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449B1 - 선박용 선적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선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449B1
KR101597449B1 KR1020140111435A KR20140111435A KR101597449B1 KR 101597449 B1 KR101597449 B1 KR 101597449B1 KR 1020140111435 A KR1020140111435 A KR 1020140111435A KR 20140111435 A KR20140111435 A KR 20140111435A KR 101597449 B1 KR101597449 B1 KR 101597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ment
induction
unit
duct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1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부곤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4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4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14Chutes extensible, e.g.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44Arrangements or applications of hoppers or chu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선적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어 선적물을 공급하는 선적공급부와, 지면에 장착되고 선적공급부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안내하는 선적이송부와, 선적이송부에 결합되어 선적이송부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선박부로 안내하고 선박부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선적유도부를 포함하여, 선적물의 비산을 방지하고 선박부에 선적물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선적장치{LOADING DEVICE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선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선적물을 선적하는 과정에서 선적물의 비산을 막고 선적물의 안정적인 낙하를 유도하는 선박용 선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지에서 채취하여 부두야적지에 적재되는 토사나 석탄은 다른 곳으로 이송하기 위해 이송선박으로 옮겨 적재시키게 된다. 이때, 부두야적지와 인접한 해안에 이송바지선을 정박시킨 후, 포크레인을 이용하여 직접 부두야적지에서 토사나 석탄을 이송바지선에 옮겨 적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25202호(2010.11.30 공개, 발명의 명칭 : 이송바지선을 이용한 해안 부두의 야적물 선적방법 및 선적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선적물이 선박에 공급되는 과정에서 선적물의 비산을 막고 안정적인 선적물 낙하를 유도하는 선박용 선적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는: 지면에 설치되어 선적물을 공급하는 선적공급부; 상기 지면에 장착되고, 상기 선적공급부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안내하는 선적이송부; 및 상기 선적이송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적이송부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선박부로 안내하고, 상기 선박부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선적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적유도부는: 상기 선적이송부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안내하고, 복수개가 겹치도록 상하 배치되는 유도덕트부; 상기 유도덕트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유도덕트부간의 이탈을 방지하는 유도와이어부; 상기 선적이송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도덕트부에 결합되는 구동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유도덕트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도구동부; 상기 유도덕트부에 장착되고, 상기 선박부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유도감지부; 및 상기 유도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도구동부를 제어하는 유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덕트부는: 상기 선적이송부에 결합되고, 상기 선적이송부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안내하는 상부유도부; 상기 상부유도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선적물을 상기 선박부로 안내하는 하부유도부; 및 상기 상부유도부와 상기 하부유도부 사이에 배치되어 선적물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덕트부는: 상기 중간유도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케이블이 관통되는 파이프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도덕트부는: 상기 하부유도부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케이블과 연결되며, 자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가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는 유도감지부가 선박부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유도덕트부를 선박부에 자동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는 상부유도부와, 중간유도부와, 하부유도부가 상하로 배치되어 삽입 가능하므로, 이들간의 거리 조절을 통해 선적물을 유도하는 유도덕트부 자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는 파이프유도부가 구동케이블을 안내함으로써, 구동케이블의 꼬임이나 유동에 의한 다른 설비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는 길이가변부가 구동케이블과 연결되어 자체 길이가 조절되므로, 복수개의 구동케이블 길이를 조절하여 유도덕트부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가 선적물을 선박부에 선적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에서 선적유도부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에서 선적유도부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에서 길이가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가 선적물을 선박부에 선적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1)는 선적공급부(10)와, 선적이송부(20)와, 선적유도부(30)를 포함한다.
선적공급부(10)는 지면(100)에 설치되어 선적물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적공급부(10)는 지면(100)에 저장된 선적물을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부(11)와, 제1컨베이어부(12)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선적이송부(20)로 안내하는 제2컨베이어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컨베이어부(12)는 지면(100)에 고정 설치되는 공급고정부(13)에 장착되고, 좌우 또는 상하 회전되어 선적물의 낙하지점을 조절할 수 있다. 제1컨베이어부(11)와 제2컨베이어부(12)는 벨트 컨베이어 방식으로 선적물을 안내할 수 있다.
선적이송부(20)는 지면(100)에 장착되고, 선적공급부(10)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선적이송부(20)는 지면(100)을 따라 이동되는 이송대차부(21)와, 이송대차부(21)에 장착되고 제2컨베이어부(12)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컨베이어부(22)는 벨트 컨베이어 방식으로 선적물을 안내할 수 있다.
선적유도부(30)는 선적이송부(20)에 결합되어 선적이송부(20)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선박부(200)로 안내한다. 선적유도부(30)는 선박부(200)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된다. 즉, 선적유도부(30)는 다양한 높이를 갖는 선박부(200)를 감지하여 선박부(200)에 근접되도록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에서 선적유도부의 길이가 늘어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에서 선적유도부의 길이가 줄어든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적유도부(30)는 유도덕트부(40)와, 유도와이어부(50)와, 유도구동부(60)와, 유도감지부(70)와, 유도제어부(80)를 포함한다.
유도덕트부(40)는 선적이송부(20)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안내하고, 상하로 복수개가 겹치도록 배치된다. 일 예로, 복수개의 유도덕트부(40)는 서로 겹쳐지면서 길이가 줄어들고, 서로 벌어지면서 길이가 늘어날 수 있다.
유도와이어부(50)는 복수개의 유도덕트부(40)를 서로 연결하여 유도덕트부(40)간의 이탈을 방지한다. 일 예로, 2개의 유도와이어부(50)는 어느 하나의 유도덕트부(4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어느 하나의 유도덕트부(40)의 상방 및 하방에 각각 배치되는 유도덕트부(40)에 타단부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유도구동부(60)는 선적이송부(20)에 장착되고, 유도덕트부(40)에 결합되는 구동케이블(64)을 감거나 풀어주어 유도덕트부(40)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유도구동부(60)는 이송컨베이어부(21)에 장착되는 구동지지대(61)와, 구동지지대(6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62)와, 구동모터(62)에 의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구동케이블(64)를 감거나 풀어주는 구동롤러(63)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감지부(70)는 유도덕트부(40)에 장착되고 선박부(200)와의 거리를 감지한다. 일 예로, 유도감지부(70)는 가장 아래에 위치되는 유도덕트부(40)에 장착되어 하방으로 신호를 보낸 후 되돌아오는 신호를 수신하여 선박부(200)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유도제어부(80)는 유도감지부(7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유도구동부(60)를 제어한다. 일 예로, 유도제어부(80)는 유도감지부(70)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가장 아래에 위치되는 유도덕트부(40)가 선박부(200)에 근접되도록 구동모터(62)의 구동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덕트부(40)는 상부유도부(41)와, 하부유도부(42)와, 중간유도부(43)를 포함한다.
상부유도부(41)는 선적이송부(20)에 결합되고, 선적이송부(20)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부유도부(41)는 이송컨베이어부(22)를 통해 낙하되는 선적물의 낙하지점에 배치되어 선적물을 안내하는 상부덕트(411)와, 상부덕트(411)의 상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이송컨베이어부(22)에 결합되는 상부결합대(4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유도부(42)는 상부유도부(41)의 하방에 배치되고, 선적물을 선박부(200)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유도부(42)는 선적물을 선박부(200)로 안내하는 하부덕트(421)와, 하부덕트(421)의 상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확장판(422)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중간유도부(43)는 상부유도부(41)와 하부유도부(42) 사이에 배치되고, 상부유도부(41)를 통과한 선적물을 하부유도부(42)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중간유도부(43)는 선적물을 안내하는 중간덕트(431)와, 중간덕트(431)의 상단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간확장판(432)을 포함할 수 있다.
만일 1개의 중간유도부(43)인 경우, 상부덕트(411)가 중간덕트(431)에 삽입되고, 중간덕트(431)는 하부덕트(421)에 삽입되어 겹칠 수 있다. 유도와이어부(50)는 상부결합대(412)와 중간확장판(432)을 연결하고, 중간확장판(432)과 하부확장판(422)을 연결할 수 있다.
복수개의 중간유도부(43)가 사용되는 경우, 각각의 중간유도부(43)에 형성되는 중간덕트(431)는 서로 삽입되어 겹칠 수 있다. 중간유도부(43)들 중에서 가장 상방에 배치되는 중간덕트(431)에 상부덕트(411)의 삽입이 가능하며, 유도와이어(50)는 가장 상방에 배치되는 중간확장판(432)과 상부결합대(412)를 연결할 수 있다. 중간유도부(43)들 중에서 가장 하방에 배치되는 중간덕트(431)는 하부덕트(42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유도와이어(50)는 가장 하방에 배치되는 중간확장판(432)과 하부확장판(422)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유도와이어(50)는 복수개의 중간확장판(432) 중에서 상하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중간확장판(432)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유도와이어(50)는 상부유도부(41)와, 중간유도부(43)와, 하부유도부(42)간의 연결관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덕트부(40)는 파이프유도부(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이프유도부(44)는 중간유도부(43)에 형성되고, 구동케이블(64)이 관통되도록 안내한다. 일 예로, 파이프유도부(44)는 중간확장판(432)의 단부에 형성되고 관 형상을 하여 구동케이블(64)이 통과함으로써, 구동케이블(64)의 꼬임이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구동롤러(63)에 3가닥의 구동케이블(64)이 감긴 경우, 중간확장판(432)에는 3개의 파이프유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에서 길이가변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덕트부(40)는 길이가변부(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길이가변부(45)는 하부유도부(42)에 장착되고, 구동케이블(64)과 연결되며, 자체 길이가 조절되어 복수개의 구동케이블(64)간의 길이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길이가변부(45)는 조절관(451)과, 조절관(451)의 상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상부나사(452)와, 조절관(451)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되는 하부나사(4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나사(452)와 하부나사(453)는 서로 반대방향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조절관(45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나사(452)와 하부나사(453)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거나 멀어질 수 있다. 상부나사(452)는 구동케이블(64)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케이블링(454)에 고리 결합되고, 하부나사(453)는 하부덕트(421)에 결합되는 하부링(455)에 고리 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덕트(421)에 장착되는 길이가변부(45)는 구동케이블(64)과 연결되고, 하부덕트(421)와, 중간덕트(431)와, 상부덕트(411)는 상하로 배치된다. 구동케이블(64)은 구동롤러(63)에 감기고, 구동모터(62)가 구동됨에 따라 구동롤러(63)가 회전되어 구동케이블(64)을 감거나 풀어준다.
상기한 상태에서 선박부(200)가 부두에 정박을 하면, 선박부(200)의 상방에 배치되는 하부덕트(421)에 장착된 유도감지부(70)가 선박부(200)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유도제어부(8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감지신호를 수신한 유도제어부(80)는 구동모터(62)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동모터(62)가 구동되어 구동롤러(63)가 감겨있던 구동케이블(64)를 풀어주면, 하부덕트(421)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선박부(200)에 근접된다. 이때, 상하로 배치되는 상부덕트(411)와, 중간덕트(431)와, 하부덕트(421)간의 간격이 벌어져 유도덕트부(40) 자체 길이가 늘어난다.
하부덕트(421)가 선박부(200)에 근접되면, 선적공급부(10)를 통해 지면에 저장된 선적물이 선적이송부(20)로 이동되고, 선적이송부(20)는 선적물을 상부덕트(411)로 안내한다. 상부덕트(411)로 투입된 선적물은 중간덕트(431)와 하부덕트(421)를 순차로 통과하여 선박부(200)에 저장된다.
구동케이블(64)은 중간유도부(43)에 형성되는 파이프유도부(44)를 통과하므로, 구동케이블(64)의 풀림 또는 감김 작업시 구동케이블(64)의 꼬임 또는 다른 설비와의 접촉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길이가변부(45)는 조절관(451)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부나사(452)와 하부나사(453)간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늘어난다. 이로 인해, 복수개의 구동케이블(64)간의 길이가 서로 상이하여 하부덕트(421)의 기울어짐이 발생하는 경우, 조절관(451)을 회전시켜 구동케이블(6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선적부(200)에 선적물이 누적되면, 유도감지부(70)가 누적된 선적물과의 거리를 감지하고 유도제어부(80)가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모터(62)를 구동하여 하부덕트(421)의 상승을 유도할 수 있다. 그 외, 선적물 공급이 완료되면 유도제어부(80)의 제어로 구동모터(62)가 구동되어 하부덕트(421)가 상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1)는 유도감지부(70)가 선박부(200)와의 거리를 감지하여 유도덕트부(40)를 선박부(200)에 자동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1)는 상부유도부(41)와, 중간유도부(43)와, 하부유도부(42)가 상하로 배치되어 삽입 가능하므로, 이들간의 거리 조절을 통해 선적물을 유도하는 유도덕트부(40) 자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1)는 파이프유도부(44)가 구동케이블(64)을 안내함으로써, 구동케이블(64)의 꼬임이나 유동에 의한 다른 설비와의 접촉을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선적장치(1)는 길이가변부(45)가 구동케이블(64)과 연결되어 자체 길이가 조절되므로, 복수개의 구동케이블(64) 길이를 조절하여 유도덕트부(40)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선적공급부 11 : 제1컨베이어부
12 : 제2컨베이어부 20 : 선적이송부
21 : 이송대차부 22 : 이송컨베이어부
30 : 선적유도부 40 : 유도덕트부
41 : 상부유도부 42 : 하부유도부
43 : 중간유도부 44 : 파이프유도부
45 : 길이가변부 50 : 유도와이어부
60 : 유도구동부 61 : 구동지지대
62 : 구동모터 63 : 구동롤러
64 : 구동케이블 70 : 유도감지부
80 : 유도제어부 100 : 지면
200 : 선박부 411 : 상부덕트
412 : 상부결합대 421 : 하부덕트
422 : 하부확장판 431 : 중간덕트
432 : 중간확장판 451 : 조절관
452 : 상부나사 453 : 하부나사
454 : 케이블링 455 : 하부링

Claims (5)

  1. 지면에 설치되어 선적물을 공급하는 선적공급부;
    상기 지면에 장착되고, 상기 선적공급부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안내하는 선적이송부; 및
    상기 선적이송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적이송부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선박부로 안내하고, 상기 선박부의 높이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선적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선적유도부는
    상기 선적이송부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안내하고, 복수개가 겹치도록 상하 배치되는 유도덕트부;
    상기 유도덕트부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유도덕트부간의 이탈을 방지하는 유도와이어부;
    상기 선적이송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도덕트부에 결합되는 구동케이블을 감거나 풀어주어 상기 유도덕트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도구동부;
    상기 유도덕트부에 장착되고, 상기 선박부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유도감지부; 및
    상기 유도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유도구동부를 제어하는 유도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유도덕트부는
    상기 선적이송부에 결합되고, 상기 선적이송부에서 낙하되는 선적물을 안내하는 상부유도부;
    상기 상부유도부의 하방에 배치되고, 선적물을 상기 선박부로 안내하는 하부유도부;
    상기 상부유도부와 상기 하부유도부 사이에 배치되어 선적물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유도부; 및
    상기 하부유도부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케이블과 연결되며, 자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가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선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덕트부는
    상기 중간유도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동케이블이 관통되는 파이프유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선적장치.

  5. 삭제
KR1020140111435A 2014-08-26 2014-08-26 선박용 선적장치 KR101597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35A KR101597449B1 (ko) 2014-08-26 2014-08-26 선박용 선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1435A KR101597449B1 (ko) 2014-08-26 2014-08-26 선박용 선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449B1 true KR101597449B1 (ko) 2016-02-24

Family

ID=5544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1435A KR101597449B1 (ko) 2014-08-26 2014-08-26 선박용 선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4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85935A (zh) * 2023-12-29 2024-02-02 江苏通惠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装船机用袋包散料一体化进料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998A (ko) * 2008-02-18 2009-08-21 현대로템 주식회사 경사콘 신축슈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8998A (ko) * 2008-02-18 2009-08-21 현대로템 주식회사 경사콘 신축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485935A (zh) * 2023-12-29 2024-02-02 江苏通惠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装船机用袋包散料一体化进料装置
CN117485935B (zh) * 2023-12-29 2024-04-23 江苏通惠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装船机用袋包散料一体化进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48044B2 (en) Conveyor apparatus
CN101516748B (zh) 输送系统
US20170121935A1 (en) Seafloor Haulage System
CN105452592B (zh) 与凿岩钻机有关的用于钻柱部件的操纵装置和凿岩钻机
CN106945095B (zh) 一种珍珠棉自动切割机
KR101597449B1 (ko) 선박용 선적장치
KR101525776B1 (ko) 케이블 이송장치
CN104291153A (zh) 多线自动送线器
CN106041332A (zh) 用于镭雕机的自动上下料装置
CN104229547A (zh) 卷绕装置
KR20170112087A (ko)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CN104925311B (zh) 供膜机构和封切设备
CN107750316B (zh) 用于两侧电缆布设的灵活电缆输送系统
KR101950669B1 (ko) 원통형 부재 운반용 케이블 로봇
KR101546265B1 (ko) 스태커 리크레이머
KR20140068376A (ko) 이송물 공급장치
NO20120392A1 (no)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elongate article, and a method of operation
KR101375235B1 (ko) 파이프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공급방법
CN207029760U (zh) 一种自动贴标机的双工位分料机构
CN204223941U (zh) 多线自动送线器
CN110103010A (zh) 磁性料体的自动装管设备及其工作方法
KR101581574B1 (ko) 적치기 장치
CN202642761U (zh) 一种用于检测皮带运输机皮带跑偏的激光装置
KR101277953B1 (ko) 붐 스태커
KR101957109B1 (ko) 테이퍼볼트 자동이송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