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2446B1 - 웜기어유니트의 오일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웜기어유니트의 오일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2446B1
KR101592446B1 KR1020150083701A KR20150083701A KR101592446B1 KR 101592446 B1 KR101592446 B1 KR 101592446B1 KR 1020150083701 A KR1020150083701 A KR 1020150083701A KR 20150083701 A KR20150083701 A KR 20150083701A KR 101592446 B1 KR101592446 B1 KR 101592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m wheel
worm
oil
worm gea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동욱
Original Assignee
(주)신도기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도기어 filed Critical (주)신도기어
Priority to KR1020150083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24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2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2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98Worm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1/00Constructional modifications of parts of machines or apparatus for the purpose of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워엄기어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10)이 외관과 골격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워엄기어공간(12)과 워엄휠공간(14)이 형성된다. 상기 워엄기어공간(12)은 상기 워엄휠공간(14)의 상부에 형성되는데, 워엄기어(20)가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워엄휠공간(14)에는 상기 워엄기어(20)와 맞물리는 워엄휠(30)이 설치된다. 상기 워엄휠(30)의 외주를 둘러서는 워엄휠치(32)가 구비되고, 상기 워엄휠치(32) 사이의 워엄휠골(34)의 바닥면에는 오일홈(36)이 형성된다. 상기 오일홈(36)은 워엄휠공간(14) 내에 있는 오일을 퍼올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워엄휠(30)의 전면과 배면에는 차단판(38)이 더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차단판(38)은 링형상으로 되고 상기 워엄휠골(34)의 바닥면보다 돌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오일홈(36)은 제1경사면(37)과 제2경사면(37')으로 구성되는데, 횡단면 방향에서 볼 때, 제1경사면(37)은 제2경사면(37')보다 급격한 경사를 가지고, 제1경사면(37)은 워엄휠골(34)의 바닥면에 대해서 직교하는 상태에서 -10 ~ +10 도 사이의 경사범위를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오일이 워엄휠(30)에서 워엄기어로 잘 전달되어 윤활과 냉각작용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웜기어유니트의 오일공급장치{Oil supplying apparatus for worm gear unit}
본 발명은 웜기어유니트의 오일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윤활과 냉각을 위한 오일이 웜기어와 상대 기어인 워엄휠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웜기어유니트의 오일공급장치에 대한 것이다.
웜기어는 일반기어에 대해 월등히 큰 기어비를 가지고 있으며, 힘의 입력방향과 출력방향이 직각으로 되는 특수기어이다. 웜기어 중에서도 장구형 웜기어는 일반형인 원통형 웜기어의 단점을 개선하여 효율을 극대화시킨 것이다. 장구형 웜기어에서는 상대 기어와의 물림면적이 일반 원통형 기어보다 많아지는데, 이와 같은 특성상 많은 마모와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웜기어유니트에서 마모를 방지하고 방열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오일을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오일이 마모가 발생하고 열이 발생하는 부위로 원활하게 전달되지 않으면, 마모방지와 방열이 제대로 되지 않게 되어 웜기어유니트의 동작특성이 나빠지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20-1989-0005103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20-1998-06809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워엄기어유니트를 구성하는 워엄기어와 워엄휠사이의 맞물림이 발생하는 부분에서의 마모를 최소화하고 열을 외부로 원활하게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를 횡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워엄기어공간과 상기 워엄기어공간의 중력방향 하측에 형성되는 워엄휠공간이 서로 연통되고 외면에 외부와의 열교환을 위한 방열핀이 구비되며 상기 워엄기어공간에서 가장 높은 위치와 연통되게 오일의 주입을 위한 제1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워엄휠공간에서 가장 낮은 위치와 연통되게 오일의 배출을 위한 제2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워엄휠공간의 내부에 오일이 채워지는 하우징과, 상기 워엄기어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워엄기어와, 상기 워엄휠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워엄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며 외주를 따라 형성된 워엄휠치 사이의 워엄휠골 바닥에 오일홈이 형성된 워엄휠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홈의 연장방향은 상기 워엄휠의 회전방향에 대해 직교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홈은 횡단면에서 볼 때,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워엄휠의 전면과 배면에는 가장자리가 상기 워엄휠골의 바닥면보다 돌출되는 차단판이 설치되어 상기 워엄휠의 워엄휠치와 협력하여 워엄휠골에 오일이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삭제
삭제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워엄휠골의 바닥면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 10도 ~ + 10도 사이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삭제
상기 차단판은 링형상으로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워엄기어유니트의 오일공급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워엄휠의 회전에 따라 워엄휠에 형성된 오일홈이나 워엄휠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워엄휠이 설치된 공간에 있는 오일이 퍼올려져서 워엄기어의 워엄기어치로 전달된다. 따라서, 워엄휠의 워엄휠치와 워엄기어의 워엄기어치 사이의 마찰부분에 오일이 원활하게 공급되어 윤활과 방열특성이 좋아지므로 워엄기어유니트의 동작특성이 좋아지고 내구성도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워엄기어유니트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워엄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를 보인 정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시례를 구성하는 워엄휠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실시례가 사용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오일홈의 변형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오일공급구조를 구비한 워엄기어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일반적으로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에는 워엄기어공간(12)과 워엄휠공간(14)이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워엄기어공간(1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워엄기어(20)가 위치되고, 상기 워엄휠공간(14)에는 워엄휠(30)이 위치된다. 상기 워엄기어공간(12)은 상기 하우징(10)을 횡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워엄휠공간(14)은 상기 워엄기어공간(12)의 중력방향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워엄기어공간(12)과 워엄휠공간(14)은 별도의 커버(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워엄기어공간(12)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제1연통구(16)가 형성되고, 상기 워엄휠공간(14)을 외부와 연통시키도록 제2연통구(17)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통구(16)는 본 발명의 하우징(10)에서 중력을 기준으로 상기 제2연통구(17)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데, 좋기로는 상기 워엄기어공간(12)중에서 가장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2연통구(17)는 상기 워엄휠공간(14)중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제2연통구(17)를 통해서는 상기 워엄휠공간(14)에 있는 오일을 완전히 배출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방열핀(18)이 있다. 상기 방열핀(18)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판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방열핀(18)은 상기 하우징(10)의 표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외부와 하우징(10) 사이의 열교환면적을 넓혀서 워엄기어(20)와 워엄휠(30)이 맞물려 회전할 때,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보다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워엄기어공간(12) 내에는 워엄기어(20)가 설치된다. 상기 워엄기어(20)에는 워엄기어치(22)가 나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워엄기어치(22)의 사이에 워엄기어골(24)이 역시 나선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워엄기어(20)는 장구형상의 워엄기어인데, 원통형상의 일반 워엄기어일 수도 있다.
상기 워엄기어(20)의 양단은 베어링(2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26)은 상기 워엄기어공간(12)의 개방된 양단에 위치되어 상기 워엄기어(2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베어링(26)과 상기 워엄기어공간(12)의 내면 사이에는 시일(도시되지 않음)이 설치되어 오일의 누출을 방지한다. 상기 워엄기어(20)의 일측 단부중 상기 일측 베어링(26)을 관통하여서는 입력축(28)이 설치된다. 상기 입력축(28)은 예를 들면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워엄기어(20)로 전달하는 부분이다.
상기 워엄휠공간(14)에 설치되는 워엄휠(30)에는 회전중심(30')이 형성되는데, 상기 워엄휠(30)의 중심을 관통하여 축공(31)이 형성된다. 상기 축공(31)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출력축(40)이 삽입되어 설치된다. 상기 워엄휠(30)의 외주를 둘러서는 워엄휠치(3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워엄휠치(32)의 사이에는 워엄휠골(34)이 형성된다.
상기 워엄휠골(34)의 바닥에는 별도의 오일홈(36)이 형성된다. 상기 오일홈(36)은 상기 워엄휠골(34)의 바닥 일측에서 타측으로 상기 워엄휠치(32)와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오일홈(36)은 상기 워엄휠(30)의 전면에서 배면까지 상기 워엄휠골(34)의 전체 길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오일홈(36)에는 오일이 위치되어 워엄휠(30)의 회전에 따라 오일을 상기 워엄기어(2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오일홈(36)은 워엄휠(30)의 전면에서 배면까지 연장되면서 상기 워엄휠치(32)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 것과 같이 워엄휠(30)의 회전방향에 대해 직교하지 않고 약간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오일홈(36)이 소정의 경사를 가짐에 의해 상기 워엄휠(3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오일홈(36) 내에 있는 오일은 관성의 법칙에 의해 상기 워엄휠(30)이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쪽을 향해 상기 오일홈(3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오일홈(36)을 따라 오일이 이동함에 의해 오일이 상기 워엄휠(30)에서 워엄기어(20)의 워엄기어치(22)의 선단으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상기 워엄휠(30)의 회전중심(30')에 형성된 축공(31)에는 출력축(40)이 설치된다. 상기 출력축(40)은 상기 축공(31)에 설치하기 위해서 키이(42)를 사용한다.
도 3과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워엄휠(30)의 워엄휠치(32) 사이의 워엄휠골(34)을 통해 보다 많은 오일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워엄휠(30)의 전면과 배면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벽(38)을 설치한다. 상기 차단벽(38)은 상기 워엄휠골(34)의 전면측과 배면측을 각각 막아 상기 워엄휠치(32)와 협력하여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공간은 도 4에서 잘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차단벽(38)의 단부는 상기 워엄기어(20)의 워엄기어치(22) 선단과 간섭되지 않을 정도로 상기 워엄기어골(24)의 바닥에서 돌출되면 된다. 상기 차단벽(38)은 상기 워엄기어(20)의 전면에 하나 배면에 하나가 각각 설치됨에 의해 상기 워엄휠치(32)와 협력하여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상기 차단벽(38)은 링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차단벽(38)이 반드시 링형상으로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나, 링형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무게가 상대적으로 가볍게 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상기 워엄휠(30)의 회전에 따라 오일이 퍼올려져서 저장되어 상기 워엄기어치(22)로 전달되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에는 상기 오일홈(36)의 변형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오일홈(36)은 앞의 실시례에서는 횡단면이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오일을 보다 잘 퍼올리고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오일홈(36)을 횡단면으로 볼 때,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는 제1경사면(37)과 제2경사면(37')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1경사면(37)은 상기 워엄휠골(34)의 바닥면에 거의 직교하여 급격한 경사를 가지고 상기 제2경사면(37')은 제1경사면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도록 된다.
상기 제1경사면(37)은 상기 워엄휠골(34)의 바닥면과 직교하거나, 직교하는 위치에서 +10도에서 -10도 정도의 값을 가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경사면(37)이 워엄휠골(34)의 바닥면과 직교하는 위치에서부터 +10도 경사지게 되는 위치까지에서는 제1경사면(37)과 제2경사면(37')이 만나는 부분이 상기 워엄휠골(34)의 상부에서 보이게 되고, 상기 제1경사면(37)이 워엄휠골(34)의 바닥면과 직교하는 위치에서부터 -10도 경사지게 되는 위치까지에서는 제1경사면(37)과 제2경사면(37')이 상기 워엄휠골(34)의 상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제1경사면(37)이 워엄휠골(34)의 바닥면과 직교하는 위치에서 +10도 경사지게 되는 위치보다 크게 되면 상기 제1경사면(37)의 각도가 어느 정도 완만하게 되면서 오일홈(36)에서 오일이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되고, -10도 경사지게 되는 위치보다 더 작아지게 되면 제1경사면(37)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정도가 심해져 가공이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워엄기어조립체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워엄기어조립체에서는 상기 워엄휠공간(14)의 내부에 오일이 채워져 있다. 상기 오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상기 워엄휠공간(14) 내부에 2/3정도가 채워진다. 이와 같이 상기 워엄휠공간(14)에 채워진 오일은 상기 워엄휠(30)의 회전에 의해 퍼올려지게 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28)을 통해 입력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워엄기어(20)가 회전함에 의해 상기 워엄휠(30)이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워엄휠치(32)사이의 워엄휠골(34) 내에 오일이 위치하면서 퍼올려진다. 하지만, 상기 워엄휠골(34)은 상기 워엄휠(30)의 전면과 배면 쪽으로 개방되어 있어 금방 대부분의 오일은 워엄휠(30)에서 빠져나가 도로 워엄휠공간(14) 내부로 전달되고, 일부의 오일만이 상기 워엄기어(20)와 맞물리는 위치까지 갈 수 있다. 이때, 상기 오일홈(36)은 워엄휠골(34)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있고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져서 그 내부에 있는 오일들은 상기 워엄휠(30)의 가장 높은 위치까지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일홈(36)의 연장방향은 상기 워엄휠(30)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직교하지 않고 약간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그 내부의 오일이 상기 오일홈(3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오일들은 상기 워엄기어(20)의 워엄기어치(22) 선단으로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워엄휠(30)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상기 워엄휠치(32) 사이의 워엄휠골(34)에 의해 퍼올려지는 오일의 양이 달라지지만, 상기 오일홈(36)이 있으므로 해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오일이 상기 워엄기어(20)로도 전달된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홈(36)에 제1경사면(37)과 제2경사면(37')이 형성됨에 의해 오일이 오일홈(36) 내에 보다 잘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워엄휠(30)의 회전에 의해 오일에 잠겨 있던 오일홈(36)부분에는 오일이 채워진 채로 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1경사면(37)은 워엄휠골(34)의 바닥면에 대해서 거의 직교하도록 되므로 오일이 걸려서 오일홈(36) 내에 있게 된다. 물론, 오일의 일부는 오일홈(36)에서 넘쳐서 워엄휠(30)을 빠져나가기도 하지만, 어느 정도의 오일은 상기 제2경사면(37')을 따라 안내되다가 상기 제1경사면(37)에 의해 걸려서 오일홈(36) 내에 남아 있게 된다.
상기 워엄휠(30)의 회전이 계속되어 상기 오일홈(36)이 중력방향으로 가장 높은 위치를 넘어서 이동되면 반대로 상기 오일홈(36)에 남아 있던 오일은 상기 제2경사면(37')을 따라서 안내되어 흘러가면서 오일홈(36)에서 빠져나가게 되고 이와 같은 됨에 의해 상기 워엄기어(20)의 워엄기어치(22)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3과 도 4에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워엄휠골(34)에 상기 워엄휠치(32)와 차단벽(38)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오일이 채워지게 되고, 상기 공간에 채워진 오일은 워엄휠(30)의 회전에 따라 퍼올려져서 워엄휠(30)이 워엄기어(20)와 맞물릴 때 워엄기어치(22)로 전달된다. 특히,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워엄기어치(22)가 상기 워엄휠치(32)와 차단벽(38)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 있는 오일에 담궈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오일이 상기 워엄휠(30)에서 워엄기어(20)로 전달된다.
상기 워엄휠치(32)와 차단벽(38)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은 워엄휠(30)의 회전 위치에 따라 오일을 퍼올리고 다시 워엄휠공간(14)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오일이 워엄휠(30)에서 워엄기어(2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이 전달된 오일은 윤활작용을 함과 동시에 워엄기어(20)와 워엄휠(30)이 서로 맞물려 동작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열을 흡수하여 외부로 전달하는 역할도 한다. 즉, 상기 워엄휠(30)이 설치되어 있는 워엄휠공간(14)에 있는 오일은 상기 하우징(10)이 금속재질로 되어 있어 열을 하우징(10)으로 전달한다. 특히,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는 다수개의 방열핀(18)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방열핀(18)을 통해서 보다 넓은 면적을 통해 외부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워엄휠공간(14)에 있는 오일은 상기 하우징(10)으로 열을 전달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를 가지게 된다. 워엄휠공간(14)에 있는 오일은 상기 워엄휠(30)에 의해 퍼올려져서 상기 워엄기어(20)와 워엄휠(30)이 맞물리는 부분에도 전달된다. 이 부분에서 가장 많은 열이 발생되는데, 상기 발생된 열은 상기 오일로 전달된다. 상기 오일은 상기 워엄기어(20)의 회전에 의해 이동되다가 낙하되어 상기 워엄휠(30)이 설치되어 있는 워엄휠공간(14)으로 다시 낙하되어 상기 하우징(10)으로 열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일이 순환됨에 의해 상기 워엄기어(20)와 워엄휠(30)이 맞물려 동작됨에 의해 발생되는 열을 오일이 받아 하우징(10)의 방열핀(18)을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워엄휠공간(14) 내부의 오일이 부족한 경우에는 상기 제1연통구(16)를 통해 오일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연통구(17)는 워엄휠공간(14)에서 중력방향으로 가장 낮은 위치에 있으므로, 상기 워엄휠공간(14) 내부에 있는 오일을 외부로 배출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통구(16)와 제2연통구(17)에는 각각 별도의 마개(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필요시에만 상기 제1연통구(16)와 제2연통구(17)를 개방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2: 워엄기어공간
14: 워엄휠공간 16: 제1연통구
17: 제2연통구 18: 방열핀
20: 워엄기어 22: 워엄기어치
24: 워엄기어골 26: 베어링
28: 입력축 30: 워엄휠
32: 워엄휠치 34: 워엄휠골
36: 오일홈 37: 제1경사면
37': 제2경사면 38: 차단벽
40: 출력축 42: 고정키

Claims (6)

  1. 내부를 횡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워엄기어공간과 상기 워엄기어공간의 중력방향 하측에 형성되는 워엄휠공간이 서로 연통되고 외면에 외부와의 열교환을 위한 방열핀이 구비되며 상기 워엄기어공간에서 가장 높은 위치와 연통되게 오일의 주입을 위한 제1연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워엄휠공간에서 가장 낮은 위치와 연통되게 오일의 배출을 위한 제2연통구가 형성되며 상기 워엄휠공간의 내부에 오일이 채워지는 하우징과,
    상기 워엄기어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워엄기어와,
    상기 워엄휠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워엄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며 외주를 따라 형성된 워엄휠치 사이의 워엄휠골 바닥에 오일홈이 형성된 워엄휠을 포함하고,
    상기 오일홈의 연장방향은 상기 워엄휠의 회전방향에 대해 직교하지 않고 소정의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오일홈은 횡단면에서 볼 때,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보다 완만한 경사를 가지는 제2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워엄휠의 전면과 배면에는 가장자리가 상기 워엄휠골의 바닥면보다 돌출되는 차단판이 설치되어 상기 워엄휠의 워엄휠치와 협력하여 워엄휠골에 오일이 위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워엄기어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면은 상기 워엄휠골의 바닥면에 직교하는 위치에서 - 10도 ~ + 10도 사이의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워엄기어조립체.
  5. 삭제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링형상으로 되는 오일공급구조를 가지는 워엄기어조립체.
KR1020150083701A 2015-06-12 2015-06-12 웜기어유니트의 오일공급장치 KR101592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701A KR101592446B1 (ko) 2015-06-12 2015-06-12 웜기어유니트의 오일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701A KR101592446B1 (ko) 2015-06-12 2015-06-12 웜기어유니트의 오일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2446B1 true KR101592446B1 (ko) 2016-02-05

Family

ID=55353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701A KR101592446B1 (ko) 2015-06-12 2015-06-12 웜기어유니트의 오일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24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988A (ko) * 2016-10-17 2018-04-25 국방과학연구소 포텐시오미터 각도 조정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7139A (ja) * 2002-02-08 2005-06-09 クーカ・ロボター・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潤滑剤用溝を備えた伝動装置
JP2008002597A (ja) * 2006-06-23 2008-01-10 Enplas Corp ウォーム歯車装置
KR101470180B1 (ko) * 2013-07-03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기어박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17139A (ja) * 2002-02-08 2005-06-09 クーカ・ロボター・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潤滑剤用溝を備えた伝動装置
JP2008002597A (ja) * 2006-06-23 2008-01-10 Enplas Corp ウォーム歯車装置
KR101470180B1 (ko) * 2013-07-03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기어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1988A (ko) * 2016-10-17 2018-04-25 국방과학연구소 포텐시오미터 각도 조정 장치
KR101952180B1 (ko) * 2016-10-17 2019-02-26 국방과학연구소 포텐시오미터 각도 조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03741B2 (en) Lubricating structure for differential device
CN105156647B (zh) 至少部分地填充有油的减速器
US9062754B2 (en) Gear unit
ES2750653T3 (es) Unidad de accionamiento con cambio de aceite
JP6351624B2 (ja) 垂直方向に段階的な、隣接する2つのギアトレインを潤滑するための機構
JP4383434B2 (ja) チェーン式動力伝達装置
JP5920235B2 (ja) 車両用駆動装置
US9732842B2 (en) Lubricated harmonic drive
KR101592446B1 (ko) 웜기어유니트의 오일공급장치
US20140311268A1 (en) Oiling device for an axle with spur gear
US3508630A (en) Lubricating means for a transmission
JP2009030743A (ja) ファイナルドライブの潤滑構造および潤滑方法
JP2008144803A (ja) 歯車変速機
JPH0647171Y2 (ja) 動力伝達装置の潤滑油冷却構造
JP7227782B2 (ja) 潤滑油供給装置
JP6032181B2 (ja) 車両用トランスアクスル
JP2009127772A (ja) 貯油構造
KR100645950B1 (ko) 발전설비용 터닝기어 시스템의 기어 윤활 장치
JP2009287634A (ja) 歯車伝動装置
JP6106615B2 (ja) トランスアクスルケース
JP6260737B2 (ja) ファイナルドライブ装置
JP6948974B2 (ja) 遊星ギヤ機構の潤滑構造
CN220706358U (zh) 一种润滑充分的齿轮箱
JP2003214532A (ja) 潤滑装置
US20160061202A1 (en) Gear pump on shaf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