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070Y1 - 통풍구 - Google Patents

통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070Y1
KR200252070Y1 KR2020010022666U KR20010022666U KR200252070Y1 KR 200252070 Y1 KR200252070 Y1 KR 200252070Y1 KR 2020010022666 U KR2020010022666 U KR 2020010022666U KR 20010022666 U KR20010022666 U KR 20010022666U KR 200252070 Y1 KR200252070 Y1 KR 200252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side
opening
hole
vent
venti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26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찬우
Original Assignee
유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찬우 filed Critical 유찬우
Priority to KR20200100226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070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풍구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더불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통풍구의 구조를 단순화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보다 견고하게 구성된 통풍구를 제공하기 위하여, 신발이나 의복 등에 장착되어 내부의 악취나 오염된 공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더불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풍구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를 신발이나 의복 등의 장착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신발이나 의복 등에 천공된 홀을 중심으로 그 양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50)가 결합된 홀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홀(24)이 형성되며, 외측단부에는 결합부(22)가 절곡 형성된 통풍부재(20)와,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 외면에 그 일측이 부착 고정되어 내부의 악취 및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관통홀(24)이 개방되도록 열림동작 되고, 공기압이 제거된 상태에서 자체 복원력에 의해 상기 관통홀(24)이 밀폐되도록 닫힘동작 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실리콘재질의 개폐부재(30) 및,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와 소정의 공간부(44)가 형성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30)가 상기 공간부(44) 내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다수 개의 통기홀(42)이 천공된 커버부재(40)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통풍구{A VENTILATOR}
본 고안은 통풍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발이나 의복 등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어 내부의 오염된 공기 및 악취 등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더불어, 외부로부터는 임의적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통풍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의 측면이나 의복의 소정 위치에는 내부에 저장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더불어, 외부로부터는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풍구가 장착되어, 신발의 착용시에 발생되는 발냄새 및 의복의 착복시에 인체로부터 발생되는 악취 등과 같은 각종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서 상쾌한 착용감을 유지시키고 위생성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a는 종래의 통풍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1b는 종래의 통풍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종래의 통풍구에 있어서는 내부에 관통홀(14)을 갖으며 그 외측단에는 결합부(12)가 절곡 형성된 몸체부(10)와, 상기 몸체부(10)의 내부에 삽입되고 외측단에 결합부(22)가 절곡 형성되며 내측면에 일정 직경을 갖는 개폐홀(28)이 천공된 통풍부재(20)와, 상기 개폐홀(28)의 내측에 해당되는 통풍부재(20)의 내면에 위치하여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배출시키고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개폐부재(30)와, 상기 개폐부재(30)가 작용되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체(32) 및,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가 협지되도록 상기 몸체부(10)의 결합부(12)에 결합되고 다수개의 통기홀(42)이 천공된 커버부재(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풍구 몸체(70)가 형성되고, 상기 통풍구 몸체(70)는 고정부재(50)를 통하여 신발 또는 의복 등의 소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본 출원인은 국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2000-0024113호(출원일자: 2000년 8월 25일)를 통하여 몸체와 통풍부재와 개폐패드 및 커버부재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통풍구 몸체와, 상기 통풍구 몸체를 신발 등에 고정시키는 고정링으로 구성된 통풍구를 출원하였다.
따라서, 상기 통풍구를 신발이나 의복 등에 장착하므로서, 상기 신발이나 의복 등의 내부에서 발생된 악취나 오염된 공기는 외부로 배출됨과 더불어, 외부로부터는 이물질의 유입이 방지되어 사용자가 보다 쾌적하게 신발이나 의복 등을 착용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통풍구에 있어서는 몸체부(10)와, 통풍부재(20)와, 개폐부재(30)와, 탄성체(32)와, 커버부재(40) 및, 고정부재(50) 등과 같이 다수의 구성요소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통풍구의 제작시에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통풍구의 제조원가가 상승됨과 더불어, 장기간 사용에 따라 그 기능성이 저하되고 손쉽게 파손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통풍구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더불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통풍구의 구조를 단순화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면서도 보다 견고하게 구성된 통풍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신발이나 의복 등에 장착되어 내부의 악취나 오염된 공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더불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풍구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를 신발이나 의복 등의 장착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신발이나 의복 등에 천공된 홀을 중심으로 그 양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가 결합된 홀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외측단부에는 결합부가 절곡 형성된 통풍부재와, 상기 통풍부재의 결합부 외면에 그 일측이 부착 고정되어 내부의 악취 및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관통홀이 개방되도록 열림동작 되고, 공기압이 제거된 상태에서 자체 복원력에 의해 상기 관통홀이 밀폐되도록 닫힘동작 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개폐부재 및, 상기 통풍부재의 결합부와 소정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공간부 내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다수 개의 통기홀이 천공된 커버부재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풍부재는 상기 커버부재와의 결합시에 상기 개폐부재의개폐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개폐부재의 바깥쪽에 해당되는 결합부상에 하방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풍부재의 결합부와 대응되는 커버부재의 사이에는 개폐부재의 개폐공간이 확보되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링형상의 삽입부재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통풍구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 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그 부피를 최소화 하면서도 신발이나 의복 등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 및 오염된 공기를 배출함과 더불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가 있는 것이다.
도 1a는 종래의 통풍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도 1b는 종래의 통풍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의 제 1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의 제 1변형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의 제 2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의 제 2변형예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부, 20: 통풍부재,
12,22: 결합부, 14,24: 관통홀,
26: 돌출부, 28: 개폐홀,
30: 개폐부재, 32: 탄성체,
40: 커버부재, 42: 통기홀,
44: 공간부, 50: 고정부재,
60: 삽입부재, 70: 통풍구 몸체.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는 고정부재(50)와, 통풍부재(20)와, 개폐부재(30) 및, 커버부재(4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재(50)는 상기 통풍구를 신발이나 의복 등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고정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풍부재(20)는 상기 고정부재(50)의 홀 내에 삽입된 후 전단부가 상기 고정부재(50)의 외면을 감싸면서 가압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외측단에는 결합부(22)가 절곡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일정 직경을 갖는 관통홀(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재(30)는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 외면에 그 일측이 부착 고정되어 상기 관통홀(24)을 통하여 배출되는 압력에 의하여 개방되면서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더불어, 상기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킨 후에는 원상태로 복원되어 상기 관통홀(24)을 폐쇄시키도록 소정의 탄성력을 갖는 실리콘 재질의 패드로 구성되는데, 상기 개폐부재(30)는 상기 관통홀(24)에 흡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관통홀(24)의 직경 보다 약간 큰 직경을 갖도록 구성되며, 그 두께는 대략 0.5밀리미터(mm) 내외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40)는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를 가압하여 결합되고, 다수개의 통기홀(42)이 천공되어 상기 관통홀(24)을 통하여 배출되는 내부의 공기가 상기 통기홀(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중앙부분은 대략 볼록한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와 결합된 상태에서 그 결합부위에 소정의 공간부(44)가 형성되므로서, 상기 공간부(44) 내에서 상기 개폐부재(30)가 유동되면서 상기 관통홀(24)을 선택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 4a 및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의 제 1 및 제 2변형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로서, 본 고안의 제 1 및 제 2변형예에 따라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와 상기 커버부재(40)와의 결합시에 그 결합부위에 형성되는 공간부(44)가 확대되도록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2)의 외면에 돌출부(26)를 절곡되게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22)와 상기 커버부재(40)와의 사이에 대략 링형상을 갖는 삽입부재(60)를 삽입한 상태로 상기 결합부(22) 및 커버부재(40)를 결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통풍구를 신발이나 의복 등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상기 개폐부재(30)의 일측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 외면에 부착하여 상기 통풍부재(20)에 형성된 관통홀(24)이 상기 개폐부재(3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40)를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에 결합하고, 상기 커버부재(4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커버부재(40)의 외측면이 상기 결합부(22)의 외주면을 협지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재(50)를 상기 신발이나 의복 등에 통풍을 위해 형성된 홀의 내측면 및 외측면에 각각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통풍부재(20)를 링형상의 고정부재(50) 내에 삽입한 후, 상기 통풍부재(20)의 전단부 내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통풍부재(20)가 리벳이음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기 신발이나 의복 등의 내측면에 고정된 고정부재(50)에 결합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신발이나 의복 등에 통풍구가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소정 위치에 통풍구가 형성된 신발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행을 하게 되면 상기 신발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공기압이 상기 통풍부재(20)의 관통홀(24)을 통하여 상기 개폐부재(30)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신발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나 오염된 공기 등은 상기 커버부재(40)의 통기홀(42)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므로서 착용자에게 보다 위생적이고 상쾌한 느낌을 줄 수 있는 것임과 더불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이나 빗물 등과 같은 오염물질은 그 유입압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부재(30)가 폐쇄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통풍부재(20)의 관통홀(24) 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와 커버부재(40)와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 내에서 상기 개폐부재(30)가 보다 용이하게 선택적으로 개폐되면서 상술한 바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르면, 신발이나 의복 등에 장착된 통풍구를 통하여 내부의 악취 및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킴과 더불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가 있으므로, 위생성이 강화되고 착용자가 보다 상쾌한 기분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통풍구를 보다 단순화 하여 구성하므로서, 통풍구의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손쉽게 파손되지 않는 보다 견고한 통풍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신발이나 의복 등에 장착되어 내부의 악취나 오염된 공기 등을 외부로 배출시킴과 더불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통풍구에 있어서,
    상기 통풍구를 신발이나 의복 등의 장착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신발이나 의복 등에 천공된 홀을 중심으로 그 양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링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부재(50)와,
    상기 고정부재(50)가 결합된 홀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그 내부에는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홀(24)이 형성되며, 외측단부에는 결합부(22)가 절곡 형성된 통풍부재(20)와,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 외면에 그 일측이 부착 고정되어 내부의 악취 및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상기 관통홀(24)이 개방되도록 열림동작 되고, 공기압이 제거된 상태에서 자체 복원력에 의해 상기 관통홀(24)이 밀폐되도록 닫힘동작 되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실리콘 재질의 개폐부재(30) 및,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와 소정의 공간부(44)가 형성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개폐부재(30)가 상기 공간부(44) 내에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다수 개의 통기홀(42)이 천공된 커버부재(40)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부재(20)는 상기 커버부재(40)와의 결합시에 상기 개폐부재(30)의 개폐공간이 확보되도록 상기 개폐부재(30)의 바깥쪽에 해당되는 결합부(22)상에 하방으로 돌출부(2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부재(20)의 결합부(22)와 대응되는 커버부재(40)의 사이에는 개폐부재(30)의 개폐공간이 확보되도록 일정 두께를 갖는 링형상의 삽입부재(60)가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구.
KR2020010022666U 2001-07-26 2001-07-26 통풍구 KR200252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666U KR200252070Y1 (ko) 2001-07-26 2001-07-26 통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2666U KR200252070Y1 (ko) 2001-07-26 2001-07-26 통풍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070Y1 true KR200252070Y1 (ko) 2001-11-23

Family

ID=73105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2666U KR200252070Y1 (ko) 2001-07-26 2001-07-26 통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07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24Y1 (ko) 2012-09-26 2013-01-09 박진한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KR101597931B1 (ko) * 2014-10-30 2016-03-03 김주윤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방열 방법
KR101872706B1 (ko) 2017-10-24 2018-06-29 (주)경도상사 신발용 통풍 밑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524Y1 (ko) 2012-09-26 2013-01-09 박진한 자동방수기능을 갖는 통풍기구
KR101597931B1 (ko) * 2014-10-30 2016-03-03 김주윤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방열 방법
KR101872706B1 (ko) 2017-10-24 2018-06-29 (주)경도상사 신발용 통풍 밑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9107B1 (ko) 이종의 재질을 갖는 방진마스크
DE60239573D1 (de) Filter zur Desodorierung für eine Stomavorrichtung
US5334361A (en) Car air freshener
WO2005107878A1 (en) Functional mask
KR200252070Y1 (ko) 통풍구
KR101840418B1 (ko) 귀걸이용 향수팩
WO2008035882A1 (en) Men's underpants
JP3123780U (ja) 鼻用フィルタ
KR200265428Y1 (ko) 통풍구
KR200407708Y1 (ko) 남성용 건강팬티
KR200211841Y1 (ko) 통풍구
KR200370216Y1 (ko) 신발 부착용 환풍 장신구
KR200259490Y1 (ko) 항균 및 위생성이 뛰어난 신발
WO2003002051A3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highly extensible leg openings and finished outer leg cuffs
KR200258705Y1 (ko) 매트리스의 방충 및 항균용 통기구 설치구조.
KR100707486B1 (ko) 남성용 건강팬티
JP3067515U (ja) 靴内空気入替え可能な通気装置
KR200407594Y1 (ko) 남성용 건강팬티
WO2001050900A2 (en) Outsole for shoes
KR102651245B1 (ko) 향기 마스크
WO2004105521A1 (en) Panty for man
KR200265480Y1 (ko)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
KR200189349Y1 (ko) 폐공기 일방향 배출펌프가 장착된 안창
KR200358199Y1 (ko) 기능성 마스크
KR200192917Y1 (ko) 방취 통기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