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445B1 -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5445B1
KR101565445B1 KR1020130137150A KR20130137150A KR101565445B1 KR 101565445 B1 KR101565445 B1 KR 101565445B1 KR 1020130137150 A KR1020130137150 A KR 1020130137150A KR 20130137150 A KR20130137150 A KR 20130137150A KR 101565445 B1 KR101565445 B1 KR 101565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able
character
characters
communication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7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4560A (ko
Inventor
박제상
Original Assignee
박제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제상 filed Critical 박제상
Priority to KR1020130137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5445B1/ko
Publication of KR20150054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4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5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5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4Transmit/receive switching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는 스마트폰에 관한 것으로, 웨어러블 장갑의 표면에 코딩된 디스플레이 표시문자/숫자가 인쇄되며,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들이 부착된 웨어러블 착용부;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입력받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통신부; 및 웨어러블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된 후,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웨어러블 통신부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감지된 문자나 숫자 데이타를 입력받는 스마트폰;를 포함하고,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의 버튼에 의해 한글(자음, 모음), 영문(대문자, 소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 타입이 선택되며,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 표면에 코팅된 디스플레이 표시문자/숫자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Wearable device to input characters in a touch type onto glove attached to points of contact and smart phon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손접점들이 부착된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가 부착된 웨어러블 착용부의 센서 접촉에 의하여 한글(자음, 모음), 영문(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가 선택되도록 손가락마다 복수의 손접점들을 구비하는 웨어러블 착용부와 연결된 손목에 착용하는 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통신부로부터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한글, 영문, 숫자, 특수문자 입력을 제공하여 웨어러블 문자 입력 모드의 스마트폰을 구동하는,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의 키패드의 문자 입력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폰의 키패드는 이동통신사마다 문자 입력 방식이 다르고, 영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각 숫자 버튼의 영문자 표시 버튼과 이에 대응되는 영어 알파벳이 2∼3개씩 병기되어 있다. 즉, 1에는 QZ, 2에는 ABC, 3에는 DEF, 4에는 GHI, 5에는 JKL, 6에는 MNO, 7에는 PRS, 8에는 TUV, 9에는 WXY가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영문자가 병기된 키패드를 이용한 종래의 문자입력 방법은, 먼저 숫자를 입력할 경우에 전화기의 숫자 입력 버튼을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해당 숫자가 병기된 버튼을 다이얼링 함으로써 숫자가 입력된다.
문자를 입력할 경우, 별도의 기능 버튼을 조작하여 통화 모드에서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에 같은 숫자 버튼을 몇 번 연속하여 누름으로써 해당 버튼에 할당된 문자가 표시되는데, 동일한 숫자버튼을 몇 번이나 조작하였는지에 따라 해당 버튼에 병기된 영문자가 순차적으로 변하면서 입력된다. 또는 입력부의 접촉시간에 따른 입력문자(영어, 한글, 숫자, 특수문자)가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숫자 버튼 [3]을 한 번 누르면 첫 번째 문자인 D가 액정 표시기에 표시되고, [3]을 두 번 연속하여 누르면 E가 표시되며, 세 번 연속하여 누르면 F가 표시되고, 네 번 연속하여 누르면 3이 표시된다.
최근,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터치 방식으로 문자를 쉽고 빠르게 입력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사용자가 키패드를 단순히 눌러 문자를 입력하는 일반폰과 달리 스마트폰은 X 센싱 전극과 Y 센싱 전극이 형성된 투명 전도성 필름에 OCA(Optically Clear Adhesive) 필름으로 합착하여 터치패널을 제작하는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touch screen)과 터치 센서 시스템을 구비하며, 터치 패널의 (X,Y) 좌표에서 터치(touch)로 눌러진 부분이 electric field coupling에 의해 정전 용량(capacitance)이 발생하여 capacitance multitouch controller와 host porcessor에 의해 터치 입력을 감지하며, 패턴 인식을 사용한 비밀번호 인식, 문자나 숫자 또는 터치 방식으로 입력한다. 터치스크린을 사용하는 문자 입력방식을 구비하는 스마트폰은 터치 방식으로 톡톡 두드리는 태핑(tapping), 슬라이딩(sliding, 드래그&드롭), 엄지와 검지로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특정 부분을 집거나 펼쳐 스마트폰의 화면을 확대 축소하는 핀칭(pinching)을 포함하는 터치 제스처를 사용하여 화면 보기가 동작되며, 이동통신 회사마다 터치스크린 기반 휴대 단말기 문자 입력 모드를 다르게 적용하여 사용한다.
또한, 터치 제스처를 활용한 문자입력기술은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모바일 메신저가 보급되면서 문자입력기술에 대해 관심이 커지고 있으며, 자판의 효과적 배치를 통하여 문자입력 오류를 줄이거나, 입력되는 문자당 터치의 수를 최소화하여 문자나 숫자를 입력한다. 예를 들면, 키패드 자판에 자음만을 배치하고 모음은 드래그를 통해 입력하는 기술과 자판의 드래그 방향에 따라 기본자로부터 파생되는 자음을 입력하는 기술 그리고 입체적인 다면체를 회전시킴으로써 모음을 입력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최근, 글로벌 기업들은 스마트폰 이외에 웨어러블 컴퓨팅(Wearable Computing)을 인체의 생체 신호를 이용한 스마트 센서(Smart Sensor)를 사용하는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고 많은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스마트폰은 최근 개발되고 있는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기기와 문자나 숫자를 입력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았다.
특허공개번호 10-2002-0018789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가락의 손접점 또는 손가락 끝에 정전식 패드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들이 부착된 웨어러블 착용부의 한글(자음, 모음), 영문(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선택하고 손가락마다 복수의 손접점을 구비하는 밴드 형태로서 웨어러블 착용부와 연결되며 착용시 손목에 위치하는 웨어러블 통신부로부터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한글, 영문, 숫자, 특수문자 입력을 제공하여 웨어러블 문자 입력 모드의 스마트폰을 구동하는,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웨어러블 장갑의 표면에 코딩된 디스플레이 표시문자/숫자가 인쇄되며,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들이 부착된 웨어러블 착용부와,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입력받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엄지, 검지, 중지, 반지, 약지의 손접점들마다 행렬 방식으로 배치된 초소형 접촉 센서들이 구비되고,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에 구비된 버튼의 누른 횟수에 따라 한글 자음 입력 모드, 한글 모음 입력 모드, 대문자 영문 입력 모드, 소문자 영문 입력 모드, 숫자 및 특수문자 입력 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는 자음과 모음의 한글 문자, 대문자와 소문자의 영문자, 숫자 타입을 선택하는 버튼;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전송받아 감지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 입력 감지부; 웨어러블 기기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버튼의 누른 횟수에 따라 상기 한글 자음 입력 모드(1번), 상기 한글 모음 입력 모드(2번), 상기 대문자 영문 입력 모드(3번), 상기 소문자 영문 입력 모드(4번), 상기 숫자 및 특수문자 입력 모드(5번)를 표시하고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문자와 숫자 표시부; 및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감지된 문자나 숫자 데이타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웨어러블 통신부에 구비된 버튼에 의해 한글(자음, 모음), 영문(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타입이 선택되며, 상기 웨어러블 장갑 표면에 코딩된 디스플레이 표시문자/숫자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웨어러블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여 스마트폰과 통신되며,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스마트폰과 통신되는 경우 마스터로 작동되고 접속되어 피코넷(piconet)을 형성하여 블루투스 페어링 된 슬레이브로 동작되는 스마트폰으로 감지된 문자나 숫자 데이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는 스마트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웨어러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 후, 상기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통신부의 연결이 설정되고,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의 버튼에 의해 자음과 모음의 한글 문자, 대문자와 소문자의 영문자, 숫자 입력이 선택된 후, 웨어러블 착용부의 엄지, 검지, 중지, 반지, 약지의 손접점들마다 행렬 방식으로 배치된 초소형 접촉 센서들와 연결되는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에 구비된 버튼의 누른 횟수에 따라 한글 자음 입력 모드, 한글 모음 입력 모드, 대문자 영문 입력 모드, 소문자 영문 입력 모드, 숫자 및 특수문자 입력 모드로 동작되며,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가 부착된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초소형 접촉 센서들로부터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직접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와 연결되는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입력받아 문자 입력 감지부에 의해 문자나 숫자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타를 임시로 플래시 메모리로 저장하고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로부터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직접 감지된 문자나 숫자 데이타를 스마트폰의 통신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들이 부착된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와 연결되는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로부터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한글/영문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입력받아 제어부를 구동하여 문자나 숫자 입력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는 스마트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는 스마트폰 및 그 방법은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가 부착된 웨어러블 착용부의 한글(자음, 모음), 영문(대문자, 소문자), 숫자를 선택하고 손가락마다 복수의 손접점을 구비하는 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착용부와 연결된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통신부로부터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한글, 영문, 숫자 입력을 제공하여 웨어러블 문자 입력 모드의 스마트폰을 구동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폰의 키패드의 문자 입력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가가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는 스마트폰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단자 접촉에 따라 한글 문자,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인식하는 다수의 행렬의 문자 입력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는 스마트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는 스마트폰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장갑 형태의 착용부에 부착된 복수의 초소형 접촉 센서(예를 들면, 스마트 압력 센서)로 이루어져 착용시 손가락의 손접점들을 서로 접촉시켜 한글(자음, 모음), 영문(대문자, 소문자), 숫자를 선택하여 입력 가능한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들이 부착된 웨어러블 착용부와; 밴드 형태로서 웨어러블 착용부에 연결되며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영문자, 한글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터를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스마트폰으로 한글, 영문, 숫자, 특수문자 입력을 제공하여 웨어러블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된 스마트폰을 구동하는 웨어러블 통신부로 이루어진다.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예를 들면, 스마트 압력 센서, S11, S12, S13, S14, S21, S22, S23...)가 부착된 착용부는 웨어러블 통신부(100)의 버튼에 의해 한글(자음, 모음), 영문(대문자, 소문자), 숫자 타입이 선택되고,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전송받는 웨어러블 통신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는 스마트폰은 웨어러블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된 후,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웨어러블 통신부(10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감지된 문자나 숫자 데이타를 입력받는다.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100)의 버튼의 누른 횟수에 의해 한글(자음, 모음), 영문(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타입이 선택되며,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표면에는 코딩된 디스플레이 표시문자/숫자가 인쇄된다.
웨어러블 통신부(100)는 한글(자음, 모음), 영문(대문자, 소문자), 숫자 타입을 선택하는 버튼(101),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및 특수문자 데이타를 전송받아 감지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 입력 감지부(110), 웨어러블 기기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120), 제어부와 연결되고 버튼의 누른 횟수에 따라 한글 자음 입력 모드(1번), 한글 모음 입력 모드(2번), 대문자 영문 입력 모드(3번), 소문자 영문 입력 모드(4번), 숫자 및 특수문자 입력 모드(5번)를 표시하고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문자와 숫자 표시부(미도시), 감지된 데이타를 임시로 저장하는 플래시 메모리(130),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감지된 문자나 숫자 데이타를 전송하는 통신부(140)로 이루어진다.
웨어러블 통신부(100)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여 스마트폰(200)과 통신되며,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웨어러블 통신부(100)는 마스터(master)로 작동되고 접속되어 피코넷(piconet)을 형성하여 블루투스 페어링 된 슬레이브(slave)로 동작되는 스마트폰(200)으로 감지된 문자나 숫자 데이타를 전송한다.
스마트폰(200)은 이동전화의 음성 통화, 문자 송수신, 무선인터넷 패킷 송수신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210); 한글/영문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입력받는 키입력부 및 터치 입력수단(220);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스마트 압력 센서, S11, S12, S13, S14, S21, S22, S23...)들이 부착된 웨어러블 착용부와 연결되는 웨어러블 통신부(100)로부터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한글/영문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입력받는 통신부(230); 데이타를 저장하는 메모리(240); 안테나(ANT)와 연결되는 듀플렉서(duplexer)를 구비하여 기지국과 무선으로 음성 신호와 패킷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RF 트랜시버(270);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MIC); 마이크(MIC)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디지털 음성 신호로 변환하는 A/D컨버터(ADC)(272); 제어부의 내부 멀티미디어 프로세서에 내재되거나 제어부 외부에 연결되고 동영상과 음성 신호를 압축 및 복원하는 코덱(Codec)(271); 디지털 음성 신호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설정된 볼륨 레벨로 증폭하여 스피커(SP)로 출력하는 D/A컨버터(DAC)(273); D/A컨버터(DAC)(273)로부터 제공된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SP); 제어부와 연결되어 LCD를 구동하는 LCD 구동부와 연결되어 데이타를 출력하기 위한 LCD 표시부(280)를 포함한다. 참고로, 듀플렉서(duplexer)는 안테나와 연결되며 단말기의 송수신 주파수(Tx/Rx Freq.)를 분리한다.
도 3은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단자 접촉에 따라 한글 문자,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인식하는 다수의 행렬의 문자 입력 감지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웨어러블 통신부(100)는 한글(자음, 모음), 영문(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타입을 선택하는 버튼(101)을 구비하며, 문자 입력 감지부(110)는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예, 스마트 압력 센서, S11, S12, S13, S14, S21, S22, S23, S24...)로부터 감지된 접촉 데이타를 전송받아 감지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한다.
웨어러블 착용부의 엄지, 검지, 중지, 반지, 약지의 손접점들 마다 3개 내지 5개의 초소형 반도체 접촉 센서(예:스마트 압력 센서)를 구비되고 투명한 웨어러블 착용부 표면에 디스플레이 표시문자/숫자가 인쇄되어 있으며, 4×5 행렬, 5×5 행렬 방식으로 기 설정된 문자 입력 패턴에 따라 대소문 및 소문자가 구분되는 영문자, 자음과 모음이 구분되는 한글 문자, 숫자, 및 특수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5 행렬을 적용하였으며, 그림 상에서는 4×5행렬을 예로 설명한다. 실시예 행렬은 문자조합의 경우의 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문자 입력 패턴은 자율 자재로 입력 패턴이 착용부에 인쇄되어 설정 가능하다.
한글은 자음은 19개, 모음은 21개, 합해서 총 40개이다.
자음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14개와 'ㄲ, ㄸ, ㅃ, ㅆ, ㅉ' 5개 이렇게 모두 19개가 있다.
단모음은 'ㅣ, ㅔ, ㅐ, ㅏ, ㅜ, ㅗ, ㅓ, ㅡ, ㅟ, ㅚ' 이렇게 10개가 있고, 이중모음은 'ㅑ, ㅕ, ㅛ, ㅠ, ㅒ, ㅖ; ㅘ, ㅝ, ㅙ, ㅞ; ㅢ' 11개가 있다.
예를 들면, 한글 문자는 버튼 선택에 따라 한글 자음 입력 모드 및 한글 모음 입력 모드가 선택되며, 한글 자음 입력 모드인 경우 S11, S12, S13, S14, S21, S22, S23,,, 순으로 ㄱ, ㄴ, ㄷ, ㄹ, ㅁ, ㅂ, ㅅ..가 입력되고, 한글 모음 입력 모드인 경우, S11, S12, S13, S14, S21, S22, S23,,, 순으로 ㅏ,ㅑ,ㅗ,ㅛ,ㅜ,ㅠ,ㅡ,l,,,가 입력된다.
예를 들면, 쌍자음은 ㄲ O, ㄸ P, ㅃ Q, ㅆ R, ㅉ S로 표시한다.
이중모음은 ㅑ, ㅕ, ㅛ, ㅠ 이외에 초소형 압력 센서가 사용되어 두 가지 또는 세 가지 모음이 합성되어 'ㅒ, ㅖ, ㅘ, ㅝ, ㅙ, ㅞ, ㅢ' 가 생성된다.
영문자는 버튼 선택에 따라 대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된 경우 S11, S12, S13, S14, S21, S22, S23,,, 순으로 A, B, C, D, E, F, G.., 소문자 입력 모드가 선택된 경우 S11, S12, S13, S14, S21, S22, S23,,, 순으로 a, b, c, d, e, f, g.... 입력되며, 4×5 행렬의 경우 U, V, W, X, Y. Z이 표시가 불가능하므로 5×5 행렬이 사용된다.
문자와 숫자 표시부는 웨어러블 통신부(100)의 제어부와 연결되고 버튼(101)의 누른 횟수에 따라 한글 자음 입력 모드(1번), 한글 모음 입력 모드(2번), 대문자 영문 입력 모드(3번), 소문자 영문 입력 모드(4번), 숫자 입력 모드(5번)를 표시하고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 또는 한글 문자와 숫자, 특수문자를 표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는 스마트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는 스마트폰의 문자 입력 방법은 스마트폰(200)을 웨어러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고 스마트폰(200)과 웨어러블 통신부(100)의 연결이 설정되고, 웨어러블 통신부(100)의 버튼에 의해 한글(자음, 모음), 영문(대문자, 소문자), 숫자, 특수문자 입력이 선택된(S100) 후,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가 부착된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들로부터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데이타를 웨어러블 통신부로 전송하는(S200) 단계; 밴드 형태의 웨어러블 통신부(100)로부터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자(대문자, 소문자), 한글 문자(자음, 모음),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전송받아 문자나 숫자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타를 임시로 플래시 메모리로 저장하고 웨어러블 통신부로부터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감지된 문자나 숫자 데이타를 스마트폰의 통신부로 전송하는(S300) 단계;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스마트 압력 센서, S11, S12, S13, S14, S21, S22, S23...)들이 부착된 웨어러블 착용부와 연결되는 웨어러블 통신부(100)로부터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한글/영문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스마트폰으로 입력받아 제어부를 구동하여 문자나 숫자 입력을 실행하는(S400)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CD-ROM, RAM, ROM,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S11, S12, S13, S14, S21, S22, S23...: 센서
100: 웨어러블 통신부
101: 버튼 110: 문자 입력 감지부
120: 제어부 130: 플래시 메모리
140: 통신부 200: 스마트폰

Claims (5)

  1. 웨어러블 장갑의 표면에 코딩된 디스플레이 표시문자/숫자가 인쇄되며,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들이 부착된 웨어러블 착용부와,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입력받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웨어러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엄지, 검지, 중지, 반지, 약지의 손접점들마다 행렬 방식으로 배치된 초소형 접촉 센서들이 구비되고,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에 구비된 버튼의 누른 횟수에 따라 한글 자음 입력 모드, 한글 모음 입력 모드, 대문자 영문 입력 모드, 소문자 영문 입력 모드, 숫자 및 특수문자 입력 모드로 동작되며,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는 자음과 모음의 한글 문자, 대문자와 소문자의 영문자, 숫자 타입을 선택하는 버튼;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전송받아 감지된 입력 데이터를 생성하는 문자 입력 감지부; 웨어러블 기기의 각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고 버튼의 누른 횟수에 따라 상기 한글 자음 입력 모드(1번), 상기 한글 모음 입력 모드(2번), 상기 대문자 영문 입력 모드(3번), 상기 소문자 영문 입력 모드(4번), 숫자 및 특수문자 입력 모드(5번)를 표시하고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문자와 숫자 표시부; 및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감지된 문자나 숫자 데이타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스마트폰과 통신되는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에 구비된 버튼에 의해 한글(자음, 모음), 영문(대문자, 소문자), 숫자 타입이 선택되며, 상기 웨어러블 장갑 표면에 코딩된 디스플레이에 표시 문자/숫자가 인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과 통신되는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는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적외선 통신을 사용하여 스마트폰과 통신되며, 블루투스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스마트폰과 통신되는 경우 마스터로 작동되고 접속되어 피코넷(piconet)을 형성하여 블루투스 페어링 된 슬레이브로 동작되는 스마트폰으로 감지된 문자나 숫자 데이타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삭제
  5.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는 스마트폰의 문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웨어러블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 후, 상기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통신부의 연결이 설정되고,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의 버튼에 의해 자음과 모음의 한글 문자, 대문자와 소문자의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 입력이 선택된 후, 웨어러블 착용부의 엄지, 검지, 중지, 반지, 약지의 손접점들마다 행렬 방식으로 배치된 초소형 접촉 센서들와 연결되는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에 구비된 버튼의 누른 횟수에 따라 한글 자음 입력 모드, 한글 모음 입력 모드, 대문자 영문 입력 모드, 소문자 영문 입력 모드, 숫자 및 특수문자 입력 모드로 동작되며,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가 부착된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초소형 접촉 센서들로부터 접촉을 감지하여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직접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와 연결되는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로부터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의 손접점들마다 부착된 초소형 접촉 센서로부터 감지된 영문자, 한글 문자, 숫자, 특수문자 데이타를 입력받아 문자 입력 감지부에 의해 문자나 숫자 입력을 감지하여 감지된 데이타를 임시로 플래시 메모리로 저장하고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로부터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직접 감지된 문자나 숫자 데이타를 스마트폰의 통신부로 전송하는 단계; 및
    손가락의 손접점들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들이 부착된 상기 웨어러블 착용부와 연결되는 상기 웨어러블 통신부로부터 블루투스 또는 적외선 통신을 통해 한글/영문 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상기 스마트폰으로 입력받아 제어부를 구동하여 문자나 숫자 입력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통신되는 스마트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20130137150A 2013-11-12 2013-11-12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KR101565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150A KR101565445B1 (ko) 2013-11-12 2013-11-12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7150A KR101565445B1 (ko) 2013-11-12 2013-11-12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560A KR20150054560A (ko) 2015-05-20
KR101565445B1 true KR101565445B1 (ko) 2015-11-04

Family

ID=5339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7150A KR101565445B1 (ko) 2013-11-12 2013-11-12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54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9403A (ko) 2015-06-18 2016-12-28 김준석 웨어러블 데이터 입력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방법
CN105679140B (zh) * 2016-04-12 2018-02-23 赵敏 一种生成书法练习贴的方法及其装置和书法练字方法
US11609565B2 (en) * 2018-10-05 2023-03-21 Ahmad Hassan Abu Elreich Methods and systems to facilitate monitoring center for ride share and safe testing method based for selfdriving cars to reduce the false call by deuddaction systems based on deep learning machine
JP7171359B2 (ja) * 2018-10-17 2022-11-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作業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ウェアラブルセンサ
KR20200129920A (ko) 2019-05-10 2020-11-18 주식회사 시즈글로벌 장갑형 입력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440Y1 (ko) * 2000-08-24 2001-03-15 신무균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440Y1 (ko) * 2000-08-24 2001-03-15 신무균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4560A (ko) 2015-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6694B1 (ko) 휴먼 인터페이스 입력 가속 시스템
US8686947B2 (en) Finger keypad system and method
US7596393B2 (en) Wearable mobile phone using EMG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073566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널입력의 패턴인식을 이용한 명령일괄처리 방법
KR101565445B1 (ko)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US20080136679A1 (en) Using sequential taps to enter text
US20070080933A1 (en) Mobile device customizer
US20070188472A1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US20160005150A1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WO2007084078A1 (en) A keyboard for a mobile phone or othe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AU2010257438A1 (en) System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US20150261429A1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RU2421773C2 (ru) Клавиатура электр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клавиатурой электр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US20060262096A1 (en) Optical mouse/barcode scanner built into cellular telephone
US11503144B2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JP2001060999A (ja) 操作装置
EP2212760A1 (e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method for entering data on such a device
JP2014115688A (ja) 文字入力システムおよび文字入力方法
CN115145446B (zh) 字符输入方法、装置及终端
KR20090087249A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방법 및장치
WO2008047172A2 (en) Glove as computer control input unit
KR10073566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패턴을 정의하기 위한 방법
KR1007357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액션에 따른 명령어를 정의하기 위한방법
US20220360657A1 (en) Systems to enhance data entry in mobile and fixed environment
KR20050122662A (ko) 이중 센서 기반의 문자입력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