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087A -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 Google Patents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087A
KR20170112087A KR1020160038629A KR20160038629A KR20170112087A KR 20170112087 A KR20170112087 A KR 20170112087A KR 1020160038629 A KR1020160038629 A KR 1020160038629A KR 20160038629 A KR20160038629 A KR 20160038629A KR 20170112087 A KR20170112087 A KR 2017011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unit
movement
sen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8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2087A/ko
Publication of KR2017011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블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LAY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에 의한 케이블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동이 감지되면 케이블을 이송하여 포설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이나 해상에 설치되는 구조물에는 전기 또는 스팀 등을 공급하는 케이블(Cable)들이 설치된다.
특히, 선박과 같은 해양구조물에 설치되는 케이블은 선원들의 이동을 방해하지 말아야 하며, 항해 시에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
선박에 설치되는 케이블은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와 같은 케이블 지지대에 포설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을 케이블 지지대에 포설하는 작업은 작업자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지만 작업자가 직접 수행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는 케이블 포설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0m 이상의 장거리 포설 작업이나 케이블의 길이가 10,000m에서 30,000m에 달하는 포설작업을 수행할 경우 작업자가 포설을 직접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 대신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포설장치는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구조가 간단할 필요가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082838호(공개일: 2015.07.16)
본 발명은 케이블의 이동을 감지하여 케이블을 자동으로 포설할 수 있는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블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의 상기 이송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며,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구동된 상기 이송부를 설정된 시간 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은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여부감지단계 및 상기 이동여부감지단계에서 상기 케이블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이송부를 구동하는 이송부구동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구동단계에서 구동된 상기 이송부를 상기 설정된 시간 후 정지시키는 이송부정지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외력에 의한 케이블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체적으로 작동하여 케이블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포설장치 자체에 케이블을 이송하는 이송부 및 이송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므로 구동을 위한 외부 제어가 필요하지 않아 구조가 간단하며 용이하게 설치 및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케이블 지지대에 포설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블 지지대(50)에 케이블(C)을 포설하기 위한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에 관한 것으로, 외력(F)의 인가에 따른 케이블(C)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케이블(C)을 이송방향(C)으로 이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고,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케이블 포설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하우징(100), 이송부(200), 감지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케이블 지지대(5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에는 이송부(200), 감지부(300) 및 제어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케이블(C)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재(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부재(150)는 하우징(100)의 전후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 될 수 있다.
롤러부재(150)는 이후 감지부(300)에 대한 설명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송부(2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블(C)을 이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송부(200)는 케이블(C)의 저면에 배치되어 케이블(C)을 지지하며, 회전하여 케이블(C)을 이송할 수 있다. 즉, 이송부(200)가 회전함에 따라 케이블(C)이 이송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부(200)의 구동을 케이블(C)의 움직임 여부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데, 케이블(C) 이송이 필요할 경우 케이블(C)에 외력을 인가하여 케이블(C)이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C)에 가해지는 외력은 케이블(C)의 이송방향(X)을 향하는 힘일 수 있다.
감지부(300)는 하우징(100)에 구비되며 이와 같은 케이블(C)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감지부(300)를 통해 앞서 설명한 롤러부재(150)의 회전을 감지하는 방법으로 케이블(C)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롤러부재(150)는 케이블(C)을 지지하고 있으며, 케이블(C)이 움직임에 따라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부재(15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케이블(C)의 이동을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부(300)는 롤러부재(150)의 회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예를 들어 카메라 또는 각속도 센서 등일 수 있다.
제어부(400)는 감지부(300)의 신호에 의하여 이송부(2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감지부(300)를 통해 케이블(C)의 이동이 감지되면, 제어부(400)는 이송부(200)를 구동시켜 케이블(C)이 이송방향(C)으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00)는 구동된 이송부(200)를 설정된 시간 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케이블(C)의 포설이 완료되면 이송부(200)가 멈추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케이블(C)이 과도하게 인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케이블(C)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블 포설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이후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는 케이블(C)이 외력(F)에 의하여 움직임을 감지하여 케이블(C)을 이송방향(X)으로 이송하여 포설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케이블(C)의 이송방향(X)을 기준으로 케이블 지지대(50)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된 3대의 포설장치(1, 2, 3)의 동작을 통해 케이블(C)이 이송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은 이동여부감지단계(S100) 및 이송부구동단계(S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제어장치에 의한 구동이 아닌 포설장치(1, 2, 3) 자체가 케이블(C)의 이동을 감지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케이블(C)의 움직임을 위한 외력(F)을 인가할 수 있다.
우선, 케이블(C)의 포설을 시작하기 위하여 케이블(C)을 제1단 포설장치(1)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어서, 케이블(C)에 외력(F)을 인가할 수 있다.
외력(F)이 인가됨에 따라 케이블(C)이 움직이게 되고, 케이블(C)이 움직이면 하우징(100)의 전후단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롤러부재(150)가 케이블(C)과의 마찰력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롤러부재(150)가 회전하게 되면 이를 감지부(300)에서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감지부(300)에서 전송된 신호를 통해 롤러부재(150)가 회전함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케이블(C)이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여부감지단계(S100)는 케이블(C)에 인가되는 외력(F)에 의한 케이블(C)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송부구동단계(S200)는 이동여부감지단계(S100)에서 케이블(C)의 이동이 감지되면 이송부(200)를 구동할 수 있다.
즉, 감지부(300)를 통해 케이블(C)의 이동이 감지되면 제어부(400)는 감지부(300)의 신호를 확인하여 이송부(200)를 구동하게 된다.
이송부(200)가 구동되어 회전함에 따라 케이블(C)은 이송방향(X)으로 이동하여 제2단에 위치하는 포설장치(2)에 도착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C)은 제1단 포설장치(1)의 구동에 의해 이송방향(C)으로 계속하여 이동하여 제2단 포설장치(2)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C)의 이동에 의하여 제2단 포설장치(2)에 구비된 롤러부재(150)가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단 포설장치(2)는 감지부(300)를 통해 케이블(C)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제2단 포설장치(2)에서 케이블(C)의 이동이 감지되면 이송부(200)를 구동하여 케이블(C)을 계속하여 이송방향(X)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어서, 케이블(C)이 제3단 포설장치(3)에 도착하면 제3단 포설장치(3) 역시 케이블(C)의 이동을 감지하고, 이송부(200)를 구동하여 케이블(C)이 이송방향(X)으로 계속하여 이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C)이 이송되는 과정에 제1단 포설장치(1), 제2단 포설장치(2) 및 제3단 포설장치(3)는 순차적으로 구동하게 되며, 케이블(C)을 이송시켜 포설할 수 있다.
이 때, 제1단 포설장치(1)는 케이블(C)에 가해지는 외력(F)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제2단 포설장치(2)와 제3단 포설장치(3)는 앞단에 위치하는 포설장치의 구동으로 인한 케이블(C)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구동될 수 있다.
케이블(C)의 포설이 완료되면 케이블(C)에 과도한 장력이 작용되지 않도록 이송부(200)를 정지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송부정지단계(S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정지단계(S300)는 이송부구동단계(S200)에서 구동된 이송부(200)를 설정된 시간 후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케이블(C)의 길이 및 케이블(C)이 포설될 거리에 관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케이블(C)이 포설되는데 필요한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포설장치(1, 2, 3)가 케이블 지지대(50)에 설치된 위치에 따라 각각의 포설장치(1, 2, 3)에 구비된 이송부(200)가 케이블(C)의 포설이 완료되기까지 구동을 유지해야 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포설장치(1, 2, 3)가 정지되는 시간에 따라 케이블(C)이 느슨하게 포설되거나 또는 팽팽하게 포설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포설장치(1, 2, 3)가 정지되는 시간을 원하는 케이블(C) 포설상태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보면, 케이블(C)이 이송방향(X)으로 이송되어 제3단 포설장치(3)까지 구동되면 제1단 포설장치(1)의 이송부(200)의 구동을 멈출 수 있다.
이 때, 제1단 포설장치(1)는 멈춰지고, 제2단 포설장치(2)가 계속하여 구동되면 제1단 포설장치(1)와 제2단 포설장치(2) 사이에 포설된 케이블(C)은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다.
이어서, 제2단 포설장치(2)가 구동을 멈추게 되며, 제2단 포설장치(2)와 제3단 포설장치(3) 사이에 포설된 케이블(C)이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다.
이어서, 제3단 포설장치(3)가 구동을 멈추게 되면 케이블(C) 포설이 완료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단 포설장치(1)로부터 제3단 포설장치(3)가 멈추는 시간 간격에 따라 케이블(C)에 작용하는 장력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과도한 장력에 의하여 케이블(C)이 파손되지 않도록 각각의 포설장치(1, 2, 3)가 멈추는 시간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한편, 어느 구간에 대한 포설작업이 완료되어 포설장치(1, 2, 3)가 멈춰있을 경우 케이블(C)은 포설장치(1, 2, 3)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C)을 다른 포설 구간으로 이동시키려면 다시 외력(F)을 인가하여 케이블(C)의 일단을 이송방향(X)으로 견인할 수 있다.
케이블(C)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포설장치(3)는 다시 구동되어 케이블(C)을 이송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포설장치(3) 후단에 위치하는 다른 포설장치(1, 2) 역시 순차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 및 케이블 포설방법은 케이블(C)의 이송이 필요할 경우 멈춰있는 케이블(C)에 외력(F)을 한번만 인가하면 복수 개의 포설장치(1, 2, 3) 중 어느 하나가 먼저 구동되어 나머지 포설장치(1, 2)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포설장치(1,2,3)가 일정시간 이후 자동으로 멈추게 할 수 있어, 외부 제어가 필요하지 않으며 간단하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케이블 지지대 100: 하우징
150: 롤러부재 200: 이송부
300: 감지부 400: 제어부
C: 케이블 1~3: 포설장치
X: 이송방향 R: 회전
S: 정지 F: 외력
S100: 이동여부감지단계 S200: 이송부구동단계
S300: 이송부정지단계

Claims (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며 케이블을 이송하는 이송부;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의 신호에 의하여 상기 이송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케이블을 지지하며, 회전하여 상기 케이블을 이송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블이 이동함에 따라 회전하는 롤러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부는 상기 롤러부재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센서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구동된 상기 이송부를 설정된 시간 후 정지시키는 케이블 포설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에 따른 케이블 포설장치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에 인가되는 외력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동여부감지단계; 및
    상기 이동여부감지단계에서 상기 케이블의 이동이 감지되면 상기 이송부를 구동하는 이송부구동단계;를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구동단계에서 구동된 상기 이송부를 상기 설정된 시간 후 정지시키는 이송부정지단계;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포설방법.
KR1020160038629A 2016-03-30 2016-03-30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KR20170112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629A KR20170112087A (ko) 2016-03-30 2016-03-30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629A KR20170112087A (ko) 2016-03-30 2016-03-30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087A true KR20170112087A (ko) 2017-10-12

Family

ID=60141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629A KR20170112087A (ko) 2016-03-30 2016-03-30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208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500B1 (ko) * 2018-09-17 2019-05-27 정외숙 케이블의 식별이 가능한 케이블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절단방법
KR101982499B1 (ko) * 2018-09-17 2019-05-27 정외숙 케이블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절단방법
KR102112280B1 (ko) * 2020-02-06 2020-05-19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전선 트레이
KR20210143472A (ko) * 2020-05-20 2021-11-29 전태훈 전력 케이블용 송출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500B1 (ko) * 2018-09-17 2019-05-27 정외숙 케이블의 식별이 가능한 케이블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절단방법
KR101982499B1 (ko) * 2018-09-17 2019-05-27 정외숙 케이블 절단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절단방법
KR102112280B1 (ko) * 2020-02-06 2020-05-19 주식회사 지화기술단 건축물의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전선 트레이
KR20210143472A (ko) * 2020-05-20 2021-11-29 전태훈 전력 케이블용 송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2087A (ko) 케이블 포설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포설방법
JP2019529227A (ja) 水中車両の浮揚力制御のための再使用可能な浮揚力モジュール
US8649901B2 (en) Transfer apparatus for workpiece carriers
JP5426599B2 (ja) 海底鉱物資源採鉱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80094608A (ko) 수상선 기반의 수중로봇 시스템
JP6892342B2 (ja) 荷下ろし方法、及び、荷下ろし装置
KR101784980B1 (ko) 케이블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KR101735323B1 (ko) 선체청소로봇용 케이블 감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피딩 장치
KR20110019068A (ko) 케이블 포설장치
US8306471B2 (en) Image-forming device with a retreat unit and image-forming method employing a retreat unit
KR20160029886A (ko) 수중청소로봇용 케이블 감지 및 제어를 위한 승강장치
KR101086385B1 (ko) 케이블 포설시스템
US823880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JP2008308282A (ja) 搬送装置
CN107750316B (zh) 用于两侧电缆布设的灵活电缆输送系统
KR101505641B1 (ko) 거리센서를 이용한 전선포설로봇 동기화 장치 및 방법
NL2004877C2 (en) Method for laying a pipeline offshore using an s-lay system provided with a stinger having a plurality of roller boxes.
JP6756257B2 (ja) 用紙搬送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KR20110064159A (ko) 와이어 구동시스템 및 그것의 제어방법
US20230358337A1 (en) Machine, system and method to apply at least one cable to a pipeline
KR20140107033A (ko) 선회식 추진기 이송장치
JP2007188997A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位置検出方法
KR101245756B1 (ko) 와이어를 이용한 이송 시스템용 도르래 장치 및 그의 와이어 초기 위치 셋팅 방법
KR20150000258U (ko) 선박에서의 케이블 포설 장치
KR20210023097A (ko) 마킹 및 절단을 위한 형강 컨베이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