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920A - 장갑형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장갑형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920A
KR20200129920A KR1020190055039A KR20190055039A KR20200129920A KR 20200129920 A KR20200129920 A KR 20200129920A KR 1020190055039 A KR1020190055039 A KR 1020190055039A KR 20190055039 A KR20190055039 A KR 20190055039A KR 20200129920 A KR20200129920 A KR 20200129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contact
input device
contact
finger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인
김시육
박제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즈글로벌
주식회사 직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즈글로벌, 주식회사 직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즈글로벌
Priority to KR102019005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920A/ko
Publication of KR2020012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5Protective gloves
    • A41D19/01594Protective gloves with accessories, e.g. tools, receptacl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8Physical properties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1Gloves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라 접점 간 연결에 의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된 장갑형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형 입력 장치는, 손바닥 면과 손가락의 바닥면을 덮는 하면부에 다수의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로서, 엄지부의 선단부에 제1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접점은, 검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내측면의 길이가 이와 대향하는 외측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장갑형 입력 장치 {Glove type input device}
본 발명은 장갑형 입력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의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라 접점 간 연결에 의한 입력 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된 장갑형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같은 전자기기의 등장과 함께 이러한 전자기기를 위한 입력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입력 장치를 외장형으로 구현할 때는 키보드, 마우스 혹은 조이스틱 같은 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곤 하지만, 이는 별도의 장치를 연결해야 하고 휴대하기 불편하다는 측면에서 한계점이 있다. 입력 장치를 전자기기의 내장형으로 구현할 경우에는 기기의 소형화 추세를 고려하여 접촉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개발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게 소형화된 내장형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조작하기 불편하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이에, 최근에는 휴대가 간편하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정보 또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장치가 개발되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웨어러블 컴퓨터와 같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기술이 대두되는 만큼, 이러한 관점에서 더욱 편리하게 사용자가 정보 또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장치가 개발되는 추세이다.
선행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키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장갑형 무선 입력 장치가 알려져 있다. 다수의 센서를 구비한 장갑 형태의 입력 장치로서,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이나 손가락 움직임에 의해 발생한 압력, 변위를 감지하여 연결된 전자기기로 입력 신호를 전달하는 입력 장치이다.
손은 인류의 가장 효과적인 신체 도구라는 점에서, 이러한 손의 움직임에 따라 다양한 데이터를 생성하고 정보를 도출할 수 있는 장갑형 입력 장치는 그 활용성이 크다.
다만 선행 특허문헌 1과 같이 손가락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입력 장치의 경우 그 데이터의 처리 및 연산이 복잡하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장갑형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손의 크기와 같이 개인적인 변수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어, 일정 수준의 신뢰성 있는 제품으로 구현하기 힘들다는 측면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접점 방식을 적용한 다수의 장갑형 입력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선행 특허문헌 2와 같이 각 손가락의 마디 접점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는 장갑형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선행 특허문헌 3과 같이 손접점들 마다 초소형 접촉 센서를 부착하여 접촉에 따라 데이터를 입력하는 웨어러블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들은 손가락 마디의 접점에 센서 및 스위치 배치하여, 기설정된 지점에서의 입력을 정확히 검출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상술한 모션 감지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다.
하지만, 키보드 입력과 같은 문자 입력 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손 안에 배치되는 센서의 숫자가 많아짐에 따라 인접하는 접점 센서 간 거리가 좁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접점 간 입력 오류가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지게 되고,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에 의하여 접점 간 쇼트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각각의 손가락의 관절 구동 범위에 따라, 사용자가 비교적 쉽게 움직여 정보 입력이 가능한 접점이 있는 반면, 손가락의 무리한 움직임에 따라서만 정보 입력이 가능하게 배치되는 접점이 존재한다. 대부분의 장갑형 입력장치의 선행 기술들은 이러한 접점의 쇼트 발생 문제, 인체 공학적 움직임을 고려하지 않고 설계된 것들이 많아, 실제 제품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접점 방식의 장갑형 입력 장치의 개발에 있어, 인간에 대한 안전성, 사용의 용이성, 피로의 경감이나 쾌적 등 인간에게 필요한 조건을 충분히 도입하여 접점의 위치나 형태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1. 한국 특허 등록 제 10-1521288 호 (발명의 명칭 : 장갑형 무선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2. 한국 특허 공개 제 10-2005-0020463 호 (발명의 명칭 : 손가락 마디 접점을 이용한 한 손 코딩 장갑형 한글 입력 장치) 3. 한국 특허 공개 제 10-2015-0054560 호 (발명의 명칭 :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이에,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에 따라 인접한 접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쇼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접점의 위치 및 형태를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각각의 손가락의 관절 구동 범위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지 않고 효과적인 신호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거나 조립하는 방식에서 탈피하여, 다수의 접점과 장갑의 본체가 일체화된 구조를 제시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갑형 입력 장치는, 손바닥 면과 손가락의 바닥면을 덮는 하면부에 다수의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로서, 엄지부의 선단부에 제1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접점은, 검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내측면의 길이가 이와 대향하는 외측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상기 엄지부에 상기 제1 도전성 접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성 접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엄지부의 바닥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손바닥부에 제3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전성 접점은,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가 절곡될 때 상기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 각각의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손바닥부의 하측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엄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내측면의 길이가 이와 대향하는 외측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상기 손바닥부에 상기 제3 도전성 접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도전성 접점은, 상기 엄지부가 절곡될 때 상기 엄지부의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손바닥부의 상측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약지부 및 소지부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의 각각의 선단부에 도전성 접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지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은, 상기 중지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중지부 방향의 내측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의 각각의 선단부에 도전성 접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지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은, 상기 약지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약지부 방향의 내측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의 각각의 선단부에 도전성 접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약지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은, 상기 소지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소지부 방향의 내측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상기 손가락의 바닥면과 그 반대쪽 상면을 잇는 손가락의 측면부에 다수의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검지부의 상기 엄지부 측 측면부, 중지부의 상기 검지부 측 측면부, 약지부의 상기 중지부 측 측면부, 소지부의 상기 약지부 측 측면부의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접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도전성 접점은, 상기 손가락의 상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손가락의 바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상기 다수의 도전성 접점은, 도전성 직물이 장갑의 부재에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상기 다수의 도전성 접점과 연결되어 각각의 도전성 접점에 소정의 전위를 부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도전성 접점들의 온오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적절한 접점의 위치 및 형태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에 따라 인접한 접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쇼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각각의 손가락의 관절 구동 범위를 고려하여 접점의 위치 및 형태를 설계함에 따라, 본 장갑형 입력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불편을 초래하지 않고 효과적인 신호 입력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는 도전사로 형성되는 접점과 장갑의 본체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종래의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거나 조립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에 비해 슬림하고 신뢰성 높은 제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를 다양한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엄지부의 제1 도전성 접점 및 제2 도전성 접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손바닥부의 제3 도전성 접점 및 제4 도전성 접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의 각각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검지부의 측면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의 각각의 구성과 도전성 접점의 조합에 따른 입력 신호의 예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사용자가 각 손가락 마디의 절곡함으로써, 기설정된 지점의 도전성 접점 (110a ~110h) 들을 서로 접촉시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에 형성된 다수의 도전성 접점 (110a ~ 110q) 의 위치 및 형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를 다양한 측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각각의 손가락부와 손바닥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엄지부 (10),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로 구성된 손가락부와, 각각의 손가락부와 연결된 손바닥부 (60) 및 손등부 (70) 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손바닥면과 손가락의 바닥면을 덮는 하면부 (B) 와, 각각의 손가락의 측면부 (S) 에 다수의 도전성 접점 (110a ~ 110q) 을 포함한다.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엄지부 (10) 에 제1 도전성 접점 (110a) 및 제2 도전성 접점 (110b) 를 포함한다.
도 4는 엄지부 (10) 의 제1 도전성 접점 (110a) 및 제2 도전성 접점 (110b) 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1 도전성 접점 (110a) 은 엄지부 (10) 의 선단부에 형성된다.
제1 도전성 접점 (110a) 은 검지부 (20) 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내측면 (111a) 의 길이가, 이와 대향하는 외측면 (112a) 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1 도전성 접점 (110a) 은 검지부 (20) 측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진 형상을 가진다.
제1 도전성 접점 (110a) 은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라,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소지부 (50) 및 손바닥부 (60) 에 형성된 각각의 도전성 접점들에 접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자연스러운 엄지의 절곡 방향을 고려하면, 엄지의 검지 측에 위치한 영역이 다른 손가락과 손바닥에 접하기 쉽다.
이러한 엄지의 관절 구동 범위를 고려하면, 제1 도전성 접점 (110a) 은 내측면 (111a) 의 길이가 이와 대향하는 외측면 (112a) 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으로써 엄지의 검지 측에 위치한 영역으로 도전성 영역이 확장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도전성 접점 (110b) 은 제1 도전성 접점 (110a) 과 이격되어 엄지부 (10) 의 하측에 형성된다.
제2 도전성 접점 (110b) 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 도전성 접점 (110a) 의 하측에서 엄지부 (10) 의 바닥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제2 도전성 접점 (110b) 은 제1 도전성 접점 (110a) 은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라,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소지부 (50) 에 형성된 각각의 도전성 접점들에 접하게 된다. 제2 도전성 접점 (110b) 은 제1 도전성 접점 (110a) 과 달리 사용자가 용이하게 절곡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에, 다양한 도전성 접점들과의 접촉을 고려하여, 띠 형상으로 엄지부 (10) 의 바닥면을 넓게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제2 도전성 접점 (110b) 이 소지부 (50) 의 측면에 마련된 도전성 접점 (110q) 에 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엄지의 외측면과 소지의 내측면을 서로 맞닿게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반면, 제2 도전성 접점 (110b) 이 검지부 (20) 나 중지부 (30) 의 측면에 마련된 도전성 접점 (110i ~ 110m) 에 접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엄지의 정면과 검지, 중지의 내측면을 서로 맞닿게 하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러한 엄지의 관절 구동 범위를 고려하면, 제1 도전성 접점 (110a) 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엄지부 (10) 의 바닥면을 넓게 덮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손바닥부 (60) 에 제3 도전성 접점 (110c) 및 제4 도전성 접점 (110d) 를 포함한다.
도 5는 손바닥부 (60) 의 제3 도전성 접점 (110c) 및 제4 도전성 접점 (110d) 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제3 도전성 접점 (110c) 은 손바닥부 (60) 의 하측 영역에 형성된다.
제3 도전성 접점 (110c) 은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가 절곡될 때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각각의 선단부에 마련된 도전성 점점들 (110e ~ 110h) 과 접촉되는 접점이다. 따라서,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의 자연스러운 관절의 구동 범위를 고려하여 손바닥부 (60) 의 하측 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3 도전성 접점 (110c) 은 엄지부 (10) 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내측면 (111c) 의 길이가 이와 대향하는 외측면 (112c) 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에서, 검지부 (20) 가 가동되는 범위와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가 가동되는 범위의 차이를 고려하여 설계된 형태이다.
일반적으로 다섯 손가락에서 검지는 중지나 약지에 비하여 길이가 짧을 뿐만 아니라, 엄지에 바로 인접하게 배치된 손가락이기 때문에 나머지 다른 손가락들에 비하여 움직임의 제약이 따른다. 검지부 (20) 가 절곡되어 손바닥부 (60) 의 하측으로 내려갈 수 있는 가동 범위가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가 절곡되어 손바닥부 (60) 의 하측으로 내려갈 수 있는 가동 범위보다 짧기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부 (20) 에 대응되는 (즉, 검지부 (20) 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 도전성 접점 (110c) 의 영역이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에 대응되는 영역보다 손가락쪽으로 높게 올라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도전성 접점 (110d) 은 제3 도전성 접점 (110c) 과 이격되어 손바닥부 (60) 의 상측 영역에 형성된다.
제4 도전성 접점 (110d) 은 엄지부 (10) 가 절곡될 때 엄지부 (10) 에 마련된 제1 도전성 접점 (110a) 과 접촉되는 접점이다. 따라서 엄지부 (10) 의 자연스러운 관절의 구동 범위를 고려하여 손바닥부 (60) 의 상측 영역에 형성되면서,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에 가까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의 각각의 선단부에 도전성 접점 (110e ~ 110h) 을 포함한다.
도 6은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의 각각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e ~ 110g) 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엄지부 (10) 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부 중, 적어도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의 각각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e ~ 110g) 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점의 형태를 가진다.
검지부 (20) 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 (110e) 은 중지부 (30) 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 (110f) 과 접하지 않도록, 중지부 (30) 방향의 내측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중지부 (30) 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 (110f) 은 약지부 (40) 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 (110g) 과 접하지 않도록 약지부 (40) 방향의 내측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고, 약지부 (40) 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 (110g) 은 소지부 (50) 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 (110h) 과 접하지 않도록 소지부 (50) 방향의 내측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의 각각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e ~ 110g) 은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의 선단부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된 것이 아니라, 서로 인접하는 손가락에 접하지 않도록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오른쪽 영역이 빈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의 접점 방식의 장갑형 입력 장치에 따르면,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는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에 따라 각 도전성 접점 간 쇼트가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손가락을 편 채로 별도의 입력 신호를 발생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검지부 (20) 와 중지부 (30)가, 또는 중지부 (30) 와 약지부 (40) 가 서로 맞닿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때, 각각의 도전성 접점 (110e ~ 110g) 에 소정의 전위가 부여된 상태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입력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의 내부 쇼트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이러한 문제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의 각각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e ~ 110g) 의 형태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출하였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에 따라 인접한 접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쇼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의 입력 신호 발생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진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선택적으로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의 각각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e ~ 110g) 중 어느 일부의 접점만이 선택적으로 이러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소지부 (50) 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h) 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소지부 (50) 는 손가락부에서 가장 외측에 위치한 손가락이며, 인접한 약지부 (40) 에 의해 쇼트가 방지될 수 있으므로, 소지부 (50) 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h) 은 선단부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의 각각의 측면부에 도전성 접점 (110i ~ 110q) 을 포함한다. 여기서 측면부는 손가락의 바닥면과 그 반대쪽 상면을 잇는 부분을 지칭한다.
도 7은 검지부 (20) 의 측면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i, 110j) 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전성 접점 (110i, 110j) 은 검지부 (20) 의 엄지부 (10) 측 측면부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중지부 (30) 의 검지부 (20) 측 측면부, 약지부 (40) 의 중지부 (30) 측 측면부, 소지부 (50) 의 약지부 (40) 측 측면부의 각각에 도전성 접점 (110k ~ 110q) 이 형성될 수 있다.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의 각각의 측면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i ~ 110q) 은 엄지부 (10) 에 위치하는 제1 도전성 접점 (110a) 및 제2 도전성 접점 (110b) 과 맞닿는 접점으로서, 엄지의 관절 구동 범위를 고려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의 각각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도전성 접점 (110i ~ 110q) 은 각각의 손가락의 상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손가락의 바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엄지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고려하면, 엄지부 (10) 의 제1 도전성 접점 (110a) 및 제2 도전성 접점 (110b) 이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의 상면에 가까이 접하는 움직임이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의 바닥면에 가까이 접하는 움직임보다 자연스럽다. 따라서, 사용자의 엄지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고려하여, 도전성 접점 (110i ~ 110q) 은 각각의 손가락의 상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손가락의 바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각각의 손가락의 측면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i ~ 110q) 의 위치 및 형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손가락의 상면과 손가락의 바닥면에 모두 접하게 즉, 띠 형상으로 측면의 전체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도전성 접점 (110a ~ 110q) 의 위치 및 형태를 가짐으로써, 사용자의 의도하지 않은 움직임에 따라 인접한 접점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쇼트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손가락의 관절 구동 범위를 고려하여 접점의 위치 및 형태를 설계함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고 효과적인 신호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다수의 도전성 접점 (110a ~ 110h) 은 도전성 직물 (또는 도전사, current conductive yarn) 이 아크릴, 면사 등으로 이루어진 장갑의 부재에 직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도전사로 형성되는 다수의 접점들 (110a ~ 110h) 과 장갑의 본체 (1) 가 일체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종래의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거나 조립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에 비해 슬림하고 신뢰성 높은 제품을 구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의 각각의 구성과 도전성 접점의 조합에 따른 입력 신호의 예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상술한 다수의 도전성 접점 (110a ~ 110h) 과 연결되어 장갑형 입력 장치 (100) 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120) 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 장치 (120) 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의 손등부 (70) 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장치 (120) 는 제어부 (121), 통신부 (122) 및 저장부 (123) 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121) 는 도전성 접점들 (110a ~ 110h) 과 연결되어 각각의 도전성 접점에 소정의 전위를 부여하고, 도전성 접점들 (110a ~ 110h) 의 온오프에 따라 발생된 입력 신호를 처리한다.
통신부 (122) 는 제어부 (121) 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외부 단말로 송신한다. 또한 통신부 (122) 는 외부 단말로부터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로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 (123) 는 제어부 (121) 및 통신부 (122) 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저장 매체일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어 장치 (120) 는 제어부 (121), 통신부 (122) 및 저장부 (123) 이외에도 표시부, 입력부 등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표시부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입력부는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가 사용자의 입력을 획득하기 위한 버튼,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의 도전성 접점 (110a ~ 110h) 의 조합에 따른 입력 신호를 설명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은 키보드의 영문 입력을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를 이용해 구현한 예이다.
엄지부 (10) 의 제1 도전성 접점 (110a) 과 검지부 (20) 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e) 이 서로 접하는 경우, 영문자 'R'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엄지부 (10) 의 제2 도전성 접점 (110b) 과 검지부 (20) 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e) 이 서로 접하는 경우, 영문자 'S'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엄지부 (10) 의 제1 도전성 접점 (110a) 과 중지부 (30) 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f) 이 서로 접하는 경우, 영문자 'E'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 엄지부 (10) 의 제2 도전성 접점 (110b) 과 중지부 (30) 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f) 이 서로 접하는 경우, 영문자 'F'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엄지부 (10) 의 제1 도전성 접점 (110a) 및 제2 도전성 접점 (110b) 과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에 형성된 11개의 도전성 접점 (110e ~ 110q) 의 일대일 조합에 의해 총 22개의 영문자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손바닥부 (60) 의 제3 도전성 접점 (110c) 과 검지부 (20) 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e) 이 서로 접하는 경우, 키보드 'Enter' 기능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손바닥부 (60) 의 제3 도전성 접점 (110c) 과 중지부 (30) 의 선단부에 형성된 도전성 접점 (110f) 이 서로 접하는 경우, 영문자 'N'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손바닥부 (60) 의 제3 도전성 접점 (110c) 과 검지부 (20), 중지부 (30), 약지부 (40) 및 소지부 (50) 의 선단부에 형성된 4개의 도전성 접점 (110e ~ 110q) 의 일대일 조합에 의해 총 4개의 입력 신호가 추가로 생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입력 가능한 신호의 경우의 수를 확장하기 위하여, 각각의 도전성 접점의 일대일 대응에서 확장하여, 다수의 접점들의 대응에 따른 입력 신호가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엄지부 (10) 의 제1 도전성 접점 (110a) 과 검지부 (20) 및 중지부 (30) 의 선단부에 마련된 도전성 접점 (110e, 110f) 이 서로 접하는 경우, 키보드의 'Space' 기능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엄지부 (10) 의 제1 도전성 접점 (110a) 과 중지부 (30) 및 약지부 (40) 의 선단부에 마련된 도전성 접점 (110f, 110g) 이 서로 접하는 경우, 키보드의 'Del' 기능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손바닥부 (60) 의 제3 도전성 접점 (110c) 과 검지부 (20) 및 중지부 (30) 의 선단부에 마련된 도전성 접점 (110e, 110f) 이 서로 접하는 경우, 영문자 'Z'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입력 신호의 생성을 확장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엄지부 (10) 의 제1 도전성 접점 (110a) 과 검지부 (20), 중지부 (30) 및 약지부 (40) 의 선단부에 마련된 도전성 접점 (110e ~ 110g) 이 서로 접하는 경우 추가적인 입력 신호가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8을 이용하여 키보드의 영문 입력에 대응되는 입력 기능을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이는 예시적인 입력 신호이므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한글과 같은 다양한 언어의 입력 장치로로 확장될 수 있으며, 나아가 방향키, 숫자키 입력과 같은 비문자 입력 장치로도 확장하여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이러한 도전성 접점 (110a ~ 110h) 의 대응에 따른 입력 신호는 사용자에 의해 맵핑될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의 장갑형 입력 장치 (100) 는 사용자 개인의 맞춤형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장갑형 입력 장치
10 … 엄지부
20 … 검지부
30 … 중지부
40 … 약지부
50 … 소지부
60 … 손바닥부
70 … 손등부
110a ~ 110h … 도전성 접점
120 … 제어 장치
121 … 제어부
122 … 통신부
123 … 저장부

Claims (12)

  1. 손바닥 면과 손가락의 바닥면을 덮는 하면부에 다수의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로서,
    엄지부의 선단부에 제1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성 접점은, 검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내측면의 길이가 이와 대향하는 외측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엄지부에 상기 제1 도전성 접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성 접점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엄지부의 바닥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손바닥부에 제3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도전성 접점은,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가 절곡될 때 상기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 각각의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손바닥부의 하측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엄지부와 인접하게 위치하는 내측면의 길이가 이와 대향하는 외측면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손바닥부에 상기 제3 도전성 접점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4 도전성 접점은,
    상기 엄지부가 절곡될 때 상기 엄지부의 선단부가 접촉되도록 상기 손바닥부의 상측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약지부 및 소지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의 각각의 선단부에 도전성 접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검지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은,
    상기 중지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중지부 방향의 내측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의 각각의 선단부에 도전성 접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중지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은,
    상기 약지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약지부 방향의 내측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검지부, 중지부, 약지부 및 소지부의 각각의 선단부에 도전성 접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약지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은,
    상기 소지부에 위치하는 도전성 접점과 접하지 않도록 상기 소지부 방향의 내측 단부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의 바닥면과 그 반대쪽 상면을 잇는 손가락의 측면부에 다수의 도전성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검지부의 상기 엄지부 측 측면부, 중지부의 상기 검지부 측 측면부, 약지부의 상기 중지부 측 측면부, 소지부의 상기 약지부 측 측면부의 각각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접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는 도전성 접점은,
    상기 손가락의 상면에 인접하게 형성되되 상기 손가락의 바닥면으로부터 기설정된 길이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전성 접점은, 도전성 직물이 장갑의 부재에 직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도전성 접점과 연결되어 각각의 도전성 접점에 소정의 전위를 부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도전성 접점들의 온오프에 따른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를 외부 단말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입력 장치.
KR1020190055039A 2019-05-10 2019-05-10 장갑형 입력 장치 KR20200129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39A KR20200129920A (ko) 2019-05-10 2019-05-10 장갑형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5039A KR20200129920A (ko) 2019-05-10 2019-05-10 장갑형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920A true KR20200129920A (ko) 2020-11-18

Family

ID=7369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039A KR20200129920A (ko) 2019-05-10 2019-05-10 장갑형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920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463A (ko) 2003-08-22 2005-03-04 이성일 손가락 마디 접점을 이용한 한 손 코딩 장갑형 한글 입력장치
KR101521288B1 (ko) 2013-11-26 2015-05-19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갑형 무선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054560A (ko) 2013-11-12 2015-05-20 박제상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0463A (ko) 2003-08-22 2005-03-04 이성일 손가락 마디 접점을 이용한 한 손 코딩 장갑형 한글 입력장치
KR20150054560A (ko) 2013-11-12 2015-05-20 박제상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KR101521288B1 (ko) 2013-11-26 2015-05-19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장갑형 무선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2437B2 (en) Keyboard equipped with functions of operation buttons and an analog stick provided in a game controller
US20090051659A1 (en) Computer Input Device
EP1933225A2 (en) Using sequential taps to enter text
KR20020097024A (ko) 손파지형의 조합 키보드 및 게임 컨트롤러 시스템
EP0358781A1 (en) Single-hand computer keyboard
US20070247424A1 (en) Input arrangements for electronic devices
US20040051694A1 (en) Portable device for inputting control signals to a peripheral unit, and use of such a device
EP2073509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09193859A (ja) ボタンスイッチ
JP2012168869A (ja) 携帯端末及びキー操作装置
KR20200129920A (ko) 장갑형 입력 장치
JP2018048424A (ja) 手袋
CN109196503B (zh) 鼠标、触控板、输入套装以及移动设备
KR20060081394A (ko) 장갑형 키보드
EP1517223A1 (en) A data input device for wearing by a user's hand, and a method of its operating
JP2002196857A (ja) キー入力装置
WO2008047172A2 (en) Glove as computer control input unit
KR20110002926U (ko)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JP6044723B2 (ja) 入力装置
CN210038722U (zh) 一种人体工学输入设备
US9292099B1 (en) Thumbs-free computer keyboard
CN219144043U (zh) 一种换挡旋钮结构和键盘
KR20080082207A (ko) 촉각 센서를 이용한 손가락 접촉식 문자 입력 장치
JP4897080B2 (ja) 携帯端末
JP2023057512A (ja) 手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