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4831A - 정보 출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출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4831A
KR20200084831A KR1020200078975A KR20200078975A KR20200084831A KR 20200084831 A KR20200084831 A KR 20200084831A KR 1020200078975 A KR1020200078975 A KR 1020200078975A KR 20200078975 A KR20200078975 A KR 20200078975A KR 20200084831 A KR20200084831 A KR 2020008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casing
display surface
information outpu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200078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4831A/ko
Publication of KR2020008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4831A/ko
Priority to KR1020220025034A priority patent/KR102505923B1/ko
Priority to KR1020230026191A priority patent/KR102594651B1/ko
Priority to KR1020230142135A priority patent/KR202301541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면과 상기 표시면에 형성된 표시 홀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 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왕복 운동해 상기 표시면에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돌기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돌기를 운동시키도록 구비된 구동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정보 출력 장치{Information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보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정보 출력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인쇄물을 이용한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 소리를 통한 청각적 정보 출력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대는 정보량의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전자 기술이 포함된 정보 출력 장치도 많이 사용되고 있고, 다수의 화소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시각적 정보 출력 장치로 흔히 사용되고 있다.
한편, 기술 발전, 생활 습관의 다양화 등으로 인하여 시각적 정보 출력 형태 이외에 다양한 방식의 정보 출력 형태가 요구되고 있다. 이는 시각적 정보 출력은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일 예로, 사용자 별로 갖고 있는 상황에 따라 다양한 정보 출력 장치를 요구할 수 있고, 특히 특정 감각이 약화된 사용자, 예를들면 시각적 능력이 약하거나 없는 경우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이 요구된다.
또한, 촉각을 통한 정보 출력 장치는 촉각을 구현하기 위한 돌기의 돌출 운동이 필수적인 데, 이 때문에 방수 기능에 한계가 있고, 오염에 취약해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 및/또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내구성이 향상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하고 방수 및/또는 방습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표시면과 상기 표시면에 형성된 표시 홀을 포함하는 케이싱과,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 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왕복 운동해 상기 표시면에 표시 가능하도록 구비된 돌기와,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돌기를 운동시키도록 구비된 구동 모듈과, 상기 표시면과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표시면을 향한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된 제2면을 갖는 필름을 포함하는 스킨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시 홀이 위치하는 활성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킨 모듈은,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되는 개구를 갖고, 상기 필름과 상기 표시면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케이싱 사이에 개재된 접착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과 스페이서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표시 홀이 위치하는 활성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과, 상기 케이싱은 상기 활성 영역에 대응되는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과 케이싱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의 적어도 일부에 제1 체결 유닛이 위치하고, 상기 스킨 모듈은, 적어도 필름의 가장자리와 결합된 지지 유닛과, 상기 지지 유닛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체결 유닛과 결합 가능하도록 구비된 제2 체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유닛과 상기 케이싱의 사이 및 상기 필름과 케이싱의 사이 중 적어도 하나에 위치한 밀봉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스킨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표시면, 표시홀 부근 및/또는 구동 모듈을 외부의 수분, 습기 및/또는 오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생활방수 및 수중 방수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로 사용할 때나 수중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들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내용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들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본 명세서의 모든 실시예에서 유닛이란 특정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단일의 부품을 의미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의 구획된 영역일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이하의 실시예는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1)는 사용자가 휴대 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으로, 사용자가 손목에 착용하는 손목 시계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또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정보 출력 장치(100)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와 접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촉각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웨어러블 단말기의 형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물, 설비 및/또는 장치에 부착 설치되는 소자가 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정보 출력 장치(1)는 인근의 컴퓨팅 장치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팅 장치는 스마트 폰, 및/또는 태블릿 PC 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가 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1)는 상기 컴퓨팅 장치와 WiFi, 블루투스 및/또는 NFC와 같은 근거리 및/또는 직접 통신 수단을 이용해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정보 출력 장치(1)는 통신사, 쇼핑몰, 방송국, 정부기관 등 다양한 회사 및/또는 기관의 서버 컴퓨터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은 무선 네트워크 망, 유선 네트워크 망, 기타 다양한 통신 망을 거쳐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정보 출력 장치(1)는, 케이싱(10)과, 돌기(12)와, 구동 모듈(124)과, 스킨 모듈(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10)은 밀폐된 내부 공간을 갖는 데, 이 내부 공간에 구동 모듈(124)이 수용될 수 있다.
케이싱(10)의 내부 공간은 서로 대향되도록 결합되는 제1 케이싱(101)과 제2 케이싱(10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도 2에서 제1 케이싱(101)의 상면에 접하도록 구동 모듈(124)이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 데,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 모듈(124)과 제1 케이싱(101)의 사이에는 구동 모듈(124)의 동작을 위한 회로 기판, 배터리, 및/또는 컨트롤러 등 다양한 소자들이 더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싱(101)은 이러한 소자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케이싱(101)에 대향되게 제2 케이싱(102)이 위치하며, 제2 케이싱(102)은 적어도 일측 외면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 표시면(11)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표시면(11)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편평한 평면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표시면(11)은 곡면 및/또는 절곡면 등 다양한 형태의 면이 될 수 있다.
제2 케이싱(102)은 표시면(11)이 되는 영역 내에 형성된 표시 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홀(111)은 케이싱(10) 내부 공간으로부터 돌기(12)가 돌출 및 인입을 할 수 있도록 구비된 것으로 표시 홀(111)을 통해 케이싱(10)의 내부 적어도 일부와 외부가 소통할 수 있다. 표시 홀(111)은 돌기(12)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듈(124)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는 데, 그 개수는 돌기(12)의 수에 대응될 수 있다. 각 돌기(12)와 구동 모듈(124)은 일대일로 결합되어 있는 데, 각 구동 모듈(124)은 컨트롤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모듈(123)은 전기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구동 모듈(124)과 제2 케이싱(102)의 사이에는 돌기(12)가 위치할 수 있다. 돌기(12)는 구동 모듈(124)에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 모듈(124)에 따라 동작한다. 구동 모듈(124)과 돌기(12)는 서로 결합된 것일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분리되어 있고, 구동 모듈(124)의 동력을 전달받아 운동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돌기(12)는 표시 홀(111)에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할 수 있는 데, 적어도 일부가 표시 홀(111)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촉각 표시를 제공한다. 이러한 돌기(12)는 표시 홀(111)을 출입하도록 왕복 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표시 홀(111)에 인접하게 돌기(12)의 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가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러한 돌기(12)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점자와 같은 특수 문자를 표시할 수 있고, 입체 그림을 표시할 수도 있다. 돌기(12)는 표시면(1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높이의 조절에 의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서로 인접한 제1 돌기(121), 제2 돌기(122) 및 제3 돌기(123)가 있고, 제1 돌기(121)와 제3 돌기(123)는 최대 높이로 돌출하고, 제2 돌기(122)는 최저 높이로 돌출함으로써, 사용자는 제1 돌기(121)와 제3 돌기(123)의 돌출을 인지하고, 이에 따른 정보의 전달을 받을 수 있다.
상기 스킨 모듈(13)은 케이싱(10)의 외측에 위치한 것으로,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적어도 표시면(11)을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표시면(11)을 촉각 인지할 때에 먼저 스킨 모듈(13)을 촉각 인지할 수 있고, 이를 매개로 전달되는 돌기(12)의 운동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스킨 모듈(13)은 필름(13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름(131)은 적어도 상기 표시면(11)과 대향되게 위치하고, 표시면(1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필름(131)은 서로 대향된 제1 면(1311)과 제2 면(13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제1 면(1311)이 표시면(11)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름(131)의 제2 면(1312)을 촉각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필름(131)은 유연성 및/또는 탄성을 갖고, 어느 정도의 방습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는 데, 폴리머 재질, 예컨대 폴리 우레탄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필름(131)을 뚫고 표시면(11)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필름(131)의 두께도 너무 두껍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그 두께는 필름(131)의 제2 면(1312)을 사용자가 터치했을 때, 그 하부의 돌기(12)의 돌출된 상태를 느낄 수 있는 두께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131)은 표시면(11)과 이격되게 구비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131)은 표시면(11)과 항상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131)과 표시면(11)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돌기(12)의 표시면(11)으로부터의 최대 돌출 높이(d2)와 같거나 이보다 크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필름(131)과 표시면(11) 사이의 이격 거리(d1)가 상기 돌기(12)의 표시면(11)으로부터의 최대 돌출 높이(d2)보다 작을 경우 돌기(12)의 최대 돌출에 의해 필름(131)의 제1 면(1311)이 지속적으로 타격을 받아 필름(13)이 손상될 수 있고, 돌기(12)의 돌출 운동을 방해해 구동 모듈에 과부하를 줄 수 있다.
상기 필름(131)과 표시면(11)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돌기(12)의 표시면(11)으로부터의 최대 돌출 높이(d2)보다 너무 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데, 필름(131)의 제1면(1311)과 최대 돌출 상태에서의 돌기(12)의 끝과의 거리는 제2 면(1312)을 터치한 사용자의 힘에 의해 필름(131)이 눌려 제1 면(1311)이 돌기(12)에 닿을 수 있는 거리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비록 필름(131)의 제1면(1311)과 최대 돌출 상태에서의 돌기(12)의 끝이 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제2 면(1312)을 통해 돌기(12)의 돌출에 의한 정보를 전달 받을 수 있다.
상기 필름(131)은 광이 투과될 수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는 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필름(131)의 외측에서 표시면(11)에 구현된 다른 정보를 관찰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10)은 전술한 표시 홀이 위치하는 활성 영역(AR)과 이 활성 영역(AR)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비활성 영역(NR)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활성 영역(AR)은 돌기(12)들의 돌출이 활성화됨으로써 표시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영역에 해당한다. 본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활성 영역(AR)은 표시면(11)의 일 영역일 수 있으며, 표시면(11)에 활성 영역(AR)과 비활성 영역(NR)이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스킨 모듈(13)은 상기 필름(131)과 표시면(11)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1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132)는 상기 활성 영역(AR)에 대응하는 개구(1321)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 개구(1321) 내측 영역에서 돌기(12)가 돌출되는 구조가 된다.
스페이서(132)는 필름(131)의 제1면(1311)에 접합된 것일 수 있는 데, 스페이서(132)에 의해 상기 필름(131)은 표시면(1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32)는 필름(131)보다 경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 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종 재질로 구비될 수도 있다.
스페이서(132)와 케이싱(10)의 사이에는 접착 필름(133)이 더 개재될 수 있다. 이 접착 필름(133)에 의해 스페이서(132)는 케이스(10)의 외면에 고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으며, 개구(1321) 내측 영역, 즉 활성 영역(AR)을 외부와 차단된 밀봉된 영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132)와 접착 필름(133)의 두께의 합이 전술한 필름(131)과 표시면(11) 사이의 이격 거리(d1)가 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페이서(132)와 필름(131)은 일체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즉, 단일의 물질로 형성된 필름을, 활성 영역(AR)에 대응되는 영역에 얇게 홈을 가공함으로써 이 홈의 영역이 필름(131)이 되고, 가공되지 않은 영역은 두꺼운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132) 필름(131) 일체형 필름 조립체는 접착 필름(133)에 의해 케이싱(10)에 접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III-III에 따른 단면 구조의 또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케이싱(10)은 상기 활성 영역(AR)에 대응되는 홈(10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표시면(11)은 홈(103)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킨 모듈(13)은 스페이서 없이 필름(131)으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이 필름(131)이 홈(103) 외측의 케이싱(10) 표면에 접착 필름(133)을 매개로 부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홈(103)의 깊이와 접착 필름(133)의 두께의 합이 전술한 필름(131)과 표시면(11) 사이의 이격 거리(d1)가 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도 3 내지 도 5의 실시예들은 서로 조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도 5의 실시예와 같이 홈(103)이 형성된 케이싱(10)에 도 2 및/또는 도 3의 스페이서(132)를 포함하는 스킨 모듈(13)이 결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할 때,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케이싱(10)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한 제1 체결 유닛(1041)과, 스킨 모듈(13)에 위치하는 제2 체결 유닛(13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킨 모듈(13)은, 적어도 상기 필름(13)의 가장자리와 결합된 지지 유닛(1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 유닛(134)은 필름(13) 및 스페이서(132)의 가장자리와 고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스페이서가 필요 없는 실시예의 경우 상기 지지 유닛(134)은 필름(13)의 가장자리와 고정적으로 결합될 것임은 물론이다.
이 지지 유닛(134)은 필름(13)의 가장자리에서 케이싱(10)의 측면(104) 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면(104)과 대향되게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유닛(134)은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유닛(134)에는 제2 체결 유닛(1341)이 위치할 수 있는 데,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체결 유닛(1341)은 지지 유닛(134)의 측면(104)을 향한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체결 유닛(1341)은 측면(104)에 형성된 제1 체결 유닛(1041)과 체결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제1 체결 유닛(1041)이 홈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라면 제2 체결 유닛(1341)은 이 홈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 형상이 될 수 있다. 이러한 홈과 돌기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원형, 반타원형, 부채꼴형, 삼각형, 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 유닛(1041)이 돌기 형상으로, 제2 체결 유닛(1341)이 홈의 형상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스킨 모듈(13)은 별도의 접착 필름 없이 케이싱(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는 스킨 모듈(13)을 교체하기 용이해질 수 있다. 따라서 필름(131)의 마모 시 스킨 모듈(13)을 교체함으로써 활성 영역(AR)에 대한 밀봉 특성이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필름(131)의 색상이 다양하게 되도록 스킨 모듈(13)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색상의 필름(131)을 갖는 스킨 모듈(13)을 선택적으로 케이싱(10)에 장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 출력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 유닛(134)과 상기 케이싱(10)의 측면(104) 사이에 위치한 제1 밀봉 유닛(134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밀봉 유닛(1343)의 장착을 위해 상기 지지 유닛(134)에는 상기 측면(104)을 향한 영역에 제1 장착 홈(1342)이 설치될 수 있고, 이 제1 장착 홈(1342)에 제1 밀봉 유닛(1343)이 장착됨으로써 제1 밀봉 유닛(1343)이 케이싱(10)과 지지 유닛(134)의 사이에 고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제1 밀봉 유닛(1343)이 장착되는 위치는 전술한 제1 체결 유닛(1041) 및 제2 체결 유닛(1341)으로부터 필름(131)을 향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밀봉 유닛(1343)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분, 습기의 흐름이 활성 영역(AR)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먼지와 같은 다른 오물이 활성 영역(AR)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밀봉 유닛(1343)은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 데,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그 일부가 지지 유닛(134)의 제1 장착 홈(1342)에 강제 끼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밀봉 유닛(1343)은 제1 장착 홈(1342)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1 밀봉 유닛(1343)은 제1 장착 홈(1342) 없이 지지 유닛(134)의 케이싱(10)을 향한 면에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밀봉 유닛(1343)은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 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표시면을 둘러싸는 폐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표시면을 외부의 수분, 습기, 및/또는 오물로부터 밀봉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스킨 모듈(13)이 필름(131)과 스페이서(132)를 포함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페이서(132)가 필름(131)과 일체로 구비된 실시예, 및 케이싱(10)에 형성된 홈(103)과 필름(131)을 구비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밀봉 유닛(1322)이 지지 유닛(134)이 아닌, 상기 필름(131)과 케이싱(10)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밀봉 유닛(1322)은 스페이서(132)와 케이싱(10)의 표시면(1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제2 밀봉 유닛(1322)의 장착을 위해 상기 스페이서(132)에는 상기 지지면(11)을 향한 영역에 제2 장착 홈(1321)이 설치될 수 있고, 이 제2 장착 홈(1321)에 제2 밀봉 유닛(1322)이 장착됨으로써 제2 밀봉 유닛(1322)이 케이싱(10)과 스페이서(132)의 사이에 고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밀봉 유닛(1322)에 의해 외부로부터 수분, 습기의 흐름이 활성 영역(AR)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먼지와 같은 다른 오물이 활성 영역(AR)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밀봉 유닛(1322)은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 데,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그 일부가 스페이서(132)의 제2 장착 홈(1321)에 강제 끼움 결합된 것일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밀봉 유닛(1322)은 제2 장착 홈(1321)에 접합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상기 제2 밀봉 유닛(1322)은 제2 장착 홈(1321) 없이 스페이서(132)의 케이싱(10)을 향한 면에 접합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제2 밀봉 유닛(1322)은 폐루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는 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표시면을 둘러싸는 폐루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표시면을 외부의 수분, 습기, 및/또는 오물로부터 밀봉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스킨 모듈(13)이 필름(131)과 스페이서(132)를 포함하는 것이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페이서(132)가 필름(131)과 일체로 구비된 실시예, 및 케이싱(10)에 형성된 홈(103)과 필름(131)을 구비한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제1 밀봉 유닛(1343)과 도 7에 도시된 제2 밀봉 유닛(1322)을 모두 구비한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적어도 표시면에 대한 전술한 밀봉 특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정보 출력 장치의 방수 특성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는 하나의 활성 영역(AR)과 이를 둘러싸는 하나의 비활성 영역(NR)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활성 영역(AR)과 비활성 영역(NR)이 구획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전술한 모든 실시예들과 조합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표시면에 표시 홀이 형성되어 있고, 이를 통해 돌기가 반복적인 돌출 운동을 해야 하는 것이기 때문에 돌기와 표시 홀 사이는 어느 정도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표시 홀의 내측에는 바로 돌기와 연결된 구동 모듈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표시 홀을 통해 수분, 습기 및/또는 오물이 내부로 침투하거나, 표시 홀 근처에 부착될 경우 정보 출력 장치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정보 출력 장치는 스킨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표시면을 외부의 수분, 습기 및/또는 오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정보 출력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생활방수 및 수중 방수의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웨어러블 장치로 사용할 때나 수중 사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 정보 출력 장치
10: 케이싱
11: 표시면
12: 돌기
13: 스킨 모듈

Claims (1)

  1. 표시면과 상기 표시면에 형성된 표시 홀을 포함하는 케이싱;
    적어도 일부가 상기 표시 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왕복 운동해 상기 표시면에 정보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구비된 돌기;
    상기 케이싱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돌기와 연결되어 상기 돌기를 운동시키도록 구비된 구동 모듈; 및
    상기 표시면과 대향되게 위치하고 상기 표시면을 향한 제1면과 상기 제1면에 대향된 제2면을 갖는 필름을 포함하는 스킨 모듈;을 포함하는 정보 출력 장치.
KR1020200078975A 2020-06-29 2020-06-29 정보 출력 장치 KR20200084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975A KR20200084831A (ko) 2020-06-29 2020-06-29 정보 출력 장치
KR1020220025034A KR102505923B1 (ko) 2020-06-29 2022-02-25 정보 출력 장치
KR1020230026191A KR102594651B1 (ko) 2020-06-29 2023-02-27 정보 출력 장치
KR1020230142135A KR20230154141A (ko) 2020-06-29 2023-10-23 정보 출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975A KR20200084831A (ko) 2020-06-29 2020-06-29 정보 출력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6173A Division KR102130776B1 (ko) 2018-05-16 2018-05-16 정보 출력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034A Division KR102505923B1 (ko) 2020-06-29 2022-02-25 정보 출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4831A true KR20200084831A (ko) 2020-07-13

Family

ID=71570665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975A KR20200084831A (ko) 2020-06-29 2020-06-29 정보 출력 장치
KR1020220025034A KR102505923B1 (ko) 2020-06-29 2022-02-25 정보 출력 장치
KR1020230026191A KR102594651B1 (ko) 2020-06-29 2023-02-27 정보 출력 장치
KR1020230142135A KR20230154141A (ko) 2020-06-29 2023-10-23 정보 출력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5034A KR102505923B1 (ko) 2020-06-29 2022-02-25 정보 출력 장치
KR1020230026191A KR102594651B1 (ko) 2020-06-29 2023-02-27 정보 출력 장치
KR1020230142135A KR20230154141A (ko) 2020-06-29 2023-10-23 정보 출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2020008483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6020B1 (ko) 2023-06-09 2024-05-14 정창호 점자 표시 장치용 부품 제조 장치
KR102611694B1 (ko) 2023-06-09 2023-12-08 정창호 점자 표시 장치용 요크 제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695B1 (ko) * 2003-10-10 2006-04-07 신현오 점자 디스플레이장치
US20060101685A1 (en) * 2004-09-10 2006-05-18 Smith Carl Iii Substrate with light display
KR101045133B1 (ko) * 2009-07-20 2011-07-0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자용 점자 시계
KR101597911B1 (ko) * 2014-10-30 2016-03-02 김주윤 브레일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4278A (ko) 2023-03-09
KR102505923B1 (ko) 2023-03-06
KR20220027926A (ko) 2022-03-08
KR102594651B1 (ko) 2023-10-27
KR20230154141A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4651B1 (ko) 정보 출력 장치
US10909882B2 (en) Braille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JP629312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及びスイッチモジュール
CN201392756Y (zh) 移动设备的按键模组
US2013022226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waterproof keypad
EP275511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waterproof keypad
US7539303B2 (en) Keypad assembly
KR102130776B1 (ko) 정보 출력 장치
EP2615529A2 (en) Touch screen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CN214012793U (zh) 按键组件和电子设备
KR20230094807A (ko) 정보 출력 장치
US20230119090A1 (en) Information output apparatus
CN109361802B (zh) 一种移动终端
CA2921417C (en) Double pre-loaded deflection webs for keypad
CN111430167A (zh) 电子设备
KR20100120423A (ko) 휴대 단말기의 스마트 플루이드 제어 방법 및 장치
CN115020137B (zh) 一种按键组件和电子设备
CN220020937U (zh) 一种按键结构及移动终端
KR101032319B1 (ko) 햅틱 피드백 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햅틱 피드백 제공 방법
JP2003114757A (ja) 座標入力装置
CN212781829U (zh) 一种工业用手持终端设备
KR102072707B1 (ko) 정보 출력 장치
CN108807058B (zh) 按键
KR20140123194A (ko) 전자 기기의 입력 장치
CA2822179C (en) Hybrid keypa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