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2926U -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2926U
KR20110002926U KR2020090012184U KR20090012184U KR20110002926U KR 20110002926 U KR20110002926 U KR 20110002926U KR 2020090012184 U KR2020090012184 U KR 2020090012184U KR 20090012184 U KR20090012184 U KR 20090012184U KR 20110002926 U KR20110002926 U KR 201100029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mble
finger
input device
user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승
Original Assignee
이희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승 filed Critical 이희승
Priority to KR2020090012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2926U/ko
Priority to PCT/KR2010/006273 priority patent/WO2011034330A2/ko
Publication of KR201100029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92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3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3
    • G06F2203/0331Finger worn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왼손용 5개 및 오른손용 5개가 구비되어, 상기 사용자의 왼손 및 오른손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에 각각 삽입되는 골무형 몸체부; 및 상기 각각의 골무형 몸체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문자 입력 신호 또는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터치 입력 패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래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 보다 명령의 입력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하다.

Description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THIMBLE FORM ORDER INPUT DEVICE}
본 고안은 명령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이 가능한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keyboard)는 컴퓨터, 휴대 단말, PDA 등과 같은 정보 처리 장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키보드는 단독으로는 사용할 수 없고 컴퓨터 및 영상표시장치(모니터)와 한 조를 이루어 입력된 내용을 확인하고 편집, 변형할 수 있다.
한글 2벌식 키보드는 공업진흥청에서 정보처리용으로 지정한 자판 배열로 자음 한벌(19자, 쌍자음 5자 포함)과 모음 한벌(14자) 총 33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영문의 입력을 위한 쿼티 키보드는 미국의 표준 자판으로서, 숫자 키 아래에 있는 첫번째 줄의 영문자가 자판 왼쪽부터 Q, W, E, R, T, Y 순서로 되어 있다.
키보드에는 문자 키 이외에 컨트롤(Ctrl), 알트(Alt), 시프트(Shift), 엔터(Enter), 탭(Tab) 등 다양한 비문자 키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비문자 키는 키의 본래 의미를 변경시키거나 프로그램 동작을 제어할 때, 모니터 상에서 텍스트 또는 커서를 이동시키는 데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키보드는 컴퓨터, 휴대 단말, PDA 등에서 문자의 입력 및 명령의 입력을 위하여 사용되며, 휴대 단말 또는 PDA의 자판과 비교하여 편리하므로 타 입력 수단보다 선호되는 입력 수단이다.
그러나, 종래의 키보드는 사용을 위해서는 평평한 곳에 설치해야 하며, 필요한 최소한의 자판을 모두 구비해야 하므로 크기를 최소화하는 대에 한계가 있으므로, 그 유용함에 비해 휴대가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이 가능한 명령 입력 장치를 구성하여 종래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 보다 명령의 입력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명령 입력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는 사용자의 왼손용 5개 및 오른손용 5개가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의 왼손 및 오른손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에 각각 삽입되는 골무형 몸체부; 및 상기 각각의 골무형 몸체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문자 입력 신호 또는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터치 입력 패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생성된 문자 입력 신호 또는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 패드부는 상기 손가락에 의한 압력 및 이동을 감지하여, 대상의 선택을 위한 명령 신호 또는 상기 문자의 입력을 위한 커서의 이동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 소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이 가능한 명령 입력 장치를 구성하여, 종래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 보다 명령의 입력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명령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사용자의 손에 상기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를 착용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는 골무형 몸체부(110) 및 복수개의 터치 입력 패드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골무형 몸체부(110)는 복수개로 구성되며 사용자(100)의 손가락이 삽입된다.
각각의 골무형 몸체부(110)의 외측에는 돌출되어 형성된 터치 입력 패드부(111)가 복수개 형성된다. 터치 입력 패드부(111)는 사용자(100)의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문자의 입력 신호 또는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은 터치 입력 패드부(111)는 골무형 몸체부(110)의 외측에 복수개가 형성되며, 각 터치 입력 패드부(111)는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고 각 터치 입력 패드부(111)에 상응하는 문자의 입력 신호 또는 명령 신호를 생성한다. 이때, 터치 입력 패드부(111)는 압전 소자 또는 일반적인 소형 접점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100)의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문자의 입력 신호 또는 명령 신호는 종래의 키보드에 의해 자판 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문자의 입력 신호 또는 명령 신호와 동일한 것이며, 상기 명령 신호의 예로는 종래의 키보드 자판에서 제공하는 'Ctrl', 'Alt' 또는 'Shift' 등의 다양한 명령이 있다.
또한, 터치 입력 패드부(111)는 상기 사용자(100)의 손가락의 이동을 감지하여, 대상의 선택을 위한 명령 신호 또는 상기 문자의 입력을 위한 커서의 이동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에 이와 같은 센서 모듈(미도시)을 포함하는 구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종래의 마우스에서와 동일하게 클릭, 드래그 또는 선택 등의 명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골무형 몸체부(110)의 외측에는 터치 입력 패드부(111)가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해당 터치 입력 패드부(111)에 사용자(100)가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하면 그에 상응하는 문자 또는 명령을 입력하거나, 종래의 마우스에서 내릴 수 있는 클릭, 드래그 또는 선택 등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골무형 몸체부(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는 사용자(100)의 양손가락들에 삽입되도록 왼손용 5개 및 오른손용 5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골무형 몸체부(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는 사용자(100)의 왼손 및 오른손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에 각각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골무형 몸체부는 고무, 플라스틱 또는 섬유 재질 등의 다양한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에서 입력되는 자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내지 도 5는 각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골무형 몸체부(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에는 복수개의 터치 입력 패드부들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즉, 사용자의 오른 손의 엄지 손가락에 삽입되는 골무형 몸체부(110)에는 제1 터치 입력 패드부(111), 제2 터치 입력 패드부(112), 제3 터치 입력 패드부(113) 및 제4 터치 입력 패드부(114)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제1 터치 입력 패드부(111)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압력이 전해지면 해당 패드부에 상응하는 'Ctrl' 명령 신호가 생성되고, 제2 터치 입력 패드부(112)에 손가락에 의한 압력이 전해지면 '한/영' 전환 명령 신호가 생성되며, 제3 터치 입력 패드부(113)에 손가락에 의한 압력이 전해지면 'Space' 명령 신호가 생성되고, 제4 터치 입력 패드부(114)에 손가락에 의한 압력이 전해지면 'Shift' 명령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 달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터치 입력 패드부(112)에 손가락에 의한 압력이 전해지면 '한/영' 전환 명령 신호를 입력하여 영문 문자 입력을 선택한 후에, 사용자의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에 삽입되는 골무형 몸체부(120)의 제5 터치 입력 패드부(121)에 손가락에 의한 압력이 전해지면 문자 'M'에 해당하는 문자 신호가 생성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6 터치 입력 패드부(122)에 손가락에 의한 압력이 전해지면 문자 'N'에 해당하는 문자 신호가 생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무형 몸체부(170)의 제7 터치 입력 패드부(171)에 손가락에 의한 압력이 전해지면, 문자의 입력을 위한 커서의 생성 명령 신호가 생성될 수 잇다.
그뿐만 아니라,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무형 몸체부(180)의 제8 터치 입력 패드부(181) 및 골무형 몸체부(190)의 제9 터치 입력 패드부(191)에 손가락에 의한 압력이 전해지면, 노트북의 터치 패드에 명령을 입력하는 것과 유사하게, 마우스의 좌클릭 및 우클릭에 해당하는 명령 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가락에 삽입이 가능한 명령 입력 장치를 구성하여, 종래의 키보드 또는 마우스 보다 명령의 입력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명령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고안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에서 입력되는 자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각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사용자
110, 120, 130, 140, 150, 160, 170, 180, 190, 200: 골무형 몸체부
111: 입력 패드부

Claims (2)

  1. 사용자의 왼손용 5개 및 오른손용 5개가 구비되고, 상기 사용자의 왼손 및 오른손의 엄지, 검지, 중지, 약지 및 소지에 각각 삽입되는 골무형 몸체부; 및
    상기 각각의 골무형 몸체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여 문자 입력 신호 또는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터치 입력 패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문자 입력 신호 또는 명령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신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입력 패드부는,
    상기 손가락에 의한 압력 및 이동을 감지하여, 대상의 선택을 위한 명령 신호 또는 상기 문자의 입력을 위한 커서의 이동 명령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 모듈; 및
    상기 손가락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압전 소자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KR2020090012184U 2009-09-16 2009-09-16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KR20110002926U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184U KR20110002926U (ko) 2009-09-16 2009-09-16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PCT/KR2010/006273 WO2011034330A2 (ko) 2009-09-16 2010-09-14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184U KR20110002926U (ko) 2009-09-16 2009-09-16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926U true KR20110002926U (ko) 2011-03-23

Family

ID=4375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184U KR20110002926U (ko) 2009-09-16 2009-09-16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10002926U (ko)
WO (1) WO201103433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02Y1 (ko) * 2011-12-30 2013-09-26 박성진 한 쌍의 골무형 거치대 겸용 터치 툴
KR101328385B1 (ko) * 2012-07-16 2013-11-13 이윤재 접촉식 손가락 마우스 및 이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040550A1 (en) * 1998-03-12 2001-11-15 Scott Vance Multiple pressure sensors per finger of glove for virtual full typing
KR100446531B1 (ko) * 2001-06-15 2004-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인식 방법
KR200370988Y1 (ko) * 2004-09-23 2004-12-23 이재동 일체형 장갑마우스
KR200411549Y1 (ko) * 2006-01-02 2006-03-15 (주)에코데이 컴퓨터 데이터 입력용 골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202Y1 (ko) * 2011-12-30 2013-09-26 박성진 한 쌍의 골무형 거치대 겸용 터치 툴
KR101328385B1 (ko) * 2012-07-16 2013-11-13 이윤재 접촉식 손가락 마우스 및 이의 동작 방법
WO2014014240A1 (ko) * 2012-07-16 2014-01-23 Lee Yoon-Jae 접촉식 손가락 마우스 및 이의 동작 방법
US9575571B2 (en) 2012-07-16 2017-02-21 Yoon-jae Lee Contact type finger mous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4330A3 (ko) 2011-07-14
WO2011034330A2 (ko) 2011-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020B1 (ko) 화면표시식키이입력장치
US1020386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put control method and program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4029410B2 (ja) 指先装着センサによる入力装置
US20070200823A1 (en) Cursor velocity being made proportional to displacement in a capacitance-sensitive input device
US20080136679A1 (en) Using sequential taps to enter text
US20120212420A1 (en) Multi-touch input control system
WO2009002787A2 (en) Swipe gestures for touch screen keyboards
CN109478108B (zh) 触控笔通信信道
US20110063241A1 (en) Data input device
KR20110014891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N105359065A (zh) 提供附加功能和各功能预览的多功能按键
US20130127791A1 (en) Thumb or Finger Devices with Electrically Conductive Tips &amp; Other Features for Use with Capacitive Touch Screens and/or Mechanical Keyboards Employed in Smartphones &amp; Other Small Mobile Devices
US20150193011A1 (en) Determining Input Associated With One-to-Many Key Mappings
KR2022004444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US20100194700A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110002926U (ko)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WO2009038430A2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JP3738066B2 (ja) 画面タッチ式入力装置
KR20060022984A (ko) 키패드 글러브 장치
JPH10293640A (ja) 可搬型コンピュータ
KR20100042762A (ko) 휴대 단말기에서 마우스 인터페이스를 실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휴대 단말기
KR100503056B1 (ko) 컴퓨터 시스템에서의 터치 패드 처리장치 및 그 방법과, 터치패드 모듈
Klima et al. Vector keyboard for touch screen devices
US20100164876A1 (en) Data input device
KR101263013B1 (ko)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