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953B1 - 붐 스태커 - Google Patents

붐 스태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953B1
KR101277953B1 KR1020110118670A KR20110118670A KR101277953B1 KR 101277953 B1 KR101277953 B1 KR 101277953B1 KR 1020110118670 A KR1020110118670 A KR 1020110118670A KR 20110118670 A KR20110118670 A KR 20110118670A KR 101277953 B1 KR101277953 B1 KR 101277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roller
stacker
elastic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8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3119A (ko
Inventor
전병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10118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953B1/ko
Publication of KR2013005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3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65G39/16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for aligning belts or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10Arrangements of rollers
    • B65G39/12Arrangements of rollers mounted on 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붐의 선단부와 붐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선회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붐 롤러 및 상기 붐의 고정부에 설치된 스태커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붐 롤러에 연계되며, 붐의 선회시 상기 붐 롤러의 일부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하를 균일 분배토록 제공되는 붐 롤러 부하완화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붐 스태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붐이 상하로 선회될 때에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여 붐 벨트의 손상 또는 이송 롤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붐 스태커{BOOM STACKER}
본 발명은 벨트 컨베이어의 벨트를 보호할 수 있는 붐 스태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붐 스태커는 해상 운송 수단 등에 의해 운송된 원료를 야적장으로 이송하여 적치하는 장치이다.
도1 에는 붐 스태커가 도시되어 있는데, 붐 스태커는 트리퍼(tripper, 10)를 통해 원료를 상부로 이송시키고, 이송된 원료를 트리퍼 슈트를 통해 붐(23)으로 전달되고 야적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해상 운송 수단의 원료는 붐(23)이 상승 또는 하강함에 의해 원료를 야적장에 적당한 높이로 적치시킨다. 상기 붐에는 원료가 이송될 수 있도록 컨베이어 벨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무한 궤도로 운행됨에 의해 원료를 이송시킨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다수의 이송 롤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붐은 원료의 적치 높이에 따라 상하로 선회되므로, 상기 붐의 선회 중심부에 배치된 컨베이어 벨트에는 붐이 상승한 때와 하강 한 때에 장력이 다르게 작용한다.
도2 및 도3 를 참고하면, 붐의 선단부(5)와 고정부(4)를 연결하는 붐의 선회부(6)의 상부에는 상기 붐의 선회시에도 컨베이어 벨트(9)가 지지될 수 있도록 롤러가 장착된 어드저스트 스탠드 베이스(7)가 설치되어 상기 붐의 선단부(5)에 따라 움직여 주면서 컨베이어 벨트(9)의 원활한 가동을 위한 가교역할을 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롤러가 상기 어드저스트 스탠드 베이스(7)에 볼트로 고정 취부되어 있어 붐의 선회시 높낮이에 따라 컨베이어 밸트에 의해 각각의 롤러에 가해지는 장력의 강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하단 작업시에는 8a 및 8b 의 롤러에 큰 장력이 가해지고 상단 장업시에는 8a 및 8b 의 롤러에는 컨베이어 벨트(9)가 접촉하나 8c 및 8d 의 롤러에는 미접촉되어 장력에 차이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장력의 차이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게 되면, 이송 롤러의 파손이 불가피하게 일어나게 되며, 이는 컨베이어 벨트의 손상으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손상되거나 이송 롤러가 파손됨에 따라 붐 스태커의 작동을 정지하고 붐 스태커를 수리해야 하므로, 원료의 적치 시간이 길어지고 적치 비용이 현저히 상승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붐이 상하로 선회될 때에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여 붐 벨트의 손상 또는 이송 롤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은 붐 스태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은 다음과 같은 붐 스태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인 붐 스태커는 붐의 선단부와 붐의 고정부를 연결하는 선회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붐 롤러 및 상기 붐의 고정부에 설치된 스태커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붐 롤러에 연계되며, 붐의 선회시 상기 붐 롤러의 일부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하를 균일 분배토록 제공되는 붐 롤러 부하완화수단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붐 롤러 부하완화수단은 상기 붐 롤러가 배치되는 조인트베이스의 양측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부재와 상기 붐의 선단부에 고정되고 상기 스태커 지지 프레임에 결합되는 고정부재에 연계되어 선회 가능하게 제공되는 선회가이드 및 상기 선회가이드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신축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신축부재를 상하로 신축토록 제공되는 가이드쉬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붐 롤러는 상기 조인트베이스에 고정된 고정 롤러부 및 상기 고정 롤러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신축부재에 양측이 결합되어 상기 신축부재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 롤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롤러부는 상기 가이드 쉬브의 양측에 동일한 개수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 베이스는 상기 붐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 롤러부의 양측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가이드 리브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신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 리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고정 리브에 삽입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양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의 외측에 결합되어 탄성부재가 와이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롤러부는 상기 조인트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승강 롤러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롤러 및 상기 승강 롤러 지지체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 리브에 결합되는 슬라이더의 외측에 연계되어 상기 신축부재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 풀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스태커 지지 프레임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결합되는 조절부 및 상기 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회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조절부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홀 및 상기 인출홀에 삽입된 상기 조절부의 인출 위치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조절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선회 가이드는 상기 붐에 세워지도록 고정되는 직립바 및 상기 직립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의 양측이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홀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쉬브가 하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가이드 쉬브에는 상기 신축부재와 연결되는 풀리가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붐이 상하로 선회될 때에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여 붐 벨트의 손상 또는 이송 롤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붐 스태커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 붐의 선회부에 장착된 붐 롤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종래 붐이 선회함에 따라 붐 롤러가 부하를 받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붐 스태커의 조인트 베이스와 선회 가이드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조인트 베이스와 선회 가이드 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인 붐 스태커의 조인트 베이스와 선회 가이드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는 본 발명인 붐 스태커에서 붐이 하강할 때에 승강 롤러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붐 스태커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붐 스태커(boom stacker)는 트리퍼(10)와 붐(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퍼(10)는 배와 같은 해상 운송 수단에서 공급되는 광석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 지상 컨베이어(11)와, 상기 지상 컨베이어(11)를 지지하는 트리퍼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퍼 프레임에는 다수의 이송 롤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리퍼(10)는 지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트리퍼(10)는 지상 컨베이어 벨트를 무한 궤도로 운행함에 따라 상기 붐(20)에 원료를 이송시킨다.
상기 붐(20)에는 트리퍼(10)에서 이송된 원료를 야적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붐 벨트(21)와, 붐 벨트(21)를 지지하는 붐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붐 벨트 컨베이어는 무한 궤도로 운행하면서 원료를 이송시키는 붐 벨트(2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붐 프레임에는 붐 벨트(21)를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이송 롤러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붐(20)은 선회 와이어(43)에 의해 상하로 선회되고, 상기 선회 와이어(43)는 상하 선회장치(4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리퍼(10)의 하측에는 상기 붐(20)을 좌우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좌우 선회장치(50)가 설치될 수 있다.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의 상측에는 상하 선회장치(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의 하측에는 붐 스태커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주행장치(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행장치(60)는 붐 스태커를 일정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4는 붐 스태커의 조인트 베이스와 선회 가이드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은 조인트 베이스와 선회 가이드 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는 붐 스태커의 조인트 베이스와 선회 가이드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인 붐 스태커는 붐의 선단부(23)와 붐의 고정부(13)를 연결하는 선회부(33)에 배치되는 복수의 붐 롤러(200) 및 상기 붐의 고정부(13)에 설치된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상기 붐 롤러(200)에 연계되며, 붐의 선회시 상기 붐 롤러(200)의 일부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하를 균일 분배토록 제공되는 붐 롤러 부하완화수단(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붐 롤러 부하완화수단(300)은 상기 붐 롤러(200)가 배치되는 조인트베이스(120)의 양측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부재(130)와 상기 붐의 선단부(23)에 고정되고 상기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60)에 연계되어 선회 가능하게 제공되는 선회가이드(170) 및 상기 선회가이드(17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신축부재(130)와 연결되어 상기 신축부재(130)를 상하로 신축토록 제공되는 가이드쉬브(18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붐 스태커는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 조인트 베이스(120), 신축부재(130), 승강 롤러부(140), 고정부재(160), 선회 가이드(170) 및 가이드 쉬브(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붐의 선단부(23)와 붐의 고정부(13)는 프레임 힌지(11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붐(20)은 선회 와이어(43)가 감기거나 풀림에 따라 프레임 힌지(113)를 중심으로 상하로 선회될 수 있다.
상기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은 붐의 고정부(13)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은 상하로 길게 세워진 구조물이다. 이때, 상기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은 붐의 고정부(13)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붐(2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베이스(120)는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붐의 선단부(23)와 고정부(13)에 연계되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인트 베이스(120)의 일측은 힌지부(미도시)에 의해 붐의 고정부(13)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 베이스(120)의 타측은 힌지부(미도시)에 의해 붐의 선단부(2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베이스(120)는, 상기 붐(20)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12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21)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 롤러부(140)의 양측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가이드 리브(123)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121)의 양측에 고정되고, 신축부재(130)가 삽입되는 고정 리브(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21)은 힌지부에 의해 붐의 선단부(23)와 고정부(13)에 연계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121)은 사각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 리브(123)는 베이스 프레임(12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가이드 리브(123)는 승강 롤러부(140)의 양측이 지지될 수 있도록 수직으로 세워진 한 쌍의 리브일 수 있다.
상기 고정 리브(125)는 승강 가이드 리브(123)의 벨트 이송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 리브(123)에는 신축부재(1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리브(125)는 신축부재(130)의 양측이 빠지지 않도록 신축부재(130)의 양측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신축부재(130)는, 상기 고정 리브(125)에 삽입되는 와이어(131)와, 상기 와이어(131)의 양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33)와, 상기 탄성부재(133)의 외측에 결합되어 탄성부재(133)가 와이어(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31)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 쉬브(180)에 의해 상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와이어(131)는 신장되면서 탄성부재(133)를 압축하고, 상기 탄성부재(133)는 수축될 수 있다. 상기 이탈 방지부(135)는 탄성부재(133)의 신축에 따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33)는 가이드 쉬브(180)가 와이어(131)를 당기지 않을 때에는 상기 와이어(131)를 양측으로 잡아당겨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31)는 팽팽하게 당겨져 상기 승강 롤러(143)의 양측이 승강 가이드 리브(123)의 하측에 안정되게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 롤러부(140)의 양측은 신축부재(1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롤러부(140)는 상기 신축부재(130)가 상측으로 당겨질 때에 신축부재(130)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축부재(130)가 상측으로 당겨지지 않을 때에는 아래로 하강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롤러부(140)는, 상기 조인트 베이스(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승강 롤러 지지체와, 상기 승강 롤러 지지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롤러(143)와, 상기 승강 롤러 지지체의 양측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 리브(123)에 결합되는 슬라이더(145)와, 상기 슬라이더(145)의 외측에 결합되고, 상기 신축부재(130)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 풀리(1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롤러부(140)는 다수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롤러 지지체는 대략 "M"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롤러부(140)에 붐 벨트(21)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붐 벨트(21)의 양측으로 광석과 같은 원료가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 풀리(147)는 신축부재(130)의 와이어(13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 풀리(147)는 와이어(131)와 구름 접촉하여 와이어(131)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베이스(120)에는 고정 롤러부(1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롤러부(150)는 조인트 베이스(120)의 원료 이송방향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 롤러부(140)는 고정 롤러부(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롤러부(150)는, 상기 조인트 베이스(120)의 상측에 고정되는 고정 롤러 지지체(151)와, 상기 고정 롤러 지지체(1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 롤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롤러 지지체(151)는 대략 "M"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롤러 지지체(151)의 양측은 볼트에 의해 조인트 베이스(120)의 양측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롤러 지지체(151)에 붐 벨트(21)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붐 벨트(21)의 양측으로 광석과 같은 원료가 흘러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60)는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고정부(161)와, 상기 고정부(161)에 결합되는 조절부(165)와, 상기 조절부(16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회 가이드(170)에 이동 결합되는 회전부(1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61)의 양측은 볼트에 의해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61)의 중심부에는 돌출된 연장부(16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62)의 하부에는 인출홀(163)이 형성된 인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부는 사각 형태의 인출홀(163)이 형성된 박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절부(165)는 인출홀(163)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61)의 조절부(165)에는 조절부(165)의 인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조절레버(164)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절레버(164)는 회전됨에 의해 상기 인출부를 관통하여 조절부(165)를 조여줌으로써 상기 조절부(165)의 인출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165)의 끝단부에는 회전부(167)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파이프 형태의 결합관부(16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67)의 중심부는 결합관부(166)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67)는 원형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67)의 양측은 아래에서 설명할 슬라이드바(17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부(167)의 양측은 슬라이드핀(168)에 의해 슬라이드바(175)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회 가이드(170)는 붐(20)에 고정되고, 상기 붐(20)이 회전될 때에 상기 고정부재(16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선회 가이드(170)는, 상기 붐(20)에 세워지도록 고정되는 직립바(171)와, 상기 직립바(1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바(1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직립바(171)의 하단부는 볼트에 의해 붐의 선단부(2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립바(171)는 가늘고 긴 사각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바(175)는 직립바(171)의 상측에 직립바(171)와 대략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립바(171)의 상단부와 슬라이드바(175)의 일단부는 볼트와 와셔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바(175)에는 상기 회전부(167)의 양측이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바(175)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슬라이드홀(17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홀(176)에는 슬라이드핀(168)에 의해 회전부(167)의 양측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바(175)의 일단부는 직립바(171)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슬라이드바(175)의 중심부 근처에는 회전부(167)를 매개로 고정부재(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쉬브(180)는 상기 선회 가이드(17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신축부재(130)를 상하로 신축시킴에 의해 상기 승강 롤러(143)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쉬브(180)는 상기 슬라이드바(175)의 타단부에 하측을 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직립바(171), 슬라이드바(175) 및 가이드 쉬브(180)는 대략 "ㄷ"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175)에는 직립바(171), 가이드 쉬브(180) 및 회전부(167)가 모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 쉬브(180)는 상기 신축부재(130)와 연결되는 풀리(18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쉬브(180)의 하측에는 신축부재(130)가 끼워지고, 상기 신축부재(130)가 빠지지 않도록 풀리(18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풀리(183)는 가이드 쉬브(180)가 상측으로 이동될 때에 상기 신축부재(130)를 상측으로 잡아 당기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쉬브(180)는 프레임 힌지(1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롤러부(140)는 가이드 쉬브(180)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롤러부(140)가 와이어(131)를 상측으로 당기면, 상기 가이드 쉬브(180)의 양측에 배치된 승강 롤러부(140)는 거의 동일한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붐의 선단부(23)와 고정부(13)가 연결되는 선회부(33)에서 붐 벨트(21)의 곡선이 부드럽게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붐 벨트(21)에는 전체적으로 장력이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다. 결국, 붐 벨트(2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롤러부(140)는 가이드 쉬브(180)의 양측에 동일한 개수씩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쉬브(180)를 기준으로 상기 붐 벨트(21)의 양측이 거의 동일한 형태의 곡선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붐 벨트(21)가 상기 붐의 선단부(23)와 고정부(13)가 연결되는 선회부(33)에서 더욱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붐 스태커의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붐 스태커의 조인트 베이스와 선회 가이드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131)가 당겨질 경우, 상기 붐(20)은 상측으로 선회될 수 있다. 상기 붐(20)이 상측으로 선회되면, 상기 붐의 선단부(23)과 고정부(13)은 거의 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회 가이드(170)의 직립바(171)는 붐의 선단부(23)과 함께 상측으로 상승한다. 이때, 상기 직립바(171)의 상단부는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 측으로 상대적으로 약간 이동한다. 동시에, 상기 고정부(161)의 회전부(167)는 고정부(161)와 조절부(165)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부(167)의 양측은 슬라이드바(175)의 슬라이드홀(176)을 따라 직립바(171) 측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175)는 회전부(167), 조절부(165) 및 고정부(161)에 의해 지지되므로 하측으로 하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175)의 끝단부는 직립바(171)의 상단부를 기준으로 약간 상측으로 회전된다.
상기 가이드 쉬브(180)는 신축부재(130)의 와이어(131)를 상측으로 잡아당기지 않는다. 상기 탄성부재(133)는 와이어(131)를 양측으로 잡아당기므로, 상기 와이어(131)는 일직선으로 팽팽하기 긴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131)가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승강 롤러부(140)는 승강 가이드의 하측에 안정되고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롤러부(140)는 고정 롤러부(150)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붐(20)이 상측으로 선회될 때에 상기 붐의 선단부(23)와 고정부(13)가 일직선을 이루므로, 상기 붐 벨트(21)에는 인장력이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붐의 선단부(23)와 고정부(13)가 연결되는 선회부(33) 근처에서 붐 벨트(21)는 거의 직선상으로 배치되므로, 상기 승강 롤러부(140)와 고정 롤러부(150) 및 이송 롤러(15,25)에는 거의 동일한 하중이 작용할 수 있다.
도 5는 붐 스태커에서 붐이 하강할 때에 승강 롤러부가 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선회 와이어(43)가 풀려질 경우, 상기 붐(20)은 하측으로 선회될 수 있다. 상기 붐(20)이 하측으로 소정 각도 선회되면, 상기 붐의 선단부(23)와 고정부(13)는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회 가이드(170)의 직립바(171)는 붐의 선단부(23)과 함께 하측으로 하강한다. 이때, 상기 직립바(171)의 상단부는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 반대측으로 약간 이동한다. 동시에, 상기 고정부(161)의 회전부(167)는 고정부(161)와 조절부(165)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부(167)의 양측은 슬라이드바(175)의 슬라이드홀(176)을 따라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 측으로 상대적으로 약간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바(175)는 회전부(167), 조절부(165) 및 고정부(161)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바(175)가 상측으로 경사진 상태로 이동되므로, 상기 가이드 쉬브(180)는 상측으로 상승된다. 상기 가이드 쉬브(180)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쉬브(180)의 풀리(183)는 신축부재(130)의 와이어(131)를 상측으로 잡아당긴다. 상기 와이어(131)의 양측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133)는 축소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131)가 상측으로 당겨지므로, 상기 승강 롤러부(140)는 상측으로 상승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롤러부(140)의 슬라이더(145)는 승강 가이드 리브(123)를 따라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쉬브(180)의 풀리(183)가 상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승강 롤러부(140)가 상측으로 상승된다. 이때, 상기 승강 롤러부(140)는 고정 롤러부(150)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상기 승강 롤러부(140)에 의해 지지되는 붐 벨트(21)는 급격하게 경사지지 않고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쉬브(180)의 양측에 동일한 개수의 승강 롤러부(140)가 배치되므로, 상기 붐 벨트(21)는 붐의 선단부(23)와 고정부(13)가 연결되는 선회부(33)에서 더욱 부드러운 곡선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 롤러부(140)와 고정 롤러부(150)에는 붐 벨트(21)로부터 거의 균일한 하중을 받게 되므로, 상기 붐 벨트(21)의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붐의 선단부(23)와 고정부(13)가 연결되는 선회부(33)에서 붐 벨트(21)의 형상이 부드러운 곡선을 이루므로, 상기 붐 벨트(21)의 하부에 위치된 승강 롤러부(140)와 고정 롤러부(150)에 거의 균일한 하중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롤러부(140)와 고정 롤러부(150)가 집중 하중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붐의 선단부(23)와 고정부(13)가 연결되는 선회부(33)에서 특정 롤러부가 붐 벨트(21)와 접촉되지 않거나 붐 벨트(21)의 특정 부위가 상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상기 붐 벨트(21)는 전체적으로 거의 균일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붐 벨트(21)와 롤러부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원료의 적치 작업이 원활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붐 벨트(21)나 롤러부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붐 벨트(21)의 보수 및 교환 작업에 의한 적치 잡업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트리퍼 20: 붐
21: 붐 벨트 110: 스태커 지지 프레임
113: 프레임 힌지 120: 조인트 베이스
121: 베이스 프레임 123: 승강 가이드 리브
125: 고정 리브 130: 신축부재
131: 와이어 133: 탄성부재
135: 이탈 방지부 140: 승강 롤러부
141: 승강 롤러 지지체 143: 승강 롤러
145: 슬라이더 147: 승강 풀리
150: 고정 롤러부 151: 고정 롤러 지지체
153: 고정 롤러 160: 고정부재
161: 고정부 162: 연장부
163: 인출홀 164: 조절 레버
165: 조절부 166: 결합관부
167: 회전부 168: 슬라이드핀
170: 선회 가이드 171: 직립바
175: 슬라이드바 176: 슬라이드홀
180: 가이드 쉬브 183: 풀리

Claims (11)

  1. 붐의 선단부(23)와 붐의 고정부(13)를 연결하는 선회부(33)에 배치되는 복수의 붐 롤러(200); 및
    상기 붐의 고정부(13)에 설치된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상기 붐 롤러(200)에 연계되며, 붐의 선회시 상기 붐 롤러(200)의 일부에 과부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하를 균일 분배토록 제공되는 붐 롤러 부하완화수단(300);
    를 포함하되,
    상기 붐 롤러 부하완화수단(300)은 상기 붐 롤러(200)가 배치되는 조인트베이스(120)의 양측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신축부재(130);
    상기 붐의 선단부(23)에 고정되고 상기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고정부재(160)에 연계되어 선회 가능하게 제공되는 선회가이드(170); 및
    상기 선회가이드(170)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신축부재(130)와 연결되어 상기 신축부재(130)를 상하로 신축토록 제공되는 가이드 쉬브(1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스태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 롤러(200)는 상기 조인트베이스(120)에 고정된 고정 롤러부(150); 및
    상기 고정 롤러부(15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신축부재(130)에 양측이 결합되어 상기 신축부재(130)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 롤러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스태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롤러부(140)는 상기 가이드 쉬브(180)의 양측에 동일한 개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스태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 베이스(120)는 상기 붐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121);
    상기 베이스 프레임(121)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 롤러부(140)의 양측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가이드 리브(123);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121)의 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신축부재(130)가 삽입되는 고정 리브(12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스태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130)는 상기 고정 리브(125)에 삽입되는 와이어(131);
    상기 와이어(131)의 양측에 결합되는 탄성부재(133); 및
    상기 탄성부재(133)의 외측에 결합되어 탄성부재(133)가 와이어(13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부(13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스태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롤러부(140)는 상기 조인트 베이스(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승강 롤러 지지체(14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강 롤러(143); 및
    상기 승강 롤러 지지체(141)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 가이드 리브(123)에 결합되는 슬라이더(145)의 외측에 연계되어 상기 신축부재(130)에 의해 승강되는 승강 풀리(147);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스태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60)는 상기 스태커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고정부(161);
    상기 고정부(161)에 결합되는 조절부(165); 및
    상기 조절부(16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선회가이드(17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167);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스태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161)는 상기 조절부(165)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출홀(163); 및
    상기 인출홀(163)에 삽입된 상기 조절부(165)의 인출 위치를 고정토록 제공되는 조절레버(164);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스태커.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가이드(170)는 상기 붐에 세워지도록 고정되는 직립바(171); 및
    상기 직립바(17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167)의 양측이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드홀(176)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쉬브(180)가 하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드바(17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스태커.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쉬브(180)에는 상기 신축부재(130)와 연결되는 풀리(183)가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붐 스태커.
KR1020110118670A 2011-11-15 2011-11-15 붐 스태커 KR101277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670A KR101277953B1 (ko) 2011-11-15 2011-11-15 붐 스태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8670A KR101277953B1 (ko) 2011-11-15 2011-11-15 붐 스태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119A KR20130053119A (ko) 2013-05-23
KR101277953B1 true KR101277953B1 (ko) 2013-06-27

Family

ID=4866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8670A KR101277953B1 (ko) 2011-11-15 2011-11-15 붐 스태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9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505A (en) * 1987-12-11 1990-06-19 O&K Orenstein & Koppel Aktiengesellschaft Conveyor belt boom for large-scale conveying equipment
KR19990018225U (ko) * 1997-11-08 1999-06-05 이구택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4505A (en) * 1987-12-11 1990-06-19 O&K Orenstein & Koppel Aktiengesellschaft Conveyor belt boom for large-scale conveying equipment
KR19990018225U (ko) * 1997-11-08 1999-06-05 이구택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3119A (ko) 201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03215B2 (en) Device for protection and handling of electric feed cables for mobile use
US20050040015A1 (en) Stacker reclaimer method and apparatus
US9533840B1 (en) Stacker-reclaimer apparatus
CN102844495B (zh) 回转输送带安装件
CN106185377A (zh) 两级浮动式港口运输机
KR101504423B1 (ko) 빗물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 컨베이어 어셈블리
CN207645234U (zh) 一种重力张紧机构
KR101277953B1 (ko) 붐 스태커
CN212334487U (zh) 斗式提升机
US2263506A (en) Spoil tipping conveyer
GB2265135A (en) Bulk material conveying equipment.
CN205500349U (zh) 一种螺旋卸船机
CN205906762U (zh) 两级浮动式港口运输机
KR100622825B1 (ko) 소결빈 트리퍼의 낙광방지 장치
CN209601664U (zh) 一种机械控制的落料机构
KR101118297B1 (ko) 트리퍼설비의 밸트 교정장치
CN211812341U (zh) 一种塑胶管材牵引下料装置
CN209195050U (zh) 一种卸料平台
CN218840724U (zh) 一种传送皮带拉紧装置
CN220775206U (zh) 一种节约人力的铺设电缆的滑轮机构
CN111990288B (zh) 一种蛋种鸡养殖场鸡蛋缓冲装置
CN208699825U (zh) 升降刮板机
CN208345202U (zh) 一种漏斗式挡煤板
CN113338824B (zh) 主动式三根钻具输送机
ZA200705781B (en) Device for protection and handling of electric feed cables for mobile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