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801B1 -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801B1
KR102108801B1 KR1020180094959A KR20180094959A KR102108801B1 KR 102108801 B1 KR102108801 B1 KR 102108801B1 KR 1020180094959 A KR1020180094959 A KR 1020180094959A KR 20180094959 A KR20180094959 A KR 20180094959A KR 102108801 B1 KR102108801 B1 KR 102108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uration
variable valve
continuously variable
control
f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9435A (ko
Inventor
원민규
문치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8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00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 F01L1/3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 F01L1/344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 F01L1/3442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e.g. lift-valve gear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means for changing the timing of the valves without changing the duration of opening and without affecting the magnitude of the valve lift changing the angular relationship between crankshaft and camshaft, e.g. using helicoidal gear using hydraulic chambers with variable volume to transmit the rotating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13/00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 F01L13/0015Modifications of valve-gear to facilitate reversing, braking, starting, changing compression ratio, or other specific operations for optimising engine performances by modifying valve lift according to various working parameters, e.g. rotational speed, load,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13/00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 F02D13/02Controlling the engine output power by varying inlet or exhaust valve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timing during engine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00/00Methods of operation using a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
    • F01L2800/11Fault detection, diagnos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LCYCLICALLY OPERATING VALVES FOR MACHINES OR ENGINES
    • F01L2800/00Methods of operation using a variable valve timing mechanism
    • F01L2800/12Fail safe ope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utput Control And Ontrol Of Special Type Engine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의 밸브 열림 시간을 조절하는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CVVD, continiuosly variable vavle timing) 기구 및 밸브 듀레이션을 가변 조절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CVVD, 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ration) 기구가 구비된 차량의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으로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차량의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 가능 여부 및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에 의한 밸브 듀레이션 변경 가능 여부에 따라 고장 발생 유형을 정의하고, 정의된 고장 발생 유형에 따라 페일 세이프티 방법을 결정함으로써, 고장 유형에 가장 적합한 세이프티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FAIL SAFETY OF CONTINUOSLY VARIABLE VALVE DURATION SYSTEM}
본 발명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고장 발생 원인에 따라 적절한 페일 세이프티 제어를 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은 특정한 회전대역(rpm)에서 최대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흡배기 밸브의 개폐 타이밍이 정해져 있다. 따라서, 저속의 회전 대역에서는 혼합기의 팽창과 폭발을 위해 밸브 개폐 타이밍을 늦추어야 하고, 고속의 회전 대역에서는 폭발한 혼합기의 배출을 위해 개폐 타이밍을 빨리해야 한다. 그런데 밸브 타이밍을 저속에 맞추게 되면 고속 회전 시 혼합기의 배출이 늦어지고, 고속에 맞추게 되면, 저속회전 때 혼합기의 압축이 늦어져 결국 엔진의 효율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이 문제를 없애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 가변밸브 타이밍(Continuously Variable Valve Timing, CVVT) 기술로서, 밸브 듀레이션을 고정한 상태에서 밸브의 개폐 타이밍을 엔진의 회전수에 맞게 바꾸어 줌으로써 고속과 저속에서 동시에 높은 연비와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방식이다. 이러한 가변 밸브 타이밍 기술의 경우, 밸브 열림 시점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나, 밸브 듀레이션을 변경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밸브 듀레이션을 변경하기 위한 기구로서, 밸브가 엔진 회전수에 따라 다른 리프트로 동작하도록 구현되는 CVVL(Continuously Variable Valve Lift)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CVVL 시스템의 경우 밸브 듀레이션이 가변되지만 동시에 밸브 리프트가 그에 종속하여 변화하기 때문에, 제어의 자유도가 떨어져 엔진의 연소 특성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었다. 특히, 흡기와 배기 밸브의 오버랩을 충분히 활용하기 위해 흡기 밸브를 지각시키는 경우 성능의 손실을 감수해야 했으며, 성능을 높이기 위해 밸브를 진각시키는 경우 그만큼 연비가 악화되는 것을 해결할 방법이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된 바와 같은 가변 밸브 듀레이션(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lation appratus; CVVD)이다. CVVD 기술의 경우, CVVT 기술과 연동하면 밸브 리프트의 변화 없이 밸브 열림 타이밍과 밸브 듀레이션을 효과적으로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밸브의 개방/폐쇄 시점을 독립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최적의 밸브 개폐 시점을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엔진의 운전 영역별 최적의 듀레이션을 적용하여 각 영역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엔진과 연비 성능의 트레이드 오프(trade-off) 한계를 극복할 수 있게 되었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3819호(2013. 6. 17)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경우, 캠 샤프트 회전 위치 센서를 이용하여, 캠 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타겟 휠의 펄스 신호로부터 밸브의 끝단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상이하게, CVVD 액추에이터를 구동하는 BLDC 모터의 홀 센서 값을 카운팅하여 밸브의 위치를 판단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밸브를 기동시키는 시작점( CVVD 액추에이터의 숏 사이드)의 정보를 통해 밸브 끝단의 위치를 유추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는 액추에이터 및 기타 기구부의 파손이 없다는 가정 하에서만 유효하며, CVVD 액추에이터나 기구부에 이상이 발생하여 밸브 듀레이션을 조정할 수 없거나 또는 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정보가 누락되어 현재의 밸브 위치를 특정할 수 없게 되는 경우 정상적인 차량의 운행이 불가하게 된다.
이 경우, 고장 발생 원인과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엔진의 성능을 제한하는 림폼 모드로 운전 모드를 전환하거나, 고장 상황에 따른 적절힌 페일 세이프티 제어가 뒤따르지 않는 경우, 불필요하게 엔진의 성능을 저하시키거나 또는 대기 오염과 관련된 배기 가스 기준을 초과하여 배기 가스를 배출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나아가 경우에 따라서는 운전자를 위험에 빠지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CVVD 액추에이터나 기타 기구부에서의 페일 발생 시에 어떠한 방법으로 회복을 시도할지 그리고, 고장 확정 시에 어떠한 방법으로 CVVD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가장 운전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을지에 대한 페일 세이프티 전략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 내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회복 가능한 고장의 경우 그 회복이 가능하도록, 고장 목적에 따른 적절한 페일 세이프티 제어가 가능한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의 밸브 열림 시간을 조절하는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 및 밸브 듀레이션을 가변 조절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가 구비된 차량의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으로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고,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차량의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 가능 여부 및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에 의한 밸브 듀레이션 변경 가능 여부에 따라 고장 발생 유형을 정의하고, 정의된 고장 발생 유형에 따라 페일 세이프티 방법을 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장 발생 유형은, 밸브 듀레이션이 인지 가능하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가 물리적으로 동작 가능한 상태인 제1 유형, 밸브 듀레이션이 인지 가능하나,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에 의한 밸브 듀레이션 변경이 불가한 상태인 제2 유형,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가 불가능하나,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에 의한 밸브 듀레이션 변경 가능한 상태인 제3 유형 및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 및 밸브 듀레이션 변경이 모두 불가한 제4 유형으로 정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장 발생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정의되는 것인 경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의 CVVD 액추에이터의 제어 축의 위치를 소정의 림폼 위치로 제어하는 것과 더불어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정상 제어함으로써, 페일 세이프티 제어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장 발생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정의되는 것인 경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물리적인 스턱을 해소하기 위한 안티 스턱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페일 세이프티 제어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장 발생 유형이 제3 유형으로 정의되는 것인 경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의 CVVD 액추에이터의 제어 축의 위치를, 최소 듀레이션에 대응되는 위치인 숏 사이드로 강제 이동시킨 후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고장 발생 직전의 밸브 듀레이션에 근거하여 엔진을 제어함으로써, 페일 세이프티 제어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고장 발생 유형이 제4 유형으로 정의되는 것인 경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고장 발생 직전의 밸브 듀레이션에 근거하여 엔진을 제어함으로써 페일 세이프티 제어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3 유형 및 제4 유형에 의한 페일 세이프티 제어 시에, 엔진의 성능을 제한하는 림폼 제어를 함께 실시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유형에 대한 페일 세이프티 제어 시에 안티 스턱 제어의 결과 스턱이 해소되는 경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를 정상 제어한다.
안티 스턱 제어의 실행 후에도 스턱이 해소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엔진의 성능을 제한하는 림폼 제어를 실시한다.
제3 유형 및 제4 유형에 대한 페일 세이프티 제어 시, 필요 시에는 CVVD 액추에이터의 제어 축의 제어 범위를 재학습함으로써, CVVD 액추에이터의 제어 축의 현재 위치를 다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고장 상황을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구분하고, 구분된 각 상황에 따라 적절한 페일 세이프티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회복 가능한 고장의 경우 고장 상태가 회복 될 수 있도록 하고, 회복 불가의 고장 시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한 림폼 모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장이 확정된 경우 운전자로 하여금 정비를 받을 수 있는 장소로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정확한 밸브 위치의 연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잘못된 공연비 제어에 따른 배출 가스의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2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은, 흡입 공기 및 배기 공기의 연소실 입출입을 제어하는 흡·배기 밸브의 열림 시간을 조절하는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00) 및 밸브 리프트의 듀레이션을 조절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200)를 포함한다.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200)는 도 2에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홀 센서를 구비한 구동원인 모터(212)와 제어 축(211)으로 이루어지는 CVVD 액추에이터(210) 및 캠 샤프트(300)와 제어 축(211) 사이에 구비되는 기구들(213, 214, 215)로 이루어진다. 모터(212)에 의해 제어 축(211)이 회전함에 따라 기어(213)를 통해 그 회전력이, 도시되지 않은 캠 베어링에 의해 캠 샤프트(300)를 지지하는 하우징(214)에 전달되어, 하우징(214)을 슬라이드 이동하게 한다. 캠 샤프트(300)에는, 흡·배기 밸브의 밸브 리프트를 제어하는 캠이 구비되며, 여기서 캠은 그 회전 중심 위치가 캠 샤프트(300)의 회전 중심 위치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제어 축(211)이 회전에 따라 하우징(214)이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캠과 캠 샤프트(300)의 회전 중심에 상대적인 변화가 발생되며, 이때, 캠 샤프트(300)의 회전을 캠에 전달하는 연결 링크(215)의 작동에 의해 캠이 캠 샤프트(300)와 동일하지 않는 위상으로 회전함으로써, 밸브 듀레이션이 변경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서는 모터(212)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밸브 듀레이션을 변경한다. 따라서, 밸브 듀레이션을 정확하게 인지하기 위해서는 홀 센서를 이용하여 모터의 회전 위치, 정확하게는 제어 축(211)의 회전 위치를 정확히 판단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제어 축(211) 회전각도가 0°에서 173°인 경우, 0°는 숏 사이드 위치를 173°는 롱 사이드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모터(212)의 목표 각도를 0°로 함은 제어 축(211)의 현재 위치를 숏 사이드 위치로 보내기 위한 조건이며, 여기서 숏 사이드의 위치는 차량의 시동 시의 캠 샤프트(300)의 위치로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의 최소값이며, 롱 사이드의 위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의 최대값이 된다. 그리고, 현재의 밸브 듀레이션은 상기한 숏 사이드와 롱 사이드의 위치와의 관계에서 상대적인 위상이 특정됨으로써 결정된다.
따라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200)에 의해 밸브 듀레이션을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해서는, 숏 사이드와 롱 사이드 각각에서의 모터(212)의 제어값을 통해, CVVD 액추에이터(210)의 제어 축(211)의 제어 범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으며, 동시에, 그에 대한 상대값인 현재의 제어 축(211)의 위치를 명확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만약, 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정보가 누락되거나, 홀 센서에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현재 제어 축의 위치를 명확히 특정할 수 없게 되어, 밸브 듀레이션을 인지 불가한 상태가 된다.
또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의 CVVD 액추에이터(210) 및 각 기구부(213, 214, 215)에 물리적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밸브 듀레이션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하게 된다.
도 3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을 구성하는 연속 가변밸브 타이밍 기구(100)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속 가변밸브 타이밍 기구(100)는, 엔진의 흡배기를 조절하는 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캠 샤프트(300)의 일단과 연결되고, 오일 컨트롤 밸브(400), 밸브 타이밍 검출 수단(500) 및 오일 컨트롤 밸브(400)와 밸브 타이밍 검출 수단(500)을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00)는, 하우징(110)과, 도시되지 않은 흡·배기 밸브의 캠 샤프트(300)의 일단과 연결되고 하우징(110)의 내주에 삽입되는 로터 베인(120)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로터 베인(120)의 각 베인으로 나누어진 공간인, 다수의 진각실(130)과 지각실(14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 베인(120)의 복수의 베인 중 적어도 일부에는 내연 기관의 크랭크 샤프트(도시되지 않음)에 대한 캠 샤프트(300)의 회전 위상을 특정 각도로 고정하기 위한 록 기구(150)가 형성되어 있다.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100)구는 오일 컨트롤 밸브(400)로부터 진각 유로(135) 및 지각 유로(145)를 통해 가변밸브 기구(100)의 진각실(130) 및 지각실(140)로 공급되는 오일의 공급량을 조절함으로써, 크랭크 샤프트에 대한 캠 샤프트(300)의 회전 위상을 최진각 위상과 최지각 위상 사이에서 변화시켜 밸브 타이밍을 가변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밸브 타이밍을 진각 모드로 변경시킬 경우, 오일 컨트롤 밸브(400)는 지각실(140)로 오일이 공급되는 지각유로(145)를 차단하는 한편, 듀티 제어에 따라 진각실(130)로의 진각 유로(135)를 개방하여 진각실(130)에 오일을 공급해 진각실 (130) 내의 유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캠 샤프트(300)의 위상을 진각시킨다.
또한, 밸브 타이밍을 지각 모드로 변경시킬 경우, 오일 컨트롤 밸브(400)는 진각실(130)로 오일이 공급되는 진각유로(135)를 차단하는 한편, 듀티 제어에 따라 지각실(140)로의 지각 유로(145)를 개방하여 지각실(140)에 오일을 공급해 지각실 (140) 내의 유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캠 샤프트(300)의 위상을 지각시킨다.
제어부(600)는 엔진의 회전 대역에 따라 최적의 밸브 타이밍을 산출하여 이를 기초로 목표 밸브 타이밍을 설정한다. 그리고, 목표 밸브 타이밍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필요한 캠 샤프트(300)의 회전 위상 변경 각도를 산출하고, 이를 기초로 오일 컨트롤 밸브(400)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600)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200)의 모터(212)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밸브 듀레이션을 제어한다.
밸브 타이밍 검출 수단(500)은 캠 샤프트(300)와 동축으로 구비되는 타겟 휠(310)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캠 샤프트 회전 각도 센서(510) 및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크랭크 샤프트 회전 각도 센서(520)로 이루어진다.
제어부(500)는 캠 샤프트 회전 각도 센서(510) 및 크랭크 샤프트 회전 각도 센서(520)로부터 각각 캠 샤프트의 회전 각도 및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각도를 읽어들인 후, 캠 샤프트의 회전 각도로부터 크랭크 샤프트의 회전 각도를 감산함으로써, 가변밸브 타이밍 기구에 의한 밸브 타이밍의 실제 변경 각도를 산출해 낼 수 있다.
상기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00)와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200)를 구비함으로써, 밸브 타이밍과 밸브 듀레이션을 각각 상이한 기구를 통해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어부(600)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서 고장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10).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장 항목들에 대해서 하기의 표 1에서 예시하고 있다. 이들 고장 항목에 해당하는 고장 발생 여부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 및 차량에 설치된 각종 센서를 통해서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CVVD 과온은 시스템 내에 설치된 온도 센서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CVVD의 과전압 또는 과전류는 시스템 내에 설치된 전류계 및 전압계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홀 센서 에러의 경우 홀 센서로부터 제어부(600)로 전달되는 정보의 무결성 평가를 통해 판단할 수 있다.
[표 1]
Figure 112018080381395-pat00001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면, 제어부(600)는 먼저 현재의 밸브 듀레이션이 인지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20). 상기 표 1에서 개시된 고장 발생 유형 중 예컨대 홀 센서 에러 발생의 경우, 홀 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정보가 누락되거나 정보 전달이 중단된 상태로서,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반면 캠 샤프트 회전 각도 센서 에러(Angle 센서 에러) 발생의 경우, 홀 센서의 측정 결과로부터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가 가능하므로,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가 가능한 상태이다.
밸브 듀레이션 인지 가능 여부를 판단한 다음, 제어부(600)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200)에 의해 목적하는 밸브 듀레이션으로 변경이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0, S40). 상기 표 1에서 개시된 고장 발생 유형 중 예컨대 CVVD 과온의 경우 CVVD 액추에이터에 과열이 발생한 것이므로,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가 가능하며 또한 밸브 듀레이션의 변경도 가능한 상태이다. 한편, 고장 유형 중, 제어부(600)에 의한 제어 명령에 따른 CVVD 액추에이터의 응답성이 저하된 상태(Slow response)의 경우는,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는 가능하나, 목표로 하는 밸브 듀레이션으로의 변경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제어부(600)는, 고장 상황 하에서 밸브 듀레이션 인지 가능 여부(S20) 및 밸브 듀레이션 변경 가능 여부(S30, S40)의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고장 유형을 제1 유형(S50), 제2 유형(S60), 제3 유형(S70) 및 제 4 유형(S80)으로 정의한다.
제1 유형은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가 가능하며 또한 밸브 듀레이션의 변경도 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유형은, 밸브 듀레이션의 정상 제어가 가능한 상태이나, CVVD 액추에이터(210)의 과열 발생과 같은 일시적인 문제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의 제어를 일시 중지하여야 하는 경우의 고장 유형이다.
상기한 고장 유형의 경우, 밸브 듀레이션의 정상 제어가 가능하지만 시스템의 손상을 방지하여 일시적으로 제어를 중단하여야 하는 상황이므로, 먼저 제어부(600)는 CVVD 액추에이터(200)의 모터(212)를 제어하여 제어 축(211)의 위치가 소정의 림폼 위치에 있도록 한다(S90). 여기서 림폼 위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 구비된 CVVT 기구(100)가, 종래의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 단독으로 적용된 경우와 마찬가지의 제어를 할 수 있는 밸브 듀레이션의 위치이다. 바람직하게는 CVVD 액추에이터(210)의 숏 사이드와 롱 사이드 사이의 위치로서 중간 정도의 밸브 듀레이션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VVD 액추에이터(210)의 림폼 위치로의 제어 이후에는, 더 이상의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제어를 실시하지 않는다. 다만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00)에는 고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00)는 정상 제어(S100)하여, 밸브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1 유형으로 정의되는 고장 발생의 경우, 엔진의 성능을 제한하는 림폼 모드로 엔진을 제어하지 않고, 밸브 듀레이션을 소정의 림폼 위치로 이동시킨 다음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만을 구비한 시스템과 마찬가지의 제어를 실시한다. 이를 통해 엔진의 성능을 과도하게 제약하지 않으면서 정상 운전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제2 유형은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가 가능하지만, 목표로 하는 밸브 듀레이션의 변경이 불가한 상태이다. 이는 엔진 제어기(ECU)로부터 목표 위치를 명령받아 제어부(600)가 CVVD 액추에이터(210)에 제어 명령을 내렸음에도 해당 위치로의 밸브 듀레이션의 변경이 불가능한 상황을 의미한다. 이는 CVVD 액추에이터(210) 또는 각 기구부(213, 214, 215)의 스턱(stuck)이 발생하여 모터(212)에 회전 동력이 밸브 듀레이션 변경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600)는 스턱 상태를 해소할 수 있는 안티 스턱(anti-stuck) 제어를 실행한다(S110). 안티 스턱 제어로는, 예컨대 단시간 동안 제어 축(211)의 제어 범위 내에서 정방향과 역방향 제어 듀티를 모터(212)에 수차례 교호로 반복 인가시켜 스턱 상태를 해방시키는 제어가 있다. 이외에도 기구부의 스턱 상태를 해소하기 위해 통상 사용되는 제어라면 본 발명의 안티 스턱 제어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600)는 안티 스턱 제어의 결과 스턱 상태가 해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20). 바람직하게는 안티 스턱 제어를 실시한 후, 목표로 하는 듀레이션 위치에 대응되는 제어 듀티를 모터(212)에 인가하고, 홀 센서등을 통해 제어 축(211)의 실제 회전 이동 위치가 목표 위치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통해 해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스턱 해제에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 고장 원인이 해소되었으므로, 제어부(600)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을 정상 제어한다(S150). 만약 안티 스턱 제어에도 불구하고 스턱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밸브 듀레이션의 정상 제어가 불가한바, 제어부(600)는 CVVD 액추에이터(210)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S130)한다. 그리고, 엔진의 성능을 제한하는 림폼 모드로 엔진을 제어한다. 림폼 모드에서는, 아이들 RPM 값을 최소값으로 제한하고, 최대 RPM 값을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로 제한하며, 최대 공기량에 대해서도 제한이 이루어진다. 또한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100)에 대해서는 캠 샤프트(300)의 회전 위치를 록 위치로 이동시키고 해당 위치의 록 핀에 의해 고정시킴으로써 가변 밸브 타이밍 제어를 불활성화한다. 한편, 제2 유형의 경우 밸브 듀레이션은 정상적으로 인지 가능하므로, 흡입 공기량은 측정된 현재의 밸브 듀레이션 값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이와 같이, 제2 유형으로 정의되는 고장 발생 시에는, 고장 원인을 해소하기 위한 안티 스턱 제어를 실시하여, 고장 원인 해소시에는 정상 제어를 진행하고, 고장 원인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 한해 CVVD 액추에이터의 전원을 OFF 하고 림폼 모드로 엔진이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한 세이프티 제어에 의하면, 회복 가능한 고장의 경우 고장 상태가 회복 될 수 있도록 하고, 회복 불가의 고장 시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한 림폼 모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장이 확정된 경우 운전자로 하여금 정비를 받을 수 있는 장소로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제3 유형은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가 불가능하지만, 밸브 듀레이션의 변경 자체는 가능한 상태이다. 이는 저장된 CVVD 학습값이 소실되거나 또는 홀 센서 에러로 인해 현재의 밸브 듀레이션을 파악할 수 없는 상태이나. CVVD 액추에이터(210)나 기구부(213, 214, 215)에 이상이 없어 밸브 듀레이션의 변경 자체는 가능한 상태이다.
이러한 경우 현재의 밸브 듀레이션을 인지할 수 없어, 밸브 듀레이션과 관련된 엔진의 정상적인 구동을 보장할 수 없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CVVD 액추에이터(200)의 모터(212)를 제어하여 제어 축(211)의 위치가 숏 사이드를 향하도록 강제 제어한 후(S160), CVVD 액추에이터(210)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한다. 여기서 숏 사이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밸브를 기동시키는 시작점에 해당하는 위치이다.
한편, 현재의 제어 축(211)의 위치를 인지할 수 없므므로 현재의 밸브 듀레이션을 정확히 파악할 수 없다. 따라서, 밸브 듀레이션에 근거한 엔진 운전 조건(대표적으로는 흡입 공기량)과 관련하여서는, 고장 감지 직전의 밸브 듀레이션 값을 그대로 유지하여 그 값을 근거로 결정하도록 한다(S180).
또한, 엔진의 정확한 제어를 보장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엔진 제어기(ECU)는 엔진의 성능을 제한하는 전술한 림폼 모드로 엔진이 제어되도록 한다(S190).
또한, 저장된 CVVD 학습값이 소실되는 고장 발생 등의 경우에는, 엔진의 재시동 시에 제어 축(211)의 제어 범위를 재학습함으로써 현재 위치를 다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600)는 필요시에 CVVD 재학습을 수행하도록 한다(S200). 이를 위해 제어부(600)는 숏 사이드와 롱 사이드 위치에서의 제어 축(211)의 위치를 학습하고 이를 기초로 현재의 제어 축(2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숏 사이드와 롱 사이드의 위치는 360°회전 각도에서 0°를 숏 사이드 위치로 정의하고 173°를 롱 사이드 위치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유형으로 정의되는 고장 발생 시에는, CVVD 액추에이터(210)의 제어 축(211)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숏 사이드)로 향하도록 강제 이동 시킨 후, CVVD 액추에이터(210)로의 전원 공급을 중단하는 한편, 엔진을 림폼 제어한다. 운전자로 하여금 정비를 받을 수 있는 장소로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듀레이션 값을 고장이 발생하기 직전의 밸브 듀레이션 값으로 유지시키고, 이를 기초로 필요 공기량등이 연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기량 계산 시의 오류로 인해, 배출 기준을 초과한 배기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제4 유형은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가 불가능하며, 밸브 듀레이션의 변경도 불가한 상태이다. 예컨대 표 1에서 나타난 고장 유형 중, CVVD 액추에이터(21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와 엔진 제어기(ECU) 사이의 통신 라인의 단선 또는 단락에 의한 버스 오프(busoff)에러 발생시에는 엔진 제어기(ECU)는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도 불가능하며 밸브 듀레이션 제어를 위해 제어부(600)에 적절한 제어 명령을 송신하는 것도 불가능한 상태등이 이에 해당한다.
제4 유형으로 정의되는 고장 시에는 현재의 밸브 듀레이션을 인지하는 것이 불가능한 바, 공기량 연산에 근거가 되는 밸브 듀레이션 값은 고장을 인지하기 직전에 측정된 밸브 듀레이션 값을 그대로 유지한다(S210). 이를 통해, 공기량 계산 시의 오류로 인해, 배출 기준을 초과한 배기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엔진의 정상 제어가 불가능 한 상태인바, 엔진 제어기(ECU)는 엔진의 성능을 제한하는 전술한 림폼 모드로 엔진이 제어되도록 한다(S220). 이를 통해, 고장 발생 시에도, 운전자로 하여금 정비를 받을 수 있는 장소로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제3 유형의 고장과 마찬가지로, 제4 유형의 고장에 있어서, CVVD 학습값이 유실된 상태인 경우, 재시동 시에 밸브 듀레이션 제어를 위한 학습값이 부재하게 된다. 따라서, 제3 유형의 고장 시와 마찬가지로 제어부(600)는 필요시에 CVVD 재학습을 수행하도록 한다(S230). 이를 위해 제어부(600)는 숏 사이드와 롱 사이드 위치에서의 제어 축(211)의 위치를 학습하고 이를 기초로 현재의 제어 축(211)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고장 상황을 미리 정해진 조건에 따라 제1 유형 내지 제4 유형으로 구분하고, 구분된 각 상황에 따라 적절한 페일 세이프티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회복 가능한 고장의 경우 고장 상태가 회복 될 수 있도록 하고, 회복 불가의 고장 시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고려한 림폼 모드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장이 확정된 경우 운전자로 하여금 정비를 받을 수 있는 장소로의 안전한 이동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에도, 고장 발생 직전의 밸브 듀레이션 값을 이용하여 밸브 위치의 연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잘못된 공연비 제어에 따른 배출 가스의 악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100: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CVVT) 110: 하우징
120: 로터 베인 130: 진각실
135: 진각 유로 140: 지각실
145: 지각 유로 200: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CVVD)
210: CVVD 액추에이터 211: 제어 축
212: 모터 213: 기어
214: 하우징 215: 링크
300: 캠 샤프트 310: 타겟 휠
400: 오일 컨트롤 밸브 500: 밸브 타이밍 검출 수단
510: 캠 샤프트 회전 각도 센서
520: 크랭크 샤프트 회전 각도 센서 600: 제어부

Claims (10)

  1. 차량의 엔진의 밸브 열림 시간을 조절하는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CVVT, continiuosly variable vavle timing) 기구 및 밸브 듀레이션을 가변 조절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CVVD, continuously variable valve duration) 기구가 구비된 차량의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으로서,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고장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현재 차량의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 가능 여부 및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에 의한 밸브 듀레이션 변경 가능 여부에 따라 고장 발생 유형을 정의하는 단계;
    상기 정의된 고장 발생 유형에 따라 페일 세이프티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가 불가능하나,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에 의한 밸브 듀레이션 변경 가능한 상태인 경우, 또는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 및 밸브 듀레이션 변경이 모두 불가한 상태인 경우에, 고장 발생 직전의 밸브 듀레이션에 근거하여 엔진을 제어함으로써, 페일 세이프티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장 발생 유형은,
    밸브 듀레이션이 인지 가능하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가 물리적으로 동작 가능한 상태인 제1 유형,
    밸브 듀레이션이 인지 가능하나,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에 의한 밸브 듀레이션 변경이 불가한 상태인 제2 유형,
    상기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가 불가능하나,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에 의한 밸브 듀레이션 변경 가능한 상태인 제3 유형 및
    상기 밸브 듀레이션의 인지 및 밸브 듀레이션 변경이 모두 불가한 제4 유형으로 정의되는 것인,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장 발생 유형이 제1 유형으로 정의되는 것인 경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의 CVVD 액추에이터의 제어 축의 위치를 소정의 림폼 위치로 제어하는 것과 더불어 연속 가변 밸브 타이밍 기구를 정상 제어함으로써, 페일 세이프티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장 발생 유형이 제2 유형으로 정의되는 것인 경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물리적인 스턱을 해소하기 위한 안티 스턱(anti-stuck)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페일 세이프티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5.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장 발생 유형이 제3 유형으로 정의되는 것인 경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의 CVVD 액추에이터의 제어 축의 위치를, 최소 듀레이션에 대응되는 위치인 숏 사이드(short side)로 강제 이동시킨 후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페일 세이프티 제어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고장 발생 유형이 제4 유형으로 정의되는 것인 경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페일 세이프티 제어를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엔진의 성능을 제한하는 림폼 제어를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8.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티 스턱 제어의 결과 스턱이 해소되는 경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를 정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안티 스턱 제어의 실행 후에도 스턱이 해소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기구로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엔진의 성능을 제한하는 림폼 제어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10.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CVVD 액추에이터의 제어 축의 제어 범위를 재학습함으로써, CVVD 액추에이터의 제어 축의 현재 위치를 다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KR1020180094959A 2018-08-14 2018-08-14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KR102108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59A KR102108801B1 (ko) 2018-08-14 2018-08-14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959A KR102108801B1 (ko) 2018-08-14 2018-08-14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435A KR20200019435A (ko) 2020-02-24
KR102108801B1 true KR102108801B1 (ko) 2020-05-11

Family

ID=69637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959A KR102108801B1 (ko) 2018-08-14 2018-08-14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88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3784B1 (ko) * 2019-12-10 2020-10-08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Cvvd 엔진의 비상 제어 방법 및 비상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637A (ja) * 2000-03-09 2001-09-2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特性制御装置
JP2003041995A (ja) * 2001-07-26 2003-02-13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内燃機関のフェイルセーフ装置
JP2004183591A (ja) * 2002-12-05 2004-07-02 Toyota Motor Corp 可変動弁機構を有する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744831B1 (ko) * 2015-12-11 2017-06-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엔진의 밸브 타이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6818B1 (ko) 2011-12-07 2013-1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4637A (ja) * 2000-03-09 2001-09-21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バルブ特性制御装置
JP2003041995A (ja) * 2001-07-26 2003-02-13 Hitachi Unisia Automotive Ltd 内燃機関のフェイルセーフ装置
JP2004183591A (ja) * 2002-12-05 2004-07-02 Toyota Motor Corp 可変動弁機構を有する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101744831B1 (ko) * 2015-12-11 2017-06-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엔진의 밸브 타이밍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435A (ko) 2020-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1361B2 (en) Control system of electric actu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6520131B2 (en) Valve timing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342840B1 (ko) 내연기관의 밸브타이밍 제어장치
RU2705712C2 (ru)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 система для двигателя
US7156083B2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929300B2 (ja) エンジン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264983B2 (ja)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EP1686253A2 (en) Intake air amount control apparatus and intake air amount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0025035A (ja) 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4594264B2 (ja) 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装置
EP2093402B1 (en) Valve performance controll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5093604A1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及び圧縮比の推定方法
US20020100440A1 (en) Valve timing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329274B2 (ja) バルブタイミング調整装置
KR102108801B1 (ko) 연속 가변 밸브 듀레이션 시스템의 페일 세이프티 제어 방법
JP2016109116A (ja) 連続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の制御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5290821B2 (ja) 車両用電動アクチュエータ機構の制御装置
JP3674026B2 (ja) 内燃機関の可変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8525463B2 (en) Malfunction determination device for motor control system
JP3956658B2 (ja) エンジン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US20150039209A1 (en) Diagnostic system and diagnostic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1852604B (zh) 电动相位器控制方法及系统
JP5695128B2 (ja) 車両用電動アクチュエータ機構の制御装置
JP4020205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7229834B2 (ja) 内燃機関始動時バルブ位相確定方法及び車両動作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