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6440Y1 -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 - Google Patents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6440Y1
KR200216440Y1 KR2020000023948U KR20000023948U KR200216440Y1 KR 200216440 Y1 KR200216440 Y1 KR 200216440Y1 KR 2020000023948 U KR2020000023948 U KR 2020000023948U KR 20000023948 U KR20000023948 U KR 20000023948U KR 200216440 Y1 KR200216440 Y1 KR 200216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voice
speech
english
sp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무균
Original Assignee
신무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무균 filed Critical 신무균
Priority to KR2020000023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64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6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6440Y1/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언어 장애인의 손에 착용하는 장갑 손바닥면에 한글과 영문으로 구성된 키패드를 장착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 인식된 자판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컨트롤러 및 음성의 출력을 위한 스피커로 구성된 대화 장치를 구비하여, 언어 장애인과 일반인과의 원활한 대화를 도모하여장애인과 일반인과의 교류 확대를 통한 인식 전환 및 의사 소통의 용이성 증대를 목적으로 안출된 것으로,
상기 대화 장치(1)는;
통상적인 장갑(11) 저면부에 양손 엄지 손가락 부위를 제외한 8개의 손가락 각 마디에 한글과 영문, 한글/영문 변환키(14) 및 양 손바닥의 엔트 키(enter key;13)로 구성된 키패드(12), LCD창(15)으로 형성된 입력부(10),
상기 키패드(12)에서 인출된 전선(24)과 연결되며,
입력된 조합 문자 신호를 감지하여 음성 출력 신호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 컨트롤러(21)와 전환된 신호를 상대 대화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스피커(22)로 형성된 출력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Conversation apparatus for deaf mute}
본 고안은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천적 또는 후천적인 요인으로 발성 기관을 상실한 언어 장애인이 장갑에 설치된 키패드와 스피커를 통하여 정상인 혹은 동일한 언어 장애인 상호간의 대화를 가능하도록 한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에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언어 장애는 청각 장애와 더불어 야기되는 선천적 요인과 후두 기관의 손실로 야기되는 후천적 요인으로 발생하는데,
전자의 경우 청각 장애에서 유발된 언어 장애는 영,유아기의 발성 기관 발달 부진으로 인한 것으로 대부분의 언어 장애인이 이에 해당하며, 후자인 후두 기관의 손실로 야기되는 언어 장애는 사고나 암과 같은 질병으로 발성 기관인 후두를 상실하여 언어를 구사할 수 없는 상태를 일컫는다.
상기와 같이 선천적 혹은 후천적 요인으로 언어 구사 능력을 상실한 언어 장애인은 이들 상호간 혹은 일반인들과의 대화를 위해서는 수화(手話)를 이용하거나 문자(文字)를 통하여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언어 장애인 상호간 혹은 일반인과의 대화 수단으로 사용되는 수화는 별도로 체계적인 교육을 이수하거나 개인의 부단한 노력이 동반되어야 하므로 적용 범위가 극히 한정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특히 언어 장애인과 일반인과의 대화시 숙련된 수화를 통해야만 원활한 의사 전달이 가능하여 일반인이 수화를 습득하지 못할 경우,
각 장애인을 소외시하는 사회 풍토에서 언어 장애인과 일반인을 더욱 더 이격시키는 문제점으로 작용하였다.
더불어 후천적 요인을 통한 언어 장애인은 상대방의 입모양을 통하여 대부분의 발음 내용은 인식하나 발성이 안되는 관계로 수화로 화답하거나 메모지등에 문자로서 화답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리하여 후천적 요인의 언어 장애인은 대화를 통한 의사 전달을 위해 후두 외방에 진동에 의해 기계적 발성이 가능한 발성 기계를 통하여 대화가 가능하도록유도하였다.
하지만, 상기 발성 기계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이 극히 기계적으로 인해 상대 대화자에게 거부감을 유발하여 대화 당사자와 상대 대화자가 모두 의사 소통의 부자연스러움을 초래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언어 장애인의 손에 착용하는 장갑 손바닥면에 한글과 영문으로 구성된 키패드를 장착하고,
상기 키패드를 통해 인식된 문자 조합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컨트롤러 및 음성 출력을 위한 스피커로 구성된 대화 장치를 구비하여 언어 장애인과 일반인과의 원활한 대화를 가능하도록 하여 장애인과 일반인과의 교류 확대를 통한 인식 전환 및 의사 소통의 용이성 증대를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의 구성을 간략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인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의 요부인 장갑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의 장갑을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대화 장치 10;입력부
12;키패드 13;엔트 키
15;LCD창 20;출력부
21;음성 전환 컨트롤러 22;스피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의 구성을 간략 블럭도, 도 2는 본 고안인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의 요부인 장갑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의 장갑을 도시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1)는 도 1에서와 같이,
언어 장애인의 손에 착용하여 키패드(12)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고, 입력된 문자를 LCD창(15)으로 확인하는 입렵부(10)와,
상기 키패드(12)를 통해 입력된 문자를 음성으로 변화하는 음성 변환 컨트롤러(21)와 변환된 음성을 대화 상대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22)를 벨트등의 고정 수단(23)으로 연결하여된 출력부(2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입력부(10)는 도 2 내지는 도 4에서와 같이 통상적인 장갑(11) 저면부와 평면의 손톱 부위에 한글과 영문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2)를 부착하는데,
상기 키패드(12)는 양손 엄지 손가락 부위를 제외한 8개의 손가락 각 마디와 손톱 부위에 한글과 영문을 순차적으로 배열한다.
이 때 양손의 어느 한 손을 기준으로 자음과 모음을 분리 구성함이 문자 조합을 신속히 이룰 수 있어 재생 시간 단축에 따른 대화의 원활성을 기대할 수 있음은 물론,
빈번히 사용되는 문자를 손가락의 가장 자리 마디와 손톱으로 배치하여 문자 조합을 신속히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입력부(10)는 사용자의 손목등에 착용할 수 있는 LCD창(15)을 더 구비하여 키패드(12)를 통하여 입력한 문자 조합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LCD창(15)을 통해 확인된 문자 조합은 출력부(20)의 음성 전환 컨트롤러(21)로 이송하기 위한 최종적인 입력 수단으로,
양 손바닥에 엔트 키(enter key;13)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조합한 문자를 신호화하여 음성 전환 컨트롤러(21)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키패드(12)는 일측으로 영문자의 표현을 동시에 구사할 수 있도록 하는 한글/영문 변환키(14)를 더 구비하여 한글은 물론 영문자의 입력도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입력부(10)를 통해 전달된 신호는 벨트와 같은 고정 수단(23)으로 사용자의 신체 일부에 고정된 출력부(20)를 통하여 상대 대화자가 인지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출력부(20)는 도 1에서와 같이 입력부(10)의 키패드(12)에서 인출된 전선(24)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입력한 조합 문자의 신호를 감지하여 스피커(22)로 출력에 적합한 음성 출력 신호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 컨트롤러(21)와,
상기 음성 전환 컨트롤러(21)로부터 인가된 음성 출력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상대 대화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스피커(22)로 구성된다.
상기 스피커(22)는 사용자의 거치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음성 전환 컨트롤러(21)에 내장하여 일체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언어 장애인인 사용자는 스피커(22)와 음성 전환 컨트롤러(21)로 구성된 출력부(20)를 벨트등의 고정 수단(23)을 통하여 허리에 거치한 후,
이어 키패드(12)가 장착된 장갑(11)을 양손에 착용하여 대화 장치(1)의 사용 준비를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대화 장치(1)의 운용을 위한 준비가 완료되면 사용자(언어 장애인)는 자신이 원하는 문자를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각 손가락의 마디와 손톱 부위에 구비된 키패드(12)를 가압하여 조합한다.
상기와 같이 조합된 문자는 사용자의 손목 부위에 착용된 LCD창(15)을 통하여 디스플레이되며, 이를 확인한 사용자는 최종적으로 손바닥에 개재된 엔트 키(13)로 문자 조합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조합한 문자는 엔트 키(13)의 입력으로 음성 전환 컨트롤러(21)로 신호화하여 전송되고,
전송된 신호는 일반인들이 인지할 수 있는 음성 신호로 전환되어 음성 전환 컨트롤러(21)에 내장 구비된 스피커(22)를 통하여 출력된다.
물론 이 때 출력되는 음성은 기계음을 배제하고 음성 전환 컨트롤러(21)의 초기 설정시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 입력하여 상대 대화자의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대화 장치는 문자의 조합 후 엔트 키(13)를 통한 신호의 전송을 도모하여 조합된 단일의 문자, 즉 한 음절씩 출력하거나 음절을 다시 조합한 한 단어또는 문장으로 출력하도록하여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출력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익을 도모한다.
이상과 같은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는 특히 후천적 요인에 의해 발성 기관을 상실한 언어 장애인에 유용한 것으로,
후두 외방에 진동을 통해 발성하는 발성 기계에 비하여 키패드의 숙련도에 따라 다양한 음성의 출력이 가능하여 대화의 원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계음에서 탈피하여 음성 전환 컨트롤러의 설정 음성에 따라 다양한 패턴의 음성 출력으로 일반인과의 자연스러운 대화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인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을 통하여 수화를 구사하지 못하는 일반인과 언어 장애인과의 대화를 가능하도록 하여 의사 소통의 원활성 향상과,
장애인에 대한 인식 전환을 유도하여 특정 기능 장애인과 일반인사이의 거부감을 해소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화 장치(1)는;
    통상적인 장갑(11) 저면부에 양손 엄지 손가락 부위를 제외한 8개의 손가락 각 마디와 손톱 부위에 한글과 영문, 한글/영문 변환키(14) 및 양 손바닥의 엔트 키(enter key;13)로 구성된 키패드(12), LCD창(15)으로 형성된 입력부(10),
    상기 키패드(12)에서 인출된 전선(24)과 연결되며,
    입력된 조합 문자 신호를 감지하여 음성 출력 신호로 전환하는 음성 전환 컨트롤러(21)와,
    전환된 신호를 상대 대화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스피커(22)로 형성된 출력부(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20)의 음성 전환 컨트롤러(21)는 스피커를 내장 일체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
  3. 제 1 항 내지는 제 2 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20)는 사용자의 신체에 거치하기 위해 벨트등의 고정 수단(23)을 이용하여 착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
KR2020000023948U 2000-08-24 2000-08-24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 KR2002164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948U KR200216440Y1 (ko) 2000-08-24 2000-08-24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948U KR200216440Y1 (ko) 2000-08-24 2000-08-24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6440Y1 true KR200216440Y1 (ko) 2001-03-15

Family

ID=7308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948U KR200216440Y1 (ko) 2000-08-24 2000-08-24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644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445B1 (ko) * 2013-11-12 2015-11-04 박제상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5445B1 (ko) * 2013-11-12 2015-11-04 박제상 손접점들이 부착된 착용부의 접촉식 문자를 입력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스마트폰과 통신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0135B1 (en) Tact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US8082152B2 (en) Device for communication for persons with speech and/or hearing handicap
Hawley et al. Speech technology for e-inclusion of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disordered speech.
EP1356462B1 (en) Tactile communication system
KR200216440Y1 (ko) 언어 장애인용 대화 장치
US20110116608A1 (en) Method of providing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a deaf person and a hearing person
Patel et al. Teachable interfaces for individuals with dysarthric speech and severe physical disabilities
CN108735049A (zh) 聋哑人辅助发声系统及其发声方法
KR200217809Y1 (ko) 언어장애인용 대화장치
CN111009234B (zh) 语音转换方法、装置和设备
Marino et al. Conversing using whatshap: a phoneme based vibrotactile messaging platform
CN209928737U (zh) 聋哑人辅助发声系统
Ghosh et al. Sign Language Hand Glove
JP6802618B1 (ja) 九列五段聴話器
JP2003150188A (ja) 聴覚障害者用対話支援装置
JPH05289608A (ja) ろうあ者用会話補助装置及び翻訳用会話補助装置
JP2009042397A (ja) 聾唖者用音声出力装置
JP3039924U (ja) キーボードによる音声発生器具
JPH10240119A (ja) 意志伝達装置
KR200371727Y1 (ko) 중증장애인을 위한 의사소통 장치
EP1640939A1 (fr) Dispositif de communication
KR20070122329A (ko) 청각장애우를 위한 통화 음성 문자 변환장치
DAHOU et al. The help system for a deaf person based on arduino and the pulse width modulation (PWM)
CN201449680U (zh) 汉字发声器
JPH01269996A (ja) 携帯用言語発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