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099B1 - 목재 재단기 - Google Patents

목재 재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099B1
KR101170099B1 KR1020120023356A KR20120023356A KR101170099B1 KR 101170099 B1 KR101170099 B1 KR 101170099B1 KR 1020120023356 A KR1020120023356 A KR 1020120023356A KR 20120023356 A KR20120023356 A KR 20120023356A KR 101170099 B1 KR101170099 B1 KR 101170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frame
work table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2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내우
Original Assignee
이내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내우 filed Critical 이내우
Priority to KR1020120023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00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 B27B5/18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 B27B5/187Saw benches with feedable circular saw blade, e.g. arranged on a carriage the saw blade being fitted on a movable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27/00Guide fences or stops for timber in saw mills or sawing machines; Measuring equipment thereon
    • B27B27/10Devices for moving or adjusting the guide fences or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02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purpose only
    • B27B5/06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purpose only for dividing plates in parts of determined size, e.g. panels
    • B27B5/065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purpose only for dividing plates in parts of determined size, e.g. panels with feedable saw blades, e.g. arranged on a carr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BSAWS FOR WOOD OR SIMILAR MATERIAL; COMPONENTS OR ACCESSORIES THEREFOR
    • B27B5/00Sawing machines work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 blades; Components or equipment therefor
    • B27B5/16Saw ben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illing, Drilling, And Turning Of Wo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목재 재단기에 관한 것으로, 경량이면서도 조립 설치가 용이함은 소형 목재도 간단히 원하는 각도로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목재 재단기의 프레임을 제작하는 한편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결합홈을 이용하여 천공 작업없이 간단히 기구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소형 목재를 원하는 각도로 재단할 수 있는 목재 가공기를 간단히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경량 제작이 가능하고, 기계 기구의 장착과 분리가 간단히 이루어지는 한편 간단히 착탈되는 목재 가공기를 이용하여 소형 목재를 절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목재 재단기{AUTO RUNNING SAWING MACHINE}
본 발명은 목재를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는 목재 재단기에 관한 것으로, 경량이면서도 조립 설치가 용이함은 소형 목재도 간단히 원하는 각도로 절단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목재를 가구 등으로 제작하기 위해서는 목재를 원하는 크기로 재단이 이루어져야만 하는 것으로, 목재를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기 위한 기존의 목재 재단기는 목재가 놓이는 작업 테이블을 구비하되 상기 작업 테이블의 하부와 측면을 받쳐주는 프레임을 구비하고, 상기 작업 테이블에 놓인 목재를 절단하기 위하여 작업 테이블의 후단에서 좌우로 이동하는 톱날을 구비하는 한편 상기 톱날의 전단에서 톱날 쪽으로 투입된 목재가 절단과정에서 틀어지지 않도록 잡아주는 목재 잡음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작업 테이블의 후단으로는 투입된 목재의 절단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대를 구비하되 상기 조절대의 이송롤러를 좌우로 이동시켜 목재의 투입이 일정한 측면 기준면을 타고 투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작업 테이블에 놓인 목재는 조절대의 위치에 따라 일정 길이가 투입되고, 목재 잡음수단이 목재를 잡아준 상태에서 톱날을 이동시켜 목재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목재 재단기는 작업 테이블을 받치는 한편 목재 이동의 기준이 되는 프레임이 모두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틀어짐이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처리와 함께 피막 보호가 이루어져야 하므로, 무게가 무겁고 비용이 많이 드는 한편 금속판을 이용하여 제작이 이루어지는 관계로 절단기구 및 조절대 또는 잡음수단 등의 설치를 위해서는 구멍을 뚫어주는 별도의 작업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소형 크기의 목재를 원하는 각도로 절단하기 위해서는 소형 목재 절단기를 별도로 구비하여 운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목재 재단기를 구성하는 프레임이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관계로 무게가 많이 나가는 한편 가공에 어려움이 있는 것을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경량으로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 가공 없이 간단히 기구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의 목재도 원하는 각도로 간단히 재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존 목재 재단기가 무겁고 가공이 어려우며 소형 목재를 원하는 각도로 절단할 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목재 재단기의 프레임을 제작하는 한편 상기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결합홈을 이용하여 천공 작업없이 간단히 기구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소형 목재를 원하는 각도로 재단할 수 있는 목재 가공기를 간단히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사용으로 경량 제작이 가능하고,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결합홈을 이용하여 기계 기구의 장착과 분리가 간단히 이루어지는 한편 간단히 착탈되는 목재 가공기를 이용하여 소형 목재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목재 재단기의 프레임을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함으로써 경량화가 가능함은 물론 기계 기구의 설치를 위한 천공 작업을 하지 않고, T볼트로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결합홈을 이용하여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은 소형 목재를 원하는 각도로 절단할 수 있어 별도의 절단기구 없이도 소형 목재를 원하는 각도로 절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목재 재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목재 재단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정대 하강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톱날 이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아대를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아대를 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아대 요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목재 가공기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목재 가공기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배출대 이동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배출대 이동 상태를 보인 평면도
본 발명은 목재 재단기에 관한 것으로,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프레임을 조립 제작토록 하는 한편 소형 목재를 원하는 각도로 재단하는 목재 가공기를 간단히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량화로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 기계 기구의 탈부착이 간단히 이루어지는 한편 목재 가공기를 장착하여 소형 목재를 원하는 각도로 절단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재 재단기는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된 프레임을 사용하여 제작하는 관계로 목재 절단기의 중량이 줄고, 조립 설치가 용이하며, 특히 필요에 따라 목재 가공기를 간단히 착탈하여 소형의 목재라도 원하는 각도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도면에 의거 상세히 살펴본다.
본 발명의 목재 재단기(100)는 톱날(30)이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업대(20)를 구비하는 한편 상기 작업대(20)에서 목재(11)가 투입되는 쪽으로 작업 테이블(10)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대(20)에서 목재(11)가 배출되는 쪽으로 배출대(40)를 구비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루미늄 프로파일으로 이루어진 고정 프레임(50)을 작업대(20)의 목재(11)가 투입되는 쪽 상측으로 설치하되 고정프레임(50)의 결합홈(51)에 고정대(60)를 결합시키는 한편 목재 가공기(20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한다.
본 발명의 작업대(20)는 내부에 톱날(30)이 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으며, 톱날(30)은 작업 테이블(10)의 상부로 목재(11)의 두께보다 돌출되게 함으로써 목재(11)가 톱날(30)의 이동에 의해 절단되게 한다.
본 발명의 작업 테이블(10)은 작업대(20)의 목재(11)가 투입되는 쪽에 설치되는 것으로, 목재(11)가 상측에 놓여지게 되고, 도5의 도면에서 좌측으로는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기준 프레임(70)을 설치함으로써 작업 테이블(10)에 놓인 목재(11)가 기준 프레임(70)에 밀착된 채로 배출대(40)쪽으로 이동되면서 톱날(30)에 의한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작업 테이블(10)과 작업대(20) 사이에는 작업 테이블(10)의 상측으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고정 프레임(50)을 설치함으로써 하측으로 목재(11)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 프레임(5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하여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51)이 형성되게 함으로써 상기 결합홈(51)을 이용하여 고정대(60)와 목재 가공기(200)를 결합시키도록 한다.
고정대(60)는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목재(11)를 눌러 고정시킴으로써 톱날(30)로 목재(11)를 절단할 때 목재(1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고정 프레임(50)과 고정대(60)의 결합홈(51)(61)을 이용하여 링크(62)를 T볼트로 고정시키는 한편 공압 실린더(63)를 T볼트로 고정시킴으로써 공압실린더(63)를 신장시키면 링크(62)를 기준으로 호 운동을 하면서 고정대(60)가 하측으로 이동하여 목재(11)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공압 실린더(63)를 수축시키면 링크(62)의 결합에 의해 고정대(60)가 고정 프레임(50)의 하측에 밀착되면서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목재 가공기(200)는 고정 프레임(50)의 결합홈(51)을 이용하여 탈착대(210)를 고정하고, 상기 탈착대(210)에는 체결판(220)을 결합하며, 상기 체결판(220)에는 각도조절판(230)을 고정볼트(221)로 고정하고, 상기 각도 조절판(230)에는 작업 테이블(10)과 평행되게 작업 테이블(10)의 상측으로 이격하여 기준대(240)를 고정시키되 상기 기준대(240)는 각도 조절판(230)과 조임볼트(231)에 의해 고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목재 가공기(2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체결판(220)에서 고정볼트(221)를 풀은 후 각도 조절판(230)을 분리한 상태로 목재 재단기(100)만으로 사용하거나, 각도조절판(230)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목재 재단기(200)로 소형 목재를 재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재 가공기(200)는 조임볼트(231)를 이용하여 기준대(240)를 원하는 각도로 조절함으로써 소형 목재를 원하는 각도로 절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대(20)에는 목재(11)가 배출되는 쪽으로 배출대(40)를 결합하되 상기 배출대(40)는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프레임(80)에 의해 받쳐지거나 고정되게 되고, 상기 배출대(40)는 공압 실린더(41)의 신장과 수축에 따라 기준 프레임(70)을 기준으로 좌측 전방이 벌어지거나 좌측 후방이 벌어지게 할 수 있는 것으로, 기준 프레임(70)의 전방 좌측이 후방보다 벌어지게 되면, 작업 테이블(10)에서 배출대(40)로 이동하는 목재(11)가 별다른 기준을 설정하지 않더라도 기준 프레임(70)에 밀착된 채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많은 량의 목재(11)를 절단하더라도 목재가 기준 프레임(70)을 중심으로 정확한 위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기준 프레임(70)에 맞추어 오차없는 절단 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작업대(20)에서 목재(11)가 배출되는 쪽에서는 배출대(40)의 상측을 따라 전후진 되는 아대(90)를 설치하게 되고, 상기 아대(90)는 양쪽으로 설치된 이동바(91)를 이용하여 모터(92)의 구동에 따라 전후진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모터(92)는 래크(93)를 타고 이동하는 피니언을 구동시켜 원하는 위치에서 아대(90)가 위치하게 한다.
상기 아대(90)는 작업 테이블(10)에서 배출되는 목재(11)의 기준면을 잡아주기 위한 것으로, 아대(90)가 작업대(20) 쪽으로 놓일수록 목재(11)의 절단 면적이 적어지고, 아대(90)가 작업대(20)에서 먼 쪽으로 놓일수록 목재(11)의 절단 면적이 놓아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목재 재단기(100)는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프레임(50)(70)(80)과 고정대(60)를 이용하여 제작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프레임과의 결합이 T볼트를 이용하여 간단히 이루어지게 하는 한편 경량 조립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만약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금속판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무게가 많이 나가고 열처리 과정을 거치는 한편 표면 처리 과정을 거쳐야 하며, 특히 기계 기구의 착탈을 위하여 설계 위치에 탭을 내거나 구멍을 뚫어주어야 하는 불편을 있게 되나, 본 발명에서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사용하는 관계로 경량이 가능한 한편 열처리와 표면처리 과정이 불필요하며, 특히 탭이나 구멍을 뚫지 않고 결합홈(51)(61)을 이용하여 결합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특히 작업대(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50)과 고정대(60) 그리고 배출대(40)를 받치거나 조립하는 프레임(80)이 모두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조립의 용이성과 경량화를 제공하는 한편 간단히 목재 가공기(200)를 착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목재 가공기(200)를 결합하지 않은 경우의 목재(11) 절단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자르고자 하는 길이에 맞추어 모터(92)를 구동시킴으로써 아대(90)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톱날(30)과의 거리를 맞추어주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 테이블(10)에 목재(11)를 올려놓고, 좌측의 기준 프레임(70)를 중심으로 목재(11)를 투입하여 목재(11)의 선단이 아대(90)에 닿게 되면, 톱날(30) 구동신호를 출력시켜 톱날(30)이 이동하도록 하되 톱날(30)의 이동전에 공압 실린더(63)를 신장시켜 고정대(60)가 목재(11)의 상부를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목재(11)가 움직이지 않도록 한 후 톱날(30)을 이동시켜 목재(11)의 절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목재(11)의 절단이 이루어지면 고정대(60)를 상부로 이동시킨 후 목재(11)를 이동시키고, 다시 목재(11) 절단 작업을 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톱날(30)은 작업대(20)의 하측에서 이동하는 것으로, 고정대(60)가 목재(11)를 고정시킨 후 목재(1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목재(11)를 절단하게 되고, 상기 톱날(30)은 공지의 기술이다.
본 발명에서 작업 테이블(10)에 놓인 목재(11)는 배출대(40)쪽으로 밀을 때 기준 프레임(70)에 닿은 채로 밀어주고, 공압 실린더(41)에 의해 배출대(40)의 전방이 후방보다 벌어지게 하면, 목재(11)는 기준 프레임(70)에 밀착된 채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목재(11)의 이동시 틀어지는 경우를 없애게 된다.
본 발명은 아대(90)를 사용하여 목재(11)의 길이를 맞추어주게 되는 것으로, 목재(11)의 선단을 집게로 잡아서 후방으로 이동하는 방식에 비하여 작업 속도가 빠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고정대(60)는 고정 프레임(5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 프레임(50)과 고정대(60)는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이루어져 있고 결합홈(51)(6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위치를 자유롭게 변화시켜 가며 별도의 탭이나 구멍을 뚫지 않더라도 링크(62)나 공압 실린더(63)를 부착시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정대(60)는 고정 프레임(50)에 결합된 채로 승하강 되며 목재(11)를 고정시키게 되고, 상기 고정 프레임(50)을 이용하여 목재 가공기(200)를 간단히 착탈되게 함으로써 소형 목재를 원하는 각도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고정 프레임(50)의 결합홈(51)을 이용하여 탈착대(210)를 고정시킨 후 상기 탈착대(210)에는 체결판(220)을 고정시키며, 상기 탈착대(210)와 체결판(22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체결판(220)에 목재 가공기(200)가 착탈되게 한다.
목재 가공기(200)는 체결판(220)에 고정볼트(221)로 고정되는 각도 조절판(230)과 상기 각도조절판(230)에 조임볼트(231)로 고정되는 기준대(240)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준대(240)는 조임볼트(231)를 풀고 원하는 각도로 돌린 후 조임볼트(231)를 조이게 된다.
상기 기준대(240)는 조임볼트(231)에서 좌우로 회동 되면서 기준 각도를 결정하게 되고, 기준대(240)에 의해 원하는 각도가 결정되면 목재(11)가 기준대(240)를 따라 투입되게 함으로써 목재(11)를 원하는 각도로 절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기준대(240)의 각도 설정으로 소형 목재를 간단히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작업 테이블 11 : 목재
20 : 작업대 30 : 톱날
40 : 배출대 50 : 고정 프레임
60 : 고정대 70 : 기준 프레임
80 : 프레임 90 : 아대
100 : 목재 재단기 200 : 목재 가공기
210 : 탈착대 220 : 체결판
230 : 각도 조절판 240 : 기준대

Claims (2)

  1. 톱날(30)이 폭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업대(20)를 구비하되 상기 작업대(20)에 목재(11)를 놓고 작업대(20)로 밀어 넣는 작업 테이블(10)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대(20)에서 배출되는 목재(11)를 이동시키며 프레임(80)에 의해 지지되는 배출대(40)를 구비는 한편 상기 작업 테이블(10)과 배출대(40)의 일측으로 목재(11) 이동의 기준이 되는 기준 프레임(70)을 설치하며,
    상기 작업대(20)에 목재(11)가 투입되는 쪽에 설치된 작업 테이블(10)의 상측으로 일정거리를 이격시켜 고정 프레임(50)을 설치하는 한편 상기 고정 프레임(50)에서 승하강 되며 목재(11)를 고정시키는 고정대(60)를 설치한 목재 재단기에 있어서,
    상기 기준 프레임(70)과 고정 프레임(50)및 고정대(60)와 프레임(80)은 길이 방향으로 결합홈(51)(61)이 형성된 알루미늄 프로파일로 제작하여 결합홈(51)(61)에 T볼트를 끼워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 프레임(50)의 결합홈(51)에는 체결판(220)이 고정된 탈착대(210)를 끼워서 고정하되 상기 탈착대(210)에는 소형 목재를 원하는 각도로 절단하는 목재 가공기(200)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재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목재 가공기(200)는 고정 프레임(50)의 결합홈(51)을 이용하여 탈착대(210)를 고정하고, 상기 탈착대(210)에는 체결판(220)을 결합하며, 상기 체결판(220)에는 각도조절판(230)을 고정볼트(221)로 고정하고, 상기 각도 조절판(230)에는 작업 테이블(10)과 평행되게 작업 테이블(10)의 상측으로 이격하여 기준대(240)를 고정시키되 상기 기준대(240)는 각도 조절판(230)과 조임볼트(231)에 의해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재단기.
KR1020120023356A 2012-03-07 2012-03-07 목재 재단기 KR101170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356A KR101170099B1 (ko) 2012-03-07 2012-03-07 목재 재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3356A KR101170099B1 (ko) 2012-03-07 2012-03-07 목재 재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0099B1 true KR101170099B1 (ko) 2012-08-01

Family

ID=46886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23356A KR101170099B1 (ko) 2012-03-07 2012-03-07 목재 재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00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415A (ko) 2014-04-24 2015-11-04 영림임업 주식회사 목재 절단장치
KR20150123417A (ko) 2014-04-24 2015-11-04 영림임업 주식회사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KR20190009182A (ko) 2017-07-18 2019-01-28 이내우 Cnc 런닝 쏘우의 절단 합판 이동 장치
KR20190029350A (ko) 2017-09-12 2019-03-20 (주)해성목공기계 끝단 자리 홈 가공유닛을 갖는 목재 패널 재단기
KR20190029349A (ko) 2017-09-12 2019-03-20 (주)해성목공기계 개별 승강식 복열 톱날을 갖는 목재 패널 재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301A (ja) 2000-12-14 2002-06-26 Misawa Homes Co Ltd 走行丸鋸盤
JP2003251603A (ja) 2002-03-05 2003-09-09 Shinx Ltd たて型走行丸のこ盤におけるワーク反転装置
KR100465612B1 (ko) 2002-07-09 2005-01-13 박용훈 프레임 모서리절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301A (ja) 2000-12-14 2002-06-26 Misawa Homes Co Ltd 走行丸鋸盤
JP2003251603A (ja) 2002-03-05 2003-09-09 Shinx Ltd たて型走行丸のこ盤におけるワーク反転装置
KR100465612B1 (ko) 2002-07-09 2005-01-13 박용훈 프레임 모서리절단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3415A (ko) 2014-04-24 2015-11-04 영림임업 주식회사 목재 절단장치
KR20150123417A (ko) 2014-04-24 2015-11-04 영림임업 주식회사 각재의 양단부를 경사면으로 재단하는 재단장치
KR20190009182A (ko) 2017-07-18 2019-01-28 이내우 Cnc 런닝 쏘우의 절단 합판 이동 장치
KR101960472B1 (ko) * 2017-07-18 2019-03-21 이내우 Cnc 런닝 쏘우의 절단 합판 이동 장치
KR20190029350A (ko) 2017-09-12 2019-03-20 (주)해성목공기계 끝단 자리 홈 가공유닛을 갖는 목재 패널 재단기
KR20190029349A (ko) 2017-09-12 2019-03-20 (주)해성목공기계 개별 승강식 복열 톱날을 갖는 목재 패널 재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099B1 (ko) 목재 재단기
HK1093708A1 (en) Machine for machining optical workpieces
US9505069B2 (en) Sliding table assembly for a saw machine
CN103286831B (zh) 一种数控木工车床、雕刻多功能一体机
DE60317580D1 (de) Sägeblattspannvorrichtung mit mehrfacher Sägeblattspannposition
ATE433825T1 (de) Automatische machine zum schleifen und besäumen von glasplattenkanten
US9908191B2 (en) Clamping mechanism for circular saw machine
TWI642505B (zh) Workpiece baffle adjustment mechanism for sawing implement
CN200991930Y (zh) 卧式多轴木工钻床
CN102145370A (zh) 滑轨式夹紧装置
CA2942038A1 (en) Tile saw
JP4369279B2 (ja) 丸のこ盤
JP2008087079A (ja) シート切断機
KR200390527Y1 (ko) 표면절삭기
KR101129066B1 (ko) 다기능 통나무 가공기
CN211053122U (zh) 一种仿形铣切飞锯方矩管夹具
KR100861391B1 (ko) 기계톱과 선반의 결합 구조
JP5252377B2 (ja) シート切断機
KR101429637B1 (ko) 절단기용 공작물 고정장치
JP5575713B2 (ja) 切削加工機における刃物突出量の調節装置
KR20140001290U (ko) 목공용 가이드 펜스
US9573291B1 (en) Chain drive system for tong dog carriers
JP2004141998A (ja) 作業台
KR101163104B1 (ko) 조립구조의 수치제어선반
US6715390B1 (en) Wood work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8