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185B1 -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 Google Patents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5185B1
KR101725185B1 KR1020160053891A KR20160053891A KR101725185B1 KR 101725185 B1 KR101725185 B1 KR 101725185B1 KR 1020160053891 A KR1020160053891 A KR 1020160053891A KR 20160053891 A KR20160053891 A KR 20160053891A KR 101725185 B1 KR101725185 B1 KR 101725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utton
movement restricting
variable
braill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식
Original Assignee
서인식
주식회사 넥스트이노베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식, 주식회사 넥스트이노베이션 filed Critical 서인식
Priority to KR102016005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185B1/ko
Priority to US15/741,089 priority patent/US20180190152A1/en
Priority to PCT/KR2016/013850 priority patent/WO201719187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2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2009/189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with a tactile symbol or indication, e.g. for blind peop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2Actuators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인이 손의 감각을 이용해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가 상하로 움직이며 점자, 도형, 이미지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DISPLAY MODULE FOR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은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인이 손의 감각을 이용해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가 상하로 움직이며 점자, 도형, 이미지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에 관한 것이다.
점자는 사람의 촉각을 통해 읽고 쓸 수 있도록 다양한 점형(Dot patterns)에 의미를 부여해 놓은 문자 상징체계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점자는 2*2, 3*2, 4*2등의 점자가 통용되며, 점자의 개수와 배열을 달리하여 문자체계를 형성한다.
한편, 정보통신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컴퓨터, 모바일폰(Mobile phone),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피엠피(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각종 정보통신기기의 사용이 일상화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기기는 신체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 예를 들면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정보통신기기의 활용에서 시각장애인이 소외되고 있으며, 정보격차(Digital divide)에 의한 경제사회적 불균형의 해소가 요구되고 있다.
시각장애인이 정보통신기기를 통하여 정보 활용도를 높여 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점자를 복수의 핀(Pin)들에 의하여 셀로 구현하여 압력, 진동, 통증 등과 같은 피부 자극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촉감장치(Tactile device)이다.
이러한 종래의 점자 출력 장치는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는데, 그 중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솔레노이드 방식, 압전체 방식, 고분자 유전체 방식 등이 있다.
솔레노이드 방식은 코일에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자기장이 발생하고 코일 내에 배치되는 플런져가 힘을 받아 이동함으로써 점자 출력을 이루는 방식이다.
압전체 방식은 압전체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길이가 변하고 변화된 길이의 압전체에 의해 직접적으로 점자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고분자 유전체는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이 유전율이 높은 고분자 재료의 양면에 전극을 입히고 전압을 가하여 상호간에 발생되는 인력에 의해 고분자 유전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고 면적 방향으로 팽창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솔레노이드 방식은 점자 출력 요소로서의 솔레노이드를 소형 집적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수반되고, 압전체 방식은 길이가 긴 압전체에 길이 변화를 일으키기 위하여 양단에 인가되는 전위차의 크기가 상당하여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분자 유전체 방식은 원하는 소정의 고분자 재료의 부피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약 1~2㎸ 정도의 고압 전원을 공급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즉, 점자 출력 장치의 구동부 및/또는 구동부를 제어할 제어기를 소형화 시키고 우수한 응답성을 수반하는 점자 출력 장치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34731호에 "점자 출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점자 출력 모듈은 하우징, 가이드(Guide)와 압전구동기(Piezoelectric actuator)로 구성되어 있다. 압전구동기의 축은 가이드를 통하여 하우징의 열린 구멍을 통하여 출몰되어 점자를 표시한다.
한국등록특허 [10-0734731](등록일자: 2007. 06. 2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를 돌기로 표현하기 위하여, 제어하여야 하는 유닛의 수를 최소화 하여 보다 단순하고 제어가 편리한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행 또는 열 단위로 상부돌기(210)가 돌출되는 가변형 점자모듈(1100)이 다수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1000); 및 누름 또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정보표시부(1000)에 표시된 내용에 해당되는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20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은 다수의 관통홀(101)이 미리 결정된 배열로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00); 상기 관통홀(101) 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이동되되, 상측으로 이동 시 상부돌기(210)가 상기 관통홀(101)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블럭(200);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키는 상단걸쇠(300); 상기 상단블럭(2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이동되되, 상측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하단블럭(400); 상기 하단블럭(4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단블럭(4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는 탄성부(500); 및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하단조절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행 또는 열 단위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열 또는 행 단위로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단블럭(200)은 상기 상부돌기(21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의 이동축부(220); 상기 이동축부(22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 형상의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의 상단기둥부(240); 및 상기 상단기둥부(240) 상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 걸림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블럭(200)은 상기 상단기둥부(24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단기둥부(240)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형상의 상단하부이동제한부(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상단기둥부(24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단기둥부(240)가 상기 상단걸쇠(30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된 이동홀(3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블럭(400)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의 하단기둥부(420); 상기 하단기둥부(42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단기둥부(420)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형상의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 및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의 상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제1경사부(440);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하단기둥부(42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경사부(440)와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2경사부(6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부(440)와 제2경사부(610)가 마주보도록 밀착되어, 상기 하단조절부(600)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하단블럭(40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는 하부에 상기 탄성부(500)가 결합되도록 홈 또는 돌기 형상의 탄성결합부(4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상기 상단블럭(200) 및 하단블럭(4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상단걸쇠(300) 및 하단조절부(600)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7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700)은 상기 상단걸쇠(300)가 수평이동 되며, 상단걸쇠(300)의 수평높이를 유지시키는 상단가이드 홀(710); 및 상기 하단조절부(600)가 수평이동 되며, 하단조절부(600)의 수평높이를 유지시키는 하단가이드 홀(7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버튼(2000)은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버튼(20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버튼(2000)은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에 의하면,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을 이용함으로써, ATM기 등의 키오스크와 같이 다양한 선택을 하여야 원하는 목적을 수행하는 기기를 시각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행과 열 단위로 하단조절부 및 상단걸쇠를 조작하여, 점자, 도형, 이미지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으로써, 정보를 돌기로 표현하기 위하여 제어하여야 하는 유닛의 수를 최소화(종래에 n*m 개를 조작하여야 하였다면, 본 발명은 n+m개를 조작함) 하여 보다 단순하고 제어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단블럭에 상단걸쇠가 결합된 상태로 상단블럭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축부, 상단상부이동제한부, 상단기둥부 및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순한 형태로 상단블럭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단블럭에 상단하부이동제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단상부이동제한부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단상부이동제한부가 파손되더라도 상단블럭이 관통홀로 필요 이상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단걸쇠에 이동홀을 형성함으로써, 상단블럭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단순한 형태로 상단걸쇠를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하단블럭에 하단조절부가 결합된 상태로 하단블럭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단상부이동제한부, 하단기둥부 하단하부이동제한부 및 제1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순한 형태로 하단블럭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단하부이동제한부에 탄성결합부를 홈 또는 돌기 형상으로 단순하게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단가이드 홀 및 하단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상단걸쇠 및 하단조절부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단블럭 및 하단블럭이 상하 운동을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구조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개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개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이동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단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단블럭 및 상단걸쇠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단블럭 및 상단걸쇠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도 1의 상단블럭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상단블럭과 상단걸쇠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의 하단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하단조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에 하우징이 포함됨을 보여주는 절단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개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개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이동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단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단블럭 및 상단걸쇠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단블럭 및 상단걸쇠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상단블럭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상단블럭과 상단걸쇠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의 하단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의 하단조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에 하우징이 포함됨을 보여주는 절단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에 사용될 도면의 디스플레이부(100)는 이해를 돕기 위해, 관통홀(101)이 4 개 형성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단블럭(200), 상단걸쇠(300), 하단블럭(400), 탄성부(500) 및 하단조절부(600)를 하나씩만 도시하였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수의 돌기가 상하로 움직이며 점자, 도형, 이미지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돌기를 각각 제어하여야 하였으나, 본 발명은 행과 열 단위로 제어함으로써, 제어하여야 하는 유닛의 수를 최소화 하여 보다 단순하고 제어가 편리한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동적 교통정보 및 대중교통정보, 경로 안내, 요금 카드 배포, 예약 업무, 각종 전화번호 및 주소 안내 정보제공,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 등을 제공하는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은행, 백화점, 전시장 등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정보단말기(키오스크(KIOSK)) 등을 시각장애인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정보표시부(1000) 및 버튼(2000)을 포함한다.
정보표시부(1000)는 행 또는 열 단위로 상부돌기(210)가 돌출되는 가변형 점자모듈(1100)이 다수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한다.
즉, 2*2(4점), 3*2(6점), 4*2(8점) 등의 점자를 표현할 수 있는 가변형 점자모듈(1100) 다수가 배치되어 다양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정보표시부(1000)를 구현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가변형 점자모듈(1100)은 하나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고, 이러한 가변형 점자모듈(1100) 여러 개가 모여 다양한 정보(문장 등)를 표현할 수 있는 정보표시부(1000)를 구현할 수 있다.
버튼(2000)은 누름 또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정보표시부(1000)에 표시된 내용에 해당되는 명령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표시부(1000)에 '출금'이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상기 버튼(2000)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출금'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메뉴 하나만 구성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입금', '출금', '통장정리' 등의 다양한 메뉴를 한 번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정보표시부(1000)와 다수의 버튼(20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2000)은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버튼(20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버튼(2000)이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 우측에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 하, 좌, 우 어느 곳이든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2000)이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스위치의 접점 여부에 따라 입력이 되는 방식 등을 채택할 수 있다.
터치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실수로 잘못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더블터치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식이나, 한 번 터치 시 해당 명령이 어떤 것인지 음성으로 출력하고, 다시 한 번 터치 시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식 등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 버튼(2000)은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스위치의 접점 여부에 따라 입력이 되는 방식 등을 채택할 수 있다.
터치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손의 감각으로 점자 내용을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을 뗀 후 수초 이내에 다시 터치 또는 더블터치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식이나, 한 번 터치 시 해당 명령이 어떤 것인지 음성으로 출력하고, 다시 한 번 터치 시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식 등을 채택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가변형 점자모듈(1100)은 디스플레이부(100), 상단블럭(200), 상단걸쇠(300), 하단블럭(400), 탄성부(500) 및 하단조절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행 또는 열 단위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열 또는 행 단위로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상단걸쇠(300)가 행 단위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킨다면,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열 단위로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한다.
또한, 상기 상단걸쇠(300)가 열 단위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킨다면,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행 단위로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다수의 관통홀(101)이 미리 결정된 배열로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다수의 돌기들이 돌출되어 점자, 도형, 이미지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101)이 특정 배열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100행 50열 등의 배열로 다수의 관통홀(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블럭(200)은 상기 관통홀(101) 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이동되되, 상측으로 이동 시 상부돌기(210)가 상기 관통홀(101)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돌기(210)가 상기 관통홀(101)의 상부로 돌출 되거나 상기 관통홀 내부로 함몰될 수 있다.
상단걸쇠(300)는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킨다.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부돌기(210)가 상기 관통홀(101)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부돌기(210)가 상기 관통홀(101) 내부로 함몰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하단블럭(400)은 상기 상단블럭(2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이동되되, 상측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린다.
상기 하단블럭(400)은 상기 상단블럭(200)을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되, 상단걸쇠(300)로 고정되지 않은 상단블럭(200)을 밀어올린다.
탄성부(500)는 상기 하단블럭(4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단블럭(4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한다.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한다.
즉, 상기 하단조절부(600)가 상기 하단블럭(400)의 상한 높이를 상승시키면, 상기 탄성부(500)의 힘에 의해 상기 하단블럭(400)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단블럭(400)이 상기 상단블럭(200)을 밀어 올릴 수 있되, 상기 상단걸쇠(300)로 고정되지 않은 상단블럭(200)을 밀어올릴 수 있다. 이후, 상기 상단걸쇠(300)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상기 상단걸쇠(300)의 이동 방향과 하단조절부(600)의 이동 방향이 서로 수직하게 표현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상단걸쇠(300)가 행 또는 열 단위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열 또는 행 단위로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면 상기 상단걸쇠(300) 및 하단조절부(600)의 이동 방향을 다양하게 실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수동제어 및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상단블럭(200)은 상부돌기(210), 이동축부(220),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상단기둥부(240) 및 걸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축부(220)는 상기 상부돌기(21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축부(220)는 상기 관통홀(101) 내부를 왕복운동 한다. 이때,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측방향 이동은 상기 하단블럭(400)이 상기 상단블럭(200)을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이동하나, 상기 상단블럭(200)의 하측 방향 이동은 중력에 의해 이동한다. 때문에, 상기 이동축부(220)가 상기 관통홀(101)에 끼워져 중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홀(10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는 상기 이동축부(22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단블럭(200)이 상기 관통홀(101)로 필요 이상 돌출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단기둥부(240)는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단기둥부(240)는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 추후 설명할 상단걸쇠(300)를 끼운 상태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걸림부(250)는 상기 상단기둥부(240) 상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도 5 내지 도 6 참조) 또는 함몰(도 7 참조)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50)는 추후 설명할 상단걸쇠(300)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상단블럭(200)은 상기 상단기둥부(24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단기둥부(240)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형상의 상단하부이동제한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하부이동제한부(260)는 추후 설명할 상단걸쇠(300)에 걸려, 상기 상단블럭(200)이 상기 관통홀(101)로 필요 이상 돌출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는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와 동일한 기능이나,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상단블럭(200)이 상기 관통홀(101)로 필요 이상 돌출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및 상단하부이동제한부(260)는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추후 설명할 하우징의 내부가 기본적인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안에서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하 왕복 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상단기둥부(24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단기둥부(240)가 상기 상단걸쇠(30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된 이동홀(3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동홀(301)은 상기 상단걸쇠(3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250)의 통과가 가능하기도 하고, 상기 걸림부(250)의 통과가 불가능하기도 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경우, 상기 상단걸쇠(300)가 상기 걸림부(250)의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상단걸쇠(300)가 상기 걸림부(250)의 돌출된 반대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이 고정된다.
도 6의 경우, 상기 걸림부(250)와 상기 이동홀(301)의 위치가 대응될 경우에만 상기 걸림부(250)가 상기 이동홀(301)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7의 경우, 상기 상단걸쇠(300)가 상기 걸림부(250)의 함몰된 반대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상단걸쇠(300)가 상기 걸림부(250)의 함몰된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상단블럭(200) 및 상단걸쇠(300)의 작동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은 상기 상단블럭(200)이 상기 상단걸쇠(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단면이다.
도 9의 상태에서 상기 상단블록(200)을 도 10과 같이 우측으로 밀어, 도 11의 상태가 되면, 상기 상단블럭(200)은 중력에 의해 도 11와 같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상단블럭(200)이 상기 상단걸쇠(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측방향 이동은 상기 하단블럭(400)이 상기 상단블럭(200)을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이동하나, 상기 상단블럭(200)의 하측 방향 이동은 중력에 의해 이동한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하단블럭(400)은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하단기둥부(420),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 및 제1경사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는 상기 하단블럭(400)이 추후 설명할 하단조절부(600)에 걸려 필요 이상 하측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해 준다.
하단기둥부(420)는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단기둥부(420)는 상기 하단블럭(40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 추후 설명할 하단조절부(600)를 끼운 상태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는 상기 하단기둥부(42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단기둥부(420)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는 추후 설명할 하단조절부(600)에 걸려, 상기 하단블럭(400)이 필요 이상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제1경사부(440)는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의 상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부(440)는 상기 하단블럭(400)을 하측으로 밀어내리기 위한 구성으로, 추후 설명할 하단조절부(600)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하단블럭(400)이 수직이동 하도록 하기 위해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및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는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추후 설명할 하우징의 내부가 기본적인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안에서 상기 하단블럭(400)의 상하 왕복 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하단기둥부(42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경사부(440)와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2경사부(6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부(440)와 제2경사부(610)가 마주보도록 밀착되어, 상기 하단조절부(600)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하단블럭(40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제1경사부(440)와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2경사부(610)를 포함하여, 하단조절부(600)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하단블럭(400)를 수직이동 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역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하단블럭(400)은 상시 상기 탄성부(500)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하여, 상기 하단조절부(600)에 걸리는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단조절부(600)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하단블럭(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는 하부에 상기 탄성부(500)가 결합되도록 홈 또는 돌기 형상의 탄성결합부(4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3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결합부(413)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탄성결합부(413)를 끼울 수 있도록 돌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작동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5은 상기 하단블럭(400)이 상기 탄성부(500)에 의해 밀어올려진 상태의 단면이다.
도 15의 상태에서 상기 하단조절부(600)를 도 16와 같이 우측으로 밀어, 도 17의 상태가 되면, 상기 상단블럭(200)은 중력에 의해 도 17와 같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상단블럭(200)이 상기 상단걸쇠(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하단조절부(600)가 상기 하단블럭(400)을 하측으로 밀어내리면, 중력에 의해 상기 상단블럭(200)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토대로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전체적인 작동에 대하여, 10(행)*10(열)로 관통홀(101)이 생성되고, 하단조절부(600)가 열 단위로 하단블럭(400)을 제어하고, 상단걸쇠(300)가 행 단위로 상단블럭(200)을 제어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단조절부(600)를 조작하여 1행에서 돌출되어야 할 각각의 열들을 돌출 시킨 후, 상단걸쇠(200)를 조작하여 1행을 고정시킨다. 이후, 하단조절부(600)를 조작하여 2행에서 돌출되어야 할 각각의 열들을 돌출 시킨 후, 상단걸쇠(200)를 조작하여 2행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10행까지 반복하면 10(행)*10(열)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10(행)*10(열)을 표현하기 위해 10 개의 하단조절부(600) 및 10 개의 상단걸쇠(200)가 필요하며, 총 20 개의 유닛을 제어하는 것으로 10(행)*10(열)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상기 상단블럭(200) 및 하단블럭(4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상단걸쇠(300) 및 하단조절부(600)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0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의해 다수로 분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700)은 상기 상단걸쇠(300)가 수평이동 되며, 상단걸쇠(300)의 수평높이를 유지시키는 상단가이드 홀(710) 및 상기 하단조절부(600)가 수평이동 되며, 하단조절부(600)의 수평높이를 유지시키는 하단가이드 홀(7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단걸쇠(300) 및 하단조절부(600)의 높이는 항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상단걸쇠(300)의 수평이동을 위한 상단가이드 홀(710) 및 하단조절부(600)의 수평이동을 위한 하단가이드 홀(7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디스플레이부
101: 관통홀
200: 상단블럭
210: 상부돌기 220: 이동축부
230: 상단상부이동제한부 240: 상단기둥부
250: 걸림부 260: 상단하부이동제한부
300: 상단걸쇠
301: 이동홀
400: 하단블럭
410: 하단상부이동제한부 420: 하단기둥부
430: 하단하부이동제한부 431: 탄성결합부
440: 제1경사부
500: 탄성부
600: 하단조절부
610: 제2경사부
700: 하우징
710: 상단가이드 홀 720: 하단가이드 홀

Claims (10)

  1. 행 또는 열 단위로 상부돌기(210)가 돌출되어, 상기 돌출된 상부돌기(210)에 의하여 형상이 표시되는 가변형 점자모듈(1100)이 다수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1000); 및
    누름 또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정보표시부(1000)에 표시된 내용에 해당되는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2000);
    을 포함하며,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은
    다수의 관통홀(101)이 미리 결정된 배열로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00);
    상기 관통홀(101) 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이동되되, 상측으로 이동 시 상부돌기(210)가 상기 관통홀(101)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블럭(200);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키는 상단걸쇠(300);
    상기 상단블럭(2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이동되되, 상측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하단블럭(400);
    상기 하단블럭(4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단블럭(4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는 탄성부(500); 및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하단조절부(600);
    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행 또는 열 단위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열 또는 행 단위로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블럭(200)은
    상기 상부돌기(21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의 이동축부(220);
    상기 이동축부(22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 형상의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의 상단기둥부(240); 및
    상기 상단기둥부(240) 상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 걸림부(250);
    를 포함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블럭(200)은
    상기 상단기둥부(24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단기둥부(240)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형상의 상단하부이동제한부(260);
    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상단기둥부(24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단기둥부(240)가 상기 상단걸쇠(30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된 이동홀(3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블럭(400)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의 하단기둥부(420);
    상기 하단기둥부(42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단기둥부(420)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형상의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 및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의 상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제1경사부(440);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하단기둥부(42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경사부(440)와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2경사부(6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부(440)와 제2경사부(610)가 마주보도록 밀착되어, 상기 하단조절부(600)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하단블럭(40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는
    하부에 상기 탄성부(500)가 결합되도록 홈 또는 돌기 형상의 탄성결합부(4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상기 상단블럭(200) 및 하단블럭(4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상단걸쇠(300) 및 하단조절부(600)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7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700)은
    상기 상단걸쇠(300)가 수평이동 되며, 상단걸쇠(300)의 수평높이를 유지시키는 상단가이드 홀(710); 및
    상기 하단조절부(600)가 수평이동 되며, 하단조절부(600)의 수평높이를 유지시키는 하단가이드 홀(7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2000)은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버튼(20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2000)은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KR1020160053891A 2016-05-02 2016-05-02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KR101725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891A KR101725185B1 (ko) 2016-05-02 2016-05-02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US15/741,089 US20180190152A1 (en) 2016-05-02 2016-11-29 Button having variable braille modules
PCT/KR2016/013850 WO2017191879A1 (ko) 2016-05-02 2016-11-29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891A KR101725185B1 (ko) 2016-05-02 2016-05-02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185B1 true KR101725185B1 (ko) 2017-04-11

Family

ID=5858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891A KR101725185B1 (ko) 2016-05-02 2016-05-02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90152A1 (ko)
KR (1) KR101725185B1 (ko)
WO (1) WO20171918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5048A (zh) * 2018-07-05 2018-11-02 浙江理工大学 电磁驱动凸轮自锁连杆传动的盲文显示装置
KR20200036484A (ko) * 2018-09-28 2020-04-07 (주)오버플로우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9049B1 (ko) 2018-10-01 2019-06-13 주식회사 넥스트이노베이션 시각장애인용 디스플레이 모듈
KR101989052B1 (ko) 2018-10-01 2019-06-13 주식회사 넥스트이노베이션 점역 오류 출력 기능을 이용한 점자 편집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US11640769B2 (en) * 2020-05-29 2023-05-02 Abenezer Ayana Modular refreshable braille display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4368A (ja) * 1997-12-19 1999-07-09 Nec Shizuoka Ltd バリアフリーターミナル
KR100734731B1 (ko) 2006-09-30 2007-07-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출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01008A (ko) * 2011-06-24 2013-01-03 노영관 점자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점자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08823A (ko) * 2012-07-12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점자 입출력 장치
KR101597911B1 (ko) * 2014-10-30 2016-03-02 김주윤 브레일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7859A (ja) * 1995-10-31 1997-05-16 Ricoh Co Ltd 点字表示装置
JP3917950B2 (ja) * 2003-03-20 2007-05-23 貞行 上羽 通信端末装置
KR100568695B1 (ko) * 2003-10-10 2006-04-07 신현오 점자 디스플레이장치
US20120299853A1 (en) * 2011-05-26 2012-11-29 Sumit Dagar Haptic interface
US20150091834A1 (en) * 2013-10-02 2015-04-02 Thomas M. Johnson Display screen with dynamic tactile pixe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9965974B2 (en) * 2014-03-11 2018-05-08 Technologies Humanware Inc. Portable device with virtual tactile keyboard and refreshable Braille display
US10101829B2 (en) * 2014-06-11 2018-10-16 Optelec Holding B.V. Braille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4368A (ja) * 1997-12-19 1999-07-09 Nec Shizuoka Ltd バリアフリーターミナル
KR100734731B1 (ko) 2006-09-30 2007-07-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출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001008A (ko) * 2011-06-24 2013-01-03 노영관 점자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점자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08823A (ko) * 2012-07-12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점자 입출력 장치
KR101597911B1 (ko) * 2014-10-30 2016-03-02 김주윤 브레일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5048A (zh) * 2018-07-05 2018-11-02 浙江理工大学 电磁驱动凸轮自锁连杆传动的盲文显示装置
CN108735048B (zh) * 2018-07-05 2023-10-13 浙江理工大学 电磁驱动凸轮自锁连杆传动的盲文显示装置
KR20200036484A (ko) * 2018-09-28 2020-04-07 (주)오버플로우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KR102098799B1 (ko) 2018-09-28 2020-04-08 (주)오버플로우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1879A1 (ko) 2017-11-09
US20180190152A1 (en) 2018-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185B1 (ko)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US20180190151A1 (en) Display module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display system for visually impaired perso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180342176A1 (en) Self-scrolling Braille
KR101597912B1 (ko)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이의 제어 방법
Zárate et al. Using pot-magnets to enable stable and scalable electromagnetic tactile displays
KR101989049B1 (ko) 시각장애인용 디스플레이 모듈
Rantala et al. Methods for presenting braille characters on a mobile device with a touchscreen and tactile feedback
KR101894006B1 (ko) 스마트 점자 학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점자 학습방법
KR101661177B1 (ko) 솔레노이드 기반 다중배열 지원 저전력 초소형 점자셀로 사용되는 촉각셀
KR101281996B1 (ko) 점자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점자디스플레이 장치
US9600072B2 (en) Wearable tactile display
US20130029297A1 (en) Haptic graphic computer for blind people
US20200294419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Using Braille
AU2022218635B2 (en) A smart interactive system for braille learning
Heisser et al. Valveless microliter combustion for densely packed arrays of powerful soft actuators
KR101677215B1 (ko) 시각장애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Breitschaft et al. The haptic fidelity framework: A qualitative overview and categorization of cutaneous-based haptic technologies through fidelity
KR101911178B1 (ko) 시각장애인용 점자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점자표시장치
US20200312187A1 (en) Tactile display tablet
KR101682565B1 (ko) 시각장애인용 디스플레이 모듈
KR101284132B1 (ko) 고분자 유전체 기반 고성능 구동기, 그 구동기를 이용한 촉감제공 액추에이터, 진동모터, 작동방법, 촉각 감성 피드백 제공장치 및 시청각장애인을 위한 고분자 유전체 기반 촉각 감성피드백 제공장치
Wilhelm et al. Towards displaying graphics on a cheap, large-scale braille display
Sarkar et al. SPARSHA: A low cost Refreshable Braille for deaf-blind people for communication with deaf-blind and non-disabled persons
CN116134505A (zh) 用于视障人士的触觉绘画和书写设备
KR102187871B1 (ko) 촉각인터페이스장치를 통하여 점자 교육 지원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