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906B1 -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5906B1
KR101935906B1 KR1020170023735A KR20170023735A KR101935906B1 KR 101935906 B1 KR101935906 B1 KR 101935906B1 KR 1020170023735 A KR1020170023735 A KR 1020170023735A KR 20170023735 A KR20170023735 A KR 20170023735A KR 101935906 B1 KR101935906 B1 KR 101935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nformation packet
packet
user interface
output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7073A (ko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70023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90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7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7073A/ko
Priority to KR1020180158381A priority patent/KR102436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은, 표시할 일련의 정보를 하나의 정보 패킷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와 상기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제1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제1 정보 출력 장치는,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정보 패킷을 축적하는 메모리와, 메모리에 축적한 정보 패킷을 자극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인식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제1 조건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축적한 정보 패킷을 소정의 단위로 소거하고, 제2 조건에 대응하여 소거를 중지하고 제2 조건 발생 시점 이전의 정보 패킷부터 현재의 정보 패킷까지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SYSTEM FOR OUTPUT INFORM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등의 스마트 기기의 발전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 일상 생활에서 대중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는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에 기반하고 있어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나 터치 위치의 파악이 어려워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들이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소리나 촉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이 절실한 상황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3-0065887호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각 장애인들을 포함한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 및 제1 정보 출력 장치 사이에 네트워크 장애 발생 시에 제2 정보 출력 장치가 제1 정보 출력 장치에 정보를 제공하여 시각 장애인들에게 용이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제1 정보 출력 장치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가 출력하는 정보가 다른 경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제2 정보 출력 장치에 정보를 요청하여 시각 장애인들에게 용이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출력 중인 정보를 시각 장애인 단말기로 제공하여 시각 장애인들에게 용이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은, 표시할 일련의 정보를 하나의 정보 패킷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 및 상기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제1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정보 패킷을 축적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축적한 상기 정보 패킷을 자극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인식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제1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축적한 상기 정보 패킷을 소정의 단위로 소거하고, 제2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소거를 중지하고 상기 제2 조건 발생 시점 이전의 정보 패킷부터 현재의 정보 패킷까지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출력부가 출력하고 있는 상기 인식 정보 패킷 이전의 인식 정보 패킷을 확인하도록 조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이전의 정보 패킷부터 상기 현재의 정보 패킷까지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변환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신호의 범위에 따라 상기 이전의 정보 패킷부터 상기 현재의 정보 패킷까지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정보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출력부가 출력하고 있는 상기 인식 정보 패킷에 포함되면서 하나 이상의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제1 방향으로 확인하도록 조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하나 이상의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제2 방향으로 확인하도록 조작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조작으로 선택한 어느 한 상기 상위 카테고리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조작하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변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변환부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돌기; 상기 돌기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돌기를 직선운동 되도록 구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동부; 및 상기 인식 정보 패킷을 상기 돌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부로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은, 표시할 일련의 정보를 하나의 정보 패킷으로 생성하여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 및 상기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제1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정보 패킷을 메모리에 축적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상기 메모리에 축적한 상기 정보 패킷을 자극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상기 인식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제1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축적한 상기 정보 패킷을 소정의 단위로 소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제2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소거를 중지하고 상기 제2 조건 발생 시점 이전의 정보 패킷부터 현재의 정보 패킷까지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출력하고 있는 상기 인식 정보 패킷 이전의 인식 정보 패킷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이전의 정보 패킷부터 상기 현재의 정보 패킷까지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신호의 범위에 따라 상기 이전의 정보 패킷부터 상기 현재의 정보 패킷까지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는 정보의 양을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출력하고 있는 상기 인식 정보 패킷에 포함되면서 하나 이상의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제1 방향으로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제2 방향으로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조작으로 선택한 어느 한 상기 상위 카테고리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출력하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들을 포함한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 및 제1 정보 출력 장치 사이에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원활하게 정보를 출력하여 장애인들에게 용이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정보 출력 장치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가 출력하는 정보가 다르더라도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원활하게 정보를 출력하여 장애인들에게 용이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시각 장애인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출력 중인 정보를 시각 장애인 단말기로 제공하여 시각 장애인들에게 용이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출력 시스템 중 정보 제공 장치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정보 제공 장치 중 정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정보 출력 시스템 중 제1 정보 출력 장치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1 정보 출력 장치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제1 정보 출력 장치 중 출력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는 도 1의 정보 출력 시스템 중 제2 정보 출력 장치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보 출력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기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정보 출력 시스템(1)은, 정보 제공 장치(100),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제2 정보 출력 장치(300) 및 통신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표시할 일련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일련의 정보라 함은, 공항, 터미널, 버스 정류장, 지하철, 학교, 학원, 백화점, 슈퍼마켓, 서점, 매장, 쇼핑몰, 병원, 은행, 경기장, 박물관, 호텔, 회사 등과 관련한 교통 정보, 교육 정보, 홍보 정보, 공공 정보, 가격 정보, 할인 정보, 상품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일련의 정보는 시각적(동영상, 텍스트, 정지 영상 등을 포함) 정보 및 청각적(음악, 목소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소리 등을 포함) 정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정보는 정보 패킷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정보 패킷은 일련의 정보를 주제, 문장, 카테고리 별로 묶어놓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오늘의 날씨와 관련한 일련의 정보(최저 온도, 최고 온도, 습도, 바람, 특정 지역의 날씨 등)가 하나의 정보 패킷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정보 패킷은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 패킷은 상술한 정보 패킷 중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정보를 제외한 정보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정보를 제외한다 함은, 시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패킷 중 동영상 및 정지영상과 같은 시각적 정보를 제외한 정보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정보 패킷은 청각적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시각 장애인 전용 정보 패킷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청각적 정보는 그대로 출력되고, 텍스트 정보는 시각 장애인이 자극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에 텍스트가 포함된 경우, 동영상 및/또는 정지영상으로부터 텍스트 인식을 통하여 텍스트를 추출하여 제1 정보 패킷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정보 패킷은 제1 정보 패킷에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 정보 패킷 즉, 시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 모두를 포함하는 정보 패킷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일반 사용자 전용 정보 패킷이라 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는 이러한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에 대하여 동기화 처리를 수행하여, 제1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로 실시간 제공하고, 제2 정보 패킷을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동기화 처리를 수행한다 함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에 제공하는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의 출력 시간을 정확히 일치시키는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 패킷은 제2 정보 패킷과 비교 시에 시각적 정보가 제외되어 있으므로,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제2 정보 패킷의 시각적 정보를 출력하는 구간 동안에, 제1 정보 출력 장치(200)가 제1 정보 패킷의 출력을 유지하는 처리 등을 수행하여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의 출력 시간을 정확히 일치시킬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정보 제공 장치(100)와 통신망(400)을 통하여 연결되고,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제1 정보 패킷을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 정보 패킷이라 함은, 제1 정보 패킷과 동일하면서 자극(예를 들어 촉각)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정보 패킷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수신한 제1 정보 패킷을 메모리(도 4의 220)에 축적하고 제1 조건 및 제2 조건 중 어느 한 조건에 대응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제1 정보 패킷을 소정의 단위로 소거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건은 시각 장애인으로써의 사용자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대하여 일정 시간 동안 아무런 액션을 취하지 않은 상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조건은 사용자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대하여 일정 시간 이내에 특정한 액션(예를 들어 터치 등)을 취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에 저장한 제1 정보 패킷을 소거하는 소정의 단위는 제1 정보 패킷의 양 또는 주기적인 시간(예를 들어 1시간에 1번 소거, 일 주일에 한 번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는 정보 제공 장치(100)와 통신망(400)을 통하여 연결되고,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제2 정보 패킷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는 상술한 각종 장소에 구비되어 있는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디지털 사이니지(digital signage)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사이니지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콘텐츠, 네트워크 등 다양한 IT 기술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정지영상,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와 광고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정보 디스플레이(digital information display: DI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이니지는 현재 터미널, 관공서, 버스 정류장, 백화점, 지하철, 공항, 호텔, 병원 등 유동 인구가 많은 대형 건물 및 업소, 엘리베이터, 영화관, 식당, 쇼핑몰, 상점 등 사람들이 일정 시간 머무르는 장소에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디지털 사이니지에 대한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는 상술한 디지털 사이니지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장소에서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도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와 함께 구비되어 있을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의 일 부분에 제1 정보 출력 장치(200)가 포함되어 설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 각각은 통신망(400)을 통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통신망(400)은 정보 제공 장치(100),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통신망(400)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접속한 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도 1의 정보 출력 시스템(1) 중 정보 제공 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통신부(110), 메모리(120), 프로그램 저장부(130), 제어부(140), 데이터베이스(150) 및 정보 처리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통신망(400)과 연동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 사이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정보 제공 장치(100)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20)는 제어부(14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메모리(1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저장부(130)는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을 제공할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를 검색하는 작업,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을 동기화 처리하는 작업, 제1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제공하고, 제2 정보 패킷을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에 제공하는 작업, 정보 제공 장치(100)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 사이의 네트워크 장애를 모니터링 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
제어부(14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로 제공하는 전체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4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베이스(150)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에 제공할 각종 정보 패킷을 저장할 수 있고,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와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사용자 단말기(도 9의 500)와 관련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와 관련한 정보는 고유 정보, 설치 위치, 제공한 정보 패킷 이력, 네트워크 장애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500)와 관련한 정보는, 고유 정보, 접속 식별 정보(ID)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인증과 관련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정보 패킷 전송 이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160)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를 검색하고,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을 동기화 처리하여, 동기화된 제1 정보 패킷을 실시간으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제공하고, 동기화된 제2 정보 패킷을 실시간으로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에 제공할 수 있다. 정보 처리부(160)는 정보 제공 장치(100)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 사이의 네트워크 장애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정보 제공 장치(100) 중 정보 처리부(16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정보 처리부(160)는 전송부(161), 수신부(162), 생성부(163) 및 모니터링부(16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송부(161)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를 검색하고, 검색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에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의 제공을 제안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161)는 동기화된 제1 정보 패킷을 통신부(110)를 통하여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로 전송하고, 동기화된 제2 정보 패킷을 통신부(110)를 통하여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부(162)는 검색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로부터 응답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응답 신호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을 요청하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62)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로부터 제1 정보 패킷 수신 완료 신호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로부터 제2 정보 패킷 수신 완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생성부(163)는 데이터베이스(150)로부터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와 관련한 정보 및 해당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 패킷을 로딩하여, 제2 정보 패킷을 생성하고, 제2 정보 패킷으로부터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정보를 제외한 제1 정보 패킷을 생성한 후,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의 동기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부(163)는 동기화 처리 수행 시에, 제1 정보 패킷에 포함되는 제2 정보 패킷 내의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에 해당하는 구간에 널(null) 데이터를 삽입하거나, 이전의 제1 정보 패킷을 유지하는 정보를 삽입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64)는 정보 제공 장치(100)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 사이의 네트워크 장애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64)는 수신부(162)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로부터 수신한 수신 완료 신호를 기반으로 하여 네트워크 장애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 완료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모니터링부(164)는 소정 횟수의 핑 테스트를 수행하여 답변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정보 제공 장치(100) 및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사이에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보 제공 장치(100) 및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사이에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한 경우, 네트워크 장애가 복구될 때까지 모니터링부(164)는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에 요청하여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제1 패킷 정보를 전송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정보 출력 시스템(1) 중 제1 정보 출력 장치(10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통신부(210), 메모리(220), 사용자 인터페이스(230), 프로그램 저장부(240), 수신부(250), 전송부(260), 변환부(270), 출력부(280) 및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정보 제공 장치(100))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220)는 제어부(29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거나 제1 정보 출력 장치(200)가 처리한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2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택적 실시 예로 메모리(22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1 정보 패킷을 축적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220)는 제어부(290)의 제어 신호에 의해 저장된 제1 정보 패킷을 소거하거나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는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또는 이외의 다양한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29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제1 정보 출력 장치(100)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23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23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 내지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2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는 출력부(280)가 출력하고 있는 인식 제1 정보 패킷 이전의 인식 제1 정보 패킷을 확인하도록 조작하는 키(또는 버튼, 또는 터치 아이콘 등)로써, 예를 들어 스크롤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2)는 출력부(280)가 출력하고 있는 인식 제1 정보 패킷에 포함되면서 하나 이상의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예를 들어, 메뉴)를 제1 방향(예를 들어 우측 방향 또는 상측 방향)으로 확인하도록 조작하는 키로써, 예를 들어 제1 방향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233)는 출력부(280)가 출력하고 있는 인식 제1 정보 패킷에 포함되면서 하나 이상의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제2 방향(예를 들어 좌측 방향 또는 하측 방향)으로 확인하도록 조작하는 키로써, 예를 들어 제2 방향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234)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2) 및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233) 중 어느 하나의 조작으로 선택한 어느 한 상위 카테고리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조작하는 키로써, 예를 들어 선택 키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 내지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234) 중 어느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으로 현재 출력부(280)에 출력 중인 인식 제1 정보 패킷을 반복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조건이라 함은, 사용자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 내지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234)를 조작하지 않은 상태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조건이라 함은, 사용자에 의해 일정 시간 이내에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 내지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234) 중 하나 이상을 조작한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건에 따라 제어부(290)는 출력부(280)에 서로 다른 인식 제1 정보 패킷이 출력되도록 제어 할 수 있으며,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프로그램 저장부(240)는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제1 정보 패킷을 요청하는 작업,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1 정보 패킷을 메모리(220)에 축적하는 작업, 제1 정보 패킷을 자극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써의 인식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하는 작업, 인식 제1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작업, 제1 조건 및 제2 조건에 따라 메모리(220)를 제어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수신부(25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1 정보 패킷의 제공을 제안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제1 정보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250)는 모니터링을 위해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26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1 정보 패킷의 제공을 제안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제1 정보 패킷을 요청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260)는 모니터링을 위해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변환부(270)는 제1 정보 패킷을 자극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써의 인식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인식 제1 정보 패킷은 후술하는 진동 엑추에이터(도 6의 281)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신호이거나, 또는 돌기(도 7의 283) 각각을 직선운동 하도록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엑추에이터(도 6의 281)를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 신호는 제1 인식정보에 대응하는 진동 시간(진동의 시작, 종료, 지속 시간 등), 진동 세기, 진동 주기 및 진동 주파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진동 시간, 진동 세기, 진동 주기 및 진동 주파수 정보는 사용자와 사전에 약속된 정보 일 수 있다. 또한 돌기(도 7의 283)를 구동시키는 구동 제어신호는, 돌기 선택신호, 돌기 돌출 시간, 돌기 돌출 주기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돌기 선택신호, 돌기 돌출 시간, 돌기 돌출 주기 정보는 사용자와 사전에 약속된 정보 일 수 있다.
출력부(280)는 변환부(270)가 변환한 인식 제1 정보 패킷을 사용자가 터치 시에 자극을 느낄 수 있도록 출력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4의 제1 정보 출력 장치(100) 중 출력부(28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출력부(280)는 진동 엑추에이터(281) 및 진동 제어부(282)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 엑추에이터(281)는 진동 제어부(282)로부터 동작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진동 제어부(282)는 변환부(270)로부터 수신한 인식 제1 패킷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신호 즉, 사전에 약속된 진동 시간, 진동 세기, 진동 주기 및 진동 주파수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진동 엑추에이터(281)로 출력할 수 있다. 이로부터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를 터치한 사용자는 진동 엑추에이터(281)에서 발생한 진동으로 제1 정보 패킷을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진동 엑추에이터(281)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출력부(280)는 돌기(283), 구동부(284) 및 구동 제어부(285)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283)는 구동부(28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구동부(284)는 구동 제어부(285)로부터 구동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돌기(283)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구동 제어부(285)는 변환부(270)로부터 수신한 인식 제1 패킷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신호 즉, 사전에 약속된 돌기(283)의 돌출 시간 및 돌기(283)의 돌출 주기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구동부(284)로 출력하고 구동 제어 신호를 수신한 구동부(284)는 돌기(245)를 직선운동 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를 터치한 사용자는 돌기(283)의 직선 운동으로 제1 정보 패킷을 인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돌기(283) 및 구동부(284)는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제어부(29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1 정보 패킷에 포함된 청각적 정보는 그대로 출력하고, 제1 정보 패킷에 포함된 텍스트 정보는 사용자가 촉각에 의해 인식할 수 있도록 변환하여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1 조건에 대응하여 메모리(220)에 저장된 제1 정보 패킷을 소정의 단위 예를 들어, 제1 정보 패킷의 일정량 또는 주기적인 시간 단위로 소거할 수 있고, 제2 조건에 대응하여 메모리(220)의 소거 동작을 중지하고 제1 정보 패킷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 패킷을 유지한다 함은, 제2 조건 발생 시점 이전의 정보 패킷부터 현재의 정보 패킷을 소거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메모리(220)로부터 이전의 제1 정보 패킷부터 현재의 제1 정보 패킷까지를 추출하여 변환부(27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의 조작 범위에 따라 다른 양의 제1 정보 패킷을 메모리(220)로부터 추출하여 변환부(27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의 조작 범위에 따라 메모리(220)로부터 추출하는 이전의 제1 정보 패킷 시작 구간이 달라질 수 있는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의 조작 범위가 더 큰 경우 메모리(220)로부터 추출하는 제1 정보 패킷의 양이 더 많아질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2) 및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233)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메모리(220)로부터 추출하여 변환부(270)로 출력하고,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234)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상위 카테고리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메모리(220)로부터 추출하여 변환부(270)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 내지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234) 중 어느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현재 출력부(280)에 출력 중인 인식 제1 정보 패킷을 반복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90)는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현재 출력부(280)에 출력 중인 인식 제1 정보 패킷을 한 번 더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90)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에 출력중인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의 동기화가 일치하는지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90)는 수신부(250) 및 전송부(260)를 통하여 동기화 일치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에 송수신 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의 동기화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이 서로 다른 경우, 정보 제공 장치(100)에 요청하여 동기화된 제1 정보 패킷을 새로이 수신하는데 시간이 걸리므로, 제어부(290)는 전송부(260)를 통하여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에 제1 정보 패킷을 요청하고, 수신부(250)는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제공하는 제1 정보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도 8는 도 1의 정보 출력 시스템 중 제2 정보 출력 장치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7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는 통신부(310), 메모리(320), 사용자 인터페이스(330), 프로그램 저장부(340), 수신부(350), 전송부(360), 표시부(370), 변환부(380) 및 제어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정보 제공 장치(100))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320)는 제어부(39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거나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처리한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3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또는 이외의 다양한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장치와 사용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39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며,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330)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프로그램 저장부(340)는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제2 정보 패킷을 요청하는 작업,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2 정보 패킷을 메모리(320)에 축적하는 작업, 제2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하는 작업, 제1 정보 패킷을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제공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
수신부(35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2 정보 패킷의 제공을 제안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제2 정보 패킷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350)는 모니터링을 위해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전송부(36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제2 정보 패킷의 제공을 제안하는 신호에 대응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로 제2 정보 패킷을 요청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360)는 모니터링을 위해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공하는 각종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전송부(360)는 제2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한 결과인 동기화된 제1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370)는 제2 정보 패킷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정보 패킷은 시각적 정보 및 청각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370)는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변환부(380)는 제어부(390)의 제어 하에 제2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 및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사이에 네트워크 장애로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로 제1 정보 패킷을 제공할 수 없는 경우,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로 제1 정보 패킷을 생성하여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제공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변환부(380)는 제2 정보 패킷으로부터 동영상 및 정지영상과 같은 시각적 정보를 제외한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하고, 동기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90)는 표시부(370)에 제2 정보 패킷의 출력이 완료되면, 메모리(320)로부터 해당 제2 정보 패킷을 소거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제2 정보 패킷을 유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390)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의 요청에 의해 변환부(380)를 제어하여 제1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8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정보 출력 시스템(2)은, 정보 제공 장치(100),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제2 정보 출력 장치(300), 통신망(400) 및 사용자 단말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 정보 제공 장치(100),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제2 정보 출력 장치(300) 및 통신망(400)은 도 1의 정보 제공 장치(100),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제2 정보 출력 장치(300) 및 통신망(400)의 내용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과 비교 시에 도 9의 정보 출력 시스템(2)은 사용자 단말기(500)를 더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500)는 후술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니고 다니는 스마트폰, 시계 등에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변환부(270) 및/또는 출력부(280)의 기능을 더 추가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사용자 단말기(500) 사이에 조작 및 기능에 대하여 사전에 약속된 정보가 있다면 사용자 단말기(500)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포함되어 있는 출력부(280)의 기능만을 더 추가한 형태일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를 통하여 제1 정보 패킷을 인식하는 사용자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출력 중인 제1 정보 패킷을 사용자 단말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500)는 정보 제공 장치(100)의 인증 절차에 따라 인증이 완료된 경우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출력 장치(200)에 출력 중인 제1 정보 패킷을 사용자 단말기(500)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 내지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234) 중 어느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해당 기능이 포함되어 있거나, 제1 정보 패킷을 다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설정된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의 제어부(290)는 사용자의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정보 제공 장치(100)에 사용자 단말기(500)가 인증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사용자 단말기(500)로 제1 정보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사용자가 입력한 후 사용자 단말기(500)의 번호를 수신한 후 정보 제공 장치(100)에 사용자 단말기(500)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9의 정보 출력 시스템(2) 중 사용자 단말기(500)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복수의 돌기(510), 구동부(미도시) 및 구동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독립적인 사용자 단말기(500)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으며, 시계줄을 포함하는 스마트 시계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500)는 돌기(510)의 직선운동에 의해 제1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기기 일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500)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돌기(510)를 접촉하여 제1 정보 패킷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시계와 복수의 돌기(510), 구동부(미도시) 및 구동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500)가 결합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b의 경우 스마트 시계의 상부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 중 하나로 구현되어 있고, 스마트 시계의 하부는 복수의 돌기(510)가 구현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b에 도시된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기(500)의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시계를 착용한 신체의 일부분이 돌기(510)의 직선운동을 감지하여 제1 정보 패킷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시계와 복수의 돌기(510), 구동부(미도시) 및 구동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500)가 결합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c의 경우 스마트 시계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유닛과 돌기가 구현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c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기(500)의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돌기(510)를 접촉하여 제1 정보 패킷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0d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과 진동 엑추에이터(미도시) 및 진동 제어부(미도시)가 결합된 사용자 단말기(500)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d에 스마트 폰으로써의 사용자 단말기(500)의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폰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감지하여 제1 정보 패킷을 인식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0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를 제외하고 정보 제공 장치(100) 및 제1 정보 출력 장치(200)가 통신망(400)을 통하여 연결된 경우 정보 출력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정보 패킷은 상술한 제1 정보 패킷과 동일하다.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의 검색을 완료하고, 제1 정보 출력 장치(200)가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정보 패킷의 요청을 완료한 상태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전송할 정보 패킷을 생성하고(S1101),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제공한다(S1103). 여기서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정보 패킷을 생성할 수 있다.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정보 패킷을 수신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정보 패킷을 메모리(220)에 축적한다(S1105).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정보 패킷을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한다(S1107).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인식 정보 패킷을 출력한다(S1109).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제1 조건에 대응하여 메모리(220)에 축적한 정보 패킷을 소정의 단위 예를 들어, 제1 정보 패킷의 일정량 또는 주기적인 시간 단위로 소거한다(S1111).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제2 조건에 대응하여 메모리(220)의 소거 동작을 중지하고, 제1 정보 패킷을 유지한다(S1113). 여기서 제1 정보 패킷을 유지한다 함은, 제2 조건 발생 시점 이전의 정보 패킷부터 현재의 정보 패킷을 소거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메모리(220)로부터 이전의 제1 정보 패킷부터 현재의 제1 정보 패킷까지를 추출하여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의 조작 범위에 따라 다른 양의 제1 정보 패킷을 메모리(220)로부터 추출하여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232) 및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233)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하나 이상의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메모리(220)로부터 추출하여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으며, 제1 방향 및 제2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234)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상위 카테고리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메모리(220)로부터 추출하여 변환한 후 출력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231) 내지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234) 중 어느 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현재 출력 중인 인식 제1 정보 패킷을 반복 출력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해당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에 대응하여 현재 출력 중인 인식 제1 정보 패킷을 한 번 더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통신망(400)을 통하여 연결된 경우 정보 출력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의 검색을 완료하고,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정보 패킷의 요청을 완료한 상태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동기화된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을 생성한다(S1201).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동기화된 제1 정보 패킷을 실시간으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제공하고, 동기화된 제2 정보 패킷을 실시간으로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에 제공한다(S1203).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1 정보 패킷을 인식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2 정보 패킷을 출력한다(S1205).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 장애가 발생하였는지 판단한다(S1207).
정보 제공 장치(100)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와의 사이에서 네트워크 장애 발생을 감지하면,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로 이를 알린다(S1209).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는 저장하고 있는 제2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한다(S1211).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는 제1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로 제공한다(S1213).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제1 정보 패킷을 인식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S1215).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통신망(400)을 통하여 연결된 경우 정보 출력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의 검색을 완료하고,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정보 패킷의 요청을 완료한 상태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동기화된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을 생성한다(S1301).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동기화된 제1 정보 패킷을 실시간으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제공하고, 동기화된 제2 정보 패킷을 실시간으로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에 제공한다(S1303).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1 정보 패킷을 인식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2 정보 패킷을 출력한다(S1305).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출력중인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출력중인 제2 정보 패킷의 동기화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S1307).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의 동기화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로 제1 정보 패킷 전송을 요청한다(S1309).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는 제2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한다(S1311).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는 제1 정보 패킷을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로 제공한다(S1313).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제1 정보 패킷을 인식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S1315).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출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1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제2 정보 출력 장치(300) 및 사용자 단말기(500)가 통신망(400)을 통하여 연결된 경우 정보 출력 방법을 도시하고 있으며, 또한 정보 제공 장치(100)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의 검색을 완료하고, 제1 정보 출력 장치(200) 및 제2 정보 출력 장치(300)가 정보 제공 장치(100)에 정보 패킷의 요청을 완료하였고, 사용자 단말기(500)가 정보 제공 장치(100)에 인증을 완료한 상태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동기화된 제1 정보 패킷 및 제2 정보 패킷을 생성한다(S1401).
정보 제공 장치(100)는 동기화된 제1 정보 패킷을 실시간으로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제공하고, 동기화된 제2 정보 패킷을 실시간으로 제2 정보 출력 장치(300)에 제공한다(S1403).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1 정보 패킷을 인식 제1 정보 패킷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제2 정보 출력 장치(300)는 정보 제공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2 정보 패킷을 출력한다(S1405).
사용자 단말기(500)는 제1 정보 출력 장치(200)에 제1 정보 패킷을 요청한다(S1407).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500)의 제1 정보 패킷 요청은, 제1 정보 출력 장치(200)가 제5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제1 정보 출력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기(500)의 요청에 대응하여 제1 정보 패킷을 사용자 단말기(500)에 제공한다(S1409).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정보 제공 장치
200: 제1 정보 출력 장치
300: 제2 정보 출력 장치
400: 통신망
5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10)

  1. 표시할 일련의 정보 중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정보를 제외한 제1 정보 패킷 및 상기 제1 정보 패킷에 상기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 제2 정보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정보 패킷 및 상기 제2 정보 패킷의 출력 시간을 정확히 일치시키는 동기화 처리를 수행하여 제공하는 정보 제공 장치;
    상기 정보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동기화 처리가 수행된 상기 제1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제1 정보 출력 장치; 및
    상기 정보 제공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고, 상기 동기화 처리가 수행된 상기 제2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제2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정보 제공 장치가 제공하는 상기 제1 정보 패킷을 축적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축적한 상기 제1 정보 패킷을 자극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인식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출력부; 및
    제1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축적한 상기 제1 정보 패킷을 소정의 단위로 소거하고, 제2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소거를 중지하고 상기 제2 조건 발생 시점 이전의 제1 정보 패킷부터 현재의 제1 정보 패킷까지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출력부가 출력하고 있는 상기 인식 정보 패킷 이전의 인식 정보 패킷을 확인하도록 조작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이전의 제1 정보 패킷부터 상기 현재의 제1 정보 패킷까지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변환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출력부가 출력하고 있는 상기 인식 정보 패킷에 포함되면서 하나 이상의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제1 방향으로 확인하도록 조작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기 하나 이상의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제2 방향으로 확인하도록 조작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조작으로 선택한 어느 한 상기 상위 카테고리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출력하도록 조작하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변환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변환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시스템.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하나 이상의 돌기;
    상기 돌기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돌기를 직선운동 되도록 구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구동부; 및
    상기 인식 정보 패킷을 상기 돌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구동부로 출력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시스템.
  6. 정보 제공 장치에 의해, 표시할 일련의 정보 중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정보를 제외한 제1 정보 패킷 및 상기 제1 정보 패킷에 상기 시각적으로 확인 가능한 정보를 포함한 제2 정보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제1 정보 패킷 및 상기 제2 정보 패킷의 출력 시간을 정확히 일치시키는 동기화 처리를 수행하여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정보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제1 정보 출력 장치에 의해,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동기화 처리가 수행된 상기 제1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제공 장치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제2 정보 출력 장치에 의해,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동기화 처리가 수행된 상기 제2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상기 정보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제1 정보 패킷을 메모리에 축적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상기 메모리에 축적한 상기 제1 정보 패킷을 자극에 의해 인식할 수 있는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상기 인식 정보 패킷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제1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메모리에 축적한 상기 제1 정보 패킷을 소정의 단위로 소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제2 조건에 대응하여 상기 소거를 중지하고 상기 제2 조건 발생 시점 이전의 제1 정보 패킷부터 현재의 제1 정보 패킷까지 유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출력하고 있는 상기 인식 정보 패킷 이전의 인식 정보 패킷을 확인하는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상기 제1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이전의 제1 정보 패킷부터 상기 현재의 제1 정보 패킷까지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보 출력 장치가 출력하고 있는 상기 인식 정보 패킷에 포함되면서 하나 이상의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제1 방향으로 확인하는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하나 이상의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제2 방향으로 확인하는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상위 카테고리 관련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제3 사용자 인터페이스 중 어느 하나의 조작으로 선택한 어느 한 상기 상위 카테고리에 대한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출력하는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4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조작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하위 카테고리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인식 정보 패킷으로 변환한 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출력 방법.
  10.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70023735A 2017-02-22 2017-02-22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935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35A KR101935906B1 (ko) 2017-02-22 2017-02-22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80158381A KR102436994B1 (ko) 2017-02-22 2018-12-10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735A KR101935906B1 (ko) 2017-02-22 2017-02-22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381A Division KR102436994B1 (ko) 2017-02-22 2018-12-10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73A KR20180097073A (ko) 2018-08-30
KR101935906B1 true KR101935906B1 (ko) 2019-01-07

Family

ID=6345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735A KR101935906B1 (ko) 2017-02-22 2017-02-22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323A (ko) * 2017-02-22 2018-12-18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11B1 (ko) * 2014-10-30 2016-03-02 김주윤 브레일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65887A (ko) 2011-12-11 2013-06-20 박효진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홈쇼핑 카탈로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7911B1 (ko) * 2014-10-30 2016-03-02 김주윤 브레일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323A (ko) * 2017-02-22 2018-12-18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36994B1 (ko) * 2017-02-22 2022-08-29 주식회사 닷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7073A (ko)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521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images
Kim et al. Navigating visually impaired travelers in a large train station using smartphone and bluetooth low energy
CN107289949B (zh) 一种基于人脸识别技术的室内导识装置及方法
Michalakis et al. Visualizing the internet of things: naturalizing human-computer interaction by incorporating AR features
US20210168459A1 (en) Video playing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video playing system
US2017004706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WO2019216875A1 (en) Multi-modal interaction between users, automated assistants, and other computing services
CN105306084A (zh) 眼镜型终端及其控制方法
US2020032100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xt-enriched attentive memory network with global and local encoding for dialogue breakdown detection
CN105453100A (zh) 基于附接机构的状态控制计算设备的当前的访问模式
CN104904158A (zh) 用于控制外部设备的方法和系统
US2017014014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torage mediu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1935906B1 (ko)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80087783A (ko) 사람을 식별하여 대인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로봇
KR102436994B1 (ko) 정보 출력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1133431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140099167A (ko) 객체 표시 방법, 객체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US10937420B2 (en) Dialogue system and method to identify service from state and input information
KR101695953B1 (ko) 시각 장애인의 안내를 위한 비콘 스피커 및 그 방법
Tao Scalable and vision free user interface approaches for indoor navigation systems for the visually impaired
US11212646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lized information provision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160024140A (ko)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매장정보 제공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5874A (ko)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29802A (ko) 시각장애인용 네비게이션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Vermeulen et al. Understanding complex environments with the feedforward tor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