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480Y1 -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 - Google Patents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480Y1
KR200265480Y1 KR2020010034601U KR20010034601U KR200265480Y1 KR 200265480 Y1 KR200265480 Y1 KR 200265480Y1 KR 2020010034601 U KR2020010034601 U KR 2020010034601U KR 20010034601 U KR20010034601 U KR 20010034601U KR 200265480 Y1 KR200265480 Y1 KR 2002654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sole
shoe
jaw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46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갑진
Original Assignee
김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갑진 filed Critical 김갑진
Priority to KR20200100346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48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4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480Y1/ko

Link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깔창에 강력한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신발내의 오염된 공기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으며,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이에 그 구성을 설명하면 밑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전방에 제 1유입공이 형성된 상부깔창과, 상기 상부깔창의 하측면으로 부착되며, 전방측으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만곡된 전방압축부가 구비되고, 후방측으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만곡된 후방압축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유입공과 대응되도록 제 2유입공이 형성된 하부깔창으로 이루어진 깔창과, 상면의 테두리로 상기 하부깔창이 고정되도록 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으로 상기 제 2유입공과 접촉되는 부분에 공기유도홈이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 함몰된 바닥면의 중간부분에 상기 하부깔창의 밑면과 접촉되도록 돌출되고 중간부분으로 제 1배기밸브가 내설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의 양측으로 상기 하부깔창의 끝단이 고정되도록 돌출된 고정부가 구비된 분리턱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턱의 전방측으로 제 1챔버가, 후방측으로 제 2챔버가 형성되며, 후방으로 제 2배기밸브가 내설된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를 감싸며 외측으로 다수의 유출공이 형성된 보호덮개가 구비된 바닥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신발내의 오염공기가 배출될 때 거치게 되는 경로가 비교적 단순하여 오염공기를 더욱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비교적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며, 각종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여 이로 인해 발생가능한 발냄새 및 무좀등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shoes having a bottom piece with ventilation capacity}
본 고안은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신발을 구성하는 깔창과 바닥창으로 구성된 밑창에 있어서, 상기 깔창에 강력한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신발내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으며, 제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발을 보호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래에 들어서는 편안한 착용감과 건강을 위한 지압기능등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 다양한 형태의 신발들이 선호되고 있으며 또한 제작되고 있는 실정이다.
신발은 그 특성상 오래 착용하기 마련이며, 이때 발생하는 땀과 곰팡이에 의해 오염된 공기는 발냄새와 무좀등의 원인이 되어 왔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소독성분이 함유된 탈취재등을 신발의 깔창에 포함시키는 방법등이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일시적인 효과만 얻을 수 있을 뿐이었다.
도 5는 종래의 일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유지결정을 받은 실용신안등록 제 219724호에 게재된 고안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신발(100)의 하부로 탄성력을 갖는 상부깔창부재(211)와 하부깔창부재(213)로 이루어지는 깔창(210)과, 상기 깔창(210)의 하측으로 구비되는 바닥창(220)으로 구성되는 밑창(200)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깔창부재(211)와 하부깔창부재(213)의 사이에는 다수의 스프링(212)이 구비된다. 이때 신발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보행중 상기 상부깔창부재(211)의 전방에 형성된 유입공(211a)으로 유입되어, 제 1수용챔버부(A)와 제 2수용챔버부(B)를 경유한 후 배기밸브(221)를 거쳐서 통공(22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고안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이에 따라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신발내의 오염공기가 유입공을 통해 배출될 때 거치게 되는 경로가 다소 복잡하여 배출이 원활하게 되지 않는 경우가 생기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깔창에 강력한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신발내의 오염된 공기를 원활하게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으며, 제작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효과적인 압축을 구현하여, 신발내의 오염된 공기를 더욱 원활하게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는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밑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은 전방에 제 1유입공이 형성된 상부깔창과, 상기 상부깔창의 하측면으로 부착되며, 전방측으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만곡된 전방압축부가 구비되고, 후방측으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만곡된 후방압축부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유입공과 대응되도록 제 2유입공이 형성된 하부깔창으로 이루어진 깔창과, 상면의 테두리로 상기 하부깔창이 고정되도록 고정턱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으로 상기 제 2유입공과 접촉되는 부분에 공기유도홈이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 함몰된 바닥면의 중간부분에 상기 하부깔창의 밑면과 접촉되도록 돌출되고 중간부분으로 제 1배기밸브가 내설된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의 양측으로 상기 하부깔창의 끝단이 고정되도록 돌출된 고정부가 구비된 분리턱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턱의 전방측으로 제 1챔버가, 후방측으로 제 2챔버가 형성되며, 후방으로 제 2배기밸브가 내설된 관통부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를 감싸며 외측으로 다수의 유출공이 형성된 보호덮개가 구비된 바닥창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창은 상기 깔창의 전방압축부와 후방압축부에 대칭되도록 하측방향으로 만곡되는 전방보조압축부와 후방보조압축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 분해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착용자의 보행에 따른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밑창의 뒷부분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b는 밑창의 바닥면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c는 밑창의 앞부분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일 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 : 신발
1 : 밑창
10 : 깔창
11 : 상부깔창 11a : 제 1유입공
11b : 전방압축부 11c : 후방압축부
12 : 하부깔창 12a : 제 2유입공
20 : 바닥창
21 : 고정턱 21a : 공기유도홈
22 : 바닥면 23 : 분리턱
23a : 통로 23b : 고정부
24 : 제 1배기밸브 25 : 관통부
26 : 제 2배기밸브 27 : 보호덮개
27a : 유출공 28 : 전방보조압축부
29 : 후방보조압축부
A : 제 1챔버 B : 제 2챔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각 부품의 구성요소와 특징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S)의 하부로 구비되는 밑창(1)은 깔창(10)과 바닥창(20)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깔창(10)은 다시 전방에 제 1유입공(11a)이 형성된 상부깔창(11)과, 상기 상부깔창(11)의 하측면으로 부착되며, 전방측으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만곡된 전방압축부(11b)가 형성되고, 후방측으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만곡된 후방압축부(11c)가 형성되며, 상기 제 1유입공(11a)과 대응되도록 제 2유입공(12a)이 형성된 하부깔창(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깔창(10)은 연질의 소재로 제작되고, 특히 상기 하부깔창(12)은 강한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제작되어 착용자의 발바닥에 편안한 쿠션감을 주며, 상기 전방압축부(11b)와 후방압축부(11c)는 중심부가 볼록하여 발바닥을 지압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창(20)에는 상면의 테두리로 상기 하부깔창(12)이 고정되도록 고정턱(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21)으로 상기 제 2유입공(12a)과 접촉되는부분에 공기유도홈(21a)이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 함몰된 바닥면(22)의 중간부분에 상기 하부깔창(12)의 밑면과 접촉되도록 돌출되고 중간부분으로 제 1배기밸브(24)가 내설된 통로(23a)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23a)의 양측으로 상기 하부깔창(12)의 끝단이 고정되도록 돌출된 고정부(23b)가 구비된 분리턱(23)이 형성되며, 상기 분리턱(23)의 중간부분으로 제 1배기밸브(24)가 내설된 통로(23a)가 형성되고, 후방으로는 제 2배기밸브(26)가 내설된 관통부(25)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25)를 감싸며 외측으로 다수의 유출공(27a)이 형성된 보호덮개(27)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깔창(12)과 바닥면(22)의 사이에는 상기 분리턱(23)을 기준으로 전방측에 제 1챔버(A)가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제 2챔버(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2배기밸브(24,26)는 체크밸브의 일종으로 공기의 흐름을 일방향으로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도 3a, 도 3b 및 도 3c는 착용자의 보행에 따른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밑창의 뒷부분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보행을 위해 발을 앞으로 내밀게 되면, 먼저 신발의 밑창 뒷부분이 지면에 닿게 된다. 따라서 발뒤꿈치가 후방압축부(11c)를 압박하게 되고, 제 2챔버(B)내에 저장된 공기는 후방측의 제 2배기밸브(26)를 통해 보호덮개(27)의 유출공(27a)에서 외부로 배출되며, 제 1배기밸브(24)는 상기 공기가 제 1챔버(A)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3b는 밑창의 바닥면이 지면과 평행한 상태로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3a의 다음 단계로 신발의 밑창 전면이 지면에닿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체중이 깔창(10)으로 균일하게 가해지므로 후방압축부(11c)은 탄성력에 의해 일정부분 원상태로 회복되고, 전방압축부(11b)는 체중에 의해 일정부분 압축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 2챔버(B)의 내부에서는 공기가 유출된 상태에서 부피가 늘어남에 의해 압력이 하강하게 되므로, 제 1챔버(A)내의 공기가 통로(23a)에 장착된 제 1배기밸브(24)를 통하여 제 2챔버(B)의 내부로 유입되며, 이에 따라 제 1챔버(A)에서도 상기한 바와 같은 원리로 신발내의 오염된 공기가 제 1,2유입공(11a,12a)과 공기유도홈(21a)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전방압축부(11b)와 후방압축부(11c)는 착용자의 발바닥을 적당한 압력으로 압박하게 되어 편안한 쿠숀감과 지압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3c는 밑창의 앞부분이 가압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3b의 다음 단계로 신발의 밑창 앞면이 지면에 닿게 된다.
따라서 착용자의 발앞꿈치가 전방압축부(11b)를 압박하여, 제 1챔버(A)의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된 공기는 통로(23a)의 제 1배기밸브(24)를 통하여 제 2챔버(B)로 충진되며, 이때 제 1유입공(11a)은 발가락의 압박에 의해 차단되어 제 1챔버(A)내의 공기가 신발내로 역류하는 것을 자동적으로 방지해주게 된다.
상술한 도 3a,b,c에 도시한 과정에 의해, 신발내부의 오염된 공기는 보행중 지속적으로 배출되게 되어 항시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20)의 바닥면에 깔창(10)의 전방압축부(11b)와 후방압축부(11c)에 대칭되도록하측방향으로 만곡되는 전방보조압축부(28)와 후방보조압축부(29)가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 1챔버(A)와 제 2챔버(B)의 공간이 넓어지며, 보행시 상기 챔버를 상·하 양측에서 압박해주므로 압축효과가 뛰어나게 되어 공기를 더욱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깔창에 강력한 탄성력을 갖는 소재를 이용함으로써,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으므로 제작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으며, 신발내의 오염공기가 배출될 때 거치게 되는 경로가 비교적 단순하여 오염공기를 더욱 원활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비교적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하며, 각종 곰팡이의 번식을 방지하여 이로 인해 발생가능한 발냄새 및 무좀등의 질병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바닥창에 볼록하게 형성된 전방 및 후방보조압축부에 의하여 뛰어난 충격흡수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보다 효과적인 압축을 구현하여 신발내의 오염된 공기를 더욱 원활하게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으므로 더욱 쾌적한 착용감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냄새 및 무좀등의 각종 질병을 보다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Claims (2)

  1. 밑창이 구비되는 신발에 있어서,
    상기 밑창(1)은 전방에 제 1유입공(11a)이 형성된 상부깔창(11)과, 상기 상부깔창(11)의 하측면으로 부착되며, 전방측으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만곡된 전방압축부(11b)가 구비되고, 후방측으로 중심부가 볼록하게 만곡된 후방압축부(11c)가 구비되며, 상기 제 1유입공(11a)과 대응되도록 제 2유입공(12a)이 형성된 하부깔창(12)으로 이루어진 깔창(10)과;
    상면의 테두리로 상기 하부깔창(12)이 고정되도록 고정턱(2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턱(21)으로 상기 제 2유입공(12a)과 접촉되는 부분에 공기유도홈(21a)이 형성되며, 그 내측으로 함몰된 바닥면(22)의 중간부분에 상기 하부깔창(12)의 밑면과 접촉되도록 돌출되고 중간부분으로 제 1배기밸브(24)가 내설된 통로(23a)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23a)의 양측으로 상기 하부깔창(12)의 끝단이 고정되도록 돌출된 고정부(23b)가 구비된 분리턱(23)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턱(23)의 전방측으로 제 1챔버(A)가, 후방측으로 제 2챔버(B)가 형성되며;
    후방으로 제 2배기밸브(26)가 내설된 관통부(25)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5)를 감싸며 외측으로 다수의 유출공(27a)이 형성된 보호덮개(27)가 구비된 바닥창(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창(20)은 상기 깔창(10)의 전방압축부(11b)와 후방압축부(11c)에 대칭되도록 하측방향으로 만곡되는 전방보조압축부(28)와 후방보조압축부(2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
KR2020010034601U 2001-11-10 2001-11-10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 KR2002654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601U KR200265480Y1 (ko) 2001-11-10 2001-11-10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4601U KR200265480Y1 (ko) 2001-11-10 2001-11-10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480Y1 true KR200265480Y1 (ko) 2002-02-25

Family

ID=7311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4601U KR200265480Y1 (ko) 2001-11-10 2001-11-10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48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095Y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JPH0919305A (ja) 靴の内部から空気を取り込みそのかかとの部分から外部に排気することのできるモールド成形靴底
KR100698959B1 (ko) 공기순환식 충격완충 신발 깔창
KR100470751B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0139453Y1 (ko) 완충과 지압작용을 겸한 신발용 중창
KR200265480Y1 (ko) 배기기능을 갖는 밑창이 구비된 신발
KR0180294B1 (ko) 공기순환식 깔창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9434A (ko) 지압기능을 갖는 신발 바닥창 및 신발
JP3120393U (ja) 靴底
KR200365883Y1 (ko) 통풍구조를 구비한 신발
KR200401187Y1 (ko) 쿠션과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에어펌프
KR101130975B1 (ko) 측면부에서 공기 입출이 가능한 신발깔창
KR200410269Y1 (ko) 충격완화와 악취 배출을 겸하는 신발용 완충장치
KR20060094827A (ko) 내부 공기가 배출 통풍되는 구두
KR100462809B1 (ko) 외부 공기 유입용 신발깔창
KR100576381B1 (ko) 깔창이 구비된 신발
KR100927427B1 (ko) 통풍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창
KR200183118Y1 (ko) 신발의 완충 및 환기장치
CN212280175U (zh) 一种新型可透气性鞋垫
KR200433362Y1 (ko) 신발의 에어장치
KR100980410B1 (ko) 신발
KR200326251Y1 (ko) 통풍기능을 갖는 신발깔창
JP4463585B2 (ja) 通気性を改善した靴
KR200297996Y1 (ko) 외부와의 공기 순환이 가능한 신발
KR200333446Y1 (ko) 욕실용 슬리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