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316B1 -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316B1
KR100636316B1 KR1020040069675A KR20040069675A KR100636316B1 KR 100636316 B1 KR100636316 B1 KR 100636316B1 KR 1020040069675 A KR1020040069675 A KR 1020040069675A KR 20040069675 A KR20040069675 A KR 20040069675A KR 100636316 B1 KR100636316 B1 KR 100636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typo
detected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946A (ko
Inventor
백승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316B1/ko
Publication of KR2006002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극소형 전자기기에 적용되는 문자 입력 장치는, 입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획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키들을 갖는 키입력부, 키들의 입력 조합에 대응하여 각각 정의된 서로 다른 문자구성요소가 저장된 저장부, 및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응답하여 저장부로부터 그에 대응된 문자구성요소를 검출하고 그 문자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문자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갖는다.
극소형 기기, 문자 입력, 인터페이스, 키, 2진

Description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CHARACTER INPUTTING APPARATUS AND CHARACTER INPUTT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최소 입력 키 버튼을 이용하여 쉬운 키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저장부에 저장된 기본획 입력테이블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저장부에 저장된 기본 자음/모음 입력테이블의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을 이용한 쌍자음, 복자음, 및 복모음의 입력 예를 도시한 입력 응용 테이블 도면,
도 5는 도 1의 저장부에 저장된 특수문자 입력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도이다.
본 발명은 문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음 또는 모음 별로 문자 입력을 위해 할당된 사용자 입력 키 인터페이스가 한정되게 구비된 상태에서 문자 입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기기는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전자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전자 기기 중에는 임의의 정보를 편집하기 위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를 구비하는 것도 있다.
하나의 입력 키 인터페이스에 적어도 2개의 자음 또는 모음의 입력이 할당된 전자 기기의 문자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입력 키 인터페이스(키 패드)의 위치를 암기하거나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을 통해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이와 같은 문자 입력 방식은 특정 키 입력 패턴의 숙달을 통한 문자를 입력하는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휴대 단말기와 같은 전자 기기는 '천지인'방식과 클러드(clurd)방식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 방식을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천지인'방식은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위치가 약속된 키패드를 기반으로 입력하기 위해 설계된 문자 입력 방식이다. '클러드'방식은 한글 자음 및 모음에 대한 형상(형태)을 연상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식이다.
그런데, '천지인' 문자 입력 방식은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의 위치가 약속된 키패드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한글의 자음 및 모음 각각에 할당된 키가 요구됨에 따라 문자 입력을 위한 키의 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천지인' 문자 입력 방식은 문자를 입력할 때마다 각 자음 또는 모음에 대응하여 설정된 키를 정확하게 입력하는 지의 여부를 시야로 확인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시각적 확인 과정을 피하고 효율적인 문자 입력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음 또는 모음에 대응하여 설정된 키의 위치를 암기해야 할 뿐 아니라 여러 키들을 터치함에 따른 정확한 키 선택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클러드' 문자 입력 방식은 전자 기기에서 고정된 키패드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한글 자모의 형태(생김세)를 유추하여 '중앙, 상, 하, 좌, 우'의 5개의 사(4)방향 위치 키의 2개 조합 코드로 모든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약속한 문자 입력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방향키의 제한된 형상화(추상화)로 인해, 초보자의 경우 입력 방식의 학습 및 숙달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클러드' 문자 입력 방식은 이러한 어려운 입력 방식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는 데 한계가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클러드' 문자 입력 방식은 문자 입력에 필요한 기존 개인용 휴대 단말기에 10 내지 14개가 마련되는 키패드의 버튼 개수의 절반 정도인 5개로 줄일 수 있다. 그러나 '클러드'문자 입력 방식을 적용하여 5개의 사방향 키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한 손으로 전자 기기를 파지하고 한 손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은, 사용자가 임의의 자세에서 한 손으로 편리하게 문자 입력을 하기에는 불편함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소형 MP3 플레이어, 유선 또는 무선 전자 기기 제어 리모콘, 손목 착용 휴대폰 등과 같이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버튼을 한정되게 구비해야 하는 극소형 전자기기들에는 '천지인' 또는 '클러드' 문자 입력 방식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 입력을 위한 키 버튼의 개수가 한정된 극소형 전자 기기에 있어서 상기 극소형 전자기기의 특성에 따라 구비되는 최소한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한 문자 입력 방식을 제공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극소형 전자 기기에서 최소한의 키 버튼을 이용하여 보다 단순하고 간편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극소형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문자 입력 장치의 일측면에 따르면, 입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획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키들을 갖는 키입력부, 키들의 입력 조합에 대응하여 각각 정의된 서로 다른 문자구성요소가 저장된 저장부, 및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응답하여 저장부로부터 그에 대응된 문자구성요소를 검출하고 그 문자구성요소를 이용 하여 문자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들의 입력 조합은, 키들에 대한 단독 입력, 연속 입력, 동시 입력, 및 설정된 최소 시간 이상 입력하는 긴 입력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에는 키들 중 하나의 입력을 '0'으로 하고, 다른 하나의 입력을 '1'로 하여 '0'과 '1'의 조합으로 정의된 문자구성요소가 저장된다.
상기 문자구성요소는 문자를 구성하는 기본획, 기본 자음 및 모음이다.
상기 기본획은, 가로획'ㅡ', 세로획'ㅣ', 사선'/','\', 'ㅇ', 및 '음절구분자'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에는 가로획'ㅡ'이 '0'으로, 세로획'ㅣ' 및 사선'/','\'이 '1'로, 'ㅇ'이 '0'이 연속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0+0'으로, 및 '음절구분자'는 '0'과 상기 '1'이 동시에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0&1'로 정의되어 저장된다.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키들의 입력 조합에 대응하는 특수 문자가 더 저장된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문자 입력 장치는, 제어부에 의해 형성되는 문자를 인식하고, 인식한 문자에 대한 오타 여부를 판단하는 입력문자 인식부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는 인식한 문자 및 오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음향 신호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장부에는 입력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문자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및 입력문자 인식부에 의해 판단된 오타 여부에 대응하여 설정된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더 저장된다. 또한, 상기 저장부에는 문자구성요소의 조합으로 형성된 소정의 문구들로 구성되는 상용문자 데이터가 더 저장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극소형 전자 기기에 적용되는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일측면에 따르면, 입력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획을 입력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키들의 입력 조합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문자구성요소들을 정의하는 단계, 키들 중 적어도 하나의 입력에 응답하여 정의된 문자구성요소들 중 그에 대응하는 문자구성요소를 검출하는 단계, 및 검출한 문자구성요소를 이용하여 문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은, 상기 형성된 문자를 음향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은, 검출한 문자가 오타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검출한 문자가 오타인 경우 검출한 문자의 입력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은, 검출한 문자가 오타인 경우, 검출한 문자의 입력에 오타가 발생함을 알리는 정보를 소정의 문자, 기호, 및 캐릭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법은, 검출한 문자가 오타인 경우, 검출한 문자의 입력에 오타가 발생함을 알리는 정보를 음향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2진수 값이 설정된 2개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자음 및 모음 형태에 따라 가로획 및 세로획의 표기 순서에 따라 문자 입력 코드를 정의하여 직관적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개수의 입력키가 마련되는 극소형 전자 기기에서 보다 용이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2개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유추가 가능하도록 정의된 문자 입력 코드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를 소정의 음절 구분 단위로 음성 출력하고 오타가 발생할 경우 오타 발생을 알리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자와 기존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의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문자 입력에 대한 보다 간편함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최소 입력 키 버튼을 이용하여 쉬운 키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문자 입력 장치는 소형 MP3 플레이어, 유선 또는 무선 전자 기기 제어 리모콘, 손목 착용 휴대폰과 같은 소형 휴대폰, 및 소형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극소형 전자 기기에 장착 또는 연결되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는 2개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한글의 자음 및 모음에 대한 형태 연상을 기반으로 하는 가로획과 세로획을 직관적으로 입력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문자 입력 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2진키입력부(120)는 문자의 자음 및 모음에 대한 가로획 및 세로획 각각에 대해 약속된 2진수 값을 입력할 수 있는 키가 마련되어 있다. 즉, 2진 키입력부(120)는 2진수 값 중 입력 값이 '0'으로 설정된 제1입력키(122), 및 입력 값이 '1'로 설정된 제2입력키(124)를 갖는다. 여기서 제1입력키(122)로부터 입력되는 2진수 값 중 '0'은 가로획을 나타내고, 제2입력키(124)로부터 입력되는 2진수 값 중 '1'은 세로획을 나타낸다.
해당 문자의 자음 또는 모음에 대응하여 제1입력키(122) 및 제2입력키(124)의 조합에 의해 순차적으로 키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저장부(200)의 테이블들(210,230,250)을 참조하여 자음 또는 모음의 문자를 형성하고 형성된 상기 문자를 표시부(130)를 통해 화면에 표시한다.
입력문자 인식부(150)는 제어부(110)에 의해 형성되는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를 인식하고 인식된 문자 정보를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이때 입력문자 인식부(150)는 상기 형성된 문자에 대한 오타 여부를 체크하고 체크된 결과 정보를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제어부(110)는 입력문자 인식부(150)로부터 인식된 문자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한 문자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오디오처리부(1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가 수신한 문자정보가 '가'이면, 오디오처리부(140)는 스피커를 통해 '가'라는 음향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제어부(110)는 입력문자 인식부(150)로부터 오타 체크 결과 정보를 수 신하면, 오타가 발생한 문자에 대해서 오타 발생을 알리기 위한 음향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오디오처리부(14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수신한 오타 체크 결과 정보에 따라 입력된 문자에 오타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면, 오디오처리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사용자가 오타 발생을 인지할 수 있도록 설정된 '삐' 소리와 같은 비프음 또는 '오타 입력입니다'와 같은 안내 음향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저장부(200)는 제1입력키(122) 및 제2입력키(124)로부터 제어부(110)에 입력되는 '0' 또는 '1'의 2진수 값 각각 및 조합에 의해 설정된 테이블들을 저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00)에는 기본획 입력테이블(210), 기본 자음/모음 입력테이블(230), 및 특수문자 입력테이블(250)이 저장되어 있다.
기본획 입력테이블(210)은 획에 따라 순차적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기본획의 구성 요소를 2진수 값 각각 또는 조합으로 나타낸 테이블이다. 기본 자음/모음 입력테이블(230)은 기본획 입력테이블(210)을 기초로한 한글 기본 자음 및 모음에 대한 입력 순서 조합 코드를 설정해놓은 테이블이다. 특수문자 입력테이블(250)은 문자를 입력할 때 기본적으로 필요한 필수문자에 대한 입력 순서에 따른 조합 코드를 설정해놓은 테이블이다.
도 2는 기본획 입력테이블(210)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획 입력테이블(210)에서 기본획(212)의 종류는 가로획'ㅡ', 세로획'ㅣ', 사선'/','\', 'ㅇ', 및 '음절구분자'가 있다.
상기 기본획(212)의 종류에 대응하여 설정된 2진 입력키(214)를 살펴보면, 가로획'ㅡ'은 2진수 값이 '0'인 제1입력키(122)의 입력신호에 대응하고, 세로획'ㅣ', 사선'/','\'은 2진수 값이 '1'인 제2입력키(124)의 입력신호에 대응한다. 또한, 'ㅇ'은 2진수 값이 '0'인 제1입력키(122)가 연속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고, '음절구분자'는 2진수 값이 '0'인 제1입력키(122)와 2진수 값이 '1'인 제2입력키(124)가 동시에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한다. 참고로 도면에서 '+'는 순차적 연속입력을, '&'은 동시 입력을 의미한다.
한글 자음 및 모음 코드를 위한 입력값 순서의 기본은 가로획 'ㅡ' 입력과 세로획 'ㅣ' 입력으로 이루어진다. 기본 한글 자음 14자를 구성하는 획은 가로획과 세로획 외에 특수한 사선획, '/', '\', 2개와 '??'이다. 여기서 사선획은 'ㅅ', 'ㅈ', 및 'ㅊ'에, 'ㅇ'은 'ㅇ'과 'ㅎ'에 국한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실시예예서는 기본획 입력테이블(210)과 같이 다른 자음 및 모음의 코드 매핑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최대한 코드 매핑을 간단화할 수 있도록 사선획 '/', '\'은 세로획 'ㅣ'와 같은 입력값(2진수 '1')으로, 'ㅇ'은 연속 가로획 입력값(2진수 '0'+'0')으로 정의한다.
한편, 모음의 경우는 사선획이나 'ㅇ' 요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가로획'ㅡ' 입력과 세로획'ㅣ' 입력만으로 코드 조성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서 모음 입력은 자음 코드와의 구별을 위해서, 두 개의 입력키(122,124) 중 하나를 누른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입력 회수로 코드를 정의한다. 같은 맥락에서 모음의 기본인 모음 'ㅡ'는 가로획의 긴 입력(2초 내지 4초)으로, 모음 'ㅣ'는 세로획의 긴 입력(2초 내지 4초)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긴 입력이란 입력버튼의 2초 내지 4초 동안 길게 누름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은 긴 입력을 이하에서는 '~' 기호를 입력코드의 후미에 붙여 나타내도록 한다. 즉 'ㅡ'는 '0~'로, 'ㅣ'는 '1~'로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단순하면서 자음과는 명확히 구별되는 모음 코드는 문자 입력 장치에서 자음 및 모음 코드의 파싱(parsing) 알고리즘을 간결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한글은 모아쓰기로 개개의 음절이 완성되지만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모아쓰기를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개개의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서는 기본획 입력테이블(210)과 같이 '음절구분자'를 두 입력 키(122,124)의 짧은 동시입력(0&1)으로 정의한다.
도 3은 도 1의 저장부(200)에 저장된 기본 자음/모음 입력테이블(230)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 자음/모음 입력테이블(230)은 자음 14자로 구성된 초성·종성(232), 및 모음 10자로 구성된 중성(234) 각각에 대한 입력 순서에 따른 조합 코드를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자음 'ㄹ'은 '0+1+0+1+0'의 순차적 입력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0'은 입력 신호가 'ㅡ'로 설정된 제1입력키(122)의 입력을 의미하고, '+'는 연속적 입력을 의미하며, '1'은 입력 신호가 'ㅣ'로 설정된 제2입력키(124)의 입력을 의미한다. 또한 자음 'ㅍ'의 경우 '0+1+1+0'의 순차적 입력으로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모음 'ㅏ'는 '1~&0'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1~'은 제2입력키(124)를 길게 입력하는 것을 의미하고, '&0"은 제2입력키(124)를 길게 입력될 때 제1입력키(122)를 누르는 것을 의미한다. 'ㅗ'는 '0~&1'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제1입력키(122)를 길게 누르고 이때 제2입력키(124)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ㅛ'는 '0~&(1+1+1)'으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0~&'은 '()'안의 '1+1+1'에 대응하는 제2입력키(124)의 연속 입력이 끝날 때까지 지속적으로 제1입력키(122)를 입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0~'은 'ㅡ'로 나타나고, 첫 번째 '1'은 'ㅣ'로 나타나며, 두 번째 '1'은 음절구분자 기능을 하며, 세 번째 '1'은 'ㅣ'로 나타난다.
도 4는 도 3을 이용한 쌍자음, 복자음, 및 복모음의 입력 예를 도시한 입력 응용 테이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응용 테이블(240)은 5개의 쌍자음으로 구성된 초성(242), 2개의 쌍자음과 11개의 복자음으로 구성된 종성(244), 및 11개의 복모음으로 구성된 중성(246)으로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쌍자음 및 복자음에 대한 입력 코드에서 연속 입력을 의미하는 '+'기호를 생략하여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쌍자음 및 복자음의 입력 코드들 간에는 '+'가 삽입되어 있는 것으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ㄲ'은 도 3에서 'ㄱ'을 2회 입력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0101'로 나타낼 수 있다. 'ㄺ'은 도 3에서 'ㄹ'과 'ㄱ'을 연속하여 입력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0101001'로 나타낼 수 있다. 'ㅘ'는 도 3에서 'ㅗ'와 'ㅏ'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0~&1+1~&0'로 나타낼 수 있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는데 있어서 도 2에 나타낸 기 본획 입력테이블(210)을 기초로한 일관성 및 직관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저장부(200)에 저장된 특수문자 입력테이블(250)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수문자 입력테이블(250)은 한글 문자를 입력할 때 자주 사용하게 되는 공백(빈 칸), 음절입력취소, 마침표(.), 쉼표(,) 및 줄바꿈에 대한 기능을 입력키들(122,124)을 이용한 입력 조합 코드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특수문자의 코드화는 본 실시예에서 정의한 자음 및 모음의 코드 입력 방식과 다른 임의의 코드로 정의할 수 있으나, 도면에서는 사용빈도가 높은 몇 개의 특수문자에 대해 입력 용이성을 위해 도 2에 나타낸 음절구분자(0&1)를 응용하여 정의하고 있다.
공백은 2개의 입력키들(122,124)을 동시에 길게 입력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있고, 줄바꿈은 적어도 공백을 위해 입력한 시간 이상을 입력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2개의 입력키들(122,124)을 동시에 길게 연속하여 입력할 경우, 복수의 공백 입력이 된다. 마침표와 쉼표 및 음절입력취소는 사용빈도에 따라 음절구분자의 입력 회수로 정의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식에 따른 개개 음절의 완성은 한글의 모아쓰기 원칙에 준하여 적용된다. 모아쓰기 원칙 하에 입력 순서에 따른 개개의 자음 및 모음 코드 파싱은 긴 코드의 자음 및 모음에 우선순위가 부여된다. 즉 연속된 이진 코드는 최대한 긴 코드들로 매칭되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정의하고 있는 자음 및 모음별로 설정된 코드 외의 입 력 순서에 따라 2진 코드가 입력되면, 제어부(110)는 오디오처리부(140)를 통해 경보 음을 발생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고 정의되지 않은 입력된 2진 코드는 무시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다음 음절의 자음 및 모음 입력을 위해 '음절구분자'에 대응하는 코드를 입력하여 명시적으로 다음 음절의 입력으로 넘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문자 입력 방식에서 제어부(110)는 문자 입력의 정확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음절구분자'가 입력되면, 완성된 음절을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오디오처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입력한 문자가 정확하게 입력 되었는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문자 입력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200)에 오디오 데이터(270) 및 상용문자 데이터(290)를 추가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디오 데이터(270)는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정보, 입력 오류를 안내하기 위한 음성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정보들은 오디오처리부(140)에 의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된다.
상용문자 데이터(290)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문구 또는 문장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주 사용하는 문구 또는 문장을 입력키들(122,124)을 이용하여 매번 입력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해당 문구 또는 문장을 검출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라 설정된 문자 입력 테이블들의 자음 및 모음 입 력 코드를 기초로 하는 문자 입력 예를 설명한다. 편의상 연속입력은 '+'로, 음절 구별을 위한 음절구분자(0&1)는 '^'로 표시한다.
삼: ㅅㅏㅁ: 1+1+1~&0+1+0+1+0
성: ㅅㅓㅇ : 1+1+1~&(0+0)+0+0
전: ㅈㅓㄴ : 0+1+1~&(0+0)+1+0
자: ㅈㅏ : 0+1+1~&0
삼성전자 : 1+1+1~&0+1+0+1+0 ^ 1+1+1~&(0+0)+0+0 ^ 0+1+1~&(0+0)+1+0 ^ 0+1+1~&0
즉 '삼성전자'는 '1+1+1~&0+1+0+1+0 ^ 1+1+1~&(0+0)+0+0 ^ 0+1+1~&(0+0)+1+0 ^ 0+1+1~&0' 코드를 통해 입력키들(122,124)의 입력 조합에 의해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 2진수 값이 설정된 2개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자음 및 모음 형태에 따라 가로획 및 세로획의 표기 순서에 따라 문자 입력 코드를 정의하여 직관적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개수의 입력키가 마련되는 극소형 전자 기기에서 보다 용이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2개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유추가 가능하도록 정의된 문자 입력 코드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를 소정의 음절 구분 단위로 음성 출력하고 오타가 발생할 경우 오타 발생을 알리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자와 기존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의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문자 입력에 대한 보다 간편함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도이다.
먼저, 제어부(110)는 2진 키 입력부(120)에 마련된 제1 및 제2 입력키(122,124)로부터 설정된 2진수 값이 입력되면, 입력되는 2진수 값의 입력 조합에 대응하여 설정된 문자 입력 코드를, 저장부(200)에 마련된 테이블들(210,230,250)을 참조하여 검출한다(S110).
테이블들(210,230,250)을 참조하여 설정된 문자 입력 코드를 검출하면, 제어부(110)는 테이블들(210,230,250)을 참조하여 검출한 문자 입력 코드에 대응하여 정의된 자음, 모음, 및 특수 문자 등과 같은 문자를 검출한다(S120). 제어부(110)는 검출한 문자를 한글 모아 쓰기 원칙에 따라 입력 및 검출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표시부(130)를 통해 표시한다(S130).
이때 입력문자 인식부(150)는 제어부(110)에서 검출한 문자가 어떤 글자 또는 특수 기호 등을 나타내는 지를 인식(식별)하고 문자 인식 결과 정보를 제어부(110)로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110)는 테이블들(210,230,250)을 참조하여 문자 인식 결과 정보에 따른 문자가, 상기 테이블들(210,230,250)들에 정의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테이블들(210,230,250)에 정의된 코드들로부터 응용할 수 없는 오타인지를 판별한다(S150).
만약, 검출한 문자가 오타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오타 문자의 입력을 무시하고 입력된 2진수 값에 대응하여 검출한 문자가 오타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부(130) 또는 오디오처리부(140)를 통해 출력한다. 이때 표시부를 통해 출력되는 오타 정보는 오타 안내 문자나 약속된 기호 또는 캐릭터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40)를 통해 출력되는 오타 정보는 비프음 또는 오타 안내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S150 단계에서 검출한 문자가 오타 문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검출 및 표시된 문자를 음절 단위로 음성 출력한다(S180). 이를 통해 사용자는 표시부(130)에 의해 표시되는 입력된 문자를 확인하지 않고도 자신이 원하는 문자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2진수 값이 설정된 2개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자음 및 모음 형태에 따라 가로획 및 세로획의 표기 순서에 따라 문자 입력 코드를 정의하여 직관적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한정된 개수의 입력키가 마련되는 극소형 전자 기기에서 보다 용이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2개의 입력키를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유추가 가능하도록 정의된 문자 입력 코드에 따라 입력되는 문자를 소정의 음절 구분 단위로 음성 출력하고 오타가 발생할 경우 오타 발생을 알리는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자와 기존의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문자 입력의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들에게 문자 입 력에 대한 보다 간편함과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문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를 생성하기 위해 가로획과 세로획으로 정의된 2진수 키값을 순차적으로 입력받는 키입력부;
    상기 2진수 키값 각각 또는 조합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정의된 문자구성요소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2진수 키값에 대응하는 문자구성요소를 상기 저장부로부터 검출하여 검출된 순서에 따라 문자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들의 입력 조합은, 상기 키들에 대한 단독 입력, 연속 입력, 동시 입력, 및 설정된 최소 시간 이상 입력하는 긴 입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키들 중 하나의 입력을 '0'으로 하고, 다른 하나의 입 력을 '1'로 하여 상기 '0'과 '1'의 조합으로 정의된 문자구성요소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구성요소는 상기 문자를 구성하는 기본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획은, 가로획'ㅡ', 세로획'ㅣ', 사선'/','\', 'ㅇ', 및 '음절구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가로획'ㅡ'가 '0'으로, 상기 세로획'ㅣ' 및 사선'/','\'이 '1'로, 상기 'ㅇ'이 상기 '0'이 연속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0+0'으로, 및 상기 '음절구분자'는 상기 '0'과 상기 '1'이 동시에 입력되는 것을 나타내는 '0&1'로 정의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구성요소는 상기 문자를 구성하는 기본 자음 및 모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키들의 입력 조합에 대응하는 특수 문자가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해 형성되는 문자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문자에 대한 오타 여부를 판단하는 입력문자 인식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한 문자 및 상기 오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음향 신호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입력문자 인식부에 의해 인식된 문자에 대응하는 음향 신호 및 상기 입력문자 인식부에 의해 판단된 오타 여부에 대응하여 설정된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오디오 데이터가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상기 문자구성요소의 조합으로 형성된 소정의 문구들로 구성되는 상용문자 데이터가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장치.
  12. 문자 입력 장치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가로획과 세로획으로 정의되는 2진수 키값 각각 또는 조합에 따른 서로 다른 문자구성요소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키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2진수 키값에 대응하는 문자구성요소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된 문자구성요소를 검출된 순서에 따라 조합하여 문자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문자를 음향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문자구성요소가 오타인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한 문자구성요소가 오타인 경우 상기 검출한 문자구성요소의 입력을 무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문자구성요소가 오타인 경우, 상기 검출한 문자구성요소의 입력에 오타가 발생함을 알리는 정보를 소정의 문자, 기호, 및 캐릭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한 문자구성요소가 오타인 경우, 상기 검출한 문자구성요소의 입력에 오타가 발생함을 알리는 정보를 음향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 입력 방법.
KR1020040069675A 2004-09-01 2004-09-01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36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675A KR100636316B1 (ko) 2004-09-01 2004-09-01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675A KR100636316B1 (ko) 2004-09-01 2004-09-01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946A KR20060020946A (ko) 2006-03-07
KR100636316B1 true KR100636316B1 (ko) 2006-10-18

Family

ID=3712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675A KR100636316B1 (ko) 2004-09-01 2004-09-01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3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41B1 (ko) * 2006-12-29 2007-05-31 주식회사 네오패드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1632534B1 (ko) * 2015-04-06 2016-06-21 주식회사 카카오 오타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사용자 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946A (ko)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581B1 (ko)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720335B1 (ko) 접촉 위치 이동에 따라 생성되는 상대좌표값에 대응하는텍스트를 입력하는 텍스트 입력 장치 및 그 방법
CN101620480A (zh) 触摸屏上实现手写笔画输入的方法
AU2004220994B2 (en) Character arrangements, input methods and input device
WO2003067417A1 (en) Input device, mobile telephone, and mobile information device
WO2003003181A2 (en) Data input device
EP2079005A2 (en) Electronic device, character input module and method for selecting characters thereof
US20080055117A1 (en) Character entry apparatus and method using numeric key
US6799914B2 (en) Arabic-persian alphabeth input apparatus
KR100599210B1 (ko) 데이타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방법
KR100579814B1 (ko) 이동 단말기용 문자 입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0636316B1 (ko)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EP2432198A2 (en) Alphabet input method and apparatus
JP6710893B2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10039239A (ko) 전화기의 한글 입력용 자판 시스템
KR200301208Y1 (ko)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KR20040034205A (ko) 센서를 이용한 휴대형 단말기의 문자입력 장치
WO2005112407A9 (en) Keypad having ⊂-shaped button arrangement and method of inputting letters using the same
KR101271352B1 (ko) 5버튼 키보드
KR100918624B1 (ko) 문자 입력장치
KR100764113B1 (ko) 문자입력장치
KR100428691B1 (ko) 한글 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387033B1 (ko) 특수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전화기의 문자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KR101407151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단말기 및 그제어방법
KR100691815B1 (ko) 모션 센서를 이용한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