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8225U -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8225U
KR19990018225U KR2019970031457U KR19970031457U KR19990018225U KR 19990018225 U KR19990018225 U KR 19990018225U KR 2019970031457 U KR2019970031457 U KR 2019970031457U KR 19970031457 U KR19970031457 U KR 19970031457U KR 19990018225 U KR19990018225 U KR 199900182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urn
belt
support
rollers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1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원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70031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8225U/ko
Publication of KR199900182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8225U/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에 설치된 케리어롤러와 리턴롤러에 관한 것으로, 케리어롤러(122)의 양측부에 각각의 지지케리어롤러(2)가 설치되며, 리턴벨트(121b)의 양측부에 각각의 지지리턴롤러(3)가 설치된 지지장치와; 상기 제1,2케리어롤러의 측면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된 연결바(11)가 각각 설치되고, 이 연결바(11)의 하단부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이들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분리스탠드(12)가 고정설치되며, 제1,2리턴롤러의 측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이들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리턴브래킷(13)이 설치되고, 이 리턴브래킷(13)의 몸체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된 지지바(14)가 연결설치된 결합장치; 이 결합장치를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이동시키도록 된 분리장치 및; 상기 스크류작동뭉치(25)의 후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설치된 연결브래킷(31)의 양측부에는 각각 가로방향을 따라 연결프레임(32)이 설치되며, 이 연결프레임(32)에는 상부측으로 연결바(11)를 매개로 지지케리어롤러(2)가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측으로 고정바(33)를 매개로 지지리턴롤러(3)가 연결된 연결장치로 이루어져, 제1,2케리어롤러와 제1,2리턴롤러이 직접받던 하중이 지지케리어롤러와 지지리턴롤러에 의하여 분산되므로 벨트컨베이어의 수명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케리어롤러와 제1,2리턴롤러를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교환하게 되므로 교환작업시간이나 작업자의 부하가 절감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 (A device for a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oller in a belt conveyer vent)
본 고안은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에 설치된 케리어롤러와 리턴롤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케리어롤러와 리턴롤러가 받는 하중을 절감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Belt Conveyor)는 자동화공정의 일환으로 중량물을 짧은 시간에 빠르고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이송시킬 때에 사용하는 설비로서, 이러한 중량물이 상부면에 안착되는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 벨트와, 이러한 벨트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우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축회전하는 구동풀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철소와 같은 대규모의 공장에서는 다수개의 벨트컨베이어가 연속적으로 또는 거미줄처럼 연결되어 있어 필연적으로 굴곡벨트면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굴곡벨트면를 원활하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케리어롤러와 리턴롤러를 상하방향으로 장착하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벨트컨베이어는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량물을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동풀리(P)에 의하여 회전하며, 선단부에는 중량물의 낙하루트를 안내할 수 있도록 된 헤드슈트(111)가 설치된 제1벨트컨베이어(110)와; 이 헤드슈트(112)를 통해 낙하되는 중량물을 상측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폭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굴곡벨트면(121)가 형성되고, 이 굴곡벨트면(121)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폭방향을 따라 케리어롤러(122)와 리턴롤러(124)가 각각 설치되며, 선단부에는 중량물의 이동을 하부측방향으로 낙하시킬 수 있도록 된 트리퍼(123)가 장착된 제2벨트컨베이어(120); 이 트리퍼(123)를 통해 낙하되는 중량물이 임시로 저장되는 저장호퍼(130) 및; 상기 저장호퍼(130)에서 낙하되는 중량물을 목적지까지 이송시키기 위한 제3벨트컨베이어(140)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케리어롤러(122)와 리턴롤러(124)는 제2벨트컨베이어(120)의 회전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벨트컨베이어(100)의 벨트면을 통해 이송되는 중량물은 헤드슈트(111)를 통해 제2벨트컨베이어(120)로 낙하되고, 이 제1벨트컨베이어(120)를 통해 이송되는 중량물은 굴곡벨트면(121)와 트리퍼(123)를 통해 저장호퍼(130)로 낙하되며, 이 저장호퍼(130)로 낙하된 중량물은 제3벨트컨베이어(140)의 벨트면으로 낙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케리어롤러(122)와 리턴롤러(124)는 굴곡벨트면(121)와 직접 접촉되면서 심한 하중을 받게 되므로 손상을 많이 입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손상된 롤러와 벨트컨베이어의 벨트면이 접촉되면서 절손되거나 심하게는 화재가 발생되므로, 조기에 교환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손상된 롤러(122,124)를 교체하기 작업을 위하여 통상적으로 체인블럭(chain block)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4인이 한조가 되어 작업하게 되므로 인력의 손실을 가져오게 될 뿐만 아니라 심하게는 손가락 협착사고 등의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케리어롤러와 리턴롤러가 받는 하중을 절감시키게 될 뿐만 아니라 교환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여 안전사고를 에방할 수 있도록 된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구동풀리에 의하여 회전되는 굴곡벨트면에는 상하부를 따라 각각 케리어벨트와 리턴벨트가 구비되며, 이 케리어벨트의 하부면에는 제1,2케리어롤러가 나란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리턴벨트의 하부면에는 제1,2리턴롤러가 나란하게 설치된 벨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2케리어롤러의 양측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케리어롤러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제1,2리턴롤러의 양측부에는 회동가능하게 지지리턴롤러가 각각 설치된 지지장치와; 상기 제1,2케리어롤러의 측면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된 연결바를 매개로하여 일정크기의 채널부를 형성하는 분리스탠드가 연결설치되며, 상기 제1,2리턴롤러의 측면에는 일정크기의 채널부를 형성하도록 된 리턴브래킷을 매개로하여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된 지지바가 연결설치된 결합장치; 상기 분리스탠드와 지지바의 측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된 제1,2고정플레이트가 각각 보울팅결합되고, 이 제1,2고정플레이트의 나선홈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송스크류가 나선결합되며, 이 이송스크류의 몸체에는 작동레버를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너트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회전너트에는 외주면을 감싸도록 된 스크류작동뭉치가 설치된 분리장치 및; 상기 스크류작동뭉치의 후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양측단부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된 연결브래킷이 설치되고, 이 연결브래킷의 양측부에는 각각 가로방향을 따라 연결프레임이 설치되며, 이 연결프레임에는 연결바를 매개로하여 상부방향으로 지지케리어롤러가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방향으로 지지리턴롤러가 연결된 연결장치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1,2케리어롤러와 제1,2리턴롤러이 직접받던 하중이 지지케리어롤러와 지지리턴롤러에 의하여 분산되므로 벨트컨베이어의 수명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케리어롤러와 제1,2리턴롤러를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교환하게 되므로 교환작업시간이나 작업자의 부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벨트컨베이어가 작동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굴곡벨트면의 롤러스탠드 위치조정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굴곡벨트면의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의 케리어롤러와 리턴롤러가 작동되기 전후의 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P : 구동풀리 L : 작동레버
121 : 굴곡벨트면 121a : 케리어벨트
121b : 리턴벨트 122-1.122-2 : 제1,2케리어롤러
124-1,124-2 : 제1,2리턴롤러
2 : 지지케리어롤러 3 : 지지리턴롤러
11 : 연결바 12 : 분리스텐드
13 : 리턴브래킷 14 : 지지바
21,22 : 제1,2고정플레이트 23 : 이송스크류
24 : 회전너트 24a : 삽입홈
25 : 스크류작동뭉치 31 : 연결브래킷
32 : 연결프레임 33 : 고정바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굴곡벨트면의 롤러스탠드 위치조정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 굴곡벨트면의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의 케리어롤러와 리턴롤러가 작동되기 전후의 과정을 도시한 작동상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풀리(P)에 의하여 회전되는 굴곡벨트면(121)에는 상하부를 따라 각각 케리어벨트(121a)와 리턴벨트(121b)가 구비되며, 이 케리어벨트(121a)의 하부면에는 제1,2케리어롤러(122-1.122-2)가 나란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상기 리턴벨트(121b)의 하부면에는 제1,2리턴롤러(124-1,124-2)가 나란하게 설치된 벨트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케리어롤러(122)의 양측부에 회동가능하게 지지케리어롤러(2)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리턴벨트(121b)의 양측부에는 회동가능하게 지지리턴롤러(3)가 각각 설치된 지지장치와; 상기 제1,2케리어롤러(122-1,122-2)의 측면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된 연결바(11)가 각각 설치되고, 이 연결바(11)의 하단부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이들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분리스탠드(12)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2리턴롤러(124-1,124-2)의 측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이들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리턴브래킷(13)이 설치되고, 이 리턴브래킷(13)의 몸체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된 지지바(14)가 연결설치된 결합장치; 상기 분리스탠드(12)와 지지바(14)의 측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된 제1,2고정플레이트(21,22)가 각각 보울팅결합되고, 이 제1,2고정플레이트(21,22)의 나선홈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송스크류(23)가 나선결합되며, 이 이송스크류(23)의 몸체에는 작동레버를 끼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너트(24)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회전너트(24)에는 외주면을 감싸도록 된 스크류작동뭉치(25)가 설치된 분리장치 및; 상기 스크류작동뭉치(25)의 후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양측단부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된 연결브래킷(31)이 설치되고, 이 연결브래킷(31)의 양측부에는 각각 가로방향을 따라 연결프레임(32)이 설치되며, 이 연결프레임(32)에는 연결바(11)를 매개로하여 상부방향으로 지지케리어롤러(2)가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방향으로 지지리턴롤러(3)가 연결된 연결장치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굴곡벨트면(121)에는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다수개의 회전롤러가 설치되어 있으되, 상기 굴곡벨트면(121) 중에 케리어벨트(121a)의 하부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축회전가능하게 제1,2케리어롤러(122-1,122-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케리어롤러(122-1,122-2)의 양측에는 축회전가능하게 지지케리어롤러(2)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굴곡벨트면(121) 중에 리턴벨트(121b)의 하부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회동가능하게 제1,2리턴롤러(124-1,124-2)가 설치되며, 이 제1,2리턴롤러의 양측에는 각각 폭방향을 따라 축회전가능하게 지지리턴롤러(3)가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지지케리어롤러(2)와 지지리턴롤러(3)는 상기 제1,2케리어롤와 제1,2리턴롤러를 교환하는 경우에 상기 케리어벨트(121a)와 리턴벨트(121b)를 지지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케리어롤러(122-1,122-2)의 축상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된 각각의 연결바(11)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연결바(11)들의 하단부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크기의 채널부를 형성하는 분리스탠드(12)가 연결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분리스탠드(12)는 제1,2케리어롤러(122-1,122-2)의 몸체를 동시에 연결시키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리턴롤러(124-1,124-2)의 측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크기의 채널부를 형성하는 리턴브래킷(1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리턴브래킷(13)의 몸체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된 지지바(14)가 연결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리턴브래킷(13)은 제1,2리턴롤러(124-1,124-2)의 몸체를 동시에 연결시키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분리스탠드(12)의 측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크기의 나선홈이 형성된 제1고정플레이트(21)가 보울팅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바(140)의 측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일정크기의 나선홈이 형성된 2고정플레이트(22)가 보울팅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2고정플레이트(21,22)의 나선홈에는 상하방향으로 나선이동할 수 있도록 된 이송스크류(23)가 나선결합되어 있고, 이 이송스크류(23)의 몸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삽입홈(24a)이 형성된 회전너트(24)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회전너트(24)의 외주면에는 스크류작동뭉치(25)가 감싸져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물론, 상기 회전너트는 삽입홈(24a)에 삽입되어지는 작동레버(L)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작동뭉치(25)의 후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양측단부가 일정각도로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된 연결브래킷(31)이 고정설치되며, 이 연결브래킷(31)의 양측부에는 각각 가로방향을 따라 연결프레임(32)이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32)의 몸체에는 상부측으로 연결바(11)를 매개로하여 지지케리어롤러(2)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하부측으로 고정바(33)를 매개로하여 지지리턴롤러(3)가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굴곡벨트면의 케리어벨트(121a)와 리턴벨트(121b)가 제1,2케리어롤러(122-1,122-2)와 제1,2리턴롤러(124-1,124-2)와의 마찰에 의하여 손상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너트의 삽입홈(24a)에 작동레버(L)를 삽입한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너트(24)의 몸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이송스크류(23)의 몸체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경우, 상기 이송스크류(23)가 회전하게 됨과 동시에 제1,2고정플레이트(21,22)의 삽입홈을 따라 나선이동하게 되므로, 실제적으로 제1,2고정플레이트(21,22)의 몸체를 내측방향으로 당기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2고정플레이트(21,22)가 내측방향으로 오무려지면서 상기 분리스탠드(12)와 리턴브래킷(13)를 내측방향으로 당기게 되므로, 상기 케리어롤러(122-1,122-2)는 케리어벨트(121a)로 부터 또한 리턴롤러(124-1,124-2)는 리턴벨트(121b)로 부터 분리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연결브래킷(31)의 후면에 가로방향을 따라 장착된 연결프레임(32)을 통해 연결된 상기 지지케리어롤러(2)와 리턴케리어롤러(3)는 상기 케리어벨트(121a)와 리턴벨트(121b)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케리어롤러(122-1,122-2)와 리턴롤러(124-1,124-2)의 수리 또는 교환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회전너트의 삽입홈(24a)에 작동레버(L)를 삽입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한 과정의 역방향으로 케리어롤러와 리턴롤러가 원상복귀되는 것이다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에 의하면, 상기 제1,2케리어롤러와 제1,2리턴롤러이 직접받던 하중이 지지케리어롤러와 지지리턴롤러에 의하여 분산되므로 벨트컨베이어의 수명이 연장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2케리어롤러와 제1,2리턴롤러를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교환하게 되므로 교환작업시간이나 작업자의 부하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구동풀리(P)에 의하여 회전되는 굴곡벨트면(121)에는 상하부를 따라 각각 케리어벨트(121a)와 리턴벨트(121b)가 구비되고, 이 케리어벨트(121a)의 하부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제1,2케리어롤러(122-1.122-2)가 설치되며, 이 리턴벨트(121b)의 하부면에는 폭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제1,2리턴롤러(124-1,124-2)가 설치된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에 있어서,
    상기 제1,2케리어롤러(122-1,122-2)의 양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케리어롤러(2)가 설치되며, 상기 제1,2리턴롤러(124-1,124-2)의 양측에는 수평방향으로 지지리턴롤러(3)가 설치된 지지장치와;
    상기 제1,2케리어롤러(122-1,122-2)의 측면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된 연결바(11)가 각각 설치되고, 이 연결바(11)의 하단부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이들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분리스탠드(12)가 고정설치되며, 상기 제1,2리턴롤러(124-1,124-2)의 측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이들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된 리턴브래킷(13)이 설치되고, 이 리턴브래킷(13)의 몸체에는 하측방향을 향하도록 된 지지바(14)가 연결설치된 결합장치;
    상기 분리스탠드(12)와 지지바(14)의 측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된 제1,2고정플레이트(21,22)가 각각 보울팅결합되고, 이 제1,2고정플레이트(21,22)의 나선홈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이송스크류(23)가 나선결합되며, 이 이송스크류(23)의 몸체에는 일측면을 따라 채널부를 형성하는 스크류작동뭉치(25)가 설치됨과 동시에 이 스크류작동뭉치(25)의 내부에는 이송스크류(2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된 회전너트(24)가 설치된 분리장치 및;
    상기 스크류작동뭉치(25)의 후면에는 가로방향을 따라 양측단부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된 연결브래킷(31)이 설치되고, 이 연결브래킷(31)의 양측부에는 각각 가로방향을 따라 연결프레임(32)이 설치되며, 이 연결프레임(32)에는 상부측으로 연결바(11)를 매개로 지지케리어롤러(2)가 연결됨과 동시에 하부측으로 고정바(33)를 매개로 지지리턴롤러(3)가 연결된 연결장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
KR2019970031457U 1997-11-08 1997-11-08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 KR199900182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457U KR19990018225U (ko) 1997-11-08 1997-11-08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1457U KR19990018225U (ko) 1997-11-08 1997-11-08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8225U true KR19990018225U (ko) 1999-06-05

Family

ID=69691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1457U KR19990018225U (ko) 1997-11-08 1997-11-08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822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953B1 (ko) * 2011-11-15 2013-06-27 주식회사 포스코 붐 스태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953B1 (ko) * 2011-11-15 2013-06-27 주식회사 포스코 붐 스태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73861B1 (en) Conveyor system for divergence and convergence
US1931454A (en) Conveying mechanism
NZ201963A (en) Mill roll stand
JP7084016B2 (ja) 物品振分装置
US6732849B2 (en) Sorting system
EP1699717B1 (de) Einheit für behälter-rücknahmeautomaten
KR19990018225U (ko) 벨트컨베이어의 굴곡벨트면 회전롤러 위치조정장치
KR100918696B1 (ko) 가역 벨트 컨베이어의 클리너 조절 장치
US5029691A (en) Chain conveyor and pallet
US4854817A (en) Apparatus for unstacking articles
KR100323060B1 (ko) 컨베어 벨트의 사행방지 안내장치
EP0569073A1 (en) A conveyor
US2004003863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ositioning separately supplied elongate meat products
JPH08104411A (ja) スラットコンベヤにおけるチェーン支持装置
US3757964A (en) Bar unscrambler
KR10075842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운송물 회수장치
KR102036730B1 (ko) 트리퍼 카
KR200184033Y1 (ko) 편적 수정 장치
KR100544431B1 (ko) 언로더 셔틀컨베이어의 스탠드 이동장치
CN214494758U (zh) 一种辊道输送机带链条翻转机构
CN211812128U (zh) 管材上料架
CN213084654U (zh) 一种钢筋上料装置
KR200267270Y1 (ko) 리턴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보정장치
US3606943A (en) Conveyor
KR20090006177U (ko) 체인 콘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