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1208Y1 -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1208Y1
KR200301208Y1 KR20-2002-0031366U KR20020031366U KR200301208Y1 KR 200301208 Y1 KR200301208 Y1 KR 200301208Y1 KR 20020031366 U KR20020031366 U KR 20020031366U KR 200301208 Y1 KR200301208 Y1 KR 200301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key
button
unit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영
김재규
Original Assignee
김재규
김성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규, 김성영 filed Critical 김재규
Priority to KR20-2002-0031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1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1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12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형 단말기의 키패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것을 인식하는 다수의 키를 각각의 숫자 버튼 사이에 구비하고, 사용자는 문자입력을 하기 위해 지정된 방식에 따라 각각의 키에 손가락을 스쳐가며 접촉시킴으로써 손쉬운 문자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휴대형 단말기의 키패드(10)상에서 각각의 숫자버튼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소정 갯수의 센서 키들로 이루어져서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 여부를 인식하는 터치 센서부(20); 상기 터치 센서부(20)로부터 각 키들의 터칭 여부와 터칭 순서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30); 상기 터치 센서부(20)를 터칭하여 실제 문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문자식들이 저장되는 문자식 저장부(50, 60); 및 상기 접촉 감지부(30)에서의 감지결과를 문자식 저장부(50, 60)에 저장된 문자식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문자식을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LETTER INPUT APPARATUS OF HAND HELD TERMINAL USING SENSOR}
본 고안은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형 단말기의 키패드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것을 인식하는 다수의 키를 각각의 숫자 버튼 사이에 구비하고, 사용자는 문자입력을 하기 위해 지정된 방식에 따라 각각의 키에 손가락을 스쳐가며 접촉시킴으로써 손쉬운 문자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휴대형 단말기에 대한 개념은 예전과 많이 달라지게 되어, 이제는 필수적인 개인 생활용품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또한, 이렇게 휴대형 단말기의 사용인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의 활용 방식은 단순히 개인 대 개인이 음성으로 필요한 의사소통을 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을 통해 정보를 취득 및 공유하고 이를 활용함으로써 휴대형 단말기의 활용 범위는 점점 더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휴대형 단말기의 이용방식이 다양해짐에 따라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휴대형 단말기에서 문자입력의 방식이다.
하지만, 이러한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전달을 위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사용자가 간편하고 빠르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문자입력 방식은 키패드상의 각각의 숫자키마다 한글 및 영문 자모의 일정수가 배치되고, 사용자는 문자를 입력하기 위하여 입력되는 자모가 속한 숫자키를 원하는 자모가 선택될 때 까지 누르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러한 방식은 핸드형 단말기가 제한된 버튼을 가지기 때문에 사용되는 고육책으로서 실제 사용시 느리고 어려운 입력형식으로 인해 사용자들은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하여야 올바른 문자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중년층 이상의 휴대형 단말기 사용자들은 쉽게 익힐 수 없는 이러한 문자입력 방식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게 되어 문자 메세지 서비스를 제대로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와는 달리 키패드상의 각각의 숫자키를 터치하여 터치되는 숫자키의 형상을 문자로 인식하는 전화시스템이 공개실용신한공보 제 1998-008498 호(터치방식 문자입력이 가능한 전화기시스템)에 제시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문자입력 가능한 전화기에 있어서, 문자입력을 위한 터치방식의 숫자키를 구비한 키패드; 상기 키패드상에 터치된 숫자키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키패드상에 터치되는 숫자키가 발광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터치되는 숫자키의 형상을 문자로 인식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터치되는 숫자키를 발광표시하는 표시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술한 "터치방식 문자입력이 가능한 전화기시스템"은 기존 키패드(10)상의 숫자키를 문자입력을 위한 센서키로 이용하게 됨으로써, 소형화 되어가는 단말기의 특성상 숫자키와 숫자키 사이가 좁기 때문에 사람의 손가락이 하나의 숫자키를 터치하지 못하고 동시에 두개 이상의 숫자키를 터치하게 되어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문자를 표현하기 위해 기개발 되어 있는 방식의 키패드를 폐기하고 많은 수의 터치방식의 숫자키를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높은 비용상의 문제점이 있고, 문자입력뿐만이 아닌 많은 기능들에서 눌려져 사용되는 숫자키가 터칭기능을 가지게 됨으로써 쉽게 고장을 일으킬 수 있어 오랜 기간 사용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람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는 다수의 키를 키패드의 숫자키 사이에 구비시키는 한편, 제어부는 감지된 키의 배열을 기저장된 문자식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문자를 액정화면을 통하여 출력시키도록 하는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휴대폰 문자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문자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문자입력장치의 내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국문 코드 저장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표.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영문 코드 저장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표.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제 1 키 2 : 제 2 키
3 : 제 3 키 4 : 제 4 키
5 : 제 5 키 6 : 제 6 키
7 : 제 7 키 10 : 키패드
20 : 센서부 30 : 접촉 감지부
40 : 제어부 50 : 한글 문자식 저장부
60 : 영문 문자식 저장부 70 : 액정표시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는 휴대형 단말기의 키패드(10)상에서 각각의 숫자버튼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소정 갯수의 센서 키들로 이루어져서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 여부를 인식하는 터치 센서부(20); 상기 터치 센서부(20)로부터 각 키들의 터칭 여부와 터칭 순서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30); 상기 터치 센서부(20)를 터칭하여 실제 문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문자식들이 저장되는 문자식 저장부(50, 60); 및 상기 접촉 감지부(30)에서의 감지결과를 문자식 저장부(50, 60)에 저장된 문자식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문자식을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센서부(20)의 각 키(1, 2, 3, 4, 5, 6, 7)들은 접촉식이나 또는 비접촉식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터치 센서부(20)의 각 키들은 키패드(10)의 "5" 버튼을 중심으로 하여 "1" 버튼 측으로 제 2 키(2), "3" 버튼 측으로 제 3 키(3), "7" 버튼 측으로 제 4 키(4), "9" 버튼 측으로 제 5 키(5)가 각각 위치되고, 키패드의 "8" 버튼의 하측에서 "*" 버튼 측으로 제 6 키(6), "#" 버튼 측으로 제 7 키(7)가 각각 위치되며, 키패드의 "2" 버튼과 "3" 버튼 사이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제 1 키(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은 휴대형 단말기에서 각각의 숫자키들 사이에 손가락이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센서부를 구비시킴으로써 터치 센서부의 각각의 키에 접촉되는 배열을 미리 저장된 문자식과 비교하여 이와 일치되는 문자를 출력시키도록 하는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문자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문자입력장치의 내부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국문 코드 저장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표이고,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영문 코드 저장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표이다.
본 고안이 적용된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는 접촉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인식하는 터치 센서부(20), 상기 터치 센서부(20)에 인식된 접촉방식의 형상을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30), 상기 접촉 감지부(30)에서 감지된 형상을 기저장된 문자식과 비교하여 외부로 출력시키는 제어부(40)로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를 이용한 휴대폰의 문자입력 장치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터치 센서부(20)는 휴대형 단말기의 키패드상에 위치되는데, 7개의 센서 키로 구성되며, "5" 버튼을 중심으로 네 귀퉁이에 각각 하나씩, "8" 버튼을 중심으로 하측 두 귀퉁이에 각각 하나씩, 그리고 "2" 버튼과 "3" 버튼 사이의 상측으로 하나가 위치된다.
즉, 키패드의 "5" 버튼을 중심으로 하여 "1" 버튼 측으로 제 2 키(2), "3" 버튼 측으로 제 3 키(3), "7" 버튼 측으로 제 4 키(4), "9" 버튼 측으로 제 5 키(5)가 각각 위치되고, 키패드의 "8" 버튼의 하측에서 "*" 버튼 측으로 제 6 키(6), "#" 버튼 측으로 제 7 키(7)가 각각 위치되며, 키패드의 "2" 버튼과 "3" 버튼 사이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제 1 키(1)로 구성되며, 이러한 터치 센서부(20)의 각각의 키(1, 2, 3, 4, 5, 6, 7)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스쳐지나가며 접촉되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이때, 이러한 각각의 키는 범용센서로서 사람의 손가락이 접촉되는 것을 인식하는 접촉 방식의 터치 스위치나 마이크로 스위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 감지부(30)는 상기 터치 센서부(20)에서 각각의 키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접촉된 상태를 입력받고 그 순서를 감지하게 된다.
즉, 스쳐지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각각의 키가 접촉되었는지 여부, 그리고 접촉된 키들이 접촉되는 순서를 감지하여, 그러한 접촉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킨다.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접촉 감지부(30)로부터 접촉신호를 입력받고 이를 기저장된 한글 문자식 저장부(50) 또는 영문 문자식 저장부(60)의 문자식과 비교하는 한편, 그 비교결과 사용자의 접촉에 의해 입력된 문자식과 일치하는 문자식을 사용자가 입력하고자하는 문자식으로 판단하고 이를 액정표시장치(70)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때, 상기 한글 문자식 저장부(50)에는 터치 센서부(20)를 통해 표현되게 되는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의 일정한 문자식이 저장되어 있게 되며, 마찬가지로 영문 문자식 저장부(60)에도 영문 알파벳의 자음 및 모음의 일정한 문자식이 저장되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한글 및 영문 문자식은 그 구조가 실제 문자의 형상과 유사하게 이루어져 사용자가 쉽게 기억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한글 문자식 저장부(50) 및 영문 문자식 저장부(60)에 저장되는 문자식의 일예가 도 4 와 도 5에 각각 예시되어 있다.
이때, 도 4와 도 5에 예시된 문자식에서는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이 한가지의 문자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본 고안의 원리는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을 한가지 이상의 문자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서, 사용자가 평소 사용하던 자모의 표현방법과 유사한 문자식을 선택하여 자모를 표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한글모드에서 자음 "ㅁ" 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휴대형 단말기의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제 2 키(2), 제 4 키(4)를 스쳐지나가며 차례로 터칭한 후, 다음으로 제 2 키(2), 제 3 키(3), 제 5 키(5)를 차례로 터칭하고, 제 4 키(4), 제 5 키(5)를 터칭함으로서 "ㅁ" 을 터치 센서부(20)를 통하여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터치 센서부(20)에서 실제의 "ㅁ"과 유사한 형태로 각 키들을 손가락으로 스쳐가며 터치하게 됨으로써, 간단하고 빠르게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접촉 감지부(30)는 상기 터치 센서부(20)를 통하여 감지된 사용자로부터 터칭된 키를 입력받게 되고, 이를 터칭된 각각의 키의 터칭 순서와 함께 접촉신호로서 제어부(40)로 출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40)는 접촉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한글 문자식 저장부(50)에 기저장된 문자식들과 비교하여 일치되는 문자식을 선택하며 이를 액정표시장치(70)를 통하여 출력시킨다.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을 인식하게 되는 터치 센서부(20)의 각각의 키(1, 2, 3, 4, 5, 6, 7)는 상세한 설명에서 사람의 손이 접촉되는 것을 인식하는 접촉 방식의 센서로서 기재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원리는 상기 터치 센서부(20)의 각각의 키가 소정의 감지거리를 가지고 근접된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비접촉 방식의근접 스위치나 광센서로 구성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나타난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는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최소 갯수의 터치센서로 형성되는 각각의 키를 키패드상에 위치되는 숫자키들 사이에 위치시키고, 이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문자형상을 따라 터치하여 지나가면 원하는 문자가 입력되도록 함으로써 쉽고 빠르게 사용자가 원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숫자키들 사이에 위치되는 각각의 키들이 넓은 간격을 유지하게 되어 두개의 키가 동시에 손가락에 접촉되어 발생되는 오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문자를 입력시키는데 있어서 입력하는 방식을 실제 문자 형상과 유사하게 형상으로 입력할 수 있도록 한글 및 영문 문자식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그 입력방식을 쉽게 습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패드의 숫자 버튼들은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으로 사용하고 터치 센서부의 각 키들은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함으로써 숫자키의 사용빈도를 줄이게 되어 고장을 방지하고, 숫자키에 한글 및 영문의 자모를 기록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외관상 깔끔한 키패드의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키패드상에 위치되는 터치 센서부의 각각의 키들을 문자를 나타낼 수 있는 최소 갯수로 구성함으로써 사용되는 센서 및 회로의 수를 줄이게 되며, 기존에 사용하던 방식의 키패드를 폐기하지 않고 키패드 케이스의 부분수정만으로 충분히 양산이 가능하여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휴대형 단말기의 키패드(10)상에서 각각의 숫자버튼 사이에 각각 위치되는 소정 갯수의 센서 키들로 이루어져서 사용자 손가락의 접촉 여부를 인식하는 터치 센서부(20);
    상기 터치 센서부(20)로부터 각 키들의 터칭 여부와 터칭 순서를 감지하는 접촉 감지부(30);
    상기 터치 센서부(20)를 터칭하여 실제 문자와 유사한 형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문자식들이 저장되는 문자식 저장부(50, 60); 및
    상기 접촉 감지부(30)에서의 감지결과를 문자식 저장부(50, 60)에 저장된 문자식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문자식을 외부로 출력하는 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부(20)의 각 키(1, 2, 3, 4, 5, 6, 7)들은 접촉식이나 또는 비접촉식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부(20)의 각 키들은 키패드(10)의 "5" 버튼을 중심으로 하여"1" 버튼 측으로 제 2 키(2), "3" 버튼 측으로 제 3 키(3), "7" 버튼 측으로 제 4 키(4), "9" 버튼 측으로 제 5 키(5)가 각각 위치되고, 키패드의 "8" 버튼의 하측에서 "*" 버튼 측으로 제 6 키(6), "#" 버튼 측으로 제 7 키(7)가 각각 위치되며, 키패드의 "2" 버튼과 "3" 버튼 사이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제 1 키(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20-2002-0031366U 2002-10-21 2002-10-21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200301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366U KR200301208Y1 (ko) 2002-10-21 2002-10-21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366U KR200301208Y1 (ko) 2002-10-21 2002-10-21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4293A Division KR20040034205A (ko) 2002-10-21 2002-10-21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1208Y1 true KR200301208Y1 (ko) 2003-01-17

Family

ID=49329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366U KR200301208Y1 (ko) 2002-10-21 2002-10-21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120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125B1 (ko) 2003-05-15 2008-02-27 주식회사 엔터기술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KR20180068010A (ko) 2016-12-13 2018-06-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125B1 (ko) 2003-05-15 2008-02-27 주식회사 엔터기술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장치
KR20180068010A (ko) 2016-12-13 2018-06-2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0430B2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ingle-handed data entry
KR100949581B1 (ko)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WO2010099835A1 (en) Improved text input
KR201100180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EP1405158A2 (en) Data input device
US7417564B2 (en) Enhancing character input in electronic device
KR20030073477A (ko) 문자 입력장치 및 방법
KR101414169B1 (ko) 시각장애인용 키보드 및 이를 이용한 정보인식시스템
KR100599210B1 (ko) 데이타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방법
KR20040034205A (ko)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200301208Y1 (ko)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JP2001333166A (ja) 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KR100784260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단말에서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204538Y1 (ko) 터치방식문자입력이가능한전화기시스템
KR10065257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와 문자 인식 방법
KR100343950B1 (ko) 필기인식을 위한 소프트 키보드가 포함된 휴대용 단말기및 펜입력에 의한 필기 인식방법
US7925092B2 (en) Hand writing input device
KR100636316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23061B1 (ko) 접촉 센서 배열을 이용한 스크롤 기능을 가진 한글, 영문입력 방법 및 장치
KR19990048401A (ko) 키보드 확대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032024A (ko) 다문자가 할당된 자판 지면상의 접촉인식과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문자입력방법
KR20090010144A (ko)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숫자 조합 데이터 입력 방법 및 장치
JP4728992B2 (ja) 携帯情報端末および表示方法
WO2005112407A9 (en) Keypad having ⊂-shaped butt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s using the same
JP3201735U (ja) キー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