1400)의 복원력이나 도선(1420)의 복원력으로 인하여 코일(1280)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 경우에 핀(1200)이 오프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 위치의 핀(1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핀(1200)은 온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핀(1200)은 ‘돌기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코일(1280)에 전류가 인가되면 온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코일(1280)에 전류가 인가되면 핀(1200)의 몸체(1220)가 전자석으로 동작하게 된다. 이때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은 핀(1200)의 몸체(1220)의 상부와 하부의 극성의 순서가 베이스(1100)의 상부(1102)와 하부(1104)의 극성의 순서와 반대가 되도록 하는 방향(이하 ‘순방향’이라고 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1100)에서 그 상부(1102)가 N극, 그 하부(1104)가 S극인 경우, 순방향 전류는 핀(1200)의 몸체(1220)의 상부가 S극, 하부가 N극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베이스(1100)의 상부(1102)가 S극, 하부(1104)가 N극인 경우, 순방향 전류는 핀(1200)의 몸체(1220)의 상부가 N극, 하부가 S극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순방향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280) 홈(1260)의 상부는 베이스(1100)의 상부(1102)로부터 인력을 받고 베이스(1100)의 하부(1104)로부터는 척력을 받게 된다. 마찬가지로 코일(1280) 홈(1260)의 하부는 베이스(1100)의 하부(1104)로부터 인력을 받고 베이스(1100)의 상부(1102)로부터 척력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핀(1200)은 수직 방향 상 코일(1280) 홈(1260)의 중심이 베이스(1100)의 중심과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이때 핀(1200)에 인가되는 전류는 스프링(1440)의 탄성력을 이기고 핀(1200)을 이동시키기에 충분한 크기를 가져야 한다.
여기서, 코일(1280)과 코일(1280)이 감긴 몸체(1220)의 코일(1280) 홈(1260)은 그 수직 방향의 길이가 베이스(1100)의 두께보다 짧으며, 오프 위치에서는 코일(1280) 홈(1260)의 수직 방향 상의 중심이 베이스(1100)의 중심보다 낮은 상태에 있으므로, 코일(1280)에 순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핀(1200)은 수직 방향 상 코일(1280) 홈(1260)의 중심과 베이스(1100)의 중심이 동일한 높이가 될 때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핀(1200)이 상승하면, 핀(1200)의 몸체(122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1240)가 개구(1320)를 통과하여 베이스(1100)의 상부로 돌출되게 되어 점자의 돌기를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핀(1200)이 상승하는 경우에는 탄성을 가진 핀 덮개(1340)가 핀(1200)에 의해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이?, 개구(1320)는 몸체(1220)보다 작은 크기로 뚫려 있으므로, 큰 전류가 인가되어 핀(1200)이 과도한 속도로 상승하더라도 핀(1200)의 몸체(1220)가 개구(1320)를 통과하지 못하여 핀(1200)이 관통 홀(11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핀(1200)의 하면을 설치된 스프링(1440), 개구(1320)를 덮고 있는 핀 덮개(1340), 그리고 코일(1280)에 연결된 도선(1420)과 이에 연결된 연성 인쇄 회로 기판(1400) 역시 핀(120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일부 수행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온 위치의 핀(1200)에 대하여 코일(1280)의 전류를 차단하면 핀(1200)은 스프링(144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200)이 오프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단순히 코일(1280)에서 전류를 차단하는 대신 코일(1280)에 순방향의 반대 방향(이하 ‘역방향’이라고 함)의 전류를 인가하여 핀(1200)이 빠른 속도로 하강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역방향의 전류가 인가되면 코일(1280) 홈(1260)의 상부는 베이스(1100)의 상부(1102)로부터 척력을 받고 베이스(1100)의 하부(1104)로부터는 인력을 받게 되며, 코일(1280) 홈(1260)의 하부는 베이스(1100)의 하부(1104)로부터 척력을 받고 베이스(1100)의 상부(1102)로부터 인력을 받게 되므로 핀(1200)이 온 위치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스프링(1440)에 의한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지 않고 하강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역방향 전류를 이용하여 핀(1200)을 하강시킬 때에는 핀(1200)이 오프 위치까지 이동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전류를 인가하거나 또는 순간적으로 짧은 시간 동안만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베이스(1100)가 자석으로 제공되고, 핀(1200)에 코일(1280)이 감겨 코일(1280)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핀(1200)의 몸체(1220)가 전자석으로 동작하여 핀(1200)이 승하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베이스(1100)에 코일(1280)이 설치되고, 핀(1200)이 자석으로 제공되어 베이스(1100)에 베이스(1100)에 설치된 코일(1280)에 대한 전류의 인가 여부와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핀(1200)의 승하강을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에서 핀(12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동작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위치의 핀(1200)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1200)이 온 위치로 배치되어 ‘돌기있음’을 표현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이를 터치하여 그 촉감으로 ‘돌기있음’ 상태의 점자 형식을 지독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베이스(1100)의 상부로 돌출된 핀(1200)에 압력을 가하게 되므로 핀(1200)은 온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하강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온 위치의 핀(1200)이 일정 거리만큼 하강된 위치를 ‘터치 위치’라고 하기로 한다. 이때 핀(1200)이 사용자에 의해 지독되는 과정에서 일부 하강하더라도 여전히 ‘돌기있음’을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핀(1200)을 터치하는 압력을 고려하여 핀(1200)을 상승시키도록 코일(1280)에 인가되는 순방향 전류의 크기를 적절하게 조정하면 온 위치에 배치된 핀(1200)이 터치되더라도 그 상단이 여전히 베이스(1100)의 상부로 돌출되어 ‘돌기있음’을 표시하면서도 온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만큼 하강하게 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터치 위치는 온 위치보다는 낮지만, 핀(1200)의 상단이 베이스(1100)의 상부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위치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핀(1200)이 온 위치로부터 사용자의 터치 압력에 의해 하강하면 센서(1460)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1460)는 기판(1400)에 설치되어 핀(1200)의 하면까지의 거리, 즉 핀(1200)의 높이 내지 수직 위치를 측정하고, 이에 기초하여 핀(1200)에 대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460)는 핀(1200)의 수직 위치가 온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작고 오프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서(1460)에는 온 위치와 오프 위치 사이의 터치 위치가 설정되어 있어 센서(1460)는 측정한 거리가 터치 위치의 범위에 포함되는지에 따라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센서(1460)는 핀(1200)의 수직 위치가 온 위치까지의 거리보다 작은지 여부만에 따라 터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핀(12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는 ‘돌기있음’을 표현하기 위해 베이스(1100)의 상부로 돌출된 핀(1200)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므로 센서(1460)는 온 위치로 승강된 핀(1200)이 하강하면 이를 터치로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센서(1460)는 온 위치로 이동되도록 코일(1280)에 전류를 인가받은 핀(1200)에 대해서 그 핀(1200)의 수직 위치가 온 위치보다 작은지에 따라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1200)의 높이 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핀(1200)은 전류가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중과 스프링(1440)의 탄성력에 의해 오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핀(1200)은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비동작 상태 또는 점자 형식 중 ‘돌기없음’을 표현할 때 이러한 오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 모듈(1600)은 해당 핀(1200)의 코일(1280)에 연결된 도선(1420)의 단속 여부에 따라 핀(1200)이 오프 위치에 있는지를 알 수 있다.
핀(1200)에 전류가 되면 핀(1200)은 상승하여 그 상단이 베이스(1100)로부터 돌출되는 온 위치로 이동하여 ‘돌기있음’을 표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 모듈(1600)은 해당 핀(1200)의 코일(1280)에 연결된 도선(1420)이 연결되고, 코일(1280)에 대한 순방향 전류의 인가 여부에 따라 핀(1200)이 온 위치에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핀(1200)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가 입력되면, 그 터치 압력에 의해 핀(1200)이 터치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도 9에서는 터치 위치가 일정한 높이로 도시되어 있으나, 터치 위치는 일정한 범위로 정의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모듈(1600)은 센서(1460)의 측정 결과에 따라 터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모듈(1600)은 센서(1460)에서 측정된 거리가 터치 위치에 해당하는 범위에 있으면 해당 핀(1200)에 대한 터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 모듈(1600)은 센서(1460)의 측정 결과와 스위칭 회로(1430)의 단속 상태를 함께 고려하여 터치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제어 모듈(1600)은 핀(1200)의 온 위치로 상승한 핀(1200)인지 여부를 스위칭 회로(1430)의 단속 상태에 따라 먼저 판단하고, 상승한 핀(1200)에 대해서 센서(1460)가 감지한 거리가 온 위치까지의 거리와 상이한 경우(작은 경우) 터치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터치 입력을 받으면 다음 점자를 표시하기 위하여 핀(1200)을 하강시킬 수 있는데, 스위칭 회로(1430)가 코일(1280)로 가는 전류를 차단하면 핀(1200)이 오프 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이때 빠른 하강을 위해 일시적으로 역방향 전류를 코일(1280)에 인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센서(1460)가 핀(1200)의 수직 위치를 이용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센서(1460)는 이와 상이한 다양한 방식으로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홀(1120)의 특정 높이에 핀(1200)이 터치 위치에 있을 때만 연결되는 접촉식 센서(1460)를 배치하거나 또는 손가락 터치 시 발생하는 정전 용량 또는 저항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1200)의 배열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상에서는 핀(1200)과 관통 홀(1120)의 배열이 베이스(1100)에 미리 정해진 배열에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그 일 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0)에 관통 홀(1120)이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가로 16열과 세로 12열로 베이스(1100)에 배치될 수 있는 것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그런데, 베이스(1100)에는 이와 다른 다양한 형태로 핀(1200)과 관통 홀(112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1200)의 배열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베이스(1100)에는 관통 홀(1120)이 상부에서 볼 때 정사각형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통 홀(1120)은 가로, 세로 각각 16열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 홀(1120)이 배치되면 가로 방향 또는 세로 방향으로 점자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지독 방향은 가로 두 방향(좌변에서 우변로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과 세로 두 방향(윗변에서 아랫변로 향하는 방향과 그 반대 방향)의 네 방향이 가능하다. 이는 도 2와 같이 직사각형으로 관통 홀(1120)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1200)의 배열의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베이스(1100)에는 관통 홀(1120)이 상부에서 볼 때 정육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관통 홀(1120)은 각 정육각형의 변에 7개가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정육각형의 각 변으로부터 해당 변의 반대 변으로 향하는 6방향의 지독 방향이 가능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핀(1200)의 배열의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베이스(1100)에는 관통 홀(1120)이 상부에서 볼 때 원형에 가까운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임의의 방향에 따라 점자를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여 다양한 방향의 지독 방향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핀(1200)의 배열의 다른 예들에서도 꼭 일변으로부터 타변을 향해서만 점자를 표시해야 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방향으로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을 향하도록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핀(1200)의 배열들은 예시에 불과하므로, 핀(1200)의 배열의 형태와 개수는 상술한 예와 다른 형태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독 방향 설정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독 방향 설정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지독 방향 설정 방법은, 지독 방향 입력 형태로 핀(1200)을 승강시키는 단계(S110), 핀(120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S120),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S130) 및 설정된 지독 방향에 따라 점자를 표시하는 단계(S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단계에 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 각 단계의 설명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으면 제어 모듈(16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먼저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지독 방향 입력 형태로 핀(1200)을 승강시킬 수 있다(S110). 여기서, 지독 방향 입력 형태란 지독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받기 적절하게 핀(1200)이 승강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후술할 단계 S120 및 단계 S130에서는 핀(120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이용하여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데, 이때 터치 입력을 받기 위하여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지독 방향 입력 형태로 핀(12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지독 방향을 설정하기 위하여 핀(1200)을 이러한 지독 방향 입력 형태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는 지독 방향이 최초로 설정되기 전(예를 들어,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가 전원 오프 에서 전원 온이 된 경우)이나 또는 지독 방향의 설정 또는 갱신을 요청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에 수행될 수 있다. 지독 방향의 설정이나 갱신을 요청하는 신호는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에 별도로 마련된 버튼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독 방향 입력 형태의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모든 핀(1200)이 ‘돌기있음’을 표시하도록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든 핀(1200)이 베이스(1100)로부터 돌출되면 모든 핀(1200)이 ‘온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독 방향 입력 형태의 다른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테두리에 배치된 핀(1200)들이 ‘돌기있음’을 표시하도록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테두리에 배치된 핀(1200)들이 베이스(1100)로부터 돌출되면 일변으로부터 타변을 향하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원형으로 핀(1200)들이 배치되는 경우에도 원형의 일 테두리로부터 타테두리로 터치 입력이 입력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독 방향 입력 형태의 또 다른 일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일변으로부터 타변까지 ‘돌기있음’을 표시하는 핀(1200)들이 연결되도록 핀(1200)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변으로부터 타변까지의 핀(1200)을 ‘돌기있음’ 형식으로 연결하면 사용자가 일변으로부터 타변까지 터치 입력을 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핀(1200)이 지독 방향 입력 형태로 배치되면,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핀(120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S120). 여기서, 터치 입력은 ‘온 위치’의 핀(1200)이 사용자의 터치 압력으로 눌림에 따라 센서(1460)가 감지하는 터치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센서(1460)는 온 위치의 핀(1200)의 수직 위치를 이용하여 핀(1200)이 터치된 것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향을 입력받는 일 예에 관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향을 입력받는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지독을 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를 아래쪽에 위치할 때에는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왼쪽으로부터 오른쪽 방향으로 지독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그 지독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를 슬라이드 터치를 할 수 있다. 핀(1200)이 지독 방향 입력 형태로 배치된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이러한 사용자의 터치입력에 따라 우측에 배열된 핀(1200)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부터 좌측에 배치된 핀(1200)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8에서는 도 17과 달리 사용자가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우측에 위치한 경우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우측에 위치할 때에는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아래쪽으로부터 윗쪽 방향으로 지독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그 지독하고자 하는 방향에 따라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 방향을 향하는 터치입력을 하게 되며,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가 역시 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반드시 슬라이드 터치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방향을 입력받는 또 다른 예에 관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멀티 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터치는 시간차를 가지는 터치 입력일 수 있으며, 사용자가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아래에 위치하는 경우 먼저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에 대하여 이후에 이루어지는 터치 입력의 상대적인 위치가 보다 우측에 위치할 수 있다.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이러한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핀(1200)이 무작위로 승강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핀(1200)은 이와 달리 도 14 내지 도 16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지독 방향 입력 형태에 따라 승강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면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지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S130).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터치 입력의 터치 위치와 터치 순서에 기초하여 터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터치 방향이란 슬라이드 터치에서 슬라이드가 이루어지는 방향 또는 멀티 터치의 경우 제1 터치로부터 제1 터치 이후에 이루어진 제2 터치를 향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의 경우에는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이 터치 방향이 될 수 있으며, 도 18의 경우에는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는 방향이 터치 방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방향은 구체적으로 터치 위치와 터치 순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핀(1200)에 대한 터치가 발생하면 센서(1460)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 모듈(1600)은 터치 입력의 발생에 관한 전기 신호를 송신하게 될 수 있다. 핀(1200)의 식별 정보는 각각 핀(1200)의 위치와 연동되어 있어 제어 모듈(1600)은 이러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 핀(120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또 제어 모듈(1600)은 이러한 터전기 신호를 수신한 시점에 기초하여 터치 시점을 판단할 수 있으며, 각 핀(1200)의 터치 시점의 선후에 기초하여 터치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 터치 위치와 터치 순서가 결정되면 제어 모듈(1600)은 이를 이용하여 터치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을 참조할 때, 좌측 상단으로부터 가로 1열, 세로 5열의 핀(1200)이 터치되고, 이후 가로 2열부터 가로 15열을 거쳐 가로 16열, 세로 5열의 핀(1200)이 터치된 경우에 제어 모듈(1600)은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슬라이드 방식으로 터치가 이루어지는 대신 제1 터치가 제1 시점에 좌측에 있는 핀(1200)에 대해 이루어지고, 제2 터치가 제1 시점의 이후인 제2 시점에 우측에 있는 핀(1200)에 대해 이루어진 경우에도 제어 모듈(1600)은 터치 입력의 위치와 순서에 기초하여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터치가 이루어지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처럼 터치 방향을 인식하게 되면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이를 이용하여 지독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지독 방향은 터치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정해질 수 있다.
이때, 제어 모듈(1600)은 지독 방향을 터치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에는 몇 가지 기준 방향이 기 설정되어 있어 제어 모듈(1600)은 기 설정된 기준 방향 중 터치 방향과 가장 유사한 방향을 지독 방향으로 삼을 수도 있다. 특히, 테두리 형식의 지독 방향 입력 형태를 취하는 경우에는 일변으로부터 타변으로 향하는 터치 방향을 비교적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일변에서 타변을 ‘돌기있음’ 형식으로 핀(1200)이 연결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비교적 쉽게 기 설정된 기준 방향을 인식하여 터치 입력을 기준 방향에 따라 입력하기 용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 형태로 핀(1200)이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네 변 중 어느 한 변으로부터 반대 변을 향하는 네 ?항이 기준 방향으로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제어 모듈(1600)은 이러한 네 방향 중 터치 방향과 가장 유사한 한 방향을 지독 방향으로 정할 수 있다.
지독 방향이 설정되면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설정된 지독 방향에 따라 점자를 표시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도 17과 같이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지독 방향이 설정된 경우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를 좌변으로부터 우변으로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점자 한 자를 표시하는 핀(1200)의 그룹은 가로 2열, 세로 3열로 정해질 수 있으며, 다음 점자는 그 핀(1200) 그룹의 우측의 핀(1200) 그룹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8과 같이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지독 방향이 설정된 경우에는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점자 한자를 표시하는 핀(1200)의 그룹은 가로 3열, 세로 2열로 정해질 수 있으며, 다음 점자는 그 핀(1200) 그룹의 상측에 있는 핀(1200) 그룹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독 방향을 설정한다는 의미는 지독 방향을 고려하여 핀(1200)에 점자를 표현하기 위한 점자 요소를 할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좌측으로부터 와측으로 지독 방향이 설정된 경우에는 좌측 상단으로부터 가로 1열, 세로 1열(이하 ‘1x1’로 기재함)의 핀(1200), 1x2, 1x3, 2x1, 2x2, 2x3의 핀(1200)에 최초 점자의 점자 요소를 할당하고, 다음 점자의 점자 요소는 3x1, 3x2, 3x3, 4x1, 4x2, 4x3의 핀(1200)에 할당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일 예에 불과하므로 다른 방식으로 점자를 할당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핀(1200)이 점자를 표시하는 동작은 제어 모듈(1600)이 텍스트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텍스트 정보를 점자로 변환한 뒤, 각 점자의 점자 요소와 점자 요소 별 점자 형식을 고려하여 그 점자 요소를 할당받은 핀(1200)을 점자 형식에 따라 승강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텍스트 정보는 통신 모듈(1700)을 통해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800)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일 수 있다. 또는 시각 정보 등의 경우에는 제어 모듈(1600)이 텍스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또 점자 변환은 각 텍스트 문자 단위로 수행될 수 있으며, 점자 규약에 따라 ‘돌기있음’과 ‘돌기없음’의 조합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 점자의 표시는 제어 모듈(1600)이 이처럼 변환된 점자 중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따라 핀(1200)을 승강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 모듈(1600)은 스위칭 회로(1430)를 단속하여 ‘돌기있음’에 대응되는 핀(1200)에 감긴 코일(1280)에 순방향 전류를 인가하여 핀(1200)을 상승시키고, ‘돌기없음’에 대응되는 핀(1200)에 감긴 코일(1280)에는 전류를 인가하지 않거나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여 핀(1200)이 상승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점자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는 각종 정보를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를 통해 점자로써 표현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는 각종 정보를 점자 형태로 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를 지독하여 표시되는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 표시되는 정보의 대표적인 예로는 시간 정보가 있을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100)의 블록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 제어 모듈(1600), 통신 모듈(1700) 및 메모리(18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에서는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내부에 제어 모듈(1600), 통신 모듈(1700) 그리고 메모리(1800)가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는데, 전자 기기(100)에서는 이러한 제어 모듈(1600), 통신 모듈(1700), 메모리(1800)가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와 별도로 존재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에 관한 부분에서 설명한 바 있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전자 기기(100)는 스마트 폰이나 스마트 시계를 비롯한 다양한 휴대용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계 타입의 전자 기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자 기기(100)는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 손목 줄(120), 버튼부(미도시) 및 스피커(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전자 기기(100)는 시계 줄(120)을 이용해 일반적인 시계와 유사하게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될 수 있다. 버튼부(미도시)는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버튼부(미도시)의 특정 버튼을 누름으로써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동작 속도를 제어하거나 스피커(미도시)의 볼륨을 조정하거나 또는 전자 기기(100)의 동작 모드를 시간 표시 모드에서 날짜 표시 모드로 변환하는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버튼부(미도시)는 지독 방향 설정의 개시 또는 갱신을 위한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버튼부(미도시)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스피커(미도시)는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예? 들어, 사용자가 특정 시간에 알람 설정을 해놓은 경우 또는 외부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는 스피커(미도시)에서 이를 알리는 소리가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필요에 따라서는 전자 기기(100)에 스피커(미도시) 대신 진동 모듈(미도시)이 추가되어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알람을 줄 수도 있다.
다만, 도 21에서는 전자 기기(100)가 스마트 시계의 형태를 취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자 기기(10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지독 과정에 관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로부터 점자를 지독할 때 손가락을 이용하여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의 핀(1200)을 좌로부터 우로 지독하면서 점자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브레일 디스플레이(1000)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홀(1120)ㅇ의 위에 손가락을 각각 올려놓은 상태에서 핀(1200)이 승강하는 것에 의해 점자를 인식하고, 또 핀(1200)이 다음 점자를 표시하기 위하여 그 승강이 갱신되면 사용자가 별도로 손가락을 이동시키지 않고도 점자를 지속적으로 읽어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별개로 또는 조합되어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브레일 디스플레이
1100: 베이스
1200: 핀
1460: 센서
1600: 제어 모듈
100: 전자 기기

Claims (22)

  1. 수직 방향으로 관통 홀들이 형성된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 돌출되어 점자 형식 중 '돌기있음'에 대응되는 온 위치와 상기 관통 홀들 내에 각각 수납되어 상기 점자 형식 중 '돌기없음'에 대응되는 오프 위치 사이에서 승강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 홀들에 각각 삽입되는 핀들;
    상기 핀들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지독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지독 방향을 고려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핀들의 승강을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복수의 기준 방향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과 가장 유사한 방향으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제1 터치 입력과 상기 제1 터치 입력 이후에 수행된 제2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제1 터치 입력을 받은 제1 핀으로부터 상기 제2 터치 입력을 받은 핀이 향하는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의 터치 위치 및 터치 순서에 기초하여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을 받은 핀의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터치 위치를 판단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의 입력 시간을 이용하여 터치 순서를 판단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지독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핀들에 점자를 구성하는 점자 요소를 할당하고,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등되도록 상기 점자 요소가 할당된 핀들의 승강을 제어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지독 방향이 설정되기 전 또는 상기 지독 방향의 갱신 요청을 받은 경우에 상기 핀들을 모두 상승시키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지독 방향이 설정되기 전 또는 상기 지독 방향의 갱신 요청을 받은 경우에 상기 핀들 중 미리 정해진 핀들만을 상승시키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핀들은, 상기 핀들 중 최외곽 테두리의 핀들을 포함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준 방향 중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미리 정해진 핀들은, 상기 복수의 기준 방향을 반영하는 핀들을 포함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돌기있음'에 대응되도록 상기 온 위치로 상승한 핀의 수직 위치가 상기 온 위치보다 낮은 터치 위치인지 여부에 따라 상기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15. 점자 형식 중 '돌기있음'에 대응되는 온 위치와 상기 관통 홀들 내에 각각 수납되어 상기 점자 형식 중 '돌기없음'에 대응되는 오프 위치 사이에서 승강하여 점자를 표시하기 위한 핀들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터치 입력에 기초하여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지독 방향을 고려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응되도록 상기 핀들을 승강시켜 점자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독 방향 설정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지독 방향 설정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기준 방향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과 가장 유사한 방향으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지독 방향 설정 방법.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터치 입력을 받은 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터치 입력을 받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지독 방향 설정 방법.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지독 방향을 고려하여 상기 핀들에 점자를 구성하는 점자 요소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표현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등되도록 상기 점자 요소가 할당된 핀들을 승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지독 방향 설정 방법.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독 방향의 설정 전 또는 상기 지독 방향의 갱신 요청 시 지독 방향 입력 형태로 상기 핀들을 승강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지독 방향 설정 방법.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독 방향 입력 형태는, 모든 핀들이 '돌기있음'을 표시하는 형태인
    지독 방향 설정 방법.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는 단계에서, 복수의 기준 방향들 중 상기 터치 입력이 이루어지는 방향과 가장 유사한 방향으로 상기 지독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지독 방향 입력 형태는, 상기 복수의 기준 방향들을 반영하도록 상기 핀들이 승강되는 형태인
    지독 방향 설정 방법.
KR1020140179430A 2014-10-30 2014-12-12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지독 방향 설정 방법 KR1015979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72945P 2014-10-30 2014-10-30
US62/072,945 2014-10-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913B1 true KR101597913B1 (ko) 2016-03-03

Family

ID=55535570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430A KR101597913B1 (ko) 2014-10-30 2014-12-12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지독 방향 설정 방법
KR1020140179429A KR101597912B1 (ko) 2014-10-30 2014-12-12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140179428A KR101597911B1 (ko) 2014-10-30 2014-12-12 브레일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50006870A KR101597931B1 (ko) 2014-10-30 2015-01-14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방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9429A KR101597912B1 (ko) 2014-10-30 2014-12-12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0140179428A KR101597911B1 (ko) 2014-10-30 2014-12-12 브레일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0150006870A KR101597931B1 (ko) 2014-10-30 2015-01-14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방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09882B2 (ko)
KR (4) KR101597913B1 (ko)
CN (1) CN10964350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8876A (ko) 2017-01-04 2017-01-24 김종한 텍스트아이콘 조합의 텍스트메시지 작성 시스템 및 텍스트아이콘 조합의 패스워드 작성 시스템 및 텍스트아이콘 조합의 작성 시스템이 적용된 시각장애인용 통신장치
EP3246898A1 (en) 2016-05-20 2017-11-22 Braibook, SL Reading method for blind people via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reading device for blind people
KR20190042362A (ko) * 2017-10-16 2019-04-2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여 손목으로 점자를 읽을 수 있도록 해주는 스마트 밴드 시스템
KR20220028215A (ko) * 2020-08-28 2022-03-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점자 변환 장치 및 점자 변환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72394B1 (en) * 2016-03-08 2020-09-15 Apple Inc. Tactile output for wearable device
CN109154866A (zh) 2016-04-27 2019-01-04 株式会社Dot 信息输出设备
KR101788251B1 (ko) 2016-05-31 2017-10-19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KR101682565B1 (ko) * 2016-05-02 2016-12-05 서인식 시각장애인용 디스플레이 모듈
KR101725185B1 (ko) * 2016-05-02 2017-04-11 서인식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US20180190151A1 (en) * 2016-05-02 2018-07-05 Insik Seo Display modul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display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T518530B1 (de) * 2016-07-07 2017-11-15 Technische Universität Wien Vorrichtung zu Darstellung von tastbaren Zeichen
CN106445187B (zh) * 2016-10-09 2018-11-27 石美秀 一种盲文电子录入装置
KR101935906B1 (ko) * 2017-02-22 2019-01-07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A3096715A1 (en) * 2018-04-24 2019-10-31 Wallace PITTS Magnetically programmable actuators for tactile conveyance of information
KR102130776B1 (ko) * 2018-05-16 2020-07-08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KR102257585B1 (ko) * 2019-04-11 2021-05-31 (주)센서토피아 패턴코일을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KR102356100B1 (ko) * 2019-12-09 2022-01-27 ㈜오버플로우 점자 메모 장치
CN111081121A (zh) * 2019-12-24 2020-04-28 北京三叶星云互动科技有限公司 直线驱动装置、触摸显示装置和微型电子锁
US11538360B2 (en) * 2020-03-10 2022-12-27 Tactile Solutions, Inc. RFID tag in display adapter
US11640769B2 (en) * 2020-05-29 2023-05-02 Abenezer Ayana Modular refreshable braille display system
KR20200084831A (ko) * 2020-06-29 2020-07-13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장치
US20230252911A1 (en) * 2022-02-09 2023-08-10 Freedom Scientific, Inc. Ingress Protected Braille Displa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1748A (ja) * 2001-05-21 2002-11-29 Natl Space Development Agency Of Japan 点図触知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3150897A (ja) * 2001-08-28 2003-05-23 Shinano Kenshi Co Ltd 点字読取装置
KR100810573B1 (ko) * 2006-06-07 2008-03-18 (주)아이디팩트글로벌 점자 단말기
KR20140008823A (ko) * 2012-07-12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점자 입출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438A (en) * 1974-02-16 1976-10-19 Lindenmueller Hans Peter Tactile indicating device
US4191945A (en) * 1978-01-16 1980-03-04 Charlesworth David V Tactile indicating device
AT381181B (de) * 1984-03-30 1986-09-10 Siemens Ag Oesterreich Taktiles blindenschrift-ausgabegeraet mit einem flaechenhaften darstellungstraeger
US4871992A (en) * 1988-07-08 1989-10-03 Petersen Robert C Tactile display apparatus
JPH0812536B2 (ja) * 1993-04-16 1996-02-07 ケージーエス株式会社 点字セルモジュール
US5466154A (en) * 1993-07-26 1995-11-14 Thompson; James M. Braille board with movable dot pins
JPH07271294A (ja) * 1994-03-31 1995-10-20 Toshiba Corp 点字表示装置
US5685721A (en) * 1995-11-06 1997-11-11 American Research Corporation Of Virginia Refreshable braille-cell display implemented with shape memory alloys
JP3708674B2 (ja) * 1997-05-09 2005-10-19 日本放送協会 指装着型点字情報入出力装置
US6354839B1 (en) * 1998-10-10 2002-03-12 Orbital Research, Inc. Refreshable braille display system
US6776619B1 (en) * 1999-05-19 2004-08-17 United States Of America Refreshable braille reader
AU5774300A (en) * 1999-06-28 2001-01-31 Tactilics, Inc. Braille computer monitor
US6734785B2 (en) * 2000-10-27 2004-05-11 Robert C. Petersen Tactile display system
KR200252070Y1 (ko) * 2001-07-26 2001-11-23 유찬우 통풍구
KR20030012512A (ko) * 2001-08-01 2003-02-12 주식회사 디디비 점자발생 장치
JP3966377B2 (ja) * 2001-11-20 2007-08-29 徹也 北城 モバイル型パソコンの放熱・冷却方法、および装置
EP1429307B1 (en) * 2002-12-10 2005-06-22 Askk Co.,Ltd. Rotating braille display device
KR100568695B1 (ko) * 2003-10-10 2006-04-07 신현오 점자 디스플레이장치
JP4465684B2 (ja) * 2004-01-20 2010-05-19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形状記憶合金を用いた駆動機構及びこの駆動機構を備える装置
CN101150616A (zh) * 2006-09-19 2008-03-26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盲文点字显示装置及具有该装置的通信终端
KR100851279B1 (ko) * 2006-12-07 2008-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 유변 유체를 이용한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932061B2 (en) * 2007-07-06 2015-01-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acilitating tactile identification of a document attribute
US8740618B2 (en) * 2007-07-20 2014-06-03 Keith N. Shaw Braille module with compressible pin arrays
CN101467193A (zh) * 2007-07-30 2009-06-24 Askk株式会社 触摸杆显示装置
CN101261775A (zh) * 2008-04-14 2008-09-10 华中科技大学 一种盲文点字显示器
CN101702267B (zh) * 2009-09-17 2011-12-21 杭州六易科技有限公司 一种盲人专用电子阅读和输入装置
US8770981B2 (en) * 2010-04-30 2014-07-08 Board Of Trustees Of Northern Illinois University Actuation mechanism for braille displays
KR101181811B1 (ko) * 2010-09-27 2012-09-12 한국과학기술원 점자 출력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점자 출력 방법
CN102176293B (zh) * 2011-03-12 2014-09-10 张乐 点阵式磁控凸点盲文显示器
CN102184662A (zh) * 2011-05-23 2011-09-14 桂林理工大学 电磁推拉式盲文触摸屏
US20140356819A1 (en) * 2011-09-13 2014-12-04 Mauricio Rodriguez Regalado Portable electronic braille reader
KR20130038025A (ko) * 2011-10-07 2013-04-17 삼성에스엔에스 주식회사 점자출력장치
CN202816213U (zh) * 2012-09-19 2013-03-20 华南理工大学 一种盲人识字辅助装置
KR20140085734A (ko) 2012-12-27 2014-07-08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촉각을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812033B2 (en) * 2013-03-06 2017-11-07 Venkatesh R. Chari Tactile graphic display
US20150125831A1 (en) * 2013-11-07 2015-05-07 Srijit Chandrashekhar Nair Tactile Pin Array Device
US10488886B2 (en) * 2016-01-11 2019-11-26 Lenovo Enterprise Solutions (Singapore) Pte. Ltd. Flexible display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nd operat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1748A (ja) * 2001-05-21 2002-11-29 Natl Space Development Agency Of Japan 点図触知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JP2003150897A (ja) * 2001-08-28 2003-05-23 Shinano Kenshi Co Ltd 点字読取装置
KR100810573B1 (ko) * 2006-06-07 2008-03-18 (주)아이디팩트글로벌 점자 단말기
KR20140008823A (ko) * 2012-07-12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점자 입출력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6898A1 (en) 2016-05-20 2017-11-22 Braibook, SL Reading method for blind people via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reading device for blind people
WO2017199191A1 (en) 2016-05-20 2017-11-23 Braibook, S.L. A reading method for blind people via a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reading device for blind people
KR20170008876A (ko) 2017-01-04 2017-01-24 김종한 텍스트아이콘 조합의 텍스트메시지 작성 시스템 및 텍스트아이콘 조합의 패스워드 작성 시스템 및 텍스트아이콘 조합의 작성 시스템이 적용된 시각장애인용 통신장치
KR20190042362A (ko) * 2017-10-16 2019-04-2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여 손목으로 점자를 읽을 수 있도록 해주는 스마트 밴드 시스템
KR102034599B1 (ko) * 2017-10-16 2019-10-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휴대용 단말기와 연동하여 손목으로 점자를 읽을 수 있도록 해주는 스마트 밴드 시스템
KR20220028215A (ko) * 2020-08-28 2022-03-08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점자 변환 장치 및 점자 변환 방법
KR102414923B1 (ko) 2020-08-28 2022-06-29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변환 장치 및 점자 변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52291A1 (en) 2017-12-07
KR101597931B1 (ko) 2016-03-03
CN109643501A (zh) 2019-04-16
US10909882B2 (en) 2021-02-02
KR101597911B1 (ko) 2016-03-02
KR101597912B1 (ko) 201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913B1 (ko)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지독 방향 설정 방법
EP2808781A1 (en) Method,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or mirroring screen data
US20120287053A1 (en) Multi-modal user input device
US11282409B2 (en) Programm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ming method
GB2517087A (en) Electronic device and coordinate detecting method
US10375227B2 (en) Mobile terminal
KR20150103955A (ko) 모바일 전자장치, 그를 위한 액세서리 디바이스 및 그 액세서리 디바이스를 구비한 전자장치
US10043407B2 (en) Interactive book with proximity, touch, and/or gesture sensing
GB2531370A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erver
JP6021729B2 (ja) 入力デバイス及びタッチパネル表示システム
JP2012048341A (ja) 入力装置及び携帯端末
JP6089880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EP3144781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keyboard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CN106298327B (zh) 按键及其键盘
KR101269854B1 (ko) 정전용량 터치스크린 단말기용 입력보조장치
KR101368651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단말기 케이스
KR102523368B1 (ko)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CN208506634U (zh) 保护壳
KR20170072622A (ko) 점자 단말기
JP2014106394A (ja) 音声情報表示装置、音声情報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6093666A1 (ko) 브레일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KR102134891B1 (ko) 필기도구
KR20210121918A (ko)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806375B2 (ja) 入力装置及び携帯端末
KR2022012088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를 동작시키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