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7099B1 -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7099B1
KR101597099B1 KR1020150146566A KR20150146566A KR101597099B1 KR 101597099 B1 KR101597099 B1 KR 101597099B1 KR 1020150146566 A KR1020150146566 A KR 1020150146566A KR 20150146566 A KR20150146566 A KR 20150146566A KR 101597099 B1 KR101597099 B1 KR 101597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old
molding
tape
m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6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재권
Original Assignee
최재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재권 filed Critical 최재권
Priority to KR1020150146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7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13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made by moulding between two mould parts which are not in direct contact with one another, e.g. comprising a seal between or on the e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은 성형되는 렌즈의 일측면을 성형시키는 일측 몰드와, 성형되는 렌즈의 타측면을 성형시키는 타측 몰드의 사이에 렌즈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를 이격 배치시키는 몰드 배치단계; 몰드 배치단계를 통해 이격 배치된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의 이격된 사이를 연결하고, 렌즈 성형공간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의 이격된 외주면을 테이프로 테이핑하는 테이프 테이핑단계; 테이프 테이핑단계를 통해 테이핑 된 테이프 상에 렌즈 성형공간과 연결되는 게이트를 형성시키는 게이트 형성단계; 게이트 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게이트에 노즐을 삽입하여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 성형액을 성형공간 상에 주입하는 렌즈 성형액 주입단계; 성형액 주입단계를 통해 주입된 성형액을 설정시간 경화시키면서 렌즈가 성형되는 렌즈 성형단계; 렌즈 성형단계를 통해 렌즈가 성형되면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를 분리시키는 몰드 분리단계; 및 몰드 분리단계를 통해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가 분리되면 성형된 렌즈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렌즈 인출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ASSESSMENT OF VISUAL ACUITY LENS MOLDING METHOD}
본 발명은 렌즈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안과나 안경점 등에서 시력검사에 사용되는 다양한 렌즈를 성형하는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과나 안경점에서는 여러 형태의 검안장비를 통해 시력검사(assessment of visual acuity)가 진행되고 있으며, 주로 사용되는 검안장비로는 포롭터(phoropter)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포롭터(phoropter)는 복수의 표준렌즈들을 통해 검사자의 시력과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 사시(strabismus), 난시(astigmatism), 근시(myopia), 및 각막 곡률(ophthalmometer) 등을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포롭터(phoropter)는 통상 6장의 조정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조정판에는 여러 종류의 표준렌즈들이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며, 시력검사 시에 조정판을 손으로 회전시키는 형태로 표준렌즈를 교체하면서 시력검사가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보다 정밀한 시력검사와 조정판의 회전에 따른 편의성이 제공되도록 내부에 조정판을 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모터가 설치된 포롭터(phoropter)가 점차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포롭터(phoropter)의 조정판에 설치되는 표준렌즈는 주로 유리재(glass)로 이루어지는 렌즈가 사용되는 것으로, 재질의 특성상 불량발생률이 높고,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유리재의 렌즈는 충격에 약함에 따라 보관 및 운반 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이로 인해 보관 및 운반에 따른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유리재의 렌즈는 사용되는 원료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원료비가 고가이며, 성형 후에 시행되는 가공 공정에 있어서도 고난이도의 가공이 요구되는 단점이 내재되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77120호(2005.03.08)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외부 충격에 강하며,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대량생산을 통해 제작원가가 절감되도록 된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은 성형되는 렌즈의 일측면을 성형시키는 일측 몰드와, 성형되는 렌즈의 타측면을 성형시키는 타측 몰드의 사이에 렌즈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를 이격 배치시키는 몰드 배치단계; 상기 몰드 배치단계를 통해 이격 배치된 상기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의 이격된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렌즈 성형공간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상기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의 이격된 외주면을 테이프로 테이핑하는 테이프 테이핑단계; 상기 테이프 테이핑단계를 통해 테이핑 된 상기 테이프 상에 상기 렌즈 성형공간과 연결되는 게이트를 형성시키는 게이트 형성단계; 상기 게이트 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게이트에 노즐을 삽입하여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 성형액을 상기 성형공간 상에 주입하는 렌즈 성형액 주입단계; 상기 성형액 주입단계를 통해 주입된 성형액을 설정시간 경화시키면서 상기 렌즈가 성형되는 렌즈 성형단계; 상기 렌즈 성형단계를 통해 상기 렌즈가 성형되면 상기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를 분리시키는 몰드 분리단계; 및 상기 몰드 분리단계를 통해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가 분리되면 성형된 렌즈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렌즈 인출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성형액은 하기 (A)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B) 말단 반응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보호수지가 중량비 100 : 1 내지 5의 비율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A) 67 내지 95 몰%의 하기 화학식 1의 단위 및 33 내지 5 몰%의 하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고, 비점도가 0.12 내지 0.30인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하기 화학식 2에서 Y는 페닐렌기 또는 나프탈렌디일기)
[화학식 1]
Figure 112015124435784-pat00008

[화학식 2]
Figure 112015124435784-pat00009
.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몰드 배치단계는 상기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몰드 이격거리 조절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몰드 이격거리 조절단계는 상기 렌즈 성형단계에서 성형되는 렌즈의 두께를 설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테이핑단계에서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몰드 및 타측 몰드의 외주면에 1회 이상 반복적으로 적층되게 테이핑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렌즈 성형단계에서 성형되는 렌즈는 오목렌즈 또는 볼록렌즈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렌즈 성형단계에서 성형되는 렌즈는 포롭터(phoropter)에 설치되어 시력검사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에 있어서, 상기 몰드 분리단계는 상기 테이핑 단계를 통해 테이핑 된 테이프를 제거하는 테이프 제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렌즈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유리재의 렌즈에 비해 외부 충격에 강하며,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몰드를 통해 렌즈가 성형됨에 따라 대량생산이 용이하고, 제작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에 의한 제조과정을 보이는 과정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에 의해 성형된 렌즈의 설치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단,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은 시력검사 장비에 복수로 설치되어 시력검사를 수행하는 렌즈에 관한 것으로, 외부 충격에 강하며,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고, 대량생산을 통해 제작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에 의한 제조과정을 보이는 과정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은 몰드 배치단계(S1), 테이프 테이핑단계(S2), 게이트 형성단계(S3), 성형액 주입단계(S4), 렌즈 성형단계(S5), 몰드 분리단계(S6), 및 렌즈 인출단계(S7)를 포함한다.
상기 몰드 배치단계(S1)는 성형되는 렌즈(L)의 일측면을 성형시키는 일측 몰드(1)와, 성형되는 렌즈(L)의 타측면을 성형시키는 타측 몰드(2)의 사이에 렌즈 성형공간(LS)이 형성되도록 일측 몰드(1)와 타측 몰드(2)를 상호 마주하면서 이격되게 배치시키는 단계이다.(도 2의 (a)참조)
이때, 상기 일측 몰드(1) 및 타측 몰드(2)에는 각각 성형되는 렌즈(L)의 일측과 타측면을 성형시키는 일측 성형면(1a)과 타측 성형면(2a)이 각각 형성되어 성형되는 렌즈(L)의 형태가 결정된다.
즉, 상기 일측 성형면(1a)과 타측 성형면(2a)은 형성되는 형상에 따라 성형되는 렌즈(L)의 형태를 오목렌즈 또는 볼록렌즈 중, 어느 하나로 성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몰드 배치단계(S1)에서 제공되는 일측 몰드(1)와 타측 몰드(2)는 성형면(1a,2a)의 모양에 따라 모든 형태의 렌즈(L)들을 성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몰드 배치단계는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몰드 이격거리 조절단계(S1a)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몰드 이격거리 조절단계(S1a)는 성형되는 렌즈(L)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 성형단계(S5)에서 성형되는 렌즈(L)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일측 몰드(1)와 타측 몰드(2)의 이격거리가 클 경우, 두꺼운 두께를 갖는 렌즈(L)가 성형될 수 있으며, 일측 몰드(1)와 타측 몰드(2)의 이격거리가 작을 경우,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는 렌즈(L)가 성형될 수 있다.
상기 테이프 테이핑단계(S2)는 상기 몰드 배치단계(S1)를 통해 이격 배치된 일측 몰드(1)와 타측 몰드(2)의 이격된 사이를 테이프(3)로 테이핑하여 연결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테이프(3)는 일측 몰드(1)와 타측 몰드(2) 사이에 형성되는 렌즈 성형공간(LS)을 외부와 차폐시킨다.(도 2의 (b)참조)
이러한 테이프(3)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일측 몰드(1) 및 타측 몰드(2)의 외주면에 1회 이상 반복적으로 적층되게 테이핑되어 렌즈 성형공간(LS)을 외부와 차폐시킬 수 있다.
상기 게이트 형성단계(S3)는 상기 테이프 테이핑단계(S2)를 통해 테이핑 된 테이프(3) 상에 렌즈 성형공간(LS)과 연결되는 게이트(4)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도 2의 (c)참조)
이때, 상기 게이트(4)는 드릴 또는 펀치 등을 이용해 테이프(3)를 천공시키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액 주입단계(S4)는 상기 게이트 형성단계(S3)를 통해 형성된 게이트(4)에 노즐(5)을 삽입하여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 성형액(6)을 성형공간(LS) 상에 주입하는 단계이다.(도 2의 (d)참조)
이때, 상기 성형액 주입단계(S4)는 작업자가 노즐(5)을 게이트(4)에 삽입시킨 후, 노즐(5)을 on/off 작동시키면서 별도의 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렌즈 성형액(6)이 성형공간(LS) 상에 주입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성형단계(S5)는 상기 성형액 주입단계(S4)를 통해 주입된 렌즈 성형액(6)을 설정시간 경화시키면서 렌즈(L)가 성형되는 단계이다.(도 2의 (e)참조)
이때, 상기 설정시간은 주입되는 렌즈 성형액(6)의 종류에 따라 그 시간이 달라지는 것이며, 특정한 시간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몰드 분리단계(S6)는 상기 렌즈 성형단계(S5)를 통해 렌즈(L)가 성형되면 일측 몰드(1)와 타측 몰드(2)를 상호 분리시키는 단계이다.(도 2의 (f)참조)
이때, 상기 몰드 분리단계(S6)는 테이프 테이핑 단계(S2)를 통해 테이핑 된 테이프(3)를 제거하는 테이프 제거단계(S6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인출단계(S7)는 상기 몰드 분리단계(S6)를 통해 일측 몰드(1)와 타측 몰드(2)가 분리되면 성형된 렌즈(L)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단계이다.(도 2의 (g)참조)
이때, 상기 렌즈 인출단계(S7)를 통해 인출된 렌즈(L)는 별도의 표면 및 테두리 가공공정을 등을 통해 가공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에 의해 성형된 렌즈의 설치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술한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렌즈 성형방법을 통해 성형되는 렌즈(L)는 통상 6장의 조정판(7)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각 조정판(7)에는 여러 종류의 렌즈(L)가 동일 원주상에 배치되며, 조정판(7)을 회전시키는 형태로 렌즈(L)를 교체하면서 시력검사가 이루어지는 포롭터(phoropter)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포롭터(phoropter)는 당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의 시력검사장비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에 의하면, 렌즈(L)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사용되는 유리재의 렌즈에 비해 외부 충격에 강하며,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특히, 렌즈(L)의 대량생산을 통해 제작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액은 하기 (A)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B) 말단 반응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보호수지가 중량비 100 : 1 내지 5의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A) 67 내지 95 몰%의 하기 화학식 1의 단위 및 33 내지 5 몰%의 하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고, 비점도가 0.12 내지 0.30인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하기 화학식 2에서 Y는 페닐렌기 또는 나프탈렌디일기)
Figure 112015102081451-pat00001
Figure 112015102081451-pat00002
이러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렌즈 성형단계(S5)를 거쳐, 몰드 분리단계(S6)이나 테이프 제거단계(S6a) 및 렌즈 인출단계(S7)에서 불량이 거의 나지 않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다만, 위와 같은 혼합액을 사용하더라도 비점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거나, 또는 혼합 중량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불량률 저감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결과도 확인하였다.
이하에서 실시예 등을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며, 다만 이하에 실시예 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와 내용이 축소되거나 제한되어 해석될 수 없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를 포함한 본 발명의 개시 내용에 기초한다면, 구체적으로 실험 결과가 제시되지 않은 본 발명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또한 이하에서 제시되는 실험 결과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대표적인 실험 결과만을 기재한 것이며, 아래에서 명시적으로 제시하지 않은 본 발명의 여러 구현예의 각각의 효과는 해당 부분에서 구체적으로 기재하도록 한다.
실시예
제조예: 렌즈 제조용 고분자 합성
9,9-비스(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BPEF) 157.86 중량부,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성분(NDCM) 9.77 중량부, 디페닐카보네이트(DPC) 71.98 중량부, 수산화나트륨 8 ㅧ 10-6 중량부 및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3.65 ㅧ 10-3 중량부를 교반기 및 유출 장치가 장착된 반응 가마에 넣고, 질소 분위기 760 Torr 하에서 180 ℃ 로 가열하고, 20 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20 분에 걸쳐 감압도를 20 ㎪ 로 조정하고, 60 ℃/hr 의 속도로 250 ℃ 까지 승온시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그 후, 250 ℃ 로 유지한 채, 60 분에 걸쳐 1 Torr 이하까지 감압하고, 250 ℃, 1 Torr 이하의 조건 하에서 1 시간 교반하여 중합 반응을 실시하였다.
반응 종료 후, 반응기 내에 질소를 분사하고, 가압으로 한 후, 도데실벤젠술폰산테트라부틸포스포늄을 1.54 ㅧ10-4 중량부 첨가하여 촉매를 실활시켰다. 그 후, 생성된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펠러타이즈하면서 발출하였다. 그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BPEF 와 NDCM 의 몰비가 90 : 10 이고, 비점도는0.193, Tg 는 151 ℃, 용융 점도는 90 ㎩·s이었다.
제조된 폴리머를 120 ℃ 에서 4 시간 진공 건조시킨 후, 비스(2,4-디쿠밀페닐)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0.050%,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스테아레이트를 0.10% 첨가하고, 벤트가 형성된 φ30 ㎜ 단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렛화하였다.
그 외에 구체적인 제조공정 상의 조건 등에 대해서는 등록특허 제10-1207829호를 참조하였다.
실시예: 렌즈 성형액 제조
스미토모 중기계 (주) 제조의 SE30DU 사출 성형기에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펠렛과 말단 반응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보호수지(Silaplane FM-0711, Chisso Corp. 제조)를 중량비 100 : 3의 비율로 투입하여, 실린더 온도 280 ℃, 금형 온도 100 ℃에서 혼합하여 성형액을 제조하고 나서, 상기 S4 단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성형공간에 투입하여, 최종 렌즈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되는 렌즈는 상기 렌즈 성형단계(S5)를 거쳐, 몰드 분리단계(S6)이나 테이프 제거단계(S6a) 및 렌즈 인출단계(S7)에서 불량이 거의 나지 않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 렌즈 성형액 제조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한 펠렛만을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게 렌즈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제조되는 렌즈는 열적특성(Tg)이나 용융점도와 같은 열적 물성과 굴절률(nd), 아베수(ν), 분광 투과율(365 nm), 광학 변형과 같은 광학적 물성은 우수하나, 다만 렌즈 성형단계(S5)를 거쳐, 몰드 분리단계(S6)이나 테이프 제거단계(S6a) 및 렌즈 인출단계(S7)에서 불량률이 위 실시예에 비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L: 렌즈 1: 일측 몰드
2: 타측 몰드 LS: 렌즈 성형공간
1a: 일측 성형면 2a: 타측 성형면
3: 테이프 4: 게이트
5: 노즐 6: 렌즈 성형액
7: 조정판

Claims (8)

  1. 성형되는 렌즈의 일측면을 성형시키는 일측 몰드와, 성형되는 렌즈의 타측면을 성형시키는 타측 몰드의 사이에 렌즈 성형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를 이격 배치시키는 몰드 배치단계;
    상기 몰드 배치단계를 통해 이격 배치된 상기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의 이격된 사이를 연결하고, 상기 렌즈 성형공간이 외부와 차폐되도록 상기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의 이격된 외주면을 테이프로 테이핑하는 테이프 테이핑단계;
    상기 테이프 테이핑단계를 통해 테이핑 된 상기 테이프 상에 상기 렌즈 성형공간과 연결되는 게이트를 형성시키는 게이트 형성단계;
    상기 게이트 형성단계를 통해 형성된 게이트에 노즐을 삽입하여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렌즈 성형액을 상기 성형공간 상에 주입하는 렌즈 성형액 주입단계;
    상기 성형액 주입단계를 통해 주입된 성형액을 설정시간 경화시키면서 상기 렌즈가 성형되는 렌즈 성형단계;
    상기 렌즈 성형단계를 통해 상기 렌즈가 성형되면 상기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를 분리시키는 몰드 분리단계; 및
    상기 몰드 분리단계를 통해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가 분리되면 성형된 렌즈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렌즈 인출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성형액은 하기 (A)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와 (B) 말단 반응성 폴리실록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보호수지가 중량비 100 : 1 내지 5의 비율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A) 67 내지 95 몰%의 하기 화학식 1의 단위 및 33 내지 5 몰%의 하기 화학식 2의 단위를 포함하고, 비점도가 0.12 내지 0.30인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공중합체(하기 화학식 2에서 Y는 페닐렌기 또는 나프탈렌디일기)
    [화학식 1]
    Figure 112015124435784-pat00010

    [화학식 2]
    Figure 112015124435784-pat00011
    .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배치단계는
    상기 일측 몰드와 타측 몰드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몰드 이격거리 조절단계; 가 포함되는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이격거리 조절단계는
    상기 렌즈 성형단계에서 성형되는 렌즈의 두께를 설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테이핑단계에서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몰드 및 타측 몰드의 외주면에 1회 이상 반복적으로 적층되게 테이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성형단계에서 성형되는 렌즈는
    오목렌즈 또는 볼록렌즈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성형단계에서 성형되는 렌즈는
    포롭터(phoropter)에 설치되어 시력검사용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몰드 분리단계는
    상기 테이핑 단계를 통해 테이핑 된 테이프를 제거하는 테이프 제거단계; 를 포함하는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8. 삭제
KR1020150146566A 2015-10-21 2015-10-21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KR101597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566A KR101597099B1 (ko) 2015-10-21 2015-10-21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6566A KR101597099B1 (ko) 2015-10-21 2015-10-21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7099B1 true KR101597099B1 (ko) 2016-02-24

Family

ID=5544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6566A KR101597099B1 (ko) 2015-10-21 2015-10-21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709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120B1 (ko) 1996-12-17 2005-08-04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제검안렌즈및그사출성형품,및성형용금형장치
KR20060130066A (ko) * 2003-11-14 2006-12-18 오프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안경 제조 방법
KR20070077088A (ko) * 2006-01-20 2007-07-2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성형용 몰드의 성형 방법 및 그 성형 장치, 플라스틱렌즈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7120B1 (ko) 1996-12-17 2005-08-04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스틱제검안렌즈및그사출성형품,및성형용금형장치
KR20060130066A (ko) * 2003-11-14 2006-12-18 오프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안경 제조 방법
KR20070077088A (ko) * 2006-01-20 2007-07-25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성형용 몰드의 성형 방법 및 그 성형 장치, 플라스틱렌즈의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38932B (zh) 相位差薄膜、使用其之圓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EP2034337B1 (en) Optical lens
TWI746421B (zh) 相位差薄膜、圓偏光板及影像顯示裝置
KR102306920B1 (ko) 위상차 필름, 원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TW201202297A (en) Polycarbonate resin and transparency film containing the same
KR20160145582A (ko) 위상차 필름, 원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20035980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성형품 및 광학 필름
JP2014234429A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19176874A1 (ja) ポリエステル樹脂またはポリエステルカーボネート樹脂、および該樹脂を用いた光学部材
TW201602162A (zh) 聚碳酸酯樹脂及光學薄膜
JP2010132782A (ja) ポリカーボネート共重合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101597099B1 (ko) 시력검사용 렌즈 성형방법
KR102278717B1 (ko) 중축합계 수지 및 그것으로 이루어지는 광학 필름
JP2014234430A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454570B1 (ko) 장척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EP3508512B1 (en) Method for preparing polycarbonate
WO2008023715A1 (fr) Lentille en plastique
JP3651698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JP2005031610A (ja) 偏光板
JP6089747B2 (ja) 光学材料用重合性組成物
JP5652153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それ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位相差フィルムおよび偏光板
JP4577814B2 (ja) 防眩性製品
KR101714834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JP2015183086A (ja) 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の製造方法
JP3629379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製造用ガスケ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プラスチックレンズ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