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46531B1 -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6531B1
KR100446531B1 KR10-2001-0048063A KR20010048063A KR100446531B1 KR 100446531 B1 KR100446531 B1 KR 100446531B1 KR 20010048063 A KR20010048063 A KR 20010048063A KR 100446531 B1 KR100446531 B1 KR 100446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ensor
data
input mode
arm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6807A (ko
Inventor
윤성표
이기태
황창환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0/173,478 priority Critical patent/US7012593B2/en
Publication of KR20020096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6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6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65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7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prediction or retrieval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3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38
    • G06F2203/0384Wireless input, i.e. hardware and software details of wireless interface arrangements for poin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데이터 입력장치는 장갑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손가락들 끝 부분에 각각 하나씩 센서들이 구비되고, 장갑을 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장갑의 형태 혹은 위치의 변화와 그로 인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면들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정도를 감지하여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방향의 인식을 위한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을 위하여 네 가지의 방향(좌, 우, 상, 하)을 인식하는 네 개의 센서 조각들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이고 나머지 센서는 디지털 데이터 입력을 위한 디지털 입력모드 센서인 센서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어떤 데이터가 입력된 것인지를 알아내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 결과를 외부에 연결되는 단말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인식 방법{GLOVE TYPE DATA INPUTTING APPARATUS AND RECOGNI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단말장치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장치를 외장형으로 구현할 때는 키보드, 마우스 혹은 조이스틱 같은 장치를 부착하여 사용하면 되지만, 휴대하기가 불편하다.
반면에, 내장형으로 구현할 경우에는 단말장치의 소형화 추세를 고려하여 접촉면을 소형화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 그래서 내장되어 있는 자판이나 키 버튼, 방향키 등은 작은 크기로 인하여 사용자가 조작하기 불편하다. 다시 말해서, 단말장치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키패드 및 키의 크기 또한 작을 수밖에 없어서 데이터 입력이 그리 용이하지만은 않다. 사용자의 손에 비해 작은 입력장치를 사용한다는 것이 불편하고, 손가락이 굵은 사람은 키를 잘못 누르는 실수를 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의 입력이 용이하고 휴대가 간편한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인식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1발명은, 장갑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손가락들 끝 부분에 각각 하나씩 센서들이 구비되고, 장갑을 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장갑의 형태 혹은 위치의 변화와 그로 인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면들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정도를 감지하여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방향의 인식을 위한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을 위하여 네 가지의 방향(좌, 우, 상, 하)을 인식하는 네 개의 센서 조각들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이고 나머지 센서는 디지털 데이터 입력을 위한 디지털 입력모드 센서인 센서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어떤 데이터가 입력된 것인지를 알아내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 결과를 외부에 연결되는 단말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제2발명은, 센서들이 부착되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방향의 인식을 위해 동작하는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상기 각 센서들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어떤 데이터가 입력된 것인지를 알아내는 방법에 있어서,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가 단말장치와 연결된 후 초기화되면, 상기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아날로그 입력모드이면 방향 인식 처리를 실시한 다음, 입력세기에 따른 가속도 처리를 실시한 후 디지털 입력이 있는지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 혹은 제2과정에서 디지털 입력이 있으면 조합입력모드인지 체크하여 조합입력모드이면 조합입력 처리를 실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조합입력 처리 후, 연속입력모드인지 체크하여 연속입력모드이면 연속입력 처리를 실시하는 제4과정과, 상기 연속입력 처리 후, 입력 레벨이 정해진 값 이상인지 체크하여 정해진 값 이상이면 압력세기 처리를 실시하는 제5과정과, 상기 입력 레벨이 정해진 값 이상일 경우 혹은 상기 압력세기 처리 실시 후, 아날로그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있으면 상기 제2과정으로 되돌아가고 없으면 상기 제3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6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를 단말장치와 유선으로 연결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를 단말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를 단말장치와 유선으로 연결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를 단말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혹은 제2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센서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상기 도 6의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의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상기 도 7의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가 눌리는 면적과 그 면적에 따른 스크롤 이동 방향을 나타낸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데이터 입력기를 양쪽 손에 착용할 경우 구현 가능한 조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혹은 제2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분석부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회로의 구성 소자 등과 같은 많은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100의 엄지 및 검지 끝 부분은 서로 맞닿아 있으며 이로 인한 압력이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를 단말장치와 유선으로 연결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100은 센서부 110과 분석부 120 및 출력단자 130을 가진다. 상기 센서부 110은 장갑을 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장갑 형태 혹은 위치[압력이 감지되는 위치]의 변화와 그로 인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면들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세기 정도를 감지[저항치 변화 또는 컨덕턴스 변화]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감지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위치의 변화란 예를 들어 소정의 패드 위에서 손가락 끝이 닿는 위치를 바꿈으로써 데이터 입력을 구분하는 것을 말하고, 장갑 형태의 변화란 도 1과 같이 어떤 손가락끼리 닿는지 혹은 주먹을 쥔 것인지 등을 의미한다.
분석부 120은 상기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어떤 데이터가 입력된 것인지를 알아내어 출력단자 130을 통해 단말장치 200으로 출력한다. 상기 분석부 120은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 120은 각 감지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미리 가질 수도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100은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내부 전원단을 가진다. 외부에서 동작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말장치 200은 입력단자 250을 통해 상기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100으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단말장치 200은 휴대폰과 같은 소형 무선단말장치 또는 유선단말장치가 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를 단말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와 달리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100과 단말장치 200이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100이 무선 송신부 140을 가지며 상기 단말장치 200은 무선 수신부 260을 가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를 단말장치와 유선으로 연결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를 단말장치와 무선으로 연결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전술한 제1시 예와 달리 분석부 270이 단말장치 200에 내장되어 있다. 이 경우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100은 센서부 11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바꾸어주는 수단이 필요할 것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혹은 제2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센서부 110의 실제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센서들 61∼65는 손가락들의 끝 부분에 위치한다.
이때, 다섯 개의 손가락에 해당하는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인 센서 62를 방향의 인식 등과 같은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을 위하여 방향을 인식하는 센서로 구성한다. 참조부호 62'은 센서 62의 단면도로서, 네 가지의 방향(좌, 우, 상, 하)을 인식하는 센서 조각들 62a∼62d로 구성된다. DIG는 압력을 받을 경우 방향이 아닌 디지털 데이터 입력으로 인식되는 감지영역을 의미한다. 여기서 도시한 경우는 방향을 인식하는 센서를 검지에 구현한 예로서, 이는 손가락의 조작 특성상 검지나중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편리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방향 인식이 가능한 센서 조각들을 편의상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라 부르고, 나머지 센서들을 디지털 입력모드 센서라고 부르기로 한다.
디지털 입력모드일 때 상기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 62는 다른 디지털 입력모드 센서들 61, 63∼65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상기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 62는 각각 하나의 방향을 지시하는 몇 개의 센서 조각들이 손가락 전체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도 2 ∼ 도 5에 개시된 분석부 120은 상기 각 센서들 61 ∼ 65로부터 오는 신호들을 조합하여 디지털 입력모드와 아날로그 입력모드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입력모드에 따라 각 센서들로부터 오는 신호를 변환하여 단말장치 200으로 전달할 신호로 만드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7은 상기 도 6의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 62의 단면도 62'을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 62는 몇 개의 센서 조각들 62a ∼ 62d가 손가락 전체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센서 조각들 62a, 62b, 62c, 62d는 각각 좌, 하, 우, 상을 인식한다. 참조부호 l1-1, l2-1, l2-2, l1-2는 각 센서들 사이의 경계를 나타내기 위해 표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각각 상기 도 7의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 62가 눌리는 면적과 그 면적에 따른 스크롤 이동 방향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a에 따르면,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 62의 상, 하, 좌, 우 4개의 인식 영역중 상-좌 71, 하 72, 우-상 73에서 눌림이 감지되고 그 면적은 도시된 바와 같다. 상기 4개의 인식 영역을 구분하여 표시하기 위해 나타낸 굵은 실선들 l1, l2가 교차하는 점을 포함하는 일정 영역 74는 상기 도 7에서 점선으로 표시한 부분 DIG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DIG 영역의 눌림을 감지하면 디지털 입력모드의 입력으로 인식한다. 상기 실선 l1은 상기 도 7에서 참조부호 l1-1, l1-2를 연결한 것이다. 손가락의 형태상 센서 조각들 62a ∼ 62d의 끝단은 폭이 점점 좁아지며 끝부분이 뾰족하도록 되어 장갑형태로 봉합시 손가락에 밀착되어 둘러쌀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b에 따르면, 상기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 62의 상-좌 71에서 감지된 눌림은 좌방향 벡터 81A와 상방향 벡터 81B를 합한 벡터합 81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벡터합 81이 향하는 방향이 실제 이동 방향이다. 마찬가지로, 우-상 73에서 감지된 눌림은 상방향 벡터 83A와 우방향 벡터 83B를 합한 벡터합 83으로 나타낼 수 있고, 상기 벡터합 83이 향하는 방향이 실제 이동 방향이다. 하 72에서 감지된 눌림은 하방향 벡터 82만 존재한다. 또한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좌 71, 하 72, 우-상 73의 순서로 눌린 면적이 작아지는 바 그 벡터합들 81, 82, 83의 크기도 그와 같은 순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강하게 눌러 눌린 면적을 크게 하면 이동거리가 더 길어지게 됨을 의미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갑형 데이터 입력기를 양쪽 손에 착용할 경우 구현 가능한 조합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손가락의 압력을 인지하는 부위는 10개이다.
이하 각 입력모드에 대한 정의 및 그들에 대한 판단과 변환 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입력모드의 변환:
단말장치에 연결된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를 착용한 사용자는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따라서 상기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바꿀 수 있다. 입력모드는 디지털 입력모드와 아날로그 입력모드로 나뉜다.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 62에서만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이 있을 경우에는 아날로그 입력모드로 동작을 시작한다. 아날로그 입력모드로 동작 중에도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 62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데이터인 경우에는 디지털 입력모드로 전환한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입력모드로 동작 중에도 분석부 120이 입력 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판단할 경우에는 아날로그 데이터로서 처리를 한다. 여기서 아날로그 데이터란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등과 같이 방향의 이동에 관련된 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디지털 데이터란 숫자키, 문자키, 기능키 등의 입력과 같이 키보드 혹은 버튼 입력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아날로그 입력모드:
예를 들어 인터넷을 브라우징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마우스와 같이 스크롤과 클릭의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 62가 있는 두 번째 손가락을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상기 두 번째 손가락에 있는 센서조각들 62a∼62d에 가해지는 압력과 그 세기를 통해 스크롤의 방향과 속도를 정할 수 있다. 이는 아날로그 입력모드로 동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동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벡터합을 계산한다. 만일 상기 네 개의 센서 조각들 62a∼62d 중 하나에만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해당되는 방향으로만 이동한다. 그러나 두 조각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에는 상기 두 개의 조각이 각각 가리키는 방향의 사이로 이동한다. 즉, 두 방향의 벡터합으로 이동하며, 각 방향의 벡터 크기는 눌리는 면적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한다. 또한 이동하는 속도도 눌리는 면적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세게 눌릴 경우에는 빠르게 동작하고, 약하게 눌릴 경우에는 천천히 움직이도록 한다. 또한 세 개 이상의 센서 조각이 눌릴 경우에는 방향 이동을 나타내는 아날로그 입력모드에서 숫자, 키 등의 입력을 나타내는 디지털 입력모드로 바뀌어 동작하도록 한다.
보다 정밀한 동작을 원한다면 더 여러 개의 센서를 사용하여 더욱 정확하게 방향과 압력의 세기를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다시 말해서,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8개, 16개 등 더 많은 센서를 이용하면 보다 더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는 감도의 정도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른다
디지털 입력모드:
이메일을 작성하기 위해서라든지 기타 여러 가지 이유로 문자들을 입력해야 하는 경우에는 각 손가락 끝 부분에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디지털 데이터 입력모드로 동작한다. 전술한 도 8의 경우를 가정한다면, 손가락의 압력을 인지하는 부위는 10개 밖에 되지 않으므로 많은 문자들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방법을 조합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네 가지의 파라미터를 조합하여 디지털 입력을 처리하도록 한다. 상기 네 가지 파라미터는 동시에 눌리는 센서의 조합, 센서가 눌리는 횟수, 센서가 눌리는 시간, 센서가 눌리는 세기이다. 상기 네 가지 파라미터값의 입력에 따라 단말장치로 전달되는 키값은 사용자 또는 제조자가 임의로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데이터는 분석부 120의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되어 사용된다. 이하 그 조합의 일례를 설명한다.
1) 압력의 세기: 압력의 세기는 두 개의 레벨을 둔다. 첫 번째 레벨을 넘으면 압력신호가 들어온 것으로 인식한다. 이때는 영문의 경우라면 입력으로 처리하고, 한글의 경우에는 일반 자음/모음의 입력으로 처리한다. 두 번째 레벨을 넘는 신호가 들어오면 영문의 경우 대문자 입력으로 처리하고 한글의 경우에는 쌍자음 또는 이중모음으로 처리한다.
2) 센서가 눌리는 횟수: 일반 키보드에 있는 자판 배열에 따라 키와 손가락을 대응시킨다. 각 손가락에는 해당하는 문자들을 여러 개 할당할 수 있는데, 이들 각각의 구분은 해당 손가락이 눌리는 횟수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5번 손가락에 ㅂ, ㅁ, ㅋ을 할당한다고 하면 한번 눌리면 ㅂ, 두 번 눌리면 ㅁ, 세번 눌리면 ㅋ의 문자 입력으로 처리한다. 영문의 경우에는 q, a, z로 대신하면 된다. 여기서 각 눌림 사이의 시간 간격은 일정한 제한이 있다. 즉, 처음 누른 후 두 번째 눌리기까지의 시간이 어느 일정 시간을 넘어서는 안 된다. 제한된 시간 안에 연속된 입력이 들어오는 경우에만 문자값이 바뀌고, 시간값을 초과하면 새로운 문자의 입력으로 처리한다.
3) 센서가 눌리는 시간: 빠른 동작을 위하여 여러 가지 기능에 단축키 역할을 부여한다. 기능별 단축키 역할의 부여는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되며, 프로그램된 값들은 분석부 120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정해진 시간값이 넘도록어느 한 센서에 계속 압력이 가해지면 단축키로 인식하여 처리한다. 도 8의 경우 10개의 센서가 있으므로, 10개의 단축키를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1번 센서는 전화, 2번 센서는 단문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 3 센서는 폰북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4) 센서의 조합: 센서의 조합으로는 여러 가지 기능키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도 8에서 오른손의 9번 센서가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라고 가정하고, 상기 9번 센서로 마우스와 같이 스크롤을 할 경우, 왼손의 1번 센서를 누르면 "Ctrl" 키의 역할을 하고, 2번 센서를 누르면 "Shift" 키의 역할을 하며, 3번 센서를 누르면 "Alt" 키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왼손의 1번 센서를 누른 상태에서 오른 손의 8, 9번 센서들을 동시에 누르면 "Enter" 키의 입력으로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 조합 역시 사용자 또는 제조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설정된 결과는 분석부 120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혹은 제2실시 예에서 사용하는 분석부 120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가 단말장치와 연결되면, 700단계에서 상기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가 초기화되고, 710단계에서 상기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체크된다. 즉, 디지털 입력모드인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디지털 입력모드이면 720단계에서 방향 인식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730단계에서 입력세기에 따른 가속도 처리를 실시한다. 이어서 740단계에서 디지털 입력이 있는지 체크한다. 디지털 입력이 있으면 750단계에서 조합입력모드인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체크결과 조합입력모드이면 760단계에서 조합입력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조합입력 처리 후, 770단계에서 연속입력모드인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연속입력모드이면 780단계에서 연속입력 처리를 실시한다. 이어서 790단계에서 입력 레벨이 정해진 값 이상인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정해진 값 이상이면 800단계에서 압력세기 처리를 실시한다. 그리고 810단계에서 입력시간이 정해진 시간 이상인지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정해진 시간 이상이면 820단계에서 단축키 입력 처리를 실시한다. 상기 단축키 입력 처리 실시 후에는 830단계에서 아날로그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상기 체크결과 아날로그 입력이 있으면 전술한 720단계로 되돌아가고, 없으면 전술한 750단계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는 데이터가 입력되는 상황에 따라 디지털 데이터의 입력모드인지 아날로그 데이터의 입력모드인지를 스스로 판단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와 단말장치 사이의 인터페이스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요지가 있다. 또한 디지털 입력모드와 아날로그 입력모드가 구분되어 동작하므로 센서의 감도와 파라미터를 적합하게 설정하여 오동작의 가능성을 줄인 데도 그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는 여러 가지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 그 구체적인 예들을 몇 개 열거한다.
첫째, 키 버튼의 개수가 적은 휴대폰에 이용 가능하다.
둘째, 키보드를 가지고 다니거나 터치스크린 혹은 기기에 내장된 키패드를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해야 하므로 여러 가지 제약 사항이 많았던 휴대용 정보단말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등도 활용이 가능하다.
셋째, 게임기에도 활용할 수 있다. 게임기에는 조이스틱과 같은 입력장치가 필요한데, 조이스틱은 본 발명의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와 쉽게 대체가 가능하다. 조이스틱은 일반적으로 방향 스틱으로 방향의 이동에 해당하는 입력을 받고 동작들을 수행하는 몇 개의 키 버튼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술한 도 8에서 왼손의 2번 센서는, 전술한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방향의 스크롤을 처리할 수 있는 아날로그 입력데이터를 처리하고, 오른손의 6, 7, 8번 센서들은 버튼의 입력 동작을 처리하는 키와 같은 역할로 사용될 수 있다.
넷째,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기 힘든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할 때 본 발명의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를 사용하여 실제 네비게이션의 기능들을 액세스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외에도 손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게 되는 많은 장치들에 본 발명이 사용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과 같은 재질로 만든 장갑 형태의 입력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소형 단말장치의 데이터 입력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게임에 이용할 경우 압력센서에 의해 입력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천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므로 휴대가 편리하다. 모든 입력은 손을 사용할 수밖에 없는 바, 본 발명과 같이 천으로 만들어진 장갑 형태의 데이터 입력기는 인간 공학적인 측면에서 사람이 가장 사용하기 쉬우며, 그 사용법도 쉽게 익힐 수가 있다.

Claims (17)

  1. 장갑 모양으로 이루어지며,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손가락들 끝 부분에 각각 하나씩 센서들이 구비되고, 장갑을 낀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에 따른 장갑의 형태 혹은 위치의 변화와 그로 인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면들에서 감지되는 압력의 정도를 감지하여 소정의 감지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센서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방향의 인식을 위한 아날로그 데이터 입력을 위하여 네 가지의 방향(좌, 우, 상, 하)을 인식하는 네 개의 센서 조각들로 이루어진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이고 나머지 센서는 디지털 데이터 입력을 위한 디지털 입력모드 센서인 센서부와,
    상기 감지신호를 분석하여 어떤 데이터가 입력된 것인지를 알아내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 결과를 외부에 연결되는 단말장치로 출력하는 출력단자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각 감지신호에 해당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데이터는 마우스 포인터의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데이터이고, 상기 디지털 데이터는 키보드 혹은 버튼 입력에 해당하는 데이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는 손가락 전체를 둘러싸며, 끝으로 갈수록 폭이 점점 좁아지며 끝은 뾰족하도록 구성되어 장갑형태로 봉합시 손가락에 밀착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세 개 이상의 센서 조각들이 눌릴 경우 디지털 입력모드의 입력으로 인식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아날로그 입력모드일 때 상기 아날로그 입력모드 센서가 눌리는 면적에 따른 벡터합이 스크롤 이동 방향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가 상기 각 센서들로부터 오는 신호들을 조합하여 디지털 입력모드와 아날로그 입력모드를 판단하고, 그 판단된 입력모드에 따라 상기 각 센서들로부터 오는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전달할 신호로 만듦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 결과를 무선 수신이 가능한 단말장치로 무선 송출하기 위한 송신부를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가 휴대용 무선 단말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9. 삭제
  10. 센서들이 부착되며, 이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방향의 인식을 위해 동작하는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에서 상기 각 센서들로부터 감지되는 신호들을 분석하여 어떤 데이터가 입력된 것인지를 알아내는 방법에 있어서,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가 단말장치와 연결된 후 초기화되면, 상기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를 체크하는 제1과정과,
    상기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의 입력모드가 아날로그 입력모드이면 방향 인식 처리를 실시한 다음, 입력세기에 따른 가속도 처리를 실시한 후 디지털 입력이 있는지 체크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1 혹은 제2과정에서 디지털 입력이 있으면 조합입력모드인지 체크하여 조합입력모드이면 조합입력 처리를 실시하는 제3과정과,
    상기 조합입력 처리 후, 연속입력모드인지 체크하여 연속입력모드이면 연속입력 처리를 실시하는 제4과정과,
    상기 연속입력 처리 후, 입력 레벨이 정해진 값 이상인지 체크하여 정해진 값 이상이면 압력세기 처리를 실시하는 제5과정과,
    상기 입력 레벨이 정해진 값 이상일 경우 혹은 상기 압력세기 처리 실시 후, 아날로그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있으면 상기 제2과정으로 되돌아가고 없으면 상기 제3과정으로 되돌아가는 제6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과정이,
    상기 입력 레벨이 정해진 값 이상일 경우 혹은 상기 압력세기 처리 실시 후, 상기 아날로그 입력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전, 입력시간이 정해진 시간 이상인지 체크하여 정해진 시간 이상이면 단축키 입력 처리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에서 상기 입력세기에 따른 가속도 처리는 마우스 포인터의 가속 정도를 계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의 조합입력 처리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센서 출력을 조합한 결과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과정의 연속입력 처리는 하나의 센서에 할당된 다수의 문자를 연속해서 입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의 압력세기 처리는 입력 레벨을 체크하여 제1레벨 이상이면 압력신호가 들어온 것으로 인식하여 한글 일반 자음/모음 입력으로 처리하고, 제2레벨 이상이면 쌍자음 혹은 이중모음으로 처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5과정의 압력세기 처리는 입력 레벨을 체크하여 제1레벨 이상이면 압력신호가 들어온 것으로 인식하여 영어 알파벳 소문자 입력으로 처리하고, 제2레벨 이상이면 대문자 입력으로 처리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항 혹은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압력의 세기, 센서에 압력이 가해지는 횟수, 센서에 압력이 개해지는 시간, 및 압력이 가해지는 센서들의 조합 - 네 가지 파라미터들을 조합하여 디지털 입력모드를 지원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KR10-2001-0048063A 2001-06-15 2001-08-09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인식 방법 KR100446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173,478 US7012593B2 (en) 2001-06-15 2002-06-17 Glove-type data input device and sens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10034036 2001-06-15
KR1020010034036 2001-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807A KR20020096807A (ko) 2002-12-31
KR100446531B1 true KR100446531B1 (ko) 2004-09-01

Family

ID=27709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063A KR100446531B1 (ko) 2001-06-15 2001-08-09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65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713B1 (ko) * 2001-11-14 2005-07-01 신권 착용하는 장갑형 문자입력장치
KR200370963Y1 (ko) * 2004-08-03 2004-12-23 이재동 손가락부분, 장갑의 손바닥 부분, 장갑마우스 ver2
KR100680023B1 (ko) * 2004-12-06 2007-02-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신호를 이용한 착용형 휴대폰 입력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58373B1 (ko) * 2005-09-29 2007-09-14 이성일 장갑을 이용한 레이싱 게임용 데이터 입력장치
KR100828415B1 (ko) * 2007-08-16 2008-05-09 한국과학기술원 무선통신기반 직관적 영상처리장치 및 방법
KR100892062B1 (ko) * 2007-11-30 2009-04-07 한국과학기술원 공간적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KR101526575B1 (ko) * 2008-11-17 2015-06-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입력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064663B1 (ko) * 2009-09-09 2011-09-15 한국과학기술원 애완 동물과의 교감을 위한 원거리 동작 전달 시스템
KR20110002926U (ko) * 2009-09-16 2011-03-23 이희승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323A (ja) * 1988-07-04 1990-01-19 Katsumi Kadota 手装着型データ入出力方式
JPH08272520A (ja) * 1995-03-29 1996-10-18 Asako Hanno 手袋命令発信装置
JPH11143608A (ja) * 1997-11-07 1999-05-28 Sony Corp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KR19990046668A (ko) * 1999-04-13 1999-07-05 강성자 액세서리의장식구부착방법및그장치와그제품
WO1999046668A2 (en) * 1998-03-12 1999-09-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le pressure sensors per finger of glove for virtual full typing
WO2000000883A1 (en) * 1998-06-30 2000-01-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ingerless glove for interacting with data processing system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5323A (ja) * 1988-07-04 1990-01-19 Katsumi Kadota 手装着型データ入出力方式
JPH08272520A (ja) * 1995-03-29 1996-10-18 Asako Hanno 手袋命令発信装置
JPH11143608A (ja) * 1997-11-07 1999-05-28 Sony Corp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WO1999046668A2 (en) * 1998-03-12 1999-09-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le pressure sensors per finger of glove for virtual full typing
WO2000000883A1 (en) * 1998-06-30 2000-01-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ingerless glove for interacting with data processing system
KR19990046668A (ko) * 1999-04-13 1999-07-05 강성자 액세서리의장식구부착방법및그장치와그제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6807A (ko) 2002-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2593B2 (en) Glove-type data input device and sensing method thereof
JP5243967B2 (ja) 指に取り付けるセンサーを用いた情報入力
KR101395780B1 (ko) 촉각 감지를 위한 압력 센서 어레이 장치 및 방법
US20040080487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keyboard for thumb typing
US6208328B1 (en) Manipulative pointing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EP1933225A2 (en) Using sequential taps to enter text
US20110063241A1 (en) Data input device
WO2009080765A1 (en)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thereof
US20220253209A1 (en) Accommodative user interface for handheld electronic devices
WO2009059479A1 (en) Input devices with virtual input interfaces
KR100446531B1 (ko) 장갑형 데이터 입력장치 및 그 인식 방법
KR100499391B1 (ko)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
EP2070197A1 (en) Keypad emulation
KR20040101560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
US20050024338A1 (en) Finger-identifying keyboard
GB2409277A (en) Finger mounted inductive digitiser input device with activation switch
JPH11143608A (ja) 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装置
WO2011034330A2 (ko)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KR20100011716A (ko) 입력 장치
KR20070103268A (ko)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입력 장치
KR20070010792A (ko) 조이스틱을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
JP2002055757A (ja) キーボード装置
KR20020001129A (ko) 제한된 수의 키수단을 이용한 한글입력방법과 컴퓨터의입력장치
WO2004053673A2 (en) Thumb-typing keyboard alternative for handheld computer devices
KR20070104324A (ko) 편리한 키보드 마우스 일체형 입력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