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3368B1 -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 Google Patents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3368B1
KR102523368B1 KR1020220160643A KR20220160643A KR102523368B1 KR 102523368 B1 KR102523368 B1 KR 102523368B1 KR 1020220160643 A KR1020220160643 A KR 1020220160643A KR 20220160643 A KR20220160643 A KR 20220160643A KR 102523368 B1 KR102523368 B1 KR 102523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braille
moving
protrusion
mov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민수
안성진
박은영
Original Assignee
구민수
안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수, 안성진 filed Critical 구민수
Priority to KR102022016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3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3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3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7Touch pads, in which fingers can move on a surfa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목시계 형상의 본체 상부 영역에 몇 개의 점자를 표시할 수 있는 이동돌기 세트를 구비하고 나머지 영역에 터치 소자를 구비하되, 이동돌기와 터치소자 전체가 격자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표면에서 접촉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다수의 터치소자; 상기 표시부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되고, 상부면에서 접촉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다수의 이동돌기; 및, 상기 이동돌기 또는 상기 터치소자에서 감지되는 터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돌기로 돌출 신호 또는 몰입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소자 및 상기 이동돌기는 셀 격자의 구조를 형성하고, 각 이동돌기는 점자의 하나의 점에 대응되어, 상기 다수의 이동돌기는 점자를 표시하는 다수의 점자 세트를 형성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 의하여, 이동돌기에 의해 점자를 표시하고 이동돌기가 몰입되면 터치 패널로 기능함으로써, 점자 출력과 터치 패널에 의한 입력을 모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 A touch-based wearable braille device in the form of a wrist-watch }
본 발명은 손목시계 형상의 본체 상부 영역에 몇 개의 점자를 표시할 수 있는 이동돌기 세트를 구비하고 나머지 영역에 터치 소자를 구비하되, 이동돌기와 터치소자 전체가 격자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인들은 앞이 안 보인다는 불편함 때문에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꺼려하는 경우가 많다. 크게 지하철이나 버스를 예로 들 수 있는데, 지하철의 경우는 노란 점자블록을 이용하거나 역무원의 도움을 받아야 하고, 버스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을 수밖에 없다. 주변에 사람들이 없는 경우에는 시각장애인들은 대중교통을 스스로 이용하기가 매우 난처할 것이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들이 외부에서 도보로 이동할 때 시각 장애인이 궁금한 교통 상황 등 주변 상황을 알려주는 점자 단말이 필요하다.
그런데, 종래의 점자 단말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단말들이다[특허문헌 1,2].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은 점자 디스플레이(1100), 사용자 입력부(1200), 손가락 감지부(1300), 사운드 출력부(1600)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점자 디스플레이(1100)는 점자를 표현하기 위해 돌출 가능한 복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점자 셀들로 구성된다[특허문헌 2]. 사용자 입력부(1200)는 키보드 상단 또는 양측면에 다수의 버튼으로 구성된다. 또한, 손가락 감지부(1300)는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손가락이 점자 셀을 터치하는지 여부 및 하나 이상의 손가락의 움직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시각 장애인이 휴대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다수의 점자 셀로 구성되는 점자 단말에 대한 기술들도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3,4].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상당히 많은 점자 셀들을 격자로 형성하여 시각장애인이 용이하게 이동돌기의 돌출을 손으로 감지하고 그에 따른 점자 또는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이동돌기의 수가 많아 배터리로 동작하는 웨어러블 기기 또는 이동 단말에 적용하기 어렵다.
한편, 점자 시계 형태의 단말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5,6]. 상기 선행기술들은 손목시계 형태로 제공하여 시각 장애인이 이동중에 착용하게 하고, 촉각을 통해 시각(시간) 정보 등을 인지하도록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시간 정보 등 제한적인 정보만 제공하는 문제점이나, 버튼 방식의 입력 기능만 제공하여 입력시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58257호 (2017.05.26.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13053호 (2016.09.28.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125199호 (2020.11.04.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119970호 (2017.10.30.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0520호 (2010.08.16.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2084327호 (2020.03.03.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21-0048358호 (2021.05.03.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86598호 (2020.07.17.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911178호 (2018.10.17.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1045133호 (2011.07.01.공개)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13053호 (2016.09.28.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목시계 형상의 본체 상부 영역에 몇 개의 점자를 표시할 수 있는 이동돌기 세트를 구비하고 나머지 영역에 터치 소자를 구비하되, 이동돌기와 터치소자 전체가 격자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돌기의 상단에 터치 기능을 구비하여, 이동돌기가 몰입되면 이동돌기와 터치소자 전체가 격자의 터치 셀들로서 역할함으로써 본체 상부가 터치 패널로 기능할 수 있는,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돌기에 의해 점자를 표시하는 점자출력 모드와, 이동돌기가 몰입되어 본체 상부 영역 전체가 터치 패널로 기능하는 터치입력 모드로 구성되고, 이들 모드가 번갈아 가며 입출력을 수행하는,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표면에서 접촉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다수의 터치소자; 상기 표시부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되고, 상부면에서 접촉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다수의 이동돌기; 및, 상기 이동돌기 또는 상기 터치소자에서 감지되는 터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돌기로 돌출 신호 또는 몰입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소자 및 상기 이동돌기는 셀 격자의 구조를 형성하고, 각 이동돌기는 점자의 하나의 점에 대응되어, 상기 다수의 이동돌기는 점자를 표시하는 다수의 점자 세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동돌기는 4개 내지 6개의 점자세트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돌기와 터치소자의 셀 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돌기가 모두 내부로 몰입되어 그 상단이 상기 터치소자의 상단과 일치되는 터치입력 모드와, 상기 이동돌기가 점자 셀 내로 몰입되거나 돌출되는 이동이 가능한 상태의 점자출력 모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입력 모드에서 상기 이동 돌기와 상기 터치 소자 모두가 터치 기능이 활성화 되고, 상기 점자출력 모드에서 상기 이동 돌기의 터치 기능이 활성화 되고 상기 터치 소자의 터치 기능은 비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 모드에서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제스처에 대응되는 설정명령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점자출력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점자출력 모드에서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메시지가 모두 출력되면 상기 터치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에 해당하는 점자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의 점자를 다수의 세그먼트로 분할하되, 상기 세그먼트가 한번에 상기 이동돌기의 점자세트에 의해 출력되도록 분할하고, 현재 세그먼트가 출력된 후, 상기 이동돌기에서 터치가 감지되고 이후 상기 이동돌기에서 터치가 오프되는 것을 감지하면, 다음 세그먼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의하면, 이동돌기에 의해 점자를 표시하고 이동돌기가 몰입되면 터치 패널로 기능함으로써, 점자 출력과 터치 패널에 의한 입력을 모두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의하면, 점자를 출력하는 이동돌기의 개수를 최소로 구성하고 나머지 셀은 터치 소자로 구성함으로써 웨어러블 기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점자 단말 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대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소자의 구성에 대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장치의 동작 모드를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스처에 대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스처와 설정명령의 대응에 대한 표.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점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점자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점자 장치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터치소자의 구성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10)는 본체(11), 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된 표시부(12), 표시부(12)에 설치되는 이동돌기(20) 및 터치소자(30), 그리고 본체(11) 내부에 구비되는 제어부(40)로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본체(11)의 측면에 설치되는 입력 버튼(13), 또는, 손목에 착용하기 위한 시계줄(15) 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돌기(20), 터치소자(30), 제어부(40) 등을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50) 등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스마트 단말 등 외부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11)는 시계 형상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원형 또는 사각형의 케이스로 형성된다. 그외에도 본체(11)는 8각형 등 다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의 측면에는 적어도 1개의 입력 버튼(13)이 구비될 수 있다. 입력 버튼(13)에는 명령이 설정되고, 해당 버튼이 눌려지면 해당 설정 명령이 실행된다.
이때, 해당 버튼이 눌려지는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른 설정 명령이 대응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한번 눌려지는 형태(제1 눌림 모드)와, 사전에 정해진 시간(몇 초) 이상 길게 눌려지는 형태(제2 눌림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눌림 모드에는 초기화 명령(설정 명령)이 대응되고, 제2 눌림 모드에는 온/오프 명령(설정 명령)이 대응된다. 초기화 명령은 현재 실행 중인 작업을 모두 중단하고 초기화 상태로 복귀하는 명령을 말한다. 또한, 온/오프 명령은 전원의 온(on) 및 오프(off)로서, 토글 방식으로 실행된다. 즉, 온(on) 상태인 경우 오프(off)되고, 오프(off)인 상태인 경우 온(on) 된다.
다음으로, 본체(11)의 외주면에는 격벽(14)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1)의 상부에는 표시부(12)가 형성된다. 특히, 본체(11)의 상부 중심에서 격벽(14)의 내주연(또는 격벽이 닿는 부분)까지 표시부(12)가 형성된다.
한편, 격벽(14)은 본체(11)의 상부면의 중앙부 보다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격벽(14)은 그 높이가 표시부(12)의 높이 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격벽(14)은 시각 장애인에게 표시부(12)의 공간의 경계를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시각 장애인은 본체(11)의 상부면을 손가락으로 촉각할 때, 격벽(14)을 통해 표시부(12)의 경계를 알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에는 이동돌기(20) 및 터치소자(30)가 격자 셀의 구조로 배치되어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표시부(12)의 전체 공간에 대해 셀(이동돌기 또는 터치소자)들을 격자로 형성한다. 이동돌기(20)들, 또는, 터치소자(30)들 각각을 하나의 셀로 부르기로 한다. 즉, 표시부(12)의 평면 상에서 볼 때, 이동돌기(20)들, 또는, 터치소자(30)들은 각각 하나의 셀로서 구성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이동돌기(20)와 터치소자(30)의 셀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즉, 사전에 정해진 오차 이내로 동일하다.
또한, 터치소자(30)는 손가락 등 사람의 신체가 닿았는 것(터치)을 인식한다. 터치소자(30)의 구성은 종래 기술 또는 통상의 기술을 채용한다. 일례로서, 터치소자(30)는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특허문헌 11].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전용량(Cp)의 일측이 터치소자(30)의 표면에 연결되어, 터치소자(30)의 표면에 손가락이 터치되면 정전용량(Cp)의 용량 값이 변화된다. 즉, 터치소자(30)의 변화된 정전용량 값으로 터치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특히, 터치소자(30)는 터치 감지 결과를 제어부(40)로 전송한다.
또한, 이동돌기(20)는 표시부(12)의 셀 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제어에 따라 셀 공간에서 위로 돌출되거나 셀 공간 내로 들어가서 몰입된다. 이동돌기(20)가 몰입되면, 이동돌기(20)의 상단이 표시부(12)의 표면과 같은 높이로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동돌기(20)가 몰입되면, 터치소자(30)와 동일한 높이가 되어, 이동돌기(20)는 표시부(12)의 상부 표면 상에서 터치소자(30)와 동일한 높이의 셀로서 역할한다.
이때, 이동돌기(20)에 대해 셀 공간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성은 종래 기술을 적용한다. 예를 들어, 이동돌기(2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거나[특허문헌 7], 자석 및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거나[특허문헌 8,9], 바이오메탈과 스프링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특허문헌 10].
특히, 이동돌기(20)는 제어부(40)에서 송신되는 돌출신호 또는 몰입 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즉, 이동돌기(20)는 돌출신호에 의해 돌출되거나 몰입신호에 의해 몰입된다. 또는, 이동돌기(20)는 디폴트로 몰입 상태를 유지하고 돌출 신호에 의해 돌출 상태로 전환되었다가 몰입 신호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이동돌기(20)는 터치소자(30)와 같이 터치 기능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동돌기(20)의 내부에는 터치소자(30)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동돌기(20)의 상부 표면 상에 손가락 등이 터치되면, 이동돌기(20)는 터치를 인식한다. 이동돌기(20)에 터치기능의 구현은 앞서 터치소자(30)의 경우와 같이 종래 기술 또는 통상의 터치 기술을 적용한다.
한편, 이동돌기(20)들은 다수의 점자 세트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1개의 점자 세트는 6개의 이동돌기(20)로 구성된다. 1개의 점자 세트는 6개의 점으로 구성되어, 하나의 문자(초성/중성/종성 등) 또는 기호, 숫자 등을 나타낸다. 각 이동돌기(20)는 점자의 각 점들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이동돌기(20)는 4개 내지 6개의 점자세트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영어나 숫자인 경우, 알파벳/숫자 1개에 점자세트 1개로 표시될 수 있다. 한글의 경우, 1글자는 대부분 점자세트 1개 내지 3개로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점자세트를 최소한 4개 내지 6개를 한꺼번에 읽는 것이 시각장애인에게 편의성을 제공한다. 또한, 점자세트의 개수를 적게 설정함으로써 이동돌기(20)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부(60)는 스마트 단말(스마트폰 등) 등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하되,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 명령, 메시지 등을 수신하거나, 검출된 제스처 또는 처리 결과 등을 송신한다. 바람직하게는, 통신부(6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 근거리 통신 규약에 의해 통신 칩으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제어부(4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 마이컴 등에 의해 구현되거나, 마이크로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되는 하나의 전용 IC칩으로 실시되거나, ASIC(주문형 반도체) 등 하나의 전자회로로 구성되어 실시될 수 있다. 즉, 소프트웨어 형태, FPGA 칩이나 여러 개의 회로소자로 구성된 전자회로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40)는 이동돌기(20) 또는 터치소자(30)로부터 터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이동돌기(20)로 돌출 신호 또는 몰입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40)는 통신부(60)를 통해 스마트 단말 등과 통신을 수행하고, 특히, 스마트 단말(미도시)에 의해 수신되는 데이터/명령/메시지를 수신하거나, 점자 장치(10)의 검출된 제스처 또는 처리 결과 등을 스마트 단말(미도시)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40)는 스마트 단말의 문자 메시지 등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 및 통신부(60) 등은 하나의 회로 기판(PCB)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50)는 이동돌기(20), 터치소자(30), 제어부(40) 등 또는 이들로 구성된 회로기판에 전원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50)는 재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의 동작 모드에 대하여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점자 장치(10)는 터치입력 모드와 점자출력 모드 등 2개의 동작 모드로 구성되고, 양 동작 모드가 반복적으로 서로 전환된다.
먼저, 터치입력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와 같이, 터치입력 모드는 이동 돌기(20)가 모두 내부로 몰입되어 그 상단이 터치소자(30)의 상단과 일치되는 상태이다. 즉, 표시부(12)의 상부 표면은 평평해지고 터치 표면으로 전환된다. 이때, 점자 장치(10)의 본체(11) 또는 표시부(12)는 터치 패널과 같이 작동된다. 특히, 터치입력 모드에서는, 이동 돌기(20)와 터치소자(30)의 터치 기능이 모두 활성화 되어 터치를 감지한다. 즉, 이동 돌기(20)와 터치소자(30)는 모두 터치 셀로 기능한다.
터치입력 모드에서, 시각 장애인은 전체 표면을 터치 표면으로 사용하여 제스처를 입력하여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40)는 셀(이동돌기 또는 터치소자의 셀) 격자에서 입력되는 제스처를 검출한다.
제스처는 셀 격자 상에서 터치되는 움직임을 나타낸다. 도 6의 예와 같이, 표시부(12) 상에서 좌에서 우 방향의 제스처, 위에서 아래 방향의 제스처, 아래에서 위와 꺽어서 우측 방향이 제스처, 아래에서 위 그리고 다시 아래 방향의 라운드 형태의 제스처 등 다양한 제스처가 설정될 수 있다.
즉, 특정 움직임의 형태가 제스처로 설정되어 등록될 수 있다. 제스처는 사전에 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40)는 터치 표면 상에서 입력되는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움직임과 매칭되는 제스처를 검출한다.
또한, 각 제스처는 설정 명령과 대응된다. 설정 명령은 사전에 설정되거나, 사용자 등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특정 제스처가 검출되면, 해당 제스처에 대응되는 설정명령이 실행된다. 도 7의 예와 같이, 시각장애인이 지하철 또는 버스를 탑승 상태에서, 방향에 의한 제스처에 의해 다음 또는 이전 정거장의 안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한글 자음을 따라 'ㄴ'은 날씨 안내, 'ㅅ'은 시간 안내, 'ㅁ'은 문자 메시지 출력 등의 설정 명령을 대응시킬 수 있다.
한편, 터치입력 모드에서 제스처 명령이 검출되면, 점자출력 모드로 전환된다. 제스처 명령에 의해 출력할 메시지가 정해지고, 점자출력 모드에서 해당 메시지가 출력된다.
또한, 터치입력 모드가 초기화 모드이다.
먼저, 점자출력 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b)와 같이, 점자출력 모드는 이동돌기(20)가 점자 셀 내로 몰입되거나 돌출되는 등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점자출력 모드에서는, 터치소자(30)의 터치 기능은 비활성화 되고, 이동돌기(20)의 터치 기능만 활성화 된다.
또한, 점자출력 모드에서, 메시지가 점자로 출력된다. 점자세트에 해당하는 이동돌기(20)들이 조합되어 출력하되, 해당 점자에 대응되는 각 이동돌기가 돌출 또는 몰입되어 해당 점자를 출력한다. 바람직하게는, 메시지는 터치 제시처 명령에 의한 메시지이다.
또한, 표시부(12)에 형성된 점자 세트의 개수는 4-6개 정도로 한정되므로, 메시지 전체를 한번에 표시할 수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경우, 메시지의 전체 점자들을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표시한다. 즉, 하나의 점자 세그먼트는 표시부(12)에 한번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는 현재 세그먼트가 출력된 후, 이동돌기(20)에서 터치가 감지되고(터치가 온 on되고) 이후 이동돌기(20)에서 손을 떼면(터치가 오프 off되면), 다음 세그먼트를 출력한다. 즉, 시각 장애인은 현재 점자 세그먼트가 출력되면 해당 점자를 읽기 위하여 손으로 터치하고 계속 터치된 상태에서 점자를 읽는다. 그리고 점자를 다 읽으면 전체 손을 떼면, 제어부(40)는 그 다음 세그먼트의 점자를 출력한다. 즉, 제어부(40)는 터치후 터치되지 않으면 표시된 세그먼트의 점자를 다 읽은 것으로 판단하여 다음 세그먼트의 점자를 표시한다.
한편, 출력할 메시지의 모든 점자를 표시하면, 점자출력 모드에서 터치입력 모드로 전환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1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 방법은 웨어러블 점자 장치(10)의 제어부(40)에 의해 프로그래밍 되어 동작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점자장치(10) 또는 제어부(40)는 터치 입력 모드로 전환한다(S10). 터치 입력 모드가 초기화 상태이다. 터치 입력 모드에서는 이동돌기(20)와 터치소자(30)가 모두 활성화 되어 터치 패널로서 기능하고, 터치 입력을 감지한다. 그리고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제스처를 검출한다(S11).
제스처를 검출하면, 해당 제스처 명령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생성하고, 메시지의 점자를 생성한다(S12). 또한, 메시지의 점자를 적어도 1개의 세그먼트로 분할한다. 즉, 세그먼트는 다수 개로 분할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점자출력 모드로 전환한다(S20). 즉, 제스처가 검출되면, 해당 제스처에 대응하는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하여, 점자출력 모드로 전환된다. 점자출력 모드에서는, 터치소자(30)는 비활성화 되고, 이동돌기(20)의 터치 기능만 활성화 된다.
다음으로,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S21). 즉, 최초에는 처음 세그먼트를 출력하고, 다음으로는 순서에 따라 그 다음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특히, 세그먼트를 출력한 후, 이동돌기(20)의 터치 후 언터치가 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 한다(S22). 언터치가 있을 때까지 해당 세그먼트의 점자 출력을 유지한다.
그리고 언터치가 있으면, 해당 메시지의 세그먼트들 중 아직 출력되지 않고 남은 세그먼트가 존재하지 않는지를 판단한다(S23). 만약 남은 세그먼트가 존재하면, 다음 세그먼트의 점자를 출력하는 단계(S21)를 반복한다.
또한, 해당 메시지의 세그먼트를 모두 출력하여 남은 세그먼트가 존재하지 않으면, 터치입력 모드로 전환하여(S10) 초기화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점자 장치 11 : 본체
12 : 표시부 13 : 입력 버튼
15 : 시계줄
20 : 이동돌기
30 : 터치소자
40 : 제어부

Claims (7)

  1.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에 있어서,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설치되고, 상기 표시부의 표면에서 접촉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다수의 터치소자;
    상기 표시부에 설치되고, 상하로 이동되고, 상부면에서 접촉되는 터치를 감지하는 다수의 이동돌기; 및,
    상기 이동돌기 또는 상기 터치소자에서 감지되는 터치 감지 결과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돌기로 돌출 신호 또는 몰입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소자 및 상기 이동돌기는 셀 격자의 구조를 형성하고,
    각 이동돌기는 점자의 하나의 점에 대응되어, 상기 다수의 이동돌기는 점자를 표시하는 다수의 점자 세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돌기가 모두 내부로 몰입되어 그 상단이 상기 터치소자의 상단과 일치되는 터치입력 모드와, 상기 이동돌기가 점자 셀 내로 몰입되거나 돌출되는 이동이 가능한 상태의 점자출력 모드를 가지고,
    상기 터치입력 모드에서 상기 이동 돌기와 상기 터치 소자 모두가 터치 기능이 활성화 되고, 상기 점자출력 모드에서 상기 이동 돌기의 터치 기능이 활성화 되고 상기 터치 소자의 터치 기능은 비활성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이동돌기는 4개 내지 6개의 점자세트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돌기와 터치소자의 셀 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 모드에서 제스처를 감지하고, 상기 제스처에 대응되는 설정명령의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점자출력 모드로 전환하여 상기 점자출력 모드에서 상기 메시지를 출력하고, 상기 메시지가 모두 출력되면 상기 터치입력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시지에 해당하는 점자를 생성하고, 상기 메시지의 점자를 다수의 세그먼트로 분할하되, 상기 세그먼트가 한번에 상기 이동돌기의 점자세트에 의해 출력되도록 분할하고, 현재 세그먼트가 출력된 후, 상기 이동돌기에서 터치가 감지되고 이후 상기 이동돌기에서 터치가 오프되는 것을 감지하면, 다음 세그먼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KR1020220160643A 2022-11-25 2022-11-25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KR102523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643A KR102523368B1 (ko) 2022-11-25 2022-11-25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0643A KR102523368B1 (ko) 2022-11-25 2022-11-25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3368B1 true KR102523368B1 (ko) 2023-04-19

Family

ID=86142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0643A KR102523368B1 (ko) 2022-11-25 2022-11-25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3368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520A (ko) 2009-02-06 2010-08-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시계
KR101045133B1 (ko) 2009-07-20 2011-07-0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자용 점자 시계
KR20160113053A (ko) 2015-03-18 2016-09-28 노영관 점자 정보 단말기
KR20170058257A (ko)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점자 단말기
KR20170119970A (ko) 2016-04-20 2017-10-3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JP2018013692A (ja) * 2016-07-22 2018-01-25 凸版印刷株式会社 電子点字書籍システムおよび電子点字表示装置
KR101911178B1 (ko) 2017-06-05 2018-10-23 주식회사 티원 시각장애인용 점자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KR102084327B1 (ko) 2018-10-04 2020-03-0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손목시계
KR20200086598A (ko) 2019-01-09 2020-07-17 김동현 초소형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전용 디지털 데이터 입-출력 보드
KR20200125199A (ko) 2019-04-26 2020-11-0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전자문서에 포함되는 특수 텍스트 제공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20210048358A (ko) 2019-10-23 2021-05-03 곽정원 터치스크린 기반 기기의 마이컴 기반 점자 출력장치
KR20220099258A (ko) * 2021-01-06 2022-07-13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동작감지형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스처 명령 수행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0520A (ko) 2009-02-06 2010-08-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시계
KR101045133B1 (ko) 2009-07-20 2011-07-01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장애자용 점자 시계
KR20160113053A (ko) 2015-03-18 2016-09-28 노영관 점자 정보 단말기
KR20170058257A (ko)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점자 단말기
KR20170119970A (ko) 2016-04-20 2017-10-3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촉각 인터페이스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JP2018013692A (ja) * 2016-07-22 2018-01-25 凸版印刷株式会社 電子点字書籍システムおよび電子点字表示装置
KR101911178B1 (ko) 2017-06-05 2018-10-23 주식회사 티원 시각장애인용 점자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KR102084327B1 (ko) 2018-10-04 2020-03-03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시각 장애인을 위한 손목시계
KR20200086598A (ko) 2019-01-09 2020-07-17 김동현 초소형 솔레노이드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 전용 디지털 데이터 입-출력 보드
KR20200125199A (ko) 2019-04-26 2020-11-04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시각장애인용 전자문서에 포함되는 특수 텍스트 제공방법 및 그 전자장치
KR20210048358A (ko) 2019-10-23 2021-05-03 곽정원 터치스크린 기반 기기의 마이컴 기반 점자 출력장치
KR20220099258A (ko) * 2021-01-06 2022-07-13 주식회사 셀바스헬스케어 동작감지형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스처 명령 수행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913B1 (ko)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지독 방향 설정 방법
KR101774707B1 (ko) 사용자별 커스텀 키보드 매핑이 가능한 블루투스 IoT 키보드
US20090002218A1 (en) Direction and holding-style invariant, symmetric design, touch and button based remote user interaction device
WO2007084078A1 (en) A keyboa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KR101868448B1 (ko) 스마트 기기용 햅틱 패턴 제공 장치
US202002944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Braille
US20150186013A1 (en) Electronic device and key input prompt method
US7339124B2 (en) Input key and input apparatus
CN112164608A (zh) 电子设备、其控制方法和控制装置
KR102523368B1 (ko) 손목시계 형태의 터치 기반 웨어러블 점자 장치
US4497982A (en) Input unit
KR100599210B1 (ko) 데이타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방법
JP2008052584A (ja) 携帯電子機器
KR101491039B1 (ko)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KR201300426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4538Y1 (ko) 터치방식문자입력이가능한전화기시스템
CN106097834B (zh) 盲文阅读器
KR101368770B1 (ko) 학습용 단말을 위한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75089B1 (ko) 이동단말기의 움직임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KR20170072622A (ko) 점자 단말기
JP5201032B2 (ja) タッチ指示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
KR20160148567A (ko) 입력 보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입력을 처리하는 전자 기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세트 장치
KR200301208Y1 (ko)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CN104781736A (zh) 电子表的激活模式
KR20040034205A (ko)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