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039B1 -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039B1
KR101491039B1 KR20130131788A KR20130131788A KR101491039B1 KR 101491039 B1 KR101491039 B1 KR 101491039B1 KR 20130131788 A KR20130131788 A KR 20130131788A KR 20130131788 A KR20130131788 A KR 20130131788A KR 101491039 B1 KR101491039 B1 KR 101491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raille
smartphone
delete delet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식
김기범
김준태
정해동
김관명
김남훈
Original Assignee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31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0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0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selection means, e.g. keys, having functions defined by the mode or the status of th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7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 H04M1/7248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user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스마트폰과 연동되면서 손쉽게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점자를 입력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을 감싸는 외부 케이스 형태의 패드로 어루어지되, 상기 패드는: 상기 스마트폰을 감싸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어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키; 상기 점자키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점자키에 의한 점자 입력을 완료시키는 완료키; 상기 점자키 상단에 형성되어 입력된 점자를 삭제하는 삭제키; 및 상기 점자키, 완료키 및 삭제키의 작동을 감지하여 입력된 점자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Input device for smart 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스마트폰으로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IT산업의 발달에 힘입어 종래 피쳐폰 위주의 휴대폰이 스마트폰으로 급격히 대체되고 있다.
상기 스마트폰은 기본적인 통화 및 문자 기능을 포함하며, 또한 자체적인 OS와 카메라, GPS, 진동센서 등을 포함하고 있어, 응용프로그램에 따라 매우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출력장치는 패널, 스피커, 진동기 등을 포함하므로, 영상 신호, 다양한 소리 신호 및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입력 장치는 통상 터치패널로 구현되어 응용프로그램(앱)의 여부에 따라 역시 매우 다양한 형태의 입력을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시각 장애인이 상기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경우, 스피커 및 진동기를 통한 출력은 인지할 수 있으나, 터치패널을 입력 장치의 사용은 다소 무리가 있어 점자 등을 입력할 수 있는 별도의 입력장치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문제점에 따라 시각 장애인이 휴대폰에 사용할 수 있는 점자 입력 장치 기술이 다수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501896호를 들 수 있다. 상기 특허는 점자 입/출력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및 점자입/출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은 표준점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표준점자 정보 저장 수단; 사용자로부터 점자정보 형태로 문자 데이터를 입력받고, 점자정보로 번역된 문자 데이터를 진동을 통하여 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수단; 상기 입출력 수단으로부터 점자정보 형태로 입력되어 점자번역 수단에 의해 번역된 문자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하고, 외부로부터 문자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 수단; 상기 입출력 수단으로 출력할 문자 데이터를 점자정보로 번역하고, 상기 입출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점자정보를 상기 표준점자 정보 저장 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표준점자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 데이터로 역번역하기 위한 상기 점자번역 수단; 상기 점자번역 수단에 의해 역번역된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 및 상기 입출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점자정보를 상기 점자번역 수단으로 전달하여 역번역되도록 한 후에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하였다가 역번역된 문자 데이터를 상기 무선송수신 수단으로 전달하고, 상기 입출력 수단으로 출력할 문자 데이터를 상기 점자번역 수단으로 전달하여 번역되도록 한 후에 번역된 점자정보에 따라 상기 입출력수단으로 진동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는 기존 휴대폰의 키패드를 이용하는 것으로, 입출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구성이 다소 복잡하고, 실제 터치패널을 이용하는 스마트폰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따라서, 출력장치는 기존의 방식을 이용하면서, 간단한 구성으로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점자 입력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스마트폰과 연동되면서 손쉽게 점자를 입력할 수 있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점자를 입력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을 감싸는 외부 케이스 형태의 패드로 어루어지되, 상기 패드는: 상기 스마트폰을 감싸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어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키; 상기 점자키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점자키에 의한 점자 입력을 완료시키는 완료키; 상기 점자키 상단에 형성되어 입력된 점자를 삭제하는 삭제키; 및 상기 점자키, 완료키 및 삭제키의 작동을 감지하여 입력된 점자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자키는 6개의 개별 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점자키는 터치 패널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 패널의 표면에는 점자키를 구분할 수 있는 마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 점자키는 돌출형 기계식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스위치는 각 점자키를 구분할 수 있도록 구별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완료키와 상기 삭제키는 터치 패널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 패널 표면에는 각 키를 구분할 수 있는 마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장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연결부와 대응되는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접속부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와 접속부는 유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폰에 점자를 입력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을 감싸는 외부 케이스 형태의 패드로 어루어지되, 상기 패드는: 상기 스마트폰을 감싸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어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기능키; 및 상기 점자키와 다수의 기능키의 작동을 감지하여 입력된 점자 또는 스마트폰 조작 기능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능키는 백스페이스키, 시프트키, 스페이스키, 엔터키, 전송키 및 모드변경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드변경키는 조작에 따라 다른키의 기능을 한글, 영어 및 스마트폰 조작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패드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진동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소자는 상기 모드변경키의 조작에 따라 다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각 모드별로 구별되는 진동수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구현되고, 간단한 방법으로 점자를 입력하면, 입력된 점자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되는 구성으로, 스마트폰 케이스에 부착하는 경우 휴대가 편리하므로, 시각 장애인들의 스마트폰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패드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드를 제어하는 제어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마트폰의 기능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패드의 다른 실시예이며,
도 6은 도 5에서 다른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 키 기능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1)과 상기 스마트폰(1)과 통신에 의하여 연동하되, 상기 스마트폰(1)의 후면에 결합하는 휴대폰 케이스 형태로 구성되는 패드(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마트폰(1)은 통상의 스마트폰(1) 뿐만아니라 테이블릿 피씨로 대체 가능하고, 또한 노트북 피씨로도 대체 가능하므로, 이하의 스마트폰(1)은 상기 테이블릿 피씨 및 노트북 피씨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패드(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1)을 수용하는 케이스(20)와 상기 케이스(20) 상면에 형성되는 6개의 점자키(30), 상기 점자키(30)의 하단에 형성되는 완료키(40), 상기 점자키(30) 상단에 형성되는 삭제키(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스(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하드타입으로 구성되어 내면에는 상기 스마트폰(1)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21)가 형성되며, 내면에는 각종 부품이 탑재되므로, 일정한 두께로 형성한다.
상기 케이스(20)의 상면(배면)에는 6개의 점자를 표현하는 점자키(30)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점자키(30) 하단에는 완료키(40) 그리고 상기 점자키(30)의 상단에는 삭제키(50)가 형성된다.
먼저 상기 점자키(30)는 6개로 구성되며, 각 점자키(30)는 개별적으로 동작하는 구성으로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상기 점자키(30)를 작동시켜 점자를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 점자는 6개의 점을 조합하여 구성되므로, 상기 점자키(30) 역시 6개의 개별 키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점자키(30)는 6개의 개별 터치 패널 형태로 구성하며, 각 점자키(30) 표면에는 키의 위치를 구분할 수 있는 마커(31)가 형성되어 손가락이 접촉 시 해당 점자키(30)를 구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점자키(30)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기계식 스위치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돌출부는 각각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점자키(30)의 하단에는 완료키(40)가 형성되며, 상기 완료키(40)는 상기 개별 점자키(30)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완료키(40)의 기능을 사용자가 상기 점자키(30)를 이용하여 점자의 입력이 완성된 경우 작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완료키(40)가 작동하면, 하나의 점자의 입력이 완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완료키(40) 역시 표면에 마커(41)를 형성하여 손가락의 접촉으로 해당 키를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터치 패널 형태로 구성할 수 도 있으며, 기계식 스위치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키(30) 상단에는 삭제키(50)가 위치한다. 상기 삭제키(50)는 상기 완료키(40)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역시 표면에 키의 기능을 인식할 수 있는 마커(51)가 형성된다.
상기 삭제키(50)는 사용자가 상기 점자키(30) 작동 시 잘못된 작동이 있는 경우 상기 삭제키(50)를 작동하면, 다시 새로운 점자를 입력하도록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패드(10)는 상기 키들의 입력처리와 스마트폰(1)으로 전송을 처리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장치(9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장치(90)는 점자키(30), 완료키(40) 및 삭제키(50)의 동작을 인식하여 입력되는 점자를 인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점자키(30)를 작동한 후 상기 완료키(40)를 작동하는 경우 이전에 입력된 작동된 점자키(30)를 인식하여 스마트폰(1)으로 전송하고, 점자키(30) 입력 후 삭제키(50)가 입렵되는 경우 이전에 입력된 점자키(30)를 삭제하는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90)는 상기 스마트폰(1)과 통신을 위한 연결부(91)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91)는 블루투스 등의 규약을 갖는 무선통신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유선방식으로 스마트폰(1)과 통신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선방식의 경우에는 통상의 스마트폰(1) 연결 방식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90)는 필요한 경우 배터리(92)를 포함하며, 특히 연결부(91)의 방식이 무선인 경우에는 반드시 필요한 구성이고, 유선방식인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의 전원으로 구동하게 구현할 수 있으나, 신호만 전송하고 나머지 작동은 배터리(92)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부(2), 상기 접속부(2)의 신호로 점자를 처리하는 처리모듈(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처리모듈(3)은 앱형태로 탑재되는 스마트폰(1)에 탑재되어 스마트폰(1)의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처리모듈(3)에 의하여 인식된 점자를 별도의 기능을 하는 앱으로 전송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는 상기 패드(10)에 구성되는 연결부(91)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연결부(91)가 무선모듈인 경우에는 역시 대응되는 무선모듈이며, 연결부(91)가 유선인 경우에는 접속 연결선의 연결잭에 해당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처리모듈(3)은 연속되어 입력되는 점자를 한글 등으로 번역되어 처리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동시에 입력된 점자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10)는 기능키를 확장하여 도 5와 같은 구성으로도 구성될 수 있다.
전체 키는 점자키(110) 6개와 나머지 6개의 기능키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기능키 중 백스프이스키(120)는 입력된 문자를 지우는 기능을 하며, 시프트키(130)는 통상의 키보드와 같이, 대문자, 한글의 경우에는 쌍자음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스페이스키(140)은 공백 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하며, 엔터키(160)는 줄바꿈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전송키(170)는 입력된 문자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모드변경키(150)는 상기 도 5에 도시된 키들을 다른 기능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모드변경키(150)는 한글, 숫자, 영어, 조작 기능을 위한 키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한글, 숫자, 영어는 해당 점자를 입력하여 전송하면 되므로, 별다른 기능 변화가 없으나, 조작 기능을 스마트폰(1)의 기능을 조작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현될 수 있으나, 필요한 경우에는 다른 형태로도 구현 가능하다.
상기 패드(10)에서 입력되는 문자는 상기 제어장치(90)가 단위 문자별로 스마트폰(1)으로 전송하고, 조작 기능 역시 단위 조작에 해당하는 문자를 스마트폰(1)에 전송하면, 처리모듈(3)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현된다.
그리고 상기 모드변경키(150)의 모드는 패드(10)에 별도의 진동소자를 추가하여 각 키입력 시 진동으로 현재의 모드를 알려주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100)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이며, 단순한 동작에 의하여 점자를 입력하므로, 외부 케이스 대용으로 장착되어 스마트폰(1)의 점자 입력 장치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스마트폰 2: 접속부
3: 처리모듈 10: 패드
20: 케이스 21: 안착부
30: 점자키 31: 마커
40: 완료키 41: 마커
50: 삭제키 51: 마커
90: 제어장치 91: 연결부
92: 배터리 100: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110: 점자키 111-116: 점자키
120: 백스페이스키 130: 시프트키
140: 스페이스키 150: 모드변경키
160: 엔터키 170: 전송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스마트폰에 점자를 입력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의 배면을 감싸는 외부 케이스 형태의 패드로 어루어지되,
    상기 패드는:
    상기 스마트폰을 감싸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어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키;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기능키; 및
    상기 점자키와 다수의 기능키의 작동을 감지하여 입력된 점자 또는 스마트폰 조작 기능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기능키는 백스페이스키, 시프트키, 스페이스키, 엔터키, 전송키 및 모드변경키를 포함하며,
    상기 모드변경키는 조작에 따라 다른키의 기능을 한글, 영어 및 스마트폰 조작으로 변화시키며,
    상기 패드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는 진동소자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진동소자는 상기 모드변경키의 조작에 따라 다른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각 모드별로 구별되는 진동수로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KR20130131788A 2013-10-31 2013-10-31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KR101491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1788A KR101491039B1 (ko) 2013-10-31 2013-10-31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1788A KR101491039B1 (ko) 2013-10-31 2013-10-31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039B1 true KR101491039B1 (ko) 2015-02-10

Family

ID=52591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1788A KR101491039B1 (ko) 2013-10-31 2013-10-31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03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788B1 (ko) * 2017-04-28 2018-12-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
KR20200081651A (ko) * 2018-12-28 2020-07-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입력 장치
KR20200085988A (ko) * 2019-01-08 2020-07-16 (주)건융아이비씨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RU217703U1 (ru) * 2022-10-26 2023-04-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4Блайнд" (ООО "4Блайнд") Устройство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доступа к функциональным возможностям сенсорного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для людей с одновременным нарушением зрения, слуха и реч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264U (ko) * 2008-12-11 2010-06-21 곽창인 장애인용 핸드폰 키보드
KR20110063600A (ko) * 2009-12-05 2011-06-13 이영익 시각장애우용 점자 입출력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264U (ko) * 2008-12-11 2010-06-21 곽창인 장애인용 핸드폰 키보드
KR20110063600A (ko) * 2009-12-05 2011-06-13 이영익 시각장애우용 점자 입출력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788B1 (ko) * 2017-04-28 2018-12-28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밴드형 점자 입력 장치
KR20200081651A (ko) * 2018-12-28 2020-07-0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입력 장치
KR102185561B1 (ko) 2018-12-28 2020-12-0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입력 장치
KR20200085988A (ko) * 2019-01-08 2020-07-16 (주)건융아이비씨 외부단말기 연동 점자입력장치
RU217703U1 (ru) * 2022-10-26 2023-04-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4Блайнд" (ООО "4Блайнд") Устройство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доступа к функциональным возможностям сенсорного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для людей с одновременным нарушением зрения, слуха и реч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8261B2 (en) Remote controll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KR101104749B1 (ko) 정보입력 기능을 가지는 마우스패드
US20110020771A1 (en) Electronic braille typing interface
KR101774707B1 (ko) 사용자별 커스텀 키보드 매핑이 가능한 블루투스 IoT 키보드
TWI423030B (zh) Quickly switch the mouse head of the connection mouse
WO2019183772A1 (zh) 一种指纹解锁方法及终端
KR20220123036A (ko) 터치 키,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101491039B1 (ko) 스마트폰용 점자 입력 장치
KR101565445B1 (ko)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WO2016121034A1 (ja) ウェアラブル装置、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80316B1 (ko) 스마트폰용 점자 입출력 장치
CN110719361A (zh) 信息发送方法、移动终端和存储介质
CN105447025B (zh) 可携式电子装置及其信息处理方法
KR102032196B1 (ko) 점자 인식이 가능한 하이브리드 워치
KR100901482B1 (ko) 가상 메뉴 맵을 이용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방법
JP2010198597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備える電子機器の動作制御方法
JP2013168762A (ja) 情報入力装置および情報入力方法
KR20150123022A (ko) 점자를 입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104305A (ko) 스마트 기기용 점자 출력 시스템
CN203872302U (zh) 一种光学触摸智能遥控装置
CN112313609B (zh) 在输入设备上集成滑动和触摸的方法和装置
KR20110018027A (ko) 모르스 부호를 이용한 메시지 생성 시스템, 관리서버, 휴대단말기 및 방법
KR100796335B1 (ko) 입력수단의 모르스부호 입력 구조 및 입력 방법
KR20160033958A (ko) 빠른 입력이 가능한 웨어러블용 소형 키보드
KR20050122662A (ko) 이중 센서 기반의 문자입력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