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4141B1 -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4141B1
KR100724141B1 KR1020060137560A KR20060137560A KR100724141B1 KR 100724141 B1 KR100724141 B1 KR 100724141B1 KR 1020060137560 A KR1020060137560 A KR 1020060137560A KR 20060137560 A KR20060137560 A KR 20060137560A KR 100724141 B1 KR100724141 B1 KR 100724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ul
word
character
inpu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7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489A (ko
Inventor
정희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패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패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패드
Priority to KR1020060137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4141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4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4141B1/ko
Priority to US11/966,207 priority patent/US2008015802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Abstract

본 발명은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자모가 할당된 멀티키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을 갖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 별도의 기능키 사용 없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글 표출 장치는 소정의 입력수단을 갖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자모들 중 자음의 성(초성 및 종성)을 구분하고, 입력되는 상기 자모들을 조합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문자계열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한글합성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문자계열들이 정의되어 있고, 정의된 문자계열들 각각에 대해 문법정보를 부가하고 있는 한글단어정보사전; 상기 한글합성기를 통해 생성된 문자계열과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에 정의된 문자계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자제어부;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된 문자계열의 문법정보와 상기 출력된 문자계열에 대해 후행 입력되는 문자계열의 문법정보간 상호 결합 가능 여부에 대한 접속정보를 갖는 연결접속정보테이블을 포함한다.
한글입력, 문자입력, 키패드, 전자사전, 한글합성, 휴대폰

Description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Hangul output and method thereof}
도 1a는 종래기술 한국등록특허 제159191호의 단말기 키패드 한글 배열,
도 1b는 종래기술 한국등록특허 제291838호의 단말기 키패드 한글 배열,
도 1c는 종래기술 한국공개특허 제2004-61800호의 단말기 키패드 한글 배열,
도 1d는 종래기술 한국등록특허 제421545호의 단말기 키패드 한글 배열,
도 1e는 모토롤라 휴대폰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말기 키패드 한글 배열,
도 1f는 종래기술 한국등록특허 제377432호의 단말기 키패드 한글 배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TRIE구조의 일실시예,
도 4a는 유니코드상의 한글자모코드를 이용한 한글단어정보사전의 TRIE구조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 4b는 한국특허공보 제1995-543호의 한글코드 체계를 이용한 한글단어정보사전의 TRIE구조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모코드 변환 방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법정보를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계열을 문법정보에 대응시킨 일실시예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접속정보테이블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가능정보테이블을 나타내는 일실시예,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가능정보테이블을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입력수단 210: 한글합성기
220: 문자제어부 230: 출력수단
240: 유저정의사전 250: 한글단어정보사전
260: 연결접속정보테이블 270: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
280: 한글단어사전 290: 한글입력보조사전
본 발명은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복수의 자모가 할당된 멀티키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을 갖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 별도의 기능키 사용 없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한국등록특허 제159191호에 관한 것으로 삼성전자 휴대폰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글 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한글 배열이다.
10개의 키 위에 한글 모음 입력을 위한 자모 'ㅣ', 'ㆍ', 'ㅡ' 이 숫자키 1, 2, 3에 각각 할당되어 있고, 한글 자음은 숫자키 4, 5, 6, 7, 8, 9, 0에 각각 복수로 할당되어 있다. 이 방식의 단점은 자음 부분으로, 한 키에 문자가 중첩되어 대응되어 있으므로 한 키의 입력을 연속하여 입력하면 중첩된 문자 중 어느 것을 입력하는 것인지 그 경계가 애매해진다.
예를 들면, 숫자키 5에 대응된 'ㄴ'과 'ㄹ'을 이용하여 '연락'이라는 단어를 입력할 경우, 'ㅇ', 'ㅕ', 'ㄴ'(숫자키 5번), 'ㄹ'(숫자키 5번 2회), 'ㅏ', 'ㄱ'을 입력시키는 도중, 5번 키를 한 번 누르면 'ㄴ', 두 번 누르면 'ㄹ', 3번 누르면 다시 'ㄴ'이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이 방식에서 '연'의 'ㄴ'과 '락'의 'ㄹ'의 경계 를 지정하려면 시간 간격을 두고 'ㄴ'과 'ㄹ'을 입력하거나 그 사이에 다른 기능키를 사용토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자음 부분의 키, 즉 4, 5, 6, 7, 8, 9, 0의 숫자키 모두에서 일어나며 한글 단어에 따라 한 키에 할당된 문자를 연속 입력할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위와 같은 음절 경계의 문자들을 항상 의식해야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줄뿐 아니라, 원하지 않는 글이 입력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도 1b는 한국등록특허 제291838호에 관한 것으로 LG전자 휴대폰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글 입력을 위한 키패드 한글 배열이다.
이 방식은 하나의 키에 복수의 모음을 대응시키고, 자음 부분은 하나의 키에 하나의 자음을 대응시키고 있다.
이 방식은 자음 부분에서 'ㄱ', 'ㄴ', 'ㅁ', 'ㅅ', 'ㅇ'의 키들과 두 개의 기능키('*', '#')를 사용한다. 즉, 단수로 할당되어 있는 'ㄱ', 'ㄴ', 'ㅁ', 'ㅅ', 'ㅇ'과 나머지 자음은 이들과 형태 조합을 유추하여 기능키를 통한 입력과 문자키를 통한 입력을 조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ㄱ/ㅋ/ㄲ', 'ㄴ/ㄷ/ㅌ/ㄸ', 'ㅁ/ㅂ/ㅍ/ㅃ', 'ㅅ/ㅈ/ㅊ/ㅆ/ㅉ', 'ㅇ/ㅎ'과 같이 복수 문자를 할당한 후, 중첩된 문자입력을 위해 다른 기능키를 이용하면서 같은 키를 누름으로써 발생하는 문자 경계의 불확정성을 해결하기 위한 방식이다.
이 방식의 경우, 문자 경계의 불확정성은 해소할 수 있으나, 시각적으로 인지되지 않는 나머지 자음에 대한 입력에 대한 인지 및 학습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기능키와의 운지거리가 길어 그에 따른 입력의 스트레스가 따른다는 단점이 있다.
도 1c는 한국공개특허 제2004-61800호에 관한 것으로 팬택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글 입력을 위한 키패드 한글 배열이다.
이 방식은 숫자키 1, 2, 3, 5, 8에 복수의 한글 자음을 할당하여 한글의 입력에 사용하므로 상기의 방식들과 같이 이들 키를 통한 입력의 불확정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d는 한국등록특허 제421545호에 관한 것으로 스카이텔레텍 계열 휴대폰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글 입력을 위한 키패드 한글 배열이다.
이 방식은 숫자키 1, 4, 5, 7, 8, 0, 그리고 기능키(*)에 복수의 자음을 할당하였고, 2, 3, 6, 9, 기능키(#)에 복수의 모음을 할당하여 사용하므로 역시 상기에서 제기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입력 방식이다.
도 1e는 모토롤라 휴대폰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글 입력을 위한 키패드의 한글 배열이다.
자음 'ㄹ'과 'ㅅ'을 제외한 자음 및 모음의 복수 문자가 한 키 위에 할당되어 있다. 이에 이 방식 또한 상기에서 제기한 문제점이 존재하는 방식이다.
도 1f는 한국등록특허 제377432호에 관한 한글 입력용 키패드 한글 배열이다.
이 방식은 하나의 키에 단수의 자모를 할당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경자음 및 격자음을 가진 'ㄱ', 'ㄷ', 'ㅂ', 'ㅅ', 'ㅇ', 'ㅈ' 키에 각각 해당하는 경자음 및 격자음을 복수 할당하여 중첩된 문자들을 2스트럭 입력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키를 따로 두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또한 기능키의 사용 없이는 한글을 올 바로 입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컴퓨터에서의 한글 입력은 키보드상의 한글 문자 배치 중, 'ㅂ(ㅃ)', 'ㅈ(ㅉ)', 'ㄷ(ㄸ)', 'ㄱ(ㄲ)', 'ㅅ(ㅆ)', 'ㅐ(ㅒ)', 'ㅔ(ㅖ)' 등이 한 키 위에 복수 문자로 할당되어 있으며, 이들 중 ()안의 문자는 쉬프트(shift) 키라는 기능키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한글 입력 시 이들 문자들이 출현할 경우, 쉬프트 키를 눌러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자모가 하나의 입력키에 대응되는 멀티키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을 통해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시간차 입력이나 기능키를 사용한 입력 없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자모가 하나의 입력키에 대응되는 멀티키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을 통해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멀티키의 연속 입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자모간 경계의 불확정성을 자동으로 해소할 수 있는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소정의 입력수단을 갖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자모들 중 자음의 성(초성 및 종성)을 구분하고, 입력되는 상기 자모들을 조합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문자계열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한글합성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문자계열들이 정의되어 있고, 정의된 문자계열들 각각에 대해 문법정보를 부가하고 있는 한글단어정보사전; 상기 한글합성기를 통해 생성된 문자계열과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에 정의된 문자계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자제어부;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된 문자계열의 문법정보와 상기 출력된 문자계열에 대해 후행 입력되는 문자계열의 문법정보간 상호 결합 가능 여부에 대한 접속정보를 갖는 연결접속정보테이블을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정의 입력수단을 갖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자모들을 조합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문자계열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한글합성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고, 정의된 상기 단어들 각각에 대해 각 단어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는 단어의 리스트를 부가하고 있는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 상기 한글합성기를 통해 생성된 문자계열과 상기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에 정의된 단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자제어부; 및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의 입력수단을 갖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자모들을 조합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문자계열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한글합성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져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는 한글단어사전; 상기 한글합성기를 통해 생성된 문자계열과 상기 한글단어사전에 정의된 단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자제어부; 및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자음이 할당된 멀티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력수단을 갖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자모들을 조합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문자계열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한글합성기; 상기 멀티키를 통한 입력으로 생성될 수 있는 문자계열 중 문자계열 경계의 불확정성을 가지는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는 한글입력보조사전; 상기 한글합성기를 통해 생성된 문자계열 중 상기 멀티키를 통한 입력으로 생성되는 복수 개의 문자계열과 상기 한글입력보조사전에 정의된 단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자제어부; 및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문자계열들이 정의되어 있고, 정의된 문자계열들 각각에 대해 문법정보를 부가하고 있는 한글 단어정보사전을 포함하는 정보기기에 소정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모를 합성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이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에 정의된 문자계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에 정의된 문자계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과 일치하는 문자계열들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한글 표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고, 정의된 단어들 각각에 대해 각 단어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는 단어의 리스트를 부가하고 있는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을 포함하는 정보기기에 소정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모를 합성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이 상기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에 정의된 문자계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에 정의된 단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과 일치하는 문자계열들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한글 표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져 문법적 기능 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는 한글단어사전을 포함하는 정보기기에 소정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모를 합성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이 상기 한글단어사전에 정의된 단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한글단어사전에 정의된 단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과 일치하는 문자계열들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한글 표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자음이 할당된 멀티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멀티키를 통한 입력으로 생성될 수 있는 문자계열 중 단어 경계의 불확정성을 갖는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는 한글입력보조사전을 포함하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모를 합성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 중 상기 멀티키를 통한 입력으로 생성되는 복수 개의 문자계열이 상기 한글입력보조사전에 정의된 단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한글입력보조사전에 정의된 단어와 일치하는 문자계열들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한글 표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문자계열들 이 정의되어 있고, 정의된 문자계열들 각각에 대해 문법정보를 부가하고 있는 한글단어정보사전을 포함하는 정보기기에 소정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모를 합성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문자계열의 한글코드가 완성형/조합형인지 판별하는 단계; 완성형/조합형 한글코드로 판별된 문자계열의 한글코드를 한글자모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상기 문자계열이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에 정의된 문자계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일치하는 문자계열의 한글자모코드를 완성형/조합형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문자계열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글 표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한글 표출 장치는 한글합성기(210), 한글단어정보사전(250), 문자제어부(220), 출력수단(230) 및 연결접속정보테이블(260)을 포함한다.
소정의 입력수단(200)을 갖는 정보기기에 한들을 입력함에 있어서, 한글합성기(210)는 정보기기에 입력되는 자모들을 조합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문자계열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한다.
즉, 한글합성기(210)는 단수의 자모가 할당된 싱글키 또는 복수의 자모가 할당된 멀티키를 통해 멀티탭(복수번 키 누름) 또는 싱글탭(단수번 키 누름)으로 입력되는 자모들을 입력 문자계열로 받아들여 한글문자, 즉 음절에 해당하는 문자계열을 포함한 한글을 생성한다.
이때, 한글합성기(210)는 멀티키를 통한 입력으로 문자계열을 단수 또는 복수 개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자모의 입력으로 문자계열이 생성될 때, 입력되는 자음이 초성인지, 종성인지 구분하기 위한 성정보가 필요하며, 상기 성정보와 함께 단수 또는 복수 개의 문자계열을 생성한다. 이어, 한글합성기(210)는 생성된 문자계열들을 하기에 소개되는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서 검색한 문자계열과 비교하기 위한 문자제어부(220)의 입력으로 제공한다. 여기서, 한글합성기(210)를 통해 생성된 문자계열들은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 정의되어 있는 문자계열들을 검색하기 위한 검색키로 활용된다.
예를 들면, 'ㅂ'키와 함께 'ㅍ' 및 'ㅃ'을 하나의 키에 복수 할당했을 경우, 'ㅂ' 키를 한 번 누르면 'ㅂ', 두 번 누르면 'ㅍ', 세 번 누르면 'ㅃ'이 생성되어 입력된다.
멀티키의 밀티탭 입력으로 생성되는 문자계열이 음절의 첫 초성에 사용될 경우에는 멀티탭 입력이 무슨 문자인지 구별이 가능하다. 그러나, 문자계열의 가운데에 사용될 경우에는 선행 문자의 종성(받침)이냐, 후행 문자의 초성이냐에 대한 정보 검출이 자동적으로 행해지는 처리과정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한글의 문자 구조, 단어 구조에 언어적 종속적인 문제를 본 발명의 한글합성기(210)에서 해결하고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한글합성기(210)에 'ㅇ, ㅏ, ㅂ, ㅂ, ㅂ'과 같은 한글 자모를 입력했을 경우, 한글합성기(210)는 '아ㅃ', '앞ㅂ' 및 '압ㅍ'의 세 가지로 복수 문자계열을 생성한다. 이는 'ㅂ'이 'ㅂ/ㅍ/ㅃ'의 키 할당을 가질 경우, 'ㅂ'을 3번 누르면 상기와 같이 자모가 조합되도록 하는 한글합성규칙을 한글합성기(210)가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문자계열들이 정의되어 있으며, 정의된 문자계열들 각각에 대해 품사정보, 문자계열의 활용형에 대한 정보 및 사용빈도정보 등을 포함하는 문법정보를 부가하고 있다.
한글단어정보사전(250)은 일종의 전자사전에 속한다. 상기 전자사전은 일반적인 언어사전을 컴퓨터로 처리하는 사전을 말하며, 그것의 컴퓨터 구현 방식에 따라 해쉬테이블 방식, B-TREE방식, TRIE 방식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한글단어정보사전(250)은 TRIE방식에 의해 구성된다.
TRIE구조란, 키의 공통접두사를 하나로 압축한 트리구조로서, 검색은 TRIE의 가지에 주어지는 음절 단위로 하여 임의의 입력 문자계열에 대해 키의 최장 일치 검색 또는 접두사만이 일치하는 검색에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면, 한글의 경우 키 집합 {바보#, 바깥#, 바퀴#, 바퀴벌레#, 바꾸다#, 바뀌다#}에 대한 대표적 TRIE구조를 나타내면 도 3과 같다.
도 3에 있어서, 키 '바퀴#'의 검색은 초기 노드①에서 천이문자 '바'에 따라 노드②로 천이가 정의되어 있으므로 이것을 수식으로 표현하면 G(1, '바')=2 가 된다. 이어서 G(2, '퀴')=5 와 같이 천이를 거치면 검색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어느 노드에서 어느 노드로 천이를 일으키는 문자를 천이문자라 정의하며, 천이문자의 컴퓨터 내부 표현은 모두 한글코드로 이루어진다. 한글코드의 국제표준에는 조합형, 완성형, 자모형이 모두 정의되어 있는 유니코드 체계가 있다. 이 중, 현재 모든 한글정보처리용 코드로서 쓰이고 있는 것은 조합형과 완성형이 주류이며, 이들은 모두 문자 단위로서 한글 한 문자를 2바이트로 표현하고 있고 한글의 입출력, 검색엔진, 전자사전 등 모든 한글정보처리에서 이 코드체계를 표준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한글단어정보사전(250)은 TRIE구조의 각 노드 사이에서 천이문자의 단위를 음절로 하지 않고, 자모로 하는 한글코드를 채용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TRIE구조를 가진 한글단어정보사전(250)을 조합형 또는 완성형 한글코드 기반으로 할 경우, TRIE의 각 노드 간의 천이단위는 자모가 아닌 음절이 된다. 이때, 한글합성기(210)를 통해 생성되는 문자계열은 음절과 자모가 섞인 문자계열이므로 조합형 또는 완성형 한글코드 기반으로 한글단어정보사전(250)을 검색할 경우, 한글단어정보사전(250)의 음절 단위를 때에 따라 자모 단위로 변환하여 검색을 행해야 하므로 검색 시마다 음절 단위를 자모 단위로 변환하는 처리를 되풀이해야 하는 번거로움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전체 검색 처리 효율이 떨어짐은 자명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본 발명의 한글단어정보사전(250)은 음절 단위가 아닌 자모 단위의 한글코드를 이용하여 TRIE의 노드 천이 단위를 설계한다.
일예로, 자모를 단위로 하는 한글코드에는 유니코드(UNICODE)상의 한글자모코드와 한국특허공보 제1995-543호의 한글코드 체계가 있다.
도 4a는 유니코드상의 한글자모코드를 이용한 한글단어정보사전의 TRIE구조를 나타내는 일실시예이고, 도 4b는 한국특허공보 제1995-543호의 한글코드 체계를 이용한 한글단어정보사전의 TRIE구조를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여기서, 천이문자의 코드가 도 4a의 경우에는 한글을 초성/중성, 또는 초성/중성/종성으로 분류하여 나타낸 코드이며, 도 4b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한글 문자를 모두 6종류의 형태로 분류하여 코드화한 것이다.
(1) 제1형 (자음 + 수직모음 : 가, 예 등)
(2) 제2형 (자음 + 수평모음 : 고, 구 등)
(3) 제3형 (자음 + 수직수평 2중모음 : 의, 와 등)
(4) 제4형 (자음 + 수직모음 + 자음 : 각, 적 등)
(5) 제5형 (자음 + 수평모음 + 자음 : 곡, 욱 등)
(6) 제6형 (자음 + 수직수평2중모음 + 자음 :
Figure 112006098070262-pat00001
, 괄 등)
도 4b와 같은 코드는 유니코드상의 한글자모코드를 형태별로 더욱 확장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한글 한 자모당 1바이트로, TRIE구조에서의 각 노드간 천이문자 코드값이 이들 코드에 해당하는 코드의 값이 된다.
한편, 이들 코드체계를 조합형 혹은 완성형 대신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즉, 이들 코드체계는 사전의 단어 검색에 한 문자를 구성하는 자모 요소의 정보를 담고 있어 자모 단위의 검색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조합형 혹은 완성형의 키 요소 수가 2,500에서 11,700여 개인 반면, 이들 코드체계의 키 요소 수는 초성에 올 수 있는 자음 수, 즉 15개의 키 요소 수로 단어의 접두 부분을 축약할 수 있어 검색키 요소 수가 훨씬 적어 검색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전 수정이 자모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어 사전의 수정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음성 인식 시스템에서의 융합성도 고려할 수 있어 차세대 유저인터페이스에서의 활용성도 높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한글 입출력의 표준형에서는 조합형 또는 완성형 코드만을 지원하기 때문에 현재의 표준코드만을 사용하는 한글에디터를 사용하여 한글단어정보사전을 구현할 경우, 상기에서 열거한 이점들을 훼손할 수 있다. 즉, 한글 입출력에서 조합형 또는 표준형 코드를 채용하는 현재의 컴퓨터 시스템에서는 다른 코드변환시스템이 필요해진다.
한글합성기(210)를 통해 생성되는 문자계열이 한글 완성형 또는 조합형 코드인지, 자모형 코드인지에 따라 한글단어정보사전(250)의 검색 과정이 달라진다. 즉, 완성형 또는 조합형 코드인 경우, 한글단어정보사전(250)의 코드가 자모형이라면 한글합성기(210)를 통해 생성되는 문자계열의 코드를 자모형으로 변환한 후, 사전의 검색이 이루어지고, 한글합성기(210)를 통해 생성되는 문자계열의 코드가 자모형이라면 다른 코드변환 과정 없이 바로 단어검색 과정이 이루어진다.
현재 대부분의 컴퓨터 한글 입출력은 이미 설명한 대로 완성형/조합형 코드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기존 정보기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완성형/조합형 코드를 자모형 코드로 변환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자모코드 변환 방법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즉, 도 5는 현행 한글 입출력의 표준코드형에 의한 한글 생성을 한글자모코드로 변환하여 단어 검색에 이르는 과정을 나타낸다.
한글합성기(210)를 통해 문자계열이 생성되면, 생성된 문자계열은 문자제어부(220)로 전달되고, 문자제어부(220)는 전달받은 문자계열의 한글코드가 완성형/조합형인지 판별한 다음, 완성형/조합형일 경우 코드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당 한글자모코드를 생성한다(S310). 여기서, 완성형/조합형을 자모형 코드로 변환할 때 각 완성형/조합형 코드를 자모형 코드에 대응시켜 놓은 코드변환 테이블을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문자제어부(220)는 생성된 한글자모코드를 이용하여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서 일치하는 문자계열을 검색하고(S320), 사전에서 문자계열이 검색되면 이를 다시 코드변환 테이블을 활용한 코드변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완성형/조합형 코드로 변환한(S330) 후 출력수단으로 전달하여 출력되도록 한다(S340).
한글자모코드 변환 과정은 상기와 같이 한글합성기(210)로부터 문자계열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문자계열을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 정의된 문자계열과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자제어부(220)에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 정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문자계열들은 문법정보를 포함한다.
문법정보는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 정의된 문자계열 즉, 단어의 품사 정보, 용언의 활용형 정보 등으로 각 단어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실제 사전에 등록되는 포맷이며,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이루어져 각 단어의 경계와 함께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 등록된다.
(한국 (명사(1/N)))
이들 정보는 정보기기에 입력되는 한글 단어가 문법적으로 어떤 품사인가 즉, 명사, 대명사, 전치사, 동사활용어미 등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들 정보는 선행 단어와 연속해서 입력되는 후행 단어 상호간의 경계와 단어로 인식되는 입력들의 전후 관계에서 어떤 연결이 가능한가를 나타내는 데에 쓰이는 단어간의 상호 연결 접속정보를 제공한다.
이들 정보는 띄어쓰기를 입력하지 않아도 띄어쓰기를 포함한 올바른 단어의 문장이 출력되도록 하는 소위 지능형 한글 입출력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법정보를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며, 도 6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계열을 문법정보에 대응시킨 일실시예이다. 가령 정보기기에 입력된 단어가 명사라면 그 명사의 카테고리를 다시 일반명사, 지명, 성씨, 이름 등으로 분류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동사, 형용사 등은 활용 형태의 문법정보를 가지므로 용언의 어간 등으로 문법정보를 분류하면 된다. 나머지 품사분류기준도 일반 국문법 정도의 지식체계로서 정리할 수 있다.
도 4a의 TRIE구조 단어 뒷부분의 'N' 또는 'V'가 문법정보를 기호로서 부가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며, 용도의 확장에 따라 문법정보 이외로 사용빈도 등 각 단어에 대한 정량적 정보도 함께 부가하여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어의 문법정보 즉, 품사와 같은 것은 한글로 표시되나 이것을 수치 또는 기호로 바꾸어 나타낼 수도 있다. 즉, 명사는 1(N), 대명사 2(PN), 형용사 어간은 3(AD), 동사의 어간은 4(V), 조사는 5(PP) 등 수치 또는 기호 표현이 가능하다. 이렇게 문법정보를 수치 또는 기호로 바꾸어 구현하게 되면 메모리 절약이 될 뿐 아니라 후술하는 단어간 상호 연결접속정보도 수치로 간결 표현이 되어 용이한 검색이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접속정보테이블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이다.
정보기기에 연속해서 한글이 입력될 때, 선행 입력된 문자계열이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서 검색되면 하나의 단어로서 인식되어 그 단어는 올바른 입력으로 정보기기의 표시부에 출력될 뿐 아니라, 그 단어가 가지는 문법정보를 임시저장소 에 저장한다.
다음, 상기 선행 입력된 문자계열에 이어 입력되는 후행 문자계열의 검색이 이루어진다. 입력은 연속적이므로 한 단어의 입출력이 완성되고 다음 단어의 입출력이 완성되면 한글 표출 장치는 이들 두 단어가 상호 연결접속 가능한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두 단어의 상호 연결접속 가능 여부는 도 7의 일실시예와 같은 연결접속정보테이블(260)을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명사는 또 다른 명사와 연결 접속이 가능하고, 동사 및 형용사의 어간과 연결 접속이 가능하다는 정보를 한글 표출 장치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연결접속정보테이블(260)을 통해 알 수 있다.
일예로, 한글 표출 장치를 통해 정보기기에 "이리로빨리오세요"와 같이 띄어쓰기 없는 문장이 입력되었다면, 상기 문장의 각 단어에 해당하는 단어와 문법정보를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서 검색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리로 빨리 오세요"와 같이 바르게 띄어쓰기 한 문장으로 인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의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이리"가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서 문법정보가 '대명사'인 단어로서 검색되고, 이어서 '로'는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서 후치사(조사)로 검색된다. 이때, 두 단어의 상호 연결접속 관계는 '대명사' 다음에 조사의 연결이 가능하므로 올바른 입출력이 된다.
같은 방법으로, '빨리'는 '부사'로 검색되어 출력되며, 다음으로 '오'는 동사 '오다'의 어간으로, '세요'는 동사에 연결될 수 있는 '어미'로서 검색되어 출력된다.
즉, 연결접속정보테이블(260)을 이용하여 연결접속 가능한 단어간에는 연결되어 출력되고, 그렇지 않은 단어간에는 띄어쓰기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띄어쓰지 않아도 올바른 문장의 입출력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일상적으로 띄어쓰기를 하지 않은 휴대폰 사용시 올바른 문장을 송수신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하나의 키에 복수 개의 자모를 할당한 입력수단(200)을 갖는 한글 표출 장치를 이용하여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한글 표출 장치에 한글 입력모드가 지정되어 사용자에 의해 정보기기의 입력수단(200)을 통해 한글 자모가 연속적으로 한글합성기(210)로 입력(S400)되면 한글합성규칙에 따라 한글 문자계열을 생성(S405)한다.
여기서 생성되는 문자계열은 단수 또는 복수 개로 생성되며 이들 문자계열들은 문자제어부(220)에 입력된다(S410).
문자제어부(220)는 한글단어정보사전(25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되어 있는 단어들을 검색하여(S415), 상기 입력받은 문자계열들과 일치하는 단어가 있는지 비교 판별한다(S420).
비교 검색 결과, 단수 또는 복수 개의 문자계열이 한글단어정보사전(25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된 단어와 일치하면, 일치하는 문자계열을 출력수단(230)으로 전달한다.
출력수단(230)은 소정의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정보기기의 표시부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한다(S425). 여기서, 임시저장소는 출력수단(230) 내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나 여기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어 한글 표출 장치는 입력 문자계열이 단어 정의의 끝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입력되는 문자계열을 받아들여 상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430).
문자제어부(220)에서 전자사전 검색 및 비교 과정을 통해 입력 문자계열이 전자사전인 한글단어정보사전(25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된 단어와 완전히 매치되면, 매치된 문자계열이 출력될 문자계열로 결정되어 한글 표출 장치에 구비된 임시저장소에 저장된다. 이때 출력결정된 단어는 한글단어정보사전(25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되어 있는 단어로서 단어에 부가되어 있는 문법정보 또한 획득되어 임시저장소에 저장된다.
이어서, 문자제어부(220)는 출력결정된 단어 전에 선행된 단어 출력이 있는지 출력수단(230)의 임시저장소를 검색하고(S435), 선행 출력된 단어가 있을 경우, 임시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결정된 단어에 대한 문법정보를 이용하여 연결접속정보테이블(260)을 검색한 후(S440), 선행 출력된 단어의 문법정보와 연결접속 가능하게 정의되어 있는지를 판별한다(S445).
판별 결과, 문자제어부(220)는 연결접속 가능여부에 대한 정보와 함께 출력결정된 단어를 출력수단(230)에 전달한다.
출력수단(230)은 출력결정된 단어가 연결접속이 가능하다면 이 단어를 선행 출력된 단어에 연이어 결합시켜 정보기기의 표시부에 출력하고(S450), 그렇지 않다 면 선행 출력된 단어로부터 띄어쓰기를 한 후 표시부에 출력한다(S455).
선행 출력된 단어가 없을 경우에는 다시 입력모드로 돌아가 입력을 대기한다.
상기와 같은 수행은 선행 출력 단어와 현재 출력될 단어가 표시부에 출력 확정되고, 그것은 문법적으로 정당한 출력 문자계열임을 입증하게 되는 것으로서, 입출력이 정당한 조건하의 한글 단일입출력임을 보증하게 되는 것이다.
만일, 입력으로 생성된 문자계열의 단어가 한글단어정보사전(25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이 문자계열은 유저(사용자)가 정의하는 단어계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문자제어부(220)는 사전에 정의되지 않은 입력 문자계열을 출력수단(230)에 전달하여 소정의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하고(S460), 유저정의단어계열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한글단어정보사전(25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단수 또는 복수의 단어를 문자제어부(220)를 통해 확인하고, 이들을 출력수단(230)을 통해 동시에 표시부에 출력하며(S460), 출력수단(230)은 출력된 단어들 중 유저가 선택하는 단어를 우선 출력하도록 한다. 이어서, 문자계열의 입력이 계속되면 다시 입력모드로 돌아가고, 문자계열의 입력이 끝나면(S465), 한글 표출 장치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출력된 단어를 문자제어부(220)를 통해 유저정의사전(240)에 등록한다(S470). 그리고, 다시 다음 입력을 대기한다. 유저정의사전(240)에 등록되는 단어는 모두 명사로 정의하여 문법정보로 활용함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한글 표출 장치는 한글합성기(210),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 문자제어부(220) 및 출력수단(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글합성기(210), 문자제어부(220) 및 출력수단(230)은 제1실시예에서와 유사한 기능을 하나, 사전을 구현함에 있어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은 제1실시예의 한글단어정보사전(250)과는 다른 방법으로 구현된다.
즉,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단어들을 정의하고 있으며, 정의된 단어들 각각에 대해 각 단어가 여러 가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는 단어의 리스트를 부가하고 있다.
사용자에 의해 한글 자모가 연속적으로 한글합성기(210)로 입력되면(S500) 한글합성규칙에 따라 한글 문자계열을 생성한다(S505).
여기서 생성되는 문자계열은 단수 또는 복수 개로 생성되며 이들 문자계열들은 문자제어부(220)에 입력된다(S510).
문자제어부(220)는 입력받은 문자계열들을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되어 있는 단어와 일치하는지 비교 검색한다(S515, S520).
비교 검색 결과, 단수 또는 복수 개의 문자계열이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된 단어의 전체 또는 부분과 일치하면, 일치하는 문자계열을 출력수단(230)으로 전달한다.
출력수단(230)은 소정의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정보기기의 표시부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한다(S525).
이어 한글 표출 장치는 입력 문자계열이 단어 정의의 끝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입력되는 문자계열을 받아들여 상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530).
문자제어부(220)에서 전자사전 검색 및 비교 과정을 통해 입력 문자계열이 전자사전인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된 단어와 완전히 매치되면, 매치된 문자계열이 출력될 문자계열로 결정되어 한글 표출 장치에 구비된 임시저장소에 저장된다. 이때 출력 결정된 단어는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되어 있는 단어로서 단어에 부가되어 있는 연결가능단어리스트 또한 획득되어 임시저장소에 저장된다.
이어서, 문자제어부(220)는 출력결정된 단어 전에 선행된 단어 출력이 있는지 임시저장소를 검색하고(S535), 선행 출력된 단어가 있을 경우, 임시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출력결정된 단어에 대한 연결가능단어리스트를 검색하고(S540), 출력결정된 단어가 상기 선행 출력된 단어의 연결가능단어리스트에 속하는 단어인지 즉, 선행 출력된 단어에 연결 가능한 단어인지 판별한다(S545).
판별 결과, 문자제어부(220)는 연결 가능 여부에 대한 정보와 함께 출력결정된 단어를 출력수단(230)에 전달한다.
출력수단(230)은 출력결정된 단어가 선행 출력된 단어에 연결 가능한 단어일 경우, 출력결정된 단어를 선행 출력된 단어에 연이어 결합시켜 정보기기의 표시부 에 출력하고(S550), 그렇지 않다면 선행 출력된 단어로부터 띄어쓰기를 한 후 표시부에 출력한다(S555).
이러한 입출력 과정을 통해 복수의 출력 문자계열이 단수의 출력 문자계열로 수렴해가는 것이다.
선행 출력된 단어가 없을 경우에는 다시 입력모드로 돌아가 입력을 대기한다.
만일, 입력으로 생성된 문자계열의 단어가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그 문자계열은 유저가 정의하는 단어계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문자제어부(220)는 사전에 정의되지 않은 입력 문자계열을 출력수단(230)에 전달하여 소정의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부에 출력하고(S560), 유저정의단어계열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단수 또는 복수의 단어를 문자제어부(220)를 통해 확인하고, 이들을 출력수단(230)을 통해 동시에 표시부에 출력하고, 출력수단(230)은 출력된 단어들 중 유저가 선택하는 단어를 우선 출력하도록 한다(S560). 이어서, 문자계열의 입력이 계속되면 다시 입력모드로 돌아가고, 문자계열의 입력이 끝나면(S565), 한글 표출 장치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출력된 단어를 문자제어부(220)를 통해 유저정의사전(240)에 등록한다(S570). 그리고, 다시 다음 입력을 대기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에 문법정보가 부가되 어 있지 않고, 단어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이어서 연결될 수 있는 연결가능단어리스트가 부가되어 있어 입력 단어가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에서 검색되면 검색결과 일치하는 단어를 표시부에 출력하고, 이어지는 후행단어가 선행단어와 연결 가능한가를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연결 가능 단어리스트는 테이블화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도 11a 또는 도 11b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가능정보테이블을 나타내는 일실시예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연결가능정보테이블을 나타내는 다른 실시예이다. 도 11a 또는 도 11b를 참조하면, 선행단어와 후행단어의 연결가능정보테이블은 하나의 행렬구조로 표현되는 전자사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연결가능정보테이블은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과 별도로 구비하는 것보다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에 정의된 각 단어에 연결 가능한 단어들을 함께 정의하여 구현함이 효율적이다.
물론, 제2실시예에 따른 한글 표출 방법 또한 띄어쓰기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는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에서 얻어지는 각 단어의 경계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다. 즉, 전자사전을 구축하되, 문법정보를 따로 부가하지 않고, 문자계열이 입력되면 사전의 단어검색이 이루어지고, 사전에 등록된 단어로서 인식이 되면, 그 단어 뒤에 올 수 있는 단어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의 정보를 제공하는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을 구성하면 되기 때문이다.
한편,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단어 연결에 있어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각 단어와 단어 사이의 연결성을 강도로 나타낼 수 있는 값을 구하여 연결강도라는 정량치로 정의하여 단어간의 문법적 기능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한국'이라는 단어 뒤에 올 수 있는 단어 중 '사람'과 '사랑'을 고려할 경우, '사람'의 연결강도가 '사랑'의 연결강도보다 크다는 정보를 부여할 수 있고, 이를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에 부가하여 입출력처리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글 표출 장치는 한글합성기(210), 한글단어사전(280), 문자제어부(220) 및 출력수단(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글합성기(210), 문자제어부(220) 및 출력수단(230)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에서와 유사한 기능을 하나, 사전을 구현함에 있어 한글단어사전(280)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전자사전과는 다른 방법으로 구현된다.
즉, 한글단어사전(28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져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다.
사용자에 의해 한글 자모가 연속적으로 한글합성기(210)로 입력되면(S600) 한글합성기(210)는 한글합성규칙에 따라 한글 문자계열을 생성한다(S605).
여기서, 생성되는 문자계열은 단수 또는 복수 개로 생성되며 이들 문자계열들은 문자제어부(220)에 입력된다(S610).
문자제어부(220)는 입력받은 문자계열들을 검색키로 하여 한글단어사전(28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되어 있는 단어와 일치하는지 비교 검색한다(S615, S620).
비교 검색 결과, 단수 또는 복수 개의 문자계열이 한글단어사전(28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된 단어의 전체 또는 부분 음절과 일치하면, 일치하는 문자계열을 출력수단(230)으로 전달한다.
출력수단(230)은 소정의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정보기기의 표시부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한다(S625).
이어 한글 표출 장치는 입력 문자계열이 단어 정의의 끝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문자계열을 입력받아 상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630).
이러한 입출력 과정을 통해 복수의 출력 문자계열이 단수의 출력 문자계열로 수렴해가는 것이다.
만일, 입력으로 생성된 문자계열의 단어가 한글단어사전(28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면, 이 문자계열은 유저가 정의하는 단어계열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문자제어부(220)는 사전에 정의되지 않은 입력 문자계열을 출력수단(230)에 전달하여 소정의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하고(S640), 유저정의단어계열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한글단어사전(28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단수 또는 복수의 단어를 문자제어부(220)를 통해 확인하고, 이들을 출력수단(230)을 통해 동시에 표시부에 출력하며, 출력수단(230)은 출력된 단어들 중 유저가 선택하는 단어를 우선 출력하도록 한다(S640). 이어서, 문자계열의 입력이 계속되면 다시 입력모드로 돌아가고, 문자계열의 입력이 끝나면(S645), 한글 표출 장치는 유저에 의해 선택되어 출력된 단어를 문자제어부(220)를 통해 유저정의사전(240)에 등록한다(S650). 그리고, 다시 다음 입력을 대기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와 전자사전을 구현함에 있어 큰 차이가 있다. 즉, 제3실시예에서의 한글단어사전(280)은 문법정보나 연결가능단어리스트 정보가 없고, 단어 또는 구만으로 이루어진 전자사전이다. 따라서, 한글단어사전(280)은 활용형을 갖지 않는 명사, 대명사, 조사 등의 단어는 제1 및 제2실시예와 유사하나, 활용형을 갖는 동사, 형용사 등의 단어는 모든 활용형을 독립적으로 정의하고 있다.
일예로, 한글단어사전(280)은 '연구하다'라는 동사를 다음과 같이 모든 활용형태로서 정의하고 있다.
연구하다
연구한
연구하는
연구하던
연구했던
연구하였다
연구했다
……
즉, 상기 단어들을 모두 사전에 독립적인 단어로 정의한다. 이것은 단어의 중복이 있을 수 있으나, 전자사전의 구현이 용이하고, 전자사전의 구현 프로그램이 단순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제3실시예와 같은 방법 또한 전자사전에서 단어 또는 구에 대한 경계정보를 TRIE구조에서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입력에서 띄어쓰기를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각 단어 또는 구의 사용 빈도, 최근 입력에 대한 이력 등의 정보를 부가하여 이들 정보를 입출력 처리과정에 활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도 1a 내지 도 1f에 나타낸 휴대폰의 키패드 환경하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a의 삼성전자 휴대폰의 경우, 모음 입력에 쓰이는 소위 '천지인'('ㅣ', 'ㆍ', 'ㅡ') 자모를 제외한 자음을 모두 복수 자음으로 키에 할당하고 있다. 따라서, 복수 할당된 문자를 선택적으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동일 키에 주어진 자음을 연속 입력할 경우, 자음 사이에 시간 터울을 주거나 다른 기능키를 두어 키 입력의 애매성을 없애도록 한 입력방식을 쓰고 있다.
이 방법에 본 발명 제1 내지 제3실시예를 적용하여 구현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ㄱ/ㅋ/ㄲ'이 할당된 숫자키 4, 'ㄴ/ㄹ'의 숫자키 5, 'ㄷ/ㅌ/ㄸ'의 숫자키 6, 'ㅂ/ㅍ/ㅃ'의 숫자키 7, 'ㅅ/ㅎ'의 숫자키 8, 'ㅈ/ㅊ/ㅉ'의 숫자키 9와 같은 멀티키들 중 하나를 연속입력(멀티탭)하면 각각 정해진 입력회수에 해당하는 문 자가 출력되도록 입출력 구조를 정한다. 둘째, 멀티키와 모음의 입력에 따라 복수의 문자계열이 한글합성기(210)를 통해 생성되도록 한글합성규칙을 도입한다. 셋째, 전자사전의 구성에서 각각 차이가 있으나 각 실시예에 따라 한글단어정보사전(250),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270) 및 한글단어사전(280)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한 전자사전을 구비시키고, 전자사전의 데이터 구조는 TRIE로 한다. 또한 각 노드간의 천이문자 단위는 초성, 중성, 종성의 정보를 가진 한글코드 체계로 한다. 넷째, 출력우선순위는 전자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 가장 최근 사용한 것,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것 순으로 정의해 둔다.
상기와 같이 재구성한 후,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적용하면, 도 1a와 같은 방식의 한글 표출 장치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다. 즉, 하나의 키에 복수의 자음을 할당함으로써 입력 시 필연적으로 부수되는 기능키 또는 타이밍 터울 주기 입력을 없앨 수 있다.
일예로, '연락', '열나게' 등의 단어가 전자사전에 등록이 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한글 입력모드에서 'ㅇ/ㆍ/ㆍ/ㅣ/ㄴ/ㄴ/ㄴ/ㅣ/ㆍ'라고 입력하여 한글합성기(210)를 통과시키면, 복수의 문자계열 '열나' 및 '연라'를 생성한다. 이는 'ㄴ'과 'ㄹ'은 멀티키에 할당되어 있고 이 키를 멀티탭(연속입력)으로 입력하면 문자 경계의 불확정성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생성된 복수 문자계열을 한글단어정보사전(250)을 열고 검색과정에 들어가면 그 결과, 두 문자계열은 모두 한글단어정보사전(250)에 정의된 단어의 부분 문자계열임을 알 수 있고, 이어서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휴대폰의 표시부에 출력한다. 예 를들어, 출력우선순위가 가나다 순이라면 '연라'가 우선출력순위로 '열나'가 후속순위로 출력된다. 이들 복수 문자계열은 아직 단어의 끝에 이르지 않았으므로 계속적으로 입력을 받는 과정에 있다.
이어서 'ㄱ'이 입력되면 '연락'으로 전자사전 정의 단어의 끝임을 전자사전 정보로 알 수 있어 출력우선순위가 바뀌어 '연락'이 출력된다.
입력 문자계열로 다시 'ㆍ/ㅣ/ㅣ'가 입력되면 후속순위에 밀려 임시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던 '열낙'이 '열나게'로 바뀌므로 우선순위가 다시 '열나게'로 바뀌고 현재까지의 입력 문자계열에 대한 출력을 얻게 된다.
상기와 같은 처리과정은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처리가 가능하다. 다만, 전자사전의 구성이 각 실시예들마다 상이할 뿐이다.
즉,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자사전 검색 후, 복수 문자계열이 전자사전에 정의된 것으로 인지된 시점에서 그 단어들에 부가되어 있는 문법정보를 획득하여 지정된 버퍼에 저장하고, 후속단어가 출력 확정되는 시점에서 선행단어의 문법정보와 이루는 연결접속정보를 검색하여 두 단어의 문법적 정당성이 보증되는 단일출력이 확정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에는 연결가능단어리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처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경우에는 전자사전에 '연락'과 '열나게'가 단어의 구조에 관계없이 정의되어 있을 때 상기와 같은 처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전자사전의 구현에 있어서도 TRIE와 자모형의 코드체계를 쓴 한글 천 이 문자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1b의 LG전자 휴대폰의 경우, 자음은 하나의 키에 하나의 자음을 할당하되, 글자의 형태에 따라 동일 계열의 자음을 다른 기능키와의 조합으로 유추하여 입력될 수 있도록 하였고, 모음 부분은 멀티키로 할당하여 각 모음을 멀티탭의 회수로 지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하면 형태를 유추하여 다른 조합 기능키를 찾는데 소요되는 사용훈련기간을 줄일 수 있고, 손가락 이동거리가 길어 피로도가 높은 단점과, 키패드의 한글배열의 직관성이 결여되는 점 등을 극복할 수 있다.
LG전자의 휴대폰 한글입력 배열은 'ㅅ/ㅈ/ㅊ/ㅆ/ㅉ'이 하나의 키에 중첩되어 할당되어 있으므로, 이들 문자는 동일 키의 싱글 또는 멀티탭을 통해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적용하여 구현해 보면, 먼저 한글합성규칙을 정한다. 즉, 한 번 누르면 'ㅅ', 두 번 누르면 'ㅈ', 세 번 누르면 'ㅊ', 네 번 누르면 'ㅆ', 다섯 번 누르면 'ㅉ'이 출력되도록 멀티탭을 정의하고 한글합성기를 구현한 후, 제1실시예와 같은 처리과정을 수행하면 애매성 없이 한글 입출력을 보장할 수 있다.
일예로, '웃찾사'라는 단어 입력하고자 할때, 'ㅇ/ㅜ' 입력에 이어서 'ㅅ'의 키를 한 번(ㅅ), 그리고 3번(ㅊ), 즉 4번 연속해서 누르면, 이 입력에서 생성 가능한 문자계열은 '웃ㅊ'과 '
Figure 112006098070262-pat00002
ㅅ', '
Figure 112006098070262-pat00003
ㅈ'이 생성되어 가나다순의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웃ㅊ'이 우선 출력되고, 전자사전 검색에 들어가면 '
Figure 112006098070262-pat00004
ㅅ'은 임시저장소인 버퍼에 저장되어, 추후 유저의 선택을 기다리게 된다. 가령, '웃찾사'가 사전에 등록이 된 단어라면 출력된 문자계열 '웃ㅊ'은 '웃찾사'의 부분 문자계열이므로 우선 출력 개시되고 단어 끝까지 입력되면 입출력 확정과 함께 단수출력이 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구성요소 등을 부가하여 도 1b에서와 같은 입력방식의 결점을 해소하는 데는 별다른 구조 변경을 요하지 않는다. 또한 모음 부분에 있어서는 출력이 단수출력으로 보장되므로 다른 처리는 불필요하다.
도 1f의 한글 입력 방식의 경우, 멀티키로서 'ㄱ/ㅋ/ㄲ'이 할당된 숫자키 4, 'ㄷ/ㅌ/ㄸ'의 숫자키 6, 'ㅂ/ㅍ/ㅃ'의 숫자키 9를 포함하고 있어, 중복 자음 입력을 위해서 기능키를 도입하고 있다. 이 기능키가 입력 시에 번거로움을 제공한다.
이러한 키패드의 사용시 멀티키의 입력을 멀티탭으로 하면, 즉, 첫 스트럭 입력으로 'ㄱ', 두 번째 스트럭으로 'ㅋ', 세 번째 스트럭으로 'ㄲ'이 입력되면 단어 속의 문자 경계에서 불확정성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은 전자사전을 구비시켜 단어 검색과정을 거쳐 등록된 단어인가의 확정 과정 통해 상기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일예로, 'ㅂ/ㅏ/ㄱ/ㄱ/ㄱ'라는 문자계열을 입력했을 경우, 한글합성기(210)를 통해 생성되는 문자계열은 '박ㅋ', '밖', '
Figure 112006098070262-pat00005
ㄱ' 이라는 복수의 문자계열이 생성된다. 이후, 상기 복수의 문자계열을 검색키로 하여 전자사전을 검색한다.
지금까지의 입력 상황만을 살펴보면, '박ㅋ'는 '박카스'라는 단어일 가능성 이 있고, '밖'은 '밖'과 '바꾸' 중 하나일 가능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밖'은 가능성이 아니라 전자사전에 정의된 명사이다. 따라서 한글 표출 장치는 해당 단어와 문법정보를 획득하여 버퍼에 저장하고 출력우선순위를 바꾸어 출력한다.
또한, '
Figure 112006098070262-pat00006
ㄱ'은 한글 단어일 가능성이 없으므로 임시저장소에 넣어두며, '박ㅋ'와 '밖'을 동시에 표시부에 출력 표시하고, 이어지는 입력에 따라 두 출력 중 하나가 선택되어 출력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이어지는 모음이 'ㅏ'라면 '박카'와 '바까'가 출력되며, 이들 중 '박카'는 한글 단어 '박카스'의 부분 문자계열임을 전자사전에서 알 수 있으므로 '박카'를 우선 출력하고, '바까'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고, 유저의 입력을 다시 기다리게 된다. 물론 여기서도 앞서 생성된 '박ㅋ'와 '밖'을 동시에 출력하지 않고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둘 중 하나를 우선 출력할 수 있다.
도 1c, 1d, 1e의 한글 입력 방식의 경우에도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유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하여 키패드 배열이 갖는 입출력의 단점을 해소시킬 수 있다.
컴퓨터 풀 키보드의 한글입력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하면 쉬프트 키의 입력 없이 멀티키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컴퓨터 키보드에서 복수 할당 자음은 'ㅃ/ㅉ/ㄸ/ㄲ/ㅆ'이며, 모음은 'ㅒ/ㅖ'이다. 이 환경에서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를 적용하면 이들 이중 자모음 입력을 쉬프트 키 입력 없이 멀티키인 'ㅂ', 'ㅈ', 'ㄷ', 'ㄱ', 'ㅅ', 'ㅐ', 'ㅔ'키의 싱글탭 및 멀티탭 입력을 통해 자동으로 이들을 구별하여 출력해 주는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우선 한글 오토마타 'ㅂ'키를 두 번, 'ㅈ'키를 두 번, 'ㄷ'키를 두 번, 'ㄱ'키를 두 번, 'ㅅ'키를 두 번 누르면 문자의 초성인 경우는 'ㅃ', 'ㅉ', 'ㄸ', 'ㄲ', 'ㅆ'이 입출력 되도록 하고, 종성이나 단어 중의 초성인 경우에는 각각 두 가지 자음이 모두 입출력될 수 있도록 정의한다. 이 경우 복수 문자계열이 생성되므로 전자사전에 이들로 생성되는 단어를 망라하여 구축한다.
예를 들어, 단어의 초성인 경우에는 대부분 검출 가능하므로 문제되지 않는다. 그러나, 'ㄷ/ㄷ'을 입력했을 때 'ㄸ'을 출력하고, 'ㄷ/ㅗ/ㄷ/ㄷ'을 입력했을 때에는 '돋ㄷ'과 '도ㄸ'가 동시에 출력되도록 한글합성규칙을 제공하면 된다.
전자사전의 단어는 각각 단어 글자의 종성이 'ㅂ', 'ㅈ', 'ㄷ', 'ㄱ', 'ㅅ'이고 다음 글자의 초성이 'ㅂ', 'ㅈ', 'ㄷ', 'ㄱ', 'ㅅ'이 오는 단어와, 첫 글자에 종성이 없고(받침이 없는) 다음 글자 초성이 'ㅃ', 'ㅉ', 'ㄸ', 'ㄲ', 'ㅆ'인 단어를 망라하여 본 발명에서 제시한 방식의 전자사전을 구축한다. 한글 단어에서는 이와 같은 자모의 특징을 가진 단어가 소수로 존재하므로 그만큼 구현하기 용이하다.
다른 예로서, 'ㅇ/ㅏ/ㄱ/ㄱ'이라는 문자계열이 입력되면 '아ㄲ' 와 '악ㄱ'이 동시에 복수 문자계열이 생성되도록 하고, 이 문자계열로 전자사전을 열어 검색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 두 문자계열은 전자사전에 이미 '아끼'와 '악기'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복수 문자계열 대상이 되어 출력우선순위 즉, 가나다순이라면 '악ㄱ'이, 사용빈도순이라면 '아ㄲ'이 우선 출력이 되도록 한다.
둘 모두 단어의 부분 문자계열이므로 계속 입력을 받는다. 이어서 'ㅣ/ㄷ/ㅏ'가 입력되면 단수출력이 어려우므로 이런 경우에 한해서 유저가 고르도록 하면 쉬프트 키를 사용하지 않는 한글 컴퓨터 키보드를 구현할 수 있다.
참고로, 이와 같은 종류의 단어로는 '도끼'와 '독기', '악기'와 '아끼', '각각'과 '가까' 등 극히 소수가 존재한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여러 가지 한글입력용 키패드 상에서의 모음 입력은 모음의 다중배치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으로 입출력의 불확정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모음 입력을 위한 특별한 처리는 불필요하다.
도 1a 내지 도 1f에서 소개된 키패드형 한글배열은 휴대폰용으로 현재 상용화되어 있는 대표적인 모델과 시스템들이다. 그것들에서 공통점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한글 자음 배치에 있어서 도 1b의 것을 제외하면,
① ㄱ/ㅋ/ㄲ, ② ㄷ/ㅌ/ㄸ, ③ ㅂ/ㅍ/ㅃ, ④ ㅈ/ㅊ/ㅉ
의 자음 배치는 공통으로 각 문자의 입력을 위한 탭 순서도 동일하다. 또,
⑤ ㅅ/ㅆ, ⑥ ㅁ/ㅅ, ⑦ ㅅ/ㅎ, ⑧ ㄴ/ㄹ, ⑨ ㄴ/ㅁ, ⑩ ㅇ/ㅎ, ⑪ ㅇ/ㅁ
등으로 대동소이한 입출력 방식을 취하고 있다.
또한, 도 1b의 경우에도, 'ㄱ/ㅋ/ㄸ', 'ㄴ/ㄷ/ㅌ/ㄸ', 'ㅁ/ㅂ/ㅍ/ㅃ', 'ㅅ/ㅈ/ㅊ/ㅉ'의 다중배치로 볼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음입력 부분에서는 단어의 불확정성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이들 시스템들의 자음부분을 참작하여 공통으로 활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합당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와 같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글 표출 장치는 한글합성기(210), 한글입력보조사전(290), 문자제어부(220) 및 출력수단(2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한글합성기(210), 문자제어부(220) 및 출력수단(2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과 유사한 기능을 하나, 전자사전을 구현함에 있어 한글입력보조사전(29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과 다른 방법으로 구현된다.
먼저, 한글입력보조사전(290)에 정의 또는 등록시켜야 할 단어의 수집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입출력의 불확정성은 하나의 키에 다중 문자가 할당되어 이의 멀티탭 입력에 의해 발생하므로 이것을 유발하는 입력 문자계열을 각 휴대폰의 입력 방식에서 수집하여 전자사전의 단어요소들로서 정의한다.
그 예로서, 도 1a, 1c, 1d, 1e, 1f에 해당하여 정의되어야 할 문자계열들은 다음과 같다.
① 'ㅋ, ㄲ, ㅌ, ㄸ, ㅍ, ㅃ, ㅊ, ㅉ, ㅆ, ㅎ'이 첫 음절(첫 문자)의 초성으로 시작되는 모든 단어
② 단어 속에서 앞 음절(문자)에 받침(종성)이 없고, 후속 음절(문자)의 초성이 'ㅋ, ㄲ, ㅌ, ㄸ, ㅍ, ㅃ, ㅊ, ㅉ, ㅆ, ㅎ'인 모든 단어
③ 단어 또는 구의 모음 사이에서 앞 음절(문자)의 종성(받침)/후속음절(문자)의 초성이 가지는 구조가 'ㄱ/ㄱ, ㄱ/ㅋ, ㄷ/ㄷ, ㄷ/ㅌ, ㅌ/ㄷ, ㅂ/ㅂ, ㅂ/ㅍ, ㅍ/ㅂ, ㅇ/ㅇ, ㅇ/ㅎ, ㄴ/ㄴ, ㄴ/ㄹ, ㄴ/ㅁ, ㅅ/ㅅ, ㅅ/ㅎ, ㅎ/ㅅ, ㅅ/ㅆ, ㅆ/ㅅ' 인 모든 단어
④ 한 음절(문자)의 받침(종성)이 'ㄲ, ㅋ, ㅌ, ㅍ, ㅊ, ㅎ' 인 모든 단어
그 이외에 도 1b에 해당하여 정의되어야 할 문자계열들은 다음과 같다.
① 첫 글자의 초성이 'ㄷ, ㅁ, ㅈ' 인 모든 단어
② 단어 속에서 앞 음절의 받침(종성)이 없고, 후속음절(문자)의 초성이 'ㄷ, ㅂ, ㅈ'인 모든 단어
③ 단어의 모음 사이에서 앞 문자의 종성/후속문자의 초성이 가지는 구조가 'ㄴ/ㄷ, ㄷ/ㄴ, ㄷ/ㅌ, ㄴ/ㅌ, ㅁ/ㅂ, ㅂ/ㅁ, ㅁ/ㅁ, ㅁ/ㅍ, ㅍ/ㅁ, ㅅ/ㅈ, ㅈ/ㅅ, ㅆ/ㅅ, ㅅ/ㅆ'을 가진 모든 단어
이와 같은 단어들을 한글입력보조사전(290)에 정의하여 전자사전을 구현하면 된다. 물론 휴대폰 배열방식에 따라서는 삭제 또는 첨가해야 할 단어 요소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의 한글입력보조사전(290)은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전자사전들의 구현 방식과 차이가 있다. 즉, 제1 내지 제3실시예의 전자사전의 경우에는 한글의 모든 단어를 망라하여 사전의 단어 요소로 구현하는 반면, 제4실시예의 전자사전의 경우에는 멀티키의 멀티탭 입력으로 생성될 수 있는 단어 경계의 불확정성을 가지는 단어만으로 전자사전을 구성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경우에는 한글입력보조사전(290)에 복수출력을 단수출력으로 수렴해가는 처리에 필요 충분한 단어요소만을 정의하여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한글입력보조사전(290)에 부가하여야 할 단어요소 정보가 있을 경우에는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의 방법과 같은 부가정보들을 추가할 수 있다.
즉, 제1실시예의 전자사전과 같이, 제4실시예의 한글입력보조사전(290)에 수집 정의된 단어들을 다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의미를 갖는 가장 작은 단위로 분류하고, 분류한 각 단어에 문법정보를 부가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일예로, '연락'은 명사라는 문법정보를, '먹고'는 그것을 분해하고 분류하여 '먹'은 동사어간, '고'는 연결어미로 문법정보를 부가하여, 전자사전에 부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의 전자사전 구현방법을 한글입력보조사전(290)에 적용하면, 보다 정밀한 문법정보를 활용하여 선후단어의 올바른 출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전자사전 구현방법을 한글입력보조사전(290)에 적용할 수 있다. 한글입력보조사전(290)에 수집 정의된 단어들을 분해하고 분류한 후, 분류된 각 단어에 대해 문법정보 대신 연결할 수 있는 단어리스트를 추출하여 제2실시예의 전자사전 구현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한글입력보조사전(290)을 구현하여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제3실시예의 전자사전 구현방법도 제4실시예의 한글입력보조사전(290) 을 구현함에 적용할 수 있다.
그 밖에, TRIE구성, 한글코드체계의 적용 등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의 전자사전 구현방법을 동일하게 제4실시예의 한글입력보조사전(290)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멀티키를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에 있어서, 한글 입력모드가 지정되고, 사용자에 의해 한글 자모가 연속적으로 한글합성기(210)로 입력되면(S700) 한글합성규칙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의 문자계열을 생성한다(S705).
생성된 문자계열들은 문자제어부(220)로 입력된다(S710). 문자제어부(220)는 입력된 문자계열이 단수의 문자계열일 경우(S715), 이를 출력수단(230)으로 전달하여 전자사전 검색 등의 처리과정 없이 바로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하고(S720), 복수의 문자계열일 경우에는(S715), 이들을 검색키로 하여 한글입력보조사전(290) 또는 유저정의사전(240)에 정의되어 있는 단어와 일치하는지 비교 검색한다(S725, S730).
비교 검색 결과, 전자사전에 등록된 단어라면, 문자제어부(220)는 그 단어를 출력수단(230)으로 전달한다. 출력수단(230)은 전달받은 단어를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정보기기의 표시부에 우선 출력하고, 후순위의 것은 임시저장소에 저장한다(S735).
또한, 전자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단어라면, 문자제어부(220)는 출력수 단(230)을 통해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부에 출력한다(S750).
이어 한글 표출 장치는 입력 문자계열이 단어 정의의 끝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문자계열을 입력받아 상기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S740).
단어의 끝부분에 이르면, 문자제어부(220)는 현재까지 입력된 문자계열을 단수출력 문자계열로 확정하고, 이를 출력수단(230)을 통해 정보기기의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한다(S745).
물론, 출력된 문자계열이 전자사전에 정의되어 있지 않은 문자계열일 경우, 문자제어부(220)는 문자계열의 입력이 끝인지 확인한 후(S755), 이 문자계열을 유저 선택에 따라 유저정의사전(240)에 등록한다(S760). 그리고, 다시 입력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여기서, 문법정보를 이용하는 경우 또는 연결가능단어리스트를 이용하는 경우를 부가할 때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방법을 적용하여 처리하면 된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살펴본 제4실시예를 여러 가지 휴대폰 환경에 적용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먹고나서연락했슴'
이라는 예문을 제4실시예를 적용한 도 1a의 환경하에서 처리하면, 'ㅁ/ㅓ/ㄱ'의 부분까지는 단수 문자계열(싱글탭 계열)이므로 표시부에 출력되나, 이어서 'ㄱ'이 입력됨과 동시에 복수 문자계열(멀티탭 계열), 즉 '먹ㄱ'과 '
Figure 112006098070262-pat00007
'이 생성되므로 전자사전의 검색과정을 수행한다.
'먹'은 이미 등록된 단어계열이므로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먹ㄱ'이 선순위로 표시부에 출력되며, 후순위로 '
Figure 112006098070262-pat00008
'은 임시저장소에 저장된다. 여기서, 후순위의 것을 표시부에 출력할 것인지, 출력하지 않고 임시저장소에 저장할 것인지는 선택사항일 수 있다.
이어서 '고'에 이르면 '고'는 '먹'에 연결 가능한 어미이므로 표시부에 출력된다. 다시 입력모드로 가서 '나'에 이어 '서'가 입력되고, 이들은 모두 단수 문자계열인 싱글탭 입력이므로 표시부에 출력된다.
다음에 '연ㄴㄴ'에 이르면, '연ㄹ'과 '열ㄴ'의 복수 문자계열이 생성되므로 전자사전 검색을 통해 두 출력 모두가 사전 등록 단어 계열이므로 표시부에 출력하되, 우선순위를 '연ㄹ'에 두면 우선 출력되고 '열ㄴ'는 후순위 저장된다.
이어지는 입력에 따라 완성단어 '연락'에 이르면 표시부에 출력되고, 다시 입력상태로 돌아가, 'ㅎㅐㅅㅅㅅ'에 이르면 '했'으로 단수 문자계열이 확정되어 출력되고, 다시 입력을 받아 '슴'은 다시 단수 문자계열로 출력이 확정되고 입력과정이 끝나게 된다.
도 1b의 환경에 제4실시예를 적용할 경우에도 다중 배치의 깊이가 깊을수록 멀티탭에 의한 출력의 불확정성이 많아져 처리과정이 조금 더 복잡해질 뿐, 본 발명을 통한 방법들의 적용으로 효율적인 한글 표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d의 환경에 제4실시예를 적용할 경우, 예문 '사랑이혼란'의 입출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처리순서에 따라 '사랑'까지는 싱글탭 입력에 단수 문자계열이므로 표시부에 출력되고, 이어서 'ㅇ'이 입력되는 순간 멀티탭 입력으로 '랑ㅇ'과 '라ㅎ'의 복수 문자계열이 생성되므로, 전자사전 검색결과 둘 다 미등록 단어 계열이므로 표시부에 출력된다. 여기서 출력우선순위를 멀티탭 입력인 'ㅎ'보다 싱글탭 입력 'ㅇ/ㅇ'으로 한다면 출력우선순위에 따라 '사랑ㅇ'이 출력되고, 이어지는 입력 'ㅣ'와 이어지는 'ㅇ/ㅇ'에 따라 '잉ㅇ'과 '이ㅎ'이 생성되어 전자사전 검색결과, '이ㅎ'이 등록계열이므로 표시부에 출력되므로, 지금까지의 출력 문자계열은 '사랑이ㅎ'이고 단수 문자계열로 출력이 확정되며, 이어지는 입력 문자계열에 따라 상기 처리과정을 반복하여 입출력을 처리한다.
한편, 키 입력방법에서의 입력 효율성은 입력의 정확성, 입력의 속도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실시예에 입력을 예측하여 출력하도록 하는 입력예측수단을 추가하여 입력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 내지 제4실시예에서 단어의 끝인가를 검지하는 과정에서 끝이 아닌 각각의 부분 처리에 입력예측출력 기능을 부가하면 입력을 예측하여 출력이 가능하므로 입력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부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현재 입출력되고 있는 것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 또는 구의 부분 문자계열이며, 이 부분 문자계열은 전자사전의 TRIE구조 상에서 항상 확인 검출이 가능하므로 유저가 단어의 끝 문자계열까지 전부 입력하지 않아도 사전에 정의된 단어의 끝부분까지 미리 출력하게 함으로써, 마치 입력을 예측하여 출력해 주는 기능으로 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일예로, 도 4a의 TRIE구조에서 '바퀴'까지가 현재의 입출력이 확정된 부분이라 가정하면, 전자사전 속에서의 출력 문자계열 포인터는 노드①, ②, ③, ⑪, ⑫, ⑬에 있으며 전자사전상의 나머지 계열 '벌레'가 단어의 끝부분이므로, 이에 대한 입력이 없더라도 입력예측수단을 이용하여 이 부분까지를 자동검색하여 출력해 주면 마치 한글 표출 장치가 현재 입력 문자계열에 이어지는 후행 문자계열을 예측하여 출력해 주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유저로부터 후행 문자계열에 대한 키 입력 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입력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컴퓨터의 풀 키를 가진 한글 입력 환경에 있어서도 제4실시예를 적용하면 제1 내지 제3실시예를 이용한 입출력 처리와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활용되는 출력우선순위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다.
일예로, 문자계열의 가나다 순, 가장 최근에 입출력한 문자계열순, 문자계열의 사용빈도 순, 전자사전 정의 단어 우선순, 유저정의사전(240)의 단어 우선순 등 다양하게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문자계열을 먼저 출력하고, 낮은 것들은 또 다른 버퍼에 저장하고, 나중 조건 여하에 따라 출력우선순위가 바뀌면 다시 출력될 문자계열이 바뀌어 표시부에 출력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은 복수의 자모가 하나의 입력키에 대응되는 멀티키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을 통해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시간차 입력이나 기능키를 사용한 입력 없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자모가 하나의 입력키에 대응되는 멀티키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을 통해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멀티키의 연속 입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자모간 경계의 불확정성을 자동으로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자모가 하나의 입력키에 대응되는 멀티키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을 통해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시간차 입력이나 기능키의 사용 없이 연속적인 입력이 가능하여 유저에 가해질 수 있는 한글 입력에 따른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입력의 에러율을 낮추어 주는 등 한글 입력의 효율성을 보장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0)

  1. 소정의 입력수단을 갖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자모들 중 자음의 성(초성 및 종성)을 구분하고, 입력되는 상기 자모들을 조합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문자계열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한글합성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문자계열들이 정의되어 있고, 정의된 문자계열들 각각에 대해 문법정보를 부가하고 있는 한글단어정보사전;
    상기 한글합성기를 통해 생성된 문자계열과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에 정의된 문자계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자제어부;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출력수단; 및
    상기 출력수단을 통해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된 문자계열의 문법정보와 상기 출력된 문자계열에 대해 후행 입력되는 문자계열의 문법정보간 상호 결합 가능 여부에 대한 접속정보를 갖는 연결접속정보테이블
    을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제어부를 통한 문자계열 일치여부 판단시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에 정의된 문자계열과 일치하지 않는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에 대해 문법정보가 정의된 형태로 저장관리하는 유저정의사전
    을 더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문법정보는 문자계열의 품사정보인 한글 표출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품사정보는 수치 또는 기호로 나타낸 것인 한글 표출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은 트라이(Trie) 구조를 기반으로 구현되는 한글 표출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 구조에서 노드간 천이 단위는 음절 단위 또는 자모 단위인 한글 표출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우선순위는 문자계열의 가나다순, 가장 최근에 입출력한 문자계열순, 문자계열의 사용빈도순,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의 단어 우선순 및 유저정의사전의 단어 우선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순으로 결정되는 한글 표출 장치.
  8. 소정의 입력수단을 갖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자모들을 조합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문자계열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한글합성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고, 정의된 상기 단어들 각각에 대해 각 단어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는 단어의 리스트를 부가하고 있는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
    상기 한글합성기를 통해 생성된 문자계열과 상기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에 정의된 단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자제어부; 및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출력 수단
    을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제어부를 통한 일치여부 판단시 상기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에 정의된 단어와 일치하지 않는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을 저장관리하는 유저정의사전
    을 더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우선순위는 문자계열의 가나다순, 가장 최근에 입출력한 문자계열순, 문자계열의 사용빈도순, 상기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의 단어 우선순 및 유저정의사전의 단어 우선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순으로 결정되는 한글 표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은 단어간 연결강도를 수치화하여 정의하고 있는 한글 표출 장치.
  12. 소정의 입력수단을 갖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자모들을 조합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문자계열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한글합성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져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는 한글단어사전;
    상기 한글합성기를 통해 생성된 문자계열과 상기 한글단어사전에 정의된 단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자제어부; 및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제어부를 통한 일치여부 판단시 상기 한글단어사전에 정의된 단어와 일치하지 않는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을 저장관리하는 유저정의사전
    을 더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
  14. 제 12항 또는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우선순위는 문자계열의 가나다순, 가장 최근에 입출력한 문자계열순, 문자계열의 사용빈도순, 상기 한글단어사전의 단어 우선순 및 유저정의사전의 단어 우선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순으로 결정되는 한글 표출 장치.
  15. 복수의 자음이 할당된 멀티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력수단을 갖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입력되는 자모들을 조합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문자계열을 적어도 하나 이상 생성하는 한글합성기;
    상기 멀티키를 통한 입력으로 생성될 수 있는 문자계열 중 문자계열 경계의 불확정성을 가지는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는 한글입력보조사전;
    상기 한글합성기를 통해 생성된 문자계열 중 상기 멀티키를 통한 입력으로 생성되는 복수 개의 문자계열과 상기 한글입력보조사전에 정의된 단어의 일치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문자제어부; 및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출력수단
    을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수단은 단수의 자모가 할당된 싱글키를 통한 입력과 연속되지 않는 상기 멀티키의 입력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음절을 상기 문자제어부에서의 일치여부 판단 없이 출력하는 한글 표출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제어부를 통한 일치여부 판단시 상기 한글입력보조사전에 정의된 단어와 일치하지 않는 상기 한글합성기에서 생성된 문자계열을 저장관리하는 유저정의사전
    을 더 포함하는 한글 표출 장치.
  18. 제 15항 또는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우선순위는 문자계열의 가나다순, 가장 최근에 입출력한 문자계열순, 문자계열의 사용빈도순, 상기 한글입력보조사전의 단어 우선순 및 유저정의사전의 단어 우선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순으로 결정되는 한글 표출 장치.
  19.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문자계열들이 정의되어 있고, 정의된 문자계열들 각각에 대해 문법정보를 부가하고 있는 한글단어정보사전을 포함하는 정보기기에 소정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모를 합성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이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에 정의된 문자계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에 정의된 문자계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과 일치하는 문자계열들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한글 표출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 출력된 제1문자계열이 상기 제1문자계열에 후행 입력되는 제2문자계열과 상호 결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4단계; 및
    상기 제4단계에서 상호 결합 가능한 상기 제2문자계열을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는 제5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한글 표출 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상기 제1문자계열의 문법정보와 상기 제2문자계열의 문법정보가 상호 결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인 한글 표출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문법정보는 문자계열의 품사정보인 한글 표출 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품사정보는 수치 또는 기호로 나타낸 것인 한글 표출 방법.
  24. 제 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은 트라이(Trie) 구조를 기반으로 구현되는 한글 표출 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이 구조에서 노드간 천이 단위는 음절 단위 또는 자모 단위인 한글 표출 방법.
  26.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고, 정의된 단어들 각각에 대해 각 단어가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도록 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는 단어의 리스트를 부가하고 있는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을 포함하는 정보기기에 소정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모를 합성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이 상기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에 정의된 문자계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한글단어연결정의사전에 정의된 단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과 일치하는 문자계열들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한글 표출 방법.
  27.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져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는 한글단어사전을 포함하는 정보기기에 소정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모를 합성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이 상기 한글단어사전에 정의된 단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한글단어사전에 정의된 단어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과 일치하는 문자계열들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한글 표출 방법.
  28. 복수의 자음이 할당된 멀티키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멀티키를 통한 입력으로 생성될 수 있는 문자계열 중 단어 경계의 불확정성을 갖는 단어들이 정의되어 있는 한글입력보조사전을 포함하는 정보기기에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모를 합성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을 생성하는 제1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 중 상기 멀티키를 통한 입력으로 생성되 는 복수 개의 문자계열이 상기 한글입력보조사전에 정의된 단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단계; 및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한글입력보조사전에 정의된 단어와 일치하는 문자계열들 중 출력우선순위가 높은 하나를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하고, 출력우선순위가 낮은 나머지는 임시저장소에 저장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는 한글 표출 방법.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단수의 자모가 할당된 싱글키를 통한 입력과 연속되지 않는 상기 멀티키의 입력을 통해 생성될 수 있는 음절은 상기 제2단계를 거치지 않고 상기 정보기기에 출력되는 한글 표출 방법.
  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음절로 이루어진 문자계열들이 정의되어 있고, 정의된 문자계열들 각각에 대해 문법정보를 부가하고 있는 한글단어정보사전을 포함하는 정보기기에 소정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함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되는 자모를 합성하여 음절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자계열을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상기 문자계열의 한글코드가 완성형/조합형인지 판별하는 단계;
    완성형/조합형 한글코드로 판별된 문자계열의 한글코드를 한글자모코드로 변환하는 단계;
    변환된 상기 문자계열이 상기 한글단어정보사전에 정의된 문자계열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판단 결과, 일치하는 문자계열의 한글자모코드를 완성형/조합형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변환된 문자계열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한글 표출 방법.
KR1020060137560A 2006-12-29 2006-12-29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KR100724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60A KR100724141B1 (ko) 2006-12-29 2006-12-29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US11/966,207 US20080158023A1 (en) 2006-12-29 2007-12-28 Apparatus and Method for Expressing Hangu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7560A KR100724141B1 (ko) 2006-12-29 2006-12-29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489A KR20070008489A (ko) 2007-01-17
KR100724141B1 true KR100724141B1 (ko) 2007-05-31

Family

ID=38010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7560A KR100724141B1 (ko) 2006-12-29 2006-12-29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80158023A1 (ko)
KR (1) KR1007241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8361B1 (ko) 2011-04-25 2012-06-25 전덕규 단말기 및 그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KR101207440B1 (ko) 2011-01-19 2012-12-06 전덕규 한글 어미 입력 방법 및 이를 활용한 단말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960B1 (ko) * 2010-01-14 2012-03-13 매튜 와이. 안 문자 키패드
KR101034284B1 (ko) * 2010-01-20 2011-05-16 주식회사 네오모빌 문자입력장치
US20120331383A1 (en) * 2011-06-27 2012-12-27 Choung Shik Park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of Korean Characters
CN105204658B (zh) * 2014-06-27 2019-02-05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输入控制方法
US10810222B2 (en) 2014-11-24 2020-10-20 Asana, Inc. Continuously scrollable calendar user interface
US10977434B2 (en) 2017-07-11 2021-04-13 Asana, Inc. Database model which provides management of custom fields and methods and apparatus therfor
US10623359B1 (en) 2018-02-28 2020-04-14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tasks based on chat sessions between users of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138021B1 (en) 2018-04-02 2021-10-05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task-specific workspaces for a collaboration work management platform
US10613735B1 (en) 2018-04-04 2020-04-07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eloading an amount of content based on user scrolling
US10785046B1 (en) 2018-06-08 2020-09-22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collaboration work management platform that facilitates differentiation between users in an overarching group and one or more subsets of individual users
US10616151B1 (en) 2018-10-17 2020-04-07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present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US10956845B1 (en) 2018-12-06 2021-03-23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prioritization models and predicting workflow prioritizations
US11568366B1 (en) 2018-12-18 2023-01-31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tatus requests for units of work
US11113667B1 (en) * 2018-12-18 2021-09-07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dashboard for a collaboration work management platform
US11782737B2 (en) 2019-01-08 2023-10-10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pres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template metrics
US10684870B1 (en) 2019-01-08 2020-06-16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and presenting a graphical user interface including template metrics
US11204683B1 (en) 2019-01-09 2021-12-21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nd tracking hardcoded communications in a collaboration management platform
US11341445B1 (en) 2019-11-14 2022-05-24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measure and visualize threshold of user workload
KR102329116B1 (ko) * 2019-12-09 2021-11-19 숭실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 글자 스타일 변경이 가능한 폰트 생성 장치 및 방법
US11783253B1 (en) 2020-02-11 2023-10-10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effectuate sets of automated actions outside and/or with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based on trigger events occurring outside and/or within the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599855B1 (en) 2020-02-14 2023-03-07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attribute automated actions with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763259B1 (en) 2020-02-20 2023-09-19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generate units of work 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455601B1 (en) 2020-06-29 2022-09-27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measure and visualize workload for completing individual units of work
US11900323B1 (en) 2020-06-29 2024-02-13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generate units of work with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based on video dictation
US11449836B1 (en) 2020-07-21 2022-09-20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user engagement with units of work assigned with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568339B2 (en) 2020-08-18 2023-01-31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characterize units of work based on business objectives
US11769115B1 (en) 2020-11-23 2023-09-26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measures of user workload when generating units of work based on chat sessions between users of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405435B1 (en) 2020-12-02 2022-08-02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esent views of records in chat sessions between users of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694162B1 (en) 2021-04-01 2023-07-04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recommend templates for project-level graphical user interfaces with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676107B1 (en) 2021-04-14 2023-06-13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interaction with a collaboration environment based on assignment of project-level roles
US11553045B1 (en) 2021-04-29 2023-01-10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automatically update status of projects with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803814B1 (en) 2021-05-07 2023-10-31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nesting of portfolios with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792028B1 (en) 2021-05-13 2023-10-17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link meetings with units of work of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809222B1 (en) 2021-05-24 2023-11-07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generate units of work with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based on selection of text
US11756000B2 (en) 2021-09-08 2023-09-12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effectuate sets of automated actions with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including embedded third-party content based on trigger events
US11635884B1 (en) 2021-10-11 2023-04-25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provide personalized graphical user interfaces with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836681B1 (en) 2022-02-17 2023-12-05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generate records with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US11863601B1 (en) 2022-11-18 2024-01-02 Asana, Inc. Systems and methods to execute branching automation schemes in a collaboration environ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741A (ko) * 2002-02-22 2003-08-27 이장휘 키 입력 방법 및 에이알에스 데이터 검색 방법
KR20060005588A (ko) * 2004-07-13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에서 영문 글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60020946A (ko) * 2004-09-01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60090710A (ko) * 2003-10-24 2006-08-14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합성어 형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8437A (en) * 1995-07-26 1998-10-06 Tegic Communications, Inc.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computer
US5896321A (en) * 1997-11-14 1999-04-20 Microsoft Corporation Text completion system for a miniature computer
US5945928A (en) * 1998-01-20 1999-08-31 Tegic Communication, Inc. Reduced keyboard disambiguating system for the Korean language
GB2347240A (en) * 1999-02-22 2000-08-30 Nokia Mobile Phones Ltd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editor application
US6462678B1 (en) * 2000-03-24 2002-10-08 Matthew Y. Ahn Phonetic Korean Hangul keyboard system
US6873986B2 (en) * 2000-10-30 2005-03-29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pping strings for comparison
US20030088398A1 (en) * 2001-11-08 2003-05-08 Jin Guo User interface of a keypad entry system for korean text input
US7149550B2 (en) * 2001-11-27 2006-12-12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text editor application with a word completion feature
US6864809B2 (en) * 2002-02-28 2005-03-08 Zi Technology Corporation Ltd Korean language predictive mechanism for text entry by a user
CA2410057C (en) * 2002-07-03 2008-04-29 2012244 Ontario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 of ideographic korean syllables from reduced keyboard
US20040095327A1 (en) * 2002-11-14 2004-05-20 Lo Fook Loong Alphanumeric data input system and method
US7256769B2 (en) * 2003-02-24 2007-08-14 Zi Corporation Of Canada, Inc. System and method for text entry on a reduced keyboard
US8200866B2 (en) * 2004-04-27 2012-06-12 Varia Holdings Llc Reduced keypad for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for predictive input
US20050283724A1 (en) * 2004-06-18 2005-12-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Predictive text dictionary population
US20060156233A1 (en) * 2005-01-13 2006-07-13 Nokia Corporation Predictive text input
JP4404211B2 (ja) * 2005-03-14 2010-01-2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マルチリンガル翻訳メモリ、翻訳方法および翻訳プログラム
WO2006115365A1 (en) * 2005-04-25 2006-11-02 Sony Computer Entertainment Korea Inc. Hangeul input keypad and method using the same
US7912706B2 (en) * 2006-04-03 2011-03-2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On-line predictive text dictionary
US20080076472A1 (en) * 2006-09-22 2008-03-2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Intelligent Predictive Text Entry
US7797269B2 (en) * 2007-03-29 2010-09-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a context sensitive dictionar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741A (ko) * 2002-02-22 2003-08-27 이장휘 키 입력 방법 및 에이알에스 데이터 검색 방법
KR20060090710A (ko) * 2003-10-24 2006-08-14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합성어 형성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60005588A (ko) * 2004-07-13 2006-0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에서 영문 글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60020946A (ko) * 2004-09-01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440B1 (ko) 2011-01-19 2012-12-06 전덕규 한글 어미 입력 방법 및 이를 활용한 단말기
KR101158361B1 (ko) 2011-04-25 2012-06-25 전덕규 단말기 및 그의 한글 모음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489A (ko) 2007-01-17
US20080158023A1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4141B1 (ko)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US8713432B2 (en) Device and method incorporating an improved text input mechanism
KR100656736B1 (ko) 표음 입력 모호성 제거 시스템 및 방법
US73952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ambiguating phonetic input
JP5997217B2 (ja) 言語変換において複数の読み方の曖昧性を除去する方法
US7440889B1 (en) Sentence reconstruction using word ambiguity resolution
KR100552085B1 (ko) 감소된 키보드 명확화 시스템
KR100766169B1 (ko) 컴퓨터-구현 사전 학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입력 방법 및 상기 입력 방법을 사용하는 사용자 단말기 장치
KR100891358B1 (ko) 사용자의 다음 문자열 입력을 예측하는 글자 입력 시스템및 그 글자 입력 방법
EP1950669A1 (en) Device incorporating improved text input mechanism using the context of the input
JP2013117978A (ja) タイピング効率向上のためのタイピング候補の生成方法
MXPA04012854A (es) Filtracion de caracter explicito de entrada de texto ambiguo.
JPWO2006090732A1 (ja) 単語翻訳装置、翻訳方法および翻訳プログラム
JP4266222B2 (ja) 単語翻訳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0298667A (ja) 構文情報による漢字変換装置
JP3492981B2 (ja) 音声仮名文字の入力順序を生成するための入力システム
CN1323004A (zh) 汉语盲文到汉字的自动转换方法
UzZaman et al. T12: an advanced text input system with phonetic support for mobile devices
KR860000681B1 (ko) 한글/한자 워드프로 세서
JP2002117025A (ja) かな漢字変換装置およびかな漢字変換方法
Naushad UzZaman T12: an advanced text input system with phonetic support for mobile devices
JP2003132053A (ja) 文字列変換装置、文字列変換方法、および記録媒体
Kuo An Intelligent Chinese Short Message Input System Using One-Character-One-Key Model
JPH0991278A (ja) 文書作成装置
JPH0798702A (ja) 文書作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