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8878B1 -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 Google Patents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8878B1
KR101588878B1 KR1020140049541A KR20140049541A KR101588878B1 KR 101588878 B1 KR101588878 B1 KR 101588878B1 KR 1020140049541 A KR1020140049541 A KR 1020140049541A KR 20140049541 A KR20140049541 A KR 20140049541A KR 101588878 B1 KR101588878 B1 KR 101588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utting
control unit
hydraulic cylinder
vertica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3417A (ko
Inventor
황복현
Original Assignee
영림임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림임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림임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4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8878B1/ko
Publication of KR20150123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3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8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8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18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 B27B5/20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the saw blade being adjustable according to depth or angle of cut; Radial saws, i.e. sawing machines with a pivoted radial arm for guiding the movable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5/00Feeding device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Feeding devices for tre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7/00Guide fences or stop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Measuring equipment thereon
    • B27B27/10Devices for moving or adjusting the guide fences or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9/00Gripping, clamping, or holding devices for the trunk or log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Travelling trunk or log carriag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각재의 양면이 규격에 맞도록 회전톱날에 의해 경사면으로 절단되면서 가공되도록 함으로서,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각도회전용서브(300)로 전달되는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세로지지대(400)와; 상기 세로지지대(400)의 전면에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제어부(20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유압실린더(C)에 의해 전,후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톱날(61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절단부(600)와; 상기 절단부(600)에 구비된 회전톱날(610)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지면서 재단이 이루어지는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지지판(800)과; 상기 지지판(800)에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일측면이 밀착 및 분리되도록 제어부(20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유압실린더(C)에 의해 고정판(710)이 전후진되면서 구속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700)와; 상기 지지부재(700)에 의해 지지판(800)에 일측면이 밀착된 상태로 일단이 가공이 완료된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타단이 결합집게(111)에 결합된 상태로 절단위치까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안내되면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110)와; 상기 이동부재(110)의 결합집게(111)가 각재와 같은 가공물에 결합된 경우에는 유압실린더(C)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분리되고, 상기 결합집게(111)가 가공물로 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유압실린더(C)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가공물의 상부면에 선단부 저면이 밀착되는 유동억제대(900)와; 상기 유동억제대(900), 세로지지대(400), 절단부(600), 지지부재(700), 이동부재(110)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0)에는 작업자가 직접 이동부재(110)의 이동거리 및 세로지지대(400)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의 회전각도를 작업물의 종류에 따라 가변시켜 가면서 입력시키도록 하는 입력부(1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Cutting device to cut the ends of the timber slopes}
본 발명은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각재의 양면을 작업시 필요로 하는 각도로 일측 및 타측단부가 회전톱날에 의해 경사면으로 절단되면서 가공되도록 함으로서,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및 창문에는 양단부가 경사면으로 재단이 이루어진 각재를 조립시켜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각재는 각재의 일단과 타단을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절단시켜, 상기 일측 경사면에 다른 각재의 타측 경사면을 밀착시킨 상태로 결합시키면서 작업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재의 좌우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절단시키기 위해서는 수공으로 절단시켜야 함으로써, 많은 작업시간을 필요로 하게 됨은 물론, 작업시 필요로 하는 각도로 일측 및 타측단부가 경사지게 절단되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필요로 하는 형상을 구현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일측방향으로 틀어진 상태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톱과, 상기 원형톱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지면서 재단이 이루어지는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이 고정되게 상부면에 설치되는 작업대로 구성된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를 개발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는 지지판에 재단을 수행하고자 하는 각재등과 같은 가공물을 작업대에 설치된 지지판의 일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작업자가 하부로 원형톱을 가이드레일을 따라 하부로 이동시키면, 상기 지지판에 일측면이 밀착되고 있는 각재와 같은 가공물이 원형톱이 틀어진 각도만큼 단부가 경사지게 절단되어 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부로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톱이 일측방향으로 틀어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가이드레일에 설치되는 관계로, 상기 원형톱에 의해 각재등과 같은 가공물의 일측부를 절단시킨 후 타측부를 절단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각재등과 같은 가공물을 작업대로부터 완전히 빼낸 상태에서 원형톱이 타측 방향으로 틀어진 상태로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있는 다른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를 이용해 재단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상기 각재를 재단시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원형톱이 틀어진 상태로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있는 여러 대의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를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상기 원형톱이 각각 일측 방향 및 타측 방향으로 틀어진 상태로 가이드레일에 의해 승하강 가능하게만 설치되는 관계로, 한 작업라인에서 각재등과 같은 가공물을 일측부와 타측부를 동시에 절단시키지 못하게 됨으로써, 각재를 재단시 작업공수 및 작업공정이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는 각재를 재단 시 재단하고자 하는 각재의 길이보다 10%정도 크게 각재를 절단시킨 상태에서 각재 재단장치를 이용해 재단 작업을 수행해야 함으로써, 상기 각재를 필요한 형상으로 재단 시 불필요하게 많은 양의 각재를 필요로 하여 생산단가가 상승하게 됨음 물론, 산업폐기물이 증가하여 자연환경을 훼손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02728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70099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유압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절단부가 제어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세로지지대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세로지지대가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절단부에 설치된 회전톱날에 의해 각재의 일측 및 타측단부가 경사지게 한 작업라인에서 절단이 이루어지면서 필요로 하는 길이 및 각도로 경사지게 재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각재을 제작 시 작업공수 및 작업공정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단가가 저감되도록 하는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삭제
본 발명의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는 각도회전용서브(300)로 전달되는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세로지지대(400)와; 상기 세로지지대(400)의 전면에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제어부(20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유압실린더(C)에 의해 전,후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톱날(61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절단부(600)와; 상기 절단부(600)에 구비된 회전톱날(610)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지면서 재단이 이루어지는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지지판(800)과; 상기 지지판(800)에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일측면이 밀착 및 분리되도록 제어부(20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유압실린더(C)에 의해 고정판(710)이 전후진되면서 구속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700)와; 상기 지지부재(700)에 의해 지지판(800)에 일측면이 밀착된 상태로 일단이 가공이 완료된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타단이 결합집게(111)에 결합된 상태로 절단위치까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안내되면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110)와; 상기 이동부재(110)의 결합집게(111)가 각재와 같은 가공물에 결합된 경우에는 유압실린더(C)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분리되고, 상기 결합집게(111)가 가공물로 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유압실린더(C)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가공물의 상부면에 선단부 저면이 밀착되는 유동억제대(900)와; 상기 유동억제대(900), 세로지지대(400), 절단부(600), 지지부재(700), 이동부재(110)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0)에는 작업자가 직접 이동부재(110)의 이동거리 및 세로지지대(400)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의 회전각도를 작업물의 종류에 따라 가변시켜 가면서 입력시키도록 하는 입력부(10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만큼 세로지지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회전톱날에 의해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좌우 양측단부가 경사면으로 각각 절단됨과 동시에 이동부재에 의해 작업자가 원하는 길이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각재의 재단이 완료되어 지게 됨으로서, 상기 각재를 재단시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일측부 및 타측부가 한 작업라인에서 경사면이 형성되도록 절단되어 작업공수 및 작업공정이 저감되고, 작업성이 향상되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부재에 의해 작업시 필요로 하는 길이만큼 각재와 같은 가공물이 이동된 후 지지부재 및 유동억제대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톱날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지면서 각재의 재단이 완료되어, 각재의 재단 작업시 발생되는 불량률이 현저히 줄어들게 됨과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어 생산단가가 절감되어지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의 작동계통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의 요부를 보인 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의 작동계통도 이다.
본 발명의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는 도 1과 도 2 및 도 3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각도회전용서브(300)로 전달되는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세로지지대(400)와; 상기 세로지지대(400)의 전면에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제어부(20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유압실린더(C)에 의해 전,후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톱날(61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절단부(600)와; 상기 절단부(600)에 구비된 회전톱날(610)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지면서 재단이 이루어지는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지지판(800)과; 상기 지지판(800)에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일측면이 밀착 및 분리되도록 제어부(20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유압실린더(C)에 의해 고정판(710)이 전후진되면서 구속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700)와; 상기 지지부재(700)에 의해 지지판(800)에 일측면이 밀착된 상태로 일단이 가공이 완료된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타단이 결합집게(111)에 결합된 상태로 절단위치까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안내되면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110)와; 상기 이동부재(110)의 결합집게(111)가 각재와 같은 가공물에 결합된 경우에는 유압실린더(C)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분리되고, 상기 결합집게(111)가 가공물로 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유압실린더(C)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가공물의 상부면에 선단부 저면이 밀착되는 유동억제대(900)와; 상기 유동억제대(900), 세로지지대(400), 절단부(600), 지지부재(700), 이동부재(110)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0)에는 작업자가 직접 이동부재(110)의 이동거리 및 세로지지대(400)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의 회전각도를 작업물의 종류에 따라 가변시켜 가면서 입력시키도록 하는 입력부(10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각재등과 같은 가공물을 가공하여 필요로 하는 형상으로 재단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가 각재과 같은 가공물을 지지판(800)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입력부(100)을 통해 세로지지대(40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각도와 절단이 이루어진 각재등과 같은 가공물이 이동되도록 이동부재(110)의 이동거리 및 세로지지대(400)의 타측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각도를 순차적으로 입력시킨다.
이때, 상기 입력부(100)을 통해 입력이 이루어진 세로지지대(400)의 일측방향 회전각도와 절단이 이루어진 각재등과 같은 가공물이 이동되는 이동거리 및 세로지지대(400)의 타측방향 회전각도가 제어부(200)로 입력되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입력부(100)을 통해 제어부(200)로 세로지지대(400)의 일측방향 회전각도와 절단이 이루어진 각재등과 같은 가공물이 이동되는 이동거리 및 세로지지대(400)의 타측방향 회전각도를 입력한 후에는 작업자가 작동버튼을 작동 시켜주게 되면 제어부(200)을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모터(M)가 구동되면서 절단부(600)에 설치된 회전톱날(610)이 일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각재등과 같은 가공물의 일측면이 지지판(800)에 밀착되도록 고정판(710)이 유압실린더(C)에 의해 전진되면서 지지하도록 지지부재(700)가 작동된다.
상기 지지부재(700)가 작동된 후에는 세로지지대(400)가 제어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결합집게(111)의 선단부 저면이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유압실린더(C)에 의해 발생된 유압에 의해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전지된다.
상기와 같이 세로지지대(40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일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어부(200)부로 부터 신호를 입력받으며 유압실린더(C)가 작동되면서 발생된 유압에 의해 절단부(600)가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지지판(800)이 놓여진 전면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절단부(600)가 전면부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회전톱날(610)에 의해 각재 등과 같은 가공물의 일측 단부가 경사지게 절단되면서 가공된다.
이때, 상기 회전톱날(610)에 접촉되면서 절단이 이루어지고 있는 각재와 같은 가공물은 유동억제대(900)에 의해 유동이 발생하지 않으며 정확한 길이 및 각도로 절단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톱날(610)에 의해 가공물의 일측단부가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제어부(20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유압실린더(C)가 작동되어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절단부(600)가 후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가공물의 일측면이 지지판(80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하고 있는 고정판(710)이 후부로 이동되어 지지부재(700)의 지지력이 해제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동억제대(900)가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선단부 저면이 가공물과 분리되도록 유압실린더(C)가 제어부(2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며 작동된다.
상기 지지부재(700)가 구속력이 해제되도록 작동된 후에는 결합집게(111)의 일단이 가공이 완료된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집게(111)에 가공물이 결합된 후에는 작업자가 입력부(100)를 통해 제어부(200)에 입력한 길이만큼 타단의 절단위치까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부재(110)가 일측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동부재(110)의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제어부(200)를 통해 전달되는 신호에 의해 모터(M)가 구동되면서 절단부(600)에 설치된 회전톱날(61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각재등과 같은 가공물의 일측면이 지지판(800)에 밀착되도록 고정판(710)이 유압실린더(C)에 의해 전진되면서 지지부재(700)가 작동됨과 동시에 결합집게(111)의 선단부 저면이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상부에 접촉되도록 유압실린더(C)에 의해 발생된 유압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지지부재(700) 및 유동억제대(900)가 작동된 후에는 세로지지대(400)가 제어부(20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세로지지대(400)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 후에는 제어부(200)로 부터 신호를 입력받으며 유압실린더(C)가 작동되면서 발생된 유압에 의해 절단부(600)가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지지판(800)이 놓여진 전면부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절단부(600)가 전면부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회전이 이루어지고 있는 회전톱날(610)에 의해 각재 등과 같은 가공물의 타측 단부가 경사지게 절단되면서 가공된다.
상기 회전톱날(610)에 의해 가공물의 타측단부가 가공이 완료된 후에는 제어부(20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의해 유압실린더(C)가 작동되어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절단부(600)가 후부로 이동됨과 동시에 가공물의 일측면이 지지판(800)의 일측면에 밀착되도록 지지하고 있는 고정판(710)이 후부로 이동되어 지지부재(700)의 지지력이 해제되도록 유압실린더(C)가 제어부(20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으며 작동된다.
상기 지지부재(700)의 구속력이 해제되도록 작동된 후에는 결합집게(111)의 타단이 가공이 완료된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결합집게(111)에 가공물이 결합된 후에는 작업자가 입력부(100)을 통해 제어부(200)에 입력한 길이만큼 일단의 절단위치까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안내되면서 이동부재(110)이 일측 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가공된다.
이로 인해 한 작업라인에서 일측단부와 타측 단부에 각각 경사지게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각재와 같은 가공물을 재단시에도 한 작업라인에서 재단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100 : 입력부 110 : 이동부재
111 : 결합집게 120 : 가이드레일
200 : 제어부 300 : 각도회전용서브
400 : 세로지지대 500 : 수직가이드레일
600 : 절단부 610 : 회전톱날
710 : 고정판 700 : 지지부재
800 : 지지판 900 : 유동억제대
C : 유압실린더 M : 모터
H : 힌지

Claims (1)

  1. 각도회전용서브(300)로 전달되는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는 세로지지대(400)와; 상기 세로지지대(400)의 전면에 가이드레일(500)을 따라 안내되면서 제어부(20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유압실린더(C)에 의해 전,후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모터(M)의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회전톱날(610)이 일측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되는 절단부(600)와; 상기 절단부(600)에 구비된 회전톱날(610)에 의해 절단이 이루어지면서 재단이 이루어지는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일측면이 접촉되는 지지판(800)과; 상기 지지판(800)에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일측면이 밀착 및 분리되도록 제어부(200)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따라 작동되는 유압실린더(C)에 의해 고정판(710)이 전후진되면서 구속력을 제공하는 지지부재(700)와; 상기 지지부재(700)에 의해 지지판(800)에 일측면이 밀착된 상태로 일단이 가공이 완료된 각재와 같은 가공물의 타단이 결합집게(111)에 결합된 상태로 절단위치까지 가이드레일(120)을 따라 안내되면서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110)와; 상기 이동부재(110)의 결합집게(111)가 각재와 같은 가공물에 결합된 경우에는 유압실린더(C)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분리되고, 상기 결합집게(111)가 가공물로 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유압실린더(C)에서 발생되는 유압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가공물의 상부면에 선단부 저면이 밀착되는 유동억제대(900)와; 상기 유동억제대(900), 세로지지대(400), 절단부(600), 지지부재(700), 이동부재(110)가 작동되도록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200)에는 작업자가 직접 이동부재(110)의 이동거리 및 세로지지대(400)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의 회전각도를 작업물의 종류에 따라 가변시켜 가면서 입력시키도록 하는 입력부(10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KR1020140049541A 2014-04-24 2014-04-24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KR101588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541A KR101588878B1 (ko) 2014-04-24 2014-04-24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9541A KR101588878B1 (ko) 2014-04-24 2014-04-24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417A KR20150123417A (ko) 2015-11-04
KR101588878B1 true KR101588878B1 (ko) 2016-01-27

Family

ID=54599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9541A KR101588878B1 (ko) 2014-04-24 2014-04-24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88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163B1 (ko) * 2019-10-10 2020-02-07 윤금중 피가공물 절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126B2 (ja) * 1991-08-28 2000-05-22 三洋電機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2010280013A (ja) 2009-06-02 2010-12-16 Makita Corp 切断機
KR101141338B1 (ko) 2011-03-23 2012-05-03 이표학 인테리어 몰딩용 절단기의 각도 가이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3126A (ja) * 1989-07-07 1991-02-25 Yamazaki Mazak Corp 治具
KR101096837B1 (ko) * 2009-05-07 2011-12-22 박재원 건축용 몰딩재 절단장치
KR101027280B1 (ko) 2010-10-19 2011-04-06 이상미 톱날의 위치가 조절되는 목재 재단장치
KR101170099B1 (ko) 2012-03-07 2012-08-01 이내우 목재 재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3126B2 (ja) * 1991-08-28 2000-05-22 三洋電機株式会社 衣類乾燥機
JP2010280013A (ja) 2009-06-02 2010-12-16 Makita Corp 切断機
KR101141338B1 (ko) 2011-03-23 2012-05-03 이표학 인테리어 몰딩용 절단기의 각도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3417A (ko) 2015-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6244B1 (ko) 파이프 자동 절단장치
CN203622574U (zh) 自动断木机
KR101572506B1 (ko) 각재의 양단부를 상이한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ITMI20040309U1 (it) Macchina per la lavorazione di materiale in lastre in particolare di materiale lapideo naturale materiale ceramico e conglomerato
KR101588878B1 (ko)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US20200206976A1 (en) Combined cutting and bevelling machine for slabs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KR101859164B1 (ko) 절단각도 가변형 석재 절단기
US2789598A (en) Machine for fabricating pieces of lumber
KR101590916B1 (ko) 목재 절단장치
CN104385380A (zh) 一种全自动锯木机
KR20100002646A (ko) 그루빙 머신
US20160318205A1 (en) Method for machining wooden articles across the grain in two or more planes with different types of transverse sections
KR20130112846A (ko) 각도 절단기
KR101068095B1 (ko) 그루빙 기능을 갖는 네일링 머신
JP7194995B2 (ja) ダブルエンドテノーナ
CN204295784U (zh) 一种全自动锯木机
JPS61171301A (ja) 木材の自動加工装置
WO2020079513A1 (en) An integrated saw-machine
KR101620844B1 (ko) 한옥창호 창살의 조립홈 가공장치
EP330549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sided continuous patterned stone panel
KR102394401B1 (ko) 샌드위치 판넬용 절단장치
US784409A (en) Wood-sawing machine.
KR102528872B1 (ko) 샌드위치 판넬용 절단장치
RU92829U1 (ru) Станок для нарезания шипов на торцах бревен срубов
KR20150123416A (ko) 도어 제작용 금속재 재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