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7440B1 - 한글 어미 입력 방법 및 이를 활용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한글 어미 입력 방법 및 이를 활용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7440B1
KR101207440B1 KR1020110049897A KR20110049897A KR101207440B1 KR 101207440 B1 KR101207440 B1 KR 101207440B1 KR 1020110049897 A KR1020110049897 A KR 1020110049897A KR 20110049897 A KR20110049897 A KR 20110049897A KR 101207440 B1 KR101207440 B1 KR 101207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ending
input
sequence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84242A (ko
Inventor
전세일
전덕규
Original Assignee
전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덕규 filed Critical 전덕규
Publication of KR20120084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84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2Graphical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다수의 키를 구비한 입력부와, 제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단말기의 한글 어미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부의 키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입력 순열중에서 특정 입력 순열을 기능순열로 지정하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의 키를 조작하여,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특정 기능순열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어미를 포함하는 문자열인 특정 어미 문자열로 변환하고, 당해 특정 어미 문자열이 종성으로 시작할 경우, 상기 종성을 상기 특정 선행모음의 종성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하되, 상기 어미 문자열로는, 어미, 혹은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과 당해 어미로 구성되는 문자열을 지정하며, 상기 특정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특정 선행모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모음으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한글 어미 입력 방법 및 이를 활용한 단말기 {Method for inputting Korean ending, and a terminal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는, 휴대폰, 스마트폰, MP3, 컴퓨터, 노트북, 넷북, 등 각종 단말기의 한글 입력에 있어서, 한글 어미를 효율적으로 입력할 수 있는 기술 및 이를 활용한 단말기에 관련한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한글 키보드는 두벌식 한글 자판으로서 자음 한 벌(19자, 쌍자음키 5자포함)과 모음 한 벌(14자) 총 33자를 구성되어 있으며, 글자수가 비교적 적어서 자판의 위치를 익히기가 쉬운 장점이 있지만, 쌍자음을 shift키를 사용하여 생성하다보니, 손가락이 쉽게 피로해지고, 입력 속도가 느려지는 것이 단점이다. 그런데 한글 어미에 있어, 예를 들어, '있습니다', '했습니다' 등과 같이, 쌍자음 'ㅆ' 이 자주 출현하여 입력하는데 많은 불편이 있다. 최근 삼성전자의 일부 노트북 컴퓨터에서는 Alt 와 Ctl 사이에 ㅆ 을 배치한 모델이 시판되었는데, 이는 현재의 shift키를 사용한 쌍자음 입력방법이 지나치게 불편하여 쌍자음 중에서도 활용도가 높은 ㅆ 을 미리 자판에 표기한 예라 할 수 있다.
현재 휴대 단말기에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식이 사용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삼성전자등의 단말기에서 채택하고 있는 'ㅣ', '
Figure 112012502008765-pat00022
', 'ㅡ' 를 사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소위 "천지인 방식"(도 2 참조)과, LG전자등의 단말기에서 채택하고 있는, 소위 "나랏말 방식"(도 1 참조)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은 3 × 4 전화기 자판을 기본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고안한 것으로서, 복잡한 한글 어미를 입력하려면 많은 수고를 요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단말기의 한글 입력에 있어서, 쉽고 빠르게 한글 어미를 입력 할 수 있는 능률적인 기술 및 이를 활용한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다수의 키를 구비한 입력부와, 제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단말기의 한글 어미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부의 키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입력 순열중에서 특정 입력 순열을 기능순열로 지정하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의 키를 조작하여,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특정 기능순열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어미를 포함하는 문자열인 특정 어미 문자열로 변환하고, 당해 특정 어미 문자열이 종성으로 시작할 경우, 상기 종성을 상기 특정 선행모음의 종성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하되, 상기 어미 문자열로는, 어미, 혹은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과 당해 어미로 구성되는 문자열을 지정하며, 상기 특정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특정 선행모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모음으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어미 문자열로는, 종성으로 시작하는 어미, 혹은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과 당해 어미로 구성되는 문자열을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의 키를 조작하여, 음절과 선행자음을 연이어 입력후,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연이어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선행자음을 상기 음절의 종성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특정 어미로 변환하도록 설정하되, 상기 특정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자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음절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이며, 상기 특정 어미는, 상기 특정 기능순열이 상기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입력되었을 때 변환되는 어미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은 "ㅆ" 일 수 있다.
상기 기능순열은 모음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음순열은 "ㅡ"로 시작하는 모음 문자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음순열은, 1타순열과 2타순열을 포함하며, 상기 1타순열과 상기 2타순열의 첫타는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다수의 키는 나랏말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선행모음에 연이어 입력되는 기능순열은, (ㅗ), (ㅜ), (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선행모음에 연이어 입력되는 기능순열은, '쌍자음키'로 시작하는 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입력되는 기능순열은, (ㅡ, ㅏ), (ㅡ, ㅗ), (ㅡ, ㅡ), (ㅡ '쌍자음키'), (ㅣ, ㅏ), (ㅣ, ㅗ), (ㅣ, ㅣ) ,(ㅣ, ㅡ), (ㅣ, '쌍자음키'), (ㅗ, ㅡ), (ㅗ, '쌍자음키'), (ㅜ, ㅏ), (ㅜ, ㅡ), 혹은 (ㅜ, '쌍자음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다수의 키는 천지인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기능순열은, 한 타로 입력 가능한 모음순열을 포함하며, 상기 모음순열은 (ㅡ)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기능순열은, 2타로 입력 가능하며, 상기 기능순열은 (ㅏ), (ㅓ), (ㅗ), (ㅜ), (ㅢ), (ㅡ,ㅡ), (ㅣ,ㅡ), (ㅣ,ㅣ), (@,@), (@,ㅡ), (@,ㅣ), (ㅡ,@), 혹은 (@,
Figure 112012502008765-pat00023
)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다수의 키를 구비한 입력부; 단말기의 제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입력 순열중에서, 특정 입력 순열을 기능순열로 지정하며,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특정 기능순열 입력시,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어미를 포함하는 문자열인 특정 어미 문자열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고리즘을 정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되, 상기 어미 문자열로는, 어미, 혹은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과 당해 어미로 구성되는 문자열을 지정하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특정 기능순열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특정 어미 문자열로 변환하고, 당해 특정 어미 문자열이 종성으로 시작할 경우, 상기 종성을 상기 특정 선행모음의 종성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특정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특정 선행모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모음으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어미 문자열로는, 종성으로 시작하는 어미, 혹은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과 당해 어미로 구성되는 문자열을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알고리즘은,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음절과 선행자음에 연이어 입력시,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특정 어미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고리즘을 더 포함하되, 상기 특정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선행자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음절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이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음절과 선행자음에 연이어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선행자음을 상기 음절의 종성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특정 어미로 변환하되, 상기 특정 어미는, 상기 특정 기능순열이 상기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입력되었을 때 변환되는 어미와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능순열은 모음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음순열은 "ㅡ"로 시작하는 모음 문자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은 "ㅆ" 일 수 있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단말기의 한글 입력에 있어서, 한글 어미를 쉽고 빠르게 입력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나랏말 방식"의 한글 자판을 보여주는 배치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천지인 방식"의 한글 자판을 보여주는 배치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단말기의 바람직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방식의 단말기에 있어서, 한글 어미 변환 프로그램의 예시적인 프로세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지인 방식의 단말기에 있어서, 한글 어미 변환 프로그램의 예시적인 프로세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우선, 도 1, 2 는, 종래기술에 따른 단말기의 한글 자판을 보여주는 배치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적용되는 단말기의 바람직한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입력부(1)는 키보드, 키패드와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 및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키를 구비한다. 상기 키패드, 키보드는 물리적인 키패드/키보드일 수 도 있고, 터치스크린처럼 화면상의 키패드/키보드일 수 도 있다. 무선부(2)는, 휴대전화 통화 혹은 인터넷 등, 단말기가 외부와 무선으로 교신할 수 있는 기능 을 수행한다. 표시부(3)는 액정(LCD)화면과 같이, 단말기의 작업내용 및 상태를 사용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5)는 마이크로프로세서 혹은 중앙처리장치(CPU)와 같은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단말기에서 이루어지는 제반 작업과 기능을 총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저장부(4)는 DRAM과 같은 기억장치를 포함하며, 각종 데이터 혹은 정보를 저장하며, 본 발명의 한글 어미 입력 프로그램을 자세한 변환 알고리즘과 함께 저장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단말기의 한글 어미 입력에 있어서, 여러 입력 순열중에서, 특정 입력 순열을 기능순열로 미리 지정하고, 사용자가 단말기의 입력부(1)를 조작하여,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특정 기능순열을 입력시, 단말기의 제어부(5)에서는, 미리 프로그래밍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미리 지정된 특정 "어미 문자열"로 변환하며, 상기 "어미 문자열"이 종성으로 시작할 경우, 당해 종성은, 상기 선행모음의 종성으로 이동하며, 상기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선행모음와 합쳐져서 하나의 모음으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을 지정한 어미 입력기술을 개시한다. 상기 "기능순열"이란, 여러 입력순열 중에서도, 본 발명의 어미 입력과 관련된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한 입력순열이다. 또한, "어미 문자열"이란, 어미와 관련된(어미를 포함하는) 특정 문자열인데, 구체적인 예는 아래의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입력부(1)를 조작하여, 특정 선행문자(모음 혹은 자음)에 연이어 특정 기능순열을 입력시, 단말기의 제어부(5)에서는, 미리 프로그래밍되어 저장부(4)에 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미리 지정된 문자열인 특정 "어미 문자열"로 변환하는 것을, 간단하게, 사용자가 특정 입력순열을 입력하면, 단말기 혹은 제어부(5)에서는 특정 문자열로 변환(입력)한다고 표현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표 1은 일반적으로, 혹은 종래의 방법으로 한글 모음 합성에 활용하는 모음 입력 순열(알고리즘)의 예를 정리하였다. 이는 수많은 형태의 단말기 자판에서 널리 활용되는 일반적인 입력 순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ㅏ, ㅣ) 즉 ㅏ 를 누르고 연이어 ㅣ 를 누르면 단말기에서는 ㅐ 가 입력되거나, (ㅗ, ㅏ)는 ㅘ 가 입력되는 순열 혹은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일반적인 순열이다. 그러나, (ㅏ, ㅡ) 혹은 (ㅣ, ㅏ) 혹은 (ㅡ, ㅏ) 등은 일반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일반적인 순열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Figure 112012502008765-pat00018
한글 어미 입력에 관하여 좀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기술하면 아래와 같다.
-키보드 방식-
우선 물리적 혹은 화면상의 키보드를 사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키보드 방식) 단말기의 경우를 살펴본다. 상기 키보드란, 통상적인 컴퓨터 키보드의 구성을 가진 것으로서, 영문의 경우, QWERTY자판, 한글의 경우, 두벌식 한글 키보드로 대표된다
표 2에는 키보드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하는 단말기의 한글 입력에 있어서,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한글 어미 변환(입력) 프로그램의 세부 프로세스에 의한 구체적인 알고리즘의 바람직한 예를 정리하였으며, 이러한 알고리즘은 저장부에 저장된다. 좀더 구체적으로는, (ㅏ), (ㅡ), (ㅡ,ㅡ), (ㅡ,ㅏ), (ㅑ), (ㅑ,ㅑ) 순열을 기능순열로 지정 활용한 알고리즘을 정리하였다. (ㅏ)는 ㅏ를 1회 입력하는 입력순열이며, (ㅡ,ㅡ) 혹은 (ㅡㅡ) 는, ㅡ 를 입력하고 연이어 ㅡ 를 입력하는 입력순열이다. 상기 기능순열은, 미리 지정된 "어미 문자열"보다 적은 타수로 입력이 가능한 순열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가능하면 1-2타 순열이 유리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Figure 112012502008765-pat00019
우선 1번 프로세스의 알고리즘의 경우, 사용자가 선행모음(단, ㅡ, ㅗ 제외)에 연이어 기능순열 'ㅏ' 를 입력하면 ㅏ 는 어미 문자열 'ㅆ(받침)다' 로 변환되어 입력되고, 상기 "어미 문자열" 의 첫 종성인 'ㅆ'은 선행모음의 종성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부(1)를 조작하여 '이ㅏ'를 입력하면, 제어부(5)에서는, '특정 선행모음+ㅏ'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며, 미리 지정된 1번 알고리즘에 의하여, ㅏ 를 어미 문자열 'ㅆ(받침)다' 로 변환하고, 당해 "어미 문자열"의 첫 종성 ㅆ 은 선행모음인 ㅣ 의 받침(종성)으로 이동하여 '있' 을 형성한다. 그 결과, '있다'가 입력되어, 그 결과를 표시부(3)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확인한다. 여기서 종성(받침) ㅆ 은 어미에 포함되지 않지만, 이를 어미에 선행하여 함께 자동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능률이 크게 향상된다.
2번 알고리즘의 경우, 선행모음(단, ㅡ 제외) 에 연이어 기능순열 'ㅡ' 를 입력하면, ㅡ 대신 "어미 문자열" 'ㅆ(받침)음'이 변환입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ㅡ'를 입력하면, 제어부에서는 '특정 선행모음 + ㅡ' 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으로 변환하여 표시부(3)에 표시한다.
3번 알고리즘의 경우, 사용자가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기능순열 ㅡㅡ를 입력하면, 단말기에서는, ㅡㅡ 를, 어미 문자열 'ㅆ(받침)습니다' 로 일괄 변환입력한다. 예를 들어, '이ㅡㅡ'를 사용자가 입력하면, 단말기에는 '있습니다'로 변환 입력되어 표시된다. 상기 2, 3 번 알고리즘은 하나의 프로세스로 연결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예를 들어, '이ㅡ'를 입력하면, 제어부(5)에서는 2번 알고리즘(프로세스)이 활성화되어(S11), '있음'으로 변환하며(S12), 본 프로세스는, 연이어 ㅡ 또는 ㅏ 가 추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대기한다. 만일 ㅡ 혹은 ㅏ 가 아닌, 다른(기타) 추가키가 눌러지면(S13) 본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만일 사용자가 연이어 ㅡ 를 입력하면(S13), 제어부(5)에서는 3번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특정 모음 + ㅡㅡ'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우선 상기 '있음'을 변환전으로 환원한다. 즉 '있음'은 '이'로 환원한후, ㅡㅡ 에 해당하는 "어미 문자열"인 'ㅆ(받침)습니다' 를 추가하여, '있습니다'를 최종적으로 변환입력하여 표시부(3)에 이를 표시한다(S15). 만일 사용자가 ㅡ 대신 ㅏ 를 연이어 입력하면, 제어부(5)에서는 3번 알고리즘에 해당하는 '모음 + ㅡㅏ'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우선 상기 '있음'을 변환전으로 환원한 후, ㅡㅏ 에 해당하는 "어미 문자열" 인 'ㅆ(받침)습니까' 를 추가하여, '있습니까'를 최종적으로 변환입력하여 표시부(3)에 이를 표시한다(S14). 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알고리즘에 따라 변환된 내용은 기능순열의 내용(문자)으로 판단하지 않으며, 사용자가 입력부를 조작하여 실제로 입력한 내용을 기준으로 기능순열 입력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알고리즘에 따라 변환된 내용은, 그후 연이어 어떤 특정 기능순열이 추가로 입력될 경우, 그 선행문자로 판단하지 않는다. 그러나 사용자 입장에서는, 복잡한 프로세스를 알 필요가 없으며, 단순히 '이ㅡㅡ'를 입력하기만 하면, '있습니다'가 자동으로 일괄 입력된다. 또한 상기 방식으로 기능순열을 활용하여 '있음'을 입력한 후, ㅡ 를 추가하여, '있으므'를 입력하는 방식은 지원하지 않으며, 종래의 방식대로 '있으므'를 입력하면 된다.
3번 알고리즘에 있어서, 선행모음 뿐 아니라, 선행자음에 연이어 ㅡㅡ 가 입력되어도, 동일한 어미인 '습니다'가 입력된다. 예를 들어, '많ㅡㅡ' 를 입력하면, '많습니다'로 변환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ㅁ ㅏ ㄴ ㅎ ㅡ'를 입력하면 단말기에서는, '만흐'가 입력되어 표시되며, 그 후, 사용자가 연이어 ㅡ 를 입력하면, 단말기에서는, 선행자음 ㅎ 에 연이어 기능순열 ㅡㅡ 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당해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ㅎ 를 그보다 선행하는 음절 '만'의 종성(받침)으로 이동하여 '많'을 형성하고, 그 후, 기능순열 'ㅡㅡ' 대신 어미 '습니다'를 입력하여, 최종적으로 '많습니다'가 변환입력된다. 즉,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ㅡㅡ' 가 입력시에는 'ㅡㅡ' 는 어미 문자열 'ㅆ습니다' 로 변환되도록 미리 지정되어 있지만, 만일 'ㅡㅡ'가 선행자음에 연이어 입력이되면, 상기 어미문자열 'ㅆ습니다' 에 포함되어 있는 어미인 '습니다' 로 변환된다. 다른 말로는, 선행자음에 연이어 ㅡㅡ 가 입력되면, 선행모음에 연이어 ㅡㅡ 가 입력되었을 때 변환(입력)되는 어미인 '습니다'로 변환된다.
즉, 사용자가 어떤 음절과 자음을 연이어 입력후, 특정 기능순열을 연이어 입력시, 단말기에서는, 상기 자음을 상기 음절의 종성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특정 기능순열은, 미리 지정된 특정 어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자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음절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을 지정한다. 또한, 상기 특정 어미는, 상기 기능순열이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입력되었을 때 변환되는 어미 (변환되는 어미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어미)와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서,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입력시, 선행하는 문자가 자음인지 모음인지에 무관하게, 동일한 어미가 입력될 수 있도록 설정한다.
1, 2 번 알고리즘의 경우 "있다", "있음" 에 있어서 마지막 모음이 각각 ㅏ, ㅡ 인데, 본 실시예의 기능순열도 동일하게 각각 ㅏ, ㅡ 를 활용하였으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익히기 쉽다. 또한 1타로 입력가능한 1타순열 'ㅡ' 와, 2타로 입력가능한 2타순열 'ㅡㅡ' 및 'ㅡㅏ'의 첫타를 동일하게 'ㅡ' 로설정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쉽게 익히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ㅡ 를 한번 누르면 'ㅆ음' 이 입력되고, ㅡㅡ 를 누르면 'ㅆ습니다'가 입력되는데, 같은 ㅡ 를 사용하여 많이 사용하는 어미에 속하는 두가지 어미를 입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 입장에서는 ㅡ 하나만 기억하고 있으면 됨으로, 매우 쉽게 익힐 수 있다.
그 결과, "있다, 있음, 있습니다, 있습니까, 입니다, 입니까"에 있어, 한글 어미를 매우 쉽고 빠르게 입력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방식으로는 '있습니까' 를 입력하려면, ㅆ 및 ㄲ 을 입력하기 위해, 쉬프트키를 누른 상태에서 ㅅ 및 ㄱ 을 누르는 번거러운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ㅆ습니까'를 입력하려면, 쉬프트키를 포함하여 무려 10 타를 요하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간단히 ㅡㅡ 만 입력하면, ㅆ 을 포함하여 어미가 일괄 입력되므로 단 2타로 매우 쉽게 입력이 가능하다. 그 결과 표 3에 정리한 어미문자열 입력시, 총 타수는 무려 75.9% 가 감소한다.
Figure 112011501582074-pat00017
요약하면, 우선 본 실시예에 있어, "어미 문자열"은, 어미를 포함하는 문자열중에서도, 종성(받침)으로 시작하는 문자열을 지정한다. 이는, 한글 어미 그 자체일 수도 있고, 혹은 어미에 앞서서 특정 종성이 함께 입력되는 문자열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과 당해 어미로 구성되는 문자열)일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어미가 종성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당해 어미를 그대로 "어미 문자열" 로 지정하고, 어미가 종성으로 시작하지 않는 경우는, 당해 어미앞에 선행되는 특정 종성을 포함해서 "어미 문자열" 로 지정한다. 예를 들어, 'ㅂ니다' 의 경우, 어미 자체가 종성(받침)으로 시작함으로 그대로 "어미 문자열"로 활용한다. 한편, '습니다'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종성으로 시작하지 않는 어미의 경우, 당해 어미 앞에 특정 종성(받침)을 추가한 문자열을 "어미 문자열"로 활용한다. 예컨데, '습니다' 의 경우는, 종성 'ㅆ' 을 추가한, 'ㅆ습니다'를 "어미 문자열"로 활용한다.
또한,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선행모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모음으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을 지정하였는데, 예컨데, (ㅏ, ㅣ), 즉 ㅏ 에 연이어 ㅣ 를 입력한다면, ㅐ 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합성되어버리기 때문에, 선행모음 'ㅏ' 에 연이어 입력되는 기능순열로 'ㅣ' 를 활용할 수 없다. 하지만, (ㅏ, ㅡ) 는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하나의 모음으로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선행모음 'ㅏ' 에 연이어 입력되는 기능순열로 'ㅡ' 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순열은 선행하는 모음 즉 선행모음에 연이어 입력되기도 하고("모음 후발 기능순열"), 혹은 선행하는 자음 즉 선행자음에 연이어 입력되기도 한다("자음 후발 기능순열"). 즉, 사용자가 어떤 음절과 선행자음을 연이어 입력후, 특정 기능순열을 연이어 입력하면, 단말기에서는, 상기 선행자음을 상기 음절의 종성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특정 기능순열은, 미리 지정된 특정 어미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자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음절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을 지정한다. 예컨데, ㄱ + ㅏ 는,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하나의 음절인 '가' 가 합성되어 버림으로, ㅏ 는 자음에 연이어 입력하는 기능순열로 활용할 수 없다. 한편, 'ㄱ + ㅡ + ㅡ' 는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하나의 음절로 합성되지 않으므로, 'ㅡㅡ' 는 자음에 연이어 입력하는 기능순열로 활용할 수 있다.
-나랏말 방식-
다음으로 나랏말 방식의 한글 입력자판을 활용할 경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부의 다수의 키를 '나랏말 방식'으로 구비한 단말기의 한글 입력자판을 활용할 경우의 일실시예를 표 4에 정리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모음키 외에도 기능키, 예를 들어, '쌍자음키'를 특정 기능순열로 활용 가능하다. '쌍자음키' 는 본래 자음에 연이어 입력시 해당 자음을 쌍자음으로 변환하는 키인데, 이를 모음에 연이어 입력시 본 발명의 특정 기능순열로 활용가능하다. 표 4에는, (ㅗ), (ㅡ), (ㅡㅡ), (ㅡㅏ), 쌍자음키(1회), 쌍자음키(2회) 를 각각 기능순열로 지정 활용한 알고리즘을 정리하였다.
삭제
삭제
삭제
Figure 112012502008765-pat00020
표 4의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면, 예를 들어 4번 알고리즘의 경우, 쌍자음키를 모음 후발 기능순열로 지정하고, 사용자가 선행모음에 연이어 쌍자음키를 입력하면, 단말기에서는, 상기 쌍자음키는 "어미 문자열" 인 "ㅂ니다"로 변환되며, 상기 ㅂ 은 선행모음의 종성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이, 쌍자음키' 를 입력하면, 즉, '이'를 입력하고 연이어 쌍자음키를 입력하면, 단말기에서는 '입니다'로 변환 입력된다. 또한, 1번 알고리즘의 경우, ㅗ 를 기능순열로 지정하고, 사용자가 예를 들어, '이, ㅗ'를 입력하면, 단말기에서는 '있다'로 변환 입력된다. 여기서 ㅗ 는, 선행모음으로 ㅜ, ㅗ 가 제외되는 단점이 있으나, '
Figure 112012502008765-pat00015
음,
Figure 112012502008765-pat00016
음' 등의 표기는 표준 표기에는 없으므로 활용 가능하다. ㅜ 도 같은(균등한) 방식으로 제한적으로나마 활용가능하다. 그외의 알고리즘은 표4에 정리한 바와 같다.
그 결과 표 5에 정리 한 바와 같이 크게 타수가 감소하는데, 예를 들어 '있습니다'의 경우, 'ㅆ습니다'를 입력하려면, ㅆ 하나만 입력해도, ㅅ 을 누르고, 손가락을 이동시켜 쌍자음키를 눌러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하면, 종성이 어미와 함께 일괄 입력되므로, 상술한 수고를 덜 수 있다. 결국 종래의 방식으로는 '있습니다'를 입력하기 위해, 무려 11타가 필요하며, 수 많은 자모음키와 '쌍자음키' 및 획추가키를 조작해야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누르고 간단히 'ㅡㅡ'를 누르기만 하면 '있습니다'가 입력된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를 활용하여, 표 5에 정리된 어미문자열을 입력할 경우, 종래 입력 방식에 비하여 평균타수는 무려 79.3%가 감소한다.
또한, (ㅡ), (ㅡ,ㅡ), (ㅡ,ㅏ) 순열을 활용하여, 매우 자주 사용하는 어미를 쉽게 일괄 입력가능하도록 하였는데, 이들 모두 첫타는 공통적으로 ㅡ 로 시작하므로, 사용자 입장에서 익히기가 매우 쉽다. 그 외에도 누르는 자판의 가지수가 감소하여 입력이 쉬워지며 운지(運指)거리가 크게 감소한다는 사실은, 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삭제
Figure 112011501582074-pat00005
입력부에 구비된 다수의 키가 나랏말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는 단말기의 어미 입력에 있어서, 모음 후발 기능순열로서, (ㅗ), (ㅜ), (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용가능하다. 또한, 모음 후발 기능순열은, '쌍자음키'로 시작하는 순열을 활용가능하다. 또한, 자음 및 모음에 연이어 입력될 수 있는 기능순열로는, (ㅡ, ㅏ), (ㅡ, ㅗ), (ㅡ, ㅡ), (ㅡ '쌍자음키'), (ㅣ, ㅏ), (ㅣ, ㅗ), (ㅣ, ㅣ) ,(ㅣ, ㅡ), (ㅣ, '쌍자음키'), (ㅗ, ㅡ), (ㅗ, '쌍자음키'), (ㅜ, ㅏ), (ㅜ, ㅡ), (ㅜ, '쌍자음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활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ㅡ,ㅏ)는 ㅡ 를 누르고 연이어 ㅏ 를 누르는 입력 순열이다.
-천지인 방식-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키를 '천지인 방식'으로 구비한 단말기의 입력자판을 활용할 경우, 실시예를 표 6에 정리하였다.
활용가능한 기능순열을 살펴본다. 특기점으로는, 문자중에서도 기호 @ 를 활용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이메일 주소를 표기시에는 @를 한번 입력하므로, 본 실시예와 같이 2, 3 번 연속 입력하는 것을 기능순열로 활용 가능하다.
우선 모음 후발 기능순열의 경우, 1타 순열로는, ㅡ 를 활용 가능하다. 또한, 2타 순열로는, (ㅏ), (ㅓ), (ㅗ), (ㅜ), (ㅢ), (ㅡ,ㅡ), (ㅣ,ㅡ), (ㅣ,ㅣ), (@,@), (@,ㅡ), (@,ㅣ), (ㅡ,@), (@,
Figure 112012502008765-pat00024
)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활용가능하다. 또한, 자음에 연이어 입력 가능한 2타 기능순열로는, (@,@), (ㅡ,ㅡ), (ㅣ,ㅡ), (ㅣ, ㅣ), (@,ㅡ), (@,ㅣ), (ㅡ,@), (ㅣ, @), (@,
Figure 112012502008765-pat00025
)중 적어도 어느하나를 활용가능하다.
표 6에서는, (ㅡ), (ㅡㅡ), (ㅡㅡㅡ), (@@), (@@@) 를 각각 기능순열로 지정활용한 알고리즘을 정리하였다.
Figure 112012502008765-pat00021
예를 들어, 1, 2번 알고리즘에서, ㅡ 와 ㅡㅡ와 ㅡㅡㅡ를 각각 기능순열로 지정하고, '이ㅡ' 를 입력하면, '있음'이 입력되고, 연이어 ㅡ 를 누르면 '있습니다' 가 입력되며, 또 한번 ㅡ 를 누르면 '있습니까' 가 입력된다. 즉 1, 2 번 알고리즘은 하나의 프로세스로 연결되어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도 5에 도시한바와 같이,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키를 조작하여, '이ㅡ'를 입력하면, 제어부(5)에서는 1번 알고리즘이 활성화되어(S21), '있음'으로 변환 입력하며(S22), 본 프로세스는, 연이어 ㅡ 가 추가로 입력 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대기한다. 만일 ㅡ 이외의 다른(기타) 추가키가 입력되면(S23)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만일, 연이어 ㅡ 가 추가로 입력되면(S23), 2번 알로리즘에 의하여, '있습니다' 가 변환입력된다(S24). 좀더 구체적으로는, 우선 상기 '있음'을 변환전으로 환원, 즉 '이'로 환원한후, ㅡㅡ 에 해당하는 "어미 문자열"인 'ㅆ(받침)습니다' 를 추가하여, '있습니다'를 최종적으로 변환입력한다. 그후, 프로세스는 연이어 ㅡ 가 또다시 추가 입력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기한다.
만일 ㅡ 이외의 다른(기타) 추가키가 입력되면(S23)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만일 연이어 ㅡ 가 추가 입력되면, 제어부에서는 '특정 선행모음 + ㅡㅡㅡ ' 가 입력된 것으로 인식하고, '있습니까'를 변환입력하고(S26),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즉 'ㅡ' 자판 하나만을 사용하여 1,2 번 알고리즘을 모두 입력 가능하여, 익히기 쉽다는 특징이 있다. 그외의 입력방법은 표 6에 정리한 바와 같다.
표 7에 정리한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으로는 'ㅆ습니다'를 입력하려면 수많은 자모음키를 찾아서 무려 12타를 입력해야 한다. 또한, ㅆ 하나만 입력하려해도 ㅅ/ㅎ 자판을 무려 3번 연속해서 눌러야 하며, 연이어 ㅅ 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을 방향키로 이동시켜서 커서를 우측으로 한 칸 이동시킨 후, 또다시 ㅅ 을 누르곤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히 ㅡㅡ 만 누르면 'ㅆ습니다'가 입력됨으로, 단 2타로 매우 쉽게 입력 가능하다. 이상의 결과 표 7에 정리한 어미문자열의 입력에 있어 총 타수는 종래 방식에 비하여 무려 75.4%가 감소한다.
삭제
Figure 112011501582074-pat00007
*동일자판 글자를 연속입력시 방향키 조작 타수포함
요약하면,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기능순열을 활용하여 복잡한 한글 어미의 입력을 적은 타수로 쉽게 일괄 입력할 수가 있다. 이는 타수가 크게 감소한다는 장점뿐 아니라, 누르는 자판의 가지수가 감소하여 입력이 쉬워지며, 운지(運指)거리가 크게 감소한다는 장점이 있음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기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합성 알고리즘으로 특정 선행모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모음으로 합성되지 않는 모음순열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음순열(문자열)은 "ㅡ"로 시작하는 모음 문자열을 활용하여 다양하게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모음순열을 활용한 기능순열중에서, 2타순열과 1타순열의 첫타는 동일하게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기능순열을 익히고 암기하고 입력할 수 있다. 예컨데, 1타순열은 'ㅡ', 2타순열은 'ㅡㅏ' 로 지정한다면 첫타가 공히 ㅡ 이므로 쉽게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모음후발 기능순열을 활용하여 어미를 일괄 입력함에 있어서, 어미가 받침(종성)으로 시작하지 않을 경우, 특정 받침(종성)이 당해 어미에 선행하여 함께 입력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습니다' '음' '다' 와같이 받침이 포함되지 않는 어미를 일괄 입력시에도, 선행 받침 'ㅆ' 이 함께 입력되도록 하였다. 그 결과, 기능순열을 활용하여 복잡한 한글어미를 매우 쉽게 일괄입력 가능할 뿐 아니라, ㅆ 을 입력하기 위하여, 컴퓨터 키보드 방식에 있어서, 쉬프트키를 일일이 누른다거나, 천지인 방식에 있어서 ㅅ/ㅎ 자판을 연속 3번 누르는 수고를 덜 수 있다. 'ㅆ'은 한글어미 입력에 있어 매우 자주 사용하는 종성임에 주목해야 한다. 또한, 선행모음에 연이어 종성을 입력하지 않고, 곧바로 기능순열을 입력하기 때문에, ㅡ, ㅏ, ㅑ 와 같이 하나의 모음으로 구성된 순열을 기능순열로 활용가능하게 되어,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하다. 또한, 사용자가 예를 들어, 어떤 문장을 입력도중, 어느 시점에서, 어미를 일괄 입력하기 위하여 기능순열을 입력할 것인지에 대하여, 별도의 훈련을 하지 않고도 쉽게 익힐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하기를 원하는 어미와 관련된 특정 받침을 기억하고 있다가, 당해 받침을 입력하기 직전에 원하는 특정 기능순열을 입력하면 된다. 예를 들어, '있습니다'의 경우, '이'를 누르고 종성 'ㅆ' 을 누르기 위해 쉬프트키를 누르려고 잠시 입력의 연속성이 끊긴 순간을 활용하여 그대로 ㅡㅡ (예를 들어)를 입력해버리면 된다. 또한, 'ㅂ니다'의 경우에도, 특정 모음에 연이어 종성 'ㅂ'을 입력하는 대신 바로 ㅑ (예를 들어)를 입력하기만 하면 된다. 즉, 특정 어미와 연관된 특정 종성을 입력하기 직전에 특정 기능순열을 입력한다는 점만 기억하고 있다면 매우 쉽게 활용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상술한 3가지의 자판에 국한 된 것은 아니며, 현재 사용 중이거나, 혹은 앞으로 개발될 다른 여러 가지 형태의 자판에 응용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와 같이, 선행자음 혹은 선행모음에 있어 선행이라는 것은 기능순열에 선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3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다수의 키를 구비한 입력부와, 제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단말기의 한글 어미 입력 방법으로서,
    상기 입력부의 키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입력 순열중에서 특정 입력 순열을 기능순열로 지정하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의 키를 조작하여,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특정 기능순열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어미를 포함하는 문자열인 특정 어미 문자열로 변환하고,
    당해 특정 어미 문자열이 종성으로 시작할 경우, 상기 종성을 상기 특정 선행모음의 종성으로 이동시키도록 설정하되,
    상기 어미 문자열로는,
    어미, 혹은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과 당해 어미로 구성되는 문자열을 지정하며,
    상기 특정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특정 선행모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모음으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어미 문자열로는,
    종성으로 시작하는 어미, 혹은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과 당해 어미로 구성되는 문자열을 지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의 키를 조작하여, 음절과 선행자음을 연이어 입력후,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연이어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선행자음을 상기 음절의 종성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특정 어미로 변환하도록 설정하되,
    상기 특정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자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음절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이며,
    상기 특정 어미는, 상기 특정 기능순열이 상기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입력되었을 때 변환되는 어미와 동일하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은 "ㅆ"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순열은 모음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순열은 "ㅡ"로 시작하는 모음 문자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순열은,
    1타순열과 2타순열을 포함하며
    상기 1타순열과 상기 2타순열의 첫타는 동일하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
  23. 제16항 혹은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다수의 키는 나랏말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선행모음에 연이어 입력되는 기능순열은,
    (ㅗ), (ㅜ), (ㅡ)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선행모음에 연이어 입력되는 기능순열은,
    '쌍자음키'로 시작하는 순열을 포함하는 것인, 한글 어미 입력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입력되는 기능순열은,
    (ㅡ, ㅏ), (ㅡ, ㅗ), (ㅡ, ㅡ), (ㅡ '쌍자음키'), (ㅣ, ㅏ), (ㅣ, ㅗ), (ㅣ, ㅣ), (ㅣ, ㅡ), (ㅣ, '쌍자음키'), (ㅗ, ㅡ), (ㅗ, '쌍자음키'), (ㅜ, ㅏ), (ㅜ, ㅡ), 혹은 (ㅜ, '쌍자음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
  27. 제16항 혹은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다수의 키는 천지인 방식으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기능순열은,
    한 타로 입력 가능한 모음순열을 포함하며,
    상기 모음순열은 (ㅡ) 를 포함하는 것인, 한글 어미 입력 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기능순열은,
    2타로 입력 가능하며,
    상기 기능순열은 (ㅏ), (ㅓ), (ㅗ), (ㅜ), (ㅢ), (ㅡ,ㅡ), (ㅣ,ㅡ), (ㅣ,ㅣ), (@,@), (@,ㅡ), (@,ㅣ), (ㅡ,@), 혹은 (@,
    Figure 112012502008765-pat00026
    )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어미 입력 방법.
  30.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다수의 키를 구비한 입력부;
    단말기의 제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입력하는 입력 순열중에서, 특정 입력 순열을 기능순열로 지정하며,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특정 기능순열 입력시,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어미를 포함하는 문자열인 특정 어미 문자열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고리즘을 정의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되,
    상기 어미 문자열로는,
    어미, 혹은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과 당해 어미로 구성되는 문자열을 지정하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특정 기능순열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특정 어미 문자열로 변환하고,
    당해 특정 어미 문자열이 종성으로 시작할 경우, 상기 종성을 상기 특정 선행모음의 종성으로 이동시키되,
    상기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특정 선행모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모음으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어미 문자열로는,
    종성으로 시작하는 어미, 혹은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과 당해 어미로 구성되는 문자열을 지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는 알고리즘은,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음절과 선행자음에 연이어 입력시,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특정 어미로 변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고리즘을 더 포함하되,
    상기 특정 기능순열은, 일반적인 한글 합성 알고리즘에 의하여, 상기 선행자음과 합쳐져서 하나의 음절로 합성되지 않는 순열이며,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에 구비된 키를 조작하여, 음절과 선행자음에 연이어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해당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선행자음을 상기 음절의 종성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특정 기능순열을 특정 어미로 변환하되,
    상기 특정 어미는, 상기 특정 기능순열이 상기 특정 선행모음에 연이어 입력되었을 때 변환되는 어미와 동일하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순열은 모음순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순열은 "ㅡ"로 시작하는 모음 문자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어미에 선행하는 특정 종성은 "ㅆ"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110049897A 2011-01-19 2011-05-24 한글 어미 입력 방법 및 이를 활용한 단말기 KR101207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06118 2011-01-19
KR1020110006118 2011-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242A KR20120084242A (ko) 2012-07-27
KR101207440B1 true KR101207440B1 (ko) 2012-12-06

Family

ID=46715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897A KR101207440B1 (ko) 2011-01-19 2011-05-24 한글 어미 입력 방법 및 이를 활용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4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175B1 (ko) 2013-06-04 2021-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단말에서 터치 스크린을 통해 수신되는 키 패드 입력을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41B1 (ko) 2006-12-29 2007-05-31 주식회사 네오패드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4141B1 (ko) 2006-12-29 2007-05-31 주식회사 네오패드 한글 표출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84242A (ko) 2012-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344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visual indication of character ambiguity during text entry
US6356258B1 (en) Keypad
CN109844696B (zh) 多语言字符输入装置
CN103970283A (zh) 双手操作的虚拟键盘的提供装置及提供方法
JP2017509080A (ja) 漢字入力装置と漢字入力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漢字検索方法
US20110022956A1 (en) Chinese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Thereof
CN102866826A (zh) 一种字符输入方法及其装置
JP2008059568A (ja) 数字キーを用いる文字入力装置及び文字入力方法
US791136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i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CN100456216C (zh) 以英文韵母组为基础的中文双拼输入法
KR101207440B1 (ko) 한글 어미 입력 방법 및 이를 활용한 단말기
US20150113467A1 (en)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letters in a mobile terminal
CN102073446A (zh) 用于数据输入的方法和系统
JP4887514B2 (ja) 漢字後続文字入力法
JP3197051U (ja) キー入力装置
JP4133523B2 (ja) キャラクター入力装置
US20150278176A1 (en) Providing for text entry by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KR20120060732A (ko) 준세벌 한글자판과 새로운 두루자판 시스템
JP2012003705A (ja) 記録媒体及び情報処理装置
JP2005316917A (ja) 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WO2010049581A1 (en) Adaptive search
KR100609020B1 (ko) 사용자 직관에 의한 문자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50088974A (ko) 키 사용 빈도에 따라 인식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을 적용한 qwerty 키패드
CN103309595A (zh) 一种用错别字输入汉字的显示屏软键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