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91879A1 -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 Google Patents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91879A1
WO2017191879A1 PCT/KR2016/013850 KR2016013850W WO2017191879A1 WO 2017191879 A1 WO2017191879 A1 WO 2017191879A1 KR 2016013850 W KR2016013850 W KR 2016013850W WO 2017191879 A1 WO2017191879 A1 WO 20171918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block
button
braille module
variable
variable brail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385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서인식
Original Assignee
서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식 filed Critical 서인식
Priority to US15/741,089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80190152A1/en
Publication of WO20171918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918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3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tacti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e.g. Braille displays
    • G09B21/004Details of particular tactile cells, e.g.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layo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2Devices for Braille wri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01H2009/189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with a tactile symbol or indication, e.g. for blind peop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02Legends replaceable; adap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1/00Actuators
    • H01H2221/032Actuators adjustabl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on having a variable braille module, and more particularly, a plurality of protrusions move up and down t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braille, figures, and images so that a visually impaired person can acquire information using a sense of a hand. It relates to a button provided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 Braille is a literal symbol system that gives meaning to various dot patterns for reading and writing through human senses.
  • these braille is 2 * 2, 3 * 2, 4 * 2 Braille is commonly used, and forms the character system by varying the number and arrangement of braille.
  • a braille display device is a tactile device that implements a braille as a cell by a plurality of pins and delivers the same to a user through skin stimulation such as pressure, vibration, and pain.
  • the conventional braille output device is used in a variety of ways depending on the type of actuator used, and representative examples thereof include a solenoid method, a piezoelectric method, a polymer dielectric method.
  • the solenoid type is a method in which a magnetic field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input to a coil, and a plunger disposed in the coil is moved by force to achieve braille output.
  • the piezoelectric method is a method in which braille is directly recognized by a piezoelectric member having a changed length and a changed length according to an electrical signal applied to the piezoelectric body.
  • the polymer dielectric is a method using a principle of compressing the polymer dielectric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expanding it in the area direction due to the attraction generated between each other by applying electrodes and applying voltage to both surfaces of the polymer material having a high dielectric constant such as silicon or urethane.
  • the solenoid method has a difficulty in miniaturizing the solenoid as the braille output element
  • the piezoelectric metho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due to the large magnitude of the potential difference applied at both ends in order to cause a length change in the long piezoelectric body.
  • the polymer dielectric method has been accompanied by the difficulty of supplying a high-voltage power of about 1 ⁇ 2 ⁇ in order to cause a desired volume change of the predetermined polymer material. That i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rovide a braille output device with miniaturization of a drive unit and / or a controller to control the braille output device and with excellent responsiveness.
  • Korean Patent No. 10-0734731 discloses a "braille output module and a brail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the braille output module consists of a housing, a guide and a piezoelectric actuator.
  • the axis of the piezoelectric actuator is protrud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housing through the guide to display the braille.
  • Patent Document 1 Korean Registered Patent [10-0734731] (Registration Date: 2007. 06. 27)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mpler and more convenient variable braille module by minimizing the number of units to be controlled in order to express information by turning. It is to provide a button provided.
  • Buttons provided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protruding the upper protrusion 210 in a row or column unit information
  •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00 in whic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1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An upper block 200 provided below each of the through holes 101 and moved up and down, wherein the upper protrusion 210 protrudes upward through the through hole 101 when moved upward; An upper clasp 300 for fixing the upper block 200; A lower block 40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block 200 to move upward and downward, and push the upper block 200 upward when moved upward; An elastic part 500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block 400 and acting to push up the lower block 400 upward; And a lower adjusting part 600 for adjusting the lower block 400 so as not to rise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 the upper clasp 300 includes the upper block in units of rows or columns of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 the fixing unit 200 is fixed, and the lower control unit 600 controls the lower block 400 not to rise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in units of columns or rows of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 the upper block 200 extends below the upper protrusion 210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01, and has a column-shaped moving shaft having a smaller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through hole 101. 220); An upper upper limit movement limit unit 230 extending below the moving shaft unit 220 and having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101; An upper pillar portion 240 extending below the upper upper limit movement portion 230 and having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upper upper limit movement portion 230; And a catching part 250 protruding or reces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upper column part 240.
  • the upper block 200 extends below the upper column part 240 and has a columnar upper lower end movement limiting part 260 having a larger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upper column part 240. It is characterized by.
  • the upper clasp 300 is coupled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about the upper column portion 240, the upper hole 240 is formed to move up and down inside the upper clasp 300 ( 301 is formed.
  • the lower block 400 has a lower upper portion movement limiting portion 410 formed in a column shape; A lower column 420 extending in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upper limit movement portion 410 and having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lower upper limit movement portion 410; A lower lower end movement limiting portion 430 extending below the lower pillar 420 and having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greater than that of the lower pillar 420; And a first inclined portion 440 having an inclined surface toward an upper side of the lower lower movement limiting portion 430, wherein the lower adjustment portion 600 is horizontally centered on the lower pillar portion 420.
  •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10 It is coupled so as to move,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10, the inclined surface of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440; includes; The first inclined portion 440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10 It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moves the lower block 400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wer control unit 600.
  • the lower lower end movement limiting portion 4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431 of the groove or protrusion shape is formed so that the elastic portion 5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 the button provided with the variable braille module accommodates the upper block 200 and the lower block 400 therein, and one side of the upper clasp 300 and the lower control unit 600 protrudes to the outside.
  • It further comprises a housing 700;
  • the housing 700 is the upper clasp 300 is moved horizontally, the upper guide hole 710 for maintaining the horizontal height of the upper clasp 300;
  • a lower guide hole 720 which horizontally moves the lower control part 600 and maintains the horizontal height of the lower control part 600.
  • the button 2000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characterized in that for inputting a command by touching or pressing the button (2000).
  • the button 20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to input a command by touching or pressing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 buttons provided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button provided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 visually impaired device to perform a desired purpose to make a variety of selection, such as a kiosk, such as ATM machine There is an effect available.
  • the upper block is coupled to the upper latch in the state in which the upper block is moved up and down to form a movable shaft, upper upper limit of movement, upper column and the engaging portion, the effect that can process the upper block in a simple form have.
  • the lower block can be processed in a simple form. It can be effective.
  •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cept of a button having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cept of a button provided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ovement relationship of the button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upper block of a button provided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block and the upper clasp of the button provided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block and the upper clasp of the button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top block of FIG.
  • FIGS 9 to 11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upper block and the upper latch of Figure 1;
  •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wer control of Figure 1;
  • 15 to 17 are plan views showing 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FIG.
  • Figure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housing is included in the button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cept of a button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cept of a button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ovement relationship of a button having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 FIG. 5 is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block of the provided button
  • Figure 6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upper block and the upper clasp of the button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upper block and an upper clasp of a button having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shows an upper block of FIG. 9 to 11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an upper block and an upper clasp of FIG. 1
  • FIGS. 12 to 13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lower block of FIG. 1
  • FIG. 14 is a lower portion of FIG. 1.
  • 15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of FIG. 1
  • FIG. 1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a housing is included in a button having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 the display unit 100 of the drawing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has been given an example in which four through holes 101 are form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per block 200 and the upper clasp 300 are provided. It should be noted that only one lower block 400, the elastic part 500, and the lower control part 600 are illustrated.
  • the projections In order to display a plurality of projections up and down and display information such as braille, figures, and images, the projections have to be controlled in the related art, but the present invention controls the units in rows and columns, thereby minimizing the number of units to be controlled. It is to provide a button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that is simple and easy to control.
  • Buttons equipped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is a dynamic traffic information and public transport information, route guidance, fare card distribution, reservation services, providing various phone numbers and address guide information, administrative procedures or product information, facilities It is intended to make it easier for the visually impaired to use unmanned information terminals (KIOSKs) installed in public places such as government agencies, local governments, banks, department stores, exhibition halls, etc.
  • KIOSKs unmanned information terminals
  • a button provided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includes an information display unit 1000 and a button 2000.
  •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0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ariable braille modules 1100 protruding from the upper protrusion 210 in rows or columns to display information.
  • variable braille modules 1100 capable of expressing braille, such as 2 * 2 (4 points), 3 * 2 (6 points), 4 * 2 (8 points), etc., are arranged and can display various information.
  • on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may represent a single character, and the variable display of braille module 1100 may implement an information display unit 1000 in which a plurality of such variable braille modules 1100 are gathered to expres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sentences). .
  • the button 2000 inputs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displayed on the information display unit 1000 according to a press or touch input.
  • the withdrawal menu may be selected by pressing or touching the button 2000.
  • buttons 2000 may be provided.
  • the button 2000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put a command by touching or pressing the button 2000.
  • the button 2000 is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selectively applied to any one of up, down, left, and right.
  • the button 2000 may be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 the button 20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to input a command by touching or pressing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 a command may be input by touching or pressing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of the button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is the display unit 100, the top block 200, the top latch 300 ), The lower block 400, the elastic portion 500 and the lower control unit 600, wherein the upper clasp 300 is the upper block 200 in units of rows or columns of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 the lower adjustment unit 60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to prevent the lower block 400 to rise above a certain height in units of columns or rows of the variable braille module 1100.
  • the lower control unit 600 adjusts the lower block 400 to not rise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in units of columns.
  • the lower control unit 600 adjusts the lower block 400 so as not to rise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in units of rows.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1 are arranged in a predetermined arrangement.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1 are arranged in a specific arrangement so that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protrude to display information such as braille, figures, and images.
  •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01 may be formed in an arrangement of 100 rows and 50 columns.
  • the upper block 200 is provided at the lower side of the through-hole 101, respectively, and moves up and down, and the upper protrusion 210 protrudes above the through-hole 101 when moved upward.
  • the upper protrusion 210 may protrud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101 or may be recessed into the through hole.
  • the upper clasp 300 fixes the upper block 200.
  • the upper clasp 300 may fix the upper block 200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protrusion 210 of the upper block 200 protrudes above the through hole 101, and the upper block 200.
  • the upper protrusion 210 may fix the upper block 200 in a state where the upper protrusion 210 is recessed into the through hole 101.
  • the lower block 40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block 200, respectively, and moves up and down, and pushes the upper block 200 upward when moved upward.
  • the lower block 400 may push up the upper block 200 upward, but push up the upper block 200 which is not fixed to the upper latch 300.
  • the elastic part 500 is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lock 400, respectively, and a force that pushes the lower block 400 upward.
  • the lower adjustment unit 600 adjusts the lower block 400 so as not to rise above a certain height.
  • the lower adjustment unit 600 raises the upper limit height of the lower block 400
  • the lower block 400 is moved upward by the force of the elastic unit 500, the lower block ( 400 may push up the top block 200, but may push up the top block 200 which is not fixed to the top latch 300. Thereafter, the upper block 200 may be fixed to the upper clasp 300.
  • the moving direction of the upper clasp 300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lower adjusting part 600 are express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upper clasp 300 is a row or a column.
  • the upper block 200 may be fixed in units, and the lower control unit 600 may adjust the lower block 400 so as not to rise above a predetermined height by a column or row unit.
  •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adjusting unit 600 can be variously performed.
  • buttons provided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is capable of manual control and automatic control.
  • the upper block 200 of the button provided with the variable braille module includes an upper protrusion 210, a moving shaft 220, and an upper upper limit of movement. It may include a portion 230, the top pillar 240 and the locking portion 250.
  • the moving shaft portion 220 extends below the upper protrusion 210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01 and ha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at of the through hole 101.
  • the moving shaft 220 reciprocates in the through hole 101.
  • the upward movement of the upper block 200 moves by the force pushing up the upper block 200 by the lower block 400, bu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upper block 200 moves by gravity. do. Therefore, the moving shaft 22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01 so that the situation does not occur in the downward direction due to gravity does not occur in the shape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01, than the through hole 101
  •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 the upper upper limit movement part 230 is formed to exten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shaft 220, and is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 larger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through hole 101.
  • the upper upper limit movement part 230 is positioned below the display unit 100, and prevents the upper block 200 from protruding more than necessary into the through hole 101.
  • the upper pillar portion 240 is formed to extend below the upper upper limit movement portion 230, and is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upper upper limit movement portion 230.
  • the upper column part 240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of the upper block 200, and may be moved up and down in a state where the upper latch 300 is described later.
  • the catching part 250 is formed on the upper column 240 to protrude in a horizontal direction (see FIGS. 5 to 6) or to be recessed (see FIG. 7).
  • the locking portion 250 is a configuration for fixing the upper block 200 to the upper clasp 3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upper block 200 of the button with the variable braille module is formed to extend under the upper pillar 240, and the upper pillar 240 It may further include a columnar upper end lower movement limiting portion 260 having a larger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limiting part 260 is caught by the upper latch 300 to be described later to prevent the upper block 200 from protruding more than necessary into the through hole 101.
  • This is the same function as the upper upper limit movement limit 230, but at the same time to prevent damage to the upper upper limit movement limit 230, even if the upper upper limit movement limit 230, the upper block 200 It prevents from protruding more than necessary to the through-hole 101.
  • the upper upper end movement limiting portion 230 and the upper end lower movement limiting portion 260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This is because the interior of the hous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a basic columnar shape to facilitate vertical reciprocation of the upper block 200 therein.
  • the upper clasp 300 of the button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round the upper column 240 It is coupled to the movement, the upper column portion 24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hole 301 is formed to be moved up and down inside the upper clasp 300.
  • the movement hole 301 is formed to allow passage of the locking portion 250 or to allow passage of the locking portion 250 as the upper clasp 300 moves.
  • the upper block 200 may move up and down, and the upper clasp 30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clasp 300.
  • the upper block 200 is fixed when the locking unit 250 moves in the protruding opposite direction.
  • the locking part 250 may move to the moving hole 301 only when the positions of the locking part 250 and the moving hole 301 correspond to each other.
  • the upper block 200 may move up and down, and the upper clasp 300 may engage the locking part ( The upper block 200 is fixed when moved in the recessed direction of 250.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upper block 200 is fixed by the upper latch 300.
  • the upward movement of the upper block 200 is a force that the lower block 400 pushes up the upper block 200. Move by, bu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top block 200 is moved by gravity.
  • the lower block 400 of the button is provided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lower upper movement limiting portion 410, lower column 420, The lower lower movement limiting portion 430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440 may be included.
  • the upper upper limit movement part 410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limiting portion 410 prevents the lower block 400 from being lowered more than necessary by being caught by the lower adjustment portion 600 to be described later.
  • the lower pillar 420 extends below the lower upper limit movement part 410 and is formed in a column shape having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lower upper limit movement part 410.
  • the lower pillar 420 is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of the lower block 400, and may be moved up and down in a state in which the lower adjustment unit 600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lower lower end movement limiting portion 430 is formed to extend below the lower pillar 420 and ha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pillar 420.
  • the lower lower limit movement unit 430 is caught by the lower adjustment unit 600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preventing the lower block 400 from moving upwards more than necessary.
  • the first inclined portion 440 is an upper side of the lower lower movement limiting portion 430,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 the first inclined portion 440 is configured to push the lower block 400 downward, so that the lower block 400 moves vertically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wer adjustment uni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 An inclined surface is formed.
  • the lower upper end movement limiting portion 410 and the lower end lower movement limiting portion 430 preferably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This is because the interior of the hous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in a basic columnar shape to facilitate the vertical reciprocation of the lower block 400 therein.
  • the lower control part 600 of the button with the variable braille module is coupled to move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lower pillar part 420.
  • a second inclined portion 610 having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portion 440.
  • the first inclined portion 440 and the second inclined portion 610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lower block 400 may be moved downward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wer adjuster 600.
  • the lower control part 600 includes a second inclined part 610 having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clined part 440, and according to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wer control part 600, the lower block ( As a configuration for vertically moving 400, as shown in FIG. 14, it may be protrud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be recessed in reverse.
  • the lower block 400 is always pushed upward by the elastic part 500 to act, thereby rising to the position of the lower control part 600.
  • the lower control unit 600 may be moved horizontall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lower block 400.
  • the lower movement limiting portion 430 of the lower end of the button with the variable braille module has a groove or a protrusion shape so that the elastic portion 500 is coupled to a lower portion thereof.
  • the elastic coupling part 431 may be formed.
  •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413 may be protruded into a protrusion shape so as to fit the elastic coupling portion 413.
  • 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block 400 is pushed up by the elastic portion 500.
  • a through hole 101 is generated in 10 (row) * 10 (column), and the lower control unit 600 opens the lower block 400 in units of columns.
  • the upper clasp 300 controls the upper block 200 in a row unit.
  • the upper clasp 200 After manipulating the lower adjustment part 600 to protrude each of the columns to be protruded in one row, the upper clasp 200 is operated to fix one row. Then, after manipulating the lower row control unit 600 to protrude each of the columns to be protruded in two rows, the upper clasp 200 is operated to fix two rows.
  • 10 lower row control parts 600 and 10 upper clasps 200 are required to express 10 (rows) * 10 (columns), and 10 (rows) * 10 by controlling a total of 20 units. (Column) can be expressed.
  • the button with a variable braille module accommodates the upper block 200 and the lower block 400 therein, the upper latch 300 and the lower One side of the adjuster 600 may further include a housing 700 accommodated therein to protrude outward.
  • the housing 70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unit 100, and may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as necessary.
  • the housing 700 has the upper clasp 300 is moved horizontally, the upper guide hole 710 and the lower control unit 600 to maintain the horizontal height of the upper clasp 300 is moved horizontally, the lower control part
  • the lower guide hole 720 may be formed to maintain the horizontal height of the 600.
  • the height of the upper clasp 300 and the lower control unit 600 is preferably constant at all times.
  • the upper guide hole 710 for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upper clasp 300 and the lower guide hole 720 for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lower control unit 600 is preferably formed in th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인이 손의 감각을 이용해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가 상하로 움직이며 점자, 도형, 이미지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본 발명은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 장애인이 손의 감각을 이용해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기가 상하로 움직이며 점자, 도형, 이미지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에 관한 것이다.
점자는 사람의 촉각을 통해 읽고 쓸 수 있도록 다양한 점형(Dot patterns)에 의미를 부여해 놓은 문자 상징체계이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점자는 2*2, 3*2, 4*2등의 점자가 통용되며, 점자의 개수와 배열을 달리하여 문자체계를 형성한다.
한편, 정보통신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컴퓨터, 모바일폰(Mobile phone),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피엠피(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은 각종 정보통신기기의 사용이 일상화되어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기기는 신체적인 장애가 있는 사람, 예를 들면 시각장애인의 접근성이 매우 낮기 때문에 정보통신기기의 활용에서 시각장애인이 소외되고 있으며, 정보격차(Digital divide)에 의한 경제사회적 불균형의 해소가 요구되고 있다.
시각장애인이 정보통신기기를 통하여 정보 활용도를 높여 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다양한 소프트웨어와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는 하나의 점자를 복수의 핀(Pin)들에 의하여 셀로 구현하여 압력, 진동, 통증 등과 같은 피부 자극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촉감장치(Tactile device)이다.
이러한 종래의 점자 출력 장치는 사용되는 액츄에이터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사용되는데, 그 중 대표적인 방식으로는 솔레노이드 방식, 압전체 방식, 고분자 유전체 방식 등이 있다.
솔레노이드 방식은 코일에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자기장이 발생하고 코일 내에 배치되는 플런져가 힘을 받아 이동함으로써 점자 출력을 이루는 방식이다.
압전체 방식은 압전체에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길이가 변하고 변화된 길이의 압전체에 의해 직접적으로 점자를 인식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고분자 유전체는 실리콘이나 우레탄과 같이 유전율이 높은 고분자 재료의 양면에 전극을 입히고 전압을 가하여 상호간에 발생되는 인력에 의해 고분자 유전체를 두께 방향으로 압축하고 면적 방향으로 팽창시키는 원리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솔레노이드 방식은 점자 출력 요소로서의 솔레노이드를 소형 집적화시키는데 어려움이 수반되고, 압전체 방식은 길이가 긴 압전체에 길이 변화를 일으키기 위하여 양단에 인가되는 전위차의 크기가 상당하여 제어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분자 유전체 방식은 원하는 소정의 고분자 재료의 부피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서는 약 1~2㎸ 정도의 고압 전원을 공급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즉, 점자 출력 장치의 구동부 및/또는 구동부를 제어할 제어기를 소형화 시키고 우수한 응답성을 수반하는 점자 출력 장치를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34731호에 "점자 출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점자 출력 모듈은 하우징, 가이드(Guide)와 압전구동기(Piezoelectric actuator)로 구성되어 있다. 압전구동기의 축은 가이드를 통하여 하우징의 열린 구멍을 통하여 출몰되어 점자를 표시한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10-0734731](등록일자: 2007. 06. 2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정보를 돌기로 표현하기 위하여, 제어하여야 하는 유닛의 수를 최소화 하여 보다 단순하고 제어가 편리한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행 또는 열 단위로 상부돌기(210)가 돌출되는 가변형 점자모듈(1100)이 다수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1000); 및 누름 또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정보표시부(1000)에 표시된 내용에 해당되는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20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은 다수의 관통홀(101)이 미리 결정된 배열로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00); 상기 관통홀(101) 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이동되되, 상측으로 이동 시 상부돌기(210)가 상기 관통홀(101)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블럭(200);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키는 상단걸쇠(300); 상기 상단블럭(2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이동되되, 상측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하단블럭(400); 상기 하단블럭(4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단블럭(4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는 탄성부(500); 및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하단조절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행 또는 열 단위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열 또는 행 단위로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단블럭(200)은 상기 상부돌기(21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의 이동축부(220); 상기 이동축부(22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 형상의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의 상단기둥부(240); 및 상기 상단기둥부(240) 상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 걸림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블럭(200)은 상기 상단기둥부(24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단기둥부(240)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형상의 상단하부이동제한부(2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상단기둥부(24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단기둥부(240)가 상기 상단걸쇠(30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된 이동홀(3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단블럭(400)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의 하단기둥부(420); 상기 하단기둥부(42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단기둥부(420)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형상의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 및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의 상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제1경사부(440);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하단기둥부(42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경사부(440)와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2경사부(6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부(440)와 제2경사부(610)가 마주보도록 밀착되어, 상기 하단조절부(600)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하단블럭(40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는 하부에 상기 탄성부(500)가 결합되도록 홈 또는 돌기 형상의 탄성결합부(4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상기 상단블럭(200) 및 하단블럭(4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상단걸쇠(300) 및 하단조절부(600)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70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700)은 상기 상단걸쇠(300)가 수평이동 되며, 상단걸쇠(300)의 수평높이를 유지시키는 상단가이드 홀(710); 및 상기 하단조절부(600)가 수평이동 되며, 하단조절부(600)의 수평높이를 유지시키는 하단가이드 홀(7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버튼(2000)은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버튼(20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버튼(2000)은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에 의하면,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을 이용함으로써, ATM기 등의 키오스크와 같이 다양한 선택을 하여야 원하는 목적을 수행하는 기기를 시각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행과 열 단위로 하단조절부 및 상단걸쇠를 조작하여, 점자, 도형, 이미지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음으로써, 정보를 돌기로 표현하기 위하여 제어하여야 하는 유닛의 수를 최소화(종래에 n*m 개를 조작하여야 하였다면, 본 발명은 n+m개를 조작함) 하여 보다 단순하고 제어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단블럭에 상단걸쇠가 결합된 상태로 상단블럭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축부, 상단상부이동제한부, 상단기둥부 및 걸림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순한 형태로 상단블럭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상단블럭에 상단하부이동제한부를 형성함으로써, 상단상부이동제한부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단상부이동제한부가 파손되더라도 상단블럭이 관통홀로 필요 이상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단걸쇠에 이동홀을 형성함으로써, 상단블럭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단순한 형태로 상단걸쇠를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하단블럭에 하단조절부가 결합된 상태로 하단블럭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단상부이동제한부, 하단기둥부 하단하부이동제한부 및 제1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단순한 형태로 하단블럭을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단하부이동제한부에 탄성결합부를 홈 또는 돌기 형상으로 단순하게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단가이드 홀 및 하단가이드 홀이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상단걸쇠 및 하단조절부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단블럭 및 하단블럭이 상하 운동을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구조를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개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개념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이동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단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단블럭 및 상단걸쇠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단블럭 및 상단걸쇠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도 1의 상단블럭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상단블럭과 상단걸쇠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의 하단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4는 도 1의 하단조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에 하우징이 포함됨을 보여주는 절단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개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개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이동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단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단블럭 및 상단걸쇠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단블럭 및 상단걸쇠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상단블럭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도 1의 상단블럭과 상단걸쇠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2 내지 도 13은 도 1의 하단블럭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14는 도 1의 하단조절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5 내지 도 17은 도 1의 작동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며,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에 하우징이 포함됨을 보여주는 절단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설명에 사용될 도면의 디스플레이부(100)는 이해를 돕기 위해, 관통홀(101)이 4 개 형성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단블럭(200), 상단걸쇠(300), 하단블럭(400), 탄성부(500) 및 하단조절부(600)를 하나씩만 도시하였음에 유의해야 한다.
다수의 돌기가 상하로 움직이며 점자, 도형, 이미지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돌기를 각각 제어하여야 하였으나, 본 발명은 행과 열 단위로 제어함으로써, 제어하여야 하는 유닛의 수를 최소화 하여 보다 단순하고 제어가 편리한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동적 교통정보 및 대중교통정보, 경로 안내, 요금 카드 배포, 예약 업무, 각종 전화번호 및 주소 안내 정보제공, 행정절차나 상품정보, 시설물의 이용방법 등을 제공하는 정부기관이나 지방자치단체, 은행, 백화점, 전시장 등 공공장소에 설치된 무인 정보단말기(키오스크(KIOSK)) 등을 시각장애인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정보표시부(1000) 및 버튼(2000)을 포함한다.
정보표시부(1000)는 행 또는 열 단위로 상부돌기(210)가 돌출되는 가변형 점자모듈(1100)이 다수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한다.
즉, 2*2(4점), 3*2(6점), 4*2(8점) 등의 점자를 표현할 수 있는 가변형 점자모듈(1100) 다수가 배치되어 다양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정보표시부(1000)를 구현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가변형 점자모듈(1100)은 하나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고, 이러한 가변형 점자모듈(1100) 여러 개가 모여 다양한 정보(문장 등)를 표현할 수 있는 정보표시부(1000)를 구현할 수 있다.
버튼(2000)은 누름 또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정보표시부(1000)에 표시된 내용에 해당되는 명령을 입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정보표시부(1000)에 '출금'이라고 표시되어 있으면, 상기 버튼(2000)을 누르거나 터치하여 '출금'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4에서 메뉴 하나만 구성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입금', '출금', '통장정리' 등의 다양한 메뉴를 한 번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정보표시부(1000)와 다수의 버튼(200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2000)은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버튼(20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버튼(2000)이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 우측에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 하, 좌, 우 어느 곳이든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2000)이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때,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스위치의 접점 여부에 따라 입력이 되는 방식 등을 채택할 수 있다.
터치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실수로 잘못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더블터치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식이나, 한 번 터치 시 해당 명령이 어떤 것인지 음성으로 출력하고, 다시 한 번 터치 시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식 등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 버튼(2000)은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스위치의 접점 여부에 따라 입력이 되는 방식 등을 채택할 수 있다.
터치로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 손의 감각으로 점자 내용을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을 뗀 후 수초 이내에 다시 터치 또는 더블터치를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식이나, 한 번 터치 시 해당 명령이 어떤 것인지 음성으로 출력하고, 다시 한 번 터치 시 입력으로 인식하는 방식 등을 채택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가변형 점자모듈(1100)은 디스플레이부(100), 상단블럭(200), 상단걸쇠(300), 하단블럭(400), 탄성부(500) 및 하단조절부(600)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행 또는 열 단위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열 또는 행 단위로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상단걸쇠(300)가 행 단위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킨다면,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열 단위로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한다.
또한, 상기 상단걸쇠(300)가 열 단위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킨다면,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행 단위로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한다.
디스플레이부(100)는 다수의 관통홀(101)이 미리 결정된 배열로 배치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다수의 돌기들이 돌출되어 점자, 도형, 이미지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홀(101)이 특정 배열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100행 50열 등의 배열로 다수의 관통홀(1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단블럭(200)은 상기 관통홀(101) 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이동되되, 상측으로 이동 시 상부돌기(210)가 상기 관통홀(101) 상부로 돌출된다.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상부돌기(210)가 상기 관통홀(101)의 상부로 돌출 되거나 상기 관통홀 내부로 함몰될 수 있다.
상단걸쇠(300)는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킨다.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부돌기(210)가 상기 관통홀(101) 상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부돌기(210)가 상기 관통홀(101) 내부로 함몰된 상태에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하단블럭(400)은 상기 상단블럭(2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이동되되, 상측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린다.
상기 하단블럭(400)은 상기 상단블럭(200)을 상측으로 밀어 올릴 수 있되, 상단걸쇠(300)로 고정되지 않은 상단블럭(200)을 밀어올린다.
탄성부(500)는 상기 하단블럭(4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단블럭(4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한다.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한다.
즉, 상기 하단조절부(600)가 상기 하단블럭(400)의 상한 높이를 상승시키면, 상기 탄성부(500)의 힘에 의해 상기 하단블럭(400)이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하단블럭(400)이 상기 상단블럭(200)을 밀어 올릴 수 있되, 상기 상단걸쇠(300)로 고정되지 않은 상단블럭(200)을 밀어올릴 수 있다. 이후, 상기 상단걸쇠(300)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서 상기 상단걸쇠(300)의 이동 방향과 하단조절부(600)의 이동 방향이 서로 수직하게 표현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상단걸쇠(300)가 행 또는 열 단위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열 또는 행 단위로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면 상기 상단걸쇠(300) 및 하단조절부(600)의 이동 방향을 다양하게 실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수동제어 및 자동제어가 가능하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상단블럭(200)은 상부돌기(210), 이동축부(220),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상단기둥부(240) 및 걸림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축부(220)는 상기 상부돌기(21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이동축부(220)는 상기 관통홀(101) 내부를 왕복운동 한다. 이때,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측방향 이동은 상기 하단블럭(400)이 상기 상단블럭(200)을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이동하나, 상기 상단블럭(200)의 하측 방향 이동은 중력에 의해 이동한다. 때문에, 상기 이동축부(220)가 상기 관통홀(101)에 끼워져 중력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관통홀(10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는 상기 이동축부(22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상단블럭(200)이 상기 관통홀(101)로 필요 이상 돌출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단기둥부(240)는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상단기둥부(240)는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 추후 설명할 상단걸쇠(300)를 끼운 상태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걸림부(250)는 상기 상단기둥부(240) 상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도 5 내지 도 6 참조) 또는 함몰(도 7 참조)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50)는 추후 설명할 상단걸쇠(300)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상단블럭(200)은 상기 상단기둥부(24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단기둥부(240)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형상의 상단하부이동제한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하부이동제한부(260)는 추후 설명할 상단걸쇠(300)에 걸려, 상기 상단블럭(200)이 상기 관통홀(101)로 필요 이상 돌출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이는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와 동일한 기능이나,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가 파손되더라도 상기 상단블럭(200)이 상기 관통홀(101)로 필요 이상 돌출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및 상단하부이동제한부(260)는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추후 설명할 하우징의 내부가 기본적인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안에서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하 왕복 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4,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상단기둥부(24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단기둥부(240)가 상기 상단걸쇠(30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된 이동홀(3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이동홀(301)은 상기 상단걸쇠(3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걸림부(250)의 통과가 가능하기도 하고, 상기 걸림부(250)의 통과가 불가능하기도 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경우, 상기 상단걸쇠(300)가 상기 걸림부(250)의 돌출된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상단걸쇠(300)가 상기 걸림부(250)의 돌출된 반대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이 고정된다.
도 6의 경우, 상기 걸림부(250)와 상기 이동홀(301)의 위치가 대응될 경우에만 상기 걸림부(250)가 상기 이동홀(301)로 이동이 가능하다.
도 7의 경우, 상기 상단걸쇠(300)가 상기 걸림부(250)의 함몰된 반대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상단걸쇠(300)가 상기 걸림부(250)의 함몰된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상단블럭(200) 및 상단걸쇠(300)의 작동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9은 상기 상단블럭(200)이 상기 상단걸쇠(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의 단면이다.
도 9의 상태에서 상기 상단블록(200)을 도 10과 같이 우측으로 밀어, 도 11의 상태가 되면, 상기 상단블럭(200)은 중력에 의해 도 11와 같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상단블럭(200)이 상기 상단걸쇠(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상단블럭(200)의 상측방향 이동은 상기 하단블럭(400)이 상기 상단블럭(200)을 밀어올리는 힘에 의해 이동하나, 상기 상단블럭(200)의 하측 방향 이동은 중력에 의해 이동한다.
도 12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하단블럭(400)은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하단기둥부(420),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 및 제1경사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는 상기 하단블럭(400)이 추후 설명할 하단조절부(600)에 걸려 필요 이상 하측으로 내려가는 것을 방지해 준다.
하단기둥부(420)는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단기둥부(420)는 상기 하단블럭(400)의 상하 이동을 위한 구성으로, 추후 설명할 하단조절부(600)를 끼운 상태로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는 상기 하단기둥부(42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단기둥부(420)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는 추후 설명할 하단조절부(600)에 걸려, 상기 하단블럭(400)이 필요 이상 상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제1경사부(440)는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의 상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부(440)는 상기 하단블럭(400)을 하측으로 밀어내리기 위한 구성으로, 추후 설명할 하단조절부(600)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하단블럭(400)이 수직이동 하도록 하기 위해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및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는 단면의 형상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추후 설명할 하우징의 내부가 기본적인 기둥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안에서 상기 하단블럭(400)의 상하 왕복 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하단기둥부(42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경사부(440)와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2경사부(6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부(440)와 제2경사부(610)가 마주보도록 밀착되어, 상기 하단조절부(600)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하단블럭(40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제1경사부(440)와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2경사부(610)를 포함하여, 하단조절부(600)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하단블럭(400)를 수직이동 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역으로 함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부연 설명하면, 상기 하단블럭(400)은 상시 상기 탄성부(500)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하여, 상기 하단조절부(600)에 걸리는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하단조절부(600)를 수평 이동시켜 상기 하단블럭(4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는 하부에 상기 탄성부(500)가 결합되도록 홈 또는 돌기 형상의 탄성결합부(4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13에 홈 형상으로 형성된 탄성결합부(413)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탄성결합부(413)를 끼울 수 있도록 돌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작동에 대하여 도 15 내지 도 1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5은 상기 하단블럭(400)이 상기 탄성부(500)에 의해 밀어올려진 상태의 단면이다.
도 15의 상태에서 상기 하단조절부(600)를 도 16와 같이 우측으로 밀어, 도 17의 상태가 되면, 상기 상단블럭(200)은 중력에 의해 도 17와 같이 하측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상단블럭(200)이 상기 상단걸쇠(300)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아니라면, 상기 하단조절부(600)가 상기 하단블럭(400)을 하측으로 밀어내리면, 중력에 의해 상기 상단블럭(200)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를 토대로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의 전체적인 작동에 대하여, 10(행)*10(열)로 관통홀(101)이 생성되고, 하단조절부(600)가 열 단위로 하단블럭(400)을 제어하고, 상단걸쇠(300)가 행 단위로 상단블럭(200)을 제어하는 예를 들어 설명하면,
하단조절부(600)를 조작하여 1행에서 돌출되어야 할 각각의 열들을 돌출 시킨 후, 상단걸쇠(200)를 조작하여 1행을 고정시킨다. 이후, 하단조절부(600)를 조작하여 2행에서 돌출되어야 할 각각의 열들을 돌출 시킨 후, 상단걸쇠(200)를 조작하여 2행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10행까지 반복하면 10(행)*10(열)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10(행)*10(열)을 표현하기 위해 10 개의 하단조절부(600) 및 10 개의 상단걸쇠(200)가 필요하며, 총 20 개의 유닛을 제어하는 것으로 10(행)*10(열)을 표현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상기 상단블럭(200) 및 하단블럭(4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상단걸쇠(300) 및 하단조절부(600)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70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의해 다수로 분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700)은 상기 상단걸쇠(300)가 수평이동 되며, 상단걸쇠(300)의 수평높이를 유지시키는 상단가이드 홀(710) 및 상기 하단조절부(600)가 수평이동 되며, 하단조절부(600)의 수평높이를 유지시키는 하단가이드 홀(7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단걸쇠(300) 및 하단조절부(600)의 높이는 항시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상단걸쇠(300)의 수평이동을 위한 상단가이드 홀(710) 및 하단조절부(600)의 수평이동을 위한 하단가이드 홀(7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0)

  1. 행 또는 열 단위로 상부돌기(210)가 돌출되어, 상기 돌출된 상부돌기(210)에 의하여 형상이 표시되는 가변형 점자모듈(1100)이 다수 구비되어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표시부(1000); 및
    누름 또는 터치 입력에 따라 상기 정보표시부(1000)에 표시된 내용에 해당되는 명령을 입력하는 버튼(2000);
    을 포함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은
    다수의 관통홀(101)이 미리 결정된 배열로 배치된 디스플레이부(100);
    상기 관통홀(101) 하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이동되되, 상측으로 이동 시 상부돌기(210)가 상기 관통홀(101) 상부로 돌출되는 상단블럭(200);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키는 상단걸쇠(300);
    상기 상단블럭(2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하 이동되되, 상측으로 이동 시 상기 상단블럭(2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하단블럭(400);
    상기 하단블럭(400)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하단블럭(400)을 상측으로 밀어올리는 힘이 작용하는 탄성부(500); 및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하단조절부(600);
    를 포함하되,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행 또는 열 단위로 상기 상단블럭(200)을 고정시키고,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의 열 또는 행 단위로 상기 하단블럭(400)을 일정 높이 이상 올라가지 못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블럭(200)은
    상기 상부돌기(21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의 이동축부(220);
    상기 이동축부(22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101)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 형상의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단상부이동제한부(230)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의 상단기둥부(240); 및
    상기 상단기둥부(240) 상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 또는 함몰 형성된 걸림부(250);
    를 포함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블럭(200)은
    상기 상단기둥부(24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상단기둥부(240)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형상의 상단하부이동제한부(260);
    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걸쇠(300)는
    상기 상단기둥부(24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상단기둥부(240)가 상기 상단걸쇠(300) 내부에서 상하 이동되도록 형성된 이동홀(30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블럭(400)은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단상부이동제한부(410) 보다 수평 단면적이 작은 기둥 형상의 하단기둥부(420);
    상기 하단기둥부(420) 하부에 연장 형성되며, 상기 하단기둥부(420) 보다 수평 단면적이 큰 기둥형상의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 및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의 상측으로, 경사면이 형성된 제1경사부(440);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조절부(600)는
    상기 하단기둥부(42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경사부(440)와 대응되는 형상의 경사면이 형성된 제2경사부(610);를 포함하며,
    상기 제1경사부(440)와 제2경사부(610)가 마주보도록 밀착되어, 상기 하단조절부(600)의 수평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하단블럭(400)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하부이동제한부(430)는
    하부에 상기 탄성부(500)가 결합되도록 홈 또는 돌기 형상의 탄성결합부(4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은
    상기 상단블럭(200) 및 하단블럭(400)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상단걸쇠(300) 및 하단조절부(600)의 일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700);
    을 더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700)은
    상기 상단걸쇠(300)가 수평이동 되며, 상단걸쇠(300)의 수평높이를 유지시키는 상단가이드 홀(710); 및
    상기 하단조절부(600)가 수평이동 되며, 하단조절부(600)의 수평높이를 유지시키는 하단가이드 홀(7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2000)은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어, 상기 버튼(20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2000)은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가변형 점자모듈(1100)을 터치 또는 누름으로 명령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PCT/KR2016/013850 2016-05-02 2016-11-29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WO201719187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741,089 US20180190152A1 (en) 2016-05-02 2016-11-29 Button having variable braille modu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891 2016-05-02
KR1020160053891A KR101725185B1 (ko) 2016-05-02 2016-05-02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1879A1 true WO2017191879A1 (ko) 2017-11-09

Family

ID=58580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3850 WO2017191879A1 (ko) 2016-05-02 2016-11-29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90152A1 (ko)
KR (1) KR101725185B1 (ko)
WO (1) WO20171918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5048A (zh) * 2018-07-05 2018-11-02 浙江理工大学 电磁驱动凸轮自锁连杆传动的盲文显示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8799B1 (ko) * 2018-09-28 2020-04-08 (주)오버플로우 점자 학습 및 메모 장치
KR101989049B1 (ko) 2018-10-01 2019-06-13 주식회사 넥스트이노베이션 시각장애인용 디스플레이 모듈
KR101989052B1 (ko) 2018-10-01 2019-06-13 주식회사 넥스트이노베이션 점역 오류 출력 기능을 이용한 점자 편집 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US11640769B2 (en) * 2020-05-29 2023-05-02 Abenezer Ayana Modular refreshable braille display system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7859A (ja) * 1995-10-31 1997-05-16 Ricoh Co Ltd 点字表示装置
JPH11184368A (ja) * 1997-12-19 1999-07-09 Nec Shizuoka Ltd バリアフリーターミナル
US20080171308A1 (en) * 2003-10-10 2008-07-17 Hyun-Oh Shin Display Device of Braille Points
KR20130001008A (ko) * 2011-06-24 2013-01-03 노영관 점자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점자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08823A (ko) * 2012-07-12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점자 입출력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7950B2 (ja) * 2003-03-20 2007-05-23 貞行 上羽 通信端末装置
KR100734731B1 (ko) 2006-09-30 2007-07-0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점자 출력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점자 디스플레이 장치
US20120299853A1 (en) * 2011-05-26 2012-11-29 Sumit Dagar Haptic interface
US20150091834A1 (en) * 2013-10-02 2015-04-02 Thomas M. Johnson Display screen with dynamic tactile pixe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thereof
US9965974B2 (en) * 2014-03-11 2018-05-08 Technologies Humanware Inc. Portable device with virtual tactile keyboard and refreshable Braille display
US10101829B2 (en) * 2014-06-11 2018-10-16 Optelec Holding B.V. Braille display system
KR101597913B1 (ko) * 2014-10-30 2016-03-03 김주윤 브레일 디스플레이,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및 지독 방향 설정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27859A (ja) * 1995-10-31 1997-05-16 Ricoh Co Ltd 点字表示装置
JPH11184368A (ja) * 1997-12-19 1999-07-09 Nec Shizuoka Ltd バリアフリーターミナル
US20080171308A1 (en) * 2003-10-10 2008-07-17 Hyun-Oh Shin Display Device of Braille Points
KR20130001008A (ko) * 2011-06-24 2013-01-03 노영관 점자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점자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08823A (ko) * 2012-07-12 2014-01-22 삼성전자주식회사 점자 입출력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35048A (zh) * 2018-07-05 2018-11-02 浙江理工大学 电磁驱动凸轮自锁连杆传动的盲文显示装置
CN108735048B (zh) * 2018-07-05 2023-10-13 浙江理工大学 电磁驱动凸轮自锁连杆传动的盲文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90152A1 (en) 2018-07-05
KR101725185B1 (ko)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91879A1 (ko) 가변형 점자모듈이 구비된 버튼
WO2021020667A1 (ko) 원격 재활 훈련 제공 방법 및 프로그램
WO2017191892A1 (ko) 시각장애인용 디스플레이 모듈, 시각장애인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16190677A1 (ko) 스마트 블록 완구
WO2017034283A1 (ko) 촉각 발생 장치
WO2013105788A1 (ko)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WO2018056571A1 (ko) 사용자별 커스텀 키보드 매핑이 가능한 블루투스 IoT 키보드
JP2008209793A (ja) 点字表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携帯端末装置
WO2013137547A1 (ko) 햅틱피드백 제공모듈, 그 제공모듈을 이용한 햅틱 감성 피드백 제공장치, 그 제공장치가 부착된 휴대용 단말기, 그 제공장치가 부착된 방향제시장치 및 그 제공장치를 이용한 햅틱 감성 피드백 제공방법
WO2013133514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texture with highly integrated, highly integrated-performance actuator, actuator array,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WO2015053469A1 (ko) 모듈 형 회로소자의 개선된 구성 키트
WO2015115691A1 (ko) 이동통신 단말 및 이동통신 단말용 케이스
WO2018056783A1 (ko) 패치형 컨트롤러
WO2012165920A2 (ko) 성조 선택 기능을 갖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중국어 입력 방법
WO2020091538A1 (ko) 저전력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373547B2 (en) Tactile display tablet
WO2022034962A1 (ko) 점자교육교재 및 그 제조 방법
WO2013137548A1 (en) Dielectric polymer high-performance driver, actuator and vibrating motor using the driver, method for operating the actuator,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to sight and hearing disabled person
WO2017179765A1 (en) Battery charger and battery pack
WO2018074674A1 (ko) 오디오 출력 장치
WO2012002659A2 (ko) 영문자 키패드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모바일 기기
WO2024010326A1 (ko) 햅틱 입력 장치
WO2013061168A2 (en) Tactile signalling device, especially for providing picture and graphical inform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WO2024096294A1 (ko) 멀티 키보드를 표시하는 사용자 디바이스 및 사용자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WO2022045472A1 (ko) 압전 리니어 모터 기반 점자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9011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9011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