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969B1 -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969B1
KR101594969B1 KR1020130157626A KR20130157626A KR101594969B1 KR 101594969 B1 KR101594969 B1 KR 101594969B1 KR 1020130157626 A KR1020130157626 A KR 1020130157626A KR 20130157626 A KR20130157626 A KR 20130157626A KR 101594969 B1 KR101594969 B1 KR 10159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resveratrol
present
chromosome
synthetic g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7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8492A (ko
Inventor
백소현
신운철
모영준
김보경
홍성출
김선여
권순종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ublication of KR201400884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84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5/00Angiosperms, i.e. flowering plants, characterised by their plant parts; Angiosperms characterised otherwise than by their botanic taxonom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42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C12N15/8243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involving biosynthetic or metabolic pathways, i.e. metabolic engineering, e.g. nicotine, caffe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00Processes for modifying genotypes ; Plants characterised by associated natural traits
    • A01H1/06Processes for producing mutations, e.g. treatment with chemicals or with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9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 C12N15/82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ukaryotic hosts for plant cells, e.g. plant artificial chromosomes (PACs)
    • C12N15/8241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 C12N15/8242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 C12N15/8257Phenotypically and genetically modified plants via recombinant DNA technology with non-agronomic quality (output) traits, e.g. for industrial processing; Value added, non-agronomic traits for the production of primary gene products, e.g. pharmaceutical products, interfer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0Transferases (2.)
    • C12N9/1025Acyltransferases (2.3)
    • C12N9/1029Acyltransferases (2.3) transferring groups other than amino-acyl groups (2.3.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203/00Acyltransferases (2.3)
    • C12Y203/01Acyltransferases (2.3) transferring groups other than amino-acyl groups (2.3.1)
    • C12Y203/01095Trihydroxystilbene synthase (2.3.1.9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Cell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Botan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resveratrol synthase)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 및 이로부터 생산되는 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resveratrol synthase)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동물 사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성효소를 삽입한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 함유하는 벼로부터 생산되는 쌀은 단순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섭취하였을 때보다 월등히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별도의 레스베라트롤을 분리·추출하는 과정없이 바로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쌀이라는 형태로 생산됨에 따라 대사성 질환 기능성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사료 및 의약품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 및 이의 용도{Resveratrol synthetic rice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resveratrol synthase)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 및 이로부터 생산되는 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resveratrol synthase)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동물 사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경제 성장과 식생활의 서구화로 인하여 음식물에서 얻는 지방분의 섭취양이 증가하였으며, 운동부족 등으로 인한 비만, 당뇨병,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및 동맥 경화증과 같은 대사성 질환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비만은 일반적으로 과다한 체지방을 가진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체지방이 전체 체중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남자의 경우 25%, 여자의 경우 30% 이상일 때를 비만으로 보고 있다. 비만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많은 성인병을 유발하는 직접 또는 간접적인 원인임이 알려져 있다.
당뇨병은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DeFronzo, 1988), 혈중 포도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를 일으키고 소변에서 포도당을 배출하게 되는 질환이다. 최근 비만율, 특히 복부 비만의 증가로 인하여 당뇨의 발생률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대사성 질환들이 적절한 치료가 되지 않으면, 신체에서 여러 병적 증상이 수반되는데, 대표적인 것이 신기능장애, 신경병증, 혈관 장애로 인한 뇌졸중, 신장, 심장 질환이나 당뇨성 족부 궤양, 그리고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이런 합병증들은 삶의 질을 감소시키며,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수명을 단축시킨다. 현재 대사성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는 생활습관 교정(식이요법, 운동 요법) 및 약물 요법 등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식이 요법이나 운동 요법은 엄격한 관리 및 실시가 곤란하며, 그 치료 효과에 있어서도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실생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대사성 질환 치료용 식품 등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한편,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유전자 (resveratrol synthase, RS)의 산물인 레스베라트롤은 UV, 병원균, 상처 등의 외부자극에 의한 환경적 스트레스로 인해 생겨나는 일종의 방어물질 중 하나인 파이토알렉신(Dercks and Creasy, 1989)의 산물로, 1분자의 coumaroyl-CoA와 3분자의 malonyl-CoA를 이용하여 resveratrol synthase(RS)의 촉매작용에 의해 생합성된다(Rolfs and Kindl, 1984; Halton and Cornish, 1995).
레스베라트롤은 포도, 오디, 땅콩, 백합 등 약 72종 이상의 식물에서 발견되지만, 벼, 옥수수, 밀 등 대부분의 주곡작물과 과채류에서는 전혀 생합성 되지 않는다(Aggarwal et al., 2004).
또한, 레스베라트롤은 상기의 약리활성 효과 외에도 수명연장 관련 단백질인 sir2를 활성화시키는 물질로 알려졌다. sir2 단백질은 저칼로리 조건에서 NAD+에 의하여 활성화되어 세포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수명연장 관련 단백질 중 하나인데, Konrad 등 (2003)의 보고에 의하면 sir2 단백질은 칼로리를 제한하였을 때에만 NAD+ 에 의하여 유일하게 활성화되는데, 레스베라트롤을 첨가한 조건에서도 저칼로리 조건과 유사하게 sir2 단백질이 활성화되어, 효모를 이용한 실험에서 레스베라트롤을 첨가하였을 때 효모의 수명이 평균 70%가 증가하였다는 실험결과를 발표하였다.
이러한 생리활성을 갖는 레스베라트롤은 72종 이상의 식물체에서 합성되며, 소나무 등 목본류에서는 항상 생산되지만, 초본류에서는 피토알렉신 활성에 의해 상처, 오존에 의한 손상, UV, 병해충 감염 등 외부 스트레스에 의한 자기방어 물질로 생합성 되며, 레스베라트롤의 생합성이 가장 우수한 식물은 포도와 땅콩이다 (Schroder 등, 1990).
적포도주에는 레스베라트롤이 함유되어 있어 '프렌치 패러독스' (French Paradox)라 하여 적포도주의 섭취와 심혈관질환의 발병률은 부의 상관관계가 있다 (Wu 등, 2001)는 보고는 적포도주가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끌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에 따라,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 인위적으로 증진시키기 위하여 재배시 포도에 인위적으로 균주를 접종하거나, 수확 후 포도와 땅콩 종자에 초음파 세척 처리나, UV 조사 등을 통하여 레스베라트롤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포도와 땅콩으로부터 분리한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를 생명공학기법을 이용하여 삽입시킴으로써,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작물을 개발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포도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를 이용한 형질전환 키위 식물체 잎에서 182㎍/g의 피세이드(레스베라트롤 배당체)가 생산되었으며 (Kobayashi 등, 2000), 땅콩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를 이용한 형질전환 담배의 현탁배양 세포에서 50ng/g의 레스베라트롤이 생산되었음을 보고하였다 (Hain 등, 1990).
P. Stark-Lorenzen 등은 포도에서 유래한 스틸빈(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를 벼에 삽입하여 도열병에 저항성이 있음을 보고하였다(Plant Cell Reports(1997) 16;668-673).
또한, 본 발명자들은 기존에 땅콩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를 벼에 삽입하여 생산한 쌀에 대하여 개시한 바 있다(한국 공개 출원:10-2008-0012483). 그러나, 이에는 레스베라트롤이 함유된 것을 확인했을 뿐 이를 통해 대사성 질환의 개선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지는 못하였다.
상기와 같은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땅콩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를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삽입하여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 형질전환 벼를 개발하고, 해당 벼로부터 생산해낸 쌀을 섭취하였을 때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섭취하였을 때보다도 월등한 대사성 질환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resveratrol synthase)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resveratrol synthase)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벼"는 세계 인구의 반 이상의 주식량 자원으로, 특히 아시아에서 식용 작물로써 재배되는 작물이다. 벼속 식물 가운데에서도 곡물로 재배되는 것을 의미하며, 벼속에는 20 내지 30종의 야생종이 있지만, 이중 재배종은 Oryza sativa와 Oryza glabemima 두 종 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벼는 천연형 벼 또는 형질전환된 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우리나라에서 개발되어 보급된 보급종인 동진벼 또는 동진벼의 형질전환 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형질전환"은 DNA 염기서열 상의 삽입, 결실 또는 대체 등의 변이를 통해 특정 형질이 발생하거나 사라지거나 조절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외부로부터 주어진 DNA에 의하여 생물의 유전적인 성질이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형질전환 벼"는 형질전환으로 제조된 천연형 벼에 비하여 DNA 염기서열 상의 변이가 발생한 벼를 의미하며,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특정 유전자의 삽입, 변형 또는 활성의 변이가 유발되어 생성된 유전자 재조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어, "레스베라트롤"은 식물이 곰팡이나 해충같은 안좋은 환경에 처했을 때 만들어지는 강한 항산화성을 가지는 폴리페놀계 물질로서, 포도껍질, 포도씨, 땅콩 등에 과량 함유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레스베라트롤이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이제까지 항암, 항바이러스, 신경보호, 항노화, 항염, 수명 연장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레스베라트롤은 시스 형태(cis)와 트랜스 형태(trans)가 있는데 트랜스 레스베라트롤만이 약효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발명의 용어,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는 레스베라트롤을 합성하는 기능을 가지는 효소를 암호화하는 유전자(핵산 서열)를 의미한다. 최종적으로 레스베라트롤을 합성하는 기능을 갖는 모든 효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질은 불문한다. 본 발명에서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는 바람직하게는 땅콩 유래일 수 있으며, 서열번호 1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는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삽입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2번째 염색체에 2 카피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연속으로 발현가능하게 삽입된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상기 2 카피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삽입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는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존재하는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 영역에 삽입된 것일 수 있으며, 특히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존재하는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 영역에서 서열번호 7의 572번째 염기의 뒤에 삽입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는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천연형 동진벼의 12번째 염색체에 존재하는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 영역에 삽입된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서열번호 7의 572번째 염기 뒤에 삽입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 서열번호 7에 해당하는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삽입되는 영역은 벼의 염색체에 자연적으로 또는 인위적으로 일어나는 각종 변이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삽입되는 영역은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이상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과 80 %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90 % 이상의 상동성,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 이상의 상동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는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효과를 유지하는 한, 본 발명의 벼를 이용한 특정 육종 환경을 위한 특성, 특정한 발현형의 부가, 또는 제거 등을 위한 변이종, 교배종 뿐 아니라, 육종 연구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각종 돌연변이 유도 방법들에 의해서 변이된 무작위 돌연변이종 또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돌연변이 유도 방법이란 전자기파, 소립자, X-선(X-ray), 감마선(γ-radiation), 알파선, 베타선, 자외선 등의 방사선 계열; 삽입성 물질(intercalating agent; acridine orange, proflavin, acriflavin 등), 염기유사물(base analogue; 5'-bromouracil, 2'-aminopurine 등), DNA 변형 물질(DNA modifuing agent; Nitrous acid, Hydroxylamine(NH2OH), alkylating agent(MMS, EMS, sodium azide) 등) 등의 화학적 돌연변이 유도 계열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벼는 수탁번호 KCTC12529BP인 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벼는 바람직하게는 완숙시 약 2.3 내지 5 ㎍/g(현미) 또는 약 1.8 내지 4.1 ㎍/g(백미)의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피세이드"는 레스베라트롤의 배당체로서, 한방약으로 쓰이는 호장근(Polygonum cuspidatum root)의 주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벼는 바람직하게는 완숙시 1.0 내지 6.5 ㎍/g(백미)의 피세이드를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팔광 땅콩에서 유래한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를 분리하여 벼에 삽입하였으며, 해당 유전자의 서열은 서열번호 1과 같았다. 본 발명에서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것으로 확인된 형질전환 벼 종자의 경우에는 해당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삽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벼(Oriza sativa) 12번째 염색체의 동일 위치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2개의 T-DNA가 삽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T-DNA가 삽입된 위치의 주변 서열을 서열분석이 완료된 Oryza sativa japonica(자포니카) 벼인 니폰바레(Nipponbare)의 NCBI에 개시된 서열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330872번 염기 위치에서 1번째 T-DNA가 삽입 시작되고, 곧이어 역방향으로 2번째 T-DNA가 삽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삽입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가 기존 형질전환 벼보다 월등한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능을 가질 수 있었다. 상기 형질전환 벼 종자를 Resveratrol-enriched rice로 명명하여 2013년 12월 5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생물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CTC12529BP로 기탁하였다.
다만, 본 발명에서 분석한 염기 위치는 몇 십만개 또는 몇 백만개의 염기를 분석하는 염색체 분석 과정에서 의례 일어나는 오차 또는 오류에 따라 일정 수준 변동될 수 있으며, 분석 방법에 따라 다르게 분석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질적인 변이 위치에 변경이 아닌 분석 방법의 오차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본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 삽입 염기 위치는 추후 분석방법의 발전 또는 염기서열 분석 상의 변화 등에 의하여 다르게 분석될 수 있으나, 이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생물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CTC12529BP로 기탁된 본 발명의 종자에 준하여 재분석 또는 해석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제조한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는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동진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존재하는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 영역에 삽입된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동진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존재하는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 영역에서 서열번호 7의 572번째 염기의 뒤에 삽입된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유전자 삽입 위치를 NCBI blast상 분석해본 결과, 본 발명의 동진벼와 같은 계열인 Oryza sativa japonica 벼의 염기서열을 분석한 NCBI Accession No. NC_008405의 12번째 염색체 내인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구체적으로는 상기 NC_008405의 330872번째 염기 위치에 삽입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생장이나 교배 등의 과정에서 생기는 변이 등에 따라 상기 염기 위치에 해당하는 번호는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본질적으로 삽입되는 위치가 동등하다고 할 수 있는 이상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의 현미 종자에 포함된 레스베라트롤과 피세이드를 분석한 결과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 및 피세이드를 함유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백미를 기준으로 레스베라트롤은 약 1.8 내지 4.1 ㎍/g, 피세이드는 1.0 내지 6.5 ㎍/g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표 3), 현미 상태에서는 레스베라트롤이 2.3 내지 5 ㎍/g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13). 한편, 피세이드가 주로 벼 종자의 껍질 부분에 많은 것을 고려할 때, 현미 상태에서는 훨씬 증가된 상태임을 예측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resveratrol synthase)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동진벼"는 내병 양질 다수성 신품종육성을 목표로 1975년 국내에서 금남풍과 질병 저항성이 강한 낙동벼 및 사도미노리를 삼원교배하여 만든 품종이다. 1981년 국내에서 장려품종으로 결정되어 동진벼로 명명되고 보급되었다.
본 발명의 용어, "쌀"은 벼의 종자를 의미한다. 이는 종자인 경우, 미도정, 반도정(현미), 전도정(백미) 여부를 불문하고 모든 상태를 포함한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천연형 벼에 레스베라트롤 합성(resveratrol synthase)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을 적용할 수 있는 대사성 질환은 비만, 당뇨, 고지혈증, 고콜레스테롤증, 동맥경화 및 기타 심혈관계 질환 등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은 바람직하게는 당뇨 또는 비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건강기능 식품"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라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적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은 환제, 분말, 과립, 침제, 정제, 캡슐 또는 액제 등의 형태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보조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에서 포함할 수 있는 필수 성분으로 상기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 활성을 갖는 조성물 또는 그의 유효 성분,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식품과 같이 여러 가지 생약추출물, 식품 보조 첨가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식품보조첨가제를 추가로 첨가할 수도 있는바 식품보조첨가제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식품보조첨가제, 예를 들어 향미제, 풍미제, 착색제, 충진제, 안정화제 등을 포함한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수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장기간 고지방 식이방법을 통해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마우스)에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형질전환 벼의 쌀 또는 동진벼 종자를 이용하여 제작된 사료를 12주간 급여하였다.
먼저, 실험동물 사료에서 탄수화물 부분을 동진벼와 레스베라트롤 함유 벼 형질전환 벼로 대치한 사료를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마우스에 먹인 후, 혈당을 측정하였다.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경우에는 8주차부터 혈당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12주차에는 혈당 22.0%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에 반해서 다른 대조군들을 거의 변하지 않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와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시킨 일반 사료(Resv)를 섭취한 경우에도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형질전환 벼에 의한 혈당 강하 현상은 단순히 레스베라트롤의 함유를 넘어서는 월등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2).
다음으로, 실험동물 사료에서 탄수화물 부분을 동진벼와 레스베라트롤 함유 벼 형질전환 벼로 대치한 사료를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마우스에 먹인 후, 혈중 총 콜레스테롤량, 혈중 총 중성지방량, 혈중 LDL 콜레스테롤량 및 혈중 HDL 콜레스테롤량을 측정하였다.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경우에는 총 콜레스테롤량이 27.0%, 혈중 총 중성지방량 37.4%, 혈중 LDL 콜레스테롤량 59.6%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대사성 질환 예방에 작용하는 혈중 HDL 콜레스테롤은 14.8%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에 비하여, 다른 대조군들을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를 섭취한 군에 비해 효과가 없거나 떨어졌으며, 더욱이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와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시킨 일반 사료(Resv)를 섭취한 경우에 비해서도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를 섭취한 군이 우수한 혈중 지질 개선효과를 지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형질전환 벼에 의한 혈중 지질 개선 효과는 단순히 레스베라트롤의 함유를 넘어서는 월등한 것임을 확인한 것이다(도 3).
아울러, 실험동물 사료에서 탄수화물 부분을 동진벼와 레스베라트롤 함유 벼 형질전환 벼로 대치한 사료를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마우스에 먹인 후, 체중의 변화와 총 지방량을 측정하였다.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경우에는 체중량이 24.7% 감소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동시에 in vivo micro CT를 이용하여 지방량을 측정한 결과, 총 체지방은 21.55%(대조군 25.43%), 복부 지방은 16.33%(대조군 20.02%), 피하지방은 3.1%(대조군 3.83%)로 대조군에 비하여 총 지방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형질전환 벼에 의한 체중 및 체지방 감소 현상은 단순히 레스베라트롤의 함유를 넘어서는 월등한 효과임을 확인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상기 형질전환 벼와의 비교를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9882호에 개시된, 동일한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천연형 벼의 다른 염색체인 4번째 염색체에 삽입된 비교군 형질전환 벼를 제조하여,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의 우수한 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비교군 형질전환 벼는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삽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첨가한 천연형 벼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가 혈당 강하, 혈중 지질 개선, 체중 및 체지방 감소 등의 효과에 있어서 월등한 것임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비교군 형질전환 벼", 또는 "기존 형질전환 벼"는 상기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9882호에 개시된 형질전환 벼이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천연형 벼에 레스베라트롤 합성(resveratrol synthase)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동물"이란 축산법 제2조 제1호 및 동법 시행규칙 제2조 각호에서 정의하고 있는, 야생습성이 순화되어 사육하기에 적합한 동물일 수 있다. 상기 동물에는 소, 말, 노새, 당나귀, 염소, 산양, 면양, 사슴, 돼지, 토끼, 개, 고양이, 가금류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사료"는 동물이 먹고, 섭취하며, 소화시키기 위한 또는 이에 적당한 임의의 천연 또는 인공 구정식, 한끼식 등 또는 상기 한끼식의 성분을 의미한다.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고함유 쌀을 함유하는 동물 사료용 조성물에는 농후사료, 조사료 및/또는 특수 사료가 포함될 수 있다.
농후사료에는 밀, 귀리, 옥수수 등의 곡류를 포함하는 종자열매류, 곡물을 정제하고 얻는 부산물로서 쌀겨, 밀기울, 보릿겨 등을 포함하는 겨류, 콩, 유채, 깨, 아마인 코코야자 등을 채유하고 얻는 부산물인 깻묵류와 고구마, 감자 등에서 녹말을 뺀 나머지인 녹말찌꺼기의 주성분이 잔존녹말질류 등의 찌꺼기류, 어분, 물고기 찌꺼기, 어류에서 얻은 액생물을 농축시킨 것인 피시솔루블(fish soluble), 육분, 혈분, 우모분, 탈지분유, 우유에서 치즈 탈지유에서 카제인을 제조할 때의 잔액인 훼이(whey)를 건조한 건조훼이 등의 동물질사료, 효모, 클로렐라, 해조류 등이 있다.
조사료에는 야초, 목초, 풋베기 등의 생초(生草)사료, 사료용 순무, 사료용 비트, 순무의 일종인 루터베어거 등의 뿌리채소류, 생초, 풋베기작물, 곡실(穀實)등을 사일로에 채워 놓고 젖산발효시킨 저장사료인 사일리지(silage), 야초, 목초를 베어 건조시킨 건초, 종축용(種畜用) 작물의 짚, 콩과 식물의 나뭇잎 등이 있다. 특수사료에는 굴껍테기, 암염 등의 미네랄 사료, 요소나 그 유도체인 디우레이드이소부탄 등의 요소사료, 천연사료 원료만을 배합했을 때 부족하기 쉬운 성분을 보충하거나, 사료의 저장성을 높이기 위해서 배합사료에 미량으로 첨가하는 물질인 사료첨가물 등이 있다.
또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resveratrol synthase)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쌀은 벼로부터 수득되는 아무런 가공이 가해지지 않은 쌀 그 자체 뿐 아니라 쌀의 유효성분을 활성화 하기 위한 가공이 가해진 상태, 쌀의 추출물, 분획물 등의 상기 쌀로부터 생산되는 모든 형태의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하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약학적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제형의 제조에 있어서, 활성 성분을 담체와 함께 혼합 또는 희석하거나, 용기 형태의 담체 내에 봉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 하여 사용될 수 있고,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고,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성효소를 삽입한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 함유하는 벼로부터 생산되는 쌀은 단순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섭취하였을 때보다 월등히 우수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별도의 레스베라트롤을 분리·추출하는 과정없이 바로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쌀이라는 형태로 생산됨에 따라 대사성 질환 기능성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사료 및 의약품으로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a는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를 벼에 형질전환시킬 수 있는 벼 형질전환용 벡터 pSB2220 벡터의 개략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에 도입된 T-DNA 삽입위치 주변 부분을 본 발명에서 사용한 동진벼와 유사하고 서열분석이 완료된 자포니카 벼인 니폰바레(Nipponbare)의 NCBI에 개시된 서열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종합 모식도이다. 구체적으로 녹색으로 나타낸 핵산 서열은 벼 삽입부 주변의 벼의 게놈 서열(genomic sequence)이고, NCBI에 개시된 니폰바레의 서열을 기준으로 하면 벼(Oriza sativa)의 12번째 염색체의 330872번 염기위치에서 1번째 T-DNA가 삽입 시작되고, 곧이어 역방향으로 2번째 T-DNA가 삽입되어 330907번째 염기위치에서 삽입이 종결되었다.
도 2는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의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로부터 수득한 쌀의 혈당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CTL은 대조군, DJ는 동진벼, res는 레스베라트롤, GMO는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를 의미하며, GMO-half는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 및 동진벼가 1:1로 혼합된 사료를 의미한다.
도 3은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의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로부터 수득한 쌀의 혈중 지질 대사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CTL은 대조군, DJ는 동진벼, res는 레스베라트롤, GMO는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를 의미하며, GMO-half는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 및 동진벼가 1:1로 혼합된 사료를 의미한다.
도 4는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의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로부터 수득한 쌀의 체중의 변화 및 총지방량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CTL은 대조군, DJ는 동진벼, res는 레스베라트롤, GMO는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를 의미하며, GMO-half는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 및 동진벼가 1:1로 혼합된 사료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 CT(computational tomography)는 컴퓨터 단층촬영을 의미하며, TF(Total fat)는 총 지방, SF(subcutaneous fat)는 피하 지방, VF(visceral fat)는 내장 지방을 의미한다.
도 5는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의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와 비교군 형질전환 벼의 혈당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DJ는 동진벼, res는 레스베라트롤, 비교군 GMO는 4번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이 삽입된 비교군 형질전환 벼, HFD는 고지방 사료를 의미한다.
도 6은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의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와 비교군 형질전환 벼의 혈중 지질 대사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특히, 혈중 총 콜레스테롤양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DJ는 동진벼, res는 레스베라트롤, 비교군 GMO는 4번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이 삽입된 비교군 형질전환 벼, HFD는 고지방 사료를 의미한다.
도 7은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의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와 비교군 형질전환 벼의 혈중 지질 대사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특히, 혈중 중성지방량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DJ는 동진벼, res는 레스베라트롤, 비교군 GMO는 4번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이 삽입된 비교군 형질전환 벼, HFD는 고지방 사료를 의미한다.
도 8은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의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와 비교군 형질전환 벼의 혈중 지질 대사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특히, 혈중 HDL 양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DJ는 동진벼, res는 레스베라트롤, 비교군 GMO는 4번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이 삽입된 비교군 형질전환 벼, HFD는 고지방 사료를 의미한다.
도 9는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의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와 비교군 형질전환 벼의 혈중 지질 대사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특히, 혈중 LDL 양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DJ는 동진벼, res는 레스베라트롤, 비교군 GMO는 4번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이 삽입된 비교군 형질전환 벼, HFD는 고지방 사료를 의미한다.
도 10은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의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와 비교군 형질전환 벼의 체중의 변화에 미치는 효능을 확인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DJ는 동진벼, res는 레스베라트롤, 비교군 GMO는 4번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이 삽입된 비교군 형질전환 벼, HFD는 고지방 사료를 의미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의 이앙시기에 따른 출수기(도 11의 A) 및 적산온도(도 11의 B)를 분석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의 이앙시기에 따른 쌀 수량 및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분석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의 재배환경에 따른 종자내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측정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온도 증가(도 13의 A) 및 이앙시기(도 13의 B)에 따른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측정한 도면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 분리 및 염기서열 분석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를 이용하여 레스베라트롤을 고농도로 생합성하는 벼를 개발하기 위하여, 레스베라트롤을 고농도로 생합성하는 팔광 땅콩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를 분리하였다.
먼저, 농촌진흥청에서 육성한 팔광 땅콩(Arachis hypogaea)의 어린 꼬투리를 수확하여 액체 질소를 이용하여 곱게 파쇄한 후, TRI 시약(MRC, USA)을 사용하여 total RNA를 분리하였다. NucleoTrap mRNA Midi Purification kit(Clontech, 미국)를 이용하여 Total RNA를 수득하였다.
다음으로, One step RNA PCR kit(Takara, 일본)를 이용하여 정·역방향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RT-PCR은 역전사단계(Reverse transcription); 50℃, 30분, 1사이클, 변성 단계(Denaturing); 94℃, 2분, 1사이클, 변성 단계(Denaturing); 94℃, 30초, 어닐링 단계(Annealing); 57℃, 1분, 신장 단계(Extension); 68℃, 1분, 35사이클을 반복하였다. 여기에서 사용한 정·역방향 프라이머는 하기와 같다.
정방향 프라이머
5'-ATGGTGTCTGTGAGTGGAATTC-3'(서열번호 2)
역방향 프라이머
5'-CGTTATATGGCCACACTGC-3'(서열번호 3)
상기의 땅콩 mRNA로부터 증폭된 레스베라트롤 합성 cDNA를 유전자 운반체인 pGEM-T Easy vector (Promega,USA)에 클로닝한 후, 대장균 JM109에 형질전환하여 염기서열 분석에 이용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은 벡터에 존재하는 T7과 SP6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LI-COR (USA)사의 DNA sequencer 4200을 이용하였다(서열번호 1).
실시예 2. 형질전환용 벡터 제작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를 벼에 삽입하기 위하여 형질전환용 벡터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벼 형질전환용 벡터를 제작하기 위하여, pCAMBIA 3300 벡터를 backbone으로 하여, 식물체 전신 발현을 유도하기 위해 유비퀴틴 프로모터를 삽입하고, 선택 표지(selection marker)로 제초제 저항성 유전자 Bar을 삽입하였다.이를 pSB22 벡터로 명명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를 BamH1 제한효소 목적 서열을 갖는 정방향 프라이머(5'-CGGATCCATGGTGTCTGTGAGTG-3', 서열번호 4)와 Sac1 제한효소 목적 서열을 갖는 역방향 프라이머(5'-CGAGCTCCGTTATATGGCCACA-3', 서열번호 5)를 이용하여 PCR 반응을 통해 증폭하였다.
PCR은 초기 변성 단계; 94℃, 2분을 수행한 후, 변성 단계(Denaturing); 94℃, 20초, 어닐링 단계(Annealing); 64℃, 20초, 신장 단계(Extension); 72℃, 50초로 이루어진 사이클 35회 반복하고, 마지막 신장 단계; 72℃, 7분을 수행하였다.
상기 PCR 반응에 의해 수득된 PCR 산물을 BamH1과 Sac1 제한효소로 처리하고 pSB22 벼 형질전환 벡터에 삽입하였다. 삽입하여 제작한 벡터는 pSB2220으로 명명하였으며, 이의 구조는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 형질전환 벼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벼 형질전환용 벡터 pSB2220을 벼에 삽입하기 위하여, freezing-thawing법(An, 1987; An et al., 1988)을 이용하여 A. tumefaciens (LBA 4404)에 삽입하였다.
상기의 pSB2220이 삽입된 아그로박테리움을 AB (K2HPO4 6g, NaH2PO4 2g, NH4Cl 2g, KCl 0.3g, MgSO4·7H2O 0.6g, CaCl2·2H2O 0.025g, FeSO4·7H2O 0.05g, Glucose 10g, DW 10㎖) 액체 배지에 28℃에서 3일간 배양하여 증식시킨 후, 10배 농축하여 벼 캘러스 감염에 이용하였다.
성숙한 벼 종자의 현미를 70% 에탄올로 1분간, 2% NaClO로 1시간 살균하였다. 살균 후 종자를 멸균수로 5회 이상 세척하고, 2N6 (N6 salt 3.95g/L, sucrose 30g/L, casamino acid 1g/L, 2,4-D 2㎎/L, phytagel 2g/L, pH 5.6∼5.7) 배지에 넣어, 25℃의 암조건에서 약 3주간 배양하여 캘러스를 유도하였다.
상기에서 유도한 벼 캘러스 중 직경이 3∼4mm 정도의 것을 다시 2N6 배지에 옮겨 25℃의 암조건에서 4일간 배양하였다. 배양된 캘러스에 아그로박테리움을 증식시킨 AB 배지를 혼합하여 20분간 감염시킨 후, 2N6 AS100(2N6, 100uM acetocyringone) 배지에 옮겨 20℃의 암조건에서 3일간 배양하였다. 혼합 배양 후, 캘러스를 250 ㎎/L cefotaxime이 첨가된 멸균수로 5회 이상 세척하여 삽입되지 않고 묻어있는 아그로박테리움을 제거하였다.
아그로박테리움에 감염된 캘러스를 2N6-PT5 (N6 salt 3.95 g/L, sucrose 30g/L, casamino acid 1g/L, 2,4-D 2㎎/L, phosphinothricin 5㎎/L, cefotaxime 250㎎/L, phytagel 2g/L, pH 5.6∼5.7) 배지에 옮겨, 25℃의 암조건에서 4주간 배양하여 phosphinothricin (PPT) 선발마커에 저항성을 나타내어 활발하게 생장하는 캘러스를 선발하였다.
2N6-PT5 배지에서 선발된 캘러스를 N6-BA (N6 salt 3.95g/L, sucrose 20g/L, sorbitol 30g/L, casamino acid 2g/L, 2,4-D 1㎎/L, BAP 0.5㎎/L PPT 6㎎/L, cefotaxime 250㎎/L, phytagel 2g/L, pH 5.6∼5.7) 배지에 옮겨, 25℃의 암조건에서 2주간 배양하여 활발하게 생장하는 캘러스를 선발하였다.
N6-BA 배지에서 선발된 캘러스를 MSR (MS salt 3.95g/L, sucrose 40g/L, sorbitol 20g/L, myo-inositol 100㎎/L, NAA 0.1㎎/L, kinetin 2㎎/L PPT 6㎎/L, cefotaxime 250㎎/L, phytagel 5g/L, pH 5.6∼5.7) 배지에 옮겨, 25℃의 16시간 명조건에서 1개월 이상 배양하여 식물체를 분화시켰다.
재분화된 벼는 페트리디쉬 안에서 약 4∼5cm 정도의 크기가 되면 병 배지에 옮겨 조도 약 2만 룩스, 25℃의 16시간 명조건에서 2∼3 엽기까지 생육시켰다. 그 후, 유묘를 GMO 온실의 토양에 이식하여 종자를 수확하였다. 재분화된 당대의 식물체를 T0 세대, 이 식물체로부터 수확한 종자를 T1 세대로 가정하고, T5 세대까지 진전시켰다.
실시예 4. 형질전환 벼에서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 삽입 여부 확인
4-1. 유전자 단순 삽입여부 확인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형질전환 벼에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삽입되었는지를 PCR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형질전환 벼 식물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PCR을 수행하였다. 상기 pSB2220 벡터 제작시에 사용한 정·역방향 프라이머(정방향; 5'-CGGATCCATGGTGTCTGTGAGTG)-3', 서열번호 4, 역방향; 5'-CGAGCTCCGTTATATGGCCACA-3', 서열번호 5)를 이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PCR은 초기 변성 단계; 94℃, 2분을 수행한 후, 변성 단계(Denaturing); 94℃, 20초, 어닐링 단계(Annealing); 64℃, 20초, 신장 단계(Extension); 72℃, 50초로 이루어진 사이클 35회 반복하고, 마지막 신장 단계; 72℃, 7분을 수행하였다.
상기 PCR의 결과 1.1 kb에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로 보이는 밴드가 확인되어, 형질전환 벼의 게놈에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4-2. 삽입 유전자의 삽입 위치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에서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의 벼 게놈 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제한효소 처리 후 어댑터를 부착한 후 PCR을 수행하고, 그 산물의 염기서열을 분석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형질전환 벼 식물에서 genomic DNA를 분리하고 제한효소를 처리하였다. HaeIII 제한효소로 37℃에서 4시간 반응 후, 어댑터(tccctttagtgagggtaaatt g)를 부착하고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PCR은 초기 변성 단계; 94℃, 2분을 수행한 후, 변성 단계(Denaturing); 94℃, 1분, 어닐링 단계(Annealing); 63℃, 30초, 신장 단계(Extension); 72℃, 2분으로 이루어진 사이클 35회 반복하고, 마지막 신장 단계; 72℃, 7분을 수행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은 벼에 존재하는 T7과 SP6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LI-COR (USA)사의 DNA sequencer 4200을 이용하였다.
상기와 같이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삽입된 것으로 확인된 벼 라인을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로 결정하였다.
4-3. 삽입 유전자의 구조 분석 및 주변 염기서열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에 대한 삽입 유전자의 genomic DNA 상의 삽입 위치 및 삽입 주변 염기서열을 확인하고자 flanking DNA 서열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에 2개의 T-DNA가 삽입된 사실과 주변염기서열 및 삽입된 T-DNA의 구조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2개의 T-DNA가 벼 염색체 12번의 동일 위치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형질전환 벼에 도입된 T-DNA 삽입위치 주변 부분을 본 발명에서 사용한 동진벼와 유사하고 서열분석이 완료된 자포니카 벼인 니폰바레(Nipponbare)의 NCBI에 개시된 서열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NCBI에 개시된 니폰바레 서열의 12번째 유전자(NCBI Accession No. NC_008405)의 330872 번째 염기위치에 첫번째 T-DNA가 삽입되고 두번째 T-DNA가 곧이어 역방향으로 연결되어 삽입되는 것을 확인했으며, 구체적으로는, 12번째 염색체의 330871 번째 염기와 첫번째 T-DNA의 도입시작위치(left border)가 연결되고 두번째 T-DNA의 도입시작위치(left border)는 동일 염색체의 330908번째 염기에 연결됨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에는 2개의 T-DNA가 역방향으로 연결된 단일구조의 형태로 12번 염색체에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1b).
상기 분석한 주변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로 검색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효소 유전자는 서열번호 7의 572번째 염기 뒤에 삽입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서열번호 7의 572번째 염기와 연결되어 두 T-DNA가 연속 삽입되고 609번째 염기와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상기 형질전환 벼 종자를 Resveratrol-enriched rice로 명명하여 2013년 12월 5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생물자원센터에 수탁번호 KCTC12529BP로 기탁하였다.
실시예 5. 형질전환 벼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된 형질전환 벼에서 레스베라트롤이 실제로 생성되는지를 HPLC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T5 세대의 형질전환 벼의 현미 종자를 마쇄한 후, 600 mg의 분말을 2 mL 튜브에 넣고, 30% 메탄올 600 ul를 첨가하였다. 이를 45 ℃에서 50분간 150 RPM으로 교반하여 레스베라트롤이 추출되도록 하였다. 추출 튜브를 4℃ 10,000g에서 5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징액을 0.2 ㎛ membrane filter로 여과하여 HPLC 분석에 이용하였다. HPLC 분석은 Waters사의 Alliance (Waters 2695, Ireland)와 XTerra RP18 5 ㎛ 4.6 x 250 ㎜ column (Waters, Ireland)을 이용하였고, 용매는 물과 아세토나이트릴을 구배조건으로 하였다.
구배조건은 처음 0에서 5분간은 물과 아세토나이트릴을 90:10 (v/v)으로, 5에서 65분간은 물과 아세토나이트릴을 70:30 (v/v)으로 기울기를 주어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은 추출액 10㎕를 주입하여 1.0㎖/min 유속으로 UV 308nm 파장에서 측정하였다. 레스베라트롤, 레스베라트롤과 배당체 결합물인 피세이드 (resveratrol-3-O-Dglucoside)의 피크는 표준물질의 UV spectrum, retention time을 기준으로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형질전환 벼는 고농도의 레스베라트롤과 피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의 생육 및 수확 조건에 따른 레스베라트롤 함량 변화
실시예 6-1. 노지 재배조건에서 이앙시기에 따른 벼 생육특성
노지 재배조건에서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를 6월 1일, 6월 15일, 6월 30일 이앙한 결과 이앙 후 주간엽의 발육종료는 6월 1일 이앙의 경우 이앙 후 75.1일, 6월 15일 이앙한 경우는 65.1일, 6월 30일 이앙한 경우는 55.1일이 소요되었는데, 각각 이시기의 적산온도는 1,886℃, 1,688℃, 1,474℃였다. 이때 전개된 엽수는 각각 13.0엽, 11.6엽, 11.2엽이었는데 6월 1일 이앙한 경우 출수기가 일반 중만생종 품종보다도 4~5일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도 11).
그 결과, 6월 1일 이앙한 경우 출수기가 8월 22일, 6월 15일 이앙한 경우 8월 27일, 6월 30일 이앙한 경우 8월 31일에 출수하여 이앙이 늦어지는 경우 등숙이 완전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출수 특성을 보였다.
실시예 6-2. 고온 재배조건(비닐온실)에서 이앙시기에 따른 벼 생육특성
고온조건에서 본 발명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의 출수기는 노지조건의 6월 1일 이앙 대비(8월22일 출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출수가 빨라져 3.5℃ 온도 상승조건에서 출수가 5일 빨라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고온 재배조건에서 출수기 변화
이앙일
(월, 일)
온 도 처 리
노지 + 0.7 + 1.4 + 2.1 + 2.8 + 3.5
6. 1 8.22 8.21 8.20 8.19 8.18 8.17
6.15 8.27 8.27 8.27 8.26 8.26 8.25
6.30 8.31 8.31 8.31 8.31 8.30 8.30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6월 15일 이앙에서는 노지 재배조건에서 8월 27일 출수하였던 것이 2일, 6월 30일 이앙에서는 8월 31일 출수하였던 것이 1일이 출수가 빨라져, 6월 1일 이앙에 비해 온도상승이 벼의 생육단축에 미치는 영향은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6-3. 이앙시기 및 고온조건에 따른 쌀 수량 변화
본 발명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의 이앙시기 및 고온조건에 따른 쌀 수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앙시기 및 고온조건에 따른 쌀 수량 변화
이앙일 온 도 수수
(cm)
수당립수
(개/주)
등숙비율
(%)
현미천립중
(g)
쌀수량
(kg/10a)
6. 1 노지 9.8 113.0 88.7 23.3 520
+ 0.7 9.0 109.3 83.1 23.2 429
+ 1.4 10.3 98.1 82.9 23.2 373
+ 2.1 9.7 102.2 80.6 23.2 299
+ 2.8 10.6 97.1 74.7 22.6 291
+ 3.5 11.6 89.9 71.9 22.3 217
6.15 노지 13.2 109.9 80.0 20.5 467
+ 0.7 11.7 89.0 91.2 24.7 460
+ 1.4 11.0 92.5 93.6 24.4 511
+ 2.1 13.6 73.1 89.2 24.1 464
+ 2.8 13.1 80.7 91.9 23.9 439
+ 3.5 12.6 83.3 91.4 23.2 431
6.30 노지 10.2 65.5 96.1 26.9 445
+ 0.7 9.7 101.5 87.5 23.8 471
+ 1.4 10.2 92.6 88.5 24.2 526
+ 2.1 10.7 87.2 91.6 23.7 476
+ 2.8 9.0 95.9 86.0 24.2 436
+ 3.5 8.9 96.7 83.9 23.9 426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010년에는 등숙기에 평년에 비해 일조시간이 부족하였고, 등숙 후기에 급격한 기온저하로 6월 1일 이앙한 경우 쌀 수량이 520kg/10a로 가장 많았으나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수량이 감소한 경향을 보였다.
출수기가 상대적으로 빨랐던 6월 1일의 이앙에서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수량이 급격히 감소하여 3.5℃ 온도상승 조건에서는 수량이 217kg/10a로 매우 적었다.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온도 상승에 의한 수량 감소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1.4℃ 온도 상승조건에서 가장 많은 쌀 수량을 나타내었다. 6월 1일 이앙시 온도상승 조건에서 수량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수량구성요소는 등숙으로 온도 상승시 등숙비율이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실시예 6-4. 이앙시기에 따른 수량 및 레스베라트롤 함량 변화
본 발명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의 이앙시기에 따른 레스베라트롤의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6월 15일 이앙조건에서 최대 쌀 수량과 높은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보였다(도 12).
실시예 6-5. 이앙시기, 재배온도, 수확시기에 따른 레스베라트롤 피세이 드 함량 변화
본 발명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의 이앙시기, 재배온도, 수확시기에 따른 레스베라트롤 및 피세이드의 종자 또는 식물체 내 함량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앙시기, 고온조건 및 수확시기에 따른 종자(백미) 내 레스베라트롤 함량 변화
이앙일 온도
처리
출수 후 30일 (㎍/g) 40일 (㎍/g) 50일 (㎍/g)
Piceid Resveratrol Piceid Resveratrol Piceid Resveratrol
6. 1 노지 2.248 1.895 4.145 2.570 3.012 2.342
0.7 1.572 2.696 3.373 2.727 0.899 2.317
1.4 1.095 2.334 2.362 2.759 1.332 2.673
2.1 1.602 3.326 6.467 3.452 2.095 2.682
2.8 2.274 3.547 1.849 3.287 2.161 2.463
3.5 3.191 4.085 1.735 3.130 2.946 2.782
평 균 1.997 2.981 3.322 2.988 2.074 2.543
6.15 노지 1.529 2.323 2.818 2.799 3.743 2.838
0.7 1.194 2.901 2.623 2.886 2.164 2.838
1.4 2.016 2.527 2.444 3.032 4.164 3.029
2.1 1.648 2.720 3.135 3.321 4.204 3.448
2.8 1.715 2.669 2.458 3.14 2.884 3.293
3.5 1.754 3.369 3.204 3.411 5.434 3.396
평 균 1.643 2.752 2.780 3.098 3.766 3.140
6.30 노지 2.543 2.372 3.071 2.688 0.353 1.874
0.7 2.241 1.996 2.927 2.634 0.527 2.325
1.4 4.338 2.459 2.842 2.669 0.671 2.714
2.1 3.476 2.438 3.177 2.604 0.482 2.889
2.8 4.040 2.991 3.343 3.071 0.736 2.837
3.5 4.675 2.921 4.046 3.645 0.546 2.862
평 균 3.552 2.530 3.234 2.885 0.553 2.584
이앙시기, 고온조건 및 수확시기에 따른 식물체 내 피세이드 함량
이 앙 일 온 도 피세이드 함량(㎍/g)
출수 후 30일 40일 50일
6. 1 노 지 8.8 3.6 4.6
+ 0.7 6.7 3.7 5.7
+ 1.4 8.5 5.1 7.1
+ 2.1 9.1 9.0 7.2
+ 2.8 8.0 6.8 8.1
+ 3.5 10.4 4.0 7.9
평 균 8.6 5.4 6.8
6.15 노 지 8.5 3.7 8.4
+ 0.7 6.2 3.7 1.7
+ 1.4 5.6 5.3 4.0
+ 2.1 7.6 9.3 5.0
+ 2.8 3.2 7.0 4.8
+ 3.5 10.1 4.0 2.9
평 균 6.9 5.5 4.5
6.30 노 지 8.3 4.8 8.4
+ 0.7 6.1 3.2 1.7
+ 1.4 5.3 3.7 3.9
+ 2.1 7.1 4.3 4.8
+ 2.8 4.5 5.4 4.8
+ 3.5 9.6 7.9 3.0
평 균 6.8 4.9 4.4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이앙시기가 늦어질수록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같은 이앙조건에서는 고온 스트레스 처리시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증가하였다. 출수 후 40일째 수확 처리구에서 전체적으로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높았다.
또한,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피세이드는 레스베라트롤의 배당체형으로 벼의 등숙이 진행되면서 잎에 저장되어 있던 피세이드 함량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이앙시기가 늦어 등숙이 늦게 이루어지거나 고온조건에서 등숙이 이루어지는 경우 잎에 피세이드 함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것은 고온 스트레스에 의한 파이토알렉신 효과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6-6. 재배환경에 따른 종실내 레스베라트롤 함량 변화
본 발명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의 재배환경에 따른 종자내(현미)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등숙기 고온 조건에 따라 종자내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2℃ 이상 고온 조건에서는 노지 대비 약 20% 이상 레스베라트롤이 증량하였다.
6월 1일과 6월 15일 이앙시 고온 조건에서 레스베라트롤 증가는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6월 30일 이앙재배시 온도가 높아질수록 레스베라트롤 함량도 급격히 증가하였다.
실시예 6-7. 실제 지역 차이에 따른 생육 특성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의 농업적 특성 구명을 위해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벼와 형질전환 모품종인 동진벼를 대비 품종으로 하여 농업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동진, 기존 형질전환 벼(천연형 벼의 4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 효소가 2 카피 마주보는 방향으로 삽입된 형질전환 벼) 및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벼를 재식거리 30×15㎝, 주당 묘수 3본씩 난괴법 3반복으로 익산, 수원, 밀양 등 3개소의 격리포장에서 재배하여 생육특성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벼의 지역별 주요 생육특성 및 수량구성요소
지역 계통명 출수기
(월.일)
간 장
(cm)
수 수
(개)
수당
립수
(개)
정현
비율
(%)
등숙
비율
(%)
현 미
천립중
(g)
쌀수량
(kg/10a)
수량
지수
익산 동진 8.20 89 12 104 82.7 93.3 23.9 521 100
기존 형질전환 벼 8.25 81 12 99 82.2 92.3 22.0 496 95
본 발명 형질전환 벼 8.24 87 11 111 82.3 90.0 24.6 519 100
수원 동진 8.29 73 8 95 76.2 91.4 25.1 461 100
기존 형질전환 벼 8.31 69 8 97 75.9 86.1 22.2 436 95
본 발명 형질전환 벼 8.30 75 7 107 75.7 89.3 26.2 456 99
밀양 동진 8.15 85 13 108 82.1 92.6 22.1 542 100
기존 형질전환 벼 8.22 77 13 103 82.0 88.5 20.0 519 96
본 발명 형질전환 벼 8.23 84 11 112 81.5 88.3 22.4 539 99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익산과 밀양은 생육특성 및 수량이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수원지역에서 재배된 시험계통 모두 익산 대비 출수가 지연되고, 키는 12㎝ 이상 작아지고, 수수, 수당립수, 등숙률이 낮아져 익산지역과 비교하여 쌀 수량이 약 12% 정도 감수되었으나, 대조구인 동진벼 대비 수량지수는 익산, 수원, 밀양 모두 동일한 경향치를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격리포장에 재배한 종자를 수확하여 도정 후 백미중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분석하였다.
레스베라트롤과 피세이드 함량 분석
계 통 명 레스베라트롤(㎍/g) 피세이드(㎍/g)
기존 형질전환 벼 1.400.01 0.290.00
본 발명 형질전환 벼 2.010.06 0.420.03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기존 형질전환 벼 1.40㎍/g, 본 발명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 2.01㎍/g의 레스베라트롤이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익산, 수원, 밀양 등 3개 지역에서 재배된 동진, 기존 형질전환 벼(천연형 벼의 4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 효소가 2카피 마주보는 방향으로 삽입된 형질전환 벼), 및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벼 등 3계통의 3반복 정조 시료를 도정하여 백미로 조제한 후, HPLC를 이용하여 레스베라트롤 함량을 분석하였다.
3개 지역에서 재배된 종자(백미)의 레스베라트롤 함량 분석
지역 계 통 명 레스베라트롤
(㎍/g)
피세이드
(㎍/g)
레스베라트롤
함량지수
익산 동진 - - -
기존 형질전환 벼 1.400.01 0.290.00 100
본 발명 형질전환 벼 2.010.06 0.420.03 100
수원 동진 - - -
기존 형질전환 벼 1.950.01 0.480.03 139
본 발명 형질전환 벼 2.610.05 0.990.06 130
밀양 동진 - - -
기존 형질전환 벼 1.750.01 0.390.05 125
본 발명 형질전환 벼 2.270.06 0.590.06 129
상기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익산지역 대비 기존 형질전환 벼,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벼 계통의 레스베라트롤 함량은 2계통 모두 수원, 밀양에서 각각 약 30%, 25% 이상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의 파이토알렉신 효과로 재배지역의 온도 차이에 따라 레스베라트롤의 합성량이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실시예 7.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에서의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쌀의 효과 측정
본 발명의 레스베라트롤을 고농도로 포함하는 쌀이 대사성 질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장기간 고지방 식이방법을 통해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동물 모델(마우스)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는 C57BL/6 inbred mouse 각 15마리를 12주 동안 고지방 식이를 섭취하도록 하여 당뇨, 비만,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 등과 같은 대사성 질환 모델을 확립하였다. 이후, 형질전환 벼 또는 동진벼 종자를 이용하여 제작된 사료를 12주간 실험 동물에 급여하였다. 12주간 급여 후, 3주마다 한번씩 꼬리정맥에서 채혈하여 혈당, 콜레스테롤 등을 분석하여 대사성 질환 동물 모델에서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쌀, 형질전환 벼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1. 혈당 비교 측정
상기 설명과 같이, 실험동물 사료에서 탄수화물 부분을 동진벼와 레스베라트롤 함유 벼 형질전환 벼로 대치한 사료를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마우스에 먹인 후, 혈당을 측정하였다(도 2).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경우에는 8주차부터 혈당이 떨어지기 시작하여, 12주차에는 혈당 22.0%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데에 반해서 다른 대조군들을 거의 변하지 않거나 오히려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와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시킨 일반 사료(Resv)를 섭취한 경우에도 거의 차이가 없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형질전환 벼에 의한 혈당 강하 현상은 단순히 레스베라트롤의 함유를 넘어서는 월등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2. 혈중 지질 대사 비교 측정
상기 설명과 같이, 실험동물 사료에서 탄수화물 부분을 동진벼와 레스베라트롤 함유 벼 형질전환 벼로 대치한 사료를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마우스에 먹인 후, 혈중 총 콜레스테롤량, 혈중 총 중성지방량, 혈중 LDL 콜레스테롤량 및 혈중 HDL 콜레스테롤량을 측정하였다(도 3).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경우에는 총 콜레스테롤량이 27.0%, 혈중 총 중성지방량 37.4%, 혈중 LDL 콜레스테롤량 59.6%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으며, 동시에 대사성 질환 예방에 작용하는 혈중 HDL 콜레스테롤은 14.8%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른 대조군들을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를 섭취한 군에 비해 효과가 없거나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더욱이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와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시킨 일반 사료(Resv)를 섭취한 경우에 비해서도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를 섭취한 군이 우수한 혈중 지질 개선효과를 지니는 것을 확인하였다.이는, 형질전환 벼에 의한 혈중 지질 개선효과는 단순히 레스베라트롤의 함유를 넘어서는 월등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실시예 7-3. 체중 및 체지방 비교 측정
상기 설명과 같이, 실험동물 사료에서 탄수화물 부분을 동진벼와 레스베라트롤 함유 벼 형질전환 벼로 대치한 사료를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마우스에 먹인 후, 체중의 변화 및 총지방량을 측정하였다(도 4).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형질전환 벼로 제작한 사료를 섭취한 마우스의 경우에는 체중량이 24.7% 감소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동시에 in vivo micro CT를 이용하여 지방량을 측정한 결과, 총 체지방은 21.55%(대조군 25.43%), 복부 지방은 16.33%(대조군 20.02%), 피하지방은 3.1%(대조군 3.83%)로 대조군에 비하여 총 지방량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비교예 1.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의 효능
동일한 레스베라트롤 합성 효소가 다른 염색체 위치에 삽입된 형질전환된 벼와 효능 비교를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19882호에 개시된, 천연형 벼의 4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 효소를 삽입한 형질전환 벼의 효능을 확인하였다.
먼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개시된 방법으로 레스베라트롤 합성 효소를 천연형 벼의 4번째 염색체에 삽입한 형질전환 벼를 제작하였다. 또한, 실시예 4에 기재된 방법으로 레스베라트롤 합성 효소가 4번째 염색체 29,358,342번 염기에 삽입된 것을 확인하고 이를 비교군 형질전환 벼로 명명하였다.
상기 비교군 형질전환 벼는 1.60±0.05㎍/g(현미), 또는 1.41±0.014㎍/g(백미)의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고 있으며, 3.21±0.06㎍/g(현미), 또는 0.48±0.03㎍/g(백미)의 피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레스베라트롤 합성 효소가 정상적으로 작용하는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임을 확인하였다.
이렇게 제조된 또 다른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의 효능을 실시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사성 질환 유도 동물 모델에서 확인하였다.
비교예 1-1. 혈당 비교 측정
상기 설명과 같이, 실험동물 사료에서 탄수화물 부분을 동진벼와 레스베라트롤 함유 벼 비교군 형질전환 벼로 대치한 사료를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마우스에 먹인 후, 혈당을 측정하였다(도 5).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군 형질전환 벼를 섭취한 마우스는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동진벼를 섭취한 군보다 실험기간 내내 혈당이 높은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형질전환 벼에 대한 실험인 도 2에서는 형질전환 벼와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시킨 사료를 섭취한 경우보다 형질전환 벼를 섭취한 경우에 혈당이 떨어지는 효과가 우월함을 확인할 수 있는 데에 비하여, 비교군 형질전환 벼에 대한 실험인 도 5에서는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시킨 사료에 비교하여 동등하거나 오히려 열등한 효과를 지님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2. 혈중 지질 대사 비교 측정
상기 설명과 같이, 실험동물 사료에서 탄수화물 부분을 동진벼와 레스베라트롤 함유 벼 비교군 형질전환 벼로 대치한 사료를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마우스에 먹인 후, 혈중 총 콜레스테롤량, 혈중 총 중성지방량, 혈중 LDL 콜레스테롤량 및 혈중 HDL 콜레스테롤량을 측정하였다(도 6 내지 도 9).
도 6 내지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군 형질전환 벼를 섭취한 마우스는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동진벼를 섭취한 군과 비교했을 때, 혈중 총 콜레스테롤량, 혈중 총 중성지방량 및 혈중 LDL 콜레스테롤량에서 거의 차이가 나지 않거나, 오히려 높아 열등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혈중 HDL 콜레스테롤량은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형질전환 벼에 대한 실험인 도 3에서는 형질전환 벼와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시킨 사료를 섭취한 경우보다 형질전환 벼를 섭취한 경우에, 총 콜레스테롤량, 혈중 총 중성지방량, 혈중 LDL 콜레스테롤량을 감소시키는 효과와 혈중 HDL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한 데에 비하여, 비교군 형질전환 벼에 대한 실험인 도 6 내지 도 9에서는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시킨 사료에 비해 오히려 열등한 효과를 지님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1-3. 체중 비교 측정
상기 설명과 같이, 실험동물 사료에서 탄수화물 부분을 동진벼와 레스베라트롤 함유 벼 비교군 형질전환 벼로 대치한 사료를 대사성 질환이 유도된 마우스에 먹인 후, 체중의 변화를 측정하였다(도 10).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군 형질전환 벼를 섭취한 마우스군을 동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포함하는 동진벼를 섭취한 군과 비교했을 때, 9주차까지는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다가 12주차에 다소 감소된 체중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형질전환 벼에 대한 실험인 도 4의 A의 24.7%에 달하는 현저한 차이와 비교했을 때, 비교군 형질전환 벼의 체중 감소 효과는 6% 정도로 미약한 정도임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들을 종합해보았을 때,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 효소를 삽입한 본원발명의 형질전환 벼가 다른 염색체에 동일 유전자가 삽입된 형질전환 벼에 비하여 우월한 대사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529BP 20131205
<110> REPUBLIC OF KOREA(MANAGEMENT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20> Resveratrol synthetic rice and use thereof <130> PA131339KR <150> KR10-2012-0147735 <151> 2012-12-17 <160> 7 <170> KopatentIn 2.0 <210> 1 <211> 1170 <212> DNA <213> Arachis hypogagea L. Resveratrol Synthase DNA <400> 1 atggtgtctg tgagtggaat tcgcaaggtt caaagggcag aaggtccagc aactgtattg 60 gcaattggaa cagcaaatcc accgaactgt attgatcaga gtacatatgc agattattat 120 tttagagtaa ccaatagcga acacatgact gatctcaaga agaaatttca gcgcatctgt 180 gagagaacac agatcaagaa cagacatatg tacttaacag aagagatact aaaagaaaat 240 cctaacatgt gtgcatacaa ggcaccgtca ttggatgcaa gagaagacat gatgatcagg 300 gaggtaccaa gagttggaaa agaggctgca accaaggcca tcaaggaatg gggccagcca 360 atgtctaaga tcacacattt gatcttctgc accaccagcg gcgttgcgtt gcctggcgtt 420 gattacgaac tcatcgtact tttagggctg gacccatgcg tcaagaggta catgatgtac 480 caccaaggtt gcttcgctgg tggcactgtc cttcgtttgg ctaaggactt ggctgaaaac 540 aacaaggatg ctcgtgtact tatcgtttgt tctgagaata ccgcagtcac tttccgcggt 600 cctagtgaga cagacatgga tagtcttgta ggacaagcat tgtttgccga tggagctgct 660 gcgattatca ttggttctga tcctgtgcca gaggttgaga agcctatctt tgagcttgtt 720 tcgaccgatc aaaaacttgt ccctggcagc catggagcca tcggtggtct ccttcgtgaa 780 gttggactta cattctatct taacaagagt gttcctgata ttatttcgca aaatatcaat 840 gacgcgctca ataaagcttt tgatccattg ggtatttctg attataactc aatattttgg 900 attgcacatc ctggtgggcg tgcaattttg gaccaggttg aacagaaggt gaacttgaag 960 ccagagaaga tgaaagccac tagagatgtg cttagcaatt atggtaacat gtcaagtgcc 1020 tgtgtgttct tcattatgga tttgatgagg aagaggtctc ttgaagaagg acttaaaact 1080 accggagaag gacttgattg gggtgtgctt tttggctttg gtcctggtct cactattgaa 1140 actgtcgttc tccgcagtgt ggccatataa 1170 <210> 2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 forward primer <400> 2 atggtgtctg tgagtggaat tc 22 <210> 3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 reverse primer <400> 3 cgttatatgg ccacactgc 19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 BamH1 f primer <400> 4 cggatccatg gtgtctgtga gtg 23 <210> 5 <211> 22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S Sac1 R primer <400> 5 cgagctccgt tatatggcca ca 22 <210> 6 <211> 389 <212> PRT <213> Arachis hypogagea L. Resveratrol Synthase a.a. <400> 6 Met Val Ser Val Ser Gly Ile Arg Lys Val Gln Arg Ala Glu Gly Pro 1 5 10 15 Ala Thr Val Leu Ala Ile Gly Thr Ala Asn Pro Pro Asn Cys Ile Asp 20 25 30 Gln Ser Thr Tyr Ala Asp Tyr Tyr Phe Arg Val Thr Asn Ser Glu His 35 40 45 Met Thr Asp Leu Lys Lys Lys Phe Gln Arg Ile Cys Glu Arg Thr Gln 50 55 60 Ile Lys Asn Arg His Met Tyr Leu Thr Glu Glu Ile Leu Lys Glu Asn 65 70 75 80 Pro Asn Met Cys Ala Tyr Glu Ala Pro Ser Leu Asp Ala Arg Glu Asp 85 90 95 Met Met Ile Arg Glu Val Pro Arg Val Gly Lys Glu Ala Ala Thr Lys 100 105 110 Ala Ile Lys Glu Trp Gly Gln Pro Met Ser Lys Ile Thr His Leu Ile 115 120 125 Phe Cys Thr Ala Ser Gly Val Ala Leu Pro Gly Val Asp Tyr Glu Leu 130 135 140 Ile Val Leu Leu Gly Leu Asp Pro Cys Val Lys Arg Tyr Met Met Tyr 145 150 155 160 His Gln Gly Cys Phe Ala Gly Gly Thr Val Leu Arg Leu Ala Lys Asp 165 170 175 Leu Ala Glu Asn Asn Lys Asp Ala Arg Val Leu Ile Val Cys Ser Glu 180 185 190 Asn Thr Ala Ile Thr Phe Arg Gly Pro Ser Glu Thr Asp Met Asp Ser 195 200 205 Leu Val Gly Gln Ala Leu Phe Ala Asp Gly Ala Ala Ala Ile Ile Ile 210 215 220 Gly Ser Asp Pro Val Pro Glu Val Glu Lys Pro Ile Phe Glu Ile Val 225 230 235 240 Ser Thr Asp Gln Lys Leu Val Pro Gly Ser His Gly Ala Ile Gly Gly 245 250 255 Leu Leu Arg Glu Val Gly Leu Thr Phe Tyr Leu Asn Lys Ser Val Pro 260 265 270 Asp Ile Ile Ser Gln Asn Ile Asn Asp Ala Leu Ser Lys Ala Phe Asp 275 280 285 Pro Leu Gly Ile Phe Asp Tyr Asn Ser Ile Phe Trp Ile Ala His Pro 290 295 300 Gly Gly Arg Ala Ile Leu Asp Gln Val Glu Gln Lys Val Asn Leu Lys 305 310 315 320 Pro Glu Lys Met Lys Ala Thr Arg Asp Val Leu Ser Asn Tyr Gly Asn 325 330 335 Met Ser Ser Ala Cys Val Phe Phe Ile Met Asp Leu Met Arg Lys Lys 340 345 350 Ser Leu Lys Glu Gly Leu Lys Thr Thr Gly Glu Gly Leu Asp Trp Gly 355 360 365 Val Leu Phe Gly Phe Gly Pro Gly Leu Thr Ile Glu Thr Val Val Leu 370 375 380 Arg Ser Val Ala Ile 385 <210> 7 <211> 1101 <212> DNA <213> Oryza sativa japonica 12th chromosome insertion region <400> 7 gcctcgtcta cgaggccaac gcccgtatga gggaccccgt ctacggctgc gtcgccgcca 60 tctccttcct ccagaaccaa gtctcccagc tccagatgca gctcgccctc gcccacgccg 120 agaccgccgc cctgcaactc cagctgcagc agcagcacca agatcaagat gaccaccacc 180 accagcagtg catcctggag aatgctgctg ctcatcacca gctgatgctg caggaggcat 240 tcctcaagaa agagtccatg tggacataat tgtagtagat gctttctagt aaatctttat 300 gcttcgattg atatgatttg atgttgcaca aagatttata gtaaatcttt gtgcttgttg 360 tcttctctta cgtaatttcc ggaaagaatg aaaatgaaga acaacaattc ggtctcatta 420 gcctacctca tatccccatt tctgttcaaa tgctgtatta gcaagacaga aactgattgg 480 ctttctgaaa cacctgttgg cttcatgaac catcaattca gctcccatgc atgcacaagt 540 ttcagacaag ccttttgctt tcggagatat ggttgtttgc ttggtaaggg tcagtgatgt 600 gggacacatt aatttgtctt cacatggtct ctagttctag tacagtagga tccagatagt 660 atgtacacga actaattaag cacctcaaac caccccaaac tcaattaagt agcaggagag 720 ctaatgatat tagaagtcct gatctcacct actagattcc taagttctct acacgggaca 780 tgtgtccttt ctgtgctagg tctatatcat acctggactt cactaatact ccaaatccaa 840 tatcatacct ggagtactaa tttgtcaaat ccaatgttgt aaaataccta cgcatcagaa 900 tatgagttgg ttgatcgatc ctacaaaaca agagttgagt gcccgtgtca tcaaagggac 960 caacacagac aaaccaaagg ttgtctcttt cttgagaaag gaataatttc cagctatgct 1020 taatttggtt gtttttttta gtaatgatat attaagatgg agtcctttta acagcttgtt 1080 tttataaact tgatcatgat t 1101

Claims (18)

  1.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resveratrol synthase)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는 땅콩(Arachis hypogaea) 유래인 것인, 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것인, 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벼는 2 카피의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삽입된 것인, 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는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존재하는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 영역 내에 삽입된 것인, 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는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의 572번째 염기의 뒤에 삽입된 것인, 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벼는 수탁번호 KCTC12529BP인, 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벼는 종자 완숙시 현미의 경우 2 내지 5.3 ㎍/g, 백미의 경우 1.8 내지 4.1 ㎍/g의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것인, 벼.
  9.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피세이드를 생합성하는 것인, 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벼는 종자 완숙시 백미의 경우 1.0 내지 6.5 ㎍/g의 피세이드를 함유하는 것인, 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
  12.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형 벼는 천연형 동진벼인,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는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존재하는 서열번호 7의 염기서열 영역 내의 572번째 염기의 뒤에 삽입된 것인,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는 추가로 피세이드를 생합성하는 것인,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사성 질환은 비만, 당뇨, 고지혈증 및 고콜레스테롤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
  17.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동물 사료 조성물.
  18. 천연형 벼의 12번째 염색체에 레스베라트롤 합성 유전자가 발현가능하게 삽입되어, 레스베라트롤을 생합성하는 벼로부터 얻어지는 쌀을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 예방 및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130157626A 2012-12-17 2013-12-17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 및 이의 용도 KR1015949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47735 2012-12-17
KR1020120147735 2012-12-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8492A KR20140088492A (ko) 2014-07-10
KR101594969B1 true KR101594969B1 (ko) 2016-02-18

Family

ID=50978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626A KR101594969B1 (ko) 2012-12-17 2013-12-17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840716B2 (ko)
EP (1) EP2932825B1 (ko)
JP (1) JP6165876B2 (ko)
KR (1) KR101594969B1 (ko)
CN (1) CN105007718B (ko)
WO (1) WO201409843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75032B (zh) * 2015-07-23 2018-02-06 西南大学 一个桑树白藜芦醇合成酶基因
KR101986008B1 (ko) * 2017-06-20 2019-06-05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레스베라트롤 쌀 또는 레스베라트롤 캘러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60365A1 (en) * 1999-01-29 2000-08-03 The Samuel Roberts Noble Foundation, Inc. Transgenic plants modified to contain resveratrol glucoside and uses thereof
US6974895B1 (en) * 1999-01-29 2005-12-13 The Samuel Roberts Noble Foundation, Inc. Transgenic legume plants modified to produce resveratrol glucoside and uses thereof
EP1532247A4 (en) * 2002-07-29 2006-08-30 Monsanto Technology Llc PAVING THE EVENT PV-ZMIR13 (MON863) AN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ETECTING THEREOF
KR100773085B1 (ko) * 2004-11-25 2007-11-02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형질전환 식물체의 유전자의 분석방법
CN100523178C (zh) * 2005-01-27 2009-08-05 西北农林科技大学 中国葡萄属野生种华东葡萄芪合成酶基因序列及其应用
JP5070544B2 (ja) 2006-05-22 2012-11-14 国立大学法人島根大学 形質転換イネ、血圧降下をもたらす米、および、イネ用ベクター
KR20080012483A (ko) * 2006-08-03 2008-02-12 대한민국(관리부서:농촌진흥청)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쌀
KR100894148B1 (ko) * 2009-01-19 2009-04-20 대한민국 레스베라트롤 및 피세이드를 함유한 쌀
BRPI0900400B1 (pt) * 2009-02-10 2017-12-19 União Brasileira De Educação E Assistência Composition understanding vegetable oil and resveratrol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KR20110112783A (ko) * 2010-04-07 2011-10-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스틸빈 유도체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10136093A (ko) 2010-06-14 2011-12-21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고농도 레스베라트롤 및 피세이드를 함유한 벼 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벼 종자
KR101181572B1 (ko) * 2010-06-14 2012-09-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JP5812386B2 (ja) 2011-03-10 2015-11-11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イネ科植物の高温障害を低減させる方法、及び高温耐性イネ科植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07718A (zh) 2015-10-28
US20160040178A1 (en) 2016-02-11
JP6165876B2 (ja) 2017-07-19
EP2932825A1 (en) 2015-10-21
JP2016504027A (ja) 2016-02-12
US9840716B2 (en) 2017-12-12
EP2932825B1 (en) 2018-09-19
EP2932825A4 (en) 2016-07-20
KR20140088492A (ko) 2014-07-10
CN105007718B (zh) 2018-07-20
WO2014098438A1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is et al. Cichorium intybus L–cultivation, processing, utility, value addition and biotechnology, with an emphasis on curr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Stone et al. Comparison of sudden heat stress with gradual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during grain filling in two wheat varieties differing in heat tolerance. I. Grain growth
JP2011504728A5 (ko)
CN102933072A (zh) 大麦及其用途
Reddy et al. Sorghum improvement (1980–2010): Status and way forward
JP2018108079A (ja) 改良飼料品質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CN108660140B (zh) SlSL4基因在调控番茄果实成熟中的应用
KR100980433B1 (ko) 내냉성 식물 및 그의 개발방법
US9326968B2 (en) 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ity containing compounds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s 1-8 or sophora flavescen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594969B1 (ko) 레스베라트롤 생합성 벼 및 이의 용도
CN102827263B (zh) MuMADS2在培育果实品质改良的转基因植物中的应用
CN107190015A (zh) 玉米糖基转移酶基因ufgt2在提高植物体内黄酮含量中的应用
Behera et al. Minor cucurbits
CN108192911A (zh) 一种改良稻米中淀粉品质的方法
KR101229878B1 (ko) 쌀 또는 이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알코올 중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Goldman The root vegetables: beet, carrot, parsnip, and turnip.
CN115109133B (zh) ZmR1-CQ01等位基因及其在提高玉米花青素水平中的应用
CN101255420A (zh) 一种转基因水稻制剂的制备方法和用途
Hockett Barley
CN116254291B (zh) 一种抑制马铃薯龙葵素的方法及应用
CN104837336A (zh) 突变型番茄及其用于预防体重增加和/或治疗肥胖相关疾病的用途
Kachare et al. Water chest nut: biotechn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dvances
Kučka et al. BUCKWHEAT–A GENOMIC, TRANSCRIPTOMIC AND PROTEOMIC VIEW
Yuan et al. Diversi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Vanda tessellate, an epiphytic orchid
Elijah A Review of Yam Tuber Cultivars: Genetic Proper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