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925B1 -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925B1
KR101593925B1 KR1020140177571A KR20140177571A KR101593925B1 KR 101593925 B1 KR101593925 B1 KR 101593925B1 KR 1020140177571 A KR1020140177571 A KR 1020140177571A KR 20140177571 A KR20140177571 A KR 20140177571A KR 101593925 B1 KR101593925 B1 KR 10159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camshaft
solenoid
variable valv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7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웅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7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4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preceding subgro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9/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 F01L9/2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ctuated non-mechanically by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8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엔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 캠축의 목표 회전 위상이 최지각으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d) 솔레노이드를 구동시켜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을 유지시키는 단계, (e)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f)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축의 회전 위상을 기준으로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캠축의 회전 위상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METHOD FOR TIMING CONTROLLING OF VARIABLE VALVE}
본 발명은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캠축의 회전 위상을 기준으로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작동 상태에 따라 흡기밸브 또는 배기밸브가 개폐되는 위상(크랭크 각도)을 변화시키는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는 캠축을 회전시켜 흡기밸브 또는 배기밸브의 위상을 변화시킨다. 여기서 캠축을 회전시키는 방법은 유압으로 구동하는 유압식과 전기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전동식이 있다.
유압식의 경우, 오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 후의 오일을 처분함에 있어서 환경오염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오일이라는 구동원의 특성상, 엔진 저회전 및 고부하 상태에서는 오일압이 내려가 캠축의 위상 변화 가능 영역이 제한되는 문제점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유압식을 대신하여 전기모터를 이용한 전동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전동식은 전기모터를 구동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온도와 무관하고 따라서, 엔진 저회전 및 고부하 상태에서도 캠축의 위상 변화 가능 영역이 제한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출원번호 제10-2013-0158905(2013.12.19)호에 기재된 전동식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의 도면이다. 전동식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는 구동부(40)를 포함하며, 구동부는 복수의 솔레노이드(41)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41)가 제2 기어(G2)의 회전 위상을 제3 기어(G3) 전달함에 따라 제3 기어(G3)는 제1 기어(G1)에 회전 위상을 전달할 수 있고, 이후 전기모터(M)가 공급하는 전력을 제거하더라도 솔레노이드(41)에 의해 캠축(16)의 변경된 위상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솔레노이드(41)의 정확한 동작을 통한 회전 위상의 전달은 캠축(16)의 변경된 위상 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하며, 그러한 솔레노이드(41)가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3474호(2005.01.10)
본 발명은 캠축의 회전 위상을 기준으로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과 동시에 변경된 캠축의 위상 학습을 할 수 있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은 본 발명은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엔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 캠축의 목표 회전 위상이 최지각으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d) 솔레노이드를 구동시켜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을 유지시키는 단계, (e)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f)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축의 회전 위상을 기준으로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캠축의 회전 위상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a)단계 이전에, (a-1) 전기모터가 캠축의 회전 위상 변경을 완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e)단계에서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으로 유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f)단계에서 솔레노이드는 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e)단계에서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으로 유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f)단계에서 솔레노이드는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f)단계 이후에, (g) 정상 상태에 대한 정상 판정 변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f)단계 이후에, (g) 비정상 상태에 대한 정상 판정 변수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g)단계 이후에, (h) 캠축의 회전 위상 학습을 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h)단계의 캠축의 회전 위상 학습은, 크랭크 센서와 캠센서가 제어부에 전송한 크랭크축의 위상 및 캠축의 위상을 제어부에 기 저장된 크랭크축의 위상 및 캠축의 위상과 비교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크랭크 센서와 캠센서가 제어부에 전송한 크랭크축의 위상 및 캠축의 위상을 제어부에 기 저장된 크랭크축의 위상 및 캠축의 위상과 비교하였을 때, 소정 범위 오차가 발생하여도 유효한 것일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제어부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일 수 있으며, 상기 (a)단계에서 엔진의 현재 상태는 퓨얼컷(Fuel Cut)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캠축의 회전 위상을 기준으로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별도의 부가적인 구성 없이, 전동식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캠축의 회전 위상 학습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하는데 별도의 부가적인 구성 없이, 전동식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전동식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전동식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으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으며,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하는 표현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도 2는 전동식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의 전체적인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S120단계를 구체화 시킨 것이며, 도 3의 단계가 최소 1회 이상 수행된 이후에는 도 2의 S120단계에서 도 3의 단계를 반드시 매번 동일하게 수행해야 할 필요는 없다. 이는 해당 부분에서 자세히 설명하며 이하, 도 3의 단계가 최초 수행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은 도 1에 첨부된 전동식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에서 구체적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이하, 도 1의 도면부호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이 개시되기 전에 전기모터(M)에 의해 캠축(16)의 회전 위상이 변경된다(S110). 캠축(16)이 전기모터(M)를 포함하는 감속기(18)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기모터(M)에 의해 캠축(16)의 회전 위상이 변경되면 솔레노이드(41)의 상태 판단을 위한 본격적인 과정이 개시된다(S120). 이하,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50)는 제일 먼저 엔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한다(S210). 구체적으로 엔진의 현재 상태가 퓨얼컷(Fuel Cut) 상태인지 판단한다. 퓨얼컷 상태란,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밟아 엔진에 연료가 공급되어 차량의 엔진 RPM이 상승하고 가속된 상태에서, 가속페달에서 발을 뗌으로 인해 엔진의 연료 공급이 중단되어도 가속에 의한 관성의 힘으로 차량이 계속 달릴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즉, 차량이 달리다가 가속페달에서 발을 떼버린 상태를 말한다. 엔진이 퓨얼컷 상태인지 판단하는 이유는 이후에 개시될 캠축(16)의 회전 위상 학습 단계에 있어서 차량의 연비 및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는 상태에서 학습을 개시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퓨얼컷 상태뿐만 아니라 차량의 연비 및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고, 엔진의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상태에서도 캠축(16)의 회전 위상 학습 개시는 가능하므로, 제어부(50)는 엔진이 그러한 상태에 있는지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엔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50)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와 같은 차량의 제어장치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어부가 존재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제어부만 엔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제어부 모두가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50)에 의해 엔진의 현재 상태가 판단되었다면, 이후 캠축(16)의 목표 회전 위상이 최지각으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S220). 최지각이란 캠축(16)이 물리적으로 최대한 변경될 수 있는 회전 위상을 의미한다. 즉, 캠축(16)은 최지각 이상으로는 회전 위상이 변경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캠축(16)의 회전 위상은 엔진 RPM 별로 ECU와 같은 제어부에 맵핑(Mapping)되어 있으므로, 캠축(16)의 회전 위상 학습을 위해 임의로 맵핑된 회전 위상을 변경할 수는 없으며, 변경하는 경우 차량의 연비 및 성능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하지만 캠축(16)의 회전 위상 학습을 위해서는 캠축(16)을 물리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위상을 선택하여 학습을 진행해야 하므로, 차량의 연비 및 성능에 영향을 주지 않은 상태인 퓨얼컷 상태에서 캠축(16)의 회전 위상 학습을 개시하는 것이다.
캠축(16)의 목표 회전 위상이 최지각으로 설정되었으면, 제어부(50)는 캠축(16)의 실제 회전 위상이 S220단계에서 설정된 목표 회전 위상인 최지각과 동일해졌는지 판단한다(S230). 이 경우, 전기모터(M)에 의해 최초 변경(S110)된 캠축(16) 회전 위상과 목표 회전 위상으로 설정된 최지각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제어부(50)는 소정 시간 이후 캠축(16)의 회전 위상이 수렴하는 구간을 기준으로 최지각과 동일한지 판단해야 할 것이다.
캠축(16)의 실제 회전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으로 설정된 최지각과 동일하다면, 제어부(50)는 솔레노이드(41)를 구동시킨다(S240). 구체적으로 솔레노이드(41)는 캠축(16)이 S220단계에서 설정된 목표 회전 위상인 최지각을 유지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구동되어야 한다. 즉, 솔레노이드(41)의 구동에 의해 최지각이 유지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41)가 구동되면 솔레노이드(41)는 제2 기어(G2)의 회전 위상을 전달받으며, 제3 기어(G3)는 제2 기어(G2)의 회전 위상을 그대로 전달받게 된다. 그로 인해 제3 기어(G3)의 회전 위상은 제1 기어(G1)로 전달되어 캠축(16)이 전달받은 회전 위상에 따라 회전을 개시하게 된다. 여기서 솔레노이드(41)는 복수 개일 수 있으며, 복수 개인 경우 모든 솔레노이드(41)가 제2 기어(G2)와 연결되어 솔레노이드(41)의 회전 위상을 제2 기어(G2)로 전달해야 할 것이다.
솔레노이드(41) 구동이 개시되면 제어부(50)는 캠축의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으로 설정된 최지각을 유지하는지 판단한다(S250). 여기서 솔레노이드(41)의 상태가 정상 상태인지 비정상 상태인지가 판가름난다. 솔레노이드(41)가 정상 상태라면, 캠축(16)의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으로 설정한 최지각으로 유지될 것이며(S260), 솔레노이드(41)가 비정상 상태라면, 캠축(16)의 위상이 최지각으로 유지되지 않을 것이다(S270). 솔레노이드(41)는 제2 기어(G2)의 회전 위상을 제3 기어(G3)에 그대로 전달해야하므로, 솔레노이드(41)가 비정상 상태이면 제2 기어(G2)의 회전 위상이 제3 기어(G3)에 그대로 전달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이후, 솔레노이드(41)의 상태가 정상 상태이든, 비정상 상태이든 무관하게 제어(50)부는 솔레노이드(41)의 정상 판정 변수를 저장한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41)가 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예를 들어 '정상'이라는 변수가 저장(S280)될 수 있으며,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된 경우 '비정상'이라는 변수가 저장(S290)될 수 있다. 여기서 변수는 '정상' 및 '비정상'뿐만 아니라 솔레노이드(41)의 상태를 구별할 수 있는 변수면 어떠한 형식으로라도 저장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41)가 정상 상태인 경우 '1'을 저장하고, 비정상 상태인 경우 '2'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50)는 솔레노이드(41)의 정상 판정 변수가 저장되기 전에 '미판정'이라는 최초 변수를 저장하고, 상태가 판단된 이후에 최초 변수를 변경하여 저장하거나 또는 최초 변수 자체를 저장하지 않을 수도 있다. 아울러 제어부(50)에 저장된 정상 판정 변수는 상기 설명한 S210 내지 S290 단계가 수행될 때마다 새롭게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솔레노이드(41)의 상태가 정상 상태라고 판단되어 제어부(50)에 '정상'이라는 정상 판정 변수가 저장됐다면, 캠축(16)의 회전 위상 학습이 개시된다(S300). 차량에 존재하는 엔진 크랭크축과 흡기부 또는 배기부의 캠축(16)에 있어서, 캠축(16)이 열리는 시기와 닫히는 시기 모두 크랭크축의 위상을 기준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크랭크축의 기준 위상과 캠축(16)의 기준 위상을 지속적으로 점검을 해야 하고, 이를 캠축(16)의 위상 학습이라고 한다. 구체적으로 차량의 ECU와 같은 제어부에는 물리적인 크랭크축의 위상과 캠축(16)의 위상이 기 저장되어 있으며, 크랭크 센서와 캠센서가 각각 크랭크축의 위상과 캠축(16)의 위상을 제어부(50)에 전송하여 기 저장된 크랭크축의 위상과 캠축(16)의 위상과 비교한다. 한편, 비교결과 크랭크 센서와 캠센서가 전송한 크랭크축의 위상과 캠축(16)의 위상이 제어부에 기 저장된 크랭크축의 위상과 캠축(16)의 위상과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고 소정범위의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학습은 유효하다. 이는 크랭크축과 캠축(16)에는 항상 공차가 존재하며, 차량의 엔진 수명이 늘어날수록 크랭크축과 캠축(16)을 연결하는 타이밍 벨트(체인)도 함께 노화되므로, 이를 고려한다면 소정범위의 오차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학습으로 유효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후, 비교가 완료되었으면 학습을 종료한다.
한편, 솔레노이드(41)의 상태가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되어 제어부(50)에 '비정상'이라는 정상 판정 변수가 저장됐다면, 학습은 개시되지 않으며,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은 그대로 종료된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에 의해 캠축(16)의 회전 위상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주는 솔레노이드(41)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으며, 동시에 캠축(16)의 회전 위상 학습도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솔레노이드(41)의 상태 판단을 위해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이 요구됨 없이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의 기본 구성만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3의 단계 솔레노이드(41)의 정상 상태로 종료되면, 솔레노이드(41)가 캠축(16)의 회전 위상을 목표 회전 위상으로 설정한 최지각으로 유지시키고 있으므로, 최지각을 전기모터(M)에 따른 캠축(16)의 회전 위상으로 변경해야 한다. 즉, 상기 과정들은 제어부(50)에 솔레노이드(41)의 상태 판정 변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상기 S210 내지 S300단계가 최소 1회 이상은 수행되어야 한다. 아울러 S210 내지 S300단계가 반복되면 될수록 캠축(16)의 회전 위상 학습도 반복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솔레노이드(41)의 상태 판단이 종료되었으므로 다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아울러, 이하 설명할 단계는 상기 설명한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이 최소 1회 이상 수행되어 제어부에 상태 판정 변수가 저장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제어부(50)는 저장된 상태 판정 변수가 '비정상'이면, 전동식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의 제어 로직 자체를 종료한다. 하지만 저장된 상태 판정 변수가 '정상'이면 제어부(50)는 솔레노이드(41)를 구동시킨다(S130). 솔레노이드(41)가 구동되면 솔레노이드(41)는 제2 기어(G2)의 회전 위상(S110단계에서 전기모터에 의해 설정된 캠축의 위상)을 전달받으며, 제3 기어(G3)는 제2 기어(G2)의 회전 위상을 그대로 전달받게 된다(S140). 그로 인해 제3 기어(G3)의 회전 위상은 제1 기어(G1)로 전달되어 캠축(16)이 전달받은 회전 위상에 따라 회전을 개시하게 되고(S150), 이후 전기모터(M)의 전력 공급을 중단한다(S160). 이 경우 전기모터(M)에 의해 전력 공급이 중단된다 하여도 솔레노이드(41)에 의해 캠축(16)의 회전 위상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은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특징을 포함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솔레노이드 상태 판단 장치는 제어부(50)가 될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50)는 엔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엔진 상태 판단부, 캠축(16)의 목표 회전 위상을 최지각으로 설정하는 목표 회전 위상 설정부, 캠축(16)의 회전 위상이 최지각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회전 위상 동일성 판단부, 솔레노이드의 구동을 개시하게 하는 솔레노이드 구동부, 캠축(16)의 회전 위상이 최지각을 유지하는지 판단하는 회전 위상 유지 판단부, 솔레노이드(41)의 상태를 판단하는 솔레노이드 상태 판단부, 정상 판정 변수를 저장하는 정상 판정 변수 저장부, 회전 위상 학습에 대한 회전 위상 학습부 등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중복 서술을 피하기 위해 자세히 기재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설명한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의 기술적 특징 및 효과는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에도 당연히 유추되어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6: 캠축
18: 감속기
M: 전기모터
G1: 제1 기어 G2: 제2 기어 G3: 제3 기어
40: 구동부 41: 솔레노이드
50: 제어부

Claims (11)

  1. 전동식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의 제어부가 가변 밸브 타이밍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엔진의 현재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b) 캠축의 목표 회전 위상이 최지각으로 설정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
    (c)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과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d) 솔레노이드를 구동시켜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을 유지시키는 단계;
    (e)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으로 유지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f) 솔레노이드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이전에,
    (a-1) 위상 가변 모터가 캠축의 회전 위상 변경을 완료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으로 유지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f)단계에서 솔레노이드는 정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단계에서 캠축의 실제 회전 위상이 목표 회전 위상으로 유지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f)단계에서 솔레노이드는 비정상 상태라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 이후에,
    (g) 정상 상태에 대한 정상 판정 변수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f)단계 이후에,
    (g) 비정상 상태에 대한 정상 판정 변수를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g)단계 이후에,
    (h) 캠축의 회전 위상 학습을 개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h)단계의 캠축의 회전 위상 학습은,
    크랭크 센서와 캠센서가 제어부에 전송한 크랭크축의 위상 및 캠축의 위상을 제어부에 기 저장된 크랭크축의 위상 및 캠축의 위상과 비교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축의 회전 위상 학습은,
    크랭크 센서와 캠센서가 제어부에 전송한 크랭크축의 위상 및 캠축의 위상을 제어부에 기 저장된 크랭크축의 위상 및 캠축의 위상과 비교하였을 때, 소정 범위 오차가 발생하여도 유효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엔진의 현재 상태는,
    퓨얼컷(Fuel Cut)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KR1020140177571A 2014-12-10 2014-12-10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KR10159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71A KR101593925B1 (ko) 2014-12-10 2014-12-10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7571A KR101593925B1 (ko) 2014-12-10 2014-12-10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925B1 true KR101593925B1 (ko) 2016-02-15

Family

ID=5535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7571A KR101593925B1 (ko) 2014-12-10 2014-12-10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9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255B1 (ko) * 2016-06-30 2017-11-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8376A (ja) 2006-01-26 2007-08-09 Delphi Technologies Inc 可変カム位相装置
WO2008041282A1 (fr) 2006-09-29 2008-04-10 Nittan Valve Co., Ltd. Dispositif de commande de soupape de moteur
KR100893842B1 (ko) 2006-08-30 2009-04-17 도요타 지도샤(주)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8376A (ja) 2006-01-26 2007-08-09 Delphi Technologies Inc 可変カム位相装置
KR100893842B1 (ko) 2006-08-30 2009-04-17 도요타 지도샤(주) 내연기관의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기
WO2008041282A1 (fr) 2006-09-29 2008-04-10 Nittan Valve Co., Ltd. Dispositif de commande de soupape de moteu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6255B1 (ko) * 2016-06-30 2017-11-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US10823089B2 (en) 2016-06-30 2020-11-03 Hyundai Kefico Corporation 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ration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07559093B (zh) * 2016-06-30 2021-05-11 现代凯菲克株式会杜 连续可变阀门持续时间系统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3388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acceleration
CN102575534B (zh) 内燃机的启动控制装置
CN107264514B (zh) 车辆控制装置和车辆控制方法
CN114103916A (zh) 车辆用控制装置、车辆用控制系统以及车辆用学习装置
CN110356384B (zh) 起动控制装置及方法
US9803569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tart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10174684B2 (en) Method of controlling 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system for limp-home
JP2015178798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593925B1 (ko)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 방법
KR100779843B1 (ko) 가변 밸브 타이밍 장치의 펄스폭 변조 제어 방법
US10760542B2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0116842A (ja) 電子スロットル弁制御装置
KR20160011828A (ko) 엔진의 가변 기통정지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1646388B1 (ko) 엔진의 노킹제어방법
JP2007192156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810969B2 (ja) 可変動弁機構の制御装置及びエンジンの可変動弁機構
KR102108801B1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KR101957518B1 (ko) 다단 vvl 시스템 제어방법 및 이를 통해 제어되는 엔진
JP2022029749A (ja) エンジン制御装置
KR102552081B1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17061883A (ja) エンジン停止制御装置
JP5374471B2 (ja) エンジン回転停止制御装置
JP2020169583A (ja) 内燃機関始動時バルブ位相確定方法及び車両動作制御装置
JP2008051111A (ja) 内燃機関の弁駆動システム
JP5088044B2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