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87249A -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방법 및장치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방법 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87249A
KR20090087249A KR1020080012578A KR20080012578A KR20090087249A KR 20090087249 A KR20090087249 A KR 20090087249A KR 1020080012578 A KR1020080012578 A KR 1020080012578A KR 20080012578 A KR20080012578 A KR 20080012578A KR 20090087249 A KR20090087249 A KR 20090087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key
input
mobile terminal
key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3154B1 (ko
Inventor
강신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2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3154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3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3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4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 H04M1/2476Telephone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disabled people for a visually impaired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한 점자 입출력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발명은,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점자 키패드의 점을 진동시켜 상기 점자를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시각 장애인은 촉각을 통해 친숙한 점자 형태의 표기법을 이용하므로 편하게 읽고 쓰기를 수행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직접 휴대 단말기의 점자 키패드를 통해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고 전송할 수 있고, 상기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진동 모터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부를 통해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점자 형태로 확인 할 수 있어 시각 장애인들의 휴대 단말기 사용을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시각장애인, 점자

Description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방법 및 장치{Method of Braille input and output for blind persons in por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점자 키패드를 제공하여 점자(Braille) 형태로 입출력이 가능하도록 한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각종 통신 수단이 발달하고 있으며, 특히, 개인용 이동통신은 매우 급속하게 발달하고 있다. 휴대 단말기는 이동 통신 서비스에 가입이 되어 있다면, 서비스가 지원되는 지역 어디서나 이동하면서 시간,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통신하고자 하는 상대방과 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사용상 편리하고 휴대하기 간편한 개인용 통신장비이다. 휴대 단말기는 성인이면서 정상인이라면 누구나 한 대 정도는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선택이 아닌 필수 개인 소지품이 되어 있다. 하지만 정작 불편이 있어 일상생활에 도움을 받아야 할 시각 장애인들은 이러한 통신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휴대 단말기의 기술 발달로 인해 음성 서비스만이 아닌 문자 메시지를 이용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지만 일반인만이 사용 할 수 있는 입출력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시각 장애인들은 현재의 휴대 단말기를 통해서는 문자 메시지를 이용하여 간단한 의사전달도 어렵고 상대방의 전화번호 입력도 어려워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각 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점자는 점판과 점자용 묵지를 이용하여 만들어 지는데, 점자는 총 6개의 점들이 두 개씩 쌍을 이루며 세 줄의 일정 간격으로 점판을 통하여 구멍을 뚫어 볼록하게 표기가 되며 사용자는 손가락 접촉에 의해 그것을 인식하도록 되어 있다. 휴대 단말기의 보급의 확대와 더불어 모든 사람들은 이제 필수품으로 사용하고 있는바,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도 점자의 입력에 있어 어려움이 많이 개선되어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종래에는 시각 장애인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휴대 단말기에서 하나의 숫자키와 선택키를 구비하여 숫자키를 누르는 횟수와 선택키 입력 신호에 의해 그 횟수에 대응되는 숫자로 인식되도록 하는 기술과 누른 숫자에 해당하는 음성을 출력 시키는 발명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발명은 0~9의 숫자 키패드를 찾아서 눌러야 하고 숫자키에 대응되는 음성 출력은 제한되어 시각 장애인의 사용에 불편한 점을 크게 개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각 장애인이 사용하는 점자를 적용하고, 진동 모터(Vibration Motor)가 장착 되어 있는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여 휴대 단말기 사용에 편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를 통해 보다 편하게 숫자 및 문자를 인식하고 입력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을 진동시켜 상기 점자를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메시지의 문자를 점자/문자 변환부를 통해 점자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는 메시지 확인/작성키, 입력키, 문자키, 약자키, 취소키, 통화/확인키, 종료/전원키, 방향키, 점자 키패드 및 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 모터는 상기 6개의 점에 각각 연결되며, 점자에 해당하는 점을 진 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문자 메시지의 문자 중 커서(Cursor)가 위치한 문자에 해당하는 점자를 출력하도록, 상기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 및 상기 점자를 문자로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는 상기 6개의 점 중,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점을 선택하여 상기 점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는 메시지 확인/작성키, 입력키, 문자키, 약자키, 취소키, 통화/확인키, 종료/전원키, 방향키, 점자 키패드 및 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점자 일람표상의 초성, 모음, 종성, 숫자, 부호 및 알파벳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약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점자 일람표상의 약자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 확인/작성키, 입력키, 문자키, 약자키, 취소키, 통화/확인키, 종료/전원키 및 방향키는 각각의 명칭이 점자로 새겨진 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 방법은, 상기 점자 키패드의 각 6점을 통해 점자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점자를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입력하는 과정은, 문자키 및 약자키 중 어느 일 분류를 선택하는 키를 입력하고, 해당 분류에 따른 점자를 점자 키패드를 통해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환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받은 점자를 점자 일람표에 의해 점자/문자 변환부에서 문자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자를 변환하는 과정 후, 상기 문자로 변환된 점자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에서 점자 출력 방법은, 문자 메시지를 문자로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메시지의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6개의 점 중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점을 진동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변환하는 과정은, 점자 일람표에 의해 상기 문자에 해당하는 점자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변환하는 과정 후, 상기 점자로 변환된 문자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하는 과정은 상기 표시된 문자 메시지의 문자 중 커서가 이동한 위치의 문자에 대응하는 점자에 해당하는 점을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하는 과정은, 상기 점자가 이중 모음인 경우, 상기 이중 모음에 해당하는 점자를 진동함과 동시에 상기 이중 모음에 해당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동하는 과정은, 상기 점자가 이중 모음인 경우, 상기 이중 모음은 두 개의 점자로 이루어지며, 해당하는 점을 진동하는 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 휴대 단말기를 사용하는 시각 장애인의 경우 촉각을 통해 이미 친숙한 점자 형태의 표기법을 이용하므로 편하게 읽고 쓰기를 수행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는 직접 휴대 단말기의 점자 키패드를 통해 문자 메시지를 입력하고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에 장착 된 진동 모터를 통해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점자 형태로 확인 할 수 있어 시각 장애인들의 휴대 단말기 사용을 늘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일부 용어에 대하여 그 의미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1. 문자 : 문자는 각 점자에 대응하는 점자 일람표 상의 초성, 모음, 종성, 약자, 숫자, 부호 및 알파벳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2. 점 : 점은 점자를 구성하는 성분이다. 각 6개 내지 12개의 점들이 모여서 하나의 점자를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키 패드는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점자 키패드의 점은 점자의 점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점자를 구성하는 성분인 점과 점자 키패드의 점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3. 점자 : 점자는 점들이 모여서 구성된다. 하나의 점자는 각 6개 내지 12개의 점들이 필요하다.
4. 문자 메시지 : 문자 메시지는 각각의 문자가 모여서 나타내는 문자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를 휴대 단말기로 명명하며, 이동 통신 단말기를 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는 시각 장애인에게 점자 입출력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단말 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점자 입출력이 가능한 일반적인 이동 통신단말기, 이동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단말기,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단말기,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ervice), 노트북(Notebook),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및 PMP(Potable Multimedia Plyer)등과 같은 정보통신 기기 및 멀티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일람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제어부(100),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및 무선 통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제어부(100)는 점자/문자 변환부(102) 및 모터 가동 기계부(104)를 포함한다. 또한,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는 진동 모터(112)를 포함한다.
제어부(100)는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및 휴대 단말기의 내부 블록들 간의 흐름을 제어한다. 즉,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 저장부(120), 표시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및 무선 통신부(150)의 각 구성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고, 점자를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하여 제어부(100)는 점자/문자 변환부(102)를 구비한다. 즉, 점자/문자 변환부(102)는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고, 점자를 문자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를 통해 점자를 출력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모터 가동 기계부(104)를 구비한다. 이때,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는 점자 6개의 점에 대응되는 점을 가진다. 또한,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는 각 점과 연결되는 6개의 진동 모터(112)를 구비한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모터 가동 기계부(104)를 통해 점자에 대응하는 진동 모터(112)를 진동 시킨다. 그러면, 진동 모터(112)가 진동함에 따라 각 점이 진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점자를 인지할 수 있다. 이때, 모터 가동 기계부(104)는 진동 모터(112)를 기계적으로 켜고 끄는(ON/OFF) 기능을 수행한다.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는, 점자를 입력하고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의 외형이 도 2에 도시되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는 메시지 확인/작성키(200), 입력키(210), 문자키(220), 약자키(230), 취소키(240), 통화/확인키(250), 종료/전원키(260), 방향키(270), 점자 키패드(280)및 진동 모터(112)를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메시지 확인/작성키(200), 입력키(210), 문자키(220), 약자키(230), 취소키(240), 통화/확인키(250), 종료/전원키(260) 및 방향키(270)를 포함하는 기능키들은 사용자 손끝의 촉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점자 형태로 구성했다. 즉, 각 기능키들은 각 기능키들의 명칭이 점자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메시지 확인/작성키(200)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기능키이다. 즉, 메시지 확인/작성키(200)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거나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한다.
입력키(210)는 점자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점자 입력을 마치고, 입력키(210)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하나의 점자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한다.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다가 원하지 않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에 취소키(240)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 문자를 삭제한다.
제어부(100)는 점자 키패드(280)를 통해 전화번호를 입력받은 후 통화/확인키(250)가 감지되면 해당 전화번호로 전화를 발신한다.
통화/확인키(250)는 문자 메시지 작성의 완료, 통화 연결 및 문자 메시지 전송을 위한 키이다.
종료/전원키(260)는 휴대 단말기의 전원을 켜거나 끄기 위한 것이다.
방향키(270)는 상하좌우 각 4방향의 키로 구성된다. 특히, 방향키(270)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키기 위한 기능키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문자 메시지 수신시,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되, 커서를 문자 메시지와 함께 표시한다. 이때, 사용자는 방향키(270)를 이용하여 커서를 이동시킬 수 있다. 커서가 이동되면, 제어부(100)는 해당 커서에 위치한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여 점자 키패드(280)를 통해 출력한다.
점자 키패드(280)는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지며, 각 점은 진동 모터(112)와 연결된다. 사용자는 점자를 입력하기 위해 6개의 점 중 입력하고자하는 점자에 해당되는 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점자 키패드(28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00)는 출력하고자 하는 점자에 대응하는 점을 진동 시켜 사용자가 해당 점자를 인지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00)는 각 점에 연결된 진동 모터(112)를 진동시켜, 사용자가 해당 점자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문자키(220) 및 약자키(230)는 점자 입력 시 같은 모양으로 사용되는 점자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 6개의 점을 사용하여 표현된 점자는 사용자들이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초성, 모음, 종성, 약자, 숫자, 부호 및 알파벳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에서는 6개의 점자 키패드(280)를 사용하여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의 편리를 위하여 한글, 숫자, 부호 및 알파벳을 하나의 키인 문자키(220)를 통해 사용 가능 하도록 하였고, 자주 사용하는 약자는 약자키(230)를 통해 사용 가능하다. 그 이유로 점자는 총 6개의 점들이 두 개씩 쌍을 이루며 세 줄의 일정 간격으로 위치하며, 볼록하게 튀어나온 모양을 통해 글자를 표현한다. 하지만 제한된 점의 개수로 인해 같은 모양으로 사용되는 글자들이 생기 게 되고 이에 따른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도 3의 점자 일람표에 따라, 숫자 앞에는 수표를 먼저 쓰고, 알파벳 앞에는 영어표를 먼저 사용한 후 해당 문자를 쓴다. 예를 들어, 초성의"ㅁ", 숫자의" 5" 및 알파벳의 "E"는 서로 점자가 나타내는 모양이 같다. 이에 따라, 숫자 앞에는 수표를 먼저 쓰고, 알파벳 앞에는 영어표를 먼저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다른 문자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키(220)를 사용하여 한글, 영어, 숫자 및 부호의 입력이 가능하다.
문자키(220)는 초성, 모음, 종성, 숫자, 부호 및 알파벳을 사용하여 문자 구성을 원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제어부(100)는 문자키(220)를 사용하여 한글, 영어 및 숫자를 입력 받는다. 제어부(100)는 문자키(220) 버튼이 선택되면 점자 키패드(280)를 통해 입력되는 점자를 해당되는 문자로 변환한다. 이는 점자/문자 변환부(102)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변환된 문자를 저장부(120)에 저장하고,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약자키(230)는 약자를 입력하기 위한키이다. 제어부(100)는 약자키(230)가 선택되면, 도 3에 따른 약자들을 입력 받는다. 즉, 약자키(230)가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점자 키패드(280)를 통해 입력되는 각 6개 내지 12개의 점을 약자로 인식하여 도 3의 점자 일람표에 따라 해석한다.
저장부(12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및 이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부(120)는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 할 수 있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를 부팅(Booting)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와 휴대 단말기의 기타 옵션(Option) 기능이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표시부(130)는 휴대 단말기의 메뉴,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기능 설정 정보 및 사용자에게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한다. 표시부(130)는 액정 표시부(LCD, Liquid Crystal Display)로 구성된다.
오디오 처리부(140)는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하거나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변환된 음성 신호를 스피커(142)를 통해 송출하며, 마이크(144)는 사용자로부터 아날로그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처리부(140)로 전달한다.
무선통신부(150)와 ANT(152)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송수신하고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코딩(Channel coding)및 확산(Spreading)하거나 수신한 데이터를 역확산(Despreading)및 채널부호(Channel decoding)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를 통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보내는 방법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통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보내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 전송 시 S401단계에서 문자 메시지 작성을 위한 메시지 확인/작성키(200) 입력이 감지되면, S405단계에서 메시지 작성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S40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메시지 확인/작성키(200) 입력을 받지 못 하고, 다른 키 입력을 받으면, S403단계에서 입력받은 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메시지 작성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점자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점자를 입력하면, 제어부(100)는 S407단계에서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를 통해 점자를 입력 받는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문자키(220) 및 약자키(230)를 이용하여 점자의 분류에 따라 점자를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다. 각 6개의 점으로 모든 점자를 입력 및 표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주 쓰는 문자들을 모아 약자로 분류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류에 따라 문자키(220) 또는 약자키(230)를 먼저 입력하고, 입력하고자 하는 점자를 입력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의 점자 일람표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문자키(220) 입력 후 점자를 입력하면, 초성, 모음, 종성, 숫자, 부호, 및 알파벳의 분류에 따른 점자가 입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약자키(230) 입력 후 점자를 입력하면, 약자의 분류에 따른 점자가 입력된다. 또한, 사용자는 6개의 점자 키패드(280)를 통해 점자가 자음 입력(초성), 모음 입력 및 자음 입력(종성) 순으로 한자씩 입력하고, 입력키(210)를 선택하면, 하나의 문자에 해당하는 점자들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411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점자를 문자로 변환한다. 이는 점자/문자 변환부(102)에서 점자에 해당되는 문자로 변환한다.
S413단계에서 제어부(100)는 점자/문자 변환부(102)로부터 변환 받은 문자를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30)에 나타낸다.
제어부(100)는 S415단계에서 보낼 문자 메시지가 완성이 되면 통화/확인키(250)를 짧게 눌러 확인하고 S417단계에서 도 5b와 같이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란을 표시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S415단계에서 통화/확인키(250)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S407 단계로 진행한다.
제어부(100)는 S419단계에서 상대방 전화번호를 점자로 입력 받는다.
제어부(100)는 S421단계에서 앞서 입력받은 상대방의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점자를 점자/문자 변환부(102) 통해 문자로 변환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S423단계에서 표시부(130)에 변환된 문자를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S425단계에서 통화/확인키(250)의 입력을 감지하고, S427단계에서 입력된 상대방의 전화번호로 무선 통신부(150)를 통해 문자 메시지를 보낸다. 한편, 제어부(100)는 S425단계에서 통화/확인키(250)의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다면, S419 단계를 다시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방법 중 이중 모음 설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중 모음 설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 3의 점자 일람표를 참고하면, 이중 모음(위, 얘, 왜 및 웨)은 12개의 점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초성, 모음, 종성, 숫자, 부호 및 알파벳은 6개의 점만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이중 모음 "위"가 수신 되었다면, 총 12개의 점이 모여 "위"를 표현한다.
각 6개의 점을 따로 해석한다면 "우"와"애"로 표현 된다. 이는 문자 메시지를 보낸 상대방의 의도와는 다른 의미가 된다.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를 읽을 때 상기 이중 모음에 대한 설정을 도 3의 점자 일람표에 의해 설정한다.
도 6은 문자 메시지에서 상기 이중 모음을 수신시 음성 모드 설정, 시간차 모드 설정 및 모든 모드 설정을 나타낸다.
제어부(100)는 S601단계에서 길게 눌러지는 문자키(220)의 입력을 받고, S605단계에서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30)에 이중 모음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한편, 이중 모음 설정 메뉴 선택을 위한 문자키(220)의 입력을 받지 못하면, 제어부(100)는 S603단계에서 입력받은 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S607단계에서 이중 모음 설정 모드의 종류를 판단한다. 도 7b에 이중 모음 설정 모드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들이 도시되었다.
사용자는 메뉴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메뉴는 <1.음성>, <2.시간차> 및 <3.음성+시간차>로 구성된다.
사용자가 <1.음성>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S6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S609단계에서 이중 모음 설정 모드를 음성 모드로 설정한다.
음성 모드로 설정된 경우, 수신된 문자 메시지 중에 이중 모음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하여 스피커(152)를 통해 이중 모음에 해당하는 음성을 출력하고, 점자 키패드(280)의 진동 모터(112)를 진동한다.
사용자가 <2.시간차>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S607단계에서 이를 감 지하고, S611단계에서 이중 모음 설정 모드를 시간차 모드로 설정한다.
시간차 모드로 설정된 경우, 수신된 문자 메시지 중에 상기 이중 모음 출력시, 제어부(100)는 하나의 점자에 해당하는 점을 진동하는 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 두 개의 점자를 진동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모음에 해당하는 각 6개의 점을 나타내기 위한 점자 진동 시간은 1초이다. 상기 이중 모음에 해당하는 각 12개의 점을 나타내는 시간은, 각 6개의 점을 표현하는 시간을 0.5초의 시간차를 두고, 점자 진동 시간 1초 동안 상기 이중 모음 12개의 점을 나타내는 시간으로 표현된다.
사용자가 <3.음성+시간차> 메뉴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S60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S613단계에서 이중 모음 설정 모드를 모든 모드로 설정한다.
모든 모드로 설정된 경우, 수신된 문자 메시지 중에 이중 모음이 있으면, 제어부(100)는 음성 모드와 시간차 모드를 동시에 사용하여 상기 이중 모음을 표현한다.
도 7c는 상기 이중 모음을 포함하지 않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 받은 경우이고, 도 7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중 모음 시간차 설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제어부(100)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점자/문자 변환부(102)를 통해 점자로 인식한다. 도 7c에 도시된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사랑합니다"에서 첫 문자인 "사"자에 해당하는 점자를 표현하기 위해, 제어부(100)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를 제어하여 "ㅅ"과 "ㅏ"에 해당하는 점자 키패드(280)의 진동 모 터(112)를 각각 1초에 해당하는 전체 2초 동안 진동한다.
도 7e는 상기 이중 모음을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 받은 경우이고, 도 7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이중 모음 시간차 설정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제어부(100)는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점자/문자 변환부(102)를 통해 점자로 인식한다. 도 7e에 도시된 예를 들어, 상기 수신된 문자 메시지 "우리 얘기하자."에는 상기 이중 모음이 포함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를 제어하여 상기 문자 메시지 중 "얘"에 해당하는 각 12개의 점을, 각 6개의 점자 키패드(280)의 진동 모터(112)를 전체 1초 동안 0.5초 간격으로 두 번 진동하여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를 통한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이다.
도시된 도 8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S801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를 받기 위한 수신대기 상태이다.
제어부(100)는 S803단계에서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사용자에게 문자 메시지가 도착했음을 알리기 위해 스피커(142)를 통한 경고음이나 진동 모터(112)의 진동을 통해 문자 메시지 도착을 알려주며, 표시부(130)에 도 9a를 표시한다.
제어부(100)는 S805단계에서 메시지 확인/작성키(200)가 감지되면, S809단계에서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표시부(130)에 표시한다. 한편, S805단계에서 제어 부(100)는 메시지 확인/작성키(200)의 입력을 받지 못하면, S807단계에서 입력받은 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S811단계에서 도 9b와 같이 표시부(130)에 문자 메시지의 첫 글자인 "축"자에 커서를 위치시킨다.
제어부(100)는 S812단계에서 상기 문자 메시지의 문자를 점자/문자 변환부(102)를 통해 점자로 변환하고, S813 단계에서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점자를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110)의 진동 모터(112)를 통해 진동 시킨다.
제어부(100)는 S815단계에서 방향키(270)의 입력을 통해 이동하는 커서의 위치가 감지되면, S819단계에서 방향키(270)의 이동 횟수와 상하좌우 방향에 따라 커서를 이동한다. 도 9b에 도시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우측으로 4번 이동하는 방향키(270)의 입력을 감지하면, 해당하는 문자로 커서를 위치시킨다. 즉,"축"자에 커서가 위치한 상태에서, 우측방향키가 4번 입력되면,"축"자에서 우측으로 4칸에 위치하고 있는"다"자의 위치에 커서를 위치시킨다.
제어부(100)는 S821단계에서 커서의 위치에 대응하는 문자의 점자를 진동 모터(112)를 통해 진동한다. 예컨대, 상술한 예에서,"다"자에 해당하는 점자를 진동 모터(112)를 통해 진동한다. 한편, S815단계에서 제어부(100)는 방향키(270)의 입력을 받지 못하면, S817단계에서 입력 받은 키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이므로 문자 메시지 확인 과정에서 방향키(270)의 상하좌우 이동 횟수와 표시부(130)상의 커서 위치 에 대한 혼돈이 일어날 경우, 사용자는 취소키(240) 입력을 통해 커서의 위치를 초기화할 수 있 다. 즉, 제어부(100)는 S823단계에서 길게 입력되는 취소키(240)를 감지하면, S811단계로 진행하여 문자 메시지의 첫 문자로 커서를 이동시킨다. 한편, 제어부(100)는 S823단계에서 커서의 위치 초기화를 위해 입력되는 취소키(240) 입력을 감지하지 못하고 다른키의 입력이 감지되면, 답신을 보낼지의 여부를 묻는 S825단계를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S825단계에서 사용자에게 답신을 보낼지 여부를 묻는 단계를 수행한다.
답신을 보낼지 여부는 사용자의 입력키(210) 입력에 따라 결정된다. 즉, 제어부(100)는 S825단계에서 입력키(210) 입력을 감지하면, S827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S825단계에서 입력키(210) 입력을 감지하지 못하면, 문자 메시지에 대한 답신을 종료한다.
답신을 보낼 경우, 제어부(100)는 S827단계에서 통화/확인키(250)의 입력을 통해 음성 통화 모드와 문자 메시지 답장 모드를 구분한다.
제어부(100)는 S827단계에서 길게 입력되는 통화/확인키(250)을 감지하면, S829단계에서 음성 통화를 사용한 답장 모드를 실행한다. 한편, 제어부(100)는 S827단계에서 짧게 입력되는 통화/확인키(250) 입력을 감지하면, 도 4의 S405단계로 진행하여 문자 메시지 답장 모드를 실행한다.
즉, S827단계에서 문자 메시지 답장 모드가 선택 되면, 제어부(100)는 도 4에 도시된 A단계부터 문자 메시지 답장을 처리한다.
제어부(100)는 문자 메시지 작성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자 입출력 키패 드부(110)를 통해 점자를 입력 받는다.
이 때, 제어부(100)는 상대방 전화 번호 입력을 위한 S417단계부터 S421단계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가 제공되는 휴대 단말기의 외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점자 일람표.
도 4는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를 통한 문자 메시지를 작성하고 보내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6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를 통한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 시 이중모음(ㅟ,ㅒ,ㅙ,ㅞ)에 대한 설정 모드를 확인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7a 내지 도 7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8은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를 통한 수신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고 답신하는 방법에 대한 흐름도.
도 9a와 도 9b는 시각 장애인용 휴대 단말기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Claims (23)

  1.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에 있어서,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제어부; 및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상기 점자 키패드의 점을 진동시켜 상기 점자를 출력하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 메시지의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는
    메시지 확인/작성키, 입력키, 문자키, 약자키, 취소키, 통화/확인키, 종료/전원키, 방향키, 점자 키패드 및 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모터는
    상기 6개의 점에 각각 연결되며, 점자에 해당하는 점을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한 문자 메시지의 문자 중 커서가 위치한 문자에 해당하는 점자를 출력하도록, 상기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장치.
  6.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장치에 있어서,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이용하여 점자를 입력하는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 및 상기 점자를 문자로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는
    상기 6개의 점 중, 상기 점자에 해당하는 점을 선택하여, 상기 점자를 입력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 메시지를 송신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 입출력 키패드부는
    메시지 확인/작성키, 입력키, 문자키, 약자키, 취소키, 통화/확인키, 종료/전원키, 방향키, 점자 키패드 및 진동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점자 일람표상의 초성, 모음, 종성, 숫자, 부호 및 알파벳을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약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점자 일람표상의 약자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확인/작성키, 입력키, 문자키, 약자키, 취소키, 통화/확인키, 종료/전원키 및 방향키는 각각의 명칭이 점자로 새겨진 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장치.
  13.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점자 키패드의 각 6점을 통해 점자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점자를 문자로 변환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하는 과정은,
    문자키 및 약자키 중 어느 일 분류를 선택하는 키를 입력하고, 해당 분류에 따른 점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과정은,
    상기 입력 받은 점자를 점자 일람표에 의해 문자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를 변환하는 과정 후,
    상기 문자로 변환된 점자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력 방법.
  18. 6개의 점으로 이루어진 점자 키패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방법에 있어서,
    문자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메시지를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문자 메시지의 문자를 점자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6개의 점 중, 상기 점자에 대응하는 점을 진동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과정은,
    점자 일람표에 의해 상기 문자에 해당하는 점자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하는 과정 후,
    상기 점자로 변환된 문자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하는 과정은,
    상기 표시된 문자 메시지의 문자 중, 커서가 이동한 위치의 문자에 대응하는 점자에 해당하는 점을 진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하는 과정은,
    상기 점자가 이중 모음인 경우, 상기 이중 모음에 해당하는 점자를 진동함과 동시에 상기 이중 모음에 해당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하는 과정은,
    상기 점자가 이중 모음인 경우, 상기 이중 모음은 두 개의 점자로 이루어지며, 해당하는 점을 진동하는 시간과 동일한 시간 동안, 진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점자 출력 방법.
KR1020080012578A 2008-02-12 2008-02-12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방법 및장치 KR101433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578A KR101433154B1 (ko) 2008-02-12 2008-02-12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방법 및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578A KR101433154B1 (ko) 2008-02-12 2008-02-12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방법 및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249A true KR20090087249A (ko) 2009-08-17
KR101433154B1 KR101433154B1 (ko) 2014-08-22

Family

ID=41206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578A KR101433154B1 (ko) 2008-02-12 2008-02-12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방법 및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31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11375A1 (en) * 2009-11-11 2011-05-12 At&T Mobility Ii Llc Messaging Device Having Braille Output
CN102255990A (zh) * 2011-07-22 2011-11-23 刘均 盲人用手机按键贴膜
KR101975761B1 (ko) * 2018-07-02 2019-05-07 이단경 모바일 단말용 점자 입출력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8094A (ko) 2020-01-31 2021-08-10 강지원 점자 변환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8758A (ko) * 2003-01-27 2004-08-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점자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690841B1 (ko) * 2005-09-28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스위치를 이용한 이동 단말의 점자 입력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11375A1 (en) * 2009-11-11 2011-05-12 At&T Mobility Ii Llc Messaging Device Having Braille Output
CN102255990A (zh) * 2011-07-22 2011-11-23 刘均 盲人用手机按键贴膜
KR101975761B1 (ko) * 2018-07-02 2019-05-07 이단경 모바일 단말용 점자 입출력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3154B1 (ko) 2014-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13297B1 (en) Double-acting communication device
EP169284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s to display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33154B1 (ko) 시각 장애인을 위한 휴대 단말기의 점자 입출력 방법 및장치
KR101565445B1 (ko)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KR20190079880A (ko) 점자 입력 장치
KR100856268B1 (ko) 키패드를 구비한 단말에서 영문 글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5274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구조 및 그 문자 입력 방법
JP3950132B2 (ja) 携帯用電子機器
JP2002232944A (ja) 携帯型通信端末、通信中継装置、通信中継プログラムおよび該通信中継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683195B2 (ja) 点字を表現可能な携帯電話機および携帯電話機における点字表現方法
KR100664250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중문자 표시방법
KR100455773B1 (ko) 리버스 키를 구비한 키패드 및 문자입력 방법
KR20080098153A (ko) 휴대용 단말기 및 이에 있어서 부호 변환 기능을 제공하는방법
KR100353445B1 (ko) 전화기의 문자코드 입력방법 장치
KR20050094092A (ko) 한 개의 키에 의하여 문자메세지를 편집하고 발송하는이동단말기.
KR100501896B1 (ko) 점자 입/출력 기능을 가진 무선통신 단말기 및 점자입/출력 방법
KR200378650Y1 (ko) 한글 입력 가능한 무선 단말기
KR200190021Y1 (ko) 다이얼 톤을 이용한 데이타전송장치
KR1014242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위한 문자입력방법
KR10074142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부가기능의 바로가기 서비스를 구현하는방법 및 장치
KR1003657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방법
KR101033518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시간을 단축하기 위한 방법
KR20040066299A (ko) 폴더형 휴대단말기의 아이콘 위치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24854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볼륨 업/다운키를 이용하여특수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JP2002082760A (ja) 携帯通信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